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159A -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와 이것을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 Google Patents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와 이것을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159A
KR20070087159A KR1020077016524A KR20077016524A KR20070087159A KR 20070087159 A KR20070087159 A KR 20070087159A KR 1020077016524 A KR1020077016524 A KR 1020077016524A KR 20077016524 A KR20077016524 A KR 20077016524A KR 20070087159 A KR20070087159 A KR 20070087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pipe
rainwater
horizontal member
storag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6244B1 (ko
Inventor
히데키 미야지
가오루 이노우에
가쓰히코 다니가와
도시야 다니구치
아키라 요시다
요우에쓰 구도우
Original Assignee
도요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91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0473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9101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0472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621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3629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6545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3640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6545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3640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68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02919B1/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7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파이프형 세로 부재(3)와,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3)와 함께 삼차원 구조체를 조립하는 가로 부재(2)와, 파이프형 세로 부재(3)에 가로 부재(2)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지그(1)를 가지고,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3)와 가로 부재(2)를, 접속 지그(1)를 통하여 삼차원 구조체로 조립하는 것에 의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를 제공한다.
빗물, 저류, 공간, 파이프, 삼차원, 가로 부재, 세로 부재, 접속 지그

Description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와 이것을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MEMBER FOR RAINWATER CONTAINING STRUCTURE AND RAINWATER CONTAINING STRUCTURE BOD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와 이것을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를 연결 가능하게 하는 접속 부재를 가지는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와 이것을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특히 도시지역에서 비정상적인 강우나 홍수, 또는 그 반대로 비정상적인 건조라는 문제가 자주 생기며, 그 원인으로서 열섬 현상이 다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빗물을 이용하는 시설의 구축이 제안되어 있고, 빗물 저류 구조물 또는 빗물 저류용 충전재 등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빗물 저류 구조물로서 예를 들면, 지면에 피트(pit)를 파고, 그 외부 표면에 차수(遮水) 시트를 부설하여, 그 상면에 복수개의 용기형 부재를 종횡 및 상하로 쌓아 올리고, 또한 최상부에 복토(覆土) 등을 행하여 피복하고, 빗물을 저류하는 구조물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일본국 특개소 63-268823호 공보 참조).
또는, 중공체인 복수개의 착탈가능한 지주(支柱)를, 연결 부재에 의해 수직으로 고정되는 빗물 저류용 충전재로서, 연결 부재가 착탈가능한 연결 프레임 및 연결 패널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등으로, 운반 중에 있어서의 모퉁이부에서의 지주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일본국 특개 2004-19205호 공보).
그러나, 상기 실시예의 빗물 저류 구조물 또는 빗물 저류용 충전재는, 용기형 부재나 착탈가능한 지주와 연결 부재로 이루어지는 빗물 저류용 충전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점검용의 충분한 넓이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보수 점검은 실질상으로 행하지 못하고, 오랫동안 사용하여 토사가 축적돼 소정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도, 청소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기능을 복귀시킬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상기 종래 기술의 용기형 부재나 충전재를 운반하는 경우에는, 이들이 빗물을 저류하기 위한 큰 공간을 내장해 커지기 때문에, 반송량에 비해 수송 비용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들 용기형 부재나 충전재는 형상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빗물 저류 침투조의 형상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조립된 경우에, 큰 개구부를 확보할 수 있어 보수 점검이 용이하며, 또한 개개의 구성 부재로부터 조립이 용이하여, 현지에서의 조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송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빗물 저류 침투조의 형상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와 이것을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의 특징 구성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함께 삼차원 구조체를 조립하는 가로 부재와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에 상기 가로 부재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지그를 가지고,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가로 부재를, 상기 접속 지그를 통하여 삼차원 구조체로 조립하는 것에 의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가로 부재와 접속 지그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가로 부재의 길이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보수 점검 가능한 소정 넓이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 현장에 수송할 때에는,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가로 부재와 접속 지그를, 조립한 상태로 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부재로서 수송하게 되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적지 않은 공간을 가지는 용기형 부재나 충전재로서 수송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송시의 부피가 작아 결국, 효율이 양호한 수송을 할 수 있게 되어, 수송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파이프형 세로 부재 및 가로 부재의 길이, 직경 등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빗물 저류 침투조의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종래 기술에 비해 설계의 자유도를 현저히 향상시킨다.
그 결과, 조립한 경우에, 큰 개구부를 확보할 수 있어 보수 점검이 용이하며, 또한 개개의 구성 부재로부터 조립이 용이하여, 현지에서의 조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송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빗물 저류 침투조의 형상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지그는,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에 결합해 장착되며, 상기 가로 부재와 걸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속 지그를 통하여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가로 부재를 접속하는 것으로, 별도로 볼트와 너트와 같은 고착도구를 준비하여 체결 필요가 없고, 접속 작업이 용이하며, 현지에서의 삼차원 구조체에의 조립 작업을 한층 효율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의 특징 구성으로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소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파이프형 부재 끼리를 연결하여 삼차원 구조체로 조립 가능한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형 부재와 연결 부재로 형성되는 삼차원 구조체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파이프형 부재와 연결 부재로 삼차원 구조체를 조립하기 때문에, 파이프형 부재와 연결 부재의 길이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소정 넓이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 현장에 수송할 때는, 파이프형 부재와 연결 부재를 개별적으로, 조립 전의 상태로 수송하게 되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적지 않은 공간과 체적을 가지는 용기형 부재나 충전재로서 수송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송시의 부피가 현저하게 작아 결국, 효율이 양호한 수송을 할 수 있게 되어, 수송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지제 파이프형 부재와 연결 부재의 길이, 직경 등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빗물 저류 침투조의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종래 기술에 비해서 설계의 자유도가 현저히 향상된다.
