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786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786A
KR20070088786A KR1020077015929A KR20077015929A KR20070088786A KR 20070088786 A KR20070088786 A KR 20070088786A KR 1020077015929 A KR1020077015929 A KR 1020077015929A KR 20077015929 A KR20077015929 A KR 20077015929A KR 20070088786 A KR20070088786 A KR 20070088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motor
temperature
car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3357B1 (ko
Inventor
타카하루 우에다
마사야 사카이
타카시 유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8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시에 동작되는 엘리베이터 기기, 엘리베이터 기기에 대해서, 온도와 다른 물리량의 변화를 계측하는 검출기, 및 검출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기기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기 위한 권상기이다. 권상기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를 가지고 있다. 검출기는 모터의 프레임 변형을, 온도와 다른 물리량으로서 계측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는 모터의 프레임 변형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모터(6)의 온도를 직접 계측하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고 보다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동기의 온도가 설정 문턱값을 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전기적 부하를 경감시키는 운전으로 전환하는 엘리베이터가 제안되어 있다. 전동기의 온도는 온도 검출기에 의해 계측된다. 이것에 의해, 과부하 운전에 의해 전동기의 온도가 상승했을 경우에도, 전동기의 허용 한계 온도를 넘는 것이 방지되고, 엘리베이터 운전의 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운행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2-3091 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온도 검출기에 의해서 전동기의 온도가 계측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온도 검출기가 고장났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과부하 운전을 검출하지 못하고, 운전 모드의 변환을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고 보다 확실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시에 동작되는 엘리베이터 기기, 엘리베이터 기기에 대해서, 온도와 다른 물리량의 변화를 계측하는 검출기, 및 검출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터의 프레임 변형과 모터의 온도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 장치로 설정된 정격 속도 패턴 및 고속도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1의 제어 장치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모터의 코일 저항값을 산출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저항 산출 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전기 저항값과 모터의 온도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기(卷上機)(구동 장치)(4)와, 권상기(4)의 근방에 설치된 디플렉터 풀리(deflector pulley)(종동 쉬브(driven sheave))(5)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4)는 모터(6)와, 모터(6)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7)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7) 및 디플렉터 풀리(5)에는 복수 라인의 메인 로프(8)가 감겨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구동 쉬브(7)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디플렉터 풀리(5)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의 승강에 의해 회전된다.
승강로(1)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9)과, 균형추(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균형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9)에 맞물림(係合)하면서 안내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guide shoe)(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균형추(3)에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맞물림하면서 안내되는 균형추 가이드 슈(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4)에는 구동 쉬브(7)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11)가 탑재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11)는 구동 쉬브(7)와 일체로 회전되는 브레이크 디스크(회전체)(12)와, 브레이크 디스크(12)에 접리(接離) 가능한 브레이크 슈(제동체)(13)와, 브레이크 슈(13)가 브레이크 디스크(12)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슈(13)를 변위시키는 제동체 변위 장치(14)를 가지고 있다. 또, 브레이크 디스크(12)는 구동 쉬브(7)의 회전축(7a)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동체 변위 장치(14)는 브레이크 디스크(12)에 접하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슈(13)를 가압(urge)하는 스프링(가압체)과, 통전에 의해 스프링의 가압력에 반하여, 브레이크 디스크(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슈(13)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을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7)에는 브레이크 슈(13)가 브레이크 디스크(12)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구동 쉬브(7)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이 주어진다. 또, 구동 쉬브(7)에 주어진 제동력은 브레이크 슈(13)가 브레이크 디스크(12)로부터 개리(開離)되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 엘리베이터 칸(2)이 이동될 때에는 구동 쉬브(7)로의 제동력은 해제되고, 엘리베이터 칸(2)이 목적층에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구동 쉬브(7)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또, 승강로(1)의 상부에는 상부 풀리(16)가 설치되고, 승강로(1)의 하부에는 텐션 풀리(tension pulley)(하부 풀리)(17)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풀리(16) 및 텐션 풀리(17) 사이에는 속도 검출용 로프(18)가 감겨 있다. 속도 검출용 로프(18)의 일단(一端)부 및 타단(他端)부는 엘리베이터 칸(2)에 장착된 엘리베이터 칸 장착 부재(19)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속도 검출용 로프(18)는 엘리베이터 칸(2)과 함께 이동된다. 또, 상부 풀리(16)는 속도 검출용 로프(18)의 이동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 즉, 상부 풀리(16)는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에 따라 회전된다.
