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819A - 가스방전패널 - Google Patents

가스방전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819A
KR20070088819A KR1020077018126A KR20077018126A KR20070088819A KR 20070088819 A KR20070088819 A KR 20070088819A KR 1020077018126 A KR1020077018126 A KR 1020077018126A KR 20077018126 A KR20077018126 A KR 20077018126A KR 20070088819 A KR20070088819 A KR 20070088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ischarge
display
lin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6608B1 (ko
Inventor
유스케 다카다
도루 안도
노부아키 나가오
히데타카 히가시노
마사키 니시무라
류이치 무라이
요시오 와타나베
나오키 고스기
히로유키 다치바나
고이치 와니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01J2211/323Mutual disposition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전극 및 스캔전극을 한 쌍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복수 쌍의 표시전극이 복수의 셀에 걸치는 상태로 배치된 가스방전패널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 상기 스캔전극은 각각 복수 개의 라인부를 갖고 있고, 화소 피치에 대하여 유지전극 및 스캔전극이 갖는 라인부의 합계 폭이 차지하는 비율이 22% 내지 48%인 것으로 한다.
유지전극, 스캔전극, 가스방전패널

Description

가스방전패널{GAS DISCHARGE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가스방전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은 가스방전패널의 일종으로, 얇은 두께로도 대화면화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차세대의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주목받고 있다. 현재는 60인치급의 것도 상품화되어 있다.
도 28은 일반적인 교류면방전형 PDP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사시도이다. 도면 중, z 방향이 PDP의 두께방향, xy 평면이 PDP의 패널면에 평행한 평면에 상당한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PDP(1)는 서로 주면을 대향시켜 배치된 전면패널(FP) 및 후면패널(BP)로 구성된다.
전면패널(FP)의 기판이 되는 전면패널유리(2)에는, 그 한 쪽의 주면에 한 쌍을 이루는 2개의 표시전극(4, 5)(스캔전극(4), 유지전극(5))이 x 방향을 따라 복수 쌍 구성되고, 각각 한 쌍의 표시전극(4, 5) 사이에서 면방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표시전극(4, 5)은 여기서는 일례로서 Ag에 유리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스캔전극(4)은 각각 전기적으로 독립하여 전원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지전극(5)은 각각 전부 전기적으로 같은 전위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표시전극(4, 5)을 배치한 전면패널유리(2)의 주면에는 절연성재료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층(6)과 보호층(7)이 차례로 코트되어 있다.
후면패널(BP)의 기판이 되는 후면패널유리(3)에는, 그 한 쪽 주면에 복수의 어드레스전극(11)이 y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스트라이프형상으로 병설된다. 이 어드레스전극(11)은 Ag과 유리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어드레스전극(11)을 배치한 후면패널유리(3)의 주면에는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층(10)이 코트된다. 유전체 층(10) 상에는 인접하는 2개의 어드레스전극(11)의 간극에 맞추어 격벽(8)이 배치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2개의 격벽(8)의 각 측벽과 그 사이의 유전체 층(10)의 면 상에는 적색(R), 녹색 (G), 청색(B)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형광체 층(9R, 9G, 9B)이 형성된다.
또, 도 28에서는 형광체 층(9R, 9G, 9B)의 x 방향 폭을 동일 크기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각 형광체의 휘도균형을 잡기 위해, 특정한 색의 형광체 층의 x 방향 폭을 넓게 취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면패널(FP)과 후면패널(BP)은 어드레스전극(11)과 표시전극(4, 5)의 서로의 길이방향이 직교하도록 대향된다.
전면패널(FP)과 후면패널(BP)은 프릿유리 등의 봉함부재에 의해, 각각의 둘레부에서 봉함되고, 양 패널(FP, BP)의 내부가 밀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봉함된 전면패널(FP)과 후면패널(BP)의 내부에는, Xe를 포함하는 방전가스(봉입가스)가 소정의 압력(종래에는 통상 40kPa∼66.5kPa 정도)으로 봉입된다.
이로 인하여, 전면패널(FP)과 후면패널(BP) 사이에서, 유전체 층(6)과 형광체 층(9R, 9G, 9B) 및 인접하는 2개의 격벽(8)으로 구획된 공간이 방전공간(38)이 된다. 또, 이웃하는 한 쌍의 표시전극(4, 5)과, 하나의 어드레스전극(11)이 방전공간(38)을 끼워 교차하는 영역이 화상표시에 관련하는 셀(도시생략)이 된다. 여기서, 도 29는 PDP의 복수 쌍의 표시전극(4, 5)(N열)과 복수의 어드레스전극(11)(M행)이 형성하는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PDP 구동시에는 각 셀에서, 어드레스전극(11)과 표시전극(4, 5)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서 방전이 시작되고, 한 쌍의 표시전극(4, 5)들간의 방전에 의해 단파장의 자외선(Xe 공명선, 파장 약 147nm)이 발생되어, 이 자외선을 받아 형광체 층(9R, 9G, 9B)이 가시광으로 발광한다. 이로 인하여, 화상표시가 이루어진다.
다음에, 종래의 PDP의 구체적인 구동방법에 대하여 도 30, 도 3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0에 종래의 PDP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PDP 구동장치)의 블록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31에 패널의 각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파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DP 표시장치에는 PDP을 구동하기 위한 프레임 메모리(100), 출력처리회로(110), 어드레스전극 구동장치(120), 유지전극 구동장치(130), 스캔전극 구동장치(140) 등이 내장되어 있다. 각 전극(4, 5, 11)은 스캔전극 구동장치(140), 유지전극 구동장치(130), 어드레스전극 구동장치(120)에 각각 이 순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어드레스전극 구동장치(120), 유지전극 구동장치(130), 스캔전극 구동장치(140)는 출력처리회로(11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PDP 구동시에는 외부로부터 화상정보가 프레임 메모리(100)에 일단 저장되고, 타이밍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임 메모리(100)로부터 출력처리회로(110)로 도입된다. 그 후, 화상정보와 타이밍정보에 기초하여 출력처리회로(110)가 구동되어 어드레스전극 구동장치(120), 유지전극 구동장치(130), 스캔전극 구동장치(140)에 지시를 하고, 각 전극(4, 5, 11)에 펄스전압을 인가하여 화면표시를 이룬다.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DP의 구동방법에서는 초기화기간, 기입기간, 유지기간, 소거기간이라는 일련의 시퀀스에 의해 표시를 행하고 있다.
텔레비전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NTSC 방식에서의 영상은 1초간에 60매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점등이나 소등의 2계조밖에 표현할 수 없으므로, 중간색을 표시하기 위해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각 색의 점등시간을 시분할하고, 1필드를 수개의 서브필드로 분할하여, 그 조합에 의해 중간색을 표현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도 32는 종래의 교류구동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각 색 256계조를 표현하는 경우의 서브필드의 분할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각 서브필드의 방전유지기간 내에 인가하는 유지펄스 수의 비를 1, 2, 4, 8, 16, 32, 64, 128과 같이 이진으로 가중하고, 이 8비트를 조합하여 256계조를 표현하고 있다.
PDP 구동시에는 각 서브필드에서 스캔전극(4)에 초기화 펄스를 인가하여, 패널의 셀 내의 벽전하를 초기화한다. 다음에, y방향 최상위(디스플레이 최상위)의 스캔전극(4)에 주사펄스를 인가하고, 최상위 스캔전극(4)을 포함하는 셀 중 표시시 키고 싶은 셀의 어드레스전극(11)에 기입펄스를 인가하여 기입방전을 행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스캔전극(4)과 어드레스전극(11)에 대응하는 셀의 유전체 층(6)의 표면에 벽전하를 축적한다.
그 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최상위에 계속되는 두 번째 이후의 스캔전극(4)과 표시셀의 어드레스전극(11)에 각각 주사펄스와 기입펄스를 인가하여, 각 셀에 대응하는 유전체 층(6)의 표면에 벽전하를 축적한다. 이것을 디스플레이 표면 전체의 표시전극(4, 5)에 대하여 행하여 1화면분의 잠상을 기입한다.
다음에, 어드레스전극(11)을 접지하여 스캔전극(4)과 유지전극(5)에 교대로 유지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유지방전을 행한다. 기입방전에 의해 유전체 층(6)의 표면에 벽전하가 축적된 셀에서는 유전체 층(6)의 표면의 전위가 방전개시전압을 상회함으로써 방전이 발생되고, 유지펄스가 인가되어 있는 기간(유지기간), 기입펄스에 의해 선택된 표시셀의 유지방전이 이루어진다. 유지방전시에서는 각 셀에서 어드레스전극(11)과 표시전극(4, 5)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서 방전이 시작되고, 한 쌍의 표시전극(4, 5)들간의 방전에 의해 단파장의 자외선(Xe 공명선, 파장 약 147nm)이 발생되어, 이 자외선을 받아 형광체 층(9R, 9G, 9B)이 가시광으로 발광한다. 이로 인하여, 화상표시가 이루어진다.
