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2826A - 가이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 - Google Patents

가이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2826A
KR20070102826A KR1020060034510A KR20060034510A KR20070102826A KR 20070102826 A KR20070102826 A KR 20070102826A KR 1020060034510 A KR1020060034510 A KR 1020060034510A KR 20060034510 A KR20060034510 A KR 20060034510A KR 20070102826 A KR20070102826 A KR 20070102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lock
guide
tension
hole
pre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9772B1 (ko
Inventor
송종영
김영선
신현양
윤만근
이창훈
연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4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772B1/ko
Publication of KR2007010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을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된 상부 부재(100)를 하부 부재(200)의 상측에 설치하기 위한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310)의 상면이 상부 부재(100)의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블록(300)을 제조하는 가이드 블록 제조단계와; 하부 부재(200)의 상면에 가이드 블록(300)을 설치하는 가이드 블록 설치단계와; 상부 부재(100)의 저면이 가이드 블록(300) 본체부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부재(100)를 가이드 블록(300)의 상면에 설치하는 상부 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공법을 제시함으로써, 프리 캐스트 부재를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하부 부재와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프리 캐스트, 교량, 주두부

Description

가이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GUID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RE-CAST MEMBER USING IT}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공법의 전체적 구성도.
도 2는 가이드 블록의 사시도.
도 3은 교각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수평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5는 가이드 블록과 교각 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가이드 블록과 교각 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가이드 블록과 인양용 걸림부재의 사시도.
도 8은 가이드 블록 인양작업의 모식도.
도 9는 주두부 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주두부 부재 인양작업의 모식도.
도 11은 긴장재 관통공이 형성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긴장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교각부재에 긴장재가 정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부 부재 100a : 주두부 부재
110 : 박스형 본체부 111 : 벽체
112 : 격벽 200 : 하부 부재
200a : 교각 부재 210 : 작업공간
211 : 천정부 300 : 가이드 블록
310 : 가이드 블록 본체부 311 : 돌부
312 : 홈부 313 : 경사부
320 : 인양용 걸림부재 400 : 가이드 부재
410 : 상부 가이드 부재 관통공 420 : 가이드 부재 삽입공
421 : 가이드 부재 지지부 430 : 가이드 부재 관통공
500 : 긴장재 510 : 상부 긴장재 관통공
511 : 상부 긴장재 정착부 520 : 하부 긴장재 관통공
521 : 하부 긴장재 정착부 530 : 긴장재 관통공
600 : 수평조절장치 610 : 너트부
620 : 볼트부 621 : 두부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가이드 블록을 이용하여 프리 캐스트 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부분의 구조물의 경우, 그 구조물의 배근을 위한 철근의 조립공정에 의해 철근조립체를 형성하고, 그 주위에 거푸집 구조물을 설치한 후,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교량의 교각 주두부와 같이 하부 부재(교각)에 비해 상부 부재의 구조가 크고 복잡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인 교각의 상면에서 철근조립체를 형성하고, 거푸집 구조물을 설치하는 작업은 대단히 어려운 공사라는 지적이 있어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프리 캐스트(pre-cast) 방식에 의해 미리 상부 부재를 제조하고, 제조된 상부 부재를 하부 부재의 상면에 설치하는 방법을 상정해 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다음과 같이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제시된다.
첫째, 교량 구조물의 경우, 상기 상부 부재에 해당하는 주두부 부재의 상면에는 상판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교량의 상판이 올바르게 시공되기 위해서는, 그 전제로서 주두부 부재가 정밀하게 시공할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주두부 부재는 엄청난 하중을 가지는 것이므로, 이를 크레인 등에 의해 임시로 지지한 상태에서 장시간에 걸쳐 정확한 위치 및 수평도를 갖도록 시공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는 점이다.
둘째,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된 상부 부재와 그에 결합되는 하부 부재는 각각 별개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 의해 형성된 것이므로, 이들을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리 캐스트 부재를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하부 부재와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된 상부 부재의 저면과 하부 부재의 상면 사이에 적층구조로서 설치되고, 상기 하부 부재에 대한 상기 상부 부재의 설치시 그 위치 확보를 위하여, 본체부의 상면이 상기 상부 부재의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블록을 제시한다.
