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888A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888A
KR20070099888A KR1020060031218A KR20060031218A KR20070099888A KR 20070099888 A KR20070099888 A KR 20070099888A KR 1020060031218 A KR1020060031218 A KR 1020060031218A KR 20060031218 A KR20060031218 A KR 20060031218A KR 20070099888 A KR20070099888 A KR 20070099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mon node
data output
output sig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3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9888A/ko
Publication of KR20070099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6Current mirrors
    • G05F3/262Current mirror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1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MOS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ogic Circuit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는, 기준 전압과 데이터 입력 신호를 비교하여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를 공통 노드에 출력하는 제 1 차동 증폭 수단; 및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를 비교하여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를 상기 공통 노드에 출력하는 제 2 차동 증폭 수단;을 포함한다.
차동 증폭 회로,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동 증폭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동 증폭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동 증폭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차동 증폭부 200 : 제 1 차동 증폭부
300 : 제 2 차동 증폭부 210 : 제 1 스위칭부
230 : 제 1 신호 입력부 250 : 제 1 전류 미러부
310 : 제 2 스위칭부 330 : 제 2 신호 입력부
350 : 제 2 전류 미러부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공정, 전압 및 온도 변동에 따른 차동 증폭 회로의 출력 신호의 스큐(skew)를 줄일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는 입력되는 구동 신호(AMP_EN)에 응답하여 차동 증폭부(100)의 활성화를 결정하는 스위칭부(110), 기준 전압(VREF)과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를 입력 받는 신호 입력부(130) 및 외부 공급 전원(VDD)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 입력부(130)에 상기 외부 공급 전원(VDD)을 공급하는 전류 미러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부(110)는 소스 단이 접지 전원(VSS)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 신호(AMP_EN)를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는 제 1 엔모스(NMOS) 트랜지스터(N1), 상기 구동 신호(AMP_EN)를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외부 공급 전원(VDD)에 연결되며 드레인 단이 제 1 공통 노드(nodeA)에 연결되는 제 1 피모스(PMOS) 트랜지스터(P1) 및 상기 구동 신호(AMP_EN)를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외부 공급 전원(VDD)에 연결되며 드레인 단이 제 2 공통 노드(nodeB)에 연결되는 제 2 피모스 트랜지스터(P2)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 입력부(130)는 상기 기준 전압(VREF)을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N1)의 드레인 단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이 상기 제 1 공통 노드(nodeA)에 연결되는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N2) 및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를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N2)의 소스 단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이 상기 제 2 공통 노드(nodeB)에 연결되는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3)로 구성된다.
상기 전류 미러부(150)는 소스 단이 상기 외부 공급 전원(VDD)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 및 게이트 단이 상기 제 1 공통 노드(nodeA)에 연결되는 제 3 피모스 트랜지스터(P3) 및 소스 단이 상기 외부 공급 전원(VDD)과 연결되고 드레인 단이 상기 제 2 공통 노드(nodeB)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이 상기 제 3 피모스 트랜지스터(P3)의 게이트 단과 연결되는 제 4 피모스 트랜지스터(P4)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공통 노드(nodeB)에서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가 출력되고, 상기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는 상기 기준 전압(VREF) 및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를 비교하여 증폭된 신호이다.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 신호(AMP_EN)가 디스에이블(disable)인 경우에 상기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N1)는 턴-오프(turn-off) 되어 상기 차동 증폭부(100)가 동작되지 않고, 상기 제 1 피모스 트랜지스터(P1) 및 상기 제 2 피모스 트랜지스터(P2)는 턴-온(turn-on) 되어 상기 제 2 공통 노드(nodeB)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하이 레벨 로 디스에이블(disable) 시킨다.
상기 구동 신호(AMP_EN)가 인에이블(enable) 되면 상기 차동 증폭부(100)가 활성화 되고, 상기 기준 전압(VREF) 보다 높은 레벨의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가 입력되면 상기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3)의 드레인 단에서 소스 단으로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N2)의 드레인 단에서 소스 단으로 흐르는 전류보다 많기 때문에, 상기 제 2 공통 노드(nodeB)의 레벨은 상기 제 1 공통 노드(nodeA)의 레벨보다 낮아지고 상기 제 1 공통 노드(nodeA)의 전압 레벨을 게이트 단에서 입력으로 하는 상기 제 3 피모스 트랜지스터(P3)와 상기 제 4 피모스 트랜지스터(P4)는 턴-오프(turn-off) 되어 상기 제 2 공통 노드(nodeB)에서 로우 레벨의 상기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가 출력된다.
