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에서부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도로서, 도 1은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 -A 단면도, 도 3은 하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기체(1)에는 도시하지 않는 가대에 설치되는 제 1 부착부(1a)와 제 2 부착부(1b)를 가지고, 이 제 1 부착부(1a)와 제 2 부착부(1b)로부터 세워 설치되도록 기둥부(1c)가 설치되며, 이 기둥부(1c)에 원통형을 형성하는 오목부(1d)가 일체로 구성되고, 중앙부에는 원통형을 형성하는 보스(boss)부(1e)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보스부(1e)에 리브(1f)가 기체(1)의 기둥부(1c)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부(1e)에 피봇 접합부인 베어링(2)이 수납되어, 회전축(3)이 베어링(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베어링(2)은 기둥부(1c)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2)은, 구상(球狀)의 볼(ball)이 수평한 전송면(傳送面)을 굴림으로써 회전하여 래디얼(radial)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일반적인 볼 베어링이다.
그리고, 메인 로프(18)를 감아 거는 구동 쉬브(4)가, 기체(1)의 기둥부(1c)에 인접해 기체(1)의 외측에 배치되고, 회전축(3)의 일측 단부에 써멀 인서트(thermal insert)로 고정되어 있다. 또, 구동 쉬브(4)에는, 복수 개의 메인 로프(18)에 맞물리도록 복수의 로프 홈(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쉬브(4)와 회전축(3)의 써멀 인서트에 의한 고정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회전축(3)의 축단을 선단이 가늘어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하고, 구동 쉬 브(4)를 눌러서 고정하는 등, 고정할 수 것이면 어떤 수단이라도 좋다. 그리고, 기체(1)의 개구측과 반대측에 개구된 오목부가 설치된 회전자(5)가, 축 방향에 있어서 베어링(2)의 외측에 배치되고, 회전축(3) 타측 단부에 고정되고 있다. 또, 회전축(3) 타측 단부는 플랜지(flange) 형상에 형성되고 회전자(5)가 볼트(6a)로 고정되고 있다. 또한, 회전축(3)과 회전자(5)의 고정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써멀 인서트에 의한 고정 등 어떤 수단이라도 좋다. 또, 회전자(5)는, 축 방향에 있어서 베어링(2)의 외측에 배치하여 회전축(3)의 타측 단부에 고정하였으나, 베어링(2)의 외주 방향의 외측에 배치하여도 좋고, 이 경우, 회전축(3) 타측 단부를 베어링(2)의 외주 방향의 외측에 형성하여, 회전자(5)를 고정한다.
또, 기체(1)의 내부에는, 회전자(5)의 오목부 외주면에 설치된 계자 자석(7)과, 이 계자 자석(7)에 대향되어 배치된 고정자 코일(8)에 의해서 구성되는 전동기(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부착부(1a)는 기둥부(1c)로부터 구동 쉬브(4) 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제 2 부착부(1b)는 기둥부(1c)로부터 전동기(9)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착부(1a)는, 구동 쉬브(4)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리브 1g와 리브 1h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1 부착부(1a)는, 그 축 방향의 위치가 수평 방향에서 보아, 구동 쉬브(4)의 로프 홈(4a)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축 방향에 있어서, 메인 로프(18)에 의해 로프 홈(4a)에 작용하는 아래방향의 매다는 하중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기(9) 측으로 둘출한 제 2 부착부(1b)와 제 1 부착부(1a) 전체로 구성되는 부착부는, 축 방향 에 있어서 매다는 하중의 범위를 포함하고 있다. 또, 리브 1g는 수평 방향에서 본 투영상으로 구동 쉬브(4)와 겹치도록 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부착부(1b)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을 이루는 오목부(1d)의 외주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리브 1j와 리브 1k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착부(1a)의 폭(Le)은, 구동 쉬브(4)의 지름, 즉, 로프 홈(4a)에 대하여 메인 로프(18)의 감아 걸은 지름(Ld)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기체(1)는, 제 1 부착부(1a)와 제 2 부착부(1b)를 통하여, 볼트 6b와 볼트 6c에 의해, 가대에 설치된다. 