상기 본체부의 상면은 돌부와 홈부를 구비한 요철구조로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부와 홈부의 경계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는 사각형 단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돌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 중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부는 상기 가장자리부 중 심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상부 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부재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부재 관통공은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에 사각형 단면 형상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긴장재에 의해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긴장재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는 인양용 걸림부재가 돌출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는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인양용 걸림부재의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심부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부재는 주두부 부재이고, 상기 하부 부재는 교각 부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블록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 부재로서, 상기 하부 부재에 대한 상기 상부 부재의 설치시 그 위치 확보를 위하여, 상기 상부 부재의 저면이 상기 가이드 블록 본체부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부재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 부재로서, 상기 가이드 블록의 가이드 부재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상부 가이드 부재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부재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 부재로서, 상기 가이드 블록의 긴장재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상부 긴장재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긴장재 관통공을 통해 상측으로 연장설치된 상기 긴장재를 정착하기 위한 상 부 긴장재 정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부재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벽체의 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상기 상부 긴장재 관통공이 형성된 박스형 본체부와; 상기 박스형 본체부의 내부에 상기 벽체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상기 상부 긴장재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긴장재 정착부는 상기 박스형 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긴장재는 상기 긴장재 관통공 및 상기 상부 긴장재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긴장재 정착부에 의해 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부재는 주두부 부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이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 부재로서, 상기 하부 부재의 상면에 상기 가이드 블록의 수평을 확보하기 위한 수평조절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부재를 제시한다.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상기 하부 부재의 상면에 삽입 설치된 너트부와; 두부가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면에 면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너트부에 장착되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이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 부재로서, 상기 가이드 블록의 가이드 부재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부재 삽입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부재 삽입공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단을 상측으로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부재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이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 부재로서, 상기 가이드 블록의 긴장재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하부 긴장재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긴장재 관통공을 통해 하측으로 연장설치된 상기 긴장재를 정착하기 위한 하부 긴장재 정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부재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부재는 심부에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한 작업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작업공간의 천정부에 상기 하부 긴장재 정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부재는 교각 부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된 상부 부재를 하부 부재의 상측에 설치하기 위한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에 있어서, 본체부의 상면이 상기 상부 부재의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블록을 제조하는 가이드 블록 제조단계와; 상기 하부 부재의 상면에 상기 가이드 블록을 설치하는 가이드 블록 설치단계와; 상기 상부 부재의 저면이 상기 가이드 블록 본체부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부재를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면에 설치하는 상부 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을 제시한다.
본 공법은 상기 하부 부재의 가이드 부재 삽입공에 가이드 부재를 삽입 설치하는 가이드 부재 설치단계와; 상기 가이드 블록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 관통공을 통해 상기 가이드 부재가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되는 상기 가이드 블록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블록 가이드단계와; 상기 상부 부재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가이드 부재 관통공을 통해 상기 가이드 부재가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되는 상기 상부 부재를 가이드하는 상부 부재 가이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공법은 상기 하부 부재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하부 긴장재 관통공, 상기 가이드 블록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긴장재 관통공 및 상기 상부 부재의 상부 긴장재 관통공을 통해 긴장재를 관통하여 설치하는 긴장재 설치단계와; 상기 긴장재의 상단을 상기 상부 부재에 형성된 상부 긴장재 정착부에 정착하고, 상기 긴장재의 하단을 상기 하부 부재에 형성된 하부 긴장재 정착부에 정착하는 긴장재 정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 부재는 교각 부재, 상기 상부 부재는 주두부 부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된 상부 부재(100)를 하부 부재(200)의 상측에 설치하기 위한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310)의 상면이 상기 상부 부재(100)의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블록(300)을 제조하는 가이드 블록 제조단계(도 2 참조)와; 하부 부재(200)의 상면에 가이드 블록(300)을 설치하는 가이드 블록 설치단계(도 3 내지 도 8 참조)와; 상부 부재(100)의 저면이 상기 가이드 블록(300) 본체부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부재(100)를 상기 가이드 블록(300)의 상면에 설치 하는 상부 부재 설치단계(도 9 및 도 10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된 상부 부재(100)를 곧바로 하부 부재(200)의 상면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하부 부재(200)의 상면에 별도로 제조된 가이드 블록(300)을 설치하고, 그 가이드 블록(300) 위에 비로소 상부 부재(10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가이드 블록(300)의 상면과 상부 부재(100)의 저면은 상호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상부 부재(100)를 가이드 블록(300)의 상면에 간단하게 얹어놓는 것만으로 정확한 설치작업이 마무리될 수 있다.
