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675Y1 - 권양기 - Google Patents

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675Y1
KR930000675Y1 KR9220989U KR920020989U KR930000675Y1 KR 930000675 Y1 KR930000675 Y1 KR 930000675Y1 KR 9220989 U KR9220989 U KR 9220989U KR 920020989 U KR920020989 U KR 920020989U KR 930000675 Y1 KR930000675 Y1 KR 930000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rotor
shaft
electric motor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20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야스 이도
Original Assignee
시키모리야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1221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5315B2/ja
Priority claimed from KR2019890008578U external-priority patent/KR910005225Y1/ko
Application filed by 시키모리야,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키모리야
Priority to KR9220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6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positively attached to a wind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권양기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의 일부 단면구성도.
제2,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정면도.
제5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제7도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
제8도, 제9도는 종래의 권양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시보(sheave) 4 : 베어링
12 : 입형(立形)브래킷 14 : 중심축
15 : 회전자 16 : 고정자
21 : 회전자스페이서 22 : 개구부(開口部)가 있는 내부공간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무치차(無齒車)권양기와 같은 권양기의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카(Elevator car)(이하 카라함)를 올리고 내리는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제7도에 나타낸다.
8은 메인로프(Main rope), 9는 엘리베이터의 카, 10은 평형추, 2는 전동기 3은, 시브(sheave)이고, 전동기(2)와 시브(3)는 기초(1)위에 고정되고, 기계실(11)에 설치되어 있다. 메인로프(8)에 카(9)와 평형추(10)가 연결되어 있고, 전동기(2)회전이 시브(3)에 전달되면 이 메인로프(8)을 상하로 움직여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전동기(2)와 시브(3)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무치차 권양기의 종래의 구조는 예로서 일본국 특개소 61-217486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것이 있고, 이것을 제8도에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1은 기계실(11)에 설치된 기초, 12는 기초(1)에 고정된 입평 브래킷, 2는 이 입형 브래킷에 고정된 전동기, 2a는 이 전동기의 회전축, 6은 입형 브래킷(12)에 고정된 중공축, 3은 시브(sheave), 3a는 시브의 로프홈(rope race), 5는 시브의 브레이크슈(brake-shoe), 4는 시브(3)와 중공축(6)사이의 베어링, 7은 회전축(2a)의 회전토크를 시브(3)로 전달하는 접속판, 8은 메인로프, 13은 회전을 멈추기 위한 전자 브레이크 장치이다. 전동기(2)의 회전자가 회전하여 회전축(2a)을 돌림으로써 접속판(7)을 통하여 시브(3)를 회전시키고 메인로프(8)을 감아 올렸다가 내렸다한다.
시브(3)의 하증의 베어링(4)를 통하여 중공축(6)으로 전달되고, 이것을 입형 브래킷(12)가 받고, 기초(1)이 이 전체하중을 지지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무치차 권양기와 같은 권양기는 전동기(2)의 회전축(2a)의 축방향의 연장상에 시브(3)을 설치하기 때문에 권양기의 수평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고 기계실(11)에 설치할 경우, 치수상의 제약을 받기 때문에 대책으로서 전동기(2), 시브(3)공히 직경을 크게하여 축방향의 치수를 짧게 해 왔다.
그 결과 시브(3)는 직경이 커지고, 회전력을 전하고 하증을 지지하는 접속판(7)과 중간축(6)이 대형화하고, 이 결과 중량이 증대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 대책으로서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 52-32870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고, 이것을 제9도에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14는 베어링 스탠드(2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 축이고, 16은 전동기의 고정자, 15는 전동기의 회전자, 3은 회전자(16)의 프레임이고, 베어링(4)를 통하여 축(14)에 지지된 시브, 3a는 시브의 로프홈이다.
이 구조에 있어서 전동기의 프레임과 시브의 메인로프를 감는 부분을 일체화 시킴으로써 축방향 길이의 단축이 가능해지고 권양기를 소형 경량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전동기의 회전자(15)와 시브(3)을 일체화시킨 것의 양단을 베어링(4)을 통하여 축(14)로 지지하고, 또 이 축을 그 외축에서 베어링 스탠드(20)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축방향으로의 길이는 또 상당히 필요로 하였다.
그리하여, 일반적으로 시브의 외경을 작게하면 시브와 메인로프 사이의 마모에 의해 수명의 저하가 심해지나, 전술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공고하게 결합된 시브(3)의 일부를 분해하지 않으면 고정자와 회전자를 분리할 수 없고, 시브를 교체하기가 곤란하므로 일반적으로 시브의 수평을 메인로프의 수평의 예컨대, 3-배 이상으로 하고 메인로프를 교체함으로써 권양기의 수명을 연장해왔다.