그 후, 폭이 좁은 소거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불완전한 방전이 발생되고 벽전하가 소멸되어 화면이 소거된다.
그런데, 가능한 한 소비전력을 억제한 전기제품이 요구되는 오늘날에는 PDP에서도 구동시의 소비전력을 낮게 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특히 요즘의 대화면화 및 고선명화의 동향에 따라 개발되는 PDP의 소비전력이 증가경향에 있기 때문에, 전력절감화를 실현시키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 PDP에서는 안정적인 화상표시성능을 얻는 것도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PDP의 안정된 구동과 발광휘도를 유지하면서 소비전력을 저감시키는 것, 즉 발광효율의 향상이 요구된다.
또,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형광체가 자외선을 가시광으로 변환할 때의 변환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발광효율의 향상이 한층 더 요구되고 있다.
또, 종래에는 패널휘도를 증가시키면서 방전전류를 적절히 억제하기 위해, 표시전극을 부분적으로 분할하거나 개구부를 설치한 전극구조를 이용하는 등의 기술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 2734405호 공보). 그러나, 분할된 전극의 면적이 설정됨에 따라 방전전류가 너무 작아져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극치수에 편차가 생긴 경우, 상기의 문제점은 현저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굵은 모선전극을 배치하면 충분한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지만, 모선부분에서의 발광은 모선 자체에 의해 차단되므로, 이 점에서 휘도확보에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모선전극이나 주 방전 갭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는 전극면적을 넓히면, 인접 셀과의 거리가 짧아지는 데다가 전하축적이 셀 중심보다 외측 영역으로 편중되기 쉬워, 크로스토크 등의 이상방전이 발생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전극면적이 작아지면 저항값이 상승되므로 전력손실이 발생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 종래의 구성에서는, 형광체 층이나 격벽 등이 백색이기 때문에 패널표시 면측의 외광반사가 크고, 암실에서의 콘트라스트비는 500:1 이상이더라도 명소(明所)의 콘트라스트비가 수십 대 1 정도로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방전 셀과 셀 사이에 흑색영역(소위 블랙스트라이프)을 설치하여, 1셀당 흑색면적비율(흑비율)을 증가시켜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표시 면측에 필터를 배치하여 콘트라스트비를 향상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표시전극은 방전에 의한 가시광의 인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투명전극과 패널 내에서의 배선저항을 낮추기 위한 버스전극으로 기능을 분리해 두고, 버스전극의 기판측을 포함시킨 인접 셀 사이를 흑색으로 하여 콘트라스트비를 높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버스전극의 기판면측을 검게 하기 위해서는 버스전극의 기판측이 흑색이 되는 전극재료를 이용하거나, 또는 투명전극과 버스전극과의 사이에 도전성의 흑색재료를 블랙스트라이프의 역할로서 형성하는 선택밖에 없다. 또, 흑비율을 높이기 위해 인접한 버스전극 사이를 흑색으로 하기 위해서는, 절연성이 다른 흑색재료를 형성할 필요가 있고, 소정의 흑비율(콘트라스트)을 얻기 위해서는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되며, 재료비용이 비싸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뛰어난 표시성능(휘도 및 발광효율 및 흑비율, 콘트라스트)을 갖는 양호한 표시성능의 가스방전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제 1의 목적으로 한다.
또,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한 전극구조를 이용하여 전극의 저항을 억제하고 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전전류를 삭감하여 휘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소비전력을 절감하고, 또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방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제 2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지전극 및 스캔전극을 한 쌍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복수 쌍의 표시전극이 복수의 셀에 걸치는 상태로 배치된 가스방전패널로, 상기 유지전극 및 상기 스캔전극은 각각 복수 개의 라인부를 가지고 있고, 화소 피치에 대하여 유지전극 및 스캔전극이 갖는 라인부의 합계 폭이 차지하는 비율이 22% 내지 48%로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PDP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종래 예와 거의 동일하며, 본 발명의 특징은 주로 표시전극과 그 주변의 구조에 있으므로, 이하는 당해 표시전극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
도 1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패널이라 함)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1)의 전면패널(FP)에는, 유전체 층(6)으로 덮인 한 쌍의 표시전극(4, 5)(스캔전극(4), 유지전극(5))이 복수 쌍에 걸쳐 배열되어 있다.
하나의 방전 셀은 한 쌍의 표시전극(4, 5)과 어드레스전극(11)의 교차부에 대응하고 있고, 격벽(8)과 직교하는 방향(x 방향)으로 인접하는 3개의 방전 셀에 의해 하나의 화소가 구성되어 있다.
1-1. 표시전극의 구성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관한 표시전극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캔전극(4), 유지전극(5)은 복수의 라인부(4a∼4d, 5a∼5d)로 분할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셀의 크기가 Wx ×Wx(1080㎛ ×1080 ㎛) 정도인 경우, 스캔전극(4), 유지전극(5)의 각각의 라인부의 수는 4개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라인부 간극을 지나치게 확대하지 않으면서 방전규모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복수의 라인부(4a∼4d, 5a∼5d)는 각각 스캔전극(4), 유지전극(5)의 진전하는 방향(x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형상을 하고 있다. 이것은 FP과 BP의 접합공정을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셀 면적에서의 라인부의 총면적만 설정하면 되므로, 표시전극(4, 5)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실시 예에서의 각 크기, 즉 라인부(4a∼4d, 5a∼5d)의 폭(W4a∼W4d, W5a∼W5d), 라인부(4a∼4d, 5a∼5d)의 간극(D4ab∼D4cd, D5ab∼D6cd), 스캔전극(4), 유지전극(5)의 간극(라인부(4a)와 라인부(5a)의 간극)을 나타내는 주 방전 갭(Dga)의 예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57209767-PAT00001
라인부(4a∼4d, 5a∼5d)는 각각의 폭이 40㎛이고, 또한 각각의 간극은 50㎛∼90㎛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라인부(4a∼4d, 5a∼5d)의 폭을 모두 더하면 320㎛가 되고, 이것은 화소 피치 1080㎛의 약 30%가 된다. 이 예에서는 분할된 라인부(4a∼4d, 5a∼5d)는 직선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면적의 합이 1화소면적 1080㎛ ×1080㎛의 약 30%로 된다.
도 2의 표시전극구성의 경우에서, 라인부(4a∼4d, 5a∼5d)의 중심위치는 일정하고, 폭(W4a∼W4d, W5a∼W5d), 라인부(4a∼4d, 5a∼5d)를 동시에 변화시켰을 때의 휘도 및 방전전력의 변화를 도 3에 나타낸다. 전극의 중심위치는 일정하기 때문에, 간극(D4ab∼D4cd, D5ab∼D5cd)도 동시에 변화한다. 폭(W4a∼W4d, W5a∼W5d)은 여기서는 셀 피치(이 경우, 1080㎛)에 대한 비로 나타낸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라인부 폭의 증가와 함께 방전전류는 단조롭게 증가한다. 이것은 전극의 방전에 관여하는 전극면적이 증대하여 전류공급이 많이 행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방전에서의 자외선 발생효율, 형광체에 의한 가시광 변환효율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생각되므로, 방전전력의 증가와 함께 방전에 의한 가시광 발생강도가 강해지기 때문에, 휘도가 상승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방전전력의 증가만큼 휘도는 증가하지 않고, 더구나 라인부(4a∼4d, 5a∼5d)의 폭(W4a∼W4d, W5a∼W5d)이 각각 화소 피치의 5% 이상이 되면 급격히 감소로 전환된다.
이것은 라인부(4a∼4d, 5a∼5d)가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폭의 증가와 함께 발생한 가시광을 차폐하는 면적이 증가하여(즉, 가시광이 통과하는 라인부 간극(D4ab∼D4cd, D5ab∼D5cd)의 폭이 좁아지고, 개구율이 감소하여), 패널표시 면 측으로 방출되는 가시광의 양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입력한 전력에 대하여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나타내는 이 영역은 실제로 디스플레이로서 상품화하는 데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것은 라인부(4a∼4d, 5a∼5d)의 폭(W4a∼W4d)이 가령 제조공정에서 불균일하게 된 경우에 휘도변화가 크기 때문에, 휘도 편차가 큰 제품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소비전력이 높고, 휘도도 높은 제품은 구동방법을 연구(예를 들어 펄스 수를 감소시키는 등)하여 휘도를 규격(출하기준) 내로 억제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들을 종합하면, 전력에 대한 휘도로의 변환효율, 즉 발광효율이라는 관점에서는 라인부의 폭이 좁을수록 높지만, 2.8%보다 작으면 전압을 확보할 수 없다. 한편, 6%보다 크면 방전효율이 낮아진다. 이때문에, 휘도가 완만하게 최대값을 얻는 2.8%∼6%의 사이가 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라인부 폭의 증가와 함께 완만하게 휘도가 상승되는 3%∼5%의 사이가 최적이다.