따라서 교량의 주두부 부재와 같이 상부 부재(100)가 엄청난 하중을 가지는 경우라도, 크레인(1)에 의해 인양하여 단시간 내에 정확한 위치 및 수평도를 갖도록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도 10 참조).
가이드 블록(300)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구조로서 하부 부재(200)의 상면에 설치되기만 하면 되는 것이므로, 하부 부재(200)의 상면에 거푸집 설치 후 현장 타설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프리 캐스트에 의해 미리 제조되어 크레인(1)에 의해 인양됨으로써 하부 부재(200)의 상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도 8 참조).
본 발명에 의한 설치공법은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된 상부 부재(100)를 별도로 시공된 하부 부재(200)의 상면에 설치하는 모든 공법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들 중 가장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교각(하부 부재)의 상면에 주두부(상부 부재)를 시공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가이드 블록(300)의 상면과 주두부 부재(100a)의 저면의 상호 대응구조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300)은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된 주두부 부재(100a)의 저면과 교각 부재(200a)의 상면 사이에 적층구조로서 설치되는 것으로서, 교각 부재(200a)에 대한 주두부 부재(100a)의 설치시 그 위치 확보를 위하여, 본체부(310)의 상면이 주두부 부재(100a)의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주두부 부재(100a)는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됨과 아울러, 가이드 블록(300)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두부 부재(100a)의 저면이 가이드 블록(300) 본체부(310)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대응구조는 다양한 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가이드 블록 본체부(310)의 상면이 돌부(311)와 홈부(312)를 구비한 요철구조로서 형성된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고, 도 9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주두부 부재(100a)의 저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주두부 부재(100a)가 보다 용이하게 가이드 블록(30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돌부(311)와 홈부(312)의 경계면에 경사부(313)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부(311)는 본체부(310)의 상면 어느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체부(310)가 사각형 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안착의 용이성 측면에서, 본체부(310)의 상면 중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에서는 돌부(311)가 가장자리부 중 심부에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가이드 부재(400)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은 상기 기본적인 시공단계에 더하여, 교각 부재(200a)의 가이드 부재 삽입공(420)에 가이드 부재(400)를 삽입 설치하는 가이드 부재 설치단계와; 가이드 블록(30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 관통공(430)을 통해 상기 가이드 부재(400)가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되는 가이드 블록(30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블록 가이드단계와; 주두부 부재(100a)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가이드 부재 관통공(410)을 통해 가이드 부재(400)가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되는 주두부 부재(100a)를 가이드하는 상부 부재 가이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 블록(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10)에 주두부 부재(100a)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400)가 설치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부재 관통공(430)이 형성될 것이 필요하다.
교각 부재(20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300)의 가이드 부재 관통공(4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부재 삽입공(420)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부재 삽입공(420)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400)의 하단을 상측으로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 지지부(421)가 형성될 것이 필요하다.
또한, 주두부 부재(100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300)의 가이드 부재 관통공(4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상부 가이드 부재 관통공(410)이 형성될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블록(300)의 상면과 주두부 부재(100a)의 저면 대응구조에 더하여, 가이드 부재 관통공(410, 430) 및 가이드 부재 삽입공(420)에 대한 가이드 부재(400)의 삽입 구조가 추가된 이중 가이드 구조가 형성되므로, 교각 부재(200a)에 대한 가이드 블록(300)의 설치 작업 및 가이드 블록(300)에 대한 주두부 부재(100a)의 설치 작업이 보다 용이하면서도 정밀해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이드 부재 관통공(410, 430) 및 가이드 부재 삽입공(420)은 상기 각 부재(100a,200a,300)의 중심부에 사각형 단면 형상에 의해 형성되고, 가이드 부재(400)는 이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각 부재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긴장재(500) 설치구조에 대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된 상부 부재와 그에 결합되는 하부 부재는 각각 별개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 의해 형성된 것이므로, 이들을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제시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은 상기 시공단계에 더하여, 교각 부재(200a)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하부 긴장재 관통공(520), 가이드 블록(30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긴장재 관통공(530) 및 주두부 부재(100a)의 상부 긴장재 관통공(510)을 통해 긴장재(500)를 관통하여 설치하는 긴장재 설치단계와; 긴장재(500)의 상단을 상기 주두부 부재(100a)에 형성된 상부 긴장재 정착부(511)에 정착하고, 긴장재(500)의 하단을 상기 교각 부 재(200a)에 형성된 하부 긴장재 정착부(521)에 정착하는 긴장재 정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 블록(300)은 주두부 부재(100a)와 교각 부재(200a)를 긴장재(500)에 의해 고정하기 위하여, 본체부(310)에 상하방향으로 긴장재 관통공(530)이 형성될 것이 필요하다.
