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301A - 토출용기 - Google Patents

토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301A
KR20070088301A KR1020067024603A KR20067024603A KR20070088301A KR 20070088301 A KR20070088301 A KR 20070088301A KR 1020067024603 A KR1020067024603 A KR 1020067024603A KR 20067024603 A KR20067024603 A KR 20067024603A KR 20070088301 A KR20070088301 A KR 20070088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rtition plate
roof
plat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011B1 (ko
Inventor
다이치 혼다
쓰토무 고바야시
히데오 우에무라
Original Assignee
더 프락타 앤드 갬블 컴파니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락타 앤드 갬블 컴파니,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더 프락타 앤드 갬블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7008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83Containers comprising an internal rotating wing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바닥벽으로부터 중심축을 따라서 지지기둥을 세워 설치하고, 둘레벽으로부터 바닥벽에 걸친 부분을 기단으로 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내부를 구획하는 고정 칸막이판을 설치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용기본체와, 지지기둥에 회동 자유롭게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축통편을 갖고, 이 축통편을 기단으로 하여 반지름방향으로 고정 칸막이판에 나란한 형상으로 회동칸막이판을 설치한 회전체와, 지붕벽 상면을 받침접시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지붕벽 하면으로부터 축통편에 위쪽으로부터 회동 불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하향연장축을 아래로 늘어뜨려 설치하고, 입구통부를 덮개형상으로 덮으며 회동 자유롭게 끼워맞춤하는 지붕이 있는 원통형상의 덮개체를 갖고, 고정 칸막이판의 앞끝단면이 축통편에 미끄럼접촉하고, 회동칸막이판의 앞끝단부분을 주걱형상의 연질재료제 미끄럼운동부재로 형성하여 용기 본체의 둘레벽으로부터 바닥벽에 걸친 부분에 선접촉형상으로 미끄럼접촉하고, 지붕벽 하면이, 입구통부 및 고정칸막이판의 상단면에 미끄럼접촉하고, 회동칸막이판의 상단면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여, 용기본체와 덮개체와의 상대회동에 의해 내용물을 압박하여, 지붕벽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토출용기.

Description

토출용기{EJECTING CONTAINER}
본 발명은, 크림형상의 화장료(化粧料), 의약품 등을 적당량 토출하여 사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나 의약품에 사용되는 크림, 연고(軟膏), 겔형상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것으로서 덮개를 덮은 넓은 입구의 병형상의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 용기의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끝으로 떠내어 내용물을 꺼내지만, 여분으로 꺼내 버리거나 남은 부분을 용기내에 되돌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어, 비위생적이기도 하였다. 또한, 내용물이 공기에 직접 접하는 면적이 커져, 산화 등에 의한 품질의 저하도 염려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에 관하여 특허문헌 1에는, 덮개체의 회동조작에 의해 용기 본체내의 내용물을 적당량 꺼낼 수 있는 토출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용기 본체내에 한 쌍의 칸막이판을 반지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용기본체와 덮개체와의 상대적인 회동에 의해 이 칸막이판 사이의 중심각도를 좁히고, 칸막이판 사이에 존재하는 내용물을 압박하여, 덮개체의 중앙에 개구한 토출구로부터, 적당량의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공고 소화 62-8839호 공보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용기에서는, 한 쌍의 칸막이판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내용물에 압력을 부가할 필요가 있고, 예를 들면 칸막이판 사이에서의 밀폐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의도한 양의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거나, 한편 밀폐성을 주고자 하면 회동조작이 부드럽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회동기구를 가진 토출용기에 관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 특히 미끄럼운동성을 손상하는 일 없이 칸막이판과 용기 본체와의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하여, 따라서 사용의 편리함이 더 향상된 크림형상 내용물의 토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중,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수단은, 상단부에 넓은 입구의 입구통부를 세워 설치하고, 바닥벽으로부터 중심축을 따라서 