한편, 상기 기준 전압(VREF) 보다 낮은 레벨의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가 입력되면 상기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N2)의 드레인 단에서 소스 단으로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3)의 드레인 단에서 소스 단으로 흐르는 전류보다 많기 때문에 상기 제 1 공통 노드(nodeA)의 전압 레벨은 상기 제 2 공통 노드(nodeB)의 전압 레벨보다 낮아지고 상기 제 1 공통 노드(nodeA)의 전압 레벨을 게이트 단에서 입력으로 하는 상기 제 3 피모스 트랜지스터(P3)와 상기 제 4 피모스 트랜지스터(P4)는 턴-온(turn-on) 되어, 상기 외부 공급 전원(VDD)이 상기 제 2 공통 노드(nodeB)에 공급되므로 상기 제 2 공통 노드(nodeB)에서 하이 레벨의 상기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가 출력된다.
즉, 상기 신호 입력부(130)에 의해 상기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가 출력 되거나, 상기 전류 미러부(150)에 의해 상기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가 출력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동 증폭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는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가 입력되고 소정의 시간 후에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가 출력되도록 구성되지만, 상기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3)의 공정, 전압, 온도에 따른 환경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의 출력 시간이 정상적인 출력 시간의 tSKEW1 만큼의 스큐(skew)가 발생하게 된다. 시스템이 상기 스큐 시간(tSKEW1)을 보상할 여유를 가지지 않을 경우 시스템 내부 동작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3)의 채널 랭쓰(channel length)가 정상 타겟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3)를 통해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고, 상기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3)의 채널 랭쓰(channel length)가 정상 타겟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3)를 통해 적은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상기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가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와 같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큐(skew)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기준 전압과 데이터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1 차동 증폭 수단 에 피모스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2 차동 증폭 수단을 추가하여, 서로 상호 보완하게 함으로써 스큐(skew)를 줄일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는, 기준 전압과 데이터 입력 신호를 비교하여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를 공통 노드에 출력하는 제 1 차동 증폭 수단; 및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를 비교하여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를 상기 공통 노드에 출력하는 제 2 차동 증폭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차동 증폭 수단 및 상기 제 2 차동 증폭 수단이 동시에 활성화 되고, 같은 타이밍에 상기 제 1 차동 증폭 수단 및 상기 제 2 차동 증폭 수단에서 출력된 신호가 상기 공통 노드에 출력되어 상기 공통 노드에서 상기 데이터 출력 신호로 출력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는 구동 신호(AMP_EN)에 응답하여 활성화 되고, 기준 전압(VREF)과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를 비교하 여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DATA1_OUT)를 공통 노드에 출력하는 제 1 차동 증폭부(200) 및 상기 구동 신호(AMP_EN)에 응답하여 활성화 되고, 상기 기준 전압(VREF)과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를 비교하여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DATA2_OUT)를 상기 공통 노드에 출력하는 제 2 차동 증폭부(300)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동 증폭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상기 제 1 차동 증폭부(200)는 상기 구동 신호(AMP_EN)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제 1 차동 증폭부(200)의 활성화를 결정하는 제 1 스위칭부(210), 상기 기준 전압(VREF) 및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를 입력 받는 제 1 신호 입력부(230) 및 외부 공급 전원(VDD)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23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전류 미러부(250)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차동 증폭부(300)는 상기 구동 신호(AMP_EN)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제 2 차동 증폭부(300)의 활성화를 결정하는 제 2 스위칭부(310), 상기 기준 전압(VREF) 및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를 입력 받는 제 2 신호 입력부(330) 및 접지 전원(VSS)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33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전류 미러부(35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스위칭부(210) 및 상기 제 2 스위칭부(310)는 같은 타이밍에 인에이블 된다.