그 결과, 조립한 경우에, 큰 개구부를 확보할 수 있어 보수 점검이 용이하며, 또한 개개의 구성 부재로부터 조립이 용이하여, 현지에서의 조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송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빗물 저류 침투조의 형상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적어도 그 단부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형 부재와 대략 직각 방향으로 결합해 연결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파이프형 부재에 연결 부재를 결합시켜 파이프형 부재 끼리를 연결하고, 파이프와 접속 부재를 서로 직각 방향으로 되도록 접속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현지에서 용이하게 삼차원 구조체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하나의 파이프형 부재에 2~4개의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경우의 높이 조절에는, 소정 높이의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등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가로 부재의 배면 측이 개구되어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를 구획하도록 길이 방향에 걸쳐서 길이 방향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강도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안정된 시공 작업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시공 후의 내구성도 우수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원래, 파이프 세로 부재와 가로 부재의 길이를 적당히 변경하여, 전자의 경우에는 수평 방향의 압축 강도를 높이거나, 후자의 경우에는 수직 방향의 압축 강도를 높이거나 할 수 있다.
상기 가로 부재와 접속 지그의 접속이, 상기 가로 부재의 단면과 상기 접속 지그의 외주면이 서로 대면하여 행해지며, 상기 가로 부재의 단면이 상기 접속 지 그의 회전을 불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공시에, 접속 부재에 연결된 가로 부재가 부주의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이 안정적으로 행해지고, 접속 강도가 높아진다.
상기 가로 부재의 단면에 돌기 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 지그의 외주부에, 상기 가로 부재의 돌기 또는 구멍과 결합되는 구멍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로 부재의 상면에, 다수의 물빼기용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부재의 접속이 확실하고 견고하게 되며, 빗물이 확실하게 저부에 저류된다.
상기 가로 부재의 배면 측의 오목부에, 상기 길이 방향 리브에 직교하는 단변 측의 단변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윗쪽으로부터의 가중에 의한 굴곡에 대할 뿐만 아니라, 가로 방향 또는 비틀림 방향으로부터의 굴곡에 대해서도, 가로 부재의 강도가 한층 높아져, 시공시에 작업자가 조립하는 도중, 보다 안정된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리브를 가지는 동시에, 이것에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는 측면 패널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파이프형 세로 부재의 강도, 특히 좌굴 강도 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의 강도를 전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 부재의 최상부 위치에 결합하여, 이 부분을 평활화 할 수 있는 캡 부재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의 사이에 또한 상기 가로 부재 상에 배치 가능한 평탄 패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공시 또는 시공 후에 불측의 방향으로부터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의 강도를 일정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평탄상 패널이 배치되면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의 강도를 한층 높일 수 있으며, 빗물 저류 구조물을 조립하는 작업을 행하는 중에, 작업자가 보행하기 쉬워지는 등,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삼차원 구조체는, 적어도 108kN/m2 이상의 상하 방향으로붙의 압축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최상부에 2m 정도의 복토를 시공하였다고 해도, 토압의 3배 이상이 되는 충분한 강도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물의 특징 구성은, 지면 오목부에 부설된 차수재와, 상기 차수재의 상면 측에 배치된 삼차원 구조체와, 상기 삼차원 구조체의 상면 측에 배치된 피복층을 가지는 빗물 저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구조체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함께 삼차원 구조체를 조립하는 가로 부재와,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에 상기 가로 부재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지그를 가지고,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 와 가로 부재를, 상기 접속 지그를 통하여 조립하는 데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립한 경우에, 큰 개구부를 확보할 수 있어 보수 점검이 용이하며, 또한 개개의 구성 부재로부터 조립이 용이하여, 현지에서의 조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송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빗물 저류 침투조의 형상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를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삼차원 구조체의 내부에 저류된 상기 빗물을 대류시키는 대류 생성 기구가 설치되며, 퇴적된 고형물을 회수할 수 있는 고형물 회수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빗물을 저류하고 있는 삼차원 구조체의 내부의, 예를 들면 일단부 측에 대류 생성 기구를 장착하여, 정기적으로 혹은 비정기적으로 작동시켜 내부의 저수를 대류시킴으로써, 삼차원 구조체 자체에 부착되어 있는 토사 등의 고형물뿐만 아니라, 저부에 퇴적되어 있는 고형물도 다른 쪽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고, 이들 고형물을, 고형물 회수 장치를 사용하여 회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빗물 저류 구조물의 내부를 항상 청정하게 할 수 있고, 오랜 세월에 걸친 사용에 대해서도, 빗물 저류의 높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고형물이란, 빗물에 혼재하는 토사, 먼지 등 각종 가루 입상물을 넓게 포함하는 고체 상태물을 나타내는 개념으로서 사용한다.