지지기둥을 세워 설치하고, 둘레벽으로부터 바닥벽에 걸친 부분을 기단으로 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내부를 구획(partition)하는 고정칸막이판을 설치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용기본체를 갖는 것, 상기 지지기둥에 회동 자유롭게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축통편을 갖고, 이 축통편을 기단으로 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고정칸막이판에 나란한 형상으로 회동칸막이판을 설치한 회전체를 갖는 것, 지붕벽 상면을 받침접시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지붕벽 하면으로부터 축통편에 위쪽으로부터 회동 불가능하게 끼워넣어지는 하향연장축을 아래로 늘어뜨려 설치하고, 입구통부를 덮개형상으로 덮어 이 입구통부에 회동 자유롭게 끼워맞춤하는 지붕이 있는 원통형상의 덮개체를 갖는 것,
고정칸막이판의 앞끝단면이 축통편에 미끄럼접촉하고, 회동칸막이판의 앞끝단부분을 주걱형상의 연질재료제 미끄럼운동부재로 형성하고, 이 미끄럼운동부재가 용기본체의 둘레벽으로부터 바닥벽에 걸친 부분에 선접촉형상으로 미끄럼접촉하고, 지붕벽 하면이 입구통부, 및 고정칸막이판의 상단면에 미끄럼접촉하고, 회동칸막이판의 상단면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여,
고정칸막이판, 회동칸막이판, 둘레벽, 바닥벽, 축통편 및 지붕벽으로 수납실을 형성하고, 이 수납실에 연이어 통하는 토출구를 지붕벽에 개구하고,
용기본체와 덮개체와의 상대회동에 의해 고정칸막이판과 회동칸막이판이 이루는 중심각도를 작게 하여 수납실의 용적을 감축하고, 내용물을 압박하여, 토출구로부터 지붕판상에 토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 기재의 용기는 주로 용기본체, 회전체, 및 덮개체의 3부재로 구성되고, 회전체와 덮개체는 회동 불가능하게 조립해서 부착하고, 그리고 이 양 부재가 용기본체와 회동 자유롭게 조립 부착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용기본체내에 부설되어, 용기본체내를 반지름방향으로 구획하는 고정칸막이판과, 용기본체의 둘레벽 및 바닥벽과, 회전체의 축통편 및 상기 고정칸막이판에 대해서 나란한 형상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부설되는 회동칸막이판과, 덮개체의 지붕벽에 의해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납실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칸막이판의 앞끝단면이 축통편에 미끄럼접촉하고, 회동칸막이판의 앞끝단부분을 주걱형상의 연질재료제 미끄럼운동부재로 형성하고, 이 미끄럼운동부재가 용기본체의 둘레벽으로부터 바닥벽에 걸친 부분에 선접촉형상으로 미끄럼접촉하고, 지붕벽 하면이 입구통부, 및 고정칸막이판의 상단면에 미끄럼접촉하고, 회동칸막이판의 상단면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수납실은 지붕벽에 개구한 토출구를 제외하고, 크림형상의 내용물에 관해서 대략 밀폐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용기본체와 덮개체를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반지름방향으로 구획하는 양 칸막이판이 이루는 중심각도를 작아지도록 하고, 수납실의 용적을 감축하도록 하면, 수납실내의 내용물을 압박하여, 토출구로부터 지붕벽 위에 토출할 수 있다.
특히, 회동칸막이판의 앞끝단부분을 주걱형상의 연질재료제 미끄럼운동부재로 형성하고, 이 미끄럼운동부재가 용기본체의 둘레벽으로부터 바닥벽에 걸친 부분에 탄성변형하면서 선접촉형상으로 미끄럼접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미끄럼운동상태에서 이 미끄럼운동부재의 앞끝단부를 용이하게 탄성변형시킬 수 있어, 작은 저항으로, 확실하게 밀폐성을 유지하면서 용기본체의 내면형상을 따라서 끄럼운동시킬 수 있어, 원활한 회동조작으로 적당량의 토출량을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을 남기는 일 없이 깨끗하게 용기본체 내면으로부터 긁어낼 수 있어, 낭비 없이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한 회동에 의해 대략 일정량의 내용물을 지붕벽 위에 토출하고, 이 토출된 내용물을 손가락으로 떠내어 사용할 수 있어, 용기본체 내부에 손가락을 찔러 넣을 필요도 없고, 손가락을 필요 이상으로 더럽히거나 하는 일 없이, 위생적으로 낭비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수납실의 용적을 감축할 때는, 양 칸막이판으로 구획되는 수납실과 반대측의 공간은 감압상태가 되므로, 지붕벽에 이 반대측 공간에 연이어 통하는 공기구멍을 비워 둔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지붕벽의 하면이 패킹을 개재하여, 입구통부, 및 고정칸막이판의 상단면에 미끄럼접촉하고, 회동칸막이판의 상단면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상기 구성에 의해, 수납실 상부의 밀폐성을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 있고, 내용물이 외부에 새는 일도 없이, 보다 효과적으로 내용물의 토출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바닥판을 갖는 바닥이 있는 짧은 원통형상의 덮개부와, 중앙에 토출구를 개구한 지붕판을 받침접시형상으로 형성하고, 덮개부에, 위쪽으로부터 덮개형상으로 덮어, 회동 불가능하게 빽빽하게 바깥에서 끼워짐과 동시에,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회동 자유롭게 끼워지는 지붕이 있는 원통형상의 캡부로 덮개체를 형성하는 것, 지붕벽을 바닥판과 지붕판의 2중벽으로 하여, 바닥판의 하면 중심으로부터 하향연장축을 아래로 늘어뜨려 설치하고, 바닥판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용기본체 내부에 연이어 통하는 유출구멍을 개구하는 것, 바닥판과 지붕판의 사이에 유출구멍으로부터 토출구에 이르는 유통로를 형성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상기 