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828A - 나노콘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콘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828A
KR20070091828A KR1020060021443A KR20060021443A KR20070091828A KR 20070091828 A KR20070091828 A KR 20070091828A KR 1020060021443 A KR1020060021443 A KR 1020060021443A KR 20060021443 A KR20060021443 A KR 20060021443A KR 20070091828 A KR20070091828 A KR 20070091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ide semiconductor
semiconductor layer
growth
type nitride
nano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4722B1 (ko
Inventor
김종욱
조현경
이규철
안성진
유진경
홍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1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722B1/ko
Priority to US11/707,167 priority patent/US7714337B2/en
Publication of KR20070091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722B1/ko
Priority to US12/731,029 priority patent/US8598607B2/en
Priority to US13/489,158 priority patent/US8643035B2/en
Priority to US14/147,947 priority patent/US8912556B2/en
Priority to US14/552,088 priority patent/US934362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01L33/22Roughened surfaces, e.g. at the interface between epitaxial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61L2/238Metals or alloys, e.g. oligodynamic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6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 H01L33/30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 H01L33/32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containing nitr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42Crystalline insul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55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458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54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2Reduction or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e.g. CV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콘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 다이오드의 표면에 복수개의 나노콘을 에피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나노콘을 질화물 박막의 성장 단계에서 함께 성장시킴으로써, 별도의 식각 공정 없이 소자의 표면에 거칠기를 형성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 표면에 피라미드 형상의 복수개의 나노콘을 형성함으로써, 활성층에서 발생한 빛이 소자의 표면에 도달할때 소자 내부로 전반사되어 소모되는 빛을 줄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소자의 광 적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 적출 효율, 전반사, MOCVD, 나노콘

Description

나노콘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Growth method of nanocone and Fabricating method of light emitting diode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의 단면도.
도 2는 활성층에서 발생한 빛이 질화물계 반도체 표면에서 전반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나노콘 성장방법에 있어서, 성장시간-성장온도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나노콘 성장방법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나노콘 성장방법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콘의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SEM)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기판 110 : 버퍼층
120 : n형 질화물 반도체층 130 : 활성층
140 : p형 질화물 반도체층 150 : 나노콘
160 : p-전극 170 : n-전극
본 발명은 나노콘(Nanocone)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광 다이오드의 표면에 복수개의 나노콘을 에피 성장시킴으로써, 소자의 광 적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나노콘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는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를 빛으로 변환시켜서 신호를 주고 받거나, 광원으로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저전압으로 고효율의 광을 발생시키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뛰어나며, 최근 들어 발광 다이오드의 한계였던 휘도 문제가 크게 개선되면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전광판, 표시기, 가전제품, 각종 자동화 기기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는 활성층의 에너지 밴드 갭(Energy Band Gap)이 넓어 발광 스펙트럼이 자외선으로부터 적외선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형성되며, 비소(As), 수은(Hg) 등의 환경 유해 물질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인 면에서도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그리고, 보다 다양한 응용분야에 활용하기 위해서 고휘도의 발광 다이오드를 얻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고휘도의 발광 다이오드를 얻는 방법에는 활성층의 품질을 개선하여 내부 양자 효율을 올리는 방법과 활성층에서 발생한 빛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도와 주고, 필요한 방향으로 모아줌으로써 광 적출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있다.
