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9206A - Dc 링크를 통한 모터 위상 전류 재현을 개선하기 위한회로 - Google Patents

Dc 링크를 통한 모터 위상 전류 재현을 개선하기 위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9206A
KR20070089206A KR1020077014493A KR20077014493A KR20070089206A KR 20070089206 A KR20070089206 A KR 20070089206A KR 1020077014493 A KR1020077014493 A KR 1020077014493A KR 20077014493 A KR20077014493 A KR 20077014493A KR 20070089206 A KR20070089206 A KR 20070089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ampling means
link
time period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인터내쇼널 렉티파이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쇼널 렉티파이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쇼널 렉티파이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89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02M7/5387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with digital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02P27/1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pulsing by guiding the flux vector, current vector or voltage vector on a circle or a closed curve, e.g. for direct torque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02P7/1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 H02P7/24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5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controlling armature supply only
    • H02P7/29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controlling armature supply only using pulse mod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Specific system operational feature
    • Y10S388/901Sample and 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DC 링크에 의해 공급되고 PWM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다상 인버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DC 링크 내의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얻음으로써 상기 DC 링크의 전류를 샘플링하는 제 1, 2 샘플링 수단과, 여기서 상기 제 1 샘플링 수단은 상기 다상 인버터의 제 1 스위칭 패턴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주기 동안 상기 DC 링크의 전류의 제 1 샘플을 얻고, 상기 제 1 샘플을 저장하며, 상기 제 2 샘플링 수단은 상기 제 1 시간 주기 이후의 그리고 상기 다상 인버터의 제 2 스위칭 패턴에 대응하는 제 2 시간 주기 동안 상기 DC 링크의 전류의 제 2 샘플을 얻고, 상기 제 2 샘플을 저장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시간 주기 이후의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 1 샘플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다음의 제 3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 2 샘플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한다.
모터 위상 전류, 인버터, 샘플 및 홀드 회로, 연속 샘플링, 스위칭 패턴

Description

DC 링크를 통한 모터 위상 전류 재현을 개선하기 위한 회로{CIRCUIT TO IMPROVE MOTOR PHASE CURRENT RECONSTRUCTION VIA DC LINK}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5년 1월 3일 출원되었으며 그 명칭이 "CIRCUIT TO IMPROVE MOTOR PHASE CURRENT RECONSTRUCTION VIA DC LINKS"인 미국 가 특허 출원 60/641,175의 이득 및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개시 내용은 본원의 참조로서 인용된다.
디지털 PWM AC 인버터 기반의 모터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폐쇄 루프 전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모터 위상 전류의 피드백이 요구된다. 시스템 비용을 줄이고 전류 감지 시스템을 단순화하기 위해, 많은 모터 위상 전류 정보는 DC 링크 전류 정보에 의해 재현(reconstruct)될 수 있다. DC 링크를 통해 모터 위상 전류의 재현을 달성하는 기존의 회로는 A/D 변환기에 결합된 단일의 샘플 및 홀드 회로를 이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활성 전압 벡터를 생성하는 스위칭 패턴의 시간 지속 기간이 작을 때, 라인간(line-to-line) 활성 전압이 PWM 논리로 인해 작아질 때에 전류 재현에 상당한 제한을 부과한다. 본원에서는, 활성 전압 벡터에 대한 시간 지속 기간 제한을 최소화하기 위해, 1개의 샘플 및 홀드 회로 대신에 2 개의 병렬의 샘플 및 홀드 회로들을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새로운 회로를 이용하게 되면, 모터 전류 재현의 충실도가 개선되어, 영구 자석 모터들 및 유도 모터들을 포함한 광범위의 AC 모터 응용들에 대해 DC 링크 전류 재현의 이용을 확대시킨다.
