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734A -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734A
KR20070095734A KR1020060031975A KR20060031975A KR20070095734A KR 20070095734 A KR20070095734 A KR 20070095734A KR 1020060031975 A KR1020060031975 A KR 1020060031975A KR 20060031975 A KR20060031975 A KR 20060031975A KR 20070095734 A KR20070095734 A KR 20070095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foundation bolt
ceiling
suppor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1242B1 (ko
Inventor
김권희
Original Assignee
김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권희 filed Critical 김권희
Priority to KR102006003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242B1/ko
Priority to CN2007800211068A priority patent/CN101466904B/zh
Priority to PCT/KR2007/000491 priority patent/WO2007117077A1/en
Publication of KR20070095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83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having a lower side adapted to be connected to a channel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에 돌출되어 있는 지지물에 각종 대상물을 설치하기 위한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구조물에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지지물과; 지지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측판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측판의 일단이 연결판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제1 및 제2 측판에 제1 및 제2 작동구멍이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부와, 클램프부의 하부에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홀딩부를 갖는 행거와; 제1 및 제2 작동구멍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1 측판의 외면에 걸리도록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물이 클램핑부에 고정되도록 지지물에 조임력을 부여하는 제1 위치와 지지물에 대한 조임력을 해제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운동하는 클램프와; 제2 작동구멍을 통하여 제2 측판의 외면에 돌출되어 있는 클램프의 타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손잡이가 제1 측판에 지지되는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물에 돌출되어 있는 기초볼트 등의 지지물에 각종 대상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매달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적은 인력으로 작업이 가능해져 시공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지지물에 행거를 설치하기 위한 자체 결합 구조에 의하여 작업자가 최적의 방법으로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FIXTURE FOR FIXING OBJECTS ON THE CEILING}
도 1은 종래기술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서 클램프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서 클램프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서 클램프가 제3 위치와 제4 위치 사이를 운동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구성을 분리 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서 클램프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서 클램프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서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서 클램프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서 클램프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구조물 4: 대상물
110: 지지물 112, 212, 312: 기초볼트
120, 220, 320: 행거 122, 222, 322: 클램프부
124, 224, 324: 공간 126, 226, 326: 제1 측판
128, 228, 328: 제2 측판 130, 230, 330: 연결판
138, 238, 338: 홀딩부 140, 240, 340: 개방단부
146: 스냅록 150, 250, 350: 클램프
152, 225, 325: 몸통부 154, 354: 홈
156, 256, 356: 손잡이 160, 260: 위치규제기구
162: 제1 스토퍼 164: 제1 걸림턱
166: 제2 걸림턱 170: 제2 스토퍼
172: 제1 위치결정구멍 174: 제2 위치결정구멍
180, 280, 380: 스프링 254: 편심캠부
본 발명은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에 돌출되어 있는 지지물에 각종 대상물을 간편하게 매달아 설치할 수 있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천장에 그 위로 접근할 수 있는 빈 공간을 두고, 공간에 파이프, 와이어, 케이블, 덕트 등을 설치한 후, 패널(Panel) 등의 마감재로 마감하는 액세스 실링(Access ceiling)이 시설되고 있다. 액세스 실링의 시설을 위하여 구조물에 각종 형강, 빔(Beam), 캐링채널(Carrying channel), 파이프, 와이어, 케이블 등의 다양한 대상물을 매달아 설치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와 형태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 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의 일례로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의 천장을 구성하는 구조물(2)에 기초볼트(Foundation bolt: 10)가 고정되어 있다. 