구성은, 덮개체를 덮개부와 캡부의 2부재로 형성하고, 지붕벽을 바닥판과 지붕판의 2중벽으로 하여, 이 이중벽의 사이에 바닥판 둘레가장자리부의 유출구멍으로부터 지붕판 중앙의 토출구에 이르는 유통로를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바닥판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유출구멍을 개구하는 것에 의해, 양 칸막이판의 상대적인 회동에서는, 둘레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일수록 칸막이의 이동과 관련되는 선속도가 커서, 재빠르게 압력이 상승하여 회동조작과 대략 동시에 내용물을 유출구멍, 유통로를 통하여 토출구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이 되고 있으므로,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이룬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회동칸막이판의 앞끝단부분을 주걱형상의 연질재료제 미끄럼운동부재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작은 저항으로 보다 확실히 밀폐성을 유지하면서 용기의 내면형상을 따라서 미끄럼운동시킬 수 있어, 원활한 회동조작으로 적당량의 토출량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을 남기는 일 없이 깨끗하게 용기본체 내면으로부터 긁어낼 수 있어, 낭비없이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수납실 상부의 밀폐성을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 있어, 내용물이 외부에 새는 일도 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내용물의 토출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둘레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일수록 칸막이판의 이동과 관련되는 선속도가 크고, 재빠르게 압력이 상승하여 회동조작과 대략 동시에, 내용물을 유출구멍, 유통로를 통하여 토출구로부터 타임래그 없이 토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기의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의 주부재를 분해하고 사시도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의 용기본체와 회전체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a)는 사용개시전의 상태, (b)는 내용물을 다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a) 중의 B-B선에 따라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용기의 제 2 실시예의 용기본체와 오버 캡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용기에서 오버캡을 벗긴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용기에서 오버캡과 덮개체를 벗긴 사용개시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용기본체 1a : 바깥통편
1b : 바깥쪽 바닥부 2 : 입구통부
3 : 바닥벽 4 : 둘레벽
5 : 끼워맞춤둘레조 6 : 지지기둥
7 : 고정칸막이판 8 : 나사맞춤부
11 : 회전체 12 : 축통편
12a : 중간바닥 13 : 회동칸막이판
13a : 판편(板片) 14 : 미끄럼운동부재
15 : 블레이드 16 : 세로조
20 : 덮개체 21 : 덮개부
22 : 바닥판 23 : 하향연장축
23a : 세로홈 24 : 유출구멍
25 : 유통로 25a : 유로통편
26 : 흡기구멍 27 : 끼워맞춤 짧은 통편
31 : 캡부 31a : 캡부 커버
32 : 지붕벽 32a : 지붕판
32b : 오목부 33 : 토출구
34 : 유로통편 35 : 걸어멈춤 둘레조
36 : 끼워넣음 짧은 통편 41 : 오버캡
41a : 오버캡 커버 42 : 패킹
43 : 패킹 R : 수납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4는 본 발명의 토출용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은 도 3(a) 중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분해하여 나타내는 주요한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용기본체(1)와 회전체(11)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a)은 사용개시전의 상태, (b)는 내용물을 다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도 3(a) 중의 B-B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다만 오버 캡(41)을 벗긴 상태}.
이 용기의 주된 구성부재는 모두 합성수지제이며, 용기본체(1), 회전체(11), 및 덮개체(20)이지만, 덮개체(20)는 덮개부(21)와 캡부(31)의 2부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덮개체(20)의 위로부터 오버캡(41)을 씌우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용기본체(1)는 넓은 입구의 입구통부(2)를 가진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둘레벽(4)으로부터 바닥벽(3)에 걸친 부분을 바깥통편(1a)으로 외장(外裝)하고 있다. 바깥통편(1a)으로 외장하는 것에 의해 책상 위 등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책상 위에 둔 상태에서 한 손으로 회동조작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바닥벽 (3)으로부터 중심축을 따라서 원통형상의 지지기둥(6)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4)으로부터 바닥벽(3)에 걸친 부분을 기단으로 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내부를 구획하는 고정칸막이판(7)이 부설되어 있다.
