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537A - 카이트식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카이트식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537A
KR20070099537A KR1020077007956A KR20077007956A KR20070099537A KR 20070099537 A KR20070099537 A KR 20070099537A KR 1020077007956 A KR1020077007956 A KR 1020077007956A KR 20077007956 A KR20077007956 A KR 20077007956A KR 20070099537 A KR20070099537 A KR 20070099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rope
power transmission
kite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브라게
Original Assignee
스카이세일즈 게엠베하 앤 컴퍼니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이세일즈 게엠베하 앤 컴퍼니 케이지 filed Critical 스카이세일즈 게엠베하 앤 컴퍼니 케이지
Publication of KR2007009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6Types of sail; Constructional features of sail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9/069Kite-sails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9Wind propelled vessels comprising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ther than wind propulsion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uch as sails, running rigging, or the like, and other than sailboards or the like or related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ind Motors (AREA)
  • Toy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Ropes Or Cables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 Jib Cran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박은 견인 케이블(1)에 의하여 상기 선박에 연결되는 카이트식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선박은 카이트식 부재(23)가 조절 기구는 구비하고, 상기 조절 기구는 상기 선박(21)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고, 상기 에너지는 견인 케이블(1)에 또는 카이트식 부재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블, 밧줄, 카이트, 견인, 배, 에너지, 동력 전달

Description

카이트식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WATER CRAFT COMPRISING A KITE-TYPE ELEMENT}
본 발명은 밧줄에 의하여 선박에 연결되는 카이트식 부재를 가지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이미 공지된 선박(WO 01/192102 A1)에서, 카이트식 부재가 복수의 밧줄에 의하여 선박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카이트식 부재는 바람에 의하여 선박을 추진하는데 사용되며, 이러한 추진 시스템은 바람에 의하여만 작동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추진 시스템은 연료를 절약하거나 또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기계적인 추진 시스템을 보조하기 위하여만 바람을 사용한다. 카이트식 부재는 복수의 밧줄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밧줄은 카이트식 부재를 회수하거나 또는 전개시키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끌어당기고 풀어야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복수의 밧줄은 뒤얽히게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공지된 문헌에는, 하나의 밧줄만이 제공되고 상기 밧줄에 의하여 상기한 문제점이 방지되는, 서두에 설명된 타입의 카이트식 부재를 가지는 선박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박은 카이트식 부재가 더 이상 직접 제어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이트식 부재가 정교하게 제어될 수 있는, 서두에 설명된 타입의 카이트식 부재를 가지는 선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밧줄 내에 또는 밧줄에 전달되는 동력을 선박으로부터 공급받는 조절 기구를 구비하는 카이트식 부재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조절 기구가 제공되고, 상기 조절 기구에 의하여 카이트식 부재의 돛(sail)의 형상, 경사 각도, 개발 밸브, 리핑 프로세스(reefing process) 등이 변경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프로세스가 카이트식 부재 등에 제공된 센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데, 선박으로부터 무선에 의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카이트식 부재에 신호를 전송하는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조절 기구에 동력 공급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동력 공급은 선박으로부터 밧줄 내에 또는 밧줄에 정확하게 제공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선박과 카이트식 부재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 장치가 밧줄에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밧줄은 선박과 카이트식 부재를 연결하는 장력-저항 동력 전달 장치의 형태로 되어 있다.
동력 전달 장치는 전기 케이블일 수 있다. 이 경우, 전기 케이블은 특히 탄소 섬유 케이블일 수 있다. 따라서 전체 밧줄이 탄소 섬유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밧줄에서, 밧줄 브레이드(braids)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케이스에 의하여만 함께 지지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기 브레이드는 상기 브레이드 중 반쪽은 다른 반쪽과 격리되어 있도록 전기적으로 2개로 분리될 수 있어, 탄소 섬유 케이블이 전류의 순방향 경로 및 역방향 경로에 사용될 수 있고, 어떠한 추가의 도체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전류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브레이드는 장력을 적어도 일부 흡수할 수도 있다. 외부에서, 케이블은 케이스에 의하여 절연된다.