기초볼트(10)는 복수개가 구조물(2)에 간격을 두고 정렬되어 있으며, 기초볼트(10)에는 제1 너트(12)와 제2 너트(14)의 체결에 의하여 행거(Hanger: 20)가 장착되어 있다. 행거(20)의 상부에 기초볼트(10)가 끼워지는 구멍(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U"자형 홀딩부(Holding portion: 24)가 개방단부(26)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행거(20)의 홀딩부(24)에 개방단부(26)를 통하여 대상물(4)의 일례로 형강(6)의 일부분이 수용되어 있고, 홀딩부(24)의 상부에는 개방단부(26)를 차단하여 형강(6)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핀(Pin: 30)이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는, 먼저 작업자가 기초볼트(10)에 제1 너트(12)를 체결하고, 기초볼트(10)에 행거(20)의 구멍(22)을 끼워 결합한 후, 기초볼트(10)에 제2 너트(14)를 체결하여 제1 및 제2 너트(12, 14) 사이에 행거(20)의 상부를 개재시켜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작업자는 행거(20)의 홀딩부(24)에 핀(30)을 결합한 후, 핀(30)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핀(30)의 일단을 펜치(Pincers), 니퍼(Nipper)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절곡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너트(12, 14)는 기초볼트(10)와 행거(20)에 작용하는 진동에 의하여 쉽게 풀리는 단점을 보유하고 있다. 제2 너트(14)가 기초볼트(10)로부터 풀리면, 제2 너트(14)의 풀림에 따라 기초볼트(10)에 장착되어 있는 행거(20)가 하강된다. 형강(6)의 양단을 두개의 행거(20)에 의하여 지탱시킨 경우, 제2 너트(14)의 풀림으로 인하여 행거(20)가 하강되면서 형강(6)이 평형을 잃게 되고, 심한 경우 행거(20)가 기초볼트(10)로부터 이탈되어 형강(6)이 낙하되는 안전사고의 발생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구조물(2)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기초볼트(10)의 길이가 액세스 실링의 설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기초볼트(10)의 선단 일부분을 절단하고 있다. 기초볼트(10)의 절단면에는 버(Burr)가 발생되며, 절단면의 버에 의해서는 기초볼트(10)에 제1 및 제2 너트(12, 14)를 체결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작업자는 절단면의 버를 연삭기, 줄 등의 연삭에 의하여 제거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초볼트(10)의 나사산에 흠집이 발생될 경우에도 제1 및 제2 너트(12, 14)를 체결할 수 없어 작업에 많은 지장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건물의 천장에 행거(2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 비계(Scaffold), 리프터(Lifter) 등에 올라서서 렌치(Wrench)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너트(12, 14)의 체결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이때, 작업자는 신속한 작업을 위하여 제1 및 제2 너트(12, 14), 행거(20)와 렌치 등을 다량으로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작업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한 손으로 제1 및 제2 너트(12, 14)나 행거(20)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렌치를 잡고 제1 및 제2 너트(12, 14)를 체결해야 하므로, 높은 곳에 올라서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자세와 행동이 큰 제약을 받게 되어 작업성이 낮고, 작업자의 불안한 자세와 행동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에 돌출되어 있는 지지물에 각종 대상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매달아 설치할 수 있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행거가 클램프의 조임력에 의하여 견고하게 장착되어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물의 절단, 흠집의 발생 등에도 지지물에 행거의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물에 행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가 불필요한 자체 결합 구조에 의하여 높은 곳에 올라서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안전한 자세와 행동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으로 작업할 수 있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구조물에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지지물과; 지지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측판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측판의 일단이 연결판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제1 및 제2 측판에 제1 및 제2 작동구멍이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부와, 클램프부의 하부에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홀딩부를 갖는 행거와; 제1 및 제2 작동구멍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1 측판의 외면에 걸리도록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측판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지지물이 클램핑부에 고정되도록 지지물에 조임력을 부여하는 제1 위치와 지지물에 대한 조임력을 해제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운동하는 클램프와; 제2 작동구멍을 통하여 제2 측판의 외면에 돌출되어 있는 클램프의 타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손잡이가 제1 측판에 지지되는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 의해서는 건물의 천장, 기둥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물(2)에 각종 형강, 빔, 캐링채널, 파이프, 와이어, 케이블 등의 대상물(4)을 매달아 설치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는 구조물(2)에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다양한 지지물(110)을 구비한다. 