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265A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265A
KR20070088265A KR1020067016829A KR20067016829A KR20070088265A KR 20070088265 A KR20070088265 A KR 20070088265A KR 1020067016829 A KR1020067016829 A KR 1020067016829A KR 20067016829 A KR20067016829 A KR 20067016829A KR 20070088265 A KR20070088265 A KR 20070088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eave
elevator
hoisting machine
main rope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2121B1 (ko
Inventor
나오유키 마루야마
에이지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6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121B1/ko
Publication of KR2007008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3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a gearless driving, e.g. integrated sheave, drum or winch in the stator or rotor of the cage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소형 경량이고 고강성으로 승차감이 좋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卷上機)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특히, 기계실에서 디플렉터 쉬브(deflector sheave)와 조합시켜 다양한 승강로 사이즈에 적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체의 기둥부에 인접하여 전동기(電動機)를 설치하고, 기둥부의 근방에 전동기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봇 접합부를 설치하며, 구동 쉬브를 전동기와 반대측에서 기둥부에 인접하여 기체의 외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고정하여, 전동기의 계자(界磁) 자석을 가지는 회전자를 피봇 접합부의 외측에 배치하여 회전축의 타측 단부에 고정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권상기{HOIST FOR ELEVATOR}
본 발명은, 기체(基體)와 전동기(電動機)가 구성되어, 구동 쉬브를 구동하고, 구동 쉬브의 회전 축선 방향의 외형 치수가 짧게 형성되어 박형(薄形)을 이루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卷上機)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사발(bowl)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으로 개구(開口)된 기체의 기둥부에서부터 개구측으로 세워 설치된 고정축에 회전자(回轉子)가 베어링을 통하여 피봇으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의 내부에 전동기의 고정자(固定子) 코일이 설치되고, 이 고정자 코일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계자(界磁) 자석이 회전자에 고착되어, 고정자 코일과 계자 자석으로 디스크형 전동기를 구성하고 있다. 구동 쉬브는 회전자와 일체화 구조를 형성하고, 기체의 개구측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메인 로프에 의해 구동 쉬브에 작용하는 매다는 하중(hanging load)을 지지하는 기체의 기둥부가 구동 쉬브와는 반대측의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자에는 브레이크 디스크가 설치되고,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응한 제동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 기계실의 가대(架臺)에 설치하기 위해서, 구동 쉬브와는 반대측의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기체의 기둥부에 서포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서포터는 판 모양의 기반(基盤), 지지판과 브래킷으로 이루어지고, 메인 로프에 의해 구동 쉬브에 작용하는 매다는 하중의 범위에서부터 일탈하여 기계실 내의 가대에 고정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다른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는, 사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으로 개구된 기체의 바닥면 즉 기둥부로부터 기체의 내측 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고정축에 사발 모양을 이루는 회전자가 피봇으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자는, 기체 내에 끼워 맞춰진 상태로 배치되어 바닥면이 기체의 기둥부와 대면하여 배치된다. 또, 구동 쉬브는 회전자와 일체화 구조를 형성하고, 기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기체에 덮여 있다. 기체의 내주부에 전동기의 고정자 코일이 설치되고, 이 고정자 코일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계자 자석이 회전자에 고착되어, 고정자 코일과 계자 자석으로 전동기를 구성하고 있다. 회전자의 내주면에는 제동면이 형성되고, 이 제동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제동 동작을 하는 제동편을 가지는 제동기를 구비하고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l : 특표평8-511758호 공보(제 11페이지, 제 4도)
특허문헌 2 : 특개2000-289954호 공보(제 3 - 5페이지, 제 2도, 제 5도)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서는, 기체의 기둥부가 구동 쉬브로부터 반대측의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고, 회전자와 구동 쉬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있어, 구동 쉬브측은 회전부 밖에 없기 때문에, 권상기를 기계실 안에 고정하려고 하면, 구동 쉬브와는 반대측의 기체의 기둥부에 서포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서포터는 메인 로프에 의해 구동 쉬브에 작용하는 매다는 하중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여 기계실 내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매다는 하중에 의한 전도(轉倒) 모멘트(overturning moment)가 서포터에서 작용하여, 권상기 전체가 기울어, 구동 쉬브가 기운다. 이것에 의해, 메인 로프와 구동 쉬브의 로프 홈(rope race)와는 상대적으로 기울기가 생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시 즉 구동 쉬브의 회전시, 메인 로프가 로프 홈에 진입할 때에, 메인 로프와 로프 홈과의 상대적 기울기에 의해 편하중이 걸려, 엘리베이터의 승차감을 저해시키거나, 편하중에 의해 로프 홈의 마모를 촉진시킨다. 또, 이 기울기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기체의 기둥부을 강고(强固)하게 하거나, 서포터를 강고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어, 대형화에 의해서 설치성이 저하되고 비경제적이게 된다.