상기 제 1 스위칭부(210)는 상기 구동 신호(AMP_EN)를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접지 전원(VSS)과 연결되는 제 1 엔모스(NMOS) 트랜지스터(N41), 상기 구동 신호(AMP_EN)를 게이트 단에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외부 공급 전원(VDD)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이 제 1 공통 노드(node4A)에 연결되는 제 1 피모스(PMOS) 트랜지스터(P41) 및 상기 구동 신호(AMP_EN)를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외부 공급 전원(VDD)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이 제 2 공통 노드(node4B)에 연결되는 제 2 피모스 트랜지스터(P4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230)는 상기 기준 전압(VREF)을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N41)의 드레인 단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이 상기 제 1 공통 노드(node4A)에 연결되는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N42) 및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를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N42)의 소스 단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이 상기 제 2 공통 노드(node4B)에 연결되는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43)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전류 미러부(250)는 소스 단이 상기 외부 공급 전원(VDD)에 연결되며 드레인 단 및 게이트 단이 상기 제 1 공통 노드(node4A)에 공통 연결되는 제 3 피모스 트랜지스터(P43) 및 소스 단이 상기 외부 공급 전원(VDD)에 연결되고 드레인 단이 상기 제 2 공통 노드(node4B)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이 상기 제 3 피모스 트랜지스터(P43)의 게이트 단과 연결되는 제 4 피모스 트랜지스터(P44)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스위칭부(310)는 상기 구동 신호(AMP_EN)를 반전시키는 반전 수단(IV1) 및 상기 반전 수단(IV1)에서 출력된 신호(AMP_ENb)를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외부 공급 전원(VDD)과 연결되는 제 5 피모스 트랜지스터(P45)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330)는 상기 기준 전압(VREF)을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제 5 피모스 트랜지스터(P45)의 드레인 단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이 제 3 공통 노드(node4C)에 연결되는 제 6 피모스 트랜지스터(P46) 및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를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제 6 피모스 트랜지스터(P46)의 소스 단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이 제 4 공통 노드(node4D)에 연결되는 제 7 피모스 트랜지스터(P47)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전류 미러부(350)는 소스 단이 상기 접지 전원(VSS)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 및 게이트 단이 상기 제 3 공통 노드(node4C)에 연결되는 제 4 엔모스 트랜지스터(N44) 및 소스 단이 상기 접지 전원(VSS)과 연결되고 드레인 단이 상기 제 4 공통 노드(node4D)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이 상기 제 4 엔모스 트랜지스터(N44)의 게이트 단과 연결되는 제 5 엔모스 트랜지스터(N45)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230)에 구비되는 제 1 모스 트랜지스터(N42,N43) 및 상기 제 1 전류 미러부(250)에 구비되는 제 2 모스 트랜지스터(P43,P44)는 서로 다른 타입의 모스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330)에 구비되는 제 3 모스 트랜지스터(P46,P47) 및 상기 제 2 전류 미러부(350)에 구비되는 제 4 모스 트랜지스터(N44,N45)는 서로 다른 타입의 모스 트랜지스터이다.
또한,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230)에 구비되는 상기 제 1 모스 트랜지스터(N42,N43) 및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330)에 구비되는 상기 제 3 모스 트랜지스터(P46,P47)는 서로 다른 타입의 모스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제 1 전류 미러 부(250)에 구비되는 상기 제 2 모스 트랜지스터(P43,P44) 및 상기 제 2 전류 미러부(350)에 구비되는 상기 제 4 모스 트랜지스터(N44,N45)는 서로 다른 타입의 모스 트랜지스터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차동 증폭 회로는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230) 및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330)가 서로 다른 타입의 모스 트랜지스터로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를 입력 받게 되고, 상기 제 1 전류 미러부(250) 및 상기 제 2 전류 미러부(350)도 서로 다른 타입의 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대칭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DATA1_OUT) 및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DATA2_OUT)가 서로 보상하게 하여 상기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를 출력하게 된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차동 증폭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 신호(AMP_EN)가 활성화 되면 상기 제 1 차동 증폭부(200)와 상기 제 2 차동 증폭부(300)가 구동된다.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가 상기 기준 전압(VREF) 보다 높은 레벨일 때, 즉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가 하이 레벨일 경우, 상기 제 1 차동 증폭부(200)에서 상기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43)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N42)를 통해 흐르는 전류보다 많기 때문에, 상기 제 2 공통 노드(node4B)는 로우 레벨이 되어 상기 제 2 공통 노드(node4B)에서 로우 레벨의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DATA1_OUT)가 출력된다.
상기 제 2 차동 증폭부(300)는 상기 제 6 피모스 트랜지스터(P46)를 통해 흐 르는 전류가 상기 제 7 피모스 트랜지스터(P47)를 통해 흐르는 전류보다 많기 때문에 상기 외부 공급 전원(VDD)에 의해 상기 제 3 공통 노드(node4C)의 레벨이 높아지고, 상기 제 4 엔모스 트랜지스터(N44)와 상기 제 5 엔모스 트랜지스터(N45)가 턴-온(turn-on) 되어 상기 제 4 공통 노드(node4D)의 레벨은 낮아지게 된다. 즉 상기 제 4 공통 노드(node4D)에서 로우 레벨의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DATA2_OUT)가 출력된다.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DATA1_OUT)와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DATA2_OUT)가 제 5 공통 노드(node4E)에 동시에 출력되어, 상기 제 5 공통 노드(node4E)에서 상호 보완된 로우 레벨의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가 출력된다.
