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496A -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 - Google Patents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4496A
KR20070094496A KR1020070025362A KR20070025362A KR20070094496A KR 20070094496 A KR20070094496 A KR 20070094496A KR 1020070025362 A KR1020070025362 A KR 1020070025362A KR 20070025362 A KR20070025362 A KR 20070025362A KR 20070094496 A KR20070094496 A KR 20070094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ember
cylinder lock
lock unit
locking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9363B1 (ko
Inventor
시로 세가와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4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10)는, 로킹 플레이트(15c)가 출입하는 실린더 자물쇠 유닛(15)과, 실린더 자물쇠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삽입되는 관통구멍(11a)을 갖고, 캐버티에 실린더 자물쇠 유닛의 로킹 플레이트를 걸어맞출 수 있는 직경확장부(11d)가 설치되고, 캐버티에 병행하도록 세로구멍(11f)이 뚫어 설치된 통 형상 본체부(11)와, 이 세로구멍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된 인디케이터 핀(12)과, 조작 오목홈(13a)이 상단에 형성되고, 통 형상 본체부의 캐버티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출력 샤프트 부재(13)와, 출력 샤프트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단부(13d)에 고착되고, 축 부재 하단이 맞닿는 슬라이딩 홈(14d)이 형성되고, 맨홀의 고정 받침틀(31)측의 받이부(32)에 걸리거나 이탈되는 로킹 부재(14)를 구비한다. 시정 상태와 해정 상태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정 시와 해정 시의 조작성이 양호한 공동구 출입구 등의 뚜껑용 시정 장치를 제공한다.
시정 장치, 실린더 자물쇠 유닛, 출력 샤프트 부재, 로킹 부재, 걸어맞춤부, 맨홀 뚜껑

Description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LOCKING DEVICE FOR MANHOLE COVER}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의 시정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b)는 해정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맨홀 뚜껑에 부착된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d)는 각각 통 형상 본체부의 평면도, A-A선에 따른 단면도, B-B선에 따른 단면도,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e)는 인디케이터 핀의 측면도이다.
도 4(a)∼(c)는 출력 샤프트 부재의 각각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4(d)는 (b)의 90° 회전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5(a)는 로킹 부재의 평면도, 도 5(b)∼(d)는 각각 (a)에서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B-B선을 따른 단면도, C-C선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6(a)는 실린더 자물쇠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시정 시의 실린더 자물쇠 유닛을 상방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고, 도 6(c)는 해정시의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 11 통 형상 본체부
11a 관통구멍(캐버티부) 11d 직경확장부(걸어맞춤부)
11f 세로구멍 12 인디케이터 핀(축 부재)
13 출력 샤프트 부재 13a 조작 오목홈
13d 하단부 14 로킹 부재
14d 슬라이딩 홈 15 실린더 자물쇠 유닛
16 캡 30 맨홀의 뚜껑
31 고정 받침틀 32 받이부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 송전 케이블, 상하수도관을 수납하는 공동구 등의 맨홀의 뚜껑에 사용되는 시정(施錠)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동구 등의 출입구의 뚜껑에 사용되는 시정 장치로는, 자물쇠 유닛의 열쇠구멍에 진흙 등의 이물질이 막히지 않도록, 열쇠구멍에 캡이 끼워진 것이 있다. 