또, 다른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서는, 기체의 기둥부가 구동 쉬브측에 배치되어 있고, 기체의 부착부는 매다는 하중의 범위 내에 있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없다. 그렇지만, 구동 쉬브와 회전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기체의 기둥부로부터 기체의 내측 방향에 세워 설치된 고정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기를 수납하는 기체의 내부에 구동 쉬브가 배치되어, 기체가 구동 쉬브를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음으로서 서술하는 문제점이 있다.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내에 승강 엘리베이터 칸과 균형 추가 설치되어 있고, 메인 로프를 구동 쉬브에 감아 걸어, 아래로 늘어뜨려진 메인 로프를 승강 엘리베이터 칸과 균형 추에 매달아, 구동 쉬브의 회동에 의해 승강 엘리베이터 칸과 균형 추가 두레박식으로 승강한다.
통상, 권상기가 기계실 내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엘리베이터 칸(19)과 균형 추(20)의 중심 위치(폭의 거의 중심 위치)에 메인 로프(18)를 매달기 위해서, 구동 쉬브(4)와는 별도로 디플렉터 쉬브(deflector sheave)(21)에 메인 로프(18)를 감아 걸어, 아래로 늘어뜨려진 메인 로프(18)의 간격을 넓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다양한 승강 엘리베이터 칸 사이즈 즉 승강로 사이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구동 쉬브(4)와 디플렉터 쉬브(21)와의 수평 방향의 거리를 바꿀 필요가 있다. 이 때, 디플렉터 쉬브(21)의 설치 위치에 따라 구동 쉬브(4)로부터 인출(引出)되는 메인 로프(18)의 인출 각도가 바뀐다. 다른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서는, 기체 내에 구동 쉬브(4)가 배치되어 있고, 메인 로프(18)가 대략 아래로 늘어뜨려지는 위치에 메인 로프(18)의 인출구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디플렉터 쉬브(21)에 의해 메인 로프(18)의 인출 각도가 바뀌면, 기체와 메인 로프(18)가 간섭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 때문에, 다양한 승강 엘리베이터 칸 사이즈에 적용할 수 없다. 또, 다양한 승강 엘리베이터 칸 사이즈에 적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기체의 메인 로프(18)의 인출구를 넓게 할 필요가 있지만, 그 반면, 기체의 강도가 저하한다. 또, 기체의 강도저하를 보충하기 위해서 기체를 강고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어, 대형화에 의해 설치성이 저하되고 비경제적으로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 경량으로 고강성이며 승차감이 좋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특히, 기계실에 디플렉터 쉬브와 조합시켜 다양한 승강로 사이즈에 적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는, 기체의 기둥부에 인접하여 전동기를 설치하고, 기둥부의 근방에 전동기의 회전축을 피봇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봇 지지부를 설치하며, 구동 쉬브를 전동기와 반대측에서 기둥부에 인접하여 기체의 외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고정하고, 전동기의 계자 자석을 가지는 회전자를 피봇 접합부의 외측에 배치하여 회전축의 타측 단부에 고정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구동 쉬브에 작용하는 매다는 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기체에 대해서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체를 대형화하지 않고, 권상기 전체의 기울기 