지지물(110)은 구조물(2)의 일례로 일례로 건물의 천장에 돌출되어 있는 기초볼트(112)로 구성되 어 있으며, 기초볼트(112)는 복수개가 구조물(2)에 간격을 두고 정렬되도록 있다. 지지물(110)은 기초볼트(112) 대신에 스터드 볼트(Stud bolt), 스터드 핀(Stud pin), 서포트 바(Support bar), 구조물(2)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보스, 돌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모두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는 기초볼트(112)에 장착되어 있는 행거(120)를 구비한다. 행거(120)는 금속판이 프레스 가공되어 제작되거나 다이캐스팅(Die casting)에 의하여 제작된다. 행거(120)의 상부에 "C"자형 클램프부(Clamping portion: 122)가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부(122)는 기초볼트(112)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124)을 형성하도록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제1 측판(126)과 제2 측판(128)을 가지며, 제1 및 제2 측판(126, 128)의 일단은 연결판(1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측판(126, 128) 각각의 중앙에 제1 작동구멍(132)과 제2 작동구멍(134)이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판(130)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판(130)의 내면에는 기초볼트(112)와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136)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부(122)의 하부에 대상물(4), 예를 들어 형강(6)의 일부분을 끼워 수용할 수 있도록 "U"자형 홀딩부(138)가 형성되어 있다. 홀딩부(138)는 상부에 개방단부(140)를 가지며, 홀딩부(138)의 내면 중앙에는 강도의 보강을 위한 비드(Bead: 142)가 형성되어 있다. 홀딩부(138)의 외면에 눈금(144)이 수직하게 새겨져 있다.
또한, 홀딩부(138)의 타단에 형강(6)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방단 부(140)를 차단하는 탄성력을 갖는 스냅록(Snap lock: 14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홀딩부(138)의 개방단부(140)에 형강(6)을 끼우면, 형강(6)과 접촉하는 스냅록(146)은 탄성변형되면서 도 4에 화살표 "A" 방향으로 벌어져 형강(6)의 진입을 원활하게 허용한다. 형강(6)이 홀딩부(138)에 완전히 끼워지면, 형강(6)과 스냅록(146)은 접촉되지 않게 되며, 스냅록(146)은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어 개방단부(140)를 좁게 한다. 홀딩부(138)는 상부에 개방단부(140)를 갖는 "U"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개방단부(14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C"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는 클램프부(122)의 공간(124)에 끼워져 있는 기초볼트(112)가 고정되도록 기초볼트(112)에 조임력을 부여하는 클램프(150)를 구비한다. 클램프(150)의 몸통부(152)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작동구멍(132, 134)에 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클램프(150)의 몸통부(152)는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 사이를 회전운동함과 동시에 제3 위치(P3)와 제4 위치(P4) 사이를 직선운동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150)의 몸통부(152)는 제1 위치(P1)에서 클램프부(122)의 내면에 대하여 기초볼트(112)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클램프부(122)의 내면과 몸통부(152) 사이의 간격은 기초볼트(11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몸통부(152)의 외면에 제2 위치(P2)에서 기초볼트(112)를 수용할 수 있는 홈(154)이 형성되어 있고, 홈(154)은 반원형으로 형성되 어 있다. 기초볼트(112)가 홈(154)에 수용되면 몸통부(152)의 가압에 의한 조임력은 해제된다. 몸통부(152)의 일단에 작업자의 조작을 위한 손잡이(1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156)는 제1 측판(126)의 외면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작동구멍(134)을 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몸통부(152)의 타단에는 플랜지(Flange: 158)가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150)의 운동은 위치규제기구(160)의 작동에 의하여 규제된다. 위치규제기구(160)는 몸통부(152)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스토퍼(Stopper: 162)와, 제1 작동구멍(132)의 내면에 제1 스토퍼(162)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에 제1 스토퍼(162)가 걸려 구속되는 제1 걸림턱(164)과 제2 걸림턱(166)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168)을 갖는다. 제1 및 제2 걸림턱(164, 166)은 90ㅀ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떨어져 있다. 도 5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150)의 몸통부(152)가 기초볼트(112)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1 위치(P1)에서 제1 스토퍼(162)는 제1 걸림턱(164)에 걸려 구속된다. 도 4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150)의 홈(154)에 기초볼트(112)가 수용되어 조임력을 해제하는 제2 위치(P2)에서 제1 스토퍼(162)는 제2 걸림턱(166)에 걸려 구속된다.
