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5654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654A
KR20060065654A KR1020067001870A KR20067001870A KR20060065654A KR 20060065654 A KR20060065654 A KR 20060065654A KR 1020067001870 A KR1020067001870 A KR 1020067001870A KR 20067001870 A KR20067001870 A KR 20067001870A KR 20060065654 A KR20060065654 A KR 20060065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actuator
side pulley
speed
emergency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2055B1 (ko
Inventor
츠네히로 히가시나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1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055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속도 감시부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가 감시된다. 속도 감시부는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 속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과속도에 이르렀을 때에 이상 검출 신호를 발생한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이상 검출 신호가 발생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는 이상 검출 신호 발생의 유무에 따라 구동되는 액츄에이터와, 액츄에이터에 동작되는 제동 부재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CONTROLLE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서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1-80840호 공보에 나타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가 이상 속도에 이르면, 조속기(調速機)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가 작동되고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된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이상 속도가 조속기에 의해 검출되면, 조속기에 조립된 로프 그립핑(rope gripping) 장치에 의해 조속기 로프가 파지(把持)되고,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된 세이프티 링크(safety link)를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가 작동된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력이 기계적으로 전달되므로, 이상 속도가 검출되고 나서 비상 정지 장치가 작동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며,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할 때까지의 제동 거리도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상 속도를 검출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킬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 속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과속도에 이르렀을 때에 이상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속도 감시부, 및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며 이상 검출 신호 발생의 유무에 따라 구동되는 액츄에이터와, 액츄에이터에 의해 동작되는 제동 부재를 갖고, 이상 검출 신호가 발생했을 때에 제동 부재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係合)시켜서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상(上)방향 비상 정지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이상 속도 판별부에 기억된 설정 과속도의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도 1의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3의 V-V 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도 8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서 승강로(1)내를 승강시킨다.
엘리베이터 칸(3)은 복수 라인의 주(主) 로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균형추(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주 로프는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구동 쉬브(drive sheave)에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는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내를 승강된다.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계합하는 한 쌍의 상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guide shoes)(4)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계합하는 한 쌍의 하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는 상승하는 엘리베이터칸(3)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한 쌍의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6)가 탑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하강하는 엘리베이터 칸(3)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한 쌍의 하(下)방 향 비상 정지 장치(7)가 탑재되어 있다.
속도 감시부(8)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과속도(이상 속도)에 도달하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속도 감시부(8)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9),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10), 및 설정 과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를 비교하는 이상 속도 판별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부(9)에는 센서(12)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센서(12)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량에 따른 신호를 발생한다. 위치 검출부(9)는 센서(12)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구한다. 속도 검출부(10)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시간 변화량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속도를 구한다.
센서(12)로서는 예를 들면 조속기 쉬브(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에 따라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인코더(encoder)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따라서 전동하는 검출 롤러(roller)를 엘리베이터 칸(3)에 탑재하고, 검출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인코더가 펄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그 외에, 센서(12)로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면,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3)과의 거리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거리 센서 등인 각종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속도 감시부(8)는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속도 감시부(8)는 CPU(처리부), RAM, ROM(기억부) 및 타이머 등을 갖고 있다. CPU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나 엘리베이터 칸 속도를 구하기 위한 연산 처리나, 엘리베 이터 칸 속도와 설정 과속도를 비교하는 연산 처리 등을 실행한다. RAM에는 연산 데이터가 기억된다. R0M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를 구하여 설정 과속도와 비교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CPU는 R0M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속도 감시의 프로그램은 소정의 연산 주기(예를 들면 5 msec)마다 반복 실행된다.
이상 속도 판별부(11)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비정상이다라고 판단되면,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방향에 따라서 상방향 비상 정지 작동 수단(13) 또는 하방향 비상 정지 작동 수단(14)에 이상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로 인해, 상방향 비상 정지 작동 수단(13) 또는 하방향 비상 정지 작동 수단(14)이 작동되고, 엘리베이터 칸(3)이 비상 정지된다.