즉 구동 쉬브의 기울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소형 경량으로 승차감이 좋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하면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매다는 하 중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통상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기체, 1a, 1b, 1c, 1d, 1e, 1f, 1g, 1j, 1k 리브, 1n 제동기 부착부, 2, 2a 베어링, 3, 3a 회전축, 4, 4b 구동 쉬브, 4a 로프 홈, 5, 5a, 5b 회전자, 6a, 6b, 6c, 6d, 6e, 6f, 6g, 6h 볼트, 7 계자 자석, 8 고정자 코일, 9 전동기, 10a, 10b 설치구멍, 11 제동 회전체, 11a 제동면, 12 제동기, 12a 제동편, 13 회전 검출기, 13a 검출기 회전축, 14 부착판, 15 윤활제, 16a, 16b 베어링 커버, 17a, 17b 오일 씰, 18, 18a 메인 로프, 19 승강 엘리베이터 칸, 20 균형 추, 21 디플렉터 쉬브, 22 보호 커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에서부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도로서, 도 1은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 -A 단면도, 도 3은 하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기체(1)에는 도시하지 않는 가대에 설치되는 제 1 부착부(1a)와 제 2 부착부(1b)를 가지고, 이 제 1 부착부(1a)와 제 2 부착부(1b)로부터 세워 설치되도록 기둥부(1c)가 설치되며, 이 기둥부(1c)에 원통형을 형성하는 오목부(1d)가 일체로 구성되고, 중앙부에는 원통형을 형성하는 보스(boss)부(1e)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보스부(1e)에 리브(1f)가 기체(1)의 기둥부(1c)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부(1e)에 피봇 접합부인 베어링(2)이 수납되어, 회전축(3)이 베어링(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베어링(2)은 기둥부(1c)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2)은, 구상(球狀)의 볼(ball)이 수평한 전송면(傳送面)을 굴림으로써 회전하여 래디얼(radial)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일반적인 볼 베어링이다.
그리고, 메인 로프(18)를 감아 거는 구동 쉬브(4)가, 기체(1)의 기둥부(1c)에 인접해 기체(1)의 외측에 배치되고, 회전축(3)의 일측 단부에 써멀 인서트(thermal insert)로 고정되어 있다. 또, 구동 쉬브(4)에는, 복수 개의 메인 로프(18)에 맞물리도록 복수의 로프 홈(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쉬브(4)와 회전축(3)의 써멀 인서트에 의한 고정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회전축(3)의 축단을 선단이 가늘어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하고, 구동 쉬 브(4)를 눌러서 고정하는 등, 고정할 수 것이면 어떤 수단이라도 좋다. 그리고, 기체(1)의 개구측과 반대측에 개구된 오목부가 설치된 회전자(5)가, 축 방향에 있어서 베어링(2)의 외측에 배치되고, 회전축(3) 타측 단부에 고정되고 있다. 또, 회전축(3) 타측 단부는 플랜지(flange) 형상에 형성되고 회전자(5)가 볼트(6a)로 고정되고 있다. 또한, 회전축(3)과 회전자(5)의 고정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써멀 인서트에 의한 고정 등 어떤 수단이라도 좋다. 또, 회전자(5)는, 축 방향에 있어서 베어링(2)의 외측에 배치하여 회전축(3)의 타측 단부에 고정하였으나, 베어링(2)의 외주 방향의 외측에 배치하여도 좋고, 이 경우, 회전축(3) 타측 단부를 베어링(2)의 외주 방향의 외측에 형성하여, 회전자(5)를 고정한다.