현재, 이 내부 양자 효율 및 광 적출 효율 모두를 증진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반도체 물질의 품질을 개선함으로 내부 양자 효율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비하여 소자 전극 설계, 소자 자체의 모양, 패키징 방법 등으로 개선하는 광 적출 효율 증가 방법에 대한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시도되고 있는 방법은 주로 상부 전극의 투과율을 증진시키거나, 사파이어 기판이나 소자의 측면으로 방출되는 광을 상부로 모아주도록 소자 외부에 반사판을 두는 형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광 적출 효율(Light Extraction Efficiency)은 발광 다이오드에 주입된 전자와 발광 다이오드 밖으로 방출되는 광자의 비에 의하여 결정되며 적출 효율이 높을수록 밝은 발광 다이오드를 의미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광 적출 효율은 칩의 모양이나 표면 형태, 칩의 구조, 패키징 형태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를 설계할 때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고출력 및 고휘도의 발광 다이오드에서는 상기 광 적출 효율이 발광 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그런데, 종래의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는 광 적출 효율에 한계가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파이어 기판(10) 상부에 버퍼층(11),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 활성층(13),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에서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의 일부분까지 메사(Mesa) 식각 되어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노출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 상부에는 n-전극(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 상부에는 투명 전극(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명 전극 상부에는 p-전극(17)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은, 먼저 사파이어 기판(10) 상부에 버퍼층(11),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 활성층(13),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다음,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에서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의 일부분까지 RIE(Reactive Ion Etching) 방식으로 메사(Mesa) 식각한다.
그 후,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 상부에 오믹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투명 전극(16)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 전극(16) 상부에 p-전극(17)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메사 식각되어 노출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 상부에 n-전극(15)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동된다. 즉, 상기 p- 전극(17) 및 n-전극(15)에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 및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으로부터 정공 및 전자가 활성층(13)으로 흘러 들어가 상기 활성층(13)에서 전자-정공의 재결합이 일어나면서 발광을 하게 된다.
상기 활성층(13)으로부터 발광된 광은 활성층(13)의 위와 아래로 진행하게 되고, 위로 진행된 광은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 상부에 얇게 형성된 투명 전극(16)을 통하여 밖으로 방출된다.
그리고, 활성층(13)의 아래로 진행된 광은 기판(10)의 하부로 빠져나가 발광 다이오드의 패키징시 사용되는 솔더(Solder)에 흡수되거나, 기판(10)에서 반사되어 다시 위로 진행하여 활성층(13)에 다시 흡수되기도 하고 투명 전극(16)을 통하여 밖으로 빠져 나오기도 한다.
종래의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에서는, 활성층에서 발생한 빛이 외부로 빠져 나갈때, 질화물계 반도체 물질과 외부와의 굴절율 차이에 의해 전반사 조건이 발생하게 되어 전반사의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입사된 광은 외부로 빠져나기지 못하고 반사되어 다시 소자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층(30)에서 발생한 빛이 질화물계 반도체 물질(40)의 표면에 도달할 때,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이 외부 굴절율과 질화물계 반도체 물질의 굴절율로 정해지는 임계각(θC) 이상인 경우는 광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소자 내부로 반사되며, 반사된 빛은 여러 경로를 거치면서 빛이 감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임계각은 스넬의 법칙(Snell's Law)에 의해 정해지는데, 다음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sinθC = N1/N2
여기서, θC 는 임계각을 나타내며, N1 은 외부 굴절율, N2 는 소자 내부 굴절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종래의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는 활성층에서 발생한 빛이 질화물계 반도체 물질의 표면에 도달하는 경우 다시 소자 내부로 전반사되어 소모됨으로써 광 추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의 표면을 식각하여 표면에 거칠기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소자 박막을 성장시킨 후 추가적인 식각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질화물계 박막을 성장시키는 단계에서 복수개의 나노콘을 함께 성장시킴으로써, 별도의 식각 공정 없이 소자의 표면에 거칠기를 형성하는 나노콘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나노콘 성장방법의 실시예는, 기판을 열처리하는 단계와, 제1 성장온도에서 Ⅲ족 및 Ⅴ족의 반응 전구체를 일정한 분량으로 주입하여, 상기 기판 상부에 질화물 박막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성장온도보다 낮은 제2 성장온도에서 상기 Ⅲ족 및 Ⅴ족의 반응 전구체의 주입되는 분량을 줄여, 질화물 박막 상부에 복수개의 나노콘(Nanocone)을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나노콘 성장방법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는, 기판 상부에 제1 성장온도에서 Ⅲ족 및 Ⅴ족의 반응 전구체를 일정한 분량으로 주입하여 n형 질화물 반도체층, 활성층,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부터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의 일부분까지 메사(Mesa)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성장온도보다 낮은 제2 성장온도에서 상기 Ⅲ족 및 Ⅴ족의 반응 전구체의 주입되는 분량을 줄여,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부에 복수개의 나노콘(Nanocone)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나노콘의 일부를 제거하고 상기 나노콘이 제거된 영역의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부에 p-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메사 식각되어 노출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부에 n-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나노콘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나노콘 성장방법에 있어서, 성장시간-성장온도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1100 ℃의 온도에서 사파이어 기판을 10분 동안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사파이어 기판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한 후, 암모니아(NH3) 가스를 주입하여 사파이어 기판을 질화(Nitridation)시킨다.