전기 케이블이 밧줄의 형태로 되어 있다면, 충분한 인장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당한 보강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전력은 카이트식 부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동력 전달 장치를 통하여 선박으로부터 카이트식 부재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전기 케이블은 선박으로부터 카이트식 부재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무선에 의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동력 전달 장치는 가요성 튜브(flexible tube)이다. 또한 유체는 상기 동력 전달 장치를 통하여 카이트식 부재에 전달될 수 있어, 적당한 작동 부재에 작용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력 전달 장치는 광 도파관(optical waveguide), 특히 유리 섬유(glass fiber)이다. 또한 빛은 상기 동력 전달 장치를 통하여 전달될 수도 있고, 카이트식 부재 내의 적당한 트랜스듀스(transducers)에 의하여 전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동력 전달 장치와 밧줄이 하나의 부재를 형성하도록 일체로 결합되면, 이렇게 일체로 결합된 부재는 보다 적은 공기역학적 드래그(drag)를 발생시킨다. 윈치(winch)의 취급이, 복수의 별개의 기다한 부재가 감기거나 또는 풀리도록 된 것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일체로 결합된 부재는 밧줄/동력 전달 장치의 무게를 더욱 가볍게 한다.
동력 전달 장치와 케이블이 대략 어느 정도까지는 팽창될 수 있어야 하고 이러한 팽창이 작동 온도 범위를 따라 일정해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가요성 튜브가 사용되면, 상기 가요성 튜브는 적재될 때, 또는 감기는 도중에, 케이블에 의하여 윈치에 트랩(trap)되지 않아야 한다.
밧줄과 동일한 정도로 정밀하게 팽창될 수 있는 동력 전달 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동력 전달 장치는 밧줄에 대하여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것은 동력 전달 장치가 밧줄 내에 배치된다면, 슬라이딩 층(sliding layer)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장치가 밧줄과 대략 동일한 정도로 팽창될 수 있다면, 밧줄과 동력 전달 장치는 서로 접착될 수 있다.
가요성 튜브가 사용되면, 이 경우 가요성 튜브의 내부 압력이 킨킹(kinking) 또는 핀칭(pinching)을 방지하기 때문에, 상기 가요성 튜브는 상승된 압력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지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동력 전달 장치와 밧줄은 격리되지만, 브래킷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동력 전달 장치가 밧줄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면, 동력 전달 장치와 밧줄은 상이한 팽창 특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동일한 팽창 특성을 가지는 동력 전달 장치와 밧줄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면, 보다 양호한 재질 최적화가 가능하다. 또한, 유지 보수가 보다 양호하게 실행될 수 있다. 공기 역학이 불충분하면, 원치의 취급이 곤란하고, 무게가 더욱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부착을 위한 브래킷의 사용에 대한 대안으로서, 브래킷이 밧줄 상의 슬라이딩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고정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스플라이싱(splicing), 케이블과 동력 전달 장치 사이의 벨크로 스트립(Velcro strip), 고정된 클립 또는 덮개(sheathing)(마모-저항 외피)에 의하여 부착이 가능하다. 밧줄에서 동력 전달 장치 사이의 간극이 커지면 커질수록, 공기역학 드래그가 커진다.
밧줄과 동력 전달 장치가 별개의 부재이면, 2개의 부재가 특정 범위 내에서 서로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동력 전달 장치가 밧줄에 대하여 이동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지만, 그 반대는 바람직하지 않다.
분리되어 있는 밧줄과 동력 전달 장치가 사용되면, 당김줄 드럼(warping drums)은 2개의 다른 반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밧줄과 동력 전달 장치는 동일한 당김줄 드럼 상에 평행하게 감길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장 하중이 동력 전달 장치를 통하여 인가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동력 전달 장치가 밧줄보다 큰 범위로 팽창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전체 시스템은 극한 하중/작동 하중(working load), 최소 팽창, 최소 드래그, 최소 질량 및 최대 동력 전달 성능에 최적화되어야 한다.
동력 전달 장치가 동력 전달용 적당한 접촉 부재에 의하여 선박 및 카이트식 부재에 연결되어야 하는 것이 자명하다.
가요성 튜브가 사용되면, 압축 공기, 특히 건조된 및/또는 가열-압축된 공기가 동력 전달 유체로서 특히 바람직한데, 이것은 그렇지 않으면, 가요성 튜브 내의 습기가 결빙될 수 있는데, 이것은 밧줄의 무게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가요성 튜브가 막히게 될 위험을 발생시켜, 어떠한 압축 공기도 전달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동력 전달 유체로서 압축 공기보다 오히려, 가연성 가스, 특히 수소 또는 메탄이 사용된다. 또한 연료가 카이트식 부재에 이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탄이 카이트식 부재 내에 또는 상기 카이트식 부재에 부착되는 포드 내의 연료 전지(fuel cell) 또는 내부 연소 기관을 작동시킬 수 있다. 고밀도 유체, 즉 특히 액체는, 가요성 튜브 내의 대응하는 유체 또는 액체 컬럼이 매우 무겁기 때문에, 동력 전달 매체로서 사용하기에 적당하지 않다.