전형적인 DC 링크 전류 감지 및 위상 전류의 재현은 모두 디지털 모터 제어 응용에 있어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하드웨어 회로는 대개 증폭기, 샘플 및 홀드 회로, 멀티플렉서, 및 A/D 변환기로 구성된다. 샘플 및 홀드 회로의 위치는 서로 다를 수 있지만(도 1 및 2 참조), 공통의 시도로서 단지 1개의 샘플 및 홀드 회로 만을 갖는다. 3상 AC 모터 응용들에서, 3개의 AC 위상 전류를 한번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2개의 위상 전류 정보가 재현될 필요가 있다. 도 3은 AC 모터를 갖는 전형적인 인버터 회로를 나타내는 바, 도 4의 PWM 사이클에서의 스위칭 패턴(100)에 대응하는 특정의 전류 흐름을 갖는다. 단일의 션트 저항(R)(도 3) 또는 홀 효과 타입의 전류 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DC 링크 전류 감지는 대개 PWM 사이클 내에서 2개의 위상 전류 정보를 포함한다. 도 4는, 예로서, 위상 U 및 위상 W 전류 정보를 포함한다. DC 링크 상의 2개의 위상 전류 정보 각각의 지속 기간은 PWM 사이클에서의 특정 PWM 스위칭 패턴의 동기화에 따라 달라진다. 도 4에는, 인버터 스위치들의 스위칭 상태들이 나타나 있는 바, "1"은 하이측 스위치가 온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활성 전압 벡터 상태 "100"은, 하이측 스위치 U1(도 3)이 온(U2는 오프)이고, V1이 오프(V2는 온)이고, W1이 오프(W2는 온)일 때이다. 이것은 도 3의 상태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칭 상태 또는 활성 전압 벡터(100) 동안, DC 링크의 전류가 위상 전류(IU)인데, 이것은 -(IV + IW)와 같다.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통상적인 재현 회로에 의해, 제 1 위상 전류는 샘플 및 홀드 회로(S/H)에 의해 포획된 다음, A/D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전기량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제 1 위상 전류의 샘플링 및 변환 이후, 제 2 위상 전류가 동일한 샘플 및 홀드 회로(S/H)에 의해 포획된 다음, A/D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다. 따라서, 이러한 2개의 위상 전류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은 다음과 같이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1) 샘플 및 홀드 회로에 의해 제 1 모터 위상 전류를 포획한다.
2) A/D 변환기에 의해 제 1 모터 위상 전류를 변환한다.
3) 샘플 및 홀드 회로에 의해 제 2 모터 위상 전류를 포획한다.
4) A/D 변환기에 의해 제 2 모터 위상 전류를 변환한다.
전형적인 3상의 중앙 정렬되는 PWM 변조 방식에 있어서, 상기의 연속적인 이벤트는 도 4에 나타낸 PWM 사이클에서 2번 일어난다. 각 위상 전류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제 1 모터 위상 전류(T1 주기) → 제 2 모터 위상 전류(T2 주기) → 제 2 모터 위상 전류(T2 주기) → 제 1 모터 위상 전류(T1 주기). 2개의 이벤트들은,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을 때에 제로 전압 벡터(111)에 의해 분리된다.
이러한 예에서, 제 1 모터 위상 전류는 모터 위상 U 전류를 나타내고, 제 2 모터 위상 전류는 모터 위상 W 전류를 음의 값으로 나타낸다. 위상 V의 모터 위상 전류는, 3개의 모든 위상 모터 전류들의 합이 제로가 된다는 사실로부터 얻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2상 모터 전류 재현 방법은, 위상 전류의 지속 기간(도 4의 T1 그리고/또는 T2)이, 샘플 및 홀드 회로와 A/D 변환기가 위상 전류 아날로그 값을 포획하고 A/D 변환을 완료하는 데에 요구되는 시간 보다 짧을 때에 한계를 갖는다. 샘플 및 홀드 회로가 아날로그 값을 포획하는 데에 걸리는 통상의 시간은 약 수백 나노세컨드 내지 1 마이크로세컨드이며, A/D 변환을 위한 통상의 시간은 12 비트 A/D 변환기에 대해 수 마이크로세컨드 내지 10 마이크로세컨드이다.
따라서, 실제로 3 마이크로세컨드가 한계인데, 그 아래에서는 전류 재현이 달성될 수 없다. 지속 기간(T1 및 T2)은 활성 전압 벡터의 정확한 시간 기간이다. 도 3의 예에서, 이들은 T1 및 T2 주기에 대해 각각 (100) 및 (110) 벡터이다.