다음으로, 성장용 챔버(Chamber) 내의 온도(성장온도)를 500 ℃로 낮추고 저온 GaN 버퍼층을 성장시킨다.
일반적으로 GaN과 같은 질화물 반도체 물질은 격자 상수 및 열팽창 계수가 일치하는 기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 사파이어 기판 상에 성장시킨다.
이때, 사파이어 기판과 그 위에 성장되는 질화물 반도체 물질과의 격자 상수 및 열 팽창 계수 차이를 완화시켜 결정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저온에서 얇은 두께의 버퍼층을 형성한다.
상기 저온 버퍼층은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 MOCVD)법 또는 분자빔 성장(Molecular Beam Epitaxy : MBE)법을 이용하여 성장시킨다.
상기 저온 버퍼층으로는 GaN층뿐만 아니라,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 임)으로 이루어지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저온 버퍼층의 성장온도는 500 ~ 60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성장용 챔버 내의 온도를 900 ~ 1100 ℃의 온도로 높인 후(여기서는 1060 ℃로 하였다), AlxInyGa(1-x-y)N(여기서, 0≤x≤1, 0≤y≤1, 0≤x+y≤1 임)의 조성식을 가지는 질화물계 박막을 60분 이상 성장시킨다.
이때, 1060 ℃의 온도에서 바로 질화물계 박막을 성장시키는 것보다 버퍼층을 수분간 열처리한 후, 질화물계 박막을 성장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사파이어 기판 상에 GaN 버퍼층을 저온에서 성장시키면, 평탄하지 않은 칼럼(Column) 형태의 GaN 결정이 일차 성장된다.
그리고, 상기 GaN 결정을 근간으로 하여 고온에서 성장되는 결정은 측면으로 평탄하게 성장되기 시작하며, 어느 정도 두께의 결정이 성장된 후에는 비교적 평탄한 단결정의 결정 성장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버퍼층 상부에 AlxInyGa(1-x-y)N(0≤x≤1, 0≤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질화물계 박막을 성장시키는 경우, Al의 소스(Source)로서 TMAl(Tri-Methyl-Aluminum) 또는 TEAl(Tri-Eethyl-Aluminum)을 사용하고, In의 소스로서 TMIn(Tri- Methyl-Indium) 또는 TEIn(Tri-Eethyl-Indium)을 사용하며, Ga의 소스로서 TMGa(Tri-Methyl-Gallium) 또는 TEGa(Tri-Eethyl-Gallium)을 사용한다.
그리고, N의 소스로서 NH3 나 N2 가스를 사용하며, Al, In 및 Ga의 소스를 실어 나르는 캐리어 가스로 수소(H2) 가스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GaN 박막을 성장시키는 경우, 수소 가스를 사용하여 반응 전구체인 TMGa(Tri-Methyl-Gallium) 및 NH3 기체를 각각 반응기내로 1 ~ 50 sccm 및 1000 ~ 2000 sccm의 속도로 주입한 후, 버퍼층 상부에 상기 물질들을 화학 반응시켜 GaN 박막을 성장 시킨다.