상부 풀리(16)에는 상부 풀리(16)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인코더(20)가 설치되어 있다. 또, 모터(6)의 프레임에는 프레임 변형(온도와 다른 물리량)의 변화를 계측하기 위한 변형 검출기(21)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모터(6)의 프레임 변형과 모터(6)의 온도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6)의 프레임 변형은 모터(6)의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즉, 모터(6)의 온도는 모터(6)의 프레임 변형이 커질수록 높아진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의 판정은 프레임 변형의 변화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인코더(20) 및 변형 검출기(21)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22)로 전송된다. 제어 장치(22)는 인코더(20) 및 변형 검출기(21)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한다.
즉, 제어 장치(22)는 변형 검출기(2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어 장치(22)는 변형 검출기(21)에 의해 계측된 변형과, 미리 설정된 판정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22)에 설정된 판정 기준값은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정상에서 이상으로 이행할 때의 모터(6)의 온도(판정 기준 온도 레벨)(33)(도 2)에 대응하는 프레임 변형으로 되어 있다.
또, 제어 장치(22)는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의 판정에 기초하여, 정격 속도 패턴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를 제어하는 정격 운전 모드와,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이 개시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2)이 통상 정지될 때까지의 시간이 정격 운전 모드시보다 짧아지는 고속도 패턴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를 제어하는 고속 운전 모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어 장치(22)는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의 판정에 기초하여, 모터(6)의 전기적 부하가 서로 다른 정격 운전 모드 및 고속 운전 모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22)의 운전 모드는 변형 검출기(21)에 의해 계측된 변형의 값이 판정 기준값 이하일 때(통상 부하일 때)에 고속 운전 모드로 되고, 변형의 값이 판정 기준값보다 클 때(과부하로 되어 있을 때)에, 모터(6)의 전기적 부하가 고속 운전 모드시보다 작은 정격 운전 모드로 된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제어 장치(22)에 설정된 정격 속도 패턴(정격 운전 모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2) 속도의 시간적 변화) 및 고속도 패턴(고속 운전 모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2) 속도의 시간적 변화)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정격 속도 패턴(30)에서의 최고 속도는 미리 설정된 정격 속도로 되어 있다. 또, 고속도 패턴(31)에서의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는 정격 속도 패턴(30)에서의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 도 3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이 개시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2)이 통상 정지될 때까지의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는 정격 속도 패턴(30) 및 고속도 패턴(31)을 나타내 고 있다. 따라서, 정격 속도 패턴(30)과 시간축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면적과, 고속도 패턴(31)과 시간축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면적은 동일하게 된다.
또, 제어 장치(22)는 연산 처리부(CPU), 기억부(ROM 및 RAM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에는 정격 속도 패턴, 고속도 패턴, 판정 기준값 등의 데이터나 모드 전환,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의 판정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등이 격납되어 있다. 연산 처리부는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운전의 제어에 관한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제어 장치(22)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22)의 운전 모드는 통상 고속 운전 모드로 되어 있다(S11). 이 때,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는 고속도 패턴(31)(도 3)에 따라서 제어된다.
또, 제어 장치(22)에서는 변형 검출기(2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상시 판정되어 있다(S12). 운전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고속 운전 모드가 계속된다.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제어 장치(22)의 운전 모드가 고속 운전 모드에서 정격 운전 모드로 전환된다(S13). 정격 운전 모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정격 속도 패턴(30)에 따라서 제어된다.