회전체(11)는, 하단부가 지지기둥(6)에 회동 자유롭게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축통편(12)을 갖고, 이 축통편(12)을 기단으로 하여 전체높이에 걸쳐서, 회동칸막이판(13)이 부설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 회동칸막이판(13)은 판편(13a)의 앞끝단부분에, 주걱형상의 연질재료제의 미끄럼운동부재(14)를 씌우도록 하여 조립 부착하고 고정한 것이다. 그리고 이 미끄럼운동부재(14)의 측단으로부터 아래쪽에 걸친 부분에는 앞끝단을 예각형상으로 한 블레이드(15)를 형성하고 있고, 용기본체(1)의 둘레벽(4)으로부터 바닥벽(3)에 걸친 부분에 선접촉형상 또는 밀접한 형상으로 미끄럼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축통편(12)의 중앙높이위치에는 중간바닥(12a)이 부설되어, 위쪽 반(半) 분량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덮개부(21)의 하향연장축(23)이 회동 불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기 위한 세로조(16)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20)는 덮개부(21)와 캡부(31)의 2부재로 이루어지지만, 덮개부(21)는 전체적으로 바닥이 있는 짧은 원통형상이며, 바닥판(22)의 하면으로부터 중심축을 따라서 상기한 축통편(12)의 상단부에, 세로홈(23a)에 의해 회동 불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하향연장축(23)이 아래로 늘어뜨려져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바닥판 (22)의 둘레가장자리부에 1개의 원형의 유출구멍(2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유출구멍(24)으로부터 중앙에 걸친 부분에, 이 유출구멍(24)을 둘러싸도록 하여 후술하는 캡부(31)의 유로통편(34)과 함께 내용물의 유통로(25)를 형성하는 세로로 긴 타원의 짧은 통형상의 유로통편(2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출구멍(24)의 가까이에는 흡기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캡부(31)는 지붕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지붕판(32a)을 받침접시형상으로 형성하고, 지붕판(32a)중앙에 토출구(33)를 개구하고, 지붕판(32a)하면에는 유로통편 (34)을 아래로 늘어뜨려 설치하고 있다. 또 이 캡부(31)의 하단부 안둘레면에는 걸어멈춤둘레조(35)가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 유로통편(34)이 상기 유로통편(25a)에 액밀형상으로 끼워 넣어지고, 캡부(31)와 덮개부(21)가 회동 불가능하게 조립 부착하고 고정하여 덮개체(20)를 형성하고, 덮개체(20)는 캡부(31)의 하단부 안둘레면에 형성한 걸어멈춤 둘레조 (35)를, 용기본체(1)의 입구통부(2)의 끼워맞춤둘레조(5)르 타고 넘어 걸어멈춤하여, 이것에 의해 입구통부(2)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 부착되어 고정된다.
도 1은 오버캡(41)을 바깥통편(1a)의 상단부의 나사맞춤부(8)에 나사맞춤하 여 조립하여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또한 패킹(43)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내용물의 성분의 휘산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부재를 조립한 상태에서의 사용의 형태를 다음에 설명한다.
도 1 및 도 3(a)은 사용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입구통부(2)의 상단면에 패킹(42)을 배치하여 용기본체(1)와 회전체(11)와 덮개체(20)를 조립 부착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용기본체(1)의 둘레벽(4), 바닥벽(3), 및 고정칸막이판(7)과 회전체(11)의 축통편(12) 및 회동칸막이판(13), 및 바닥판(22){패킹(42)}으로 수납실 (R){도 3(a)중에서 해칭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내용물은 이 수납실(R)에 수납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연질재료제의 미끄럼운동부재(14)의 앞끝단에 형성된 블레이드(15)가 용기본체(1)의 둘레벽(4)으로부터 바닥벽(3)에 걸친 부분에 선접촉형상 그리고 밀폐형상으로 미끄럼접촉하고, 고정칸막이판(7)의 앞끝단은 축통편 (12)의 바깥둘레면에 미끄럼접촉하고 있고, 수납실(R)은 패킹(42)의 작용과 함께 크림형상의 내용물에 대해서는 유출구멍(24)을 제외하고 대략 밀폐형상이 된다.