이러한 시정 장치로는, 시정 상태와 해정(解錠) 상태의 판별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시정을 잊은 상태에서 열쇠구멍에 캡을 끼워버릴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에는, 열쇠가 없어도 뚜껑의 개폐가 가능하게 되어, 정당한 권한자 이외의 사람이 공동구에 침입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시정 잊음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시정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329126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맨홀의 뚜껑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외통과, 이 외통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시정축과, 시정축의 하단부에 고착되고, 고정 받침틀 측의 받이부에 걸어맞추는 빗장판으로 이루어지고, 해정 상태에서는 시정축의 상단이 외통의 상단 개구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제3291269호의 시정 장치에서는, 시정축의 외주면에 캠 홈을 형성하고, 이 캠 홈을 가이드핀에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하단에 빗장판이 고착된 시정축 전체 길이를 외통 내에서 상하이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시정축이 비교적 무겁고, 개폐 시에 덜거덕거리기 쉬워져, 시정 시와 해정 시의 조작성에 과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정 상태와 해정 상태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정 시와 해정 시의 조작성이 양호한 공동구 출입구 등의 뚜껑용 시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 첨부된 도면 중의 참조번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열쇠의 조작에 의해 로킹 플레이트(15c)을 출입시켜서 시정하는 실린더 자물쇠 유닛(15)과, 맨홀의 뚜껑(30)의 세로구멍에 끼워져 삽입되어서 뚜껑에 고착되고,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삽입되는 캐버티부(11a)를 갖고, 이 캐버티부(11a)에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의 로킹 플레이트(15c)를 걸어맞출 수 있는 걸어맞춤부(11d)가 설치되고, 이 캐버티부(11a)에 병행하도록 세로구멍(11f)이 뚫어 설치된 통 형상 본체부(11)와, 이 통 형상 본체 부(11)의 세로구멍(11f)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된 축 부재(12)와, 상단에 회전조작되기 위한 조작 오목홈(13a)이 형성되고, 통 형상 본체부(11)의 캐버티부(11a)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출력 샤프트 부재(13)와, 이 출력 샤프트 부재(1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출력 샤프트 부재(13)의 하단부(13d)에 고착되고, 상기 축 부재(12)의 하단이 맞닿는 슬라이딩 홈(14d)이 형성되고, 맨홀의 고정 받침틀 측의 받이부에 걸리나 이탈되는 로킹 부재(14)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샤프트 부재(13)를 회전시켜서 로킹 부재(14)를 받이부(32)로부터 빼냈을 때에, 로킹 부재(14)의 슬라이딩 홈(14d)이 축 부재(12)의 하단(12a)에 맞닿아 축 부재(12)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고, 축 부재(12)의 상단이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의 소정 개소(15b)에 맞닿아서,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이 통 형상 본체부(11)의 캐버티부(11a)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부착(揷着)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열쇠의 조작에 의한 시정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10)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10)에서, 상기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에는 상단 근방에 볼록부(15b)를 설치하고, 통 형상 본체부(11)에서의 세로구멍(11f)의 상단에 상기 볼록부(15b)가 끼워맞추어지는 절결부(11g)를 설치하고, 이 절결부(11g)에서 축 부재(12)의 상단이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의 볼록부(15b)에 맞닿아,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이 통 형상 본체부(11)의 캐버티부(11a)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10)에서, 상기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이 통 형상 본체부(11)의 캐버티부(11a)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부착되고, 상기 로킹 플레이트(15c)가 상기 통 형상 본체부(11)의 걸어맞춤부(11d)에 걸어맞추어져 있을 때에, 상기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의 볼록부(15b)는, 상기 축 부재(12)가 상하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해 설치하고, 상기 축 부재(12)는 상기 로킹 부재(14)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형상 본체부(11)와 인디케이터 핀(축 부재)(12)과 출력 샤프트 부재(13)와 로킹 부재(14)과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을 