또한, 도 3의 설치구멍 10a와 10b는 볼트 6b와 볼트 6c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멍으로, 각각, 제 1 부착부(1a)와 제 2 부착부(1b)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자(5)의 외주부에 제동면(11a)을 가지는 제동 회전체(11)가 설치되어 있고, 제동 회전체(11)는 볼트 6d에 의해서 체결되어 있다. 기체(1)에는 제동기 부착부(1n)가 형성되고, 이 제동기 부착부(1n)에 제동기(12)가 볼트(6e)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동기(12)의 제동편(12a)이 제동 회전체(11)의 제동면(11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동편(12a)은 제동기의 힘을 없앰 및 힘을 가함에 의해, 제동면(11a)을 누름 및 제동면(11a)보다 후퇴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는, 구동 쉬브(4) 및 회전자(5)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검출기(13)가 장착되어 있고, 회전축(3)에 연결된 검출기 회전축(13a)에 의해서 구동되다. 또, 회전 검출기(13)는, 기체(1)의 리브(1g)에 볼트(6f)에 의해서 고정된 부착판(14)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는, 베어링(2)의 윤활을 위해서 윤활제(15)가 봉입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1e)의 양측으로 베어링 커버 16a와 16b 가 설치되고, 베어링 커버 16a와 16b에는 오일 씰 17a와 17b가 설치되며, 베어링 커버 16a, 16b 및 오일 씰 17a, 17b에 의해서, 윤활제(15)가 밀봉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쉬브(4)에는 메인 로프(18)가 감아 걸려져 있다. 그리고, 메인 로프(18)는, 엘리베이터의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를 매달고 있다.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를 매다는 경우, 그 매다는 위치는 무게 중심이 있는 쪽이지만,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는 편향이 없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의 중심은 폭 방향의 거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로프(18)는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의 폭 방향의 거의 중심에 매달게 된다. 또, 승강 엘리베이터 칸(19)의 폭 치수(W)는 구동 쉬브(4)의 지름(Ld)보다 크고, 메인 로프(18)를 구동 쉬브(4)에 감아 걸어, 그대로 아래로 늘어뜨린 상태로 승강 엘리베이터 칸(19)을 매달면, 승강 엘리베이터 칸(19)의 무게 중심을 매달 수 없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에서는, 구동 쉬브(4)와는 별도로 디플렉터 쉬브(21)를 설치하고, 메인 로프(18)를 구동 쉬브(4)와 디플렉터 쉬브(21)에 감아 걸어, 승강 엘리베이터 칸(19)의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아래로 늘어뜨린 메인 로프(18)의 간격(S)을 넓히고 있다. 또한, 디플렉터 쉬브(21)는, 그 중심부에 도시하지 않는 주축이 있어, 이 주축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메인 로프(18)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복수의 로프 홈(4a)에 감아 걸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의 정지시에 전동기(9)가 힘이 제거됨과 동시에, 제동기(12)도 힘이 제거되어 제동편(12a)이 제동면(11a)으로 눌러 회전자(5)가 제동되고, 회전자(5)에 고정된 회전축(3)과 회전축(3)에 고정된 구동 쉬브(4)가 제동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운전시는 전동기(9)가 힘이 가해짐과 동시에, 제동기(12)도 힘이 가해져 제동편(12a)이 제동면(11a)보다 후퇴한다. 이것에 의해, 제동편(12a)의 제동면(11a)으로의 누름이 해소되어 회전자(5)의 제동이 해제됨과 동시에 구동되고, 회전자(5)에 고정된 회전축(3)과 회전축(3)에 고정된 구동 쉬브(4)가 구동된다. 그리고, 구동 쉬브(4)에 감아 걸려진 메인 로프(18)를 통하여, 디플렉터 쉬브(21)도 회전되고, 엘리베이터의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가 두레박식으로 승강 운전된다.