또, 기체(1)의 내부에는, 회전자(5)의 오목부 외주면에 설치된 계자 자석(7)과, 이 계자 자석(7)에 대향되어 배치된 고정자 코일(8)에 의해서 구성되는 전동기(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부착부(1a)는 기둥부(1c)로부터 구동 쉬브(4) 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제 2 부착부(1b)는 기둥부(1c)로부터 전동기(9)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착부(1a)는, 구동 쉬브(4)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리브 1g와 리브 1h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1 부착부(1a)는, 그 축 방향의 위치가 수평 방향에서 보아, 구동 쉬브(4)의 로프 홈(4a)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축 방향에 있어서, 메인 로프(18)에 의해 로프 홈(4a)에 작용하는 아래방향의 매다는 하중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기(9) 측으로 둘출한 제 2 부착부(1b)와 제 1 부착부(1a) 전체로 구성되는 부착부는, 축 방향 에 있어서 매다는 하중의 범위를 포함하고 있다. 또, 리브 1g는 수평 방향에서 본 투영상으로 구동 쉬브(4)와 겹치도록 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부착부(1b)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을 이루는 오목부(1d)의 외주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리브 1j와 리브 1k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착부(1a)의 폭(Le)은, 구동 쉬브(4)의 지름, 즉, 로프 홈(4a)에 대하여 메인 로프(18)의 감아 걸은 지름(Ld)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기체(1)는, 제 1 부착부(1a)와 제 2 부착부(1b)를 통하여, 볼트 6b와 볼트 6c에 의해, 가대에 설치된다. 또한, 도 3의 설치구멍 10a와 10b는 볼트 6b와 볼트 6c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멍으로, 각각, 제 1 부착부(1a)와 제 2 부착부(1b)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자(5)의 외주부에 제동면(11a)을 가지는 제동 회전체(11)가 설치되어 있고, 제동 회전체(11)는 볼트 6d에 의해서 체결되어 있다. 기체(1)에는 제동기 부착부(1n)가 형성되고, 이 제동기 부착부(1n)에 제동기(12)가 볼트(6e)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동기(12)의 제동편(12a)이 제동 회전체(11)의 제동면(11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동편(12a)은 제동기의 힘을 없앰 및 힘을 가함에 의해, 제동면(11a)을 누름 및 제동면(11a)보다 후퇴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는, 구동 쉬브(4) 및 회전자(5)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검출기(13)가 장착되어 있고, 회전축(3)에 연결된 검출기 회전축(13a)에 의해서 구동되다. 또, 회전 검출기(13)는, 기체(1)의 리브(1g)에 볼트(6f)에 의해서 고정된 부착판(14)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는, 베어링(2)의 윤활을 위해서 윤활제(15)가 봉입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1e)의 양측으로 베어링 커버 16a와 16b 가 설치되고, 베어링 커버 16a와 16b에는 오일 씰 17a와 17b가 설치되며, 베어링 커버 16a, 16b 및 오일 씰 17a, 17b에 의해서, 윤활제(15)가 밀봉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쉬브(4)에는 메인 로프(18)가 감아 걸려져 있다. 그리고, 메인 로프(18)는, 엘리베이터의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를 매달고 있다.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를 매다는 경우, 그 매다는 위치는 무게 중심이 있는 쪽이지만,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는 편향이 없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의 중심은 폭 방향의 거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로프(18)는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의 폭 방향의 거의 중심에 매달게 된다. 또, 승강 엘리베이터 칸(19)의 폭 치수(W)는 구동 쉬브(4)의 지름(Ld)보다 크고, 메인 로프(18)를 구동 쉬브(4)에 감아 걸어, 그대로 아래로 늘어뜨린 상태로 승강 엘리베이터 칸(19)을 매달면, 승강 엘리베이터 칸(19)의 무게 중심을 매달 수 없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에서는, 구동 쉬브(4)와는 별도로 디플렉터 쉬브(21)를 설치하고, 메인 로프(18)를 구동 쉬브(4)와 디플렉터 쉬브(21)에 감아 걸어, 승강 엘리베이터 칸(19)의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아래로 늘어뜨린 메인 로프(18)의 간격(S)을 넓히고 있다. 또한, 디플렉터 쉬브(21)는, 그 중심부에 도시하지 않는 주축이 있어, 이 주축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메인 로프(18)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복수의 로프 홈(4a)에 감아 걸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의 정지시에 전동기(9)가 힘이 제거됨과 동시에, 제동기(12)도 힘이 제거되어 제동편(12a)이 제동면(11a)으로 눌러 회전자(5)가 제동되고, 회전자(5)에 고정된 회전축(3)과 회전축(3)에 고정된 구동 쉬브(4)가 제동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운전시는 전동기(9)가 힘이 가해짐과 동시에, 제동기(12)도 힘이 가해져 제동편(12a)이 제동면(11a)보다 후퇴한다. 이것에 의해, 제동편(12a)의 제동면(11a)으로의 누름이 해소되어 회전자(5)의 제동이 해제됨과 동시에 구동되고, 회전자(5)에 고정된 회전축(3)과 회전축(3)에 고정된 구동 쉬브(4)가 구동된다. 그리고, 구동 쉬브(4)에 감아 걸려진 메인 로프(18)를 통하여, 디플렉터 쉬브(21)도 회전되고, 엘리베이터의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가 두레박식으로 승강 운전된다.