윈치는 선박에 밧줄 및/또는 동력 전달 장치를 위하여 바람직하게 제공되고, 상기 밧줄 및/또는 동력 전달 장치의 정렬을 위하여, 당김줄 드럼의 앞쪽에 위치하는 가이드면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하나의 케이블 스토어를 갖는 2개, 3개 이상의 당김줄 드럼이 바람직하게 제공되며, 따라서 밧줄, 및 상기 밧줄/동력 전달 장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어셈블 리가 당김줄 드럼의 벽에 마찰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2개 또는 3개의 당김줄 드럼을 사용하고, 당김줄 드럼 사이에서 밧줄/동력 전달 장치가 후방으로 및 전방으로 이동될 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450°의 루핑 각도(looping angle)가 얻어질 수 있는데, 이 각도는 인장 하중을 흡수하기에 충분하다.
안전 이유(예를 들면, 트랜스미션 파손의 경우에) 때문에, 각각의 당김줄 드럼은 그 자체의 비상 브레이크를 바람직하게 가지고 있는데, 상기 비상 브레이크는 바람직하게 스트랩 브레이크(strap brake)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조절가능한 디스크 브레이크가 정상적인 브레이크 작동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케이블 스토어는 당김줄 드럼의 뒤쪽에 배치될 수 있고, 드럼의 형태로 될 수 있는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구동되고 제동된다.
밧줄과 동력 전달 장치가 서로 나란히 배치되면, 밧줄과 동력 전달 장치가 그 단면에 대응되는 각각의 그루브(grooves) 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열 당김줄 드럼 프로파일(double-start drum profile)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각각의 당김줄 드럼용 비상 브레이크 및 2열 당김줄 드럼 프로파일을 갖고, 케이블 드럼을 갖는 2개, 3개 이상의 당김줄 드럼을 구비하고, 가이드면 및 가이드 플레이트를 갖는 윈치를 구비하는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밧줄이 동력 전달 장치를 가지고도 있고, 및/또는 동력 전달 장치에 연결되는, 상기에 설명된 실시예에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윈치의 상기 특정한 장점은 어떠한 동력 전달도 없이, 단지 밧줄만이 제공되는 실시예에도 존재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장치의 보호는 원치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지만, 어떠한 동력 전달 장치도 없이 밧줄만이 제공되는 실시예에도 적용되도록 명백히 의도된다.
카이트식 부재를 위한 동력 공급이 조절을 위하여만 사용될 수 없다. 실제로, 제어 목적을 위하여, 그리고 센서 등을 위하여 작동 전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기 동력이 전달되거나, 또는 다른 동력 공급에 따라 카이트식 부재에 생성될 수 있다. 충전식 배터리가, 전기 에너지의 저장을 위하여 카이트식 부재에, 또는 포드에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특히(그러나 배타적이지 않음), 전기 케이블이 동력 전달 장치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낙뢰 발생 또는 정전기 영향으로 발생되는 과전압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낙뢰 보호 장치 및/또는 정전기 충전 및 방전에 대한 보호 장치가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그러나 낙뢰 보호 장치 및/또는 정전기 충전 및 방전에 대한 보호 장치는, 동력 전달 장치가 제공되는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실용적인 모델의 보호 장치는, 상기와 같은 낙뢰 보호 장치 및/또는 정전기 충전 및 방전에 대한 보호 장치가 밧줄이 동력 전달 장치 없이 사용되는 실시예에 제공된 경우에도 적용하도록 명백히 의도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다음 상세한 설명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3은 통합된 동력 전달 장치를 구비한 3개의 다른 밧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당김줄 드럼을 갖는 윈치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다른 당김줄 드럼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7은 3개의 당김줄 드럼 및 케이블 스토어를 갖는 케이블 가이드를 도시한다.
도 8-도 10은 시브에 의하여 밧줄/동력 전달 장치가 카이트식 부재에 연결되는 플랜지를 도시한다.