위치규제기구(160)는 손잡이(156)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스토퍼(170)와, 제1 측판(126)에 제1 작동구멍(132)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스토퍼(170)가 끼워져 구속되는 제1 위치결정구멍(172)과 제2 위치결정구멍(174)을 갖는다. 제1 및 제2 위치결정구멍(172, 174)은 90ㅀ의 각도를 유지하도 록 떨어져 있다. 도 5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150)의 몸통부(152)가 기초볼트(112)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1 위치(P1)에서 제2 스토퍼(170)는 제1 위치결정구멍(172)에 끼워져 구속된다. 도 4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150)의 홈(154)에 기초볼트(112)가 수용되어 조임력을 해제하는 제2 위치(P2)에서 제2 스토퍼(170)는 제2 위치결정구멍(174)에 끼워져 구속된다. 위치규제기구(160)의 제2 스토퍼(170)는 제3 위치(P3)에서 제1 및 제2 위치결정구멍(172, 174)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며 제4 위치(P4)에서는 제1 및 제2 위치결정구멍(172, 174) 각각으로부터 빠져나와 클램프(150)의 회전을 허용한다.
도 2, 도 3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는 클램프(150)의 손잡이(156)가 도 8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측판(126)으로부터 이격되는 제4 위치(P4)에서 도 8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측판(126)에 지지되는 제3 위치(P3)로 편향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80)을 구비한다. 스프링(180)은 제2 측판(128)의 제2 작동구멍(134)을 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몸통부(152)의 타단에 장착되어 있고, 스프링(180)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180)의 일단은 제2 측판(128)의 외면에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은 플랜지(158)에 지지되어 몸통부(152)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어 있다. 플랜지(158)는 몸통부(152)의 타단에 결합되어 스프링(18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Snap ring), 분할핀(Split pi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스프링(180)은 제2 측판(128)과 몸통부(152)의 타단에 그 양단이 걸려 있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위치규제기구(160)의 제2 스토퍼(170)가 제2 위치결정구멍(174)에 끼워져 있으면, 클램프(150)는 제2 위치(P2)에 위치되고, 몸통부(152)의 홈(154)은 행거(120)의 연결판(130)과 대향되어 있게 된다. 작업자는 구조물(2)에 고정되어 있는 기초볼트(10)를 연결판(130)과 홈(154) 사이의 공간(124)에 끼운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클램프(150)의 손잡이(156)를 도 8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잡아당겨 제3 위치(P3)로부터 제4 위치(P4)로 클램프(150)를 작동시킨다. 클램프(150)가 도 8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4 위치(P4)에 위치되면, 위치규제기구(160)의 제2 스토퍼(174)는 제2 위치결정구멍(174)을 빠져나오게 되고, 제2 측판(128)과 플랜지(158) 사이의 스프링(180)은 압축된다.