그 결과, 정기적으로 작업원이 맨홀로부터 저수조 내부에 들어가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빗물 저류 구조물 내에 유입된 토사 등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빗물 저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수지제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제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상기 가로 부재에 의해 조립된 상기 삼차원 구조체의 내부에 저류된 상기 빗물을 폭기시키는 복수개의 폭기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지제 파이프형 세로 부재 및 가로 부재의 길이, 직경 등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빗물 저류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또한, 폭기 장치를 적절히 장착함으로써, 저류되어 있는 빗물을 청정화할 수 있고, 수질 악화를 방지할 수 있어 이용 가치가 높은 빗물 저류를 할 수 있다.
상기 대류 생성 기구는 대면하는 측의 상기 지면 오목부에, 보다 낮은 오목한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고형물 회수 장치가 상기 오목한 부분에 저류된 고형물을 배출할 수 있는 감압 흡인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대류시키고 이동시킨 고형물을 대류 생성 기구의 위치와 반대측의 오목한 부분에 모을 수가 있고, 그 후, 이 오목한 부분에 모인 고형물을 감압 흡인 장치에 의해 빗물 저류 구조물 밖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 내부를 확실히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의 내부를 통해 공기를 보내고, 상기 삼차원 구조체 내에 저류된 상기 빗물을 폭기시키는 폭기 장치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폭기 장치를 장착하는 것으로, 삼차원 구조체를 구성하는 부재에 장착하고, 이 부재를 통해 공기를 보내는 것으로, 저류되어 있는 빗물을 폭기해 청정화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은 막대한 공사비를 소비해 저수조 내에 분산기관을 설치하는 공사가 불필요해지므로, 낮은 비용으로 효과적인 빗물의 청정화가 가능하고, 수질 악화를 방지할 수 있어 이용가치가 높은 빗물 저류를 할 수 있다.
그 결과, 빗물 저류 구조물의 구조를 이용하여,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또한 저류되어 있는 빗물의 수질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빗물 저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수지제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삼차원 구조체의 내부에 저류된 상기 빗물을 대류시키는 대류 생성 기구와, 상기 빗물을 저류하는 빗물 저류 구조물의 내부에 퇴적된 고형물을 회수할 수 있는 고형물 회수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빗물을 저류하고 있는 삼차원 구조체의 내부의, 예를 들면 일단부 측에 대류 생성 기구를 장착하여, 정기적으로 혹은 비정기적으로 작동시켜 내부의 저수를 대류 시킴으로써, 삼차원 구조체 자체에 부착되어 있는 토사 등의 고형물뿐만 아니라, 빗물 저류 구조물의 저부에 퇴적된 고형물도 다른 쪽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고, 이들 고형물을, 고형물 회수 장치를 사용하여 회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빗물 저류 구조물의 내부를 항상 청정하게 할 수 있고, 오랜 세월에 걸친 사용에 대해서도, 빗물 저류의 높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대류 생성 기구와 대면하는 측의 상기 지면 오목부에, 보다 낮은 오목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형물 회수 장치가 상기 오목한 부분에 저류된 고형물을 배출할 수 있는 감압 흡인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대류시키고 이동시킨 고형물을 대류 생성 기구의 위치와 반대측의 오목한 부분에 모을 수가 있고, 그 후, 이 오목한 부분에 모인 고형물을 감압 흡인 장치에 의해 빗물 저류 구조물 밖으로 배출 가능하므로, 구조물 내부를 확실하게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삼차원 구조체가 유연성을 가지는 투수성재로 덮여 있으며, 상기 투수성재의 주변 단부가 적어도 상기 삼차원 구조체의 주변의 상기 지면 오목부를 덮고 있어, 상기 투수성재의 상면에, 상기 삼차원 구조체의 주변의 지면 오목부를 메울 충전물이 탑재되는 것에 의해, 상기 삼차원 구조체가 상기 투수성재에 의해 가압·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삼차원 구조체에 의해 큰 저수 공간이 형성되며, 투수성재가 삼차원 구조체의 측면 및 상면을 따라 견고하게 장착되어, 삼차원 구조체를 강하고 가압하게 되어, 빗물 저류 구조물 내부에 저류되어 있는 빗물에 더하여, 장마 등에 의해 지하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라도, 삼차원 구조체가 부상(浮上)되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주로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을 지면에 매설해 빗물 저류 구조물을 구성한 경우, 비록 지하 수위가 상승하였다고 해도, 부상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는 빗물 저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연성을 가지는 상기 투수성재가, 부직포제 또는 수지제의 네트재 또는 매트재, 수지 코팅된 네트재로부터 선택된 1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물이 상기 삼차원 구조체의 주변의 지면 오목부를 메우는 석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부직포제 또는 수지제의 네트재, 또는 부직포제 또는 수지제의 매트재가 투수성, 유연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충전물에 의해 탑재되고 가압되어도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내구성이 있고, 또한 비교적 저가이므로, 제조 비용의 상승을 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지 코팅된 네트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충전물로서의 석재는 중량이 있기 때문에, 삼차원 구조체가 부직포제 또는 수지제의 네트재 또는 매트재, 또는 수지 코팅된 네트재를 통하여 견고하게 가압되므로, 저류되어 있는 빗물의 수위가 높게 되었다고 해도, 부력에 대해서 큰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석재가 배치되는 부분에 공극이 형성되고, 이 부분에도 저수할 수 있다.