이 실험의 경우, 모든 라인부 폭을 동일하게 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바꾸어 말하면 표시전극(4, 5)의 화소 피치에 대한 라인부의 합계 폭이 22%∼48%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4%∼40% 사이가 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이 범위에서는 라인부 폭에 대한 휘도의 변화율이 작기 때문에, 제조공정에서 라인부 치수가 불균일하게 된 경우의 휘도 편차가 작다는 효과도 있다.
라인부(4a∼4d, 5a∼5d) 중 일부를 투명전극으로 구성하면, 상기와 같은 차폐효과(개구율의 저하)에 의한 휘도저하는 없어질 것으로 생각되지만, 투명전극은 금속전극에 비해 저항값이 높고, 라인부(4a∼4d, 5a∼5d) 중 투명전극을 이용하는 비율이 늘어날수록 전체의 저항값이 상승한다. 저항값의 상승은 저항손실을 초래할 뿐만아니라, 라인부(4a∼4d, 5a∼5d)의 도중에서 전압강하를 야기하여, 구동회로에서 먼 위치에 있는 셀의 방전 갭 부근에서의 전압이 구동회로로부터의 출력에 비해 낮아진다. 이것은 전체 셀을 균일하게 구동하기 위해 보다 높은 전압이 필요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투명전극의 경우는 금속전극보다 저항값이 높기 때문에, 라인부(4a∼4d, 5a∼5d)의 면적에 대한 전류증가는 금속전극의 경우에 비해 작고, 효과도 작다. 따라서, 투명전극재료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라인부(4a∼4d, 5a∼5d) 중 방전 갭에 가까운 3개의 라인부(4a∼4c, 5a∼5c)까지로 하고, 방전 갭에서 가장 먼 라인부(4d, 5d)는 적어도 금속전극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반대로 표시전극을 모두 금속전극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이 감소되는 효과도 있다.
라인부 간극(D4ab∼D4cd, D5ab∼D5cd)은 여기서는 50㎛∼90㎛로 설정되어 있다. 발명자의 실험에서는 이 간극 값에 110㎛ 이상의 부분이 포함되어 있으면 구동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라인부 간극(D4ab∼D4cd, D5ab∼D5cd)은 110㎛ 이하(y방향 셀 피치의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3. PDP의 제조방법
여기서는 제 1 실시 예의 PDP의 제작방법에 대하여 그 일례를 설명한다. 또, 여기에 예시하는 제작방법은 이후에 설명하는 실시 예의 PDP와 거의 동일하다.
1-3-1. 전면패널의 제작
두께 약 2.6mm의 소다라임 유리로 이루어지는 전면패널유리의 면 상에 표시전극을 제작한다. 여기서는 금속재료(Ag)를 이용한 금속전극으로 표시전극을 형성하는 예(후막형성법)를 나타낸다.
우선, 금속(Ag)분말과 유기매개체에 감광성 수지(광 분해성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감광성 페이스트를 제작한다. 이것을 전면패널유리의 한쪽 주면 상에 도포하고, 형성할 표시전극의 패턴을 갖는 마스크로 덮는다. 그리고, 당해 마스크 상으로부터 노광하고, 현상·소성(590∼600℃ 정도의 소성온도)한다. 이로 인하여, 종래에는 100㎛의 선폭이 한계로 되어 있던 스크린인쇄법에 비해 30㎛ 정도의 선폭까지 세선화(細線化)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금속재료로서는 이 밖에 Pt, Au, A1, Ni, Cr, 또한 산화주석, 산화인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전극은 상기 방법 이외에도 증착법, 스퍼터링법 등으로 전극재료를 성막한 후, 에칭처리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인쇄법 등에 의해 유리페이스트를 도포하고, 이것을 소성하여 유전체 층을 형성한다.
다음에, 유전체 층의 표면에 두께 약 0.3∼0.6㎛의 보호층을 증착법 또는 CVD(화학증착법) 등으로 형성한다. 보호층으로는 산화마그네슘(Mg0)이 적합하다.
이로써 전면패널이 제작된다.
1-3-2. 후면패널의 제작
두께 약 2.6mm의 소다라임 유리로 이루어지는 후면패널유리의 표면 상에 스크린인쇄법에 의해 Ag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전체 재료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도포하고, 두께 약 5㎛의 어드레스전극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작하는 PDP를 예를 들어, 40인치급의 NTSC 또는 VGA로 하기 위해서는 이웃하는 2개의 어드레스전극의 간격을 0.4mm 정도 이하로 설정한다.
이어서, 어드레스전극을 형성한 후면패널유리의 면 전체에 걸쳐 납계 유리페이스트를 두께 약 10∼30㎛로 도포하고 소성하여 유전체 막을 형성한다.
다음에, 유전체 막과 동일한 납계 유리재료를 이용하여 유전체 막 상에 이웃하는 어드레스전극의 사이마다 높이 약 60∼100㎛의 격벽을 형성한다. 이 격벽은 예를 들어, 상기 유리재료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반복하여 스크린 인쇄한 후 소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격벽이 형성되면 격벽의 벽면과, 격벽 사이에서 노출되어 있는 유전체 막의 표면에 적색(R)형광체, 녹색(G)형광체, 청색(B)형광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광잉크를 도포하고, 이것을 건조·소성하여 각각 형광체 층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PDP에 사용되고 있는 형광체재료의 일례를 이하에 열거한다.
적색형광체 : (YxGd1 -x)BO3 : Eu3 +
녹색형광체 : Zn2SiO4 : Mn3 +
청색형광체 : BaMgAl10O17 : Eu3 +(혹은 BaMgAl14O23 : Eu3 +)
각 형광체재료는 예를 들어, 평균 입자직경 약 3㎛ 정도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형광체 잉크의 도포법은 몇가지 방법이 생각되지만, 여기서는 공지의 메니스커스법(meniscus method)이라는 극세 노즐로부터 메니스커스(표면장력에 의한 가교)를 형성하면서 형광체 잉크를 토출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 방법은 형광체 잉크를 원하는 영역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데에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은 물론 이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크린인쇄법 등 다른 방법도 사용 가능하다.
이상으로 후면패널이 완성된다.
또 전면패널유리 및 후면패널유리를 소다라임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것은 재료의 일례로서 든 것이고, 그 외의 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1-3-3. PDP의 완성
제작한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을 봉입용 유리를 이용하여 접합한다. 그 후, 방전공간의 내부를 고진공(1.1 ×10-4Pa) 정도로 배기하고, 이것에 소정의 압력(여기서는 6.7 ×105Pa)으로 Ne-Xe계나 He-Ne-Xe계, He-Ne-Xe-Ar계 등의 방전가스를 봉입한다.
(제 2 실시 예)
도 4는 제 2 실시 예의 표시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표 2는 제 2 실시 예에 관한 각 파라미터의 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Figure 112007057209767-PAT00002
제 2 실시 예는 라인부(4a∼4d, 5a∼5d)의 각 면적을 변화시킨 것이다. 제 1 실시 예에서는 라인부(4a∼4d, 5a∼5d)의 면적은 모두 동일하였지만, 도 4와 같이 방전 갭 가까이에 있는 라인부(4a, 5a)의 면적을 방전 갭으로부터 먼 라인부(4d, 5d)보다 작게 하면,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표시전극(4, 5)에 의한 개구율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더욱 휘도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단, 전극의 저항값의 문제 때문에 라인부(4a∼4d, 5a∼5d) 각 폭의 합계로서는 200㎛ 이상(셀 면적의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라인부(4a∼4d, 5a∼5d) 중, 방전 갭에 가까운 쪽부터 3개의 라인부(4a∼4c, 5a∼5c)의 폭(W4a∼W4c, W5a∼W5c)을 셀 피치의 6% 이하로 하여 제 1 실시 예와 거의 동일하게 하고, 방전 갭에서 가장 먼 라인부(4d, 5d)의 폭을 100㎛ 등으로 하여 저항값을 내린다. 이로 인하여, 4a, 5a의 전극면적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방전전류를 감소시켜, 휘도의 저하를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라인부(4d, 5d)의 면적을 크게 취함으로써, 휘도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표시전극(4, 5) 전체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 표시전극(4, 5) 전체의 면적이 확보되어 있으면, 라인부(4a, 5a) 등의 전극면적이 작더라도 장해는 없지만, 현실적으로 후막 또는 박막에 의한 전극형성법의 정밀도는 10㎛ 정도가 한계이다(이것은 y방향 셀 피치가 1080㎛인 경우에는 그 약 1%에 상당한다).