도 11은 선박 및 카이트식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포드의 과전압 보호 장치(A)의 상세도이다.
도 13은 선박의 과전압 보호 장치(B)의 상세도이다.
도 1은 동력 전달 장치가 중앙에 배치되고 절연층(3)에 의하여 밧줄의 본체(1)와 분리되는 밧줄(1)[또는 그 장력-저항 섬유 구조체(tension-resistant fiber structure)]을 도시한다. 동력 전달 장치(power transmission element)(2)는 가요성 튜브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층(3)은 가요성 튜브 벽이다. 그러나, 상기 부재(2)는 2개의 반원형 도체가 다른 절연층에 의하여 분리되고 절연층(3)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케이블일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밧줄의 본체(1) 및 동력 전달 장치(2)는 공통의 외피(common envelopes)(4)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도 4는 트랜스미션(transmission)(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2개의 당김줄 드럼(5, 6)을 갖는 윈치를 도시한다. 이 경우, 당김줄 드럼(5)은 모터(8)에 연결되고, 당김줄 드럼(6)은 브레이크(9)에 연결된다. 또한 2개의 당김줄 드럼(5, 6)은 특히, 벨트 브레이크(strap brake) 형태의, 비상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전원 공급부가 11로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당김줄 드럼(12)은 밧줄/동력 전달 장치를 지지하는 일열 프 로파일(single-start profile)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일열 프로파일은 일체화된 형태로 도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당김줄 드럼(13)은 2열 프로파일(double-start profile)을 가지고 있고, 밧줄은 프로파일 그루브(grroves) 중 하나에 지지되고, 동력 전달 장치는 프로파일 그루브 중 다른 그루브에 지지된다.
도 7은 3개의 당김줄 드럼(14, 15, 16) 및 케이블 스토어(cable store)(17)을 갖는 구조를 도시하며, 상기 3개의 당김줄 드럼(14, 15, 16) 및 케이블 스토어(17)에 의하여 상기 ??줄(1) 및 동력 전달 장치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밧줄(1) 및 동력 전달 장치(2)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카이트식 부재에 연결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다양한 가능한 방식을 나타내기 위한 시브(sheaves)(18)를 도시한다.
도 11은 밧줄(1)을 지지하는 윈치(5)를 가지고 있는 선박(21)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밧줄은 카이트식 부재(23)의 컨트롤 포드(control pod)(22)에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 포드(22)는 밧줄(24)을 바람 조건 및 궤도 조건에 따라 카이트식 부재(23)에 적응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케이블(2)용 2개의 도체를 갖는 밧줄(1)의 확대도가 원(25) 내에 도시된다. 컨트롤 포드(22)는 이와 같이 낙뢰 보호 장치 및 정전기 방전에 대한 보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케이블 인슐레이터(cable insulators)(26)에 의하여 밧줄(24)에 연결된다. 대응하는 케이블 인슐레이터가 상기 컨트롤 포드(22)와 상기 밧줄 사이에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낙뢰 또는 과전압 보호 장치는 상기 케이블 인슐레이터(26)에 한정 되지 않는다. 실제로, 또한 도 12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전기 회로(A)가 컨트롤 포드(22)에 제공된다. 케이블(2)의 2개의 도체는 "+" 및 "-"로 극처리되고, 전압-종속형 저항기(voltage-dependent resistor)(27)가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되며, 그 저항은 전압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된다. 참조 부호 28, 29는 서지 피뢰기(surge arrestor)를 지칭한다. 이 경우, 서지 피뢰기(surge arrestor)가 정격 작동 전압에서 인슐레이터로 작동하는 부재이지만, 비교적 높은 전압이 발생될 때, 전압을 방전시키거나 또는 누전시킨다. 이 경우, 상기 서지 피뢰기는 중심 전극 및 벽 전극을 갖는 튜브로서, 또는 2개의 플레이트를 갖는 편평한 커패시터 부재로서, 커패시터(capacitor)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전극 또는 플레이트는, 상기 부재가 정격 작동 전압에서 인슐레이터로서 작동하기에 충분한, 근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작동 전압이 비교적 높으면, 전류는 2개의 전극 또는 플레이트 사이에 흐르며, 따라서 과전압을 방전시킨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압이 높아질수록, 저항기(27)의 저항이 작아지고, 설치된 전극을 위험하게 않으면서, 서지 피뢰기(28, 29)를 통하여 방전될 수 있는 전류의 양이 크게 된다. 또한 과전압(서지 피뢰기로부터 지면으로의 잔류 전압)의 방전은 참조부호 30으로 도시된다.