상기 삼차원 구조체의 내부에 저류된 상기 빗물을 대류시키는 대류 생성 기구가 설치되며, 퇴적된 고형물을 회수할 수 있는 고형물 회수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삼차원 구조체의 내부에 저류된 상기 빗물을 폭기시키는 복수개의 폭기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대류 생성 기구에 의한 대류를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일으킴으로써, 삼차원 구조체 내를 청정하게 하여, 그 저수 기능을 항상 높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폭기 장치에 의해 빗물의 청정화를 도모하여 수질 악화를 방지할 수 있고, 저류되어 있는 빗물의 이용가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물은, 빗물을 저장하여 이용하는 탱크로서의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바이오토프(biotope)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3은,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 부재로서 사용하는 접속 지그(1)와 가로 부재(2)와 파이프형 세로 부재(3)를 나타낸다. 즉, 도 1(a)는 접속 지그(1)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고, 도 1(b)는 I-I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2(a)는 가로 부재(2)의 좌측면 구조를 나타내고, 도 2(b)는 저면 구조를 나타내며, 도 2(c)는 Ⅱ-Ⅱ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3(a)는 파이프형 세로 부재(3)의 정면 구조를 나타내고, 도 3(b)는 Ⅲ-Ⅲ 횡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4, 도 5는, 도 1~도 3에 나타낸 접속 지그(1)와 가로 부재(2)와 파이프형 세로 부재(3)를 조합시켜, 삼차원 구조체인 정글짐(jungle gym) 형태의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고, 도 4는 그 부분의 정면 구조, 도 5는 그 부분의 평면 구조를 나타낸다.
접속 지그(1)는 수지제이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부재(3)에 외부 삽입 가능한 통형부(1a)와, 외주면의 4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가로 부재(2)의 단부와 결합하여 양자를 접속하는 돌출부(1b)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1b)에는, 후술하는 가로 부재(2)의 단부 돌기(2a)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관통구멍(1c)이 4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부(1a) 내부에도, 약간 소직경의 관통구멍(1d)이 형성되어 중량 경감을 도모하는 동시에, 빗물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저류시키도록 되어 있다.
가로 부재(2)는 수지제이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지그(1)의 관통구멍(1c)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단부 돌기(2a)를 양단부의 아래쪽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 도중의 2부분에 소정 간격을 비워 보강용 리브(2b)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보강용 리브(2b)의 수, 위치, 형상 등은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파이프형 세로 부재(3)는 수지제로 이루어지고, 도 3(a),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이며, 접속 지그(1)의 통형부(1a)에 내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정글짐 형태에 삼차원 구조체를 구성하는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4, 도 5에 그 일부를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설치된 각각의 파이프형 세로 부재(3)의 상단에 접속 지그(1)를 결합하여 장착해 둔다. 그 후, 2개의 파이프형 세로 부재(3)에 장착된 각 접속 지그(1) 끼리의 안쪽,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접속 지그(1)의 각각의 관통구멍(1c)에, 가로 부재(2)의 단부 돌기(2a)를 삽입시켜 결합시킴으로써, 파이프형 세로 부재(3)와 가로 부재(2)를 접속하고, 이것을 반복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 부재를 조립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빗물 저류 구조물에 사용하는 시공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에 1~5m 정도의 오목부(피트)를 굴삭·형성하고, 피트 주위에 측 홈(7)을 형성하고, 피트의 저면에 쇄석, 모래 등을 부설·시공 해 평준화하여 기초(B)를 형성한다. 상기 기초의 표면에 차수재(遮水材)인 차수 시트(4)를 부설한 후, 수지제의 각 파이프형 세로 부재(3)와 접속 지그(2)로부터 ,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트의 내용적에 따른 정글짐 형태의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구성한다. 피트의 내용적이 큰 경우에는, 피트 내에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조립해도 되고,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피트 밖에서 조립한 후, 피트 내에 삽입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조립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은, 수지제 또는 금속제 등의 벨트로 체결·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 외주부에는, 각형(角形)의 패널을 파이프 사이에 끼워 넣어 측면 외주부에서의 평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강도를 높이도록 해도 된다.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측면부(C)에는, 필요에 따라 매립하고 반환을 행하는 동시에, 측 홈(7)으로부터 피트 내에 빗물을 흘려 넣을 수 있게 연통되는 배관(8)을 부설한다. 또한, 상면에 차수 시트(5)를 피복하고, 상기 차수 시트(5) 위로부터 0.5~ 1m정도의 복토(6)를 행한다. 이들, 상면의 차수 시트(5), 복토(6)는 피복층을 형성한다. 또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 상면에 차수 시트(5)를 피복하는 대신에, 투수성 시트를 피복해 빗물을 침투시키도록 해도 된다. 측 홈(7)은 그 저부에 이류(泥流)(9)가 형성되도록, 저부가 약간 깊어지고 있다.