이 후도,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가 제어 장치(22)에 의해 판정되고(S14),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이 해소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격 운전 모드에서의 운전이 계속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이 해소된 경우에는 제어 장치(22)의 운전 모드가 정격 운전 모드에서 고속 운전 모드로 다시 전환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4)의 변형이 변형 검출기(21)에 의해서 계측되고, 변형 검출기(2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기기의 온도를 계측하지 않아도,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고 보다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권상기(4)의 변형은 엘리베이터 운전의 부하에 따라 변화하므로, 엘리베이터 운전의 부하에 따른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기기가 고장나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정지해 버리기 전의 단계에서 엘리베이터 운전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과부하 운전으로 되었을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계속할 수 있고, 운행 서비스의 현저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모터(6)의 프레임 변형이 변형 검출기(21)에 의해서 계측되어 있으나, 변형을 계측하는 대상은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과 함께 동작되는 엘리베이터 기기이면 되며, 예를 들어 모터(6) 본체, 디플렉터 풀리(5), 구동 쉬브(7), 가이드 슈(10), 또는 브레이크 장치(11)의 변형을 엘리베이터 기기의 변형으로서 변형 검출기(21)에 의해 계측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엘리베이터의 운전시에, 모터(6) 본체, 디플렉터 풀리(5), 가이드 슈(10) 또는 브레이크 장치(11)에 변형이 생기므로,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정격 속도 패턴 및 고속도 패턴이 제어 장치(22)에 미 리 설정되어 있으나, 산출된 변형에 따른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저크(jerk))를 산출하고, 산출한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에 기초하여 정격 속도 패턴 및 고속도 패턴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 제어 장치(22)는 정격 운전 모드 및 고속 운전 모드 2 개의 운전 모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나, 정격 운전 모드 및 고속 운전 모드뿐만이 아니라, 고속 운전 모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 시간보다 길고 정격 운전 모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 시간보다 짧아지는 중간 운전 모드에도 전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정격 운전 모드, 중간 운전 모드 및 고속 운전 모드의 순서로, 모드 전환을 위한 판정 기준값이 커진다. 이와 같이 하면, 엘리베이터 칸(2)이 목적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일 없이, 변형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화하므로, 운행 서비스가 극단적으로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모터(6)의 프레임에 대해서 계측되는 물리량이 변형으로 되어 있으나, 모터(6)의 프레임에 미약(微弱) 전류를 흘려서, 프레임 자체의 전기 저항값(온도와 다른 물리량)을 계측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프레임의 전기 저항값이 프레임의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권상기(4)는 승강로(1)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대(41)에 지지되 어 있다. 지지대(41)에는 구동 쉬브(7)의 회전축(7a)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軸支)하는 권상기용 베어링(bearing)(42)이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용 베어링(42)의 내부에는 윤활 및 냉각용 오일이 주입되어 있다. 권상기용 베어링(42)에는 권상기용 베어링(42)의 변형을 계측하는 변형 검출기(43)가 설치되어 있다. 변형 검출기(43)로부터의 정보는 제어 장치(22)에 전송된다. 제어 장치(22)는 변형 검출기(4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권상기용 베어링(42)의 변형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했으므로, 모터(6)의 온도를 계측하지 않아도,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쉬브(7)의 회전축(7a)을 축지하는 권상기용 베어링(42)의 변형이 계측되도록 되어 있으나, 디플렉터 풀리(5)를 축지하는 베어링, 상부 풀리(16) 또는 텐션 풀리(17)를 축지하는 베어링의 변형을 계측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기 위해서, 권상기용 베어링(42)의 변형을 계측하도록 되어 있으나, 권상기용 베어링(42)의 내부에 주입된 오일의 압력 또는 점성(粘性)(온도와 다른 물리량)을 압력 검출기에 의해 계측하도록 해도 된다. 