주요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홀의 뚜껑(30)의 세로구멍에 끼워져 삽입되어서 고착되고, 로킹 부재(14)가 맨홀의 고정 받침틀(31)측의 받이부(32)에 걸어맞추어서 시정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도 1(a)는 시정 시의 상태를 도시하기 위해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1(b)는 해정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다음에,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1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d)는 각각 통 형상 본체부(11)의 평면도, A-A선을 따른 단면도, B-B선을 따른 단면도,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통 형상 본체부(11)에는, 출력 샤프트 부재(13) 및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을 삽입부착하기 위한 관통구멍(캐버티부)(11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 멍(11a)은, 각각 내경이 상이한 캡 받이부(11b), 상부 구간(11c), 직경확장부(걸어맞춤부)(11d) 및 하단 구간(11e)를 갖는다. 캡 받이부(11b)는, 캡(16)을 끼워 넣기 위해서 상단 개구가 계단 형상으로 절결되고, 상부 구간(11c)은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이 삽입부착되고, 직경확장부(11d)는 상부 구간(11c)보다도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하단 구간(11e)은 상부 구간(11c)보다도 내경이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통 형상 본체부(11)의 하단으로부터는, 세로구멍(11f)이 관통구멍(11a)에 병행하도록 뚫어 설치된다. 세로구멍(11f)의 상단은, 내주측의 절반 정도가 캡 받이부(11b)에 관통하고, 외주측의 절반 정도가 통 형상 본체부(11)의 상단 두꺼운 부분으로 덮이고, 내주측에 절결부(11g)가 형성되어 있다. 세로구멍(11d)의 중간부는 직경확장부(11e)를 관통하고, 세로구멍(11d)의 하단(11h)은 상단 부근보다도 내경이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세로구멍(11f)에는, 도 3(e)의 인디케이터 핀(12)이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부착되어 있다. 인디케이터 핀(12)은, 도 3(e)와 같이 상승했을 때에도, 세로구멍(11f)의 상단 개구의 절반 정도가 통 형상 본체부(11)의 상단 두꺼운 부분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세로구멍(11f)으로부터 상방으로 빠져 나오는 것이 억지된다. 인디케이터 핀(12)은,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단(12a)이 로킹 부재(14) 상을 슬라이딩 하기 쉽도록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통 형상 본체부(11)의 외주면에는 단차부(11i)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11i)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O링(17)과 고정링 와셔(18)가 설치된다.
도 4(a)∼(c)는 출력 샤프트 부재(13)의 각각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4(d)는 도 4(b)의 90° 회전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출력 샤프트 부재(1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 평면 형상이 육각형의 조작 오목홈(13a)이 형성된 플랜지부(13b)를 갖고, 중간부(13c)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13d)에는 나사산이 새겨져 양측에 세로홈(13e)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부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구멍(13f)이 설치되어 있다. 이 출력 샤프트 부재(1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형상 본체부(11)의 관통구멍(11a)에 삽입부착되고, 플랜지부(13b)가 직경확장부(11d)에 걸어맞추어지고, 중간부(13c)가 통 형상 본체부(11)의 하단 구간(11e)에 삽입 통과되고, 하단부(13d)에는 로킹 부재(14)가 삽입 통과되고, 접시 스프링 와셔(19)를 사이에 두고 너트(20)로 고정되어 있다.
조작 오목홈(13a)은 여기에 공구를 끼우고, 출력 샤프트 부재(13)를 회전조작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중간부(13c)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사산이 새겨져 있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통 형상 본체부(11)의 관통구멍(11a)의 하단 구간(11e)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a)는 로킹 부재(14)의 평면도이고, 도 5(b)∼(d)는 각각 도 5(a)에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B-B선에 따른 단면도, C-C선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로킹 부재(14)에는 관통구멍(14a)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14a)에는 걸어맞춤 볼록부(14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14a)은, 전술의 출력 샤프트 부재(13)의 하단부(13d)를 관통 삽입시키기 위한 부위이며, 걸어맞춤 볼록부(14b) 가 출력 샤프트 부재(13)의 세로홈(13e)에 끼워맞추어지고, 이것에 의해 출력 샤프트 부재(13)와 로킹 부재(14)는 일체로 되어 회전하여, 양 부재(13, 14)의 헛돎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로킹 부재(14)의 상면(14c)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이 상면(14a)에 슬라이딩 홈(14d)이 형성된다. 