주두부 부재(100a)는 가이드 블록(300)의 긴장재 관통공(5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상부 긴장재 관통공(510)이 형성되고, 상부 긴장재 관통공(510)을 통해 상측으로 연장설치된 긴장재(500)를 정착하기 위한 상부 긴장재 정착부(511)를 구비할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주두부 부재(100a)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박스형 구조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주두부 부재(100a)를 통과하는 긴장재(500)가 상기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보다 견고한 긴장재(500)의 정착을 얻기 위해서는 긴장재(500)가 주두부 부재(100a)의 벽체 심부를 관통하여 쉬스와 함께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그라우팅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두부 부재(100a)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벽체(111)의 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상부 긴장재 관통공(510)이 형성된 박스형 본체부(110)와; 그 박스형 본체부(110)의 내부에 벽체(111)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상부 긴장재 관통공(510)이 형성된 격벽(112)을;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부 긴장재 정착부(511)는 박스형 본체부(110)의 상면에 설치되 며, 긴장재(500)는 긴장재 관통공(530) 및 상부 긴장재 관통공(510)을 관통하여 상부 긴장재 정착부(511)에 의해 정착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재(500)의 정착구조를 위하여, 교각 부재(200a)는 가이드 블록(300)의 긴장재 관통공(5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하부 긴장재 관통공(520)이 형성되고, 그 하부 긴장재 관통공(520)을 통해 하측으로 연장설치된 긴장재(500)를 정착하기 위한 하부 긴장재 정착부(521)를 구비할 것이 필요하다.
교각 부재(200a)에 하부 긴장재 정착부(521)가 용이하게 형성되기 위해서는, 도 3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부에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한 작업공간(210)이 형성됨과 아울러, 작업공간(210)의 천정부(211)에 하부 긴장재 정착부(521)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가이드 블록(300)의 교각 부재(200a)에 대한 인양 및 설치 구조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 블록(300)이 교각 부재(200a)의 상면에서 현장 타설에 의해 설치되는 경우는 별론으로 하고,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1)에 의해 인양됨으로써 설치되는 경우에는, 인양 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10)의 측면에는 인양용 걸림부재(320)가 돌출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블록 본체부(310)가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됨을 활용하여, 인양용 걸림부재(320)의 본체부가 가이드 블록 본체부(310)의 심부에 매립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보 다 안전한 인양 작업을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량의 상판이 올바르게 시공되기 위해서는, 그 전제로서 주두부 부재(100a)가 정밀하게 시공할 것이 요구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를 위한 전제로서 가이드 블록(300)이 정밀한 위치, 수평도를 갖도록 시공될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주두부 부재(100a)가 단지 가이드 블록(300)의 상면에 얹혀지는 작업만으로, 주두부 부재(100a)의 위치, 수평도 확정 작업이 완료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장 타설에 의해 가이드 블록(30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거푸집 설치작업 등의 정밀한 시공이 요구되며,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된 가이드 블록(30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 부재(200a)의 상면에 가이드 블록(300)의 수평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수평조절장치(600)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조절장치(600)는 가이드 블록(300)의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며, 도 3 및 도 4에서는, 교각 부재(200a)의 상면에 삽입 설치된 너트부(610)와; 두부(621)가 가이드 블록(300)의 상면에 면접촉됨과 아울러, 너트부(610)에 장착되는 볼트부(62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프리 캐스트 부재를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하부 부재와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을 제시한다.

Claims (30)

  1.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된 상부 부재(100)의 저면과 하부 부재(200)의 상면 사이에 적층구조로서 설치되고,
    상기 하부 부재(200)에 대한 상기 상부 부재(100)의 설치시 그 위치 확보를 위하여, 본체부(310)의 상면이 상기 상부 부재(100)의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블록(3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10)의 상면은 돌부(311)와 홈부(312)를 구비한 요철구조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블록(3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311)와 홈부(312)의 경계면에는 경사부(3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블록(300).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10)는 사각형 단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돌부(311)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 중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블록(3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311)는 상기 가장자리부 중 심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블록(3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10)에는 상기 상부 부재(100)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400)가 설치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부재 관통공(4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블록(3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 관통공(430)은 상기 본체부(310)의 중심부에 사각형 단면 형상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블록(30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100)와 하부 부재(200)를 긴장재(500)에 의해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310)에는 상하방향으로 긴장재 관통공(5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블록(30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10)의 측면에는 인양용 걸림부재(320)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가이드 블록(3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10)는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인양용 걸림부재(320)의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310)의 심부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블록(30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100)는 주두부 부재(100a)이고, 상기 하부 부재(200)는 교각 부재(20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블록(300).