회로(B)가 선박에 배치된다. 이 경우, 참조부호 31은 선박 제너레이터로부터의 공급 라인이고, 참조부호 32는 케이블 벽(5)을 위한 공급 회로의 퓨즈(fuse)이다. 참조부호 33은 과전압 보호 장치(34)를 위한 퓨즈이다. 참조부호 35는 지면, 즉 선체 또는 물이고, 참조부호 36은 윈치(5)까지의 공급 라인이다.
본 발명은 밧줄에 의하여 선박에 연결되는 카이트식 부재를 가지는 선박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3)

  1. 밧줄(1)에 의하여 선박에 연결되는 카이트식 부재(kite-like element)를 가지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카이트식 부재(23)는 조절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 기구는 상기 밧줄(1) 내에 또는 상기 밧줄(1) 상에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선박(21)으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21)과 상기 카이트식 부재(23)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 장치(power transmission element)(2)가 상기 밧줄(1)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밧줄(1)은 상기 선박(21)과 상기 카이트식 부재(23)를 연결하는 장력-저항(tension-resistant) 동력 전달 장치(2)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2)는 전극 케이블, 특히 탄소 섬유(carbon-fiber)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2)는 가요성 튜브(flexible tub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2)는 광 도파관(optical waveguide), 특히 유리 섬유(glass fi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7. 제2항, 제4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2)는 상기 밧줄(1)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캐비티(cavity)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2)는 슬라이드될 수 있고 상기 캐비티 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2)는 상기 밧줄(1)에 접착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0. 제2항, 제4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2)는 이동될 수 있도록 브래킷(brackets)에 의하여 상기 밧줄(1)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1. 제5항에 있어서,
    압축 공기, 특히 건조한 및/또는 가열된 압축 공기가 상기 카이트식 부재(23)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2. 제5항에 있어서,
    가연성 가스, 특히 수소 또는 메탄이 상기 카이트식 부재(23)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신호 전송용으로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상기 밧줄(1) 및 상기 동력 전달 장치(2)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윈치(5, 6, 12-16)를 가지고 있고,
    상기 윈치(5, 6, 12-16)는 상기 밧줄(1) 및 상기 동력 전달 장치(2) 중 적어 도 하나를 정렬하고 당김줄 드럼((warping drum))의 앞쪽에 위치하는 가이드 면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5. 제14항에 있어서,
    케이블 스토어(cable store)(17)를 가지는 복수의 당김줄 드럼(14-1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당김줄 드럼(5, 6)은 그 자체의 비상 브레이크(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밧줄(1) 및 상기 동력 전달 장치(2)가 서로 나란히 배치될 때 2열 당김줄 드럼 프로파일(double-start drum profile)(13)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낙뢰 보호 장치 및/또는 정전기 충전 및 방전에 대한 보호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9. 밧줄(1)에 의하여 선박(21)에 연결되는 카이트식 부재를 갖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낙뢰 보호 장치 및/또는 정전기 충전 및 방전에 대한 보호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0. 밧줄(1)에 의하여 선박(21)에 연결되는 카이트식 부재를 갖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상기 밧줄(1)을 위한 윈치(5, 6, 12-16)를 가지고 있고,
    상기 윈치(5, 6, 12-16)는 상기 밧줄(1)을 정렬하고 당김줄 드럼의 앞쪽에 위치하는 가이드 면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1. 제20항에 있어서,
    케이블 스토어(17)를 가지는 복수의 당김줄 드럼(14-1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당김줄 드럼(5, 6)은 그 자체의 비상 브레이크(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열 당김줄 드럼 프로파일(13)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077007956A 2004-09-06 2005-09-05 카이트식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KR200700995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4013841U DE202004013841U1 (de) 2004-09-06 2004-09-06 Wasserfahrzeug mit einem drachenartigen Element