전압 벡터는 공간 벡터 도메인(도 5) 내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해치 영역들로서 나타낸 소위 "섹터 크로싱(sector crossing)" 영역들에 도달할 때에는, 모터 위상 전류 재현이 달성될 수 없다. 이러한 영역들에서, T1 또는 T2중 어느 하나는 매우 작게 될 것이며, 포획과 A/D 변환을 모두 행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감소된 지속 기간 펄스 동안 포획 및 A/D 변환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C 링크에 의해 공급되고 PWM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다상 인버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가 제공되는 바, 이 장치는: DC 링크 내의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얻음으로써 상기 DC 링크의 전류를 샘플링하는 제 1, 2 샘플링 수단(sampling arrangement)과, 여기서 상기 제 1 샘플링 수단은 상기 다상 인버터의 제 1 스위칭 패턴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주기 동안 상기 DC 링크의 전류의 제 1 샘플을 얻고, 상기 제 1 샘플을 저장하며, 상기 제 2 샘플링 수단은 상기 제 1 시간 주기 이후의 그리고 상기 다상 인버터의 제 2 스위칭 패턴에 대응하는 제 2 시간 주기 동안 상기 DC 링크의 전류의 제 2 샘플을 얻고, 상기 제 2 샘플을 저장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시간 주기 이후의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 1 샘플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다음의 제 3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 2 샘플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모터 제어기의 DC 링크로부터의 모터 위상 전류를 결정하는 종래 기술의 회로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회로를 나타낸다.
도 3은 모터 제어기의 DC 링크 및 인버터를 나타낸다.
도 4는 인버터의 PWM 사이클을 나타내는 바, 스위칭 패턴들 및 그에 따라 활성 전압 벡터들이 어떻게 생성되는 지를 보여준다.
도 5는 인버터에 대한 공간 벡터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3상 변조에 대한 도 6의 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 패턴들 및 샘플 시 간(times)을 나타낸다.
도 8은 2상 변조에 대한 스위칭 패턴들 및 샘플 시간을 나타낸다.
도 9는 인버터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활성 벡터들(T1 및 T2)의 시간 지속 기간으로 인한 제한을 최소화하기 위해, 새로운 회로가 개발되었으며, 도 6은 이러한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의 회로는 DC 링크 상에 나타나는 2개의 모터 전류 신호들을 포획하기 위한 병렬 연결된 2개의 샘플 및 홀드 회로들(S/H1 및 S/H2)을 갖는다. 이러한 회로에서는, 전압 벡터가 "섹터 크로싱" 영역에 있다고 하더라도, 관련된 모터 위상 전류가 샘플링 타임에 포획될 수 있다. A/D 변환은 반드시 위상 전류 피드백의 아날로그값을 포획한 직후에 처리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이러한 변환은 제 2 위상 전류 포획이 완료된 이후에 일어난다.
이러한 방법의 장점은, 제 1 모터 위상 전류 재현에 대한 A/D 변환에 요구되는 시간을 없앰으로써, 활성 전압 벡터들에 대한 시간 제한(T1 및 T2)을 최소화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회로는 연산 증폭기(A) 및 2개의 병렬의 샘플/홀드 회로들(S/H1 및 S/H2)을 포함한다. 연산 증폭기(A)는 DC 링크 션트 저항(R)을 통해 발생하는 아날로그 입력 전압을 조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연산 증폭기는 시스템에서 나타날 수 있는 공통형 잡음(common mode noise)을 제거하기 위해 차동 모드 증폭기를 포함한다. 2개의 병렬의 샘플/홀드 회로들(S/H1 및 S/H2)은 PWM 스위칭 패턴에 동기됨으 로써 2개의 모터 위상 촙(chop) 전류 정보를 포획하도록 설계된다. 전형적으로, 각각의 샘플 및 홀드 회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및 캐패시터로 구성된다. 스위치는 전형적으로 직렬의 패스 MOS 트랜지스터(들)에 의해 구현되고, 홀드 캐패시터는 패스 트랜지스터들의 스위치 뒤에 연결되고, 전압 강하의 드룹(droop)없이 아날로그의 포획된 값을 홀드하도록 설계된다. 샘플/홀드 스위치들(T1 및 T2 스위치들)은 대개 각각의 활성 전압 벡터들의 중심점에서 닫히고 열린다. T1 스위치가 열려있는 동안, 캐패시터에 저장되어 있는 아날로그값은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며, 이후의 A/D 변환은 제 1 모터 위상 전류를 디지털화하기 위해 일어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모터 위상 전류의 A/D 변환이 진행되는 동안, 비록 T1 주기가 매우 작아진다고 하더라도, 스위치(T2)는 제 2 모터 위상 전류를 독립적으로 포획할 수 있다. 일단 제 1 모터 위상 전류와 관련된 A/D 변환이 완료되면, 제 2 모터 위상 전류의 A/D 변환이 스위치(T2)에 대한 홀드 캐패시터 상에 저장된 아날로그값에 기초하여 시작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회로는 제 2 모터 위상 전류를 포획하는 것과 제 1 모터 위상 전류의 A/D 변환을 수행하는 것 간에 병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방법에서, T1 그리고/또는 T2 기간에 대한 시간 제약은, 홀드 캐패시터 사이즈에 의존하여 전형적으로 5백 나노세컨드 미만인 샘플 및 홀드 회로의 캡춰 시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새로운 방법은 위상 전류들이 결정되지 않는 공간 벡터 도메인의 섹터 크로싱 영역을 상당히 감소시킴으로써, 재현되는 전류 파형의 충실도를 개선하고, 왜곡을 감소시킨다.