속도 감시부(8) 및 비상 정지 작동 수단(13, 14)은 엘리베이터 칸(3)의 통상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制御盤)(도시하지 않음)내에 설치해도 되고, 또 제어반과는 별도로 설치해도 된다. 추가로, 속도 감시부(8) 및 비상 정지 작동 수단(13, 14)은 엘리베이터 칸(3)에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이상 속도 판별부(11)에 기억된 설정 과속도의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엘리베이터 칸(3)이 하부 종단층에서부터 상부 종단층까지 통상 속도(정격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패턴은 통상 속도 패턴(115)으로 된다. 제 1 설정 과속도 패턴(116)은 통상 속도 패턴(115)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 2 설정 과속도 패턴(117)은 제 1 설정 과속도 패턴(116)보다 더욱 높게 설정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설정 과속도 패턴(116, 117)은 통상 속도 패턴(115)에 대하여 전체 승강 행정(stroke)에서 거의 등간격을 두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설정 과속도 패턴(116, 117)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단층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설정 과속도가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종단층 근방에서는 중간층 부근보다 저속으로 이상이라고 판단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6)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6)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3의 V-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상의 양상(梁上)에는 비상 정지 프레임(frame)(15)이 고정되어 있다. 비상 정지 프레임(15)의 내측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의 측면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면(15a, 15b)(도 5)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면(15a, 15b)은 윗쪽으로 향하여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간격이 커지게 되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면(15a, 15b)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사이에는 한 쌍의 쐐기(wedge) 부재(제동 부재)(16)의 하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쐐기 부재(16)는 도 3에 도시된 통상 위치와 도 4에 도시된 제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상 위치에 있을 때, 쐐기 부재(16)와 가이드 레일(2)의 측면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어 있다. 또, 제동 위치에 있을 때, 쐐기 부재(16)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의 측면에 당접하여 있다.
비상 정지 프레임(15)의 상부에는 액츄에이터(17)가 배치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7)는 이상 속도 판별부(11)에서의 이상 검출 신호 발생의 유무에 따라 구동된다. 액츄에이터(17)는 쐐기 부재(16)의 상단부에 계합하는 가동부(18)와, 가동부(18)를 구동하는 전자 솔레노이드(solenoid)부(19)를 갖고 있다.
통상 상태에서는 쐐기 부재(16)의 상단부가 가동부(18)에 계합하고 있고, 쐐기 부재(16)가 통상 위치에 유지된다. 이상 검출 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방향 비상 정지 작동 수단(13)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전자 솔레노이드부(19)가 여자(勵磁)되고, 가동부(18)가 쐐기 부재(16)로부터 개리(開籬)한다. 가동부(18)와의 계합이 해제되면, 쐐기 부재(16)는 그 자중(自重)에 의해 제동 위치로 낙하한다.
액츄에이터(17)의 상부에는 스프링 베어링(spring bearing)(20)이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베어링(20)과 쐐기 부재(16)의 상단부와의 사이에는 쐐기 부재(16)를 제동 위치측에 부세(付勢, urging)하는 보조 스프링(21)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 스프링(21)은 쐐기 부재(16)가 녹스는 등의 원인으로 자중만으로 낙하하지 않을 때에 강제적으로 제동 위치로 변위시키는 백업(back-up)용의 부세 수단이다.
가이드면(15a, 15b)과 쐐기 부재(16)와의 사이에는 쐐기 부재(16)를 제동 위치로 매끄럽게 변위시키기 위한 안내 롤러 장치(22)(도 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6)의 동작은 전기적인 지령 신호에 의하여 동기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속도 감시부(8)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감시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정상적이면, 쐐기 부 재(16)는 통상 위치에 유지되고, 쐐기 부재(16)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제 1 설정 과속도에 이르면, 구동 장치로의 통전이 차단되고, 구동 장치의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구동 쉬브의 회전이 제동된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칸(3)은 급정지된다.
구동 장치에의 제동 지령을 출력했음에도 관계없이, 고장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속도의 상승이 멈추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제 2 설정 과속도에 이르면, 이상 검출 신호가 상방향 비상 정지 작동 수단(13) 또는 하방향 비상 정지 작동 수단(14)에 입력되고,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6) 또는 하방향 비상 정지 장치(7)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비상 정지된다.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6)의 액츄에이터(17)에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가동부(18)가 도 3의 우측으로 변위되고, 쐐기 부재(16)가 낙하한다. 낙하하는 쐐기 부재(16)는 가이드면(15a, 15b)에 의해 안내되면서 제동 위치로 변위된다. 쐐기 부재(16)는 제동 위치로 변위되면,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에 의해 가이드면(15a, 15b)과 가이드 레일(2)과의 사이에 박힌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칸(3)이 비상 정지된다.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6)를 통상 상태에 복귀시키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을 약간 하강시켜서 쐐기 부재(16)의 박힘(wedging)을 해제하고, 쐐기 부재(16)의 상단부를 가동부(18)에 계합시킨다. 또한, 액츄에이터(17)로의 통전을 차단하면, 액츄에이터(17)에 내장된 복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스프링력으로 가동부(18)는 도 3에 나타내는 통상 위치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이상 속도가 검출되면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6)의 액츄에이터(17)에 지령 신호가 입력되게 되어 있고, 조작력의 기계적 전달이 대부분 없게 되기 때문에, 이상 속도를 검출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을 정지시킬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동 거리도 단축할 수 있다.
