KR20070104256A - 고체 분산체 제제 - Google Patents

고체 분산체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256A
KR20070104256A KR1020070038223A KR20070038223A KR20070104256A KR 20070104256 A KR20070104256 A KR 20070104256A KR 1020070038223 A KR1020070038223 A KR 1020070038223A KR 20070038223 A KR20070038223 A KR 20070038223A KR 20070104256 A KR20070104256 A KR 20070104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id dispersion
soluble polymer
mass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461B1 (ko
Inventor
다까후미 호시노
후미에 구사끼
이꾸오 후꾸이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4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5Coating of tabl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21,4-Dihydropyridines, e.g. nifedipine, nicardi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6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7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with an outer layer or coating comprising drug; with chemically bound drugs or non-active substances on their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77Tablets comprising drug-containing microparticles in a substantial amount of supporting matrix; Multiparticulate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 분산체의 용출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제제 중의 약물을 신속히 용출할 수 있는 고체 분산체의 과립제 또는 정제,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난용성 약물, 수용성 중합체, 부형제 및 붕괴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용성 중합체의 함유량이 1 내지 10 질량%이고 상기 붕괴제의 함유량이 15 내지 50 질량%인 고체 분산체의 과립제를 제공한다. 또한, 난용성 약물, 수용성 중합체, 부형제 및 붕괴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용성 중합체의 함유량이 1 내지 5 질량%이고 상기 붕괴제의 함유량이 15 내지 50 질량%인 고체 분산체의 정제를 제공한다. 또한, 부형제와 붕괴제의 혼합 분말에, 난용성 약물을 분산 또는 용해한 수용성 중합체 용액을 분무하고, 조립,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의 과립제 또는 정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고체 분산체 과립제, 고체 분산체 정제, 난용성 약물, 수용성 중합체, 용출성

Description

고체 분산체 제제 {THE SOLID DISPERSION PREPARATION}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표 제2005-51769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5-262642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4-67606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약학 잡지, 124(1), 19-23(2004)
본 발명은 난용성 약물의 용출을 개선할 목적으로 제조된 고형 제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신속한 붕괴성과 약물 용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분산체를 함유하는 고형 제제에 관한 것이다.