다음으로,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를 매달고 있는 메인 로프(18)에 의한 매다는 하중의 권상기에 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매다는 하중의 작용에 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복수 개의 메인 로프(18)에 의한 매다는 하중은, 각각, 구동 쉬브(4)의 복수의 로프 홈(4a)에 작용하고, 등가(等價)적으로 복수의 로프 홈(4a)의 중심부에 모든 매다는 하중(F)이 작용한다. 그리고, 이 매다는 하중(F)은 구동 쉬브(4)를 통하여 회전축(3)에 작용한다. 회전축(3)에는, 회전축(3)을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2)으로부터 L1에 떨어진 매다는 하중(F)에 의한 모멘트 M1이 작용한다. 그리고, 이 모멘트 M1은 보스(1e)에 작용한다. 보스(1e)에 작용한 모멘트 M1은 리브(1f)와 기둥부(1c)로 지지 된다. 또, 기둥부(1c) 전체에는, 기둥부(1c)로부터 L2에 떨어진 매다는 하중(F)에 의한 모멘트 M2가 작용한다. 그리고, 이 모멘트 M2는, 기둥부(1c)를 통하여, 가대에 설치되는 제 1 부착부(1a)와 제 2 부착부(1b)에 작용하여, 가대에 지지된다.
또, 제 1 부착부(1a)는 리브 1g와 리브 1h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모멘트 M2는, 제 1 부착부(1a), 리브 1g와 리브 1h에 의해서 구성되는 부분의 모두에 있어서 지지된다. 또, 제 2 부착부(1b)는 리브 1j와 리브 1k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모멘트 M2는, 제 2 부착부(1b), 리브 1j와 리브 1k에 의해서 구성되는 부분의 모두에 있어서도 지지된다. 또한, 기둥부(1c)에는 오목부(1d)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기둥부(1c)에 작용한 모멘트 M2는 오목부(1d)에 의해서도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는, 구동 쉬브(4)가 기체(1)의 기둥부(1c)의 근방에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메인 로프(18)에 의해서 구동 쉬브(4)에 관한 매다는 하중(F)과 기둥부(1c)와의 거리(L2)는 작게 되고, 매다는 하중(F)에 의한 모멘트 M2를 기둥부(1c)에 작게 작용할 수 있다. 또, 기둥부(1c)에 일체로 구성된 제 1 부착부(1a)와 제 2 부착부(1b)에 작용하는 모멘트 M2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권상기 전체의 기울기 즉 구동 쉬브(4)의 기울기를 작게 할 수 있어, 메인 로프(18)와 구동 쉬브(4)의 로프 홈(4a)은 상대적으로 기울기가 작아지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시 즉 구동 쉬브(4)의 회전시, 메인 로프(18)가 로프 홈(4a)에 진입할 때의 메인 로프(18)와 로프 홈(4a)과의 상대적 기울기에 의한 편하중이 걸리지 않아, 승차감이 좋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편하중에 의한 로프 홈(4a)의 마모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신뢰성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기둥부(1c)나, 제 1 부착부(1a), 제 2 부착부(1b)는, 이것에 작용하는 모멘트 M2가 작기 때문에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 소형 경량으로, 설치성이 좋고 경제적인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제 1 부착부(1a)는 기둥부(1c)로부터 구동 쉬브(4)의 근방에 형성되어, 제 2 부착부(1b)와 제 1 부착부(1a) 전체로 구성되는 부착부와, 축 방향에 있어서 매다는 하중의 범위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 1 부착부(1a)를 축 방향으로 길게 하지 않고, 매다는 하중에 의한 권상기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 경량으로 또한 설치 상태가 안정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부착부(1a)에는 리브 1g 및 리브 1h가 기둥부(1c)와 일체로 구성되고, 제 2 부착부(1b)에는 리브 1j 및 리브 1k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강성이 높고, 권상기 전체의 기울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리브(1g)는 수평 방향에서 본 투영상에서, 구동 쉬브(4)와 겹치도록 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매다는 하중에 의한 기둥부(1c)의 기울기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베어링(2)은 기둥부(1c)의 근방에 배치하고, 기둥부(1c)에 인접하여 구동 쉬브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베어링(2)과 매다는 하중(F)과의 거리(L1)를 작게 할 수 있어 매다는 하중(F)에 의해 작용하는 모멘트(M1)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둥부(1c) 및, 보스(1e)의 변형은 작게 되고, 회전축(3)의 기울기 즉 구동 쉬브(4)의 기울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승차감이 좋고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베어링(2)을 수납하는 보스(1e)에는 리브(1f)가 기 둥부(1c)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멘트(M1)에 의한 보스(1e)의 변형을 작게 할 수 있어, 보다 승차감이 