  12.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됨과 아울러,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이드 블록(300)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 부재(100)로서,
    상기 하부 부재(200)에 대한 상기 상부 부재(100)의 설치시 그 위치 확보를 위하여, 상기 상부 부재(100)의 저면이 상기 가이드 블록 본체부(310)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부재(100).
  13.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됨과 아울러, 제6항 또는 제7항의 가이드 블록(3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 부재(100)로서,
    상기 가이드 블록(300)의 가이드 부재 관통공(4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상부 가이드 부재 관통공(4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부재(100).
  14.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됨과 아울러, 제8항의 가이드 블록(3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 부재(100)로서,
    상기 가이드 블록(300)의 긴장재 관통공(5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상부 긴장재 관통공(51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긴장재 관통공(510)을 통해 상측으로 연장설치된 상기 긴장재(500)를 정착하기 위한 상부 긴장재 정착부(51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부재(100).
  15. 제14항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벽체(111)의 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상기 상부 긴장재 관통공(510)이 형성된 박스형 본체부(110)와;
    상기 박스형 본체부(110)의 내부에 상기 벽체(111)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상기 상부 긴장재 관통공(510)이 형성된 격벽(112)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긴장재 정착부(511)는 상기 박스형 본체부(1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긴장재(500)는 상기 긴장재 관통공(530) 및 상기 상부 긴장재 관통 공(51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긴장재 정착부(511)에 의해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부재(100).
  16. 제12항의 상부 부재(100)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두부 부재(100a).
  17. 제13항의 상부 부재(100)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두부 부재(100a).
  18. 제14항 또는 제15항의 상부 부재(100)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두부 부재(100a).
  19.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이드 블록(300)이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 부재(200)로서,
    상기 하부 부재(200)의 상면에 상기 가이드 블록(300)의 수평을 확보하기 위한 수평조절장치(6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부재(200).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장치(600)는
    상기 하부 부재(200)의 상면에 삽입 설치된 너트부(610)와;
    두부(621)가 상기 가이드 블록(300)의 상면에 면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너트부(610)에 장착되는 볼트부(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부재(200).
  21. 제6항 또는 제7항의 가이드 블록(300)이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 부재(200)로서,
    상기 가이드 블록(300)의 가이드 부재 관통공(4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부재 삽입공(420)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부재 삽입공(420)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400)의 하단을 상측으로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 지지부(4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부재(200).
  22. 제8항의 가이드 블록(300)이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 부재(200)로서,
    상기 가이드 블록(300)의 긴장재 관통공(5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하부 긴장재 관통공(52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긴장재 관통공(520)을 통해 하측으로 연장설치된 상기 긴장재(500)를 정착하기 위한 하부 긴장재 정착부(5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부재(200).
  23. 제22항에 있어서,
    심부에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한 작업공간(210)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작업공간(210)의 천정부(211)에 상기 하부 긴장재 정착부(5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부재(200).
  24. 제19항의 하부 부재(200)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부재(200a).
  25. 제21항의 하부 부재(200)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부재(200a).
  26. 제22항 또는 제23항의 하부 부재(200)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부재(200a).