도 5,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손잡이(156)를 조작하여 클램프(150)를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로 회전시키면, 제1 및 제2 작동구멍(132, 134)에 끼워져 회전되는 몸통부(152)는 기초볼트(112)의 외면을 가압한다. 가압되는 기초볼트(112)는 연결판(130)에 밀착되면서 암나사(136)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클램프(150)의 회전에 의하여 위치규제기구(160)의 제1 스토퍼(162)는 제2 걸림턱(166)으로부터 이격되어 안내홈(168)을 따라 이동하다가 제1 걸림턱(164)에 걸려 구속된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제1 스토퍼(162)가 제1 걸림턱(164)에 걸려있는 상태에 서 손잡이(156)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80)이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고, 클램프(150)가 제4 위치(P4)에서 제3 위치(P3)로 복귀된다. 제2 스토퍼(170)는 제1 위치결정구멍(172)에 끼워져 구속되고, 기초볼트(112)에 대한 행거(120)의 설치가 완료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기초볼트(112)에 행거(120)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행거(120)가 클램프(150)의 조임력에 의하여 기초볼트(112)에 견고하게 장착되므로, 기초볼트(112)의 절단, 흠집의 발생 등에도 기초볼트(112)에 행거(120)의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기초볼트(112)에 행거(120)를 장착할 때 클램프부(122)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기초볼트(122)의 선단을 눈금(114)에 맞춰 행거(120)를 원하는 높이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2,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행거(1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홀딩부(138)의 개방단부(140)에 형강(6)을 끼운다. 형강(6)과 접촉하는 스냅록(146)은 탄성변형되면서 도 4에 화살표 "A" 방향으로 벌어져 형강(6)의 진입을 원활하게 허용한다. 형강(6)이 홀딩부(138)에 완전히 끼워지면, 형강(6)과 스냅록(146)은 접촉되지 않게 되며, 스냅록(146)은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어 개방단부(140)를 좁게 한다. 따라서, 형강(6)은 스냅록(146)에 걸려 개방단부(140)를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조물(2)에 돌출되어 있는 기초볼트(110)에 행거(120)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적은 인력으로 작업이 가능해져 시공비를 낮출 수 있다. 형강(6)의 양단을 두개의 행거(120)에 의하여 지탱시킨 경우, 행거(120)가 클램프(150)의 조임력에 의하여 기초볼트(112)에 견고하게 장착되므로, 행거(120)의 분리와 형강(6)의 낙하 등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램프(150)의 작동에 의하여 기초볼트(110)에 행거(12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자체 결합 구조에 의하여 별도의 공구가 불필요하고, 높은 곳에 올라서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안전한 자세와 행동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으로 작업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도 5와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클램프(150)를 제3 위치(P3)로부터 제4 위치(P4)로 작동시키면, 제2 스토퍼(170)가 제1 위치결정구멍(172)으로부터 빠져나와 클램프(150)의 회전을 허용한다. 작업자가 클램프(150)를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로 회전시키면, 클램프(150)의 회전에 의하여 위치규제기구(160)의 제1 스토퍼(162)는 제1 걸림턱(164)으로부터 이격되어 안내홈(168)을 따라 이동하다가 제1 걸림턱(164)에 걸려 구속된다. 그리고, 클램프(150)의 홈(154)이 연결판(130)과 대향되면서 클램프(150)에 부여하였던 조임력을 해제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기초볼트(112)로부터 행거(120)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는 제1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기초볼트(112), 행거(120), 위치규제기구(160), 스프링(18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는 기초볼트(212), 행거(220), 위치 규제기구(260), 스프링(280)을 구비한다. 제2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기초볼트(212), 행거(220), 위치규제기구(260), 스프링(280)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은 제1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기초볼트(112), 행거(120), 위치규제기구(160), 스프링(180)을 참고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는 클램프부(222)의 공간(224)에 끼워져 있는 기초볼트(212)가 고정되도록 기초볼트(212)에 조임력을 부여하는 클램프(250)를 구비한다. 클램프(250)의 몸통부(252)는 제1 및 제2 측판(226, 228)의 제1 및 제2 작동구멍(232, 234)에 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클램프(250)는 제1 및 제2 작동구멍(232, 234)에서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 사이를 회전운동함과 동시에 직선운동한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250)의 몸통부(252)에는 제1 위치(P1)에서 클램프부(222)의 내면에 대하여 기초볼트(212)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편심캠부(Eccentric cam portion: 25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위치(P2)에서 클램프부(222)의 내면과 몸통부(252) 사이의 간격은 기초볼트(212)에 부여되는 조임력을 해제할 수 있도록 기초볼트(2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252)의 일단에 작업자의 조작을 위한 손잡이(2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256)는 제1 측판(226)의 외면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측판(228)의 제2 작동구멍(234)을 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몸통부(252)의 타단에는 스프링(280)을 지지하는 플랜지(25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2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클램프(250)가 제2 위치(P2)에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조물(2)에 고정되어 있는 기초볼트(212)를 연결판(230)과 몸통부(252) 사이의 공간(224)에 끼우고,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로 클램프(250)를 회전시킨다.