(제 3 실시 예)
도 5는 제 3 실시 예의 표시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3 실시 예에서는 제 1 실시 예에서의 라인부(4a∼4d, 5a∼5d)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연결부(4s, 5s)를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4s는 4a와 4b 사이, 4b와 4c 사이, 4c와 4d 사이에 설치되고, 5s는 5a와 5b 사이, 5b와 5c 사이, 5c와 5d 사이에 설치되어 있지만, 각각의 연결부는 인접하는 격벽(8) 사이에서 1개소씩만 배치되어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모든 격벽 사이에서 모든 라인부(4a∼4d, 5a∼5d)를 접속하도록 연결부(4s, 5s)를 설치하면 셀의 개구율을 저하시켜 휘도가 저하된다.
또, FP과 BP의 접합공정을 쉽게 하기 위해, 셀 구조와 연결부(4s, 5s)의 위치는 관계가 없는 편이 좋다. 연결부(4s, 5s)의 위치가 셀의 어디에 위치해야 하는지를 먼저 정하면 나중의 접합공정에서 FP와 BP를 정확히 위치맞춤 할 필요가 생겨 제조수율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셀의 어디에 연결부가 위치하더라도 특성상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1셀에 연결부(4s, 5s)를 1개소 이내의 비율로 형성한다. 연결부(4s, 5s)가 셀에 각각 하나만 배치하는 것이면, 휘도저하는 1% 정도로 끝나기 때문에, 배치위치가 어긋나더라도 휘도가 극단적으로 변하거나 하는 일은 없다.
또, 연결부(4s, 5s)의 배치는 가능한 한 무작위로 해야 한다. 그것은 연결부의 배치에 화소 피치보다 큰 주기성이 있으면, 그것이 표시 면의 모양과 같이 보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완전히 무작위로 하는 것은 마스크설계상 비효율적이므로, 연결부(4s, 5s)의 배치가 1셀 중에 각각 1개 이하의 비율로 한다. 이렇게 하면, 연결부(4s, 5s)의 배치위치에 주기성이 있다고 해도, 하나의 셀에 3개 이상의 연결부(4s, 5s)가 배치될 확률은 낮고, 연결부(4s, 5s)의 존재 자체가 표시 면에서 쉽게 보이지 않으므로 상술한 주기적인 모양이 보이는 경우도 없다.
또, 제 1 실시 예 내지 제 3 실시 예에서는, 각각 격벽(8)의 구조가 표시전극(4, 5)에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 스트라이프구조의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이외의 구조여도 된다.
또, 제 1 실시 예∼제 3 실시 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전극(4, 5)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구동회로 및 어드레스전극(11)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구동회로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접속함으로써 화상표시장치를 구성하면, 고휘도이고 우수한 화상표시성능을 갖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예에서는 화소 크기가 1080㎛ ×1080㎛에 대한 것이며, 42인치형 VGA(480 ×852화소 정도)의 화소 크기에 상당한다. 화소 크기가 이 값 부근인 경우에는 상기 실시 예의 수치는 그대로 적합하지만, 화소 피치가 다른 것에 대해서는 최적의 수치는 변화한다. 이때, 화소 피치가 작아진 경우에는 표시전극(4, 5)보다 적은 쪽이 좋고, 반대로 화소 피치가 커진 경우에는 4개보다 큰 쪽이 좋은 경우도 있다.
(제 4 실시 예)
도 6의 (a), (b)는 제 4 실시 예에 관한 y 방향에 따른 PDP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표시전극의 배치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표시전극에 관련하는 각 부의 크기를 나타낸다. 제 4 실시 예의 특징은 제 1 실시 예에서의 라인부(4a∼4d, 5a∼5d)와 전면패널유리(2)와의 사이에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흑색 막(41a∼41d, 51a∼51d)을 상기 라인부 폭보다 약간 넓은 폭으로 배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또, 여기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y 방향에서 인접하는 셀 사이(Ipg)에서도 흑색절연막(소위 블랙스트라이프)을 설치하고 있다. 이 블랙스트라이프와 흑색 막(41a∼41d, 51a∼51d)은 동일한 공정에서 제조수율이 좋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 예의 효과에 덧붙여, 라인부(4a∼4d, 5a∼6d)의 금속광택이 흑색 막(41a∼41d, 51a∼51d)에 의해 차폐됨으로써, 양호한 시인성(視認性)이 획득된다. 또, 도 7의 라인부(4a) 부근의 PDP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실시 예에서는 흑색 막(41a)이 라인부(4a)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덧붙여, 경사방향에서 외광이 입사하는 경우에도 라인부(4a)의 금속광택이 표시 면으로 나오는 것이 방지되어, 높은 반사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일반가정에서 실내조명에 의해 금속광택이 표시 면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흑색부분과 흑색부분에 끼워진 좁은 면적에는, 경사부로부터 입사하는 광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반사휘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있다. 따라서, 흑색면적이 동일하더라도 제 4 실시 예와 같이 흑색부분을 분할하고, 외광을 반사하는 부분을 가는 슬릿형상으로 한쪽이 외광 반사 휘도가 저하되어 명소(明所) 콘트라스트가 개선되는 효과도 있다.
또, 라인부와 흑색 막의 각 폭에 대해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인부의 두께가 3㎛, 흑색 막의 두께가 2㎛인 경우에 대하여, 라인부(4a)가 흑색 막(41a)에 대하여 그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배치하면서, 라인부 폭 A/흑색 막 폭 B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외광반사 휘도가 어떻게 변화하는 것인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가 도 9 및 도 10이다.
도 10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B가 90(%)를 넘으면 급격히 외광반사 휘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실제로 흑색 막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A/B가 90(%) 이하가 되도록(즉, 도 9에 나타낸 측정데이터의 결과로부터 외광반사 휘도가 2.5cd/㎡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4 실시 예에서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셀의 각 부분의 치수를 화소 피치 P = 1.08mm, 주 방전 갭 G = 80㎛, 라인부 폭 L1∼L4 = 40㎛, 라인부 간극 S1∼S3 = 70㎛, 블랙스트라이프 폭 = 345㎛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5mm
Figure 112007057209767-PAT00003
P
Figure 112007057209767-PAT00004
1.4mm, 6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05
G
Figure 112007057209767-PAT00006
140㎛, 1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07
L1, L2, L3, L4
Figure 112007057209767-PAT00008
60㎛, L1
Figure 112007057209767-PAT00009
L4
Figure 112007057209767-PAT00010
3L1, 5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11
S1, S2, S3
Figure 112007057209767-PAT00012
14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표 3에 제 4 실시 예의 PDP에서의 각종 특성을 나타낸다. 표 3에는 비교예로서 종래 구성의 PDP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57209767-PAT00013
여기서 말하는 종래의 PDP에서는 라인부와 전면패널유리 사이의 흑색 막 및 블랙스트라이프를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이용하여 별개의 공정에서 형성하고 있다.
또, FP 전면의 필터는 제 1 실시 예의 패널과 종래의 패널에서 동일한 것(90%의 투과율)을 사용하였다. 명소 콘트라스트는 PDP의 표시 면에 대하여 수직조도 70Lx, 수평조도 150Lx 하에서 백색표시시와 흑색표시시의 휘도비를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4 실시 예에서의 PDP는 비교예보다 뛰어난 콘트라스트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제 4 실시 예에서의 PDP에서는 라인부와 전면패널유리 사이의 흑색 막 및 블랙스트라이프를 동일 공정에서 작성하고, 공정 수를 생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PDP와 동등 이상의 높은 콘트라스트 성능을 갖고 있다.
(제 4 실시 예의 표시전극의 제조방법)
우선, 전면패널유리 상에 유기매개체에 감광성 수지를 부여하여 이루어지는 흑색 유리페이스트(예를 들어, 듀퐁사 FODEL J4140)를 인쇄하여 건조시킨다(도 11의 (a)). 이때, 블랙스트라이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인쇄하고 건조시켜 둔다.
다음에, 포토마스크에 의해 흑색 막을 소정의 패턴으로 노광한다(도 11의 (b)). 그리고, 표시전극(4, 5)으로서 유기매개체에 감광성 수지를 부여하여 이루어지는 Ag 페이스트(예를 들어, 듀퐁사 FODEL DC231)를 흑색의 유리 페이스트 상에 인쇄하고 건조시킨다(도 11의 (c)).