좋고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모멘트(M1)가 작기 때문에, 베어링(2)에 작용하는 반력도 작게 됨과 동시에 베어링(2)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베어링(2)은, 구상의 볼이 수평한 전송면을 굴림으로써 회전하여 래디얼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일반적인 볼 베어링을 나타냈지만, 전송면을 도의 하반부의 단면도에 있어서 팔(八)자 모양으로 비스듬하게 형성하여 하중을 비스듬하게 받아, 구상의 볼이 전송면을 굴리는 앵글러(angular) 볼 베어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하중을 비스듬하게 받으므로, 베어링에 걸리는 반력의 지지점 사이 거리를 등가적으로 넓게 할 수 있어, 매다는 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넓은 지지점 사이 거리로 지지하기 때문에, 더욱 베어링에 작용하는 반력이 작아져, 베어링의 볼의 모멘트에 의한 변형도 작아지게 됨과 동시에 베어링(2)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승차감이 좋고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베어링(2)을, 그 전송면을 도의 하반부의 단면도에 있어서 팔(八)자 모양으로 비스듬하게 형성하고, 원통형의 롤러의 구름에 의한 테이퍼 롤러 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하중을 원통형 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받으므로, 롤러의 모멘트에 의한 변형이 작아, 앵글러 볼 베어링보다 더욱 변형이 작아짐과 동시에 베어링(2)의 수명을 길어진다. 이것에 의해, 보다 승차감이 좋고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구동 쉬브(4)가 회전축(3)에 고정되고, 기둥부(1c)에 인접하여 기체(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쉬브(4)의 주위에서는 덮히지 않고, 메인 로프(18)는 기체(1)에 간섭하지 않으며, 그 인출구의 제한을 받지 않고, 디플렉터 쉬브(21)의 설치 위치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 때문에, 다양한 승강 엘리베이터 칸 사이즈 즉 승강로 사이즈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또, 구동 쉬브(4)의 주위에서는 덮히는 것이 없기 때문에, 설치시 등에 있어서, 메인 로프(18)를 구동 쉬브(4)에 감아 걸을 때, 메인 로프(18)의 단에서부터 감을 필요가 없고, 중간부를 U자 모양으로 형성하여, 그대로 구동 쉬브(4)에 걸어, 메인 로프(18)의 감아 거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그 작업도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또, 보수 점검시에 있어서는, 구동 쉬브(4)가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로프 홈(4a)의 마모 상태나 이물 부착 등의 확인 점검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제 1 부착부(1a)의 폭(Le)은 구동 쉬브(4)의 지름(Ld)보다 작기 때문에, 메인 로프(18)를 좌우 어디에서도 아래로 늘어뜨릴 수 있고, 도 1에 나타내는 메인 로프(18a)와 같이 감아 걸어, 디플렉터 쉬브(21)를 좌우 반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승강로 혹은 기계실 내에 있어서, 권상기와 디플렉터 쉬브(21)의 다양한 레이-아웃(lay-out)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다른 엘리베이터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디플렉터 쉬브(21)를 적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로핑을 1:1로 구성한 것이지만,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로핑을 2:1에 구성하고, 디플렉터 쉬브(21)를 불필요하게 하여, 매다는 하중이 작은 엘리베이터에도 대응 가능하게 된다. 또,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작은 용량의 엘리베이터에서, 승강 엘리베이터 칸(19)의 매다는 위치를 편심(偏芯)시켜, 디플렉터 쉬브(21)가 없는 간소한 구조의 엘리베이터에도 대응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는, 다양한 엘리베이터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는, 기체(1)의 기둥부(1c)에 인접하여 구동 쉬브(4), 전동기(9)가 배치되고, 기둥부(1c)의 근방에 베어링(2)이 설치되며, 회전자(5)를 베어링(2)의 외측에 배치하여 베어링(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3) 타측 단부에 고정함으로써, 축 방향의 길이를 크게 하지 않고, 박형으로 경량이면서 또한 공간절약에 대응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축 부재와 그 피(被)체결 부재와의 체결에 있어서, 도 2와 같이 구동 쉬브(4)와 회전축(3)의 써멀 인서트에 의한 고정은, 소망한 체결력을 얻기 위해서 소정의 축 길이가 필요하다. 