DE202004013841.7 2004-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537A true KR20070099537A (ko) 2007-10-09

Family

ID=3538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956A KR20070099537A (ko) 2004-09-06 2005-09-05 카이트식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080115716A1 (ko)
EP (1) EP1799541B1 (ko)
JP (1) JP4694570B2 (ko)
KR (1) KR20070099537A (ko)
CN (2) CN1933934A (ko)
AT (1) ATE466764T1 (ko)
AU (1) AU2005281906B2 (ko)
CY (1) CY1110715T1 (ko)
DE (2) DE202004013841U1 (ko)
DK (1) DK1799541T3 (ko)
HK (1) HK1107315A1 (ko)
NO (1) NO20071009L (ko)
NZ (1) NZ553598A (ko)
RU (1) RU2374127C2 (ko)
WO (1) WO20060271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8838A1 (de) 2004-04-19 2005-11-03 Skysails Gmbh Positionierungsvorrichtung für ein frei ausfliegendes drachenartiges Windangriffselement bei einem Wasserfahrzeug mit Windantrieb
DE202006005389U1 (de) 2006-03-31 2007-08-02 Skysails Gmbh & Co. Kg Windenergieanlage mit steuerbarem Drachen
NZ572215A (en) * 2006-05-10 2010-07-30 Kite Gen Res Srl System and proces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flight of power wing airfoils
DE502006006875D1 (de) 2006-08-15 2010-06-10 Skysails Gmbh & Co Kg Start- und bergevorrichtung für ein aerodynamisches profilelement und aerodynamisches profilelement
EP2066554B1 (en) * 2006-09-14 2011-12-07 Skysails GmbH Steering unit for free flying, confined wing element
US20120267591A1 (en) * 2011-04-20 2012-10-25 Lonnie Mark Bond Calibrated mechanical winch and method of manufacture
US9452916B2 (en) 2011-04-20 2016-09-27 Zantho Tools Llc Electrically non-conductive calibrated mechanical winch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10032251A2 (en) * 2008-09-19 2010-03-25 Shilat Imaging Ltd Aerial observation system
JP2013535612A (ja) * 2010-08-05 2013-09-12 クロスウィンド パワ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テザー繋留翼による風力エネルギーの捕捉方法および捕捉システム
US9800091B2 (en) * 2011-06-09 2017-10-24 Lasermotive, Inc. Aerial platform powered via an optical transmission element
DE202011102743U1 (de) * 2011-07-04 2012-11-15 Skysails Gmbh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gefesselten Flugelements
CN104379443A (zh) * 2012-05-03 2015-02-25 天帆有限责任公司 气动风能转换装置及控制该装置的方法
WO2015091610A1 (en) * 2013-12-19 2015-06-25 Solvay Sa Flux for brazing of aluminum alloys
CN106275309A (zh) * 2014-03-10 2017-01-04 罗琮贵 中段施力船舶避碰方法
CN104816107B (zh) * 2015-06-03 2017-09-12 江西合纵锂业科技有限公司 中温型防腐蚀氟铝酸盐钎剂及其制备方法
DE102015111224A1 (de) 2015-07-10 2017-01-12 Skysails Gmbh Start- und Bergevorrichtung für ein gefesseltes Windkraftelement
CN107723491B (zh) * 2017-09-28 2019-07-12 北京九鼎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ic装备专用铸造铝合金的变质剂及变质处理方法
CN108250801B (zh) * 2018-01-26 2020-08-07 西安文理学院 一种釉上彩用彩料及其制备方法
CN111390427B (zh) * 2020-04-21 2021-08-06 烟台市固光焊接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高性能的钎焊用胶黏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3344A (en) * 1943-05-29 1947-12-30 Rca Corp Aeronautic positioning device
US3180090A (en) * 1961-06-09 1965-04-27 Western Gear Corp Control for automatic tensioning of hydraulic winch
DE2544939C3 (de) * 1975-10-07 1979-10-18 Ralf 8000 Muenchen Sebald Stromerzeuger für Segelschiffe
DE8011226U1 (de) * 1980-04-24 1980-07-17 Felten & Guilleaume Carlswerk Ag, 5000 Koeln Freileitungsseil mit in seinem Inneren angeordneten Lichtleitfasern
GB2098950A (en) * 1981-05-21 1982-12-01 British Petroleum Co Plc Launching tethered sails for marine or other uses
GB2098952A (en) * 1982-05-20 1982-12-01 British Petroleum Co Plc Controlling a tethered sail for marine or other uses