또, 디플렉터 풀리(5), 상부 풀리(16)나 텐션 풀리(17)를 축지하는 각 베어링에 주입된 오일의 압력 또는 점성을 계측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따라 오일의 압력 및 점성이 변화하므로, 엘리 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모터(6)는 구동 쉬브(7)의 회전수를 연속적으로 증감 가능한 인버터(51)를 통하여 제어 장치(22)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인버터(51)에는 냉각용의 핀(fin)(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인버터(51)에는 핀의 변형을 계측하기 위한 변형 검출기(52)가 설치되어 있다. 변형 검출기(52)로부터의 정보는 제어 장치(22)에 전송된다. 제어 장치(22)는 변형 검출기(52)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운전을 제어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동 쉬브(7)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인버터(51)에 설치된 핀의 변형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했으므로, 모터(6)의 온도를 계측하지 않아도,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기 위해서, 인버터(51) 핀의 변형을 계측하도록 되어 있으나, 회생 운전시에 모터(6)에서 발전(發電)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회생 저항을 산출하고, 산출한 회생 저항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 형태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모터(6)의 코일 저항값을 산출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어 장치(22)는 모터(6)로의 전압 지령을 발생하는 전압 지령 발생 수단(61)과, 모터(6)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지하기 위한 전류 검지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6)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값을 산출하는 전류값 산출 수단(62)과, 전압 지령 발생 수단(61)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 및 전류값 산출 수단(62)에 의해 산출되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모터(6)의 코일의 전기 저항값을 산출하는 저항 산출 수단(63)을 가지고 있다.
도 8은 도 7의 저항 산출 수단(63)에 의해서 산출된 전기 저항값과 모터(6)의 온도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6)의 코일의 전기 저항값은 모터(6)의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즉, 모터(6)의 코일의 전기 저항값은 모터(6)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커진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의 판정은 모터(6)의 코일의 전기 저항값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으로부터, 제어 장치(22)는 저항 산출 수단(63)에 의해 산출된 전기 저항값과, 미리 설정된 판정 기준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판정 기준값은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정상에서 이상으로 이행할 때의 모터(6)의 온도(판정 기준 온도 레벨)(64)(도 8)에 대응하는 전기 저항값으로 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또, 제어 장치(22)의 동작은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의 판정을 행할 때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의 판정을 행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 한다. 저항 산출 수단(63)에는 전압 지령 발생 수단(61)으로부터의 전압 지령과, 전류값 산출 수단(62)에 의해서 산출된 전류값이 상시 입력되어 있다. 저항 산출 수단(63)에서는 입력된 전압 지령을 전류값으로 나누는 것에 의해 전기 저항값이 산출된다. 이 후, 저항 산출 수단(63)에 의해서 산출된 전기 저항값과, 제어 장치(22)에 설정된 판정 기준값이 비교된다. 이 결과, 전기 저항값이 판정 기준값을 넘고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되고, 전기 저항값이 판정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정상이라고 판정된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모터(6)의 코일의 전기 저항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했으므로, 모터(6)의 온도를 계측하지 않아도,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모터(6)의 코일의 전기 저항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가 판정되도록 되어 있으나, 제동체 변위 장치(14)에 탑재된 전자 마그넷의 브레이크 코일의 전기 저항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가 판정되도록 해도 된다.