상기 설명에서,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DATA1_OUT)의 레벨이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230)에 구비되는 상기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43)에 의해 형성되므로,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DATA1_OUT)는 게이트 단에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를 입력 받아 직접 턴-온(turn-on) 및 턴-오프(turn-off) 되는 상기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43)의 공정 변동에 따라 큰 스큐 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DATA2_OUT)의 레벨이 상기 제 2 전류 미러부(350)에 구비되는 제 5 엔모스 트랜지스터(N45)에 의해 형성되므로,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DATA2_OUT)는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에 의해 직접적으로 출력되지 않고,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상기 제 2 전류 미러부(350)에 의해 간접적으로 출력되어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DATA1_OUT)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DATA2_OUT)가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 호(DATA1_OUT)를 보상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의 스큐(skew) 시간이 줄어 들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가 상기 기준 전압(VREF) 보다 낮은 레벨일 때, 즉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가 로우 레벨일 경우, 상기 제 1 차동 증폭부(200)에서 상기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N42)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42)를 통해 흐르는 전류 보다 많기 때문에 상기 제 1 공통 노드(node4A)의 레벨은 낮아져서 상기 제 3 피모스 트랜지스터(P43)와 상기 제 4 피모스 트랜지스터(P44)를 턴-온(turn-on) 시키므로 상기 외부 공급 전원(VDD)에 의해 상기 제 2 공통 노드(node4B)는 하이 레벨이 된다. 즉 상기 제 2 공통 노드(node4B)에서 하이 레벨의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DATA1_OUT)가 출력된다.
상기 제 2 차동 증폭부(300)는 상기 제 7 피모스 트랜지스터(P47)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 6 피모스 트랜지스터(P46)를 통해 흐르는 전류보다 많기 때문에 상기 외부 공급 전원(VDD)에 의해 상기 제 4 공통 노드(node4D)는 하이 레벨이 되어 상기 제 4 공통 노드(node4D)에서 하이 레벨의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DATA2_OUT)가 출력된다.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DATA1_OUT)와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DATA2_OUT)가 상기 제 5 공통 노드(node4E)에 동시에 출력되어, 상기 제 5 공통 노드(node4E)에서 상호 보완된 하이 레벨의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가 출력된다.
상기 설명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DATA2_OUT)의 레벨이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330)에 구비되는 상기 제 7 피모스 트랜지스터(P47)에 의해 형성되므로,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DATA2_OUT)는 게이트 단에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를 입력 받아 직접 턴-온(turn-on) 및 턴-오프(turn-off) 되는 상기 제 7 피모스 트랜지스터(P47)의 공정 변동에 따라 큰 스큐(skew) 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DATA1_OUT)의 레벨이 상기 제 1 전류 미러부(250)에 구비되는 제 4 피모스 트랜지스터(P44)에 의해 형성되므로,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DATA1_OUT)는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에 의해 직접적으로 출력되지 않고,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상기 제 1 전류 미러부(250)에 의해 간접적으로 출력되어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DATA2_OUT)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DATA1_OUT)가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DATA2_OUT)를 보상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의 스큐(skew) 시간이 줄어 들게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에 어떤 값이 입력 되더라도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DATA_IN)에 의해 직접 턴-온(turn-on) 되는 모스(MOS) 트랜지스터에 의한 출력 신호와 간접 턴-온(turn-on) 되는 모스(MOS) 트랜지스터에 의한 출력 신호가 상호 보상을 해줌으로써 스큐(skew)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43)의 채널 랭쓰(channel length)가 정상적일 때보다 길거나 짧은 경우에도, 상기 제 1 차동 증폭부(200)에서 출력 되는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DATA1_OUT) 및 상기 제 2 차동 증폭부(300)에서 출력되는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DATA2_OUT)가 상호 보상을 해줌으로써 스큐(skew)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동 증폭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의 스큐 시간(tSKEW2)이 종래의 차동 증폭 회로에서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 출력 신호(DATA_OUT)의 스큐 시간(tSKEW1)보다 작은 간격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공정, 전압 및 온도 변동에 따른 차동 증폭 회로의 스큐를 줄여 시스템의 내부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수반한다.