도 7은 2개의 개별적인 샘플 및 홀드 동작을 갖는 3상 PWM 변조에서의 전형적인 스위칭 패턴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비록 T1 주기가 매우 짧게 되더라도, 그 정보는 T1 주기의 중심에서 스위치(T1)의 홀드 캐패시터에 의해 포획된다. T1 주기(S/H1)의 A/D 변환의 지속 기간은 전용 샘플링 및 홀드(S/H2)에 의한 T2 주기의 포획과 겹칠 수 있게 된다.
도 8은 2개의 개별적인 샘플 및 홀드 회로들을 갖는 2상 PWM 변조에서의 전형적인 스위칭 패턴을 나타낸다. 이러한 2상 PWM에서, 위상 W 스위치들은 항상 동일한 상태를 갖는다. 즉, 상위 스위치(W1)는 오프이고, W2는 항상 온이다. T1 주기가 작아지면, 동일한 방식으로, 2개의 행동, 즉 T1 주기의 A/D 변환과 샘플링 및 홀드 회로(S/H2)에 의한 T2 주기 모터 회로의 포획이 일어난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회로는 3상 및 2상의 PWM 변조 방식 모두에서 동작한다.
본 발명은 그 특정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많은 다른 변형들, 수정들 및 다른 이용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서의 특정 개시 내용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4)

  1. DC 링크에 의해 공급되고 PWM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다상 인버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로서,
    상기 DC 링크 내의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얻음으로써 상기 DC 링크의 전류를 샘플링하는 제 1, 2 샘플링 수단과, 여기서 상기 제 1 샘플링 수단은 상기 다상 인버터의 제 1 스위칭 패턴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주기 동안 상기 DC 링크의 전류의 제 1 샘플을 얻고, 상기 제 1 샘플을 저장하며, 상기 제 2 샘플링 수단은 상기 제 1 시간 주기 이후의 그리고 상기 다상 인버터의 제 2 스위칭 패턴에 대응하는 제 2 시간 주기 동안 상기 DC 링크의 전류의 제 2 샘플을 얻고, 상기 제 2 샘플을 저장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시간 주기 이후의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 1 샘플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다음의 제 3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 2 샘플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샘플링 수단은 샘플 및 홀드 회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수단들은,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샘플링 수단이 그 시간 주기에 대한 상기 DC 링크의 전류를 샘플링하고 상기 A/D 변환기가 이전 시간 주기에 대한 샘플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3상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수단들은, PWM 주기 동안, 상기 제 1 샘플링 수단이 샘플링하고, 상기 제 2 샘플링 수단이 2번 샘플링한 다음, 상기 제 1 샘플링 수단이 샘플링하도록, 연속적으로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2상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수단들은, PWM 주기 동안, 상기 제 1 샘플링 수단이 샘플링하고, 상기 제 2 샘플링 수단이 샘플링한 다음, 상기 제 1 샘플링 수단이 샘플링하도록, 연속적으로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샘플링 수단들과 상기 A/D 변환기 사이에 배치되는 멀티플렉서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결합되는 멀티플렉서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샘플링 수단은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의 출력을 제공받고, 상기 A/D 변환기에 출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DC 링크의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홀 효과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기는 상기 제 2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 1 샘플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기는 상기 제 3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 2 샘플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및 홀드 회로들 각각은 스위치 및 저장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부하의 위상 전류들을 재현하는 장치.