  27. 프리 캐스트에 의해 제조된 상부 부재(100)를 하부 부재(200)의 상측에 설치하기 위한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에 있어서,
    본체부(310)의 상면이 상기 상부 부재(100)의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블록(300)을 제조하는 가이드 블록 제조단계와;
    상기 하부 부재(200)의 상면에 상기 가이드 블록(300)을 설치하는 가이드 블록 설치단계와;
    상기 상부 부재(100)의 저면이 상기 가이드 블록(300) 본체부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부재(100)를 상기 가이드 블록(300)의 상면에 설치하는 상부 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200)의 가이드 부재 삽입공(420)에 가이드 부재(400)를 삽입 설치하는 가이드 부재 설치단계와;
    상기 가이드 블록(30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 관통공(430)을 통해 상기 가이드 부재(400)가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되는 상기 가이드 블록(30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블록 가이드단계와;
    상기 상부 부재(10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가이드 부재 관통공(410)을 통해 상기 가이드 부재(400)가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되는 상기 상부 부재(100)를 가이드하는 상부 부재 가이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20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하부 긴장재 관통공(520), 상기 가이드 블록(30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긴장재 관통공(530) 및 상기 상부 부재(100)의 상부 긴장재 관통공(510)을 통해 긴장재(500)를 관통하여 설치하는 긴장재 설치단계와;
    상기 긴장재(500)의 상단을 상기 상부 부재(100)에 형성된 상부 긴장재 정착부(511)에 정착하고, 상기 긴장재(500)의 하단을 상기 하부 부재(200)에 형성된 하부 긴장재 정착부(521)에 정착하는 긴장재 정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하부 부재(200)는 교각 부재(200a)이고, 상기 상부 부재(100)는 주두부 부재(10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주두부 설치공법.
KR1020060034510A 2006-04-17 2006-04-17 가이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 KR100779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510A KR100779772B1 (ko) 2006-04-17 2006-04-17 가이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510A KR100779772B1 (ko) 2006-04-17 2006-04-17 가이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826A true KR20070102826A (ko) 2007-10-22
KR100779772B1 KR100779772B1 (ko) 2007-11-27

Family

ID=3881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510A KR100779772B1 (ko) 2006-04-17 2006-04-17 가이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7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427B1 (ko) * 2011-06-15 2011-09-27 청원엔지니어링(주) 교량의 코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17541A (ko) * 2017-08-11 2019-02-20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780B1 (ko) * 2018-05-11 2019-03-22 (주)유원산업 조립식 브라켓을 이용한 인도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3786B2 (ja) * 1992-10-08 2002-10-15 ケイコン株式会社 橋脚のプレハブ工法及び橋脚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0138212B1 (ko) * 1994-06-24 1998-05-15 김주용 잔향음 제거기능을 갖는 초음파 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KR200303271Y1 (ko) * 2002-10-24 2003-02-06 노윤근 피씨 강연선 조립체와 에이치빔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단위 교각블록
KR100563617B1 (ko) * 2003-05-16 2006-03-29 진성토건 주식회사 조립식 교각 구조물
KR100605302B1 (ko) * 2005-12-05 2006-07-28 (주)동림컨설턴트 조립식 교각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427B1 (ko) * 2011-06-15 2011-09-27 청원엔지니어링(주) 교량의 코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17541A (ko) * 2017-08-11 2019-02-20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772B1 (ko) 200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8359A (ko) 매입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철골기둥의 이음 방법
JP4499006B2 (ja) 免震装置の取付構造、その施工方法、および免震装置取付用ベースプレート
KR102312319B1 (ko) 자력 조립형 몰드패널
KR100779772B1 (ko) 가이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프리 캐스트 부재 설치공법
KR20130087137A (ko) 방음벽 기초
JP5458375B2 (ja) 免震基礎構造
JP5028323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KR10128748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방음벽 기초 구조물 설치 공법
JP5056534B2 (ja) 水勾配床の構造物据付け方法
KR101501521B1 (ko) 방음벽 지주의 프리캐스트 결합 구조물
JP2000345719A (ja) 既設耐力壁における透設開口部の補強工法
KR102126309B1 (ko) 항공기 구조 시험용 지지체를 포함한 강화 바닥 구조체 및 항공기 구조 시험용 지지체를 포함한 강화 바닥 구조체 시공방법
CN217000175U (zh) 一种箱体连接结构
CN214784104U (zh) 地基结构和建筑结构
KR102248981B1 (ko) 구조물 연결용 멀티강박스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91747B1 (ko) 지주 결합용 프리캐스트 구조물
JP2023006769A (ja) 位置確認治具、基礎施工治具及び基礎施工方法
JP2003020660A (ja) 構造地下室の構造及び施工方法
JP3792008B2 (ja) 基礎金物を用いた固定構造
KR200242422Y1 (ko) 조립식 티형 옹벽
JP2013227821A (ja) 鉄骨柱の建方方法
JP4747020B2 (ja) フェンス用支柱の支持構造
JP360945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構造
JP3143324B2 (ja) 基礎構造及び基礎の施工方法
GB2621731A (en) Anchor support tool and form set for foun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