그 후, 포토마스크에 의해 전극패턴을 노광하고(도 11의 (d)), 전극과 전면패널유리 사이에 형성된 흑색 막과 동시에 현상한다(도 11의 (e)). 이것을 소성함으로써 흑색 막과 블랙스트라이프 및 표시전극이 완성된다(도 11의 (f)).
또, 제 4 실시 예에서는 라인부 간극을 균등하게 설정한 표시전극 구성예를 들고 있지만, 각 라인부 간극을 불균등하게 설정해도 된다.
(제 5 실시 예)
도 12는 제 5 실시 예의 표시전극구조를 나타내는 PDP 단면도이다.
제 4 실시 예와의 차이는 표시전극(4, 5)의 라인부 간극을 주 방전 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서서히 좁게 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표시전극의 외측까지 방전 플라즈마를 확대하는 동시에, 셀 중앙부의 개구율을 올려 방전 플라즈마를 표시전극의 외측까지 확대하면서 가시광의 취득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주 방전 갭에서 가장 먼 라인부로부터 y방향에서 인접하는 셀 사이에 걸쳐 블랙스트라이프를 겸한 폭이 넓은 흑색 막(50)을 배치하고 있다. 이 폭이 넓은 흑색 막(50) 상에는 인접하는 라인부가 2개 배치된다.
이 표시전극구조에 의하면, 전극이 형성된 패널유리면의 흑색비율도 셀 중앙부에서 멀어짐에 따라서 더욱 높은 콘트라스트의 PDP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방전 셀의 구체적인 치수는 화소 피치 P = 1.08mm, 주 방전 갭 G = 80㎛, 라인부 폭 L1, L2 = 30㎛, 라인부 폭 L3, L4 = 40㎛, 흑색 막(41a, 51a) 폭 = 34㎛, 흑색 막(42a, 52a) 폭 = 44㎛, 라인부 간극 S1 = 90㎛, S2 = 70㎛, S3 = 50㎛, 블랙스트라이프 폭 = 385㎛이다.
도 13은 제 4 실시 예와 제 5 실시 예의 PDP에서의 전력-휘도곡선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PDP에서는 패널로의 투입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휘도를 증가할 수 있지만, 전력-휘도곡선은 포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발광효율은 투입전력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때문에, 유지기간에서의 인가전압(유지전압)을 증가시키면 투입전력이 증가하여 휘도도 증가하지만, 발광효율은 저하된다.
도 13의 전력-휘도곡선에서도 일반적인 경향과 마찬가지로, 유지전압의 증가에 의한 패널투입전력의 증가에 따라 휘도는 서서히 증가하고 있으나 포화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제 5 실시 예에 의한 구성은 제 4 실시 예의 구성에 비해 동일한 유지전압에서의 전력이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등 이상의 휘도를 실현하고 있고, 고전압측에서는 제 4 실시 예의 구성에 비해 약 1할 정도 휘도가 높다. 이것은 즉, 제 5 실시 예에 의한 구성이 제 4 실시 예에 의한 구성에 비하여 효율특성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표 3에는 제 5 실시 예의 PDP의 각종 특성을 기재하고 있다.
제 5 실시 예의 패널은 제 4 실시 예의 패널과 종래의 패널에 투과율 85%의 것을 사용한 데 대하여, 투과율 90%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것은 표시전극구조로서 셀 중앙부의 라인부 폭을 좁히고, 셀 인접간에 가까워짐에 따라 선폭을 넓게 함으로써 흑색비율 및 콘트라스트비가 높아져, 그 결과 FP의 투과율을 올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PDP에서는 형광체 층이나 격벽 등이 외관상 백색이므로, 패널표시 면 측의 외광반사가 크고, 명소에서의 콘트라스트비는 20 : 1∼50 : 1 정도이다. 그러나 제 5 실시 예에서는 주 방전 갭으로부터 먼 라인부 폭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주 방전 갭 부근의 라인부 폭을 상대적으로 가늘게 하면서 인접 셀 사이에 블랙스트라이프를 겸한 폭이 넓은 흑색 막(50)을 배치함으로써, 셀 중앙부에서의 개구율을 감소시키는 일 없이 흑비율을 증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충분한 휘도를 얻는 동시에, 명소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고 있다. 또, 제 4 실시 예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흑색부분을 분할하고, 백색으로 보이는 부분을 슬릿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한 명소 콘트라스트의 개선효과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명소 콘트라스트는 약 70 : 1로 매우 높은 비율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5 실시 예에 의한 표시전극구조를 이용한 PDP는 패널투입전력을 종래보다 감소시켜도 고휘도이면서 우수한 콘트라스트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5 실시 예에서는 0.5mm
Figure 112007057209767-PAT00014
P
Figure 112007057209767-PAT00015
1.4mm, 6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16
G
Figure 112007057209767-PAT00017
140㎛, 1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18
L1, L2
Figure 112007057209767-PAT00019
60㎛, 2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20
L3, L4
Figure 112007057209767-PAT00021
70㎛, 5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22
S1
Figure 112007057209767-PAT00023
150㎛, 4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24
S2
Figure 112007057209767-PAT00025
140㎛, 3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26
S3
Figure 112007057209767-PAT00027
13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 5 실시 예에서는 주 방전 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라인부 간극을 서서히 감소시킨 전극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6 실시 예)
도 14에 제 6 실시 예에서의 표시전극 패턴을 나타낸다. 상기 제 4, 제 5 실시 예와의 차이는 각 라인부(4a, 4b, 4c, 4d, 5a, 5b, 5c, 5d)를 접속하는 연결부(쇼트바)(4ab, 4bc, 4cd, 5ab, 5bc, 5cd)를 무작위로 배치한 것이다. 이 연결부(4ab, 4bc, 4cd, 5ab, 5bc, 5cd)와 전면패널유리(2) 사이에도 흑색 막이 형성되어 있다. 방전 셀의 각 치수의 일례로서는 화소 피치 P = 1.08mm, 주 방전 갭 G = 80㎛, 흑색 막의 폭 = 44㎛, 라인부 폭 L1∼L4 = 40㎛, 라인부 간극 S1 = 90㎛, S2 = 70㎛, S3 = 50㎛, y방향에서 인접 셀 사이에 걸치는 블랙스트라이프를 겸한 흑색 막 폭 = 345㎛, 쇼트바 선폭 Wsb = 40㎛이다.
표 4에 제 6 실시 예의 PDP에서의 쇼트바 유무, 쇼트바 간격과 단선발생율(회/라인), 라인저항값 및 단선의 회복율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57209767-PAT00028
이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라인부 간극에 쇼트 바를 설치한 것은 그렇지 않은 것에 비해 단선의 발생확률이 15%에서 0.4%로 저하되어 매우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쇼트 바의 간격이 규칙적인 주기성을 갖는 경우, 표시 면에 무아레(moir
Figure 112007057209767-PAT00029
)가 발생하여, 표시화질을 현저히 저하시킨다는 큰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래서, 제 6 실시 예에서는 라인부 간극에 쇼트 바를 무작위로 설치함으로써, 무아레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단선의 발생확률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전극형성시의 단선불량에 의해 발생하던 제조수율의 저하가 대폭 개선되어, 낮은 비용으로 양호한 표시성능의 PDP를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6 실시 예의 PDP에서는 표시전극에 라인부와 쇼트 바를 사용하고, 이들과 전면패널유리 사이에 흑색 막을 배치함으로써, 전극형성시의 단선불량에 의한 제조수율의 저하를 대폭 개선하고, 또 무아레가 없는 높은 콘트라스트의 고화질을 갖는 뛰어난 PDP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6 실시 예에서는 0.5mm
Figure 112007057209767-PAT00030
P
Figure 112007057209767-PAT00031
1.4mm, 6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32
G
Figure 112007057209767-PAT00033
140㎛, 1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34
L1, L2
Figure 112007057209767-PAT00035
60㎛, 2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36
L3
Figure 112007057209767-PAT00037
70㎛, 2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38
L4
Figure 112007057209767-PAT00039
{0.3P-(L1 + L2 + L3)}㎛, 5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40
S1
Figure 112007057209767-PAT00041
150㎛, 4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42
S2
Figure 112007057209767-PAT00043
140㎛, 3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44
S3
Figure 112007057209767-PAT00045
130㎛, 1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46
Wsb
Figure 112007057209767-PAT00047
80㎛, Ln + 1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48
LBn
Figure 112007057209767-PAT00049
Ln + 10㎛(n은 1∼4)의 범위이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 6 실시 예에서는 라인부 간극을 주 방전 갭에서 멀어질수록 서서히 좁게 하고 있지만, 이러한 간극의 배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7 실시 예)
도 15에 제 7 실시 예의 방전 셀 구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제 7 실시 예에서의 표시전극구조는 제 6 실시 예와 거의 동일하지만, 방전공간 내에서의 인접 셀 사이에 제 2 격벽(보조격벽)(12)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보조격벽(12)의 높이는 격벽(8)보다 낮게 되어 있다.