US4497272A (en) * 1982-06-01 1985-02-05 Veazey Sidney E Mastless sails
JPS60261792A (ja) * 1984-06-09 1985-12-25 Nippon Kokan Kk <Nkk> 水中曳航装置
DE3510282A1 (de) * 1985-03-21 1986-10-02 Peter 8114 Uffing Bechmann Spillwinde
DE3518131A1 (de) * 1985-05-21 1986-11-27 Dieko 8720 Schweinfurt Bruins Fahrzeugantrieb mit schwebesegel
DE3817073A1 (de) * 1987-06-10 1988-12-29 Rolf Rietzscher Blitzschutzeinrichtung fuer ein schiff
JPH02283596A (ja) * 1989-04-21 1990-11-21 Yamaha Motor Co Ltd ボーティンググライダー
JP3023895B2 (ja) * 1991-02-06 2000-03-2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オートセーリング装置
US5546695A (en) * 1993-07-13 1996-08-20 Langer; Alexander G. Fishing line and reel
GB2294666B (en) * 1994-11-01 1998-01-07 Mission Yachts Plc Sail boats
US5642683A (en) * 1996-04-26 1997-07-01 Bedford; Norman Parachute-type sail for boats
DE29811094U1 (de) * 1998-06-20 1998-10-08 Beuermann Herbert Windkraftwerk
FR2781195A1 (fr) * 1998-07-15 2000-01-21 Michel Paul Rene Hugot Mecanisme de commande des ailes de traction
US6254034B1 (en) * 1999-09-20 2001-07-03 Howard G. Carpenter Tethered aircraft system for gathering energy from wind
AU2001267326A1 (en) * 2000-05-31 2001-12-11 Stephan Wrage Wind-propelled watercraft
US6523781B2 (en) * 2000-08-30 2003-02-25 Gary Dean Ragner Axial-mode linear wind-turbine
US6520678B2 (en) * 2001-03-27 2003-02-18 Spicer Driveshaft, Inc. Vehicle center bearing assembly including piezo-based device for vibration damping
FR2822802B1 (fr) * 2001-03-29 2004-05-14 Maurice Grenier Embarcation nautique tractee par une voilure cerf-volant
US6616402B2 (en) * 2001-06-14 2003-09-09 Douglas Spriggs Selsam Serpentine wind turbine
US6708638B2 (en) * 2001-06-18 2004-03-23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ning protection
DE10150185A1 (de) * 2001-10-12 2003-04-30 Wolfgang Althaus Windenergieanlage
WO2003097448A1 (de) * 2002-05-16 2003-11-27 Stephan Wrage Wasserfahrzeug mit windantri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81906B2 (en) 2011-06-16
ATE466764T1 (de) 2010-05-15
DE202004013841U1 (de) 2006-01-19
CN1933934A (zh) 2007-03-21
AU2005281906A1 (en) 2006-03-16
DK1799541T3 (da) 2010-08-23
CY1110715T1 (el) 2015-06-10
DE502005009537D1 (de) 2010-06-17
CN100542885C (zh) 2009-09-23
NZ553598A (en) 2009-12-24
RU2007112779A (ru) 2008-10-20
US20080115716A1 (en) 2008-05-22
RU2374127C2 (ru) 2009-11-27
EP1799541B1 (de) 2010-05-05
JP4694570B2 (ja) 2011-06-08
CN101090846A (zh) 2007-12-19
HK1107315A1 (en) 2008-04-03
WO2006027194A1 (de) 2006-03-16
EP1799541A1 (de) 2007-06-27
JP2008512290A (ja) 2008-04-24
NO20071009L (no)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9537A (ko) 카이트식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US8056490B2 (en) Watercraft having a kite-like element
EP2321174B1 (en) Tether handling for airborne electricity generators
US8770129B2 (en) Dual mode fiber optic cable system for underwater remotely operated vehicle
US10533537B2 (en) Airborne wind turbine tether termination systems
US20110180667A1 (en) Tether energy supply system
JP5948335B2 (ja) アンカーデータ通信システム
CN109217181B (zh) 适用于水位落差船舶岸电系统供电电缆敷设的方法
CN109398674B (zh) 串联式系留浮空器及其发放方法
JP5466896B2 (ja) 陸上電源給電用ケーブルリール
CN213011357U (zh) 一种放缆机构及光电系留缆自动收放装置
JP7074733B2 (ja) 船舶
EP4104264A1 (en) Hybrid installation apparatus and processes
US5855179A (en) Mid ships tow point for single line and multi line towed arrays
JP2024502657A (ja) 直列追加エアロフォイル発射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026

Effective date: 2013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