그리고, 도 3(a) 및 (b) 중에서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칸막이판(13)을 사이에 두고 덮개부(21) 바닥판(22)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유출구멍(24)과 흡기구멍(26)이 배치되며, 또한, 도 4중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 내부로부터 유출구멍(24) 및 유통로(25)를 거쳐 토출구(33)에 이르는 내용물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본체(1)에 대해서 덮개체(20)를 도 3(a)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 면{물론 용기본체(1)와 덮개체(20)는 상대회동 가능하며, 덮개체(20)를 고정하고 용기본체(1)를 회동시킬 수도 있다.} 수납실(R)을 형성하는 양 칸막이판(7,13)이 이루는 중심각도가 작아져, 내용물이 압박되어, 용기본체(1) 내부로부터 유출구멍(24) 및 유통로(25)를 거쳐, 토출구(33)로부터 지붕판(32a)상에 토출된다. 한편 내용물이 없어진 부분에는 흡기구멍(26)을 통해 외부공기가 도입된다.
여기서, 양 칸막이판(7,13)의 상대적인 회동에서는, 용기본체(1)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일수록 칸막이판의 이동에 관한 선속도가 커서, 바닥판(22)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유출구멍(24)을 개구하는 것에 의해, 회동조작과 대략 동시에 즉 타임래그 없이, 내용물을 유출구멍(24), 유통로(25)를 통하여 토출구(33)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다.
물론, 덮개체(20)를 지붕이 있는 원통형상의 1부재로서 그 지붕벽(32)에 토출구(33)를 개구하고, 또한 축통편(12)의 상부 및 하향연장축(23a)에 유출구멍(24)을 개구하여, 압박된 내용물을 지붕벽(32)상에 토출시킬 수도 있지만, 비교적 점도가 높고 혹은 점(粘)탄성적인 성질을 갖는 내용물에서는 본 실시예의 것에 비하면 타임래그가 생긴다.
도 3(b)은, 내용물을 다 사용한 상태에서, 회동칸막이판(13)이 대략 1회전하여 고정칸막이판(7)과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회동칸막이판(13)의 회동에 있어서는, 연질재료제의 미끄럼운동부재(14)의 앞끝단에 형성된 블레이드(15)가 용기본체(1)의 둘레벽(4)으로부터 측벽(3)에 걸친 부분에 탄성변형하면서 선접촉형상으로, 그리고 밀접한 형상으로 미끄럼접촉하므로, 작은 저항으로 원활하게 회동조작 을 할 수 있어 적당량의 토출량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5)에서 내용물을 남기는 일 없이 깨끗하게 용기본체(1) 내면으로부터 긁어낼 수 있어, 낭비없이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도 8은 본 발명의 토출용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용기본체(1)와 오버캡(41)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8중의 C-C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7은 오버캡(41)을 벗긴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또한 덮개체(20)를 벗긴 사용개시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용기의 주된 구성부재는 모두 합성수지제이며, 용기본체(1), 회전체(11) 및 덮개체(20)이고, 덮개체(20)의 위로부터 오버캡(41)을 씌우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하 주로 제 1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용기본체(1)의 바깥통편(1a)의 대신에 별도의 부재인 바깥쪽 바닥부(1b)를 사용하고, 용기본체(1)를 바닥부도 포함하여 2중용기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회전체(11)를 축통편(12)과 회동칸막이판 (13)을 포함한 일체성형품으로 하고 있다. 또한 장식성을 높이기 위해, 오버캡 (41)의 바깥쪽을 또한 알루미늄제의 오버캡 커버(41a)로, 그리고 캡부(31)의 측벽을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제의 캡부 커버(31a)로 외장하고 있다.