이 슬라이딩 홈(14d)은, 가장 깊게 새겨진 최심부(14e)로부터, 선단(14f)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면(14g)이 원주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선단(14f)은 상면(14a)과 거의 동일한 레벨로 되어 있다. 슬라이딩 홈(14d)에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핀(12)의 하단(12a)이 맞닿아져 있고, 로킹 부재(14)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경사면(14g)이 인디케이터 핀(12)의 하단(12a)에 슬라이딩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디케이터 핀(12)은 밀어 올려지거나, 내려지거나 한다. 가장 밀어 올려진 상태가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또 로킹 부재(14)의 이면측에는, 관통구멍(14a)의 주위에 두께가 얇은 오목부(14g)가 형성되고, 이 두께가 얇은 오목부(14g)가 접시 스프링 와셔(19)나 너트(20)의 수용 공간이 된다. 로킹 부재(14)에서, 두께가 얇은 오목부(14g)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위(14h)는, 맨홀의 고정 받침틀(31)측의 받이부(32)에 걸어맞추어지는 로킹 걸어맞춤부(14h)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도 6(a)는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시정 시의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을 상방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고, 도 6(c)는 해정 시의 도면이다.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은, 원통 형상의 케이싱(15a)의 상단 근방에 볼록 부(15b)가 돌출 설치되고, 케이싱(15a)의 하단 근방에 로킹 플레이트(15c)가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열쇠 구멍(15d)에 열쇠(도시 생략)를 삽입하여 돌림으로써, 도 6(b)와 같이 로킹 플레이트(15c)가 케이싱(15a)으로부터 돌출하거나, 도 6(c)와 같이 로킹 플레이트(15c)가 쑥 들어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형상 본체부(11)의 관통구멍(11a)에 삽입부착되었을 때, 케이싱(15a)과 관통구멍(11a)의 상부 구간(11c)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거의 없고,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의 볼록부(15b)는 세로구멍(11d)의 절결부(11g)에 끼워져 들어가고, 로킹 플레이트(15c)는 직경확장부(11d)에 걸어맞추어져,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이 상방으로 빼내기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b)와 같이 ,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의 로킹 플레이트(15c)가 직경확장부(11d)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는, 로킹 플레이트(15c)를 돌출시키지않아, 즉, 열쇠 구멍(15d)에 삽입한 열쇠를 돌릴 수는 없다.
다음에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 부재(14)가 맨홀의 고정 받침틀(31)측의 받이부(32)에 걸어맞추어져 시정되어 있을 때에는,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10)는 도 1(a)의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인디케이터 핀(12)의 하단(12a)이 로킹 부재(14)의 슬라이딩 홈(14d)의 최심부(14e)에 접촉하고, 인디케이터 핀(12)은 가장 하방으로 위치해 있어, 통 형상 본체부(11)의 세로구멍(11f)의 상단에는 약간의 간극이 생겨 있다. 이 간극에 의해,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의 볼록부(15b)는, 세로구멍(11f)의 절결부(11g)에 끼워맞추어지고,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은 도 1(a)의 높이까지 통 형상 본체부(11)의 관통구멍(11a)에 삽입부착된다.