다음으로, 승강 엘리베이터 칸(19) 및 균형 추(20)를 매달고 있는 메인 로프(18)에 의한 매다는 하중의 권상기에 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매다는 하중의 작용에 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복수 개의 메인 로프(18)에 의한 매다는 하중은, 각각, 구동 쉬브(4)의 복수의 로프 홈(4a)에 작용하고, 등가(等價)적으로 복수의 로프 홈(4a)의 중심부에 모든 매다는 하중(F)이 작용한다. 그리고, 이 매다는 하중(F)은 구동 쉬브(4)를 통하여 회전축(3)에 작용한다. 회전축(3)에는, 회전축(3)을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2)으로부터 L1에 떨어진 매다는 하중(F)에 의한 모멘트 M1이 작용한다. 그리고, 이 모멘트 M1은 보스(1e)에 작용한다. 보스(1e)에 작용한 모멘트 M1은 리브(1f)와 기둥부(1c)로 지지 된다. 또, 기둥부(1c) 전체에는, 기둥부(1c)로부터 L2에 떨어진 매다는 하중(F)에 의한 모멘트 M2가 작용한다. 그리고, 이 모멘트 M2는, 기둥부(1c)를 통하여, 가대에 설치되는 제 1 부착부(1a)와 제 2 부착부(1b)에 작용하여, 가대에 지지된다.
또, 제 1 부착부(1a)는 리브 1g와 리브 1h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모멘트 M2는, 제 1 부착부(1a), 리브 1g와 리브 1h에 의해서 구성되는 부분의 모두에 있어서 지지된다. 또, 제 2 부착부(1b)는 리브 1j와 리브 1k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모멘트 M2는, 제 2 부착부(1b), 리브 1j와 리브 1k에 의해서 구성되는 부분의 모두에 있어서도 지지된다. 또한, 기둥부(1c)에는 오목부(1d)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기둥부(1c)에 작용한 모멘트 M2는 오목부(1d)에 의해서도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는, 구동 쉬브(4)가 기체(1)의 기둥부(1c)의 근방에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메인 로프(18)에 의해서 구동 쉬브(4)에 관한 매다는 하중(F)과 기둥부(1c)와의 거리(L2)는 작게 되고, 매다는 하중(F)에 의한 모멘트 M2를 기둥부(1c)에 작게 작용할 수 있다. 또, 기둥부(1c)에 일체로 구성된 제 1 부착부(1a)와 제 2 부착부(1b)에 작용하는 모멘트 M2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권상기 전체의 기울기 즉 구동 쉬브(4)의 기울기를 작게 할 수 있어, 메인 로프(18)와 구동 쉬브(4)의 로프 홈(4a)은 상대적으로 기울기가 작아지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시 즉 구동 쉬브(4)의 회전시, 메인 로프(18)가 로프 홈(4a)에 진입할 때의 메인 로프(18)와 로프 홈(4a)과의 상대적 기울기에 의한 편하중이 걸리지 않아, 승차감이 좋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편하중에 의한 로프 홈(4a)의 마모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신뢰성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기둥부(1c)나, 제 1 부착부(1a), 제 2 부착부(1b)는, 이것에 작용하는 모멘트 M2가 작기 때문에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 소형 경량으로, 설치성이 좋고 경제적인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제 1 부착부(1a)는 기둥부(1c)로부터 구동 쉬브(4)의 근방에 형성되어, 제 2 부착부(1b)와 제 1 부착부(1a) 전체로 구성되는 부착부와, 축 방향에 있어서 매다는 하중의 범위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 1 부착부(1a)를 축 방향으로 길게 하지 않고, 매다는 하중에 의한 권상기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 경량으로 또한 설치 상태가 안정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부착부(1a)에는 리브 1g 및 리브 1h가 기둥부(1c)와 일체로 구성되고, 제 2 부착부(1b)에는 리브 1j 및 리브 1k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강성이 높고, 권상기 전체의 기울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리브(1g)는 수평 방향에서 본 투영상에서, 구동 쉬브(4)와 겹치도록 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매다는 하중에 의한 기둥부(1c)의 기울기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베어링(2)은 기둥부(1c)의 근방에 배치하고, 기둥부(1c)에 인접하여 구동 쉬브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베어링(2)과 매다는 하중(F)과의 거리(L1)를 작게 할 수 있어 매다는 하중(F)에 의해 작용하는 모멘트(M1)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둥부(1c) 및, 보스(1e)의 변형은 작게 되고, 회전축(3)의 기울기 즉 구동 쉬브(4)의 기울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승차감이 좋고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베어링(2)을 수납하는 보스(1e)에는 리브(1f)가 기 둥부(1c)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멘트(M1)에 의한 보스(1e)의 변형을 작게 할 수 있어, 보다 승차감이 좋고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모멘트(M1)가 작기 때문에, 베어링(2)에 작용하는 