또, 기본적으로 쐐기 부재(16)는 그 자중으로 제동 위치로 변위하므로,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보조 스프링(21)을 설치하였으므로, 제동 동작의 동작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제동 동작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종단층의 근방에서는 중간층 부근보다 설정 과속도가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동 거리를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또, 완충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피트(pit) 깊이나 오버헤드(overhead) 치수를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전자 솔레노이드부(19)가 여자됨으로써, 가동부(18)의 쐐기 부재(16)와의 계합이 해제되도록 하였으나, 반대로 전자 솔레노이드부(19)로의 통전이 차단되었을 때에 스프링 등에 의해 가동부(18)가 변위되고, 가동부(18)의 쐐기 부재(16)와의 계합이 해제되도록 해도 된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7)는 엘리베이터 칸(3)상에 비상 정지 프레임 (15)과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7)의 가동부는 정자식(lever type) 연결 기구(23)를 통하여 쐐기 부재(16)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7)에는 중립점의 양(兩)측에 가동부(18)를 부세하는 부세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되어 있다. 부세 스프링로서는 예를 들면 접시(disc) 스프링이 이용된다.
가동부(18)를 도 6에 나타내는 통상 위치로부터 도 7에 나타내는 제동 위치로 변위시키는 경우, 전자 솔레노이드부(19)를 여자하여 가동부(18)를 도면의 우측으로 변위시키지만, 가동부(18)는 중립점을 지나면 부세 스프링의 스프링력으로 단번에 제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로 인해, 정자식 연결 기구(23)는 축(23a)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搖動)되고, 쐐기 부재(16)는 제동 위치로 이동된다.
반대로, 가동부(18)를 제동 위치에서부터 통상 위치로 되돌리는 경우, 전자 솔레노이드부(19)를 여자하여 가동부(18)를 도면의 좌방향으로 변위시키지만, 가동부(18)는 중립점을 지나면 부세 스프링의 스프링력으로 단번에 통상 위치로 변위된다. 이로 인해, 정자식 연결 기구(23)는 축(23a)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요동되고, 쐐기 부재(16)는 통상 위치로 되돌려진다. 쐐기 부재(16)가 가이드면(15a, 15b)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사이에 박혀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을 약간 하강시키면서 액츄에이터(17)를 구동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거의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6)의 통상 상태에 의 복귀 동작도 원격의 지령으로 행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6)의 동작 시험 등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정자식 연결 기구(23)를 통하여 액츄에이터(17)와 쐐기 부재(16)를 연결하였으므로, 가동부(18)의 변위를 확대하여 쐐기 부재(16)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부세 스프링을 내장하는 액츄에이터를 나타내었으나, 액츄에이터는 전자 솔레노이드부의 전자력에 의해서만 가동부를 변위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도 8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7)는 비상 정지 프레임(15)과 간격을 두고 엘리베이터 칸(3)상에 설치되어 있다. 가동부(18)에는 가동측 풀리(pulley) 지지 부재(24)가 고정되어 있다. 가동측 풀리 지지 부재(24)에는 복수의 가동측 풀리(25)가 설치되어 있어. 가동측 풀리(25)는 가동측 풀리 지지 부재(24)의 양 측면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상의 비상 정지 프레임(15)과 액츄에이터(17)와의 사이에는 가동측 풀리 지지 부재(24)에 대향하는 고정측 풀리 지지 부재(26)가 고정되어 있다. 고정측 풀리 지지 부재(26)에는 복수의 고정측 풀리(27)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측 풀리(27)는 고정측 풀리 지지 부재(26)의 양 측면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풀리 지지 부재(24, 26)의 한 측의 가동측 풀리(25) 및 고정측 풀리(27)에는 와이어(28)가 교대로 감겨져 있다. 풀리 지지 부재(24, 26)의 다른 측의 가동측 풀리(25) 및 고정측 풀리(27)에도 와이어(28)가 교대로 감겨져 있다. 각 와이어(28)는 고정측 풀리 지지 부재(26)에 접속된 제 1 단부(28a)와, 쐐기 부재(16)의 상단부에 접속된 제 2 단부(28b)를 갖고 있다.
쐐기 부재(16)의 기울기의 윗쪽에는 와이어(28)를 쐐기 부재(16)에 가이딩(guiding)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 풀리(29)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가이드 풀리(29)는 비상 정지 프레임(15)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상의 비상 정지 프레임(15)과 고정측 풀리 지지 부재(26)와의 사이에는 와이어(28)를 제 1 가이드 풀리(29)에 가이딩하는 한 쌍의 제 2 가이드 풀리(30)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으로 거의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상 검출 신호가 상방향 비상 정지 작동 수단(13)(도 1)에 입력되면, 액츄에이터(17)가 구동되고, 가동측 풀리 지지 부재(24)가 고정측 풀리 지지 부재(26)측으로 변위된다. 즉, 가동측 풀리 지지 부재(24)와 고정측 풀리 지지 부재(26)와의 사이의 간격이 좁혀진다. 이로 인해, 와이어(28)는 그 텐션(tension)을 잃고, 쐐기 부재(16)가 자중에 의해 제동 위치로 변위된다.