삼차원 구조체인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은, 적어도 108kN/m2 이상의 압축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최상부에 복토 2m 정도(부하: 약 36kN/m2)를 시공하였다고 해도, 토압(土壓)의 3배 이상의 충분한 강도를 가 진다. 구체적으로는, 길이 약 50cm의 가로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4개/m2로 적어도 27kN/개의 압축 강도를 가지는 파이프형 부재를 사용하고, 길이 약 40cm의 가로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6. 25개/m2로 적어도 압축 강도 약 17.28kN/개를 가지는 파이프형 부재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일단 빗물을 저장하여, 정원 등의 분무수, 세정수, 비상 용수 등 각종 용도에 이용하거나, 대량의 빗물을 서서히 방류할 수 있도록 조정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양생(養生) 기간 등이 불필요하므로, 빗물 저류 구조물의 구축 속도를 현저히 빨리 할 수 있다.
파이프형 부재(3)를 접속 지그(1)의 통형부(1a)에 내부 결합 가능하게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접속 지그(1)의 통형부(1a)의 외경을 작게 하여, 파이프형 부재(3)에 내부 결합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기 예에서는, 가로 부재(2)의 단부 돌기(2a)를 원통형으로 하고, 상기 단부 돌기(2a)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접속 지그(1)의 관통구멍(1c)을 원형으로 한 예를 나타냈으나, 이에 대신하여, 가로 부재(2)의 단부 돌기(2a)를 각형으로 하고, 접속 지그(1)의 관통구멍(1c)도 상기 단부 돌기(2a)를 삽입할 수 있게 각형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가로 부재(2)와 접속 지그(1)의 위치, 즉, 가로 부재(2)와 파이프형 부재(3)의 위치가 고정되어, 양자가 결합되어 조립 시에 취급이 양호하게 되는 동시에 외력에 의한 변형에 저항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실제로 시공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경 약 60mm, 두께 약 5.5mm, 길이 약 50cm의 폴리에틸렌제 파이프[적수화학공업제(積水化學工業製). 상품명: 에스론하이파 PE)를 사용하여, 도 1에 나타낸 접속 지그를 사용하여, 도 4, 도 5에 그 일부를 나타낸 바와 같은, 높이 약 3m, 가로 세로 약 3m의 빗물 저류 구조 조립물(A)을 형성하고, 깊이 약 5m의 소정의 내용적을 가지는 피트 내에 배치하고, 빗물 저류 구조물을 구축하였다. 상기 폴리에틸렌제 파이프는, 길이 방향의 압축 강도가 약 27kN/개이고, 1m2당 4개를 사용하면, 압축 강도 108kN /m2을 얻을 수 있고, 복토를 2m(부하: 약 36kN/m2)로 한 경우에도, 약 3배 강한 압축 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충분히 실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1m×1m×1m의 크기로 빗물 저류 구조물을 구축하고, 상기 빗물 저류 구조물 위로부터 2m의 복토에 상당하는 중추(重錘)를 설치하여 1년 이상 경과 하였지만, 사용상 문제로 되는 변형이나 기타의 문제는 일체 생기기 않았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도 8은 본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 부재로서 사용하는 파이프형 세로 부재(11)와 연결 부재(12)를 나타낸다. 즉, 도 7(a)는 파이프형 세로 부재(11)의 정면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도 7(b)는 b-b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8(a)는 연결 부재(12)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고, 도 8(b)는 정면 단면 구조를 나타내며, 도 8(c)는 c-c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9, 도 10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파이프형 세로 부재(1)와 연결 부재(2)를 조합시켜, 삼차원 구조체인 정글짐 형태의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파이프형 세로 부재(11)는 수지제로 이루어지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11a)와 그 하부에 약간 직경 확대된 직경 확대부(11b)를 가지고 대략 원통형을 하고 있다. 그리고, 직경 확대부(11b)의 내경은, 파이프형 부재(11)가 서로 높이 방향으로 연결 가능하게, 원통부(11a)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어, 원통부(11a)에 외부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연결 부재(12)는, 파이프형 부재(11)와 마찬가지로 수지제로 이루어진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접속단부(12a)와 상기 접속단부(12a)끼리를 접속하는 축부(12b)로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축부(12b)는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대략 +형을 하고 있다.