또한, 제1 위치(P1)에서 클램프(250)의 편심캠부(254)는 연결판(230)의 내면에 기초볼트(212)를 가압하며, 가압되는 기초볼트(212)는 연결판(230)에 밀착되면서 암나사(236)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는 클램프(250)에 의하여 제1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와 마찬가지로 기초볼트(212)에 행거(220)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는 기초볼트(312), 행거(320), 클램프(350)와 스프링(38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행거(320)의 "C"자형 클램프부(322)는 기초볼트(312)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324)을 형성하도록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제1 측판(326)과 제2 측판(328)을 가지며, 제1 및 제2 측판(326, 328)의 일단은 연결판(3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측판(326, 328) 각각의 중앙에 사각형의 제1 작동구멍(332)과 원형의 제2 작동구멍(334)이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프부(322)의 하부에 형강(6)의 일부분을 끼워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단부(340)를 갖는 "U"자형 홀딩부(3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행거(320)의 제1 및 제2 작동구멍(332, 334)에 클램프(350)의 몸통 부(352)가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 사이를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몸통부(352)는 사각형의 제1 작동구멍(332)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끼워지는 사각축부(352a)와, 이 사각축부(352a)에 연장되어 있으며 원형의 제2 작동구멍(334)에 끼워지는 원통축부(352b)를 갖는다. 클램프(350)의 사각축부(352a)는 제1 위치(P1)에서 클램프부(322)의 내면에 대하여 기초볼트(312)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클램프부(322)의 내면과 사각축부(352a) 사이의 간격은 기초볼트(31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각축부(352a)의 일측면에는 제1 위치(P1)에서 기초볼트(312)에 체결되는 나사산(352c)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축부(352b)의 외면에 제2 위치(P2)에서 기초볼트(312)를 수용할 수 있는 홈(354)이 형성되어 있고, 홈(354)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352)의 양단에 손잡이(356)와 플랜지(358)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356)는 제1 측판(326)의 외면에 지지되어 있다. 도 16과 도 17에 손잡이(356)는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손잡이(356)는 작업자가 간편하게 잡을 수 있는 형상으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는 제2 작동구멍(334)을 통하여 제2 측판(128)의 외면에 돌출되어 있는 몸통부(352)의 타단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380)을 구비한다. 스프링(380)의 일단은 제2 측판(328)에 지지되어 있고 타단은 플랜지(358)에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380)은 손잡이(356)가 제1 측판(326)에 지지되는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3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한 다.
도 16을 참조하면, 클램프(350)의 제1 위치(P1)에서 손잡이(356)는 제1 측판(326)의 외면에 지지되어 있고, 연결판(330)의 내면과 몸통부(352) 사이의 간격은 기초볼트(312)의 외경보다 작게 유지되어 기초볼트(312)를 끼울 수 없다.
작업자는 제2 측판(328)의 제2 작동구멍(334)을 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클램프(350)의 플랜지(358)를 밀어 도 17의 화살표 "C"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클램프(150)를 작동시킨다. 클램프(350)가 제2 위치(P2)에 위치되면, 몸통부(352)의 홈(354)은 연결판(330)과 대향되며, 스프링(380)은 압축되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구조물(2)에 고정되어 있는 기초볼트(110)를 연결판(230)과 홈(254) 사이의 공간(224)에 끼운다. 작업자가 클램프(350)의 플랜지(358)를 밀어주던 힘을 제거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380)이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고, 클램프(350)가 제2 위치(P2)에서 제1 위치(P1)로 복귀된다. 클램프(350)가 제2 위치(P2)에서 제1 위치(P1)로 운동되어 복귀되는 과정에서, 원호형 홈(354)에 수용되어 있던 기초볼트(312)의 외면 일부분은 홈(354)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350)의 손잡이(356)가 제1 측판(326)에 지지되면, 클램프(350)는 정지된다. 클램프(350)가 제1 위치(P1)에 위치되면, 몸통부(352)의 사각축부(352a)는 기초볼트(312)의 외면을 가압하며, 나사산(352c)에는 기초볼트(312)가 체결된다. 몸통부(352)의 사각축부(352a)에 의하여 가압되는 기초볼트(312)는 연결판(330)에 밀착되면서 암나사(336)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고, 기초볼트(312)에 대한 행거(320)의 설치가 완료된다. 마지막으로, 행거(3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홀딩부(338)의 개방단부(340)에 형강(6)을 끼워 설치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기초볼트(312)에 행거(320)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프(350)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하여 기초볼트(312)에 행거(320)을 설치할 수 있는 제3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 적용되어 있는 위치결정기구(160, 260)가 삭제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제조비가 절감된다.