이 때,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은, 하단이 출력 샤프트 부재(13)의 상단에 접촉하거나, 또는,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의 볼록부(15b)가 인디케이터 핀(12)의 상단에 접촉함으로써, 도 1(a)의 높이에 유지되어 있고, 케이싱(15a)으로부터 돌출한 로킹 플레이트(15c)는 직경확장부(11d)에 걸어맞추어져,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은 상방으로 빼내기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정당한 권한자 이외의 사람이 캡(16)을 벗겨냈다고 해도,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은 풀 수 없어, 출력 샤프트 부재(13)를 회전조작하는 것도 불가능하여, 맨홀의 뚜껑(30)을 열 수는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정된 맨홀의 뚜껑(30)을 해정하여 떼어낼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의 열쇠 구멍(15d)에 열쇠를 삽입하여 돌리고, 로킹 플레이트(15c)를 케이싱(15a) 내로 끌어들이고, 로킹 플레이트(15c)와 통 형상 본체부(11)의 직경확장부(11d)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하고,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을 통 형상 본체부(11)로부터 상방으로 빼낸다. 그리고, 통 형상 본체부(11) 내에 공구를 삽입하고, 공구를 출력 샤프트 부재(13)의 조작 오목홈(13a)에 끼우고 출력 샤프트 부재(13)를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로킹 부재(14)는 맨홀의 고정 받침틀(31)측의 받이부(32)로부터 빠져, 맨홀의 뚜껑(30)을 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로킹 부재(14)가 맨홀의 고정 받침틀(31)측의 받이부(32)로부터 빠진 상태로 되어 있을 때,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10)는, 도 1(b)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인디케이터 핀(12)의 하단(12a)은, 로킹 부재(14)의 슬라이딩 홈(14d)의 선단(14f)에 접촉하고, 인디케이터 핀(12)은 가장 상방에 위치해 있고, 인디케이터 핀(12)의 상단은 통 형상 본체부(11)의 세로구멍(11f)의 상단까지 도달하고, 여기에는, 도 1(a)와 비교하여 거의 간극이 없다. 이 때,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을 통 형상 본체부(11) 내에 삽입하면, 그 볼록부(15b)가 인디케이터 핀(12)의 상단에 접촉하여, 도 1(b)의 상태보다도 하방으로 넣을 수는 없다. 이와 같이,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을 통 형상 본체부(11)에 완전하게 삽입부착시킬 수 없으므로, 작업을 하고 있는 사람은, 로킹 부재(14)가 맨홀의 고정 받침틀(31)측의 받이부(32)로부터 빠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가령, 작업자가 이 상태를 놓쳤다고 해도,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이, 도 1(b)의 높이에서 멈추어 있을 때에는, 로킹 플레이트(15c)가 통 형상 본체부(11)의 상부 구간(11c)에 있기 때문에, 케이싱(15a)의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없어,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의 열쇠 구멍(15d)에 삽입한 열쇠는 돌릴 수 없다. 이것으로부터, 작업을 하고 있는 사람은, 로킹 부재(14)가 맨홀의 고정 받침틀(31)측의 받이부(32)로부터 빠져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 용이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10)에서는, 시정 상태와 해정 상태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 이외에도, 교통진동 등에 의해 잘못 해정되어 버리는 것도 방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이, 도 1(a)와 같이 통 형상 본체부(11)에 삽입부착되어 있을 때, 로킹 플레이트(15c)는 직경확장부(11d)의 상단에 맞닿도록 걸어맞추어지고,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은 이것보다도 상방으로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 실린더 자물쇠 유닛(15)의 볼록부(15b)는, 인디케이터 핀(12)의 상단에 접촉해 있거나, 또는, 거의 간극이 없는 높이에 있기 때문에, 인디케이터 핀(12)은 도 1(a)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인디케이터 핀(12)의 하단(12a)은, 로킹 부재(14)의 슬라이딩 홈(14d)의 최심부(14e)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이 로킹 부재(14)는, 인디케이터 핀(12)의 하단(12a)에 규제되어 회전운동 불능이 되어, 맨홀의 고정 받침틀(31)측의 받이부(32)에 걸어맞추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가령, 교통진동 등이 심한 장소에서도, 로킹 부재(14)가 잘못 회전해 버려, 맨홀 뚜껑을 개방할 수 있게 되어 버리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에 의해, 시정 상태 또는 해정 상태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정 시와 해정 시에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진다.