반력도 작게 됨과 동시에 베어링(2)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베어링(2)은, 구상의 볼이 수평한 전송면을 굴림으로써 회전하여 래디얼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일반적인 볼 베어링을 나타냈지만, 전송면을 도의 하반부의 단면도에 있어서 팔(八)자 모양으로 비스듬하게 형성하여 하중을 비스듬하게 받아, 구상의 볼이 전송면을 굴리는 앵글러(angular) 볼 베어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하중을 비스듬하게 받으므로, 베어링에 걸리는 반력의 지지점 사이 거리를 등가적으로 넓게 할 수 있어, 매다는 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넓은 지지점 사이 거리로 지지하기 때문에, 더욱 베어링에 작용하는 반력이 작아져, 베어링의 볼의 모멘트에 의한 변형도 작아지게 됨과 동시에 베어링(2)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승차감이 좋고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베어링(2)을, 그 전송면을 도의 하반부의 단면도에 있어서 팔(八)자 모양으로 비스듬하게 형성하고, 원통형의 롤러의 구름에 의한 테이퍼 롤러 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하중을 원통형 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받으므로, 롤러의 모멘트에 의한 변형이 작아, 앵글러 볼 베어링보다 더욱 변형이 작아짐과 동시에 베어링(2)의 수명을 길어진다. 이것에 의해, 보다 승차감이 좋고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구동 쉬브(4)가 회전축(3)에 고정되고, 기둥부(1c)에 인접하여 기체(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쉬브(4)의 주위에서는 덮히지 않고, 메인 로프(18)는 기체(1)에 간섭하지 않으며, 그 인출구의 제한을 받지 않고, 디플렉터 쉬브(21)의 설치 위치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 때문에, 다양한 승강 엘리베이터 칸 사이즈 즉 승강로 사이즈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또, 구동 쉬브(4)의 주위에서는 덮히는 것이 없기 때문에, 설치시 등에 있어서, 메인 로프(18)를 구동 쉬브(4)에 감아 걸을 때, 메인 로프(18)의 단에서부터 감을 필요가 없고, 중간부를 U자 모양으로 형성하여, 그대로 구동 쉬브(4)에 걸어, 메인 로프(18)의 감아 거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그 작업도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또, 보수 점검시에 있어서는, 구동 쉬브(4)가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로프 홈(4a)의 마모 상태나 이물 부착 등의 확인 점검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제 1 부착부(1a)의 폭(Le)은 구동 쉬브(4)의 지름(Ld)보다 작기 때문에, 메인 로프(18)를 좌우 어디에서도 아래로 늘어뜨릴 수 있고, 도 1에 나타내는 메인 로프(18a)와 같이 감아 걸어, 디플렉터 쉬브(21)를 좌우 반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승강로 혹은 기계실 내에 있어서, 권상기와 디플렉터 쉬브(21)의 다양한 레이-아웃(lay-out)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다른 엘리베이터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디플렉터 쉬브(21)를 적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로핑을 1:1로 구성한 것이지만,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로핑을 2:1에 구성하고, 디플렉터 쉬브(21)를 불필요하게 하여, 매다는 하중이 작은 엘리베이터에도 대응 가능하게 된다. 또,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작은 용량의 엘리베이터에서, 승강 엘리베이터 칸(19)의 매다는 위치를 편심(偏芯)시켜, 디플렉터 쉬브(21)가 없는 간소한 구조의 엘리베이터에도 대응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는, 다양한 엘리베이터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는, 기체(1)의 기둥부(1c)에 인접하여 구동 쉬브(4), 전동기(9)가 배치되고, 기둥부(1c)의 근방에 베어링(2)이 설치되며, 회전자(5)를 베어링(2)의 외측에 배치하여 베어링(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3) 타측 단부에 고정함으로써, 축 방향의 길이를 크게 하지 않고, 박형으로 경량이면서 또한 공간절약에 대응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축 부재와 그 피(被)체결 부재와의 체결에 있어서, 도 2와 같이 구동 쉬브(4)와 회전축(3)의 써멀 인서트에 의한 고정은, 소망한 체결력을 얻기 위해서 소정의 축 길이가 필요하다. 그렇지만, 회전축(3) 타측 단부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에 회전자(5)를 볼트(6a)로 고정했기 때문에, 볼트의 고정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고, 축 길이가 짧은 상태로 확실히 체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더욱 박형으로 공간절약에 대응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회전자(5)의 외주부에 제동 회전체(11)을 설치하고, 이것에 대응한 제동기(12)를 기체(1)의 외주부에 구성함으로써, 권상기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제동기 부착할 수 있으면서 또한, 박형 및 경량으로 공간절약에 대응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2a)의 일부를 회전축(3a)의 래디얼 방향에서 본 투영상에서 겹치도록 배치한 것이다. 