난용성 약물은 결정성이 높고, 물에 대한 용해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이들을 제제화한 경우, 생물학적 이용능 또는 체내 흡수성이 낮고, 약효가 불충분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난용성 약물을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의 고분자 담체(캐리어)에 비정질 상태로 분자 분산시킨 고체 분산체가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고체 분산체는 난용성 약물과 캐리어를 공용매에 용해시킨 것을 분무 드라이하여 얻어진 고형물을 캡슐에 채우거나, 그대로 세립이나 과립으로 제제화하는 복용 형태를 취했지만, 정량 처방 및 정량 복용, 실제 환자의 취급이나 복용 용이성 등의 점에서 고형 제제의 범용적 제형인 정제화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사실로부터 고체 분산체 분말을 정제화하면, 비표면적의 저하뿐만 아니라, 압축 성형 과정에서 비정질의 약물 분자가 가소성 변형을 받고, 캐리어 고분자의 강한 결합성에 의해 종종 정제의 공극률이 낮아져, 그 결과 투여시에 정제 중으로의 물 분자의 침투가 지연되고, 정제의 붕괴가 지연되어 고체 분산체 본래의 용출 개선성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캐리어인 수용성 또는 장용성 고분자는 수화ㆍ용해시에 점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용해시 정제 표면에 일종의 히드로겔층을 형성하여 물의 침윤이 더욱 방해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특허 문헌 1에는 분무 드라이에 의해 얻어진 고체 분산체 분말과 붕괴제 및 폴로시겐의 부형제를 함유한 정제가 제안되어 있고, 특허 문헌 2에는 난용성 약물에 수용성 고분자 기제, 필요에 따라 부형제, 붕괴제를 첨가한 산제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캐리어인 농도 향상 중합체나 수용성 고분자 기제의 첨가량이 많기 때문에, 약물 용해 속도가 지연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과 같이 분무 드라이에 의해 얻어진 고체 분산체 분말은 그 밖의 성분과 혼합한 후, 일단 압축ㆍ해쇄하여 타정용 조립 분말로 만들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분무 드라이에 의해 제조된 고체 분산체 분말은 입경이 가늘기 때문에, 다른 부형제와 단순 혼합하면 편석이 일어나 성분이 불균일한 타정용 분말이 얻어진다. 또한, 이러한 공정을 거치면, 작업이 번잡해지는 한편, 일단 압축함으로써 고체 분산체의 재결정화가 염려된다. 또한, 붕괴제가 고체 분산체를 제조한 후 첨가되며, 정제 중에서 고체 분산체끼리 캐리어의 강한 결합력에 의해 응집 결합한 경우, 이것이 덩어리가 되어 붕괴시에 수중에 분산되면 약물의 용출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특허 문헌 3에서는 부형제와 붕괴제의 혼합 분말에 난용성 약물인 이트라코나졸, 수용성 중합체 및 장용성 중합체의 용액을 분무, 조립, 건조하여 얻어지는 세립을 이용한 정제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붕괴제의 첨가량이 적고, 정제로부터 약물이 용출될 때까지 360 분이나 걸려 정제의 붕괴성을 개선하지 못하였다.
히라사와 등(비특허 문헌 1)은 난용성 약물인 닐바디핀과 크로스포비돈, 메틸 셀룰로오스의 에탄올 분산액을 결합액으로서, 락토오스, 메틸 셀룰로오스나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등의 혼합 분말에 투입하여 교반 조립한 것으로부터 정제를 얻고 있다. 그러나, 닐바디핀은 에탄올에 용해되지만, 크로스포비돈 및 메틸 셀룰로오스는 에탄올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공용해 상태를 거치지 않고, 단순히 비정질 닐바디핀의 분산 희석제로서 기능한다고 여겨진다. 캐리어인 중합체 중에 비정질의 약물 분자를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일단 두가지를 용해하는 공용매로 공용해 상태를 거쳐야만 하기 때문에, 비특허 문헌 1에 의해 얻어진 비정질의 닐바디핀의 고체 분산체는 충분한 용해성이 얻어지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또한, 수용성 중합체의 첨가량이 많기 때문에, 즉(卽)용출성의 제제를 얻는 것은 곤 란하다고 여겨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고체 분산체의 용출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제제 중의 약물을 신속히 용출할 수 있는 고체 분산체의 과립제 또는 정제,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고체 분산체의 캐리어인 수용성 중합체의 첨가량 및 붕괴제의 첨가량을 소정량으로 함으로써, 고체 분산체를 압축 성형한 정제에 있어서 붕괴성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과립이나 정제에 있어서 우수한 용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난용성 약물, 수용성 중합체, 부형제 및 붕괴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용성 중합체의 함유량이 1 내지 10 질량%이고 상기 붕괴제의 함유량이 15 내지 50 질량%인 고체 분산체의 과립제를 제공한다. 또한, 난용성 약물, 수용성 중합체, 부형제 및 붕괴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용성 중합체의 함유량이 1 내지 5 질량%이고 상기 붕괴제의 함유량이 15 내지 50 질량%인 고체 분산체의 정제를 제공한다. 