방전 셀의 각 부분의 치수는 예를 들어, 화소 피치 P = 1.08mm, 주 방전 갭 = 80㎛, 라인부 폭 = 40㎛, 라인부 간극 S1 = 90㎛, S2 = 70㎛, S3 = 50㎛, 인접 셀 사이에 걸치는 블랙스트라이프를 겸한 흑색 막 폭 = 385㎛, 쇼트바 선폭 = 40㎛, 격벽(8) 높이 = 110㎛, 보조격벽 높이 = 60㎛, 보조격벽정상부 폭 = 60㎛, 보조격벽하부 폭 = 100㎛이다.
표 5에 제 7 실시 예의 PDP에서의 인접 셀간 거리 Ipg, 보조격벽의 유무와 크로스토크에 의한 오방전의 유무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57209767-PAT00050
이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조격벽이 없는 경우에는, 인접셀간 거리 Ipg가 약 300㎛ 이하가 되면 크로스토크에 기인하는 오방전이 발생하여, 중간조에서 화면의 거친 느낌이나 어른거림이 발생한다. 한편, 제 7 실시 예와 같이 보조격벽을 설치하면 인접 셀간 거리 Ipg가 120㎛ 정도까지 가까워져도 크로스토크 등의 오방전이 발생하지 않아, 양호한 화상표시성능이 얻어졌다. 이것은 방전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한 하전입자 등의 프라이밍 입자가 보조격벽(12)에 의해 방전 셀 주변부에서 인접 셀로 확산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또, 보조격벽(12)의 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크로스토크의 억제효과는 증가하지만, 패널 내의 컨덕턴스가 저하되기 때문에, 패널제조과정의 패널밀봉 ·배기공정에서 방전가스 봉입 전에 고온으로 패널 내를 진공 배기할 때, 도달진공도가 저하되어 H2O, CO2 등의 잔류가스가 내부에 흡착한 채로 방전가스가 봉입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구동시의 동작점의 변동이나 오방전의 원인이 되므로, 보조격벽(12)의 높이는 격벽(8)의 높이보다 낮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FP에 대향하는 보조격벽(12)의 정상부 폭을 증가시키는 검토를 행한 바, 방전 셀 내의 방전 플라즈마의 발생영역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패널로의 투입전력을 표시전극의 구성과는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보조격벽(12)의 정상부 폭을 180㎛ 정도까지 확대함으로써 Ipg = 60㎛ 정도까지 인접 셀 간극을 좁혀도 크로스토크가 발생하지 않고, 유지방전에 드는 전력이 억제되기 때문에 비교적 효율이 높고 양호한 표시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전극의 아래 부분에 보조격벽(12)을 설치하면 전극에 차폐되어 휘도에 기여하지 않는 방전 플라즈마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발광효율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7 실시 예에서의 PDP는 격벽(8)보다 낮은 높이의 보조격벽(l2)을 이용함으로써, 표시전극구조와 독립적으로 패널투입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크로스토크 등의 인접 셀간에서의 오방전을 대폭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흑색 막 상에 형성된 라인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높은 콘트라스트(고화질)로 저소비전력을 만족하는 PDP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7 실시 예에서는 0.5mm
Figure 112007057209767-PAT00051
P
Figure 112007057209767-PAT00052
1.4mm, 6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53
G
Figure 112007057209767-PAT00054
140㎛, 1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55
L1, L2
Figure 112007057209767-PAT00056
60㎛, 2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57
L3
Figure 112007057209767-PAT00058
70㎛, 2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59
L4
Figure 112007057209767-PAT00060
{0.3 P - (L1 + L2 + L3)}㎛, 5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61
S1
Figure 112007057209767-PAT00062
150㎛, 4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63
S2
Figure 112007057209767-PAT00064
140㎛, 3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65
S3
Figure 112007057209767-PAT00066
130㎛, 1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67
쇼트바 선폭
Figure 112007057209767-PAT00068
80㎛, 5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69
보조격벽정상부 폭
Figure 112007057209767-PAT00070
450㎛, 60㎛
Figure 112007057209767-PAT00071
보조격벽 높이
Figure 112007057209767-PAT00072
격벽 높이 - 1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예에서는, 표시전극으로서 후막 Ag 전극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Ag/Pd, Cu, Ni 등의 금속분말을 유기매개체에 분산시킨 후막 페이스트를 인쇄법에 의해서 패터닝하여 소성한 후막 금속전극을 이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Cr/Cu/Cr, Au, Ag/Pd, Al, 산화주석, 산화인듐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 흑색 막으로는 흑색안료가 들어간 유리 페이스트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산화크롬 등의 절연성의 산화물 박막을 에칭법이나 리프트오프법 등으로 패터닝한 흑색 막을 이용해도 된다.
(제 8 실시 예)
제 8 실시 예의 PDP의 사시도를 도 16에 나타내고, 도면 중 x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도 17에 나타내며, FP측에서 본 표시전극 구조를 도 18에 나타낸다.
제 8 실시 예에서는 표시전극(4, 5)이 각각 3개의 라인부로 구성되고, 주 방전 갭에서 가장 먼 라인부(4c, 5c)의 폭이 넓게 설정되어 있고, 이것에 보조격벽(12)이 오버랩하도록 조합되어 있다(도 17과 같이, 라인부(4c, 5c)의 z방향을 따라 바로 아래에 보조격벽(12)이 배치되어 있다. 다른 셀도 동일한 위치관계로 보조격벽(12)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라인부(4c, 5c)가 면하는 방전공간 높이 hb가 그 이외의 방전공간의 높이 ha에 비해 작아져 있다.
종래의 패널은 표시전극(4, 5)을 투명전극과 금속 모선(버스라인)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것은 방전을 시작하는 주 방전 갭을 확대하지 않고, 전극면적을 확대함으로써 방전의 규모를 크게 확보하여 휘도를 올리기 위해서이다.
한편, 표시전극(투명전극)에 개구부를 열거나, 전극을 복수로 분할하는(라인부를 설치하는)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것은 전류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또 투명전극을 이용하지 않고 전부 금속전극을 이용함으로써,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는 동시에, 제조공정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보조격벽(12)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의 경우, 전체의 전극면적을 가능한 한 작게 함으로써 방전전류를 절감할 수 있지만, 방전공간에 공급되는 전력이 전체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휘도가 저하된다.
이에 대하여, 제 8 실시 예와 같이, 격벽(8)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조격벽(12)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의 전극면적을 크게 해도 라인부(4c, 5c)가 면한 방전공간에 흐르는 방전전류를 선택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표시전극(4, 5)에서 주 방전 갭에서 가장 먼 라인부(4c, 5c)는 방전의 단부에 해당하기 때문에, 방전의 전류는 공급되지만, 휘도에 대한 영향은 공급전류량만큼 크지 않고, 또 라인부(4c, 5c)가 면한 방전공간에서 생기는 방전발광은 라인부(4c, 5c) 자신에 의해 대부분이 차폐되어 버린다. 이때문에, 라인부(4c, 5c)에 관하여 방전을 제한하더라도 휘도에는 그 정도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것은, 표시전극(4, 5)이 분할된 복수의 라인부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특히 현저하다. 즉, 라인부(4c, 5c)에 여분의 전류가 집중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의 전력절감을 도모하는 것에 의한 효과는 크다.
단, 방전 자체는 라인부(4c, 5c)의 위치까지 넓히지 않고는 방전영역이 좁아져서 휘도가 내려가기 때문에, 보조격벽(12)은 방전공간 내에서 라인부(4c, 5c)에 의한 전계가 충분히 생기는 형상 등으로 해야 한다.
도 19에 라인부(4c, 5c)가 면한 보조격벽(12) 상의 방전공간의 높이 hb와 방전전력,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경우, 방전공간의 높이 hb는 격벽(8)과 보조격벽(12)의 높이의 차로 실현되므로, hb = 0은 격벽(8)과 보조격벽(12)의 높이가 같은 경우, hb = ha(이 예에서는 120㎛)는 보조격벽(12)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당한다.
이에 따르면, 방전공간의 높이 hb가 ha에 비해 조금이라도 낮으면(즉, 보조격벽(12)이 존재하고 있으면) 그 나름의 전력절감효과가 있고, 특히 hb < ha - 20㎛에서, 5% 이상의 전력절감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hb를 너무 낮게 하면 휘도가 급격히 저하된다. 이것은 방전공간에 라인부(4c, 5c)가 형성하는 전계분포의 범위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hb를 10㎛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휘도의 저하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hb를 40㎛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휘도의 저하를 5% 이하로 할 수 있다.