덮개체(20)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덮개부(21)와 캡부(31)의 2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덮개부(21)의 바닥판(22)에는 1개의 타원형상의 유출구멍(2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유출구멍(24)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로부터 끼워맞춤 짧은 통편 (27)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한편 캡부(31)의 지붕판(32a)의 유출구멍(24)에 대향하는 위치에 타원형상의 토출구(33)가 개구되어 있고, 이 토출구(33)의 개구 둘레가장자리부로부터 끼워맞춤 짧은 통편(27)에 끼워넣어지는 끼워넣음 짧은 통편 (36)이 아래로 늘어뜨려져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붕판(32a)의 상면에는, 토출구 (33)를 둘러싸도록 하여 큰 타원형상의 오목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체(20)의 회동에 의해 내용물은 유출구멍(24)을 거쳐 토출구(33)로부터 지붕판(32a)상에 토출하여, 오목부(32b)에 모으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기본체의 몸통부로부터 바닥부에 걸친 부분을 2중용기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사용목적에 따라 통상의 1중의 용기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토출구 혹은 유출구멍의 위치도 목적에 맞추어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출용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활하게 덮개체를 회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내용물을 낭비없이 꺼낼 수 있어 화장료, 의약품 등의 용도에서의 보다 폭넓은 전개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상단부에 넓은 입구의 입구통부(2)를 세워 설치하고, 바닥벽(3)으로부터 중심축을 따라서 지지기둥(6)을 세워 설치하고, 둘레벽(4)으로부터 바닥벽(3)에 걸친 부분을 기단으로 하여, 반지름방향으로 내부를 구획(partition)하는 고정칸막이판 (7)을 설치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용기본체(1)와, 상기 지지기둥(6)에 회동 자유롭게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축통편(12)을 갖고, 상기 축통편(12)을 기단으로 하여 반지름방향으로 상기 고정칸막이판(7)에 나란한 형상으로 회동칸막이판(13)을 설치한 회전체(11)와, 지붕벽(32)의, 상면을 받침접시형상으로 형성하고, 하면으로부터 상기 축통편(12)에 위쪽으로부터 회동 불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하향연장축(23)을 아래로 늘어뜨려 설치하고, 상기 입구통부(2)를 덮개형상으로 덮고, 상기 입구통부 (2)에 회동 자유롭게 끼워 맞춤하는 지붕이 있는 원통형상의 덮개체(20)를 갖고, 상기 고정칸막이판(7)의 앞끝단면이 상기 축통편(12)에 미끄럼접촉하고, 상기 회동칸막이판(13)의 앞끝단부분을 주걱형상의 연질재료제 미끄럼운동부재(14)로 형성하고, 상기 미끄럼운동부재(14)가 용기본체(1)의 둘레벽(4)으로부터 바닥벽(3)에 걸친 부분에 선접촉형상으로 미끄럼접촉하고, 상기 지붕벽(32) 하면이 입구통부(2), 및 고정칸막이판(7)의 상단면에 미끄럼접촉하고, 회동칸막이판(13)의 상단면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고정칸막이판(7), 회동칸막이판(13), 둘레벽(4), 바닥벽(3), 축통편(12) 및 지붕벽(32)으로 수납실(R)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실(R)에 연이어 통하는 토출구(33)를 지붕벽(32)에 개구하고, 상기 용기본체(1)와 덮개체(20) 와의 상대회동에 의해, 고정칸막이판(7)과 회동칸막이판(13)이 이루는 중심각도를 작게 하여, 수납실(R)의 용적을 감축하고, 내용물을 압박하여, 토출구(33)로부터 지붕벽(32) 위로 토출하는 구성으로 한 토출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지붕벽(32)의 하면이 패킹(42)을 개재하여, 입구통부(2), 및 고정칸막이판(7)의 상단면에 미끄럼접촉하고, 회동칸막이판(13)의 상단면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한 토출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바닥판(22)을 갖는 바닥이 있는 짧은 원통형상의 덮개부(21)와, 중앙에 토출구(33)를 개구한 지붕판(32a)을 받침접시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덮개부(21)에, 위쪽으로부터 덮개형상으로 덮어 회동 불가능하게 빽빽하게 끼워짐과 동시에, 용기본체(1)의 상단부에 회동 자유롭게 끼워맞춤하는 지붕이 있는 원통형상의 캡부(31)로 덮개체(20)를 형성하고, 지붕벽(32)을 상기 바닥판(22)과 지붕판(32a)의 2중벽으로 하며, 바닥판(22)의 하면 중심으로부터 하향연장축(23)을 아래로 늘어뜨려 설치하고, 상기 바닥판(22) 둘레가장자리부에 용기본체(1) 내부에 연이어 통하는 유출구멍(24)을 개구하고, 상기 바닥판(22)과 지붕판(32a)의 사이에 유출구멍(24)으로부터 토출구(33)에 이르는 유통로(25)를 형성한 토출용기.