또한, 부형제와 붕괴제의 혼합 분말에, 난용성 약물을 분산 또는 용해한 수용성 중합체 용액을 분무하고, 조립,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의 과립제 또는 정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난용성 약물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고, 통상 경구 투여로는 흡수성이 불량한 약물이다. 예를 들면, 일본 약전 제14 개정에 정해져 있는 「거의 용해되지 않음」 또는 「용해되기 매우 어려움」으로 되어 있는 약물을 말한다. 일본 약전 제14 개정에서의 약물의 「용해성」이란 약물이 고형인 경우에는 분말로 한 후, 용매 중에 넣어 20±5 ℃에서 5 분마다 30 초간 흔들어 혼합할 때 30 분 이내에 용해되는 정도를 말하며, 「거의 용해되지 않음」이란 약물 1 g 또는 1 ㎖를 용해하는데 필요한 용매량(여기서는, 물)이 10,000 ㎖ 이상, 「용해되기 매우 어려움」이란, 약물 1 g 또는 1 ㎖를 용해하는데 필요한 용매량이 1,000 ㎖ 이상 10,000 ㎖ 미만인 성상을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난용성 약물의 구체예로서는 니페디핀, 페나세틴, 페니토인, 디기토신, 닐바디핀, 디아제팜, 그리세오풀빈, 클로람페니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난용성 약물을 비정질 상태로 분자 분산시키기 위해, 캐리어로서 수용성 중합체를 사용한다. 수용성 중합체는 용해에 필요한 양의 반에서부터 전량의 열수(70 ℃ 이상)에 중합체를 첨가하여 교반, 분산하고, 전량의 열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남은 수량의 냉수 또는 빙수를 교반하면서 첨가한 경우, 일본 약전 제14 개정에 정해져 있는 「매우 용해되기 쉬움(약물 1 g 또는 1 ㎖를 용해하는데 필요한 수량이 1 ㎖ 미만)」,「용해되기 쉬움(약물 1 g 또는 1 ㎖를 용해하는데 필요한 수량이 1 ㎖ 이상 10 ㎖ 미만)」, 「약간 용해되기 쉬움(약물 1 g 또는 1 ㎖를 용해하는데 필요한 수량이 10 ㎖ 이상 30 ㎖ 미만)」에 해당하는 중합체이다. 구체적으로는 메틸 셀룰로오스 등의 알킬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등의 히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등의 히드록시알킬 알킬 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수용성 중합체의 함유량은 고형 제제의 제형에 따라 상이하며, 과립제의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제제 전체 중에서 1 내지 10 질량%, 정제의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제제 중에서 1 내지 5 질량%이다. 수용성 중합체의 함유량이 1 질량%보다 적으면 고체 분산체 중의 난용성 약물을 완전히 비정질 상태로 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과립의 경우 10 질량%, 정제의 경우 5 질량%보다 많으면 제제 중의 수용성 중합체의 비율이 높아짐으로써, 과립의 경우에는 투여량이 증가하고 정제의 경우에는 제제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난용성 약물에 대한 수용성 중합체의 첨가 비율은 난용성 약물 1 질량에 대하여 수용성 중합체 1 내지 5 질량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중합체의 비율이 1보다 작으면 고체 분산체 중의 난용성 약물을 완전히 비정질 상태로 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5보다 큰 경우에는 제제 중의 수용성 중합체의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제 크기가 커져 일반적인 제제로서 부적합한 경우가 있다.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난용성 약물의 고체 분산체를 제조할 때의 용매는 난용성 약물이 잘 용해되고, 수용성 중합체도 용해되는 용매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염화메틸렌,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외에, 이들과 물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지만, 난용성 약물과 수용성 중합체의 용매에 대한 용해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용매의 첨가량은 고형분 농도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8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12 질량% 용액이 되는 양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부형제로서는 예를 들면 락토오스, 콘스타치, 사카로오스, 만니톨, 무수 인산칼슘, 결정 셀룰로오스,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락토오스:콘스타치=7:3(질량비)의 혼합 분말이 바람직하다.