실시 형태 5.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모터(6)에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색(온도와 다른 물리량)이 변화하는 검지 시트(71)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4)의 근방에는 검지 시트(71)를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촬상 수단)(7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내에는, 예를 들어 모터(6)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등의 승강로(1)내의 소리(온도와 다른 물리량)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폰(집음 수단)(7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 마이크로 폰(73)은 권상기(4)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22)에는 카메라(72) 및 마이크로 폰(73) 각각으로부터의 정보가 입력된다. 제어 장치(22)는 카메라(72)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검지 시트(71)의 색 변화에 대응하는 모터(6)의 온도 상승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온도 상승도와, 미리 설정된 판정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판정한다. 또, 제어 장치(22)는 마이크로 폰(73)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로(1)내의 소음 레벨을 산출하고, 산출한 소음 레벨과, 미리 설정된 판정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판정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또, 제어 장치(22)의 동작은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의 판정을 행할 때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의 판정을 행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22)에는 카메라(72) 및 마이크로 폰(73) 각각으로부터의 정보가 상시 입력되어 있다. 제어 장치(22)에서는 카메라(72) 및 마이크로 폰(73)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가 판정된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모터(6)에 설치된 검지 시트(71)의 색 변화, 및 승강로(1)내의 소음 레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했으므로, 모터(6)의 온도를 계측하지 않아도,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검지 시트(71)의 색 변화나 승강로(1)내의 소음 레벨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가 판정되어 있으나, 모터(6)로부터 복사(輻射)되는 적외선의 강도도 모터(6)의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모터(6)로부터 복사되는 적외선의 강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가 판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일정한 연산 주기마다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검지 시트(71)의 색 변화, 승강로(1)내의 소음 레벨, 모터(6)로부터 복사되는 적외선의 강도 각각에 대해서, 복수의 연산 주기가 포함되는 소정의 시간내에서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평균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노이즈(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칸(2)내 승객의 소리 등)를 평균화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에 대해 잘못된 판정을 하는 것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운전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고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엘리베이터의 운전시에 동작되는 엘리베이터 기기,
    상기 엘리베이터 기기에 대해서, 온도와 다른 물리량의 변화를 계측하는 검출기, 및
    상기 검출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와 다른 물리량은 상기 엘리베이터 기기의 변형, 전기 저항값 및 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기는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기 위한 권상기(卷上機),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되는 종동 쉬브(driven sheave),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에 맞물림하면서 안내되는 가이드 슈(guide shoe), 및 상기 권상기의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의 핀(f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기는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기 위한 권상기이고,
    상기 권상기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를 가지고,
    상기 온도와 다른 물리량은 상기 모터의 코일의 전기 저항값, 회생 운전시에 있어서 회생 저항,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bearing)에 주입된 오일의 압력 및 점성(粘性)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기는 권상기의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이고,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구동 쉬브에 주어져 있는 제동력을 통전에 의해 해제하는 브레이크 코일을 가지고,
    상기 온도와 다른 물리량은 상기 브레이크 코일의 전기 저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기는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기 위한 권상기이고,
    상기 온도와 다른 물리량은 상기 권상기로부터의 소음 레벨, 및 상기 권상기로부터의 적외선 복사(輻射)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소음 레벨 및 상기 적외선 복사량 중 적어도 어느 어느 하나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내에서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평균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와 다른 물리량의 변화에 따른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를 구하고, 구한 상기 최고 속도, 가속도 및 가가속도에 기초하여 속도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한 속도 패턴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77015929A 2005-09-30 2005-09-30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63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8161 WO2007039928A1 (ja) 2005-09-30 2005-09-30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786A true KR20070088786A (ko) 2007-08-29
KR100963357B1 KR100963357B1 (ko) 2010-06-14

Family

ID=3790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929A KR100963357B1 (ko) 2005-09-30 2005-09-30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23705B2 (ko)
EP (1) EP1930275B1 (ko)
JP (1) JP5236186B2 (ko)
KR (1) KR100963357B1 (ko)
CN (1) CN101098822B (ko)
WO (1) WO20070399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4589B2 (en) * 2006-07-10 2010-08-31 Inventio Ag Elevator lift cage load measuring assembly
US8272482B2 (en) * 2007-06-14 2012-09-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aking control of car according to detected content of failure
JP5034914B2 (ja) * 2007-12-07 2012-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774429B2 (ja) * 2008-09-12 2011-09-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US9394138B2 (en) * 2010-11-30 2016-07-19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dampening noise or vibration using a motor