그러나 시브를 소경화시키면 시브와 메인로프의 마모가 대단히 빨리 진행되고 시브(3)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시브에 특수한 재료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게 되고, 가격이 높아짐과 아울러 한층 더 큰 부담을 메인로프에 주게되어 메인로프의 수명을 더욱 단축시키고, 보수상의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권양기의 축방향의 길이를 한층 단축시킬수 있고 시브의 마모등에 의한 보수점검작업이 용이한 권양기를 얻음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에 관한 권양기는 지지체가 지지한 축상에 착탈가능하고 회전자재한 시브를 설치하며, 이 시브에 개구부가 그 축부에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이 속에 전동기를 수납시켜 전동기와 시브를 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권양기는 시브의 내부에 전동기를 수납시킴으로써 장치를 소형경량화시키고, 시브의 교체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무치차 권양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구성도이다.
1은 기계실(11)에 설치하는 기초, 12는 리브(rib)(12a)가 붙고, 기초(1)에 세워진 지지체인 입형 브래킷, 14는 입형 브래킷(12)에서 수평으로 돌출한 고정되어 있는 중심축, 3은 베어링(4)를 통하여 중심축(14)에 장착되는 시브(sheave), 22는 입형 브래킷(12)에 면한 축부에 설치된 시브(3)의 개구부가 있는 내부공간, 16은 입형 브래킷(12)에 고정자용 브래킷(19)로 고정되고 내부공간(22)의 개구부로 돌출된 전동기의 고정자로 권선과 철심으로 되어 있다. 15는 이 고정자에 대향하여 시브(3)의 보스부(3b)에 끼워맞춤 권선과 철심으로된 전동기의 회전자, 3a는 시브의 로프홈, 5는 시브의 브레이크슈, 17은 볼트(18)에 의해 축(14)에 고정되고 베어링(4)를 보지하여 베어링의 일탈을 방지하는 고정판, 13은 전자 브레이크장치, 21은 회전자(15)와 시브(3)사이에 설치되고 볼트(21a)로 회전자(15)와 같이 시브에 고전되어 있는 스폐이서이다. 도면에 있어서, 전동기의 고정자(16)에 통전시킴에 따라, 회전자(15)에 회전도크가 발생한다. 회전도크는 시브의 보스부(3b)와의 끼워맞춤부 및 볼트부(21a)를 통해서 시브에 전달되고 시브가 회전하면서 로프홈(3a)에 감겨있는 메인로프(8)를 감아올린다. 시브(3)은 베어링(4)를 통하여 중심축(14)의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베어링(4)는 고정판(17)에 의하여 그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무치차 권양기는 시브(3)의 축부에 형성된 개구부가 있는 내부공간(22)내에 전동기의 고정자(16)과 회전자(15)를 수납하고 있고, 베어링(4)를 시브(3)의 보스부(3a)에 설치하고, 전자브레이크(13)을 입형 브래킷(12)에 부착하였기 때문에 전동기 및 시브 공히 직경을 크게할 수 있어 축방향의 치수는 대폭적으로 단축된다.
또 전동기에서 발생되는 회전 토크를 직접 시브(3)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게 되고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베어링(4)와 중심축(14)는 틈새 끼워맞춤(clearence fit)으로 되어 있고, 베어링 일탈방지용 고정관(17)은 분리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시브(3)을 축(14)으로 분리 또는 조립할 수 있다.
또, 베어링(4)을 함께 부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립과정에서 중심맞추기 작업은 간단하고 또 정확하게 이룰 수 있다.
또, 회전자(15)와 일체로된 스페이서(21)을 갖추고 있고 이 스폐이서에 시브축에서 잭볼트(jack bolt)를 사용하여 회전자를 시브에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다.
또, 베어링(4)는 시브(3)에 약간의 조이는 힘으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이 베어링을 조립 분해하는 것도 간단하다.
이상과 같이 시브의 조립분해가 용이한 구조이므로 시브의 교환이 간단하고, 종래예와 같이 시브의 수명을 메인로프의 3-4배가 되도록 하기 위해 시브에 특수한 재료를 선택 사용하고, 이 때문에 메인로프의 수명이 더욱 단축되는 등의 무리를 없애고 예를들어 메인로프와 시브의 수명을 동등한 것으로 하고, 최적한 재료를 선택하여 전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재료비도 싸게된다.
더우기 수명관리가 용이하게 되어 신뢰성이 높은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이고 입형 브래킷(12)에서 돌출한 축(14)의 반대측 단부에 기초(1)에서 착탈이 가능하고 또 구성도 간단한 축지지대(12b)의 설치하는 구조이다.