부형제의 함유량은 제제 전체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2.5 내지 78.5 질량%이다. 부형제의 함유량이 30 질량%보다 적으면 붕괴제 과다가 되어 조립 분말의 유동성이 불량해지는 경우가 있고, 90 질량%보다 많으면 붕괴제가 적어지기 때문에 용출성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붕괴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멜로스, 카르멜로스 나트륨, 카르멜로스 칼슘,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 히드록시프로폭실기 5 내지 16 질량%를 갖는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L-HPC), 히드록시프로필 스타치, 카르복시메틸 스타치 나트륨, 크로스포비돈 등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붕괴제로서는 특히 조립물의 높은 유동성을 제공하고, 압축 성형한 제제로부터 고도의 용출성을 보증한다는 점에서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또한,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중에 서도 벌크 밀도가 0.40 g/㎖ 이상, 탭 밀도가 0.60 g/㎖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벌크 밀도」란 소(疎)충전 상태의 부피 밀도를 말하며, 직경 5.03 cm, 높이 5.03 cm(용적 100 ㎖)의 원통 용기(재질: 스테인레스)에 시료를 JIS의 24 메쉬의 체를 통과시켜 위쪽(23 cm)에서부터 균일하게 공급하고, 윗면을 깎아 칭량함으로써 측정된다. 한편, 「탭 밀도」란 여기에 탭핑을 가하여 밀충전으로 한 경우의 부피 밀도를 말한다. 탭핑이란 시료를 충전한 용기를 일정한 높이로부터 반복 낙하시켜 바닥부에 가벼운 충격을 주어 시료를 밀충전으로 하는 조작을 말한다. 실제로는, 벌크 밀도를 측정할 때, 윗면을 깎아 칭량한 후, 추가로 이 용기 상에 캡(하기 호소까와 미크론사 제조의 파우더 테스터의 비품)을 끼우고, 이 상부 모서리까지 분체를 첨가하여 탭 높이 1.8 cm의 탭핑을 180회 행한다. 탭핑 종료 후, 캡을 벗겨 용기 윗면에서 분체를 깎아 칭량하고, 이 상태의 부피 밀도를 탭 밀도로 한다. 이들 조작은 호소까와 미크론사 제조의 파우더 테스터(PT-D)를 사용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로서는 압축도가 35 %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압축도란 부피 밀도 차이를 나타내는 값이며, 이하의 식으로 구해진다.
압축도(%)=[(탭 밀도-벌크 밀도)/탭 밀도]×100
붕괴제의 함유량은 제제 전체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질량%이다. 붕괴제의 함유량이 15 질량%보다 적으면 용출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약해지기 때문에 기대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50 질량%보다 많으면 얻어지는 조립 분말의 유동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타정 분말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고체 분산체의 정제에는 필요에 따라 활택제를 첨가할 수 있다. 활택제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활석, 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다.
활택제를 첨가하는 경우, 활택제의 첨가량은 바람직하게는 활택제를 제외한 제제 전체에 대하여 0.5 내지 2 질량%이다. 활택제의 첨가량이 0.5 질량%보다 적으면 충분한 활택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타정시에 절굿공이로의 부착이 보이는 한편, 2 질량%보다 많으면 경도의 저하나 붕괴성의 저하가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고체 분산체의 과립제 및 정제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체 분산체의 과립제는 부형제 및 붕괴제의 혼합 분말에 난용성 약물이 분산 또는 용해된 수용성 중합체 용액을 분무, 조립한 후, 건조함으로써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부형제 및 붕괴제의 혼합 분말을 조립 장치 내에서 유동시키고, 여기에 미리 제조한 난용성 약물이 분산 또는 용해된 수용성 중합체 용액을 분무, 조립하여, 건조 후 정립한다.