그렇지만, 회전축(3) 타측 단부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에 회전자(5)를 볼트(6a)로 고정했기 때문에, 볼트의 고정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고, 축 길이가 짧은 상태로 확실히 체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더욱 박형으로 공간절약에 대응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회전자(5)의 외주부에 제동 회전체(11)을 설치하고, 이것에 대응한 제동기(12)를 기체(1)의 외주부에 구성함으로써, 권상기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제동기 부착할 수 있으면서 또한, 박형 및 경량으로 공간절약에 대응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2a)의 일부를 회전축(3a)의 래디얼 방향에서 본 투영상에서 겹치도록 배치한 것이다. 또, 회전축(3a)의 일측 단부를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에 구동 쉬브(4b)를 볼트(6g)로 고정하며, 회전축(3a)의 타측 단부는, 써멀 인서트로 회전자(5a)를 고정한 것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부호인 것은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는, 베어링(2a)의 일부를 회전축(3a)의 래디얼 방향에서 본 투영상에서 겹치도록 배치함으로써, 베어링(2a)과 매다는 하중(F)과의 거리(L3)가 작아져, 회전축(3a)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가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회전축(3a)의 축 지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베어링(2a)에 작용하는 반력도 작아지므로, 베어링(2a)의 소형화 및 장수명화(長壽命化)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스(1e) 및 기둥부(1c)에 적용하는 모멘트도 작아진다. 이상에 의해,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보다 경량으로 승차감이 좋고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회전축(3a)의 일측 단부를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에 구동 쉬브(4b)를 볼트(6g)로 고정함으로써, 축 방향이 박형으로 공간절약에 대응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 쉬브(4b)를 확실히 체결할 수 있어, 구동 쉬브(4b)의 교환이 가능하고 그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뜻하지 않은 사태에 의해, 로프 홈(4a)에 이물질이 부착하여, 로프 홈(4a)이 손상된 경우 등, 구 동 쉬브(4b)의 교환이 필요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쉬브(4b)만을 교환할 수 있어 유용하다.
실시 형태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도 2의 회전자(5)와 제동 회전체(11)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제동면(11a)을 가지는 회전자(5b)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부호인 것은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또,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나타냈으나, 실시 형태 2에 대하여 회전자(5a)와 제동 회전체(11)를 일체로 형성한 것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여도, 실시 형태 1이나 실시 형태 2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구성부품의 수를 삭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은 정면도,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구동 쉬브(4)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22)를 설치한 것으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부호인 것은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또,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 커버(22)는, 구동 쉬브(4)와 이것에서부터 인출되는 메인 로프(18)를 덮도록 형성되고 있어, 볼트(6h)에 의해 기체(1)에 고정된다. 도 8은 디플렉터 쉬브(21)가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보호 커버(22)는 선형(扇形)을 이루며, 구동 쉬브(4) 로부터 인출되는 메인 로프(18)를 덮도록 형성하고 있다. 또, 디플렉터 쉬브(21)가 없는 경우, 도시하지 않지만, 보호 커버(22)는 U자 모양을 이루고, 마찬가지로 구동 쉬브(4)로부터 인출되는 메인 로프(18)를 덮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실시 형태 2 및 실시 형태 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보호 커버(2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는, 보호 커버(22)를 구동 쉬브(4)와 이것에서부터 인출되는 메인 로프(18)를 덮도록 설치함으로써, 보수 점검시 등에 있어서, 구동 쉬브(4)의 근방에서 조심성 없게 점검자의 손이 가까워져도, 회전되고 있는 구동 쉬브(4)나 로프 홈(4a)으로의 메인 로프(18)의 진입구에 손이 닿지 않고, 안심하고 점검 작업을 할 수 있다. 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구동 쉬브(4)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구동 쉬브(4)의 점검시에 있어서는, 볼트(6h)를 떼어내는 것으로 보호 커버(22)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어, 점검의 전 준비 시간이 짧아도 된다.