이때, 운반 기체인 상기 수소 가스의 양은 1500 ~ 3000 scc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p-타입의 GaN 박막의 경우, (C5H5)2Mg(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 마그네슘)을 반응기내로 주입하여 Mg이 도핑된 GaN 박막을 증착시킨 후, 열처리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p-타입의 GaN 박막을 성장시킨다.
그리고, n-타입의 GaN 박막의 경우, SiH4(실란, Silane)을 반응기내로 주입하여 Si이 도핑된 GaN 박막을 증착시킨 후, 열처리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n-타입의 GaN 박막을 성장시킨다.
상기 질화물계 박막을 성장시키는 단계에서는, 저온 버퍼층 상부에 n-타입의 질화물 반도체층, 활성층, p-타입의 질화물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발광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성장용 챔버 내의 온도를 400 ~ 900 ℃의 온도로 낮춘 후, 질화물계 박막 상부에 복수개의 나노콘(Nanocone)을 10 ~ 40분 동안 성장시킨다.
이때, 수소 가스를 사용하여 반응 전구체인 TMGa(Tri-Methyl-Gallium) 및 NH3 기체를 각각 반응기내로 1 ~ 50 sccm 및 100 ~ 1000 sccm의 속도로 주입하고, 운반 기체인 수소 가스의 양을 절반 이상 줄여 300 ~ 1000 sccm의 속도로 주입하여 질화물계 박막 상부에 복수개의 나노콘을 성장시킨다.
여기서, 상기 나노콘은 600 ~ 800 ℃의 온도에서 성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나노콘의 크기는 10㎚ ~ 100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콘을 성장시키는 경우, 질화물계 박막을 성장시킬때 보다 성장온도를 낮추고 NH3 기체의 유량을 줄이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피라미드 형상의 나노콘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성장 온도를 낮추고 NH3 기체의 유량을 줄여 수평 성장보다 수직 성장이 우세하도록 함으로써, 나노콘을 성장시킨다. 여기서, NH3 기체의 유량은 질화물계 박막을 성장시키는 경우의 1/3 ~ 1/2 수준에서 공급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나노콘 성장방법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기판(100) 상부에 버퍼층(110),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0), 활성층(130),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도 4a).
상기 기판(100)으로는 사파이어(Al2O3) 기판, 실리콘 카바이드(SiC) 기판, 실리콘(Si) 기판, 갈륨 아세나이드(GaAs) 기판, 쿼츠(Quartz) 기판 등이 사용되며, 특히 사파이어 기판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버퍼층(110)은 상기 기판(100)과 질화물 반도체 물질의 격자 부정합 및 열 팽창 계수의 차이를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저온 성장 GaN층 또는 AlN층이 사용된다.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0)은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 임)을 갖는 n-도핑된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특히 n-GaN이 널리 사용된다.
상기 활성층(130)은 다중 양자 우물(Multi-Quantum Well : MQW) 구조를 가지며, GaN 또는 InGa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0)은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0)과 마찬가지로,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 임)을 갖는 질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p-도핑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100) 상부에 형성되는 버퍼층(110),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0), 활성층(130),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0)은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BE(Molecular Beam Epitaxy), HVPE(Hydride Vapor Phase Epitaxy)법과 같은 기상 증착법에 의해 성장시킨다.
여기서,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0), 활성층(130),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0)은 700 ~ 1100 ℃의 온도에서 성장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0)부터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0)의 일부분까지 메사(Mesa) 식각하여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0)의 일부를 상부로부터 노출시킨다(도 4b).
사파이어 기판과 같이 절연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 하부에 전극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0)부터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0)의 일부분까지 메사(Mesa) 식각함으로써,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여기서, 메사 식각 공정 후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0) 상부에 투명 전극을 더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0)은 불순물 도핑 농도가 낮아 접촉 저항이 높으며 그로 인해 오믹 특성이 좋지 못한데, 이러한 오믹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투명 전극(150)을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0) 상부에 형성한다.
상기 투명 전극은 Ni/Au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지거나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 전극은 전류 주입 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오믹 콘택을 형성하여 순방향 전압(Vf)을 저하시킨다.