조립 장치로서는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 고속 교반 조립 장치, 전동 조립 장치 등을 들 수 있지만,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제는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과립을 타정 분말로 하고, 필요에 따라 활택제를 첨가하여 타정기로 압축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과립에 대하여, 분체 물성이나 용출 개선성 등의 점에서 필요한 경우에 타정 전에 적절한 분쇄 장치를 이용하여 분쇄할 수도 있다. 분쇄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나이프 밀, 롤러 밀, 볼 밀, 제트 밀, 스크린 밀, 비드 밀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고체 분산체의 과립제는 일본 약전 제14 개정에 기재된 「용출 시험 제2법」에 의해 평가한 경우, 투여 후 5 분 이내에 약물 용출 농도가 투여량의 70 % 이상이 되어 고도의 용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얻어진 고체 분산체의 정제는 일본 약전 제14 개정에 기재된 「붕괴 시험」에 의해 평가한 경우, 투여 후 10 분 이내에 붕괴하고, 일본 약전 제14 개정에 기재된 「용출 시험 제2법」에 의해 평가한 경우, 투여 후 10 분 이내의 약물 용출 농도가 투여량의 70 % 이상이 되어 고도의 붕괴성 및 용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고형 제제에 있어서는, 맛ㆍ악취의 마스킹, 장용화 또는 서방화를 목적으로서, 자체 공지된 방법에 의해 코팅할 수도 있다. 이 때, 코팅제로서는 예를 들면 장용성 중합체인 아세트산 프탈산 셀룰로오스,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L,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LD,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S,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카르복시메틸 에틸 셀룰로오스 등 외에, 위용성 중합체인 폴리비닐아세탈 디에 틸 아미노아세테이트,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이나 상술한 수용성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니페디핀 1.2 g,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히드록시프로폭실기 8.7 질량%, 메톡실기 28.8 질량%, 6 mPaㆍs) 2.4 g 또는 니페디핀 12 g,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히드록시프로필기 8.7 질량%, 메톡실기 28.8 질량%, 6 mPaㆍs) 24 g을 에탄올:물=8:2(질량비)의 혼합 용매 중에 용해하여 고체 분산체액을 제조하였다.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L-HPC)(히드록시프로폭실기 10.9 질량%), 락토오스(DMV사 제조의 Pharmatose) 및 콘스타치(닛본 쇼꾸힝 가꼬사 제조의 콘스타치 W)의 혼합물을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POWREX사 제조의 Multiplex MP-01) 중에서 유동시켜 고체 분산체액을 분무ㆍ조립ㆍ건조한 후, 30 메쉬(메쉬 500 ㎛)의 체로 정립하여 과립을 얻었다. 비교예로서 붕괴제인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의 첨가량이 본원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의 과립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얻어진 각 처방의 과립 20 g에 대하여, 오리피스의 유동성 지표를 이용하여 얻어진 과립의 유동성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오리피스의 유동성 지표란 모래시계형 깔때기(내경 42 mm, 높이 90 mm)의 구멍을 막아 시 료 20 g을 넣은 후, 구멍으로부터의 유출을 관찰하는 것이며, 유출된 공경에 의해 분체의 유동성을 평가하는 지수이다.
평가는 「양호」가 특히 유동성이 우수하고, 분말의 유출이 빠른 상태이고, 「불량」은 유동성이 불량하고, 오리피스로부터 분말이 유출되지 않는 상태이다.
Figure 112007029652656-PAT00001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해 얻어진 과립 중, 유동성이 양호한 과립 1890 mg(니페디핀으로서 94.5 mg을 함유)을 일본 약전 제14 개정의 용출 시험의 패들법에 따라 시험을 행하였다. 용출 시험의 조건은 회전수 100 rpm, 시험액에는 물 900 ㎖를 사용하였다. 또한, 참고를 위해, 니페디핀 원말 94.5 mg에 대해서도 동일한 조작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의 과립(처방 A 내지 C)은 모두 비교예의 과립보다 높은 용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붕괴제인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가 본원 발명의 범위보다 적은 경우(처방 E)에는 첨가하지 않은 경우(처방 D)와 동등한 값을 나타내고, 용출성의 향상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반대로 많은 경우(처방 F)에는 유동층 조립 중에 블록킹이 발생하여 양호한 조립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원 발명의 고체 분산체의 과립은 우수한 용출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았다.