또, 도 17이나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인부(4c, 5c)의 면적을 그 이외의 라인부보다 크게 함으로써, 표시전극(4, 5)으로서의 면적은 유지한 채로 방전이 강한 부분의 개구율을 높인 구성에 보조격벽(12)을 적용한 경우, 전체의 방전전류에 대하여 절감되는 전류의 비율이 커지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보조격벽(12)이 없는 종래에 있어서, 최외부의 라인부(4c, 5c)의 면적을 크게 취한 경우에는 인접셀과의 거리가 짧아져서 더욱 라인부(4c, 5c)의 여분의 정전용량에 의해 크로스토크가 생기기 쉽다. 이에 대하여, 제 8 실시 예에서는 라인부(4c, 5c)의 정전용량이 적절히 절감되어 있으므로 크로스토크가 억제된다.
또, 도 l7, 도 18에서는 표시전극(4, 5)의 전부를 금속으로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 일부를 투명전극으로 구성한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표시전극(4, 5)의 형상은 도 17, 도 18과 같은 띠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보조격벽(12)의 형상도 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보조격벽(12)의 배치장소는 최외부의 라인부(4c, 5c)의 바로 아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y방향에 따른 바로 외측에 배치하더라도 전력절감효과는 얻어진다. 이것은, 표시전극(4, 5)을 덮고 있는 유전체 층(6)의 존재에 의해, 전계분포가 표시전극(4, 5)의 외측으로까지 넓어지기 때문이다. 보조격벽(12)을 최외부의 라인부(4c, 5c)의 바로 외측에 배치하면 방전이 더 이상 외측으로 확산되지 않게 되므로 전력절감효과가 높다.
(제 9 실시 예)
도 20은 제 9 실시 예의 PDP의 단면도이다.
제 8 실시 예와의 차이는 최외부의 라인부(4c, 5c)가 면한 방전공간의 높이 hb를 낮게 하는 것을, 보조격벽(12)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대신에, 벽형상의 형광체 층(13)을 보조격벽(12)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실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 8 실시 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0 실시 예)
도 21은 제 10 실시 예의 PDP의 단면도이다.
제 10 실시 예에서는 최외부의 라인부(4c, 5c)가 면한 방전공간의 높이 hb를 낮게 하는 것을, 최외부의 라인부(4c, 5c)를 덮는 유전체 층(6)의 두께를 국소적으로 두껍게 함으로써 실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 8 실시 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1 실시 예)
도 22는 제 11 실시 예의 PDP의 단면도이다.
제 11 실시 예는 최외부의 라인부(4c, 5c)가 면한 방전공간의 높이를 부분적으로 낮게 한 것이다. 제 8 실시 예와의 차이는 보조격벽(12)이 최외부의 라인부(4c, 5c)를 완전히 덮지 않는 것에 있다. 이것은 방전공간의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라인부(4c, 5c)로부터의 전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전시에 플라즈마를 발생하는 공간에 가까운 부분에 방전공간의 높이를 충분히 설정하고 있다. 최외부의 라인부(4c, 5c)가 부분적으로 방전공간에 면함으로써, 방전공간의 높이가 두 가지 이상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보조격벽(12)을 형성해도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여기서는 제 8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보조격벽(12)을 형성함으로써, 최외부의 라인부(4c, 5c)에 면하는 방전공간이 낮아지도록 하였지만, 제 8 실시 예의 효과는 방전공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에 의존하지 않는다. 즉, 제 8 실시 예부터 제 10 실시 예에 나타낸 어떤 방법을 이용해도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2 실시 예)
도 24는 제 12 실시 예의 PDP의 단면도이다.
제 12 실시 예에서는 y방향에서 인접하는 셀 사이의 방전공간을 보조격벽(12)으로 메움으로써 좁게 하는 것이다.
도 24에서 한 쌍의 표시전극(4, 5)과, 이것에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전극(14, 15) 사이에서는 보조격벽을 설치하지 않으면 크로스토크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특히, 도 24와 같이 각각의 최외부의 라인부(14c, 5c)의 면적을 넓게 취한 경우에는 당해 라인부의 정전용량이 증가되어 셀간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벽전하의 축적이 라인부(14c, 5c) 근방의 유전체 층에 많이 이루어져 크로스토크가 되기 쉽다.
그래서, 제 12 실시 예에서는, 라인부(14c, 5c)의 방전전류를 절감하는 동시에, 라인부(14c, 5c)의 정전용량을 절감시키면서 크로스토크를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라인부 14c에서 5c에 걸쳐 보조격벽(12)을 설치하고, 이 영역에서 방전을 오버랩하도록 방전공간의 높이를 제한하고 있다.
제 12 실시 예에서는 라인부(4c, 5c) 등이 면한 방전공간의 높이 hb와 셀 사이의 방전공간높이 hc가 동일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보조격벽(12)을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차형상을 갖도록 해도 된다.
또, 여기서는 제 8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보조격벽(12)을 형성함으로써, 라인부(4c, 5c)가 면하는 방전공간의 높이 및 셀 사이의 공간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였지만, 제 12 실시 예의 효과는 방전공간의 높이를 제한하는 수단에 의존하지 않는다.
(제 13 실시 예)
도 26은 제 13 실시 예의 PDP의 단면도이다.
제 13 실시 예에서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8 실시 예의 구성에 덧붙여, y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셀에서, 유지전극 5와 15, 스캔전극 4와 14가 이웃하도록 배열하고 있다. 이것은 인접한 셀끼리 이웃하는 전극이 방전유지기간에서 언제나 같은 전위에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표시전극의 배열을 상기와 같이 하는 방법은,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스캔전극(4) 및 그것과 동일한 전극군(예를 들어, 스캔전극(14))과 유지전극(5) 및 그것과 동일한 전극군(예를 들어, 유지전극(15))과의 사이의 정전용량의 총합이 작아진다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표시전극이 라인부 등으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의 경우, 크로스토크는 비교적 일어나기 쉽다. 그것은 예를 들어, 주 방전 갭으로부터 라인부(5c)까지 진전한 방전이 라인부(15e)로 이동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라인부(14c) 근방의 벽전하가 소거되어, 이웃하는 한 쌍의 표시전극(14, 15)에 대응하는 셀에서는 유지방전을 일으킬 수 없게 된다.
또, 최외부의 라인부(5c, 15c)의 면적을 넓힌 경우에는, 특히 벽전하의 축적이 이들의 라인부 주변으로 편중되기 때문에 크로스토크가 일어나기 쉽다.
그래서, 제 13 실시 예에서는 최외부의 라인부(5c, 15c)의 바로 아래에 격벽을 설치함으로써, 이 부분이 면한 방전공간의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이들의 정전용량을 작게 하고, 벽전하의 축적이 셀 중앙의 주 방전 갭 부근으로 집중시켜, 크로스토크가 쉽게 생기지 않게 하고 있다. 또, 스캔전극(4) 및 그것과 동일한 전위의 전극군(예를 들어, 스캔전극(14))과, 유지전극(5) 및 그것과 동일한 전극군(예를 들어, 유지전극(15))과의 사이의 정전용량의 총합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또, 제 13 실시 예에서는, 도 27에 추가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외부의 라인부(5c, 15c)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이들의 저항값을 내릴 수 있다.
또, 여기서는 최외부의 라인부(5c, 15c)의 바로 아래에만 보조격벽(12)을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방전공간의 높이를 제한하는 수단은 벽형상 형광체(13)(도 20 참조)여도 되고, 유전체 층(6)(도 21 참조)이어도 되며, 인접하는 셀 사이에 연속하여 하나의 보조격벽(12)(도 24, 도 25 참조)을 형성해도 된다.
또, 제 4 실시 예 내지 제 6 실시 예의 흑색 막과 라인부의 조합을 다른 실시 예에 조합시켜 적용해도 된다. 이로 인하여, 높은 콘트라스트 성능을 유지하면서 각 실시 예에 기재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특히 고선명 재현화상이 가능한 하이비전 텔레비전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의 PDP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 예의 표시전극의 평면도.
도 3은 라인부 폭에 대한 휘도 및 방전전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제 2 실시 예의 표시전극의 평면도.
도 5는 제 3 실시 예의 표시전극의 평면도.
도 6은 제 4 실시 예의 PDP 단면도.
도 7은 제 4 실시 예의 라인부 부근의 PDP 단면도.
도 8은 라인부와 흑색 막의 두께비율을 나타내는 PDP 단면도.