이어서,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0) 상부에 복수개의 나노콘(150)을 성장시킨다(도 4c).
상기 나노콘(150)은 400 ~ 900 ℃의 저온에서 성장시키되, 특히 600 ~ 800 ℃의 온도에서 성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에 의해 성장시킨다.
상기 나노콘(150)은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 임)을 갖는 질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노콘(150)의 크기는 10㎚ ~ 100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콘(150)은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0), 활성층(130)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0)과는 달리 400 ~ 900 ℃의 저온과 적은 유량의 NH3 기체의 공급 조건하에서 성장시킨다.
이와 같이, 온도와 NH3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0) 상부에 복수개의 나노콘(15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나노콘(150)을 성장시킬때, 수평 및 수직 성장 비율을 조절하여 피라미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조절 변수로는 성장 온도 및 NH3 유량 등이 있다.
여기서, 성장 온도를 높이고, NH3 의 유량을 늘리면 수평 성장이 증가하며, 성장 온도를 낮추고, NH3 의 유량을 줄이면 수직 성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성장 변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나노콘(150)의 형상을 만들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개의 나노콘(150)의 일부를 제거하고, 나노콘(150)이 제 거된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40) 상부에 p-전극(160)을 형성한 후, 상기 노출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0) 상부에 n-전극(170)을 형성한다(도 4d).
상기 p-전극(160) 및 상기 n-전극(170)은 크롬(Cr), 니켈(Ni), 금(Au), 알루미늄(Al), 타이타늄(Ti), 백금(Pt)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상기 금속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에서는 복수개의 나노콘을 질화물 박막의 성장 단계에서 함께 성장시킴으로써, 별도의 식각 공정 없이 소자의 표면에 거칠기를 형성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나노콘 성장방법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기판(200) 상부에 n형 질화물 반도체층(210), 활성층(220), p형 질화물 반도체층(23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도 5a).
다음으로,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230) 상부에 오믹층(240)과 도전성 지지막(25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도 5b).
여기서, 상기 오믹층(240)은 니켈(Ni)/금(Au)의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니켈을 기본으로 하는 금속 박막은 산소 분위기에서 열처리 됨으로써 10-3~10-4Ωcm2 정도의 비접촉 저항을 갖는 오믹 접촉(Ohmic Contact)을 형성한다.
상기 오믹층(240)으로서 니켈(Ni)/금(Au)의 금속 박막을 사용하는 경우, 반 사율이 높아 활성층(22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반사막(Reflector)을 형성하지 않아도 반사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전성 지지막(250)은 p-전극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자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충분히 발산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을 사용하며, 도전성 지지막(250) 형성시 전체 웨이퍼에 휨을 가져오지 않으면서, 스크라이빙(scribing) 공정 및 브레이킹(breaking) 공정을 통하여 별개의 칩으로 잘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기계적 강도를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도전성 지지막(250)으로는 금(Au), 구리(Cu), 은(Ag) 및 알루미늄(Al) 등의 열전도도가 좋은 연금속과 상기 금속들과 결정 구조 및 결정 격자 상수가 유사하여 합금시 내부 응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기계적 강도가 있는 니켈(Ni), 코발트(Co), 백금(Pt) 및 팔라듐(Pd) 등 경금속의 합금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기판(200)을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10)으로부터 분리시킨다(도 5c). 여기서, 상기 기판(200)의 제거는 엑시머 레이저 등을 이용한 레이저 리프트 오프(Laser Lift Off : LLO)의 방법으로 할 수도 있으며, 건식 및 습식 식각의 방법으로 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기판(200)의 제거는 레이저 리프트 오프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기판(200)에 일정 영역의 파장을 가지는 엑시머 레이저 광을 포커싱(focusing)하여 조사하면, 상기 기판(200)과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10)의 경계면에 열 에너지가 집중되어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10)의 계면이 갈륨과 질소 분자로 분리되면서 레이저 광이 지나가는 부분에서 순간적으로 기판(200)의 분리가 일어난다.