Figure 112007029652656-PAT00002
<실시예 3 및 비교예 3>
니페디핀 1.2 g,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히드록시프로폭실기 8.7 질량%, 메톡실기 28.8 질량%) 2.4 g 또는 니페디핀 6 g,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히드록시프로필기 8.7 질량%, 메톡실기 28.8 질량%) 12 g을 에탄올:물=8:2(질량비)의 혼합 용매 중에 용해하여 고체 분산체액을 제조하였다.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L-HPC)(히드록시프로폭실기 10.9 질량%), 락토오스(DMV사 제조의 Pharmatose) 및 콘스타치(닛본 쇼꾸힝 가꼬사 제조의 콘스타치 W)의 혼합물을 유동층 조립 코팅 장치(POWREX사 제조의 Multiplex MP-1) 중에서 유동시켜 고체 분산체액을 분무ㆍ조립ㆍ건조한 후, 30 메쉬(메쉬 500 ㎛)의 체로 정립하여 과립을 얻었다. 이 과립을 타정 분말로 하고, 이 타정 분말에 대한 활택제로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5 질량%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회전식 타정기(기꾸스이 세이사꾸쇼 제조의 Vergo)로 210 mg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로서 수용성 중합체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의 첨가량이 본원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의 정제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얻어진 정제에 대하여 경도, 붕괴 시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에 의해 얻어진 정제(처방 G 내지 I)에서는 적절한 경도와 우수한 붕괴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수용성 중합체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가 본원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처방 J 내지 L)에는 정제 붕괴성이 저하되어 버렸다.
Figure 112007029652656-PAT00003
<실시예 4 및 비교예 4>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 의해 얻어진 정제 1890 mg(니페디핀으로서 47.25 mg 함유)에 대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용출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참고를 위해 니페디핀 원말 47.25 mg에 대해서도 동일한 조작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에 의해 얻어진 정제(처방 G 내지 I)는 조립 분말로부터의 용출률에 손색없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붕괴제의 첨가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용출성의 향상이 보였다. 또한, 붕괴제인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처방 J)에는 용출성의 향상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한편, 수용성 중합체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가 본원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처방 J 또는 K)에는 시험 중 정제 표면에 수용성 중합체의 히드로겔을 형성하고, 정제 표면으로부터 경시적으로 용해하는 서방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붕괴 시간의 연장과 불충분한 용출 개선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원 발명의 고체 분산체의 정제는 우수한 붕괴성 및 용출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았다.
Figure 112007029652656-PAT00004
본 발명에 따르면, 과립의 경우에는 고도의 용출성이 확인되며, 정제의 경우에는 용해 매체로의 도입 후 10 분 이내에 붕괴하여 난용성 약물 중 70 질량% 이상을 방출할 수 있는 우수한 용해성을 갖는 고형 제제가 얻어진다.

Claims (10)

  1. 난용성 약물, 수용성 중합체, 부형제 및 붕괴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용성 중합체의 함유량이 1 내지 10 질량%이고 상기 붕괴제의 함유량이 15 내지 50 질량%인 고체 분산체의 과립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중합체가 알킬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알킬 알킬 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고체 분산체의 과립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붕괴제가 히드록시프로폭실기 5 내지 16 질량%를 갖는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인 고체 분산체의 과립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붕괴제가, 벌크 밀도가 0.40 g/㎖ 이상이고 탭 밀도가 0.60 g/㎖ 이상인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인 고체 분산체의 과립제.
  5. 부형제와 붕괴제의 혼합 분말에, 난용성 약물을 분산 또는 용해한 수용성 중합체 용액을 분무하고, 조립,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 과립제의 제조 방법.
  6. 난용성 약물, 수용성 중합체, 부형제 및 붕괴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용성 중합체의 함유량이 1 내지 5 질량%이고 상기 붕괴제의 함유량이 15 내지 50 질량%인 고체 분산체의 정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중합체가 알킬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알킬 알킬 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고체 분산체의 정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붕괴제가 히드록시프로폭실기 5 내지 16 질량%를 갖는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인 고체 분산체의 정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붕괴제가, 벌크 밀도가 0.40 g/㎖ 이상이고 탭 밀도가 0.60 g/㎖ 이상인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인 고체 분산체의 정제.