KR1020067024603A 2004-12-24 2005-12-20 토출용기 KR101182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73023 2004-12-24
JP2004373023A JP4415412B2 (ja) 2004-12-24 2004-12-24 吐出容器
PCT/JP2005/023360 WO2006075484A1 (ja) 2004-12-24 2005-12-20 吐出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301A true KR20070088301A (ko) 2007-08-29
KR101182011B1 KR101182011B1 (ko) 2012-09-11

Family

ID=3667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603A KR101182011B1 (ko) 2004-12-24 2005-12-20 토출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54420B2 (ko)
EP (1) EP1829797B1 (ko)
JP (1) JP4415412B2 (ko)
KR (1) KR101182011B1 (ko)
CN (1) CN100579876C (ko)
DE (1) DE602005026858D1 (ko)
WO (1) WO2006075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0632B2 (ja) * 2006-08-31 2012-01-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US8469621B2 (en) 2007-02-27 2013-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product having a solid personal care composition within a structure maintaining dispenser
KR200462657Y1 (ko) 2007-06-26 2012-09-21 (주)민진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0908766B1 (ko) * 2008-12-03 2009-07-22 김태수 간단한 구성을 갖는 회전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US20110297704A1 (en) * 2009-01-15 2011-12-08 Victor Esteve Packaging Element with a Hermetically Solid Dosing Mechanism for Semi-Solid Products
JP5572444B2 (ja) * 2010-04-30 2014-08-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混合容器
WO2012068195A1 (en) 2010-11-18 2012-05-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based on a n-acyl amino acid compound and hexyldecanol
JP5815728B2 (ja) 2010-11-19 2015-11-1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トリプシン活性を阻害又は低減するための化粧品組成物及び方法
KR200464721Y1 (ko) * 2011-01-25 2013-01-16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토출용기
CA2825417A1 (en) 2011-01-25 2012-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Liposome and person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WO2012116081A2 (en) 2011-02-22 2012-08-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identifying cosmetic agents for skin care compositions
EP2691539B1 (en) 2011-03-31 2018-04-2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s for identifying and evaluating skin-active agents effective for treating dandruff
US9289376B2 (en) 2011-11-08 2016-03-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dentifying prebiotic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EP2795320B1 (en) 2011-12-20 2019-08-2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Human skin sample methods and models for validating hypotheses for mechanisms driving skin pigmentation
CA2863681A1 (en) 2012-02-14 2013-08-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pical use of a skin-commensal prebiotic agent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KR101399653B1 (ko) * 2012-03-07 2014-05-27 (주) 이루팩 회전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JP2015512260A (ja) 2012-03-30 2015-04-2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皮膚色素沈着用の剤を決定する際に使用するためのデータ・アーキテクチャの構築方法
WO2013181780A1 (zh) * 2012-06-04 2013-12-12 Peng Shi 膏体取用组件及包装
US9920357B2 (en) 2012-06-06 2018-03-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cosmetic agents for hair/scalp care compositions
WO2013192076A1 (en) 2012-06-18 2013-12-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models for assessing anti-aging benefits of agents
US9804152B1 (en) 2012-08-15 2017-10-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uman ex vivo skin model and its use in methods of identifying modulators of skin inflammation
WO2014028572A2 (en) 2012-08-15 2014-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stems, model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evaluating skin-active agents effective for treating an array of skin disorders
WO2014059009A1 (en) 2012-10-09 2014-04-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dentifying synergistic cosmetic combinations
CN104704362B (zh) 2012-10-09 2018-08-28 宝洁公司 鉴定或评估有益活性物质的方法以及包含其的组合物
US9362615B2 (en) 2012-10-25 2016-06-07 Raytheon Company Multi-bandpass, dual-polarization radome with embedded gridded structures
US9511144B2 (en) 2013-03-14 2016-12-06 The Procto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providing enhanced penetration of skin care actives
WO2014149867A1 (en) 2013-03-15 2014-09-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melanin synthesis
WO2014182995A2 (en) 2013-05-10 2014-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dular emulsion-based product differentiation
WO2014182993A2 (en) 2013-05-10 2014-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dular emulsion-based product differentiation
WO2014182996A2 (en) 2013-05-10 2014-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dular emulsion-based product differentiation