Claims (24)

  1. 기준 전압과 데이터 입력 신호를 비교하여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를 공통 노드에 출력하는 제 1 차동 증폭 수단; 및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를 비교하여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를 상기 공통 노드에 출력하는 제 2 차동 증폭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동 증폭 수단은,
    상기 기준 전압 및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1 신호 입력부 및 외부 공급 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전류 미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동 증폭 수단은,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차동 증폭 수단의 활성화를 결정하는 제 1 스위칭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동 증폭 수단은,
    상기 기준 전압 및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2 신호 입력부 및 접지 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전류 미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동 증폭 수단은,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차동 증폭 수단의 활성화를 결정하는 제 2 스위칭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의 레벨이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를 통해 형성 될 때,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의 레벨이 상기 제 2 전류 미러부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의 레벨이 상기 제 1 전류 미러부를 통해 형성 될 때,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의 레벨이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를 통해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 및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를 동일 타이밍에 상기 공통 노드에 출력시켜, 상기 공통 노드에서 데이터 출력 신호를 출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는,
    상기 기준 전압을 게이트 단에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접지 전원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이 제 1 공통 노드에 연결되는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를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이 제 2 공통 노드에 연결되는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미러부는,
    소스 단이 상기 외부 공급 전원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 및 게이트 단이 상기 제 1 공통 노드에 연결되는 제 1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소스 단이 상기 외부 공급 전원과 연결되고 드레인 단이 상기 제 2 공통 노드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이 상기 제 1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과 연결되는 제 2 피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통 노드에서 상기 제 1 데이터 출력 신호를 상기 공통 노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는,
    상기 기준 전압을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외부 공급 전원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이 제 1 공통 노드에 연결되는 제 1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데이터 입력 신호를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제 1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이 제 2 공통 노드에 연결되는 제 2 피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류 미러부는,
    소스 단이 상기 접지 전원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 및 게이트 단이 상기 제 1 공통 노드에 연결되는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소스 단이 상기 접지 전원과 연 결되고 드레인 단이 상기 제 2 공통 노드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이 상기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과 연결되는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통 노드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신호를 상기 공통 노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15. 제 11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노드에서 데이터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는,
    상기 구동 신호를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접지 전원과 연결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신호를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외부 공급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구동 신호를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외부 공급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피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1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부는,
    상기 구동 신호를 반전시키는 반전 수단 및 상기 반전 수단에서 출력된 신호를 게이트 단에서 입력 받고 소스 단이 상기 외부 공급 전원과 연결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입력부는 복수개의 제 1 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신호 입력부는 복수개의 제 2 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모스 트랜지스터는 서로 다른 타입의 모스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미러부는 복수개의 제 3 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전류 미러부는 복수개의 제 4 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모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4 모스 트랜지스터는 서로 다른 타입의 모스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4 모스 트랜지스터는 같은 타입의 모스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모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3 모스 트랜지스터는 같은 타입의 모스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4 모스 트랜지스터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3 모스 트랜지스터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KR1020060031218A 2006-04-06 2006-04-06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KR200700998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218A KR20070099888A (ko) 2006-04-06 2006-04-06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218A KR20070099888A (ko) 2006-04-06 2006-04-06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888A true KR20070099888A (ko) 2007-10-10

Family

ID=3880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218A KR20070099888A (ko) 2006-04-06 2006-04-06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98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2355B2 (en) 2014-12-05 2017-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ffer circuit robust to variation of reference voltage signal
KR20190130833A (ko) * 2018-05-15 2019-11-2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증폭기, 이를 이용하는 수신 회로,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2355B2 (en) 2014-12-05 2017-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ffer circuit robust to variation of reference voltage signal
KR20190130833A (ko) * 2018-05-15 2019-11-2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증폭기, 이를 이용하는 수신 회로,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531B1 (ko) 저전압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멀티모드 출력 구성을 가지는 셀프-바이어싱 차동 시그널링 회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47328B1 (ko) 동작 범위가 넓은 차동 증폭기
KR940018864A (ko) 반도체 장치
JP2007208316A (ja) 出力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190763B1 (ko) 차동 증폭기
JP4920398B2 (ja) 電圧発生回路
JP2006287837A (ja) 半導体装置
JP4465283B2 (ja) 差動増幅回路
KR2000006162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상보형 차동 입력 버퍼
KR100500928B1 (ko) 스위칭포인트 감지회로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US20070024367A1 (en) Operational amplifier and constant-current generation circuit using the same
KR20070099888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 회로
US6337582B1 (en) Buffer circuit
US7573755B2 (en) Data amplifying circuit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20150116099A (ko) 신호 전달회로 및 그의 동작방법
JP2007097131A (ja) 差動増幅装置
JP2011061289A (ja) 入力バッファ回路
CN110838316B (zh) 芯片外驱动器
JP2009284026A (ja) 出力バッファ回路および集積回路
KR100744028B1 (ko) 차동증폭장치
KR10076638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증폭 회로
US7015731B2 (en) CMOS output buffer circuit
KR102214629B1 (ko) 오프 칩 드라이버
KR100780769B1 (ko) 듀얼 패스 레벨 시프터회로
KR20070115054A (ko) 반도체 메모리의 차동 증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