이렇게 하여 하증이 대단히 무거운 권양기에 있어서도 수평축(14)의 변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3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와 정면도이고, 회전자(15)가 고정자(16)의 외축을 또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더욱 큰 회전토크를 시브로 전달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 이상과 같은 설명에 있어서 시브(3)과 전동기의 회전자(15)의 조립분해용으로 회전자 스페이서(21)을 사용하는 구조를 나타냈으나, 회전자(15)와 보스(3b)사이에 스페이서를 사용하거나, 홈은 키를 이용하는 방법등도 있으며, 조립분해가 용이하고 또 회전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면 또다른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축방향으로 전동기의 고정자(도시생략)와 회전자(15)를 나란히 배치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 구조에서는 고정자가 측면 개방부에서 회전자(15)의 단면도면에 있어서 좌단부에 대해 축방향의 공극을 사이에 두고 자기적으로 결합하도록 대향배치되기 때문에 시브의 분해-조립이 한층 용이해진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이고, 시브의 보스부를 생략한 구조이다.
이 구조에 있어서는 베어링을 전동기의 회전자(15)의 스페이서(21)에 부착한 구조(도시생략)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값싸게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브 사용하는 모든 권양기 예를들면,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용 권양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말할것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개구부가 있는 시브의 내부공간에 전동기를 수납하고 또 시브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하였으므로 축방향 길이의 단축이 가능한 동시에 시브의 보수점검이 극히 용이하게 되는 권양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회전운동을 위한 축(14)의 한쪽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체(12)와, 상기 지지체(12)에 지지된 축(14)에 착탈 가능하고 회전자재 하게 설치되고, 외주부에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8)가 감기는 동시에 측면에 개구부가 있는 내부공간(22)이 형성된 시브(sheave)(3)과, 상기 개구부로 부터 상기 내부공간(22)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체(12)에 고정된 전동기의 고정자(16)와 상기 내부공간(22)을 향한 상기 전동기의 고정자(16)와 자기적으로 결합하는 위치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시브(3)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전동기의 회전자(15)를 구비한 권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14)과 상기 시브(3)간에 베어링(4)을 설치하고 적어도 상기 축(14)의 한쪽 단부에 착탈 가능한 베어링 일탈 방지용 고정판(17)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3)의 축방향 일부에 전자 브레이크장치(13)의 브레이크와 접촉하는 브레이크슈(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15)와 일체로 조립된 스페이서(21)에 나사구멍을 형성하여 잭볼트(21a)에 의하여 상기 회전자(15)와 시브(3)를 조립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15)와 시브(3)을 조립하는 스페이서(21)와 상기 축(14)간에 상기 베어링(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
  6. 제1항 있어서, 상기 전동기의 고정자(16)와 회전자(15)를 공극을 사이에 두고 축방향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
KR9220989U 1988-08-26 1992-10-29 권양기 KR930000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20989U KR930000675Y1 (ko) 1988-08-26 1992-10-29 권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212213 1988-08-26
JP63212213A JPH0745315B2 (ja) 1988-08-26 1988-08-26 巻上機
KR2019890008578U KR910005225Y1 (ko) 1989-06-21 1989-06-21 음극선관용 방폭밴드
KR9220989U KR930000675Y1 (ko) 1988-08-26 1992-10-29 권양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578A Division KR900003053A (ko) 1988-08-26 1989-07-06 권양기(捲揚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675Y1 true KR930000675Y1 (ko) 1993-02-19

Family

ID=2732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20989U KR930000675Y1 (ko) 1988-08-26 1992-10-29 권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6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45315B2 (ja) 巻上機
KR100396809B1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FI109596B (fi) Hissin käyttökoneisto ja hissi
US4960186A (en) Elevator hoist apparatus with an outer rotor motor
JP200001672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762784B (zh) 卷扬机
JPS6318427B2 (ko)
KR10043011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8689283B (zh) 曳引机和电梯
JP4178075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100597523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930000675Y1 (ko) 권양기
FI106550B (fi) Hissien käyttökone
JP5032723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3698592B2 (ja) 巻上機
CN113602941B (zh) 曳引机及电梯系统
CN100369798C (zh) 电梯用薄形卷扬机
WO2006064554A1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5591767B2 (ja) 薄型巻上機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JP2010143661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その駆動モータ
CN109205443B (zh) 卷扬机以及电梯
JP7261320B2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KR100784923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CN116101870A (zh) 曳引机
FI80250B (fi) Vaexel saerskilt foer hissar, lyftkranar eller dylik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