파이프형 세로 부재(11)와 연결 부재(12)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파이프형 세로 부재(11)를 미리 수직 설치해 두고,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11)에 접속 부재(12)의 접속단부(12a)를 결합시켜, 정글짐 형태의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속 부재(12)의 원통형 접속단부(12a)는, 파이프형 부재(11)의 원통부(11a)에 외부 결합되는 동시에, 직경 확대부(11b)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직경 확대부(11b)의 외경과 접속 부재(12)의 원통형 접속단부(12a)의 외경이 대략 동일한 치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양 부재를 조립할 때에,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요철이 적게 되어, 이 부분에서의 토사(土砂) 이외의 것이 적층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 파이프형 세로 부재(11)와 접속 부재(12)의 연결은, 파이프형 세로 부재(11)와 연결 부재(12)를 연결한 후, 피트 내에 수직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2개의 파이프형 세로 부재(11)에 1개의 연결 부재(12)를 연결한 후, 이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한 연결 부재(2)를 파이프형 세로 부재(11)에 결합해 연결한다. 그 경우, 새로운 연결 부재(12)의 접속단부(12a)를 기존의 연결 부재(12)의 접속단부(12a)의 상부에 중첩하지만, 복수개의 연결을 반복하는 동안에, 높이에 단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소정 높이를 가지고, 파이프형 세로 부재(11)의 원통부(11a)에 외부 결합 가능한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스페이서(13)를 사용하여, 단차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높이 방향으로 파이프형 세로 부재(11)끼리를 연결하는 경우에도, 적당한 길이의 스페이서(13)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정글짐 형태의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구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 부재를 조립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빗물 저류 구조물에 사용하는 시공예에 대하여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지면에 1~5m 정도의 오목부(피트)를 굴삭·형성하고, 피트 주위에 측 홈(7)을 형성하고, 피트의 저면에 쇄석, 모래 등을 부설·시공해 평준화해 기초(B)를 형성한다. 상기 기포(B)의 표면에 차수 시트(4)를 부설한 후, 수지제의 파이프형 세로 부재(11)와 접속 부재(12)로부터 , 도 7~도 10에 나타낸 순서로, 피트의 내용적에 따른 정글짐 형태의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구성 한다. 피트의 내용적이 큰 경우에는, 피트 내에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조립하여도 되고,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피트 밖에서 조립한 후, 피트 내에 삽입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은, 수지제 또는 금속제 등의 벨트로 체결·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측면 외주부에는, 각형의 패널을 파이프 사이에 끼워 넣어 측면 외주부에서의 평탄성(平坦性)을 확보하는 동시에, 강도를 높이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삼차원 구조체인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에 대하여도, 적어도 108kN/m2 이상의 압축 강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제로 시공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경 약 60mm, 두께 약 5.5mm, 길이 약 50cm의 폴리에틸렌제 파이프(적수화학공업제. 상품명: 에스론하이파 PE)를 사용하여, 도 7~도 10에 나타낸 순서에 따라, 높이 약 3m, 가로 세로 약 3m의 빗물 저류 구조 조립물을 형성하고, 깊이 약 5m의 소정의 내용적을 가지는 피트 내에 배치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빗물 저류 구조물을 구축하였다. 이 경우에도,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제 파이프는, 길이 방향의 압축 강도가 약 27kN/개이며, 1m2당 4개를 사용하면, 압축 강도 108kN/m2를 얻을 수 있어, 복토를 2m(부하: 약 36kN/m2)으로 한 경우에도, 약 3배 강한 압축 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충분히 실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1m×1m×1m의 크기로 빗물 저류 구조물을 구축하고, 상기 빗물 저 류 구조물 위로부터 2m의 복토에 상당하는 중추를 설치하여 1년 이상 경과 하였지만, 사용상 문제로 되는 변형이나 기타의 문제는 일체 생기지 않았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 부재로서 사용하는 접속 지그(1), 가로 부재(22), 및 파이프형 세로 부재(3)를 조립한 단위 블록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즉, 도 12는 가로 부재(22)의 상면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가로 부재(22)의 저면 측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접속 지그(1)는 수지제이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부재(3)에 외부 결합 가능한 통형부(1a)와, 외주면의 4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가로 부재(22)의 단부와 결합되어 양자를 접속하는 돌출부(1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돌출부(1b)에는, 후술하는 가로 부재(22)의 단부 돌기(22a)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관통구멍(1c)이 4개 형성되어 있다. 통형부(1a) 내부에도, 약간 소직경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중량 경감을 도모하는 동시에, 빗물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저류하도록 되어 있다.
파이프형 세로 부재(3)는 수지제로 이루어지고,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이며, 접속 지그(1)의 통형부(1a)에 내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로 부재(22)도 수지제이며, 도 12,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지그(1)의 관통구멍(1c)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단부 돌기(22a)를, 배면 측의 양단부에 아래쪽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단부 돌기(22a) 사이는 아래쪽을 향해 개구된 오목 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2b)를 구획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2개의 소정 간격을 비워 보강용의 길이 방향 리브(22c)가 형성되어 있다. 단변 방향으로도, 다수 부분(도 13에서는 3부분)에 보강용 단변 리브(22d)가 형성되어, 오목부(22b)를 구획하고 있다. 길이 방향 리브(22c)를 형성함으로써, 가로 부재(22)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압축력에 대해서 큰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단변 리브(22d)를 형성함으로써, 가로 부재(22)에 작용하는 나사 방향의 외력에 대해서 내구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리브(22c), 단변 리브(22d)의 높이는, 오목부(22b)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 장벽(22e)의 높이보다 약간 낮고 형성되어 있고, 그만큼 중량 경감이 도모되어 있다. 이것은, 가로 부재(22)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얕은 홈(22h)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 측의 천정면의 강도와, 상기 길이 방향 리브(22c), 단변 리브(22d)의 강도 밸런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한다. 원래, 가로 부재(22)의 천정면의 강도가 높은 경우에는, 길이 방향 리브(22c), 단변 리브(22d)의 높이를, 오목부(22b)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 장벽(22e)의 높이와 마찬가지로 하는 것이 강도 밸런스상 바람직하다. 물론, 보강용 리브(22c)의 개수, 위치,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가로 부재(22)의 표면 측의 천정면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물빼기용 관통구멍(22f)이 소정 간격을 비워 천공되어 있다.