다음으로,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10) 상부에 복수개의 나노콘(260)을 성장시킨다(도 5d).
상기 나노콘(260)은 400 ~ 900 ℃의 저온에서 성장시키되, 특히 600 ~ 800 ℃의 온도에서 성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에 의해 성장시킨다.
상기 나노콘(260)은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 임)을 갖는 질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노콘(260)의 크기는 10㎚ ~ 100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콘(260)은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10), 활성층(220)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230)과는 달리 400 ~ 900 ℃의 저온과 적은 유량의 NH3 기체의 공급 조건하에서 성장시킨다.
이어서, 상기 복수개의 나노콘(260)의 일부를 제거하고, 나노콘(260)이 제거된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10) 상부에 n-전극(270)을 형성한다(도 5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콘의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SEM)사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 표면에 복수개의 나노콘을 형성함으로써, 활성층에서 발생한 빛이 소자의 표면에 도달할때 소자 내부로 전반사되어 소모되는 빛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나노콘을 질화물 박막의 성장 단계에서 함께 성장시킴으로써, 별도의 식각 공정 없이 소자의 표면에 거칠기를 형성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 표면에 피라미드 형상의 복수개의 나노콘을 형성함으로써, 활성층에서 발생한 빛이 소자의 표면에 도달할때 소자 내부로 전반사되어 소모되는 빛을 줄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소자의 광 적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기판을 열처리하는 단계;
    제1 성장온도에서 Ⅲ족 및 Ⅴ족의 반응 전구체를 일정한 분량으로 주입하여, 상기 기판 상부에 질화물 박막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성장온도보다 낮은 제2 성장온도에서 상기 Ⅲ족 및 Ⅴ족의 반응 전구체의 주입되는 분량을 줄여, 상기 질화물 박막 상부에 복수개의 나노콘(Nanocone)을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나노콘 성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열처리 한 후, 상기 기판 상부에 AlxInyGa(1-x-y)N(여기서, 0≤x≤1, 0≤y≤1, 0≤x+y≤1 임)으로 이루어지는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콘 성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장온도는 900 ~ 1100℃ 이며, 상기 제2 성장온도는 600 ~ 8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콘 성장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콘의 성장 단계에 있어서,
    Ⅲ족 반응 전구체로는 TMGa(Tri-Methyl-Gallium) 또는 TEGa(Tri-Eethyl-Gallium)을 사용하고, Ⅴ족 반응 전구체로는 NH3 기체를 사용하며, 상기 Ⅲ족 및 Ⅴ족 반응 전구체의 주입양은 상기 질화물 박막을 성장시키는 경우의 1/3 ~ 1/2 정도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콘 성장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콘의 크기는 10㎚ ~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콘 성장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콘은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 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콘 성장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콘은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에 의해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콘 성장방법.