쐐기 부재(16)는 제동 위치로 변위되면,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에 의해 가이드면(15a, 15b)과 가이드 레일(2)과의 사이에 박힌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칸(3)이 비상 정지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3)을 약간 하강시키면서, 가동측 풀리 지지 부재(24)를 고정측 풀리 지지 부재(26)로부터 개리시킴으로써, 쐐기 부재(16)의 박힘이 해제되고, 추가로 쐐기 부재(16)는 와이어(28)를 통하여 끌어 올려져 통상 위치로 되돌려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6)의 통상 상태에의 복귀 동작도 원격의 지령으로 행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6)의 동작 시험 등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액츄에이터(17)의 조작력을 쐐기 부재(16)에 전달하는 와이어(28)가 가동측 풀리(25)와 고정측 풀리(27)에 교대로 감겨져 있고, 가동측 풀리(25)와 고정측 풀리(27)와의 간격이 변화하게 되어 있으므로, 액츄에이터(17)의 가동부(18)의 변위를 충분히 확대하여 쐐기 부재(16)에 전달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6)의 구성은 그대로 또는 약간의 변경을 가한 다음 하방향 비상 정지 장치(7)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의하여 설정 과속도가 변화하는 속도 감시부를 나타냈으나,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관계없이 설정 과속도가 일정해도 된다.
또, 액츄에이터는 전자 액츄에이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회전축을 갖는 모터, 리니어 모터, 유압 실린더, 또는 에어 실린더 등, 이상 검출 신호의 발생에 따라 구동되는 것이면 각종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속도 감시부와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와의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전기신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광신호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상 속도를 검출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킬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 속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과속도에 이르렀을 때에 이상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속도 감시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이상 검출 신호 발생의 유무에 따라서 구동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동작되는 제동 부재를 갖고, 상기 이상 검출 신호가 발생했을 때에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係合)시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상(上)방향 비상 정지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감시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따라서 변화하는 설정 과속도의 패턴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감시부에서 상기 이상 검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동 부재는 그 자중(自重)에 의해 낙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향 비상 정지 장치에는 상기 제동 부재의 낙하를 보조하는 보조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는 제동 위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로부터 개리(開離)하는 통상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정자식(lever type) 연결 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동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고정측 풀리(pulley) 지지 부재,
    상기 고정측 풀리 지지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고정측 풀리,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고정측 풀리 지지 부재와의 사이의 간격이 변화 가능한 가동측 풀리 지지 부재,
    상기 가동측 풀리 지지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가동측 풀리, 및
    상기 고정측 풀리 및 상기 가동측 풀리에 교대로 감겨져 있는 동시에, 상기 제동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한 상기 가동측 풀리 지지 부재의 변위를 확대하여 상기 제동 부재에 전달하는 와이어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67001870A 2006-01-26 2004-05-27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42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1870A KR100742055B1 (ko) 2006-01-26 2004-05-27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1870A KR100742055B1 (ko) 2006-01-26 2004-05-27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654A true KR20060065654A (ko) 2006-06-14
KR100742055B1 KR100742055B1 (ko) 2007-07-23

Family

ID=3716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870A KR100742055B1 (ko) 2006-01-26 2004-05-27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05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8579A (ja) * 1999-12-01 2001-06-1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ガバナ装置、及びエレベータ
KR20030028818A (ko) * 2001-06-29 2003-04-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JP4553535B2 (ja) * 2001-09-28 2010-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2055B1 (ko) 2007-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697B2 (en) Elevator apparatus
JP4641305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US8336677B2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rope slip detection method
KR10101491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732342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2380841A1 (en) Elevator device
WO2006103768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1098822A (zh) 电梯装置
JP7212201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49785B1 (en) Elevator controller
CN110451382B (zh) 基于磁体组件到轨道的距离的同步
JP2014114130A (ja) エレベータ
KR10074205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510564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7319878B2 (ja) エレベーター及び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KR20100135114A (ko) 엘리베이터용 조속 장치
KR1009024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20220063955A1 (en) Elevator systems
JP2010095355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WO2022249793A1 (ja) 非常止め装置、エレベーター及び非常止め装置の復帰方法
JP2005343648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
KR200219245Y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CN109803911B (zh) 电梯用调速机及电梯装置
KR20020038605A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089123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