한편,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클램프(350)를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작동시키면, 클램프(350)의 홈(354)이 제1 및 제2 측판(326, 328) 사이의 공간(324)에 위치되고, 기초볼트(312)가 홈(354)에 수용되면서 클램프(350)에 부여되었던 조임력이 해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기초볼트(312)로부터 행거(320)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에 의하면, 건물의 천장 등과 같은 구조물에 돌출되어 있는 기초볼트 등의 지지물에 각종 대상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매달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적은 인력으로 작업이 가능해져 시공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행거가 클램프의 조임력에 의하여 견고하게 장착되어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지물의 절단, 흠집의 발생 등에도 지지물에 행거의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물에 행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가 불필요한 자체 결합 구조에 의하여 높은 곳에 올라서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안전한 자세와 행동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으로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구조물에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지지물과;
    상기 지지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측판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의 일단이 연결판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에 제1 및 제2 작동구멍이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부와, 상기 클램프부의 하부에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홀딩부를 갖는 행거와;
    상기 제1 및 제2 작동구멍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측판의 외면에 걸리도록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지지물이 상기 클램핑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물에 조임력을 부여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지지물에 대한 조임력을 해제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운동하는 클램프와;
    상기 제2 작동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2 측판의 외면에 돌출되어 있는 상기 클램프의 타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1 측판에 지지되는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은 기초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판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판의 내면에 상기 기초볼트와 체결될 수 있는 암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의 말단에 상기 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스냅록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지지물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는 원형 단면의 몸통부를 가지며, 상기 몸통부의 외면 일측에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지지물에 부여되는 조임력을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물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1 측판의 외면에 지지되는 제3 위치와 상기 제1 측판으로부터 이격되는 제4 위치 사이를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작동구멍에 끼워져 있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위치 각각에서 상기 행거에 대한 상기 클램프의 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는 위치규제수단을 더 구비하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규제수단은,
    상기 제1 작동구멍에 끼워져 있는 상기 클램프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스토퍼와;
    상기 제1 작동구멍의 내면에 상기 제1 스토퍼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에 상기 제1 스토퍼가 걸려 구속되는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기초볼트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려 구속되며, 상기 클램프가 조임력을 해제하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려 구속되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규제수단은,
    상기 제1 작동구멍을 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상기 클램프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가 끼워져 구속되도록 상기 제1 측판에 상기 제1 작동구멍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위치결정구멍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기초볼트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1 위치결정구멍에 끼워져 구속되며, 상기 클램프가 조임력을 해제하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2 위치결정구멍에 끼워져 구속되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외면에 상기 지지물을 가압하는 편심캠부가 형성되어 있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결정구멍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위치결정구멍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통부는 상기 제1 위치결정구멍에 끼워지는 사각축부와 이 사각축부에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2 위치결정구멍에 끼워지는 원통축부를 갖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은 기초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각축부의 일측면에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기초볼트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축부의 외면 일측에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기초볼트에 부여되는 조임력을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기초볼트를 수용하는 원호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KR1020060031975A 2006-03-21 2006-04-07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KR100811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975A KR100811242B1 (ko) 2006-03-21 2006-04-07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CN2007800211068A CN101466904B (zh) 2006-04-07 2007-01-29 将物体固定到顶棚的装置