  8. 기판 상부에 제1 성장온도에서 Ⅲ족 및 Ⅴ족의 반응 전구체를 일정한 분량으로 주입하여 n형 질화물 반도체층, 활성층,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부터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의 일부분까지 메사(Mesa)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1 성장온도보다 낮은 제2 성장온도에서 상기 Ⅲ족 및 Ⅴ족의 반응 전구체의 주입되는 분량을 줄여,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부에 복수개의 나노콘(Nanocone)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나노콘의 일부를 제거하고 상기 나노콘이 제거된 영역의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부에 p-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메사 식각되어 노출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부에 n-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나노콘 성장방법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장온도는 700 ~ 1100℃ 이며, 상기 제2 성장온도는 400 ~ 8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콘 성장방법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1020060021443A 2006-03-07 2006-03-07 나노콘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제조방법 KR100844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443A KR100844722B1 (ko) 2006-03-07 2006-03-07 나노콘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제조방법
US11/707,167 US7714337B2 (en) 2006-03-07 2007-02-16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2/731,029 US8598607B2 (en) 2006-03-07 2010-03-24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3/489,158 US8643035B2 (en) 2006-03-07 2012-06-05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4/147,947 US8912556B2 (en) 2006-03-07 2014-01-06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4/552,088 US9343624B2 (en) 2006-03-07 2014-11-24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443A KR100844722B1 (ko) 2006-03-07 2006-03-07 나노콘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828A true KR20070091828A (ko) 2007-09-12
KR100844722B1 KR100844722B1 (ko) 2008-07-07

Family

ID=3868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443A KR100844722B1 (ko) 2006-03-07 2006-03-07 나노콘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5) US7714337B2 (ko)
KR (1) KR100844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722B1 (ko) 2006-03-07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나노콘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제조방법
KR100826412B1 (ko) * 2006-11-03 2008-04-29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및 제조방법
KR100921466B1 (ko) 2007-08-30 2009-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질화물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07113B1 (ko) * 2008-11-25 2011-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363022B1 (ko) * 2008-12-23 2014-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GB2467911B (en) * 2009-02-16 2013-06-05 Rfmd Uk Ltd A semiconductor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0943092B1 (ko) * 2009-05-18 2010-02-18 주식회사 시스넥스 질화물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8405068B2 (en) * 2009-07-22 2013-03-26 Rfmd (Uk) Limited Reflecting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0999684B1 (ko) * 2009-10-21 2010-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96684B1 (ko) * 2009-11-18 2013-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 분리 현상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US8334152B2 (en) 2009-12-18 2012-12-18 Cooledge Lighting, Inc.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ferable elements incorporating radiation enabled lift off for allowing transfer from host substrate
KR101646664B1 (ko) * 2010-05-18 2016-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발광 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WO2011160051A2 (en) 2010-06-18 2011-12-22 Glo Ab Nanowire led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72694B1 (ko) 2010-10-19 2017-08-2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KR101850537B1 (ko) 2011-01-20 2018-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US10102619B1 (en) 2011-03-28 2018-10-16 Hermes Microvision, Inc.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KR101791175B1 (ko) * 2011-06-30 2017-10-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US8912028B2 (en) * 2011-08-17 2014-12-16 Lg Display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350251B1 (en) 2011-09-26 2013-01-08 Glo Ab Nanowire sized opto-electronic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664679B2 (en) * 2011-09-29 2014-03-04 Toshiba Techno Center Inc.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light coupling layers with recessed electrodes
US9012921B2 (en) 2011-09-29 2015-04-21 Kabushiki Kaisha Toshiba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light coupling layers
KR101286211B1 (ko) * 2012-02-16 2013-07-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 소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광 소자
US9093420B2 (en) 2012-04-18 2015-07-28 Rf Micro Devices, Inc. Methods for fabricating high voltage field effect transistor finger terminations
US9124221B2 (en) 2012-07-16 2015-09-01 Rf Micro Devices, Inc. Wide bandwidth radio frequency amplier having dual gate transistors
US8988097B2 (en) 2012-08-24 2015-03-24 Rf Micro Devices, Inc. Method for on-wafer high voltage testing of semiconductor devices
US9142620B2 (en) 2012-08-24 2015-09-22 Rf Micro Devices, Inc. Power device packaging having backmetals couple the plurality of bond pads to the die backside
US9917080B2 (en) 2012-08-24 2018-03-13 Qorvo US.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electrical overstress (EOS) protection