정글짐 형태에 삼차원 구조체를 구성하는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형성함에는, 수직 설치된 각각의 파이프형 세로 부재(3)의 상단에 접속 지그(1)를 결합해 장착해 두고, 2개의 파이프형 세로 부재(3)에 장착된 각 접속 지그(1) 끼리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접속 지그(1)의 각각의 관통구멍(1c)에, 가로 부재(22)의 단부 돌기(22a)를 삽입시켜 결합한다. 또한, 파이프형 세로 부재(3)와 가로 부재(22)를 접속하고, 이것을 반복한다.
삼차원 구조체인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은, 적어도 108kN/m2 이상의 압축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최상부에 복토 2m 정도(부하: 약 36kN/m2)를 시공하였다고 해도, 토압의 3배 이상의 충분한 강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길이 약 40cm의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길이 40cm의 가로 부재를 조합하는 경우에는, 6.25개/m2로 되는 적어도 압축 강도가 약 17.28kN/개인 파이프형 세로 부재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일단 빗물을 저장하여, 정원 등의 분무수, 세정수, 비상용수 등 각종 용도에 이용하거나, 대량의 빗물을 서서히 방류할 수 있도록 조정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양생 기간 등이 불필요하므로, 빗물 저류 구조물의 구축 속도를 현저히 빨리 할 수 있다.
(변형예 1)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 부재를 구성하는 접속 부재의 변형예를, 도 14,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접속 부재(21)는, 통형부(21a)의 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4개의 돌출부(21b)가 형성되어 있고, 각 돌출부(21b)에 관통구멍(21c)이 형성되어 있는 점은, 도 11에 나타낸 접속 부재(1)와 같다. 그러나, 각 돌출부(21b) 사이에 장출부(張出部)(21d)가 4개 형성되고, 상하의 통형부(21a)에 세로 홈(21e)이 4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장출부(21d)의 상단측이 약간 돌출된 장출 돌출부(21f)를 형성하고 있는 상위점을 가진다. 각 돌출부(21b) 사이에 장출부(21d)가 4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로 부재(22)를 접속했을 때, 가로 부재(22)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회전 멈춤 기구). 그 결과, 시공 작업을 행할 때마다, 가로 부재(22)가 조심성 없게 회전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하기 쉬워짐과 동시에, 시공 작업시에 가로 부재의 아래쪽으로의 굴곡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접속 부재(21)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하의 통형부(21a)에 세로 부재를 결합했을 때에, 통형부(21a)가 적당히 직경 확대 변형하므로, 세로 부재의 설계 자유도가 약간 높아짐과 함께, 세로 부재의 치수 융통성이 높아지고, 시공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가로 부재(22)와의 접속에 대해서도, 가로 부재(22)에 형성되어 있는 장벽(22e)의 단면 측의 오목부(22g)와, 접속 부재(21)의 장출부(21d)의 상단 측에 형성되어 있는 장출 돌출부(21f)가 결합되고, 접속 부재(21)와 가로 부재(22)의 접속이 한층 견고하게 되어,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 부재를 조립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강도가 현저하게 향상된다. 접속 부재(21)와 가로 부재(22)의 접속은, 도 14(접속 전)의 상태로부터 화살표(R)로 나타낸 방향으로 가로 부재(22)를 강하시켜, 도 15(접속 후)에 나타낸 접속 상태로 한다.
도 14,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부재(22)의 표면 측의 천정면에는, 길이 방향에 걸쳐서 얕은 홈(22h)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저부에 물빼기용 관통구멍(22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22h)의 형상, 개수, 등은 적당히 변경할 수 있 다. 물빼기용 관통구멍(22f)의 개수, 직경 등에 대하여도,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홈의 형상을 단순한 원호형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파형으로 형성하면, 특히 수평 방향의 변형에 대한 강도가 높아진다.
(변형예 2)
파이프형 세로 부재(3)에 대하여도,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보강용의 세로 리브(14)를 장착해도 된다. 상기 세로 리브(14)는, 파이프형 세로 부재(3)의 상하 단부를 제외하는, 외주면의 중앙 부분에 상하에 걸쳐 연장 형성된 미세 폭 형태를 하고 있으며, 파이프형 세로 부재(3)의 외주면에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4개 장착되어있다. 상기 세로 리브(14) 중 2개에는 세로 리브(14)의 상하 2부분에 물빼기 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파이프형 세로 부재(3)의 강도, 특히 좌굴(座屈) 강도 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세로 리브(14)의 폭, 길이, 개수 등은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며, 재질에 대해서는 파이프형 세로 부재(3)와 동일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이한 재질이라도 된다. 또, 세로 리브(14)는, 파이프형 세로 부재(3)의 내주면 측에 장착되어 있어도 되고, 당초에 리브 부착 파이프형 세로 부재로서 일체 성형되어도 된다.
도 16에 나타낸 파이프(외경 약 60mm, 두께 약 4mm, 길이 약 400mm, 휨 탄성율 1700MPa의 재료)를 사용한 경우, 압축 강도 200kN/m2를 얻을 수 있었다.