  10. 부형제와 붕괴제의 혼합 분말에, 난용성 약물을 분산 또는 용해한 수용성 중합체 용액을 분무하고, 조립,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 정제의 제조 방법.
KR1020070038223A 2006-04-20 2007-04-19 고체 분산체 제제 KR101146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16272 2006-04-20
JP2006116272 2006-04-20
JPJP-P-2007-00087957 2007-03-29
JP2007087957A JP2007308479A (ja) 2006-04-20 2007-03-29 固体分散体製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256A true KR20070104256A (ko) 2007-10-25
KR101146461B1 KR101146461B1 (ko) 2012-05-21

Family

ID=3819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223A KR101146461B1 (ko) 2006-04-20 2007-04-19 고체 분산체 제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8354122B2 (ko)
EP (1) EP1847260B8 (ko)
JP (1) JP2007308479A (ko)
KR (1) KR101146461B1 (ko)
TW (1) TWI4698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3671B1 (en) * 2008-04-02 2016-07-20 Astellas Pharma Inc. Amide derivative-contain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8303868B2 (en) * 2009-01-26 2012-11-06 Shin-Etsu Chemical Co., Ltd. Wet granulation tableting method using aqueous dispersion of 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EP2436377B1 (en) * 2009-05-27 2015-04-15 Samyang Biopharmaceuticals Corporation Microspheres with improved bioavailability containing poorly water-soluble drug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WO2013040187A1 (en) 2011-09-13 2013-03-21 Isp Investments Inc. Solid dispersion of poorly soluble compounds comprising crospovidone and at least one water-soluble polymer
JP6323976B2 (ja) * 2012-12-10 2018-05-16 関東化學株式会社 ゲル化剤組成物およびゲル化剤組成物の製造方法
US10610491B2 (en) 2013-09-25 2020-04-0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ion comprising an organic liquid diluent and a specific hydroxyalkyl methylcellulose
WO2015071841A1 (en) 2013-11-12 2015-05-21 Druggability Technologies Holdings Limited Complexes of dabigatran and its derivative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20170056365A1 (en) * 2014-02-28 2017-03-02 Sun Pharmaceutical Industries Limited Dapagliflozin compositions
US20180344646A1 (en) * 2015-11-25 2018-12-06 Patheon Development Services Inc. Amorphous dispersion granules and oral dosage forms
JP2023121879A (ja) * 2022-02-22 2023-09-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形薬剤、固形薬剤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水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0288A1 (de) * 1984-11-05 1986-05-07 Gergely, Gerhard, Dr.-Ing., Wien Pharmazeutische zubereitung mit einem gehalt an mindestens einer schleimhautreizenden substanz oder dergleichen, insbesondere profen,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5340591A (en) 1992-01-24 1994-08-23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Method of producing a solid dispersion of the sparingly water-soluble drug, nilvadipine
JPH07118154A (ja) * 1993-10-22 1995-05-09 Dainippon Pharmaceut Co Ltd 固体分散体および粒状製剤
TW486370B (en) * 1996-12-25 2002-05-11 Yamanouchi Pharma Co Ltd Rapidly disintegr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6046177A (en) * 1997-05-05 2000-04-04 Cydex, Inc. Sulfoalkyl ether cyclodextrin based controlled release soli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JPH1149863A (ja) * 1997-08-07 1999-02-23 Cosmo Five:Kk 粉末同時仕込み溶解方法
KR100440553B1 (ko) 1998-03-26 2004-07-15 후지사와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서방성 제제
JP3718341B2 (ja) 1998-05-12 2005-11-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低置換度ヒドロキシプロピルセルロースとその製造方法
JP2000154137A (ja) * 1998-09-18 2000-06-06 Takeda Chem Ind Ltd 徐放性経口製剤
US20040013613A1 (en) * 2001-05-18 2004-01-22 Jain Rajeev A Rapidly disintegrating solid oral dosage form
CA2362728C (en) 1999-03-24 2009-06-23 Fmc Corporation Improved aqueous solubility pharmaceutical formulations
JP3850189B2 (ja) * 1999-10-13 2006-11-2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固形製剤とその製造方法
DE60110666T2 (de) * 2000-03-17 2006-02-02 Shin-Etsu Chemical Co., Ltd. Feste Zubereitung enthaltend niedersubstituierte Hydroxypropylcellulose und Herstellungsverfahren
ES2366430T3 (es) * 2001-06-20 2011-10-20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Método para fabricar comprimidos.