US9202874B2 (en) 2012-08-24 2015-12-01 Rf Micro Devices, Inc. Gallium nitride (GaN) device with leakage current-based over-voltage protection
US9147632B2 (en) 2012-08-24 2015-09-29 Rf Micro Devices,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mproved heat dissipation
US9070761B2 (en) 2012-08-27 2015-06-30 Rf Micro Devices, Inc. Field effect transistor (FET) having fingers with rippled edges
WO2014035794A1 (en) 2012-08-27 2014-03-06 Rf Micro Devices, Inc Lateral semiconductor device with vertical breakdown region
US9325281B2 (en) 2012-10-30 2016-04-26 Rf Micro Devices, Inc. Power amplifier controller
KR102075988B1 (ko) 2013-09-25 2020-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KR102285786B1 (ko) * 2014-01-20 2021-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
US9455327B2 (en) 2014-06-06 2016-09-27 Qorvo Us, Inc. Schottky gated transistor with interfacial layer
US9536803B2 (en) 2014-09-05 2017-01-03 Qorvo Us, Inc. Integrated power module with improved isolation and thermal conductivity
US10062684B2 (en) 2015-02-04 2018-08-28 Qorvo Us, Inc. Transition frequency multiplier semiconductor device
US10615158B2 (en) 2015-02-04 2020-04-07 Qorvo Us, Inc. Transition frequency multiplier semiconductor device
KR102357585B1 (ko) * 2015-08-18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자외선 발광소자
CN113113515B (zh) * 2021-02-25 2022-05-13 华灿光电(苏州)有限公司 发光二极管外延片的生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837A (ja) 1998-10-23 2000-05-12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469484B2 (ja) 1998-12-24 2003-11-2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353500A (ja) 2001-05-28 2002-12-06 Kyocera Corp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46117A (ja) 2001-07-30 2003-02-14 Kyocera Corp 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4233268B2 (ja) * 2002-04-23 2009-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窒化物系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61696A (ko) * 2002-12-31 2004-07-07 김화목 GaN 나노막대의 팁 형상 제어방법
US7521854B2 (en) * 2003-04-15 2009-04-21 Luminus Devices, Inc. Patterned light emitting devices and extraction efficiencies related to the same
WO2005064666A1 (en) * 2003-12-09 2005-07-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ighly efficient gallium nitride based light emitting diodes via surface roughening
EP1723416B1 (en) * 2004-03-12 2010-09-01 University Of Virginia Patent Foundation Electron transfer dissociation for biopolymer sequence analysis
KR100448351B1 (ko) * 2004-06-10 2004-09-14 에피밸리 주식회사 Ⅲ-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JP2006049855A (ja) 2004-06-28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534633B2 (en) * 2004-07-02 2009-05-19 Cree, Inc. LED with substrate modifications for enhanced light extra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531073B1 (ko) * 2004-12-08 2005-11-29 럭스피아 주식회사 나노 바늘을 가지는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44722B1 (ko) * 2006-03-07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나노콘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제조방법
KR100755591B1 (ko) * 2006-06-22 2007-09-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76416A1 (en) 2010-07-15
US9343624B2 (en) 2016-05-17
US20150102370A1 (en) 2015-04-16
US20080272382A1 (en) 2008-11-06
KR100844722B1 (ko) 2008-07-07
US20140117378A1 (en) 2014-05-01
US20120241757A1 (en) 2012-09-27
US7714337B2 (en) 2010-05-11
US8643035B2 (en) 2014-02-04
US8912556B2 (en) 2014-12-16
US8598607B2 (en) 201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722B1 (ko) 나노콘 성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제조방법
US8604461B2 (en)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s with modulated doping and related methods
US6881602B2 (en) Gallium nitride-bas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CN100555682C (zh) 氮化物半导体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
KR101122184B1 (ko) 마이크로?픽셀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KR101007136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및 발광 소자 제조방법
US8536615B1 (en)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s with modulated and delta doping and related methods
US7646027B2 (en)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 stacked structure
KR20070088145A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US20100176418A1 (en) Gallium nitride-based compou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JP2003037289A (ja) 低駆動電圧のiii族窒化物発光素子
WO2008054994A2 (en) Deep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9142714B2 (en) High power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with superlattice
US715371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efficiency light-emitting diodes
US20110127539A1 (en) Nitrid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KR101199187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586955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0728132B1 (ko) 전류 확산층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TW200541115A (en) Group Ⅲ nitrid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KR100652346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072199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18830B1 (ko) 수직구조 질화갈륨계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93805B1 (ko)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 소자와, 이의 제조 방법
KR101008286B1 (ko)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100635159B1 (ko)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