KR1020077014493A 2005-01-03 2006-01-03 Dc 링크를 통한 모터 위상 전류 재현을 개선하기 위한회로 KR200700892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4117505P 2005-01-03 2005-01-03
US60/641,175 2005-0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206A true KR20070089206A (ko) 2007-08-30

Family

ID=3664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493A KR20070089206A (ko) 2005-01-03 2006-01-03 Dc 링크를 통한 모터 위상 전류 재현을 개선하기 위한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48757B2 (ko)
EP (1) EP1834403A2 (ko)
JP (1) JP2008533955A (ko)
KR (1) KR20070089206A (ko)
CN (1) CN101496276A (ko)
WO (1) WO200607412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450A (ko) * 2017-11-17 2020-05-29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모터 구동 시스템 및 상전류와 상전압을 재구성하는 동기화 계산 방법 방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0333B2 (en) * 2007-03-20 2010-09-21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Audible noise reduction for single current shunt platform
ITVA20070065A1 (it) * 2007-07-25 2009-01-26 St Microelectronics Srl Metodo e dispositivo di pilotaggio per motore brushless con profilo di tensione predisposto per una commutazione progressiva e automatica da un pilotaggio di tipo sinusoidale trifase ad un pliotaggio trifase ad onda quadra
US8248829B2 (en) * 2009-05-01 2012-08-21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s and systems for phase current reconstruction of AC drive systems
JP5920300B2 (ja) * 2013-09-18 2016-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変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0137790B2 (en) * 2017-02-17 2018-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noise reduction in electrified vehicle powertrain with multi-three-phase electric drive
CN112436750B (zh) * 2020-10-09 2022-04-19 杭州士兰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逆变器的控制方法及其控制电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4775B2 (ja) * 2000-04-27 2007-10-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バータ装置
US6735537B2 (en) * 2002-03-15 2004-05-11 Motorola, Inc. Procedure for measuring the current in each phase of a three-phase device via single current sensor
JP2004304925A (ja) * 2003-03-31 2004-10-28 Toshiba Corp インバー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450A (ko) * 2017-11-17 2020-05-29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모터 구동 시스템 및 상전류와 상전압을 재구성하는 동기화 계산 방법 방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48757B2 (en) 2008-03-25
JP2008533955A (ja) 2008-08-21
WO2006074120A3 (en) 2009-04-16
EP1834403A2 (en) 2007-09-19
WO2006074120A2 (en) 2006-07-13
CN101496276A (zh) 2009-07-29
US20060245743A1 (en)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9206A (ko) Dc 링크를 통한 모터 위상 전류 재현을 개선하기 위한회로
KR101192520B1 (ko) 다상 모터의 각각의 위상에 전류를 공급하는 장치
Lee et al. A novel control method for three-phase PWM rectifiers using a single current sensor
US7339394B2 (en) Current sensing in a two-phase motor
JPH09196699A (ja) チョップサンプルアンドホールド回路
KR960036340A (ko) D/a 콘버터
US6215435B1 (en) Linear current sensing circuit for motor controller
JPH10132870A (ja) コンバータ内電流測定装置
JPH09270961A (ja) 固体撮像装置
US5374929A (en) DA converter which combines output of a plurality of low pass filters selectively enabled and disabled by respective electronic switches
JPS6369005A (ja) 磁気記録回路
JPH04152779A (ja) ノンリニアディジタル信号処理回路
JP3456107B2 (ja) 入出力モジュール
JP3102024B2 (ja) D/a変換方法
JPH11164581A (ja) 位相比較回路
JP3109316B2 (ja) 波形発生装置
JP2817644B2 (ja) 回転ヘッ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176237A (ja) 固体撮像装置
JPS6221289B2 (ko)
JPH04230186A (ja) Hdtv信号対応ビデオデコ−ダ
JPH04133521A (ja)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器
JPH04326879A (ja) 撮像装置
JPH0522983A (ja) 無整流子直流電動機
JPH03296975A (ja) フロッピイ・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のpll回路装置
JPH0884271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