ES2576355T3 (es) * 2012-06-29 2016-07-07 Inventio Ag Instalación de ascensor
WO2015089755A1 (en) * 2013-12-18 2015-06-25 Inventio Ag Pulley for lift system, lift system with pulley and method for monitoring lift system
JP6058176B2 (ja) * 2014-02-14 2017-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7826919B (zh) * 2017-10-20 2019-09-13 中国矿业大学 一种提升系统关键部件多状态健康监测装置及监测方法
JP6806287B2 (ja) * 2018-06-19 2021-01-0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温度推移特定装置、保守計画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US20210101782A1 (en) * 2019-10-04 2021-04-08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magnetic brake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7204700B2 (ja) * 2020-03-13 2023-01-16 三菱日立ホームエレベーター株式会社 巻胴式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17043091A (zh) * 2021-03-19 2023-11-10 三菱电机楼宇解决方案株式会社 电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57291A (en) * 1972-09-06 1974-11-05 Peter Deh. Eastcott Strain detector for the drive wheel of a friction mine hoist
US3891064A (en) * 1974-04-16 1975-06-24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US3961688A (en) * 1974-04-29 1976-06-08 Armor Elevator Company Transportation system with malfunction monitor
US3973648A (en) * 1974-09-30 1976-08-10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 installation
JPS54162356A (en) * 1978-06-14 1979-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ler for elevator
WO1981002288A1 (en) * 1980-02-08 1981-08-20 R Payne Monitoring and controlling lift positions
US4527662A (en) * 1983-04-01 1985-07-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peed control
JPS59203074A (ja) * 1983-05-06 1984-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油圧エレベ−タ
US4512442A (en) * 1984-03-30 1985-04-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ervicing of an elevator system
CN1006543B (zh) * 1985-04-01 1990-01-24 三菱电机株式会社 升降机速度控制装置
JPH065995B2 (ja) * 1985-05-09 1994-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速度制御装置
JPH0780646B2 (ja) * 1988-03-18 1995-08-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680459B2 (ja) * 1990-03-07 1997-11-19 株式会社東芝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AU640998B2 (en) 1990-04-12 1993-09-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otion profile selection
JP2695699B2 (ja) * 1990-11-30 1998-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FI107249B (fi) * 1996-12-20 2001-06-29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kuorman mittaamiseksi
JPH11314868A (ja) * 1998-04-28 1999-11-16 Toshiba Elevator Co Ltd 昇降機のかご荷重検出装置
KR20000009072A (ko) * 1998-07-21 2000-02-15 이종수 엘리베이터 속도 제어장치
US6325179B1 (en) * 2000-07-19 2001-12-04 Otis Elevator Company Determining elevator brake, traction and related performance parameters
US6450299B1 (en) * 2000-09-14 2002-09-17 C.E. Electronics, Inc. Load measuring for an elevator car
JP2002114455A (ja) * 2000-10-06 2002-04-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6543583B1 (en) * 2001-07-02 2003-04-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auditing with recommended action, reason and severity in maintenance messages
JP4620912B2 (ja) * 2001-09-11 2011-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動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装置
JP4158883B2 (ja) 2001-12-10 2008-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制御装置
JP2003264116A (ja) * 2002-03-08 2003-09-19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昇降機のコンデンサの劣化検知装置
JP4102362B2 (ja) * 2002-09-27 2008-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制御装置
CN1839084B (zh) * 2003-09-29 2010-10-0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控制装置
JP2005247468A (ja) * 2004-03-02 2005-09-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39928A1 (ja) 2007-04-12
US7823705B2 (en) 2010-11-02
CN101098822B (zh) 2012-05-30
JPWO2007039928A1 (ja) 2009-04-16
JP5236186B2 (ja) 2013-07-17
EP1930275A1 (en) 2008-06-11
EP1930275B1 (en) 2013-12-11
EP1930275A4 (en) 2012-02-22
CN101098822A (zh) 2008-01-02
KR100963357B1 (ko) 2010-06-14
US20090236184A1 (en)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35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6904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2737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8336677B2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rope slip detection method
JP503713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73234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0709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45938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038151B1 (ko)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시스템
KR10108056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053291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5264290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動機能検査方法
JPWO200511590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754715B2 (ja) エレベーターのカウンターウェイトクリアランス診断装置
KR20070069127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024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60129506A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20060065654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