또, 회전축(3a)의 일측 단부를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에 구동 쉬브(4b)를 볼트(6g)로 고정하며, 회전축(3a)의 타측 단부는, 써멀 인서트로 회전자(5a)를 고정한 것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부호인 것은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는, 베어링(2a)의 일부를 회전축(3a)의 래디얼 방향에서 본 투영상에서 겹치도록 배치함으로써, 베어링(2a)과 매다는 하중(F)과의 거리(L3)가 작아져, 회전축(3a)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가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회전축(3a)의 축 지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베어링(2a)에 작용하는 반력도 작아지므로, 베어링(2a)의 소형화 및 장수명화(長壽命化)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스(1e) 및 기둥부(1c)에 적용하는 모멘트도 작아진다. 이상에 의해,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보다 경량으로 승차감이 좋고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회전축(3a)의 일측 단부를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에 구동 쉬브(4b)를 볼트(6g)로 고정함으로써, 축 방향이 박형으로 공간절약에 대응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 쉬브(4b)를 확실히 체결할 수 있어, 구동 쉬브(4b)의 교환이 가능하고 그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뜻하지 않은 사태에 의해, 로프 홈(4a)에 이물질이 부착하여, 로프 홈(4a)이 손상된 경우 등, 구 동 쉬브(4b)의 교환이 필요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쉬브(4b)만을 교환할 수 있어 유용하다.
실시 형태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도 2의 회전자(5)와 제동 회전체(11)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제동면(11a)을 가지는 회전자(5b)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부호인 것은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또,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나타냈으나, 실시 형태 2에 대하여 회전자(5a)와 제동 회전체(11)를 일체로 형성한 것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여도, 실시 형태 1이나 실시 형태 2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구성부품의 수를 삭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은 정면도,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구동 쉬브(4)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22)를 설치한 것으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부호인 것은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또,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 커버(22)는, 구동 쉬브(4)와 이것에서부터 인출되는 메인 로프(18)를 덮도록 형성되고 있어, 볼트(6h)에 의해 기체(1)에 고정된다. 도 8은 디플렉터 쉬브(21)가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보호 커버(22)는 선형(扇形)을 이루며, 구동 쉬브(4) 로부터 인출되는 메인 로프(18)를 덮도록 형성하고 있다. 또, 디플렉터 쉬브(21)가 없는 경우, 도시하지 않지만, 보호 커버(22)는 U자 모양을 이루고, 마찬가지로 구동 쉬브(4)로부터 인출되는 메인 로프(18)를 덮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실시 형태 2 및 실시 형태 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보호 커버(2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는, 보호 커버(22)를 구동 쉬브(4)와 이것에서부터 인출되는 메인 로프(18)를 덮도록 설치함으로써, 보수 점검시 등에 있어서, 구동 쉬브(4)의 근방에서 조심성 없게 점검자의 손이 가까워져도, 회전되고 있는 구동 쉬브(4)나 로프 홈(4a)으로의 메인 로프(18)의 진입구에 손이 닿지 않고, 안심하고 점검 작업을 할 수 있다. 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구동 쉬브(4)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구동 쉬브(4)의 점검시에 있어서는, 볼트(6h)를 떼어내는 것으로 보호 커버(22)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어, 점검의 전 준비 시간이 짧아도 된다.
또, 보호 커버(22)의 표면에 복수의 천공을 설치하여도 좋고, 이 경우는, 보호 커버(22) 내부의 구동 쉬브(4)가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호 커버(22)를 설치한 상태로, 구동 쉬브(4)의 확인 점검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