도 9는 라인부와 흑색 막의 두께비율과 외광반사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라인부와 흑색 막의 두께비율과 외광반사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표시전극의 작성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 5 실시 예의 PDP 단면도.
도 13은 제 4 실시 예 및 제 5 실시 예의 PDP의 전력-휘도곡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제 6 실시 예의 표시전극의 평면도.
도 15는 제 7 실시 예의 PDP 단면도.
도 16은 제 8 실시 예의 PDP의 사시도.
도 17은 제 8 실시 예의 PDP 단면도.
도 18은 제 8 실시 예의 표시전극의 평면도.
도 19는 제 8 실시 예의 보조격벽 부근에서의 전력과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제 9 실시 예의 PDP 단면도.
도 21은 제 10 실시 예의 PDP 단면도.
도 22는 제 11 실시 예의 PDP 단면도.
도 23은 보조격벽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제 12 실시 예의 PDP 단면도.
도 25는 제 12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PDP 단면도.
도 26은 제 13 실시 예의 PDP 단면도.
도 27은 제 13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PDP 단면도.
도 28은 일반적인 교류 면방전형 PDP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사시도.
도 29는 PDP의 복수 쌍의 표시전극(4, 5)(N행)과 복수의 어드레스전극(11)(M행)이 형성하는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0은 종래의 PDP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의 블록개념도.
도 31은 PDP의 각 전극(스캔전극, 유지전극, 어드레스전극)에 각각 인가하는 구동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종래의 교류구동형 PDP에서, 각 색에서 256계조를 표현하는 경우의 서브필드의 분할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9)

  1. 유지전극 및 스캔전극을 한 쌍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복수 쌍의 표시전극이 복수의 셀에 걸치는 상태로 배치된 가스방전패널로,
    상기 유지전극 및 상기 스캔전극은 각각 복수 개의 라인부를 가지고 있고,
    화소 피치에 대하여 유지전극 및 스캔전극이 갖는 라인부의 합계 폭이 차지하는 비율이 22% 내지 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화소 피치에 대하여 상기 각 라인부 폭이 차지하는 비율이 2.8%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 및 상기 스캔전극은 각각 4개 이상의 라인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패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과 상기 스캔전극의 간극인 방전 갭에 가장 가까운 라인부의 폭이 각각 화소 피치에 대하여 차지하는 비율이 1%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패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과 스캔전극의 각각에서, 주 방전 갭으로부터 2개의 라인부의 폭이 화소 피치에 대하여 차지하는 비율이 1%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패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과 스캔전극의 각각에서, 주 방전 갭으로부터 3번째로 가까운 라인부의 각 폭이 각각의 화소 피치에 대하여 차지하는 비율이 1%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패널.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과 스캔전극의 각각에서, 복수 개의 라인부 중에서 주 방전 갭으로부터 가장 먼 라인부의 폭이 최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패널.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과 스캔전극이 각각 갖는 복수의 라인부에서, 적어도 1개의 라인부가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패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과 스캔전극의 각각에서, 모든 라인부가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패널.
KR1020077018126A 2000-08-29 2001-08-27 가스방전패널 KR100816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58656 2000-08-29
JPJP-P-2000-00258653 2000-08-29
JP2000258653 2000-08-29
JPJP-P-2000-00258656 2000-08-29
JP2000310412 2000-10-11
JPJP-P-2000-00310412 2000-10-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985A Division KR100804909B1 (ko) 2000-08-29 2001-08-27 가스방전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819A true KR20070088819A (ko) 2007-08-29
KR100816608B1 KR100816608B1 (ko) 2008-03-24

Family

ID=273444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126A KR100816608B1 (ko) 2000-08-29 2001-08-27 가스방전패널
KR1020037002985A KR100804909B1 (ko) 2000-08-29 2001-08-27 가스방전패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985A KR100804909B1 (ko) 2000-08-29 2001-08-27 가스방전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73103B2 (ko)
KR (2) KR100816608B1 (ko)
CN (3) CN100409394C (ko)
TW (1) TWI242786B (ko)
WO (1) WO20020193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109B1 (ko) * 2009-03-13 2011-09-16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6638B2 (ja) * 2000-11-14 2010-07-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496637B2 (ja) * 2000-11-14 2010-07-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472367B1 (ko) * 2002-04-04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US7187125B2 (en) * 2002-12-17 2007-03-06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KR20050051039A (ko) * 2003-11-26 2005-06-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TWI244104B (en) * 2004-04-12 2005-11-21 Au Optronics Corp Electrode structur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PDP utilizing the same
US20050264233A1 (en) * 2004-05-25 2005-12-01 Kyu-Hang Lee Plasma display panel (PDP)
KR20050119775A (ko) * 2004-06-17 2005-1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회로장치
KR100599689B1 (ko) * 2004-06-30 2006-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0770B1 (ko) * 2004-10-11 200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34156A (ko) * 2004-10-18 200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3437B1 (ko) * 2004-12-31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91951A (ko) * 2005-02-16 2006-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 및 그 형성 방법
KR100615320B1 (ko) 2005-02-28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26648B1 (ko) * 2005-05-11 2007-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37230B1 (ko) * 2005-08-18 2006-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26954A (ko) * 2005-08-29 2007-03-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43717B1 (ko) 2005-09-08 2007-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7179B1 (ko) * 2005-09-13 200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97221A (ko) * 2006-03-28 2007-10-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2249B1 (ko) * 2006-05-30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2250B1 (ko) * 2006-05-30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2251B1 (ko) 2006-05-30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0679B1 (ko) * 2006-05-30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2252B1 (ko) 2006-05-30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5605B1 (ko) 2006-06-20 200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80030136A1 (en) * 2006-08-07 2008-02-07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KR100811605B1 (ko) * 2006-08-18 2008-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17204A (ko) * 2006-08-21 200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47137A (ko) * 2006-11-24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8304992B2 (en) * 2006-12-15 2012-11-06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a black layer
KR100820370B1 (ko) * 2007-05-02 2008-04-08 (주)엠아이에프피디 대향 전극 구조를 갖는 면광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23208A (ko) * 2008-08-21 2010-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1082444B1 (ko) * 2009-08-28 2011-1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N111338139B (zh) * 2020-02-18 2023-11-24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8646A (ja) 1988-11-30 1990-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封着用リード端子
JP2917279B2 (ja) * 1988-11-30 1999-07-12 富士通株式会社 ガス放電パネル
JP2964717B2 (ja) 1991-08-07 1999-10-18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734405B2 (ja) 1995-05-12 1998-03-30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655947B2 (ja) 1995-07-19 2005-06-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163563B2 (ja) 1995-08-25 2001-05-08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6941C (zh) * 1995-08-25 2004-04-21 富士通株式会社 一种表面放电的等离子体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JPH09283030A (ja) 1996-04-10 1997-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9283028A (ja) * 1996-04-17 1997-10-31 Matsushita Electron Corp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1049774A (ja) * 1996-07-30 1998-02-20 Sanyo Electric Works Ltd 防火センサ
JP3601220B2 (ja) 1996-11-18 2004-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JP3440352B2 (ja) * 1997-05-20 2003-08-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11120922A (ja) 1997-10-13 1999-04-30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ガラス基板及びそれを使用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705914B2 (ja) * 1998-01-27 2005-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50484A (ja) 2000-03-08 2001-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EP2025381A1 (de) * 2007-07-30 2009-02-18 Nanoresins AG Verfahren zum Entfernen basischer oder saurer Verbindungen aus einer lösungsmittelhaltigen Metalloxiddispersion insbesondere Kieselsä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109B1 (ko) * 2009-03-13 2011-09-16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42786B (en) 2005-11-01
CN1790593B (zh) 2010-04-14
WO2002019367A1 (en) 2002-03-07
KR20030043945A (ko) 2003-06-02
CN1790593A (zh) 2006-06-21
CN1471721A (zh) 2004-01-28
KR100804909B1 (ko) 2008-02-20
KR100816608B1 (ko) 2008-03-24
US6873103B2 (en) 2005-03-29
US20040041522A1 (en) 2004-03-04
CN101281845A (zh) 2008-10-08
CN100409394C (zh) 2008-08-06
CN101281845B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608B1 (ko) 가스방전패널
KR100889667B1 (ko) 가스방전패널 및 가스방전 표시장치
US5661500A (en)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KR100880774B1 (ko) 가스방전패널
US6580227B2 (en) Plasma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lasma display
US7825596B2 (en)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KR100683331B1 (ko) 발광특성이 우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10072239A (ko) 가스방전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JP200703565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10022986A (ko) 가스방전패널
JP200305125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US8031138B2 (en)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JP2000173476A (ja) ガス放電パネル
CN100499014C (zh) 等离子体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KR2008005798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