또, 보호 커버(22)의 표면에 복수의 천공을 설치하여도 좋고, 이 경우는, 보호 커버(22) 내부의 구동 쉬브(4)가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호 커버(22)를 설치한 상태로, 구동 쉬브(4)의 확인 점검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를 매다는 메인 로프(18)가 감아 걸리고, 메인 로프를 구동 해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이용되는데 바람직하다.

Claims (10)

  1. 승강로 혹은 기계실의 가대(架臺)에 설치되고, 승강로 내의 승강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 추를 매다는 메인 로프를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 상기 가대에 설치되고, 이 가대에 대하여 세워 설치되도록 기둥부를 가지며, 이 기둥부에 인접하여 전동기(電動機)를 설치한 기체(基體)와, 이 기체의 상기 기둥부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을 피봇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봇 접합부, 상기 전동기와 반대측에서 상기 기체의 기둥부에 인접하여 이 기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 로프를 감아 거는 구동 쉬브와, 상기 전동기의 계자(界磁)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피봇 접합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타측 단부에 고정된 회전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접합부는, 그 일부가 상기 회전축의 래디얼 방향에서 본 투영상에서 상기 구동 쉬브와 겹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를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상기 구동 쉬브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 이터용 권상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타측 단부를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상기 회전자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대에 설치되는 부착부를 상기 기체에서 가지고, 축 방향에 있어서, 이 부착부를 상기 구동 쉬브에 감아 걸려진 메인 로프에 의해서 작용하는 매다는 하중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쉬브측의 부착부의 폭은, 상기 구동 쉬브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제동면을 가지는 제동 회전체와, 이 제동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제동 동작하는 제동편을 가지는 제동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를, 상기 제동 회전체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엘리베이터 칸과 균형 추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서, 구동 쉬브로부터 인출된 메인 로프를 감아 거는 디플렉터 쉬브에 의해서, 구동 쉬브로부터 아래로 늘어뜨린 메인 로프와 디플렉터 쉬브로부터 아래로 늘어뜨린 메인 로프의 간격을 바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쉬브 및 이 구동 쉬브로의 메인 로프의 진입구부를 덮는 보호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1020067016829A 2006-08-22 2004-12-15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100822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6829A KR100822121B1 (ko) 2006-08-22 2004-12-15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6829A KR100822121B1 (ko) 2006-08-22 2004-12-15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265A true KR20070088265A (ko) 2007-08-29
KR100822121B1 KR100822121B1 (ko) 2008-04-15

Family

ID=3861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829A KR100822121B1 (ko) 2006-08-22 2004-12-15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1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365A (ja) * 1997-10-29 1999-05-18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EP1405813B1 (en) * 2001-07-11 2012-05-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JP4178075B2 (ja) * 2003-05-19 2008-1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用巻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121B1 (ko) 200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7348B2 (ja) トラクション式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FI106192B (fi) Hissin nostokoneisto
CN108689283B (zh) 曳引机和电梯
JP4725521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NO333824B1 (no) Opphengsarrangement for en heis
JP4558724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そのブレーキ装置
JP5951038B2 (ja) エレベータの吊り車装置
JP4677409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22121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EP1553040A1 (en) Driver of elevator
JP3961718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2003512272A (ja) 引っ張り手段に保持されたかごを備えるエレベータ
JP453085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ーブアッセンブリ
CN109205443B (zh) 卷扬机以及电梯
JP4999949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7378656B1 (ja) エレベータ巻上機
KR20050007612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421632Y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FI80250B (fi) Vaexel saerskilt foer hissar, lyftkranar eller dylika.
KR100795262B1 (ko) 브레이크 장치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100824493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930000675Y1 (ko) 권양기
KR100648891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