JP4644397B2 (ja) * 2001-09-05 2011-03-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難溶性薬物を含む医薬用固形製剤の製造方法
US20050003001A1 (en) * 2001-11-07 2005-01-06 Hisami Yamaguchi Method for improving dissolution of poorly dispersible medicaments
EP1469829B1 (en) 2002-02-01 2016-01-27 Bend Research, Inc Immediate release dosage forms containing solid drug dispersions
AR038681A1 (es) 2002-02-14 2005-01-26 Solvay Pharm Bv Formulacion oral de solucion solida de una sustancia activa pobremente soluble en agua
JP2004067606A (ja) * 2002-08-08 2004-03-04 Zensei Yakuhin Kogyo Kk イトラコナゾール経口投与製剤
US6869963B2 (en) * 2003-07-11 2005-03-22 Sandoz Ag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an ACE inhibitor
KR101118930B1 (ko) * 2003-11-14 2012-03-14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페닐알라닌 유도체의 고체 분산체 또는 고체 분산체 의약제제
ES2241478B1 (es) * 2004-02-13 2006-11-16 Lacer S.A. Preparacion farmaceutica para la liberacion sostenida de un principio farmaceuticamente activ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308479A (ja) 2007-11-29
US8663697B2 (en) 2014-03-04
US20070248681A1 (en) 2007-10-25
US8354122B2 (en) 2013-01-15
US20130171333A1 (en) 2013-07-04
TW200800302A (en) 2008-01-01
KR101146461B1 (ko) 2012-05-21
TWI469802B (zh) 2015-01-21
US20130172392A1 (en) 2013-07-04
EP1847260B8 (en) 2016-05-11
US20130171332A1 (en) 2013-07-04
EP1847260A3 (en) 2009-11-11
EP1847260B1 (en) 2016-02-17
US8663698B2 (en) 2014-03-04
EP1847260A2 (en)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461B1 (ko) 고체 분산체 제제
KR101074241B1 (ko) 장용성 고체 분산체를 포함하는 고형 제제
CN101184489B (zh) 药物组合物
KR101201554B1 (ko) 장용성 고체 분산체의 고형 제제 및 그의 제조 방법
US9655851B2 (en) Granular material for dosage forms
EP2777696B1 (en) Preparation of stable pharmaceutical dosage forms
EP3881833B1 (en) Immediate-release tablets containing a drug and processes for forming the tablets
KR101136659B1 (ko) 고체 분산체의 고형 제제 및 그의 제조 방법
EP230847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rivaroxaban
Aljaberi et al. Tableting functionality evaluation of Prosolv Easytab in comparison to physical mixtures of its individual components
JP5576922B2 (ja) 腸溶性固体分散体を含んでなる固形製剤
WO201004641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levetiracetam
JP5576963B2 (ja) 固体分散体製剤
CN101460191A (zh) 包含湿敏性药物的稳定制剂及其制备方法
SHAIKH Design and development of topical hydrogel formulation of irbisartan
WO2014157603A1 (ja) 経口投与用医薬組成物
EP2808012A1 (en) Method for producing dosage form comprising odanacati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