PCT/KR2007/000491 WO2007117077A1 (en) 2006-04-07 2007-01-29 Device for fixing objects to cei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25782 2006-03-21
KR1020060025782 2006-03-21
KR1020060031975A KR100811242B1 (ko) 2006-03-21 2006-04-07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734A true KR20070095734A (ko) 2007-10-01
KR100811242B1 KR100811242B1 (ko) 2008-03-07

Family

ID=3858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975A KR100811242B1 (ko) 2006-03-21 2006-04-07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11242B1 (ko)
CN (1) CN101466904B (ko)
WO (1) WO200711707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088B1 (ko) * 2007-10-25 2008-10-23 김남영 천정 패널 고정용 행거
KR102245544B1 (ko) * 2020-09-22 2021-04-28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
KR102274229B1 (ko) 2020-10-23 2021-07-07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천장 가변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5893A (zh) * 2012-04-05 2012-07-25 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一种将物体固定于屋顶的装置
CN104179279A (zh) * 2013-05-23 2014-12-03 吕健三 楼层的连接板支撑连结结构
KR101471328B1 (ko) * 2014-01-23 2014-12-09 박영식 방수턱 거푸집
CN109854878B (zh) * 2019-02-28 2020-08-04 上海斐升智能科技有限公司 支架调节装置及含该支架调节装置的通风设备
CN110485618A (zh) * 2019-09-09 2019-11-22 苏州美瑞德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超高层异形吊顶的快速安装结构
CN114351934B (zh) * 2021-11-25 2023-08-01 滁州金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标准接头母接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002427A (nl) * 1990-11-08 1992-06-01 Karel Kuiper Ophanghaak.
JPH05331957A (ja) * 1992-06-02 1993-12-14 Mineichi Iwamoto 天井骨組み材支持具
JPH06257251A (ja) * 1993-03-08 1994-09-13 Mineichi Iwamoto 天井骨組み材支持具
CH688062A5 (fr) * 1994-05-04 1997-04-30 Maurice Petignat Dispositif d'assemblage d'au moins deux piéces et procédé de mise en action de ce dispositif.
DE20107350U1 (de) * 2001-04-27 2002-09-05 Fischer Artur Werke Gmbh Kippanker
KR200388533Y1 (ko) * 2005-04-18 2005-06-29 이경우 헤딩 머신의 소재 절단 장치
KR200388553Y1 (ko) * 2005-04-20 2005-06-29 김권희 천정패널 고정행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088B1 (ko) * 2007-10-25 2008-10-23 김남영 천정 패널 고정용 행거
KR102245544B1 (ko) * 2020-09-22 2021-04-28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
KR102274229B1 (ko) 2020-10-23 2021-07-07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천장 가변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17077A1 (en) 2007-10-18
CN101466904A (zh) 2009-06-24
CN101466904B (zh) 2011-04-06
KR100811242B1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242B1 (ko)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US7614590B2 (en) Attachment device for fixing various elements to a support
EP2758617B1 (en) Pipe-to-pipe brace assembly
JP4832267B2 (ja) チェーンクランプ装置
JP4258019B2 (ja) ボルト体への取着体及びナット体
US20060065805A1 (en) Clamp
US20070222130A1 (en) Quick release mechanism
KR20150022502A (ko) 빔용 클램프
JP2014198941A (ja) ブレース取付金具
JP2004211402A (ja) 親綱支柱
JP4625352B2 (ja) 支持係留金物
KR20220145626A (ko)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의 결합장치
US11541524B2 (en) Tool-holding device, work machine with the tool-holding device, as well as a method for positioning a tool on a tool-holding device
JP2018104988A (ja) 支柱装置
KR200488890Y1 (ko) 족장 고정 장치
JP6445103B1 (ja) 管体固定具
EP1914461A1 (en) System for securing pipes to a supporting structural element
JP3204037U (ja) 吊り下げ機器又は部材の仮固定具
JP3548426B2 (ja) スタンションポールの取付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JP5477205B2 (ja) エレベーター用ガイドレールクリップの締付治具
US7806375B1 (en) Retaining key
JP3224800B2 (ja) 活線用把持具の支持装置
JP4187732B2 (ja) 安全ネット張設金具
CA1055364A (en) Cable installing and adjusting method
CN218426511U (zh) 一种钢筋焊接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