Claims (3)

  1. 열쇠의 조작에 의해 로킹 플레이트를 출입시켜서 시정하는 실린더 자물쇠 유닛과, 맨홀의 뚜껑의 세로구멍에 끼워져 삽입되어 뚜껑에 고착되고, 실린더 자물쇠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삽입되는 캐버티를 갖고, 이 캐버티에 실린더 자물쇠 유닛의 로킹 플레이트를 걸어맞출 수 있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되고, 이 캐버티에 병행하도록 세로구멍이 뚫어 설치된 통 형상 본체부와, 이 통 형상 본체부의 세로구멍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삽입 통과된 축 부재와, 상단에 회전조작 되기 위한 조작 오목홈이 형성되고, 통 형상 본체부의 캐버티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출력 샤프트 부재와, 이 출력 샤프트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출력 샤프트 부재의 하단부에 고착되고, 상기 축 부재의 하단이 맞닿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맨홀의 고정 받침틀 측의 받이부에 걸리거나 이탈되는 로킹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샤프트 부재를 회전시켜서 로킹 부재를 받이부로부터 빼냈을 때에, 로킹 부재의 슬라이딩 홈이 축 부재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고, 축 부재의 상단이 실린더 자물쇠 유닛의 소정 개소에 맞닿아, 실린더 자물쇠 유닛이 통 형상 본체부의 캐버티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부착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열쇠의 조작에 의한 시정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자물쇠 유닛에는 상단 근방에 볼록부가 설치 되고, 통 형상 본체부에서의 세로구멍의 상단에 상기 볼록부가 끼워맞추어지는 절결부가 설치되고, 이 절결부에서 축 부재의 상단이 실린더 자물쇠 유닛의 볼록부에 맞닿고, 실린더 자물쇠 유닛이 통 형상 본체부의 캐버티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자물쇠 유닛이 통 형상 본체부의 캐버티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부착되고, 상기 로킹 플레이트가 상기 통 형상 본체부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져 있을 때에, 상기 실린더 자물쇠 유닛의 볼록부는, 상기 축 부재가 상하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하기위해 설치되고, 상기 축 부재는, 상기 로킹 부재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
KR1020070025362A 2006-03-17 2007-03-15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 KR101399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74561A JP4323491B2 (ja) 2006-03-17 2006-03-17 マンホール蓋用施錠装置
JPJP-P-2006-00074561 2006-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496A true KR20070094496A (ko) 2007-09-20
KR101399363B1 KR101399363B1 (ko) 2014-05-26

Family

ID=3859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362A KR101399363B1 (ko) 2006-03-17 2007-03-15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23491B2 (ko)
KR (1) KR101399363B1 (ko)
CN (1) CN1010379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6354B2 (ja) * 2012-09-13 2015-06-17 北勢工業株式会社 地下構造物用蓋のロック金具
CN107951383B (zh) * 2016-10-18 2022-10-04 上海思乐得不锈钢制品有限公司 平行式自锁翻盖装置及带有该翻盖装置的水壶
CN111997448B (zh) * 2020-08-10 2022-07-15 成都方圆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接触式加密受控井盖锁
CN117067482B (zh) * 2023-10-18 2023-12-29 佛山市赛鸽机器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刹车片全智能生产线及刹车片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458Y2 (ja) * 1990-01-10 1995-10-09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磁気近接スイッチ付き流体圧シリンダ
JP3655265B2 (ja) 2002-07-15 2005-06-02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マンホール蓋用施錠装置
JP2004211285A (ja) 2002-12-26 2004-07-29 Fukunishi Imono Kk 蓋体施錠装置
JP4126264B2 (ja) 2003-10-07 2008-07-30 美和ロック株式会社 マンホール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23491B2 (ja) 2009-09-02
JP2007247326A (ja) 2007-09-27
CN101037906A (zh) 2007-09-19
KR101399363B1 (ko) 201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2129B2 (ja) テント用ロック装置
EP0740731B1 (en) Enclosure latch
US6382006B1 (en) Removable cylindrical lock core
US4030321A (en) Padlock with protected slide bolt and locking means
RU16933U1 (ru) Висячий замок
US20020170326A1 (en) Removable cylindrical lock core
US4158952A (en) Padlock with removable top closure
KR20070094496A (ko) 맨홀 뚜껑용 시정 장치
US9157256B2 (en) Lock system
GB2413152A (en) Cylinder lock with master key capability
KR100505738B1 (ko) 체인 고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 내 맨홀 뚜껑 잠금구조
KR101555866B1 (ko) 도난 방지용 배수집수구의 잠금장치
JP2007063851A (ja) マンホール蓋用施錠装置
JP5114369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TWI687579B (zh) 門的彈出型附鎖把手裝置
JP4127702B2 (ja) 南京錠
KR100423107B1 (ko) 자물쇠 부착 로크장치
US6854307B2 (en) Lock-picking prevention apparatus
JP6153849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200225637Y1 (ko) 맨홀뚜껑의 잠금장치
AU2015417647B2 (en) Padlock
JP4833315B2 (ja) テント用ロック装置
KR100928745B1 (ko) 유리문용 안전 잠금장치
WO2021024355A1 (ja) 南京錠
KR100692719B1 (ko)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