US9005674B1 (en) 2013-07-01 2015-04-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mproving the appearance of aging skin
CA2932156A1 (en) 2013-12-24 2015-07-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providing enhanced penetration of skin care actives
USD757562S1 (en) * 2014-03-12 2016-05-31 Yonwoo Co., Ltd. Pumping vessel for packing cosmetic
KR101486198B1 (ko) * 2014-10-14 2015-02-11 김진우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CN107249545B (zh) 2014-12-16 2021-05-25 诺赛尔股份有限公司 提供活性物质的延迟释放的组合物
EP3302716B1 (en) 2015-06-08 2020-10-1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s for identifying circadian rhythm-dependent cosmetic agents for skin care compositions
US11820960B2 (en) 2015-06-30 202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multiple populations of microcapsules
EP3316974A1 (en) 2015-06-30 2018-05-0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s for making compositions containing multiple populations of microcapsules
JP6537411B2 (ja) * 2015-08-31 2019-07-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受皿付きポンプ容器
JP6069560B1 (ja) * 2016-03-29 2017-02-01 株式会社ハタ 吐出容器
EP3455370B1 (en) 2016-05-09 2020-03-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of identifying cosmetic agents for moisturizing skin
EP3447000B1 (en) * 2016-05-20 2022-08-24 Tokyo Light Industry Co. Ltd. Cap and discharge container
USD842109S1 (en) * 2016-12-08 2019-03-05 Orange Products, Inc. Space wall jar
US20200002046A1 (en) * 2018-07-02 2020-01-02 Mold-Rite Plastics, LLC Container with support skirt and inner chamber
US11382400B2 (en) 2018-08-10 2022-07-12 Go Products Co. Material applicator
JP7321068B2 (ja) * 2019-11-29 2023-08-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コンパクト容器
USD917291S1 (en) * 2020-08-19 2021-04-27 Lerman Container Corporation Ja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33401C (de) * 1933-11-03 1936-07-27 Botho Von Grumbkow Cremespender
US2188249A (en) * 1938-02-12 1940-01-23 Willy Mansbach Paste dispensing device
US2500687A (en) 1946-10-02 1950-03-14 Kamp James Victor Cosmetic dispenser
US3220615A (en) * 1963-10-04 1965-11-30 Walter B Spatz Dispensers for fluent masses
US3563414A (en) 1968-07-12 1971-02-16 Maurice Coulombe Dispensing container
US3760985A (en) * 1972-02-28 1973-09-25 J Bryan Dispensing container
JPS5341999Y2 (ko) * 1972-06-03 1978-10-09
JPS5322113B2 (ko) 1972-07-05 1978-07-06
JPS5910714A (ja) 1982-07-09 1984-01-20 Hitachi Ltd 給水加熱装置
JPS5910714U (ja) * 1982-07-13 1984-01-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化粧用コンパクト
JPH06104426B2 (ja) 1985-07-05 1994-12-21 富士通株式会社 自動変速機付車両のインチング制御方法
US4796784A (en) * 1987-07-02 1989-01-10 G & S Metal Product Company, Inc. Soft ice cream dispenser
JP2969465B2 (ja) 1990-04-24 1999-11-02 松下電工株式会社 シークレット錠操作器
JP2509738Y2 (ja) * 1990-04-27 1996-09-04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流動物押出容器
US5720416A (en) * 1996-08-14 1998-02-24 Izoe; Jolly Fields Dispenser for viscous liquids
JP4007476B2 (ja) * 2000-04-14 2007-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
JP2002002748A (ja) 2000-06-16 2002-01-09 Yoshida Industry Co Ltd 気密容器
FR2854554B1 (fr) 2003-05-07 2006-09-01 Rexam Dispensing Sys Distributeur de produit cosmetique avec embout applicateur et procede de conditionnement assoc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54420B2 (en) 2010-02-02
CN100579876C (zh) 2010-01-13
DE602005026858D1 (de) 2011-04-21
EP1829797B1 (en) 2011-03-09
CN1938202A (zh) 2007-03-28
EP1829797A4 (en) 2009-08-12
KR101182011B1 (ko) 2012-09-11
JP2006176177A (ja) 2006-07-06
JP4415412B2 (ja) 2010-02-17
WO2006075484A1 (ja) 2006-07-20
US20070205226A1 (en) 2007-09-06
EP1829797A1 (en)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011B1 (ko) 토출용기
US7874466B2 (en) Package comprising push-pull closure and slit valve
US20050232681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substance
US8342192B2 (en) Compact for liquid cosmetics
US20060043047A1 (en) Multi-chambered dispensing container
JP2000229670A (ja) 多成分系の保存混合機能兼有計量分配装置
US6536447B1 (en) Cosmetic compact
US20120282010A1 (en) Liquid, fluid, and lotion container and applicator
CA2784088A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liquid
JP4342022B2 (ja) 容器
US20050072801A1 (en) Multi-compartmented propel container
KR101062262B1 (ko) 피스톤이 적용된 액상 화장품 용기
KR102050048B1 (ko) 이중 튜브 뚜껑
KR102129845B1 (ko) 분말화장품 정량 배출 용기
JP2022509650A (ja) 流体ディスペンサ
JP2523164Y2 (ja) 複数内容物押出容器
KR102579065B1 (ko) 화장품 용기
JP6295460B2 (ja) 容器
JPH0335742Y2 (ko)
KR20220001968U (ko) 정량 토출을 위한 화장품 용기
KR20210085231A (ko) 격벽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로 분할된 용기
JPH0328823Y2 (ko)
KR101812083B1 (ko) 액상 세제 용기
JPH0328824Y2 (ko)
JPS607605Y2 (ja) 化粧料等の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