(변형예 3)
도 14, 도 15에 나타낸 접속 부재(11)의 최상부 위치에서는, 파이프형 세로 부재(3)를 접속하지 않기 때문에, 위쪽으로 향한 통형부(21a)는 불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통형부(21a)의 상부의 돌출된 부분을 없애고, 도 17에 나타낸 캡 부재(15)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 부재(15)는, 얇은 원반형의 정상부(15a)와, 접속 부재(21)의 중심구멍(21g)에 내부 결합되는 내통부(15b)로 이루어지고, 내통부(15b)의 외주면의 주위에는,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6개, 계단식 리브(15c)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 부재(15)의 내통부(15b)를, 접속 부재(21)의 최상부의 중심구멍(21g)에 장착하면, 정상부(15a)에 접하는 직경 확대된 장출 리브(15d)의 하부와 중심구멍(21g)의 주위 에지가 접촉하는 동시에, 정상부(21a)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가로 부재(22)의 단부 상부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접속 부재(21)의 최상부 위치가 대략 평활(平滑)하게 유지되고, 시공시 또는 시공 후에 불측의 방향으로부터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부분의 강도가 일정 이상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캡 부재(15)는, 도 14, 도 15에 나타낸 접속 부재(21)의 최상부 위치뿐만 아니라, 도 11에 나타낸 접속 부재(1)의 최상부 위치에 장착할 수도 있다.
(변형예 4)
또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조립 작업할 때에, 도 18~도 21에 나타낸 각판형의 패널(16)을, 파이프형 세로 부재(3)의 사이와 가로 부재(2) 상에 끼워 넣어 배치하고, 조립 작업성을 높이기 위한 평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강도를 높이도록 해도 된다. 상기 패널(6)은, 도 18에 좌측면 구조를 나타내고, 도 19에 평면 구조를 나타내며, 도 20에 저면 구조를 나타내고, 도 21에 도 20의 A-A 단면 구조를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이 평활하게 되어 있어, 작업자가 보행하기 용이하며, 외주부 가까이의 다수개(도 19, 도 20에서는 4개)의 구멍(17)이 뚫어져 있어, 양측에 인접하는 패널(16)끼리를 폴리프로필렌제 밴드로 결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패널(16)의 다수매를 중첩한 상태에서 반송 가능하도록 한, 요철부(18)가 배면 측에 돌출되어 다수개(도 19, 도 20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어, 상면 측의 패널(16)의 배면에 돌출하는 볼록부분이 하면 측의 패널(16)의 상면의 오목부분과 결합되어, 다수매를 중첩한 패널(16)이 서로 반송시에 어긋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배면 측은, 대략 거북의 등딱지 모양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이 보강용 리브로서도 작용하고, 경량화와 강도의 강화가 동시에 도모되어 있다. 또한, 패널(16)의 4코너는, 접속 부재(1, 21)와 면접촉 가능하게 대략 1/4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제의 시공시에는, 패널(16)의 표면과 배면을 반대로 배치·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5)
또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측면 외주부에, 도 22~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측면 패널(19)을 장착하여,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기 측면 패널(19)은, 도 22에 나타낸 정면 구조와 같이, 그 전체면에 걸쳐 거북의 등딱지 모양으로 개구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경량화와 강도 강화가 도모되어 있는 동시에, 양 측부에는 파이프형 세로 부재(3)에 걸리는 걸림부(19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림부(19a)는, 각종의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세로 리브(14)를 가지는 파이프형 세로 부재(3)는, 도 24에 측면 패널(19)의 평면 구조를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리브(14)에 결합되는 한쌍의 돌기(19b)를 측면 패널(19)에 형성해 두고, 한쌍의 돌기(19b) 사이에 세로 리브(14)를 끼우도록 한 걸림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 패널(19)을,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측면 외주부 또는 적당히 단위 블록의 측면에 장착함으로써, 지반 변위 등에 대하여 큰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 측면 패널(19)의 전체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거북의 등딱지 모양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거북의 등딱지 모양을 횡단하도록 직선형의 가로 방향 리브, 또는 직선형의 세로 방향 리브를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리브를 형성하면,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측면 패널(19)이 휘어지기 어려워져, 파이프형 세로 부재(3)로부터 이탈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 부재를 조립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빗물 저류 구조물에 사용하는 시공예에 대하여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지면에 1~5m 정도의 지면 오목부(이하, 피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를 굴삭·형성하고, 피트 주위에 측 홈(7)을 형성하고, 피트의 저면에 쇄석, 모래 등을 부설·시공해 평준화해 기초(B)를 형성한다. 상기 기초의 표면에 차수재인 차수 시트(4)를 부설한 후, 수지제의 각 파이프형 세로 부재(3)와 접속 지그(1)로부터, 도 1에 나타낸 단위 블록을 형성하면서, 또한 발판을 확장하여, 피트의 내용적에 따른 정글짐 형태의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배치한다.
그 다음에, 피트 내에 배치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측면부는, 필요에 따라 매립하고 반환(C)을 행하는 동시에, 측 홈(7)으로부터 피트 내에 빗물을 흘려 넣을 수 있게 연통하는 배관(8)을 부설하고, 또한, 상면에 차수 시트(5)를 피복하고, 상기 차수 시트(5) 위로부터 0.5~ 1m정도의 토사를 피복하여 복토(6)를 한다. 이들, 상면의 차수 시트(5), 복토(6) 등은 피복층을 형성한다. 또한, 이들 피복층(6)의 복수개 부분에는, 점검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상면에 차수 시트(5)를 피복하는 대신에, 투수성 시트를 피복 해 빗물을 침투시키도록 해도 된다. 측 홈(7)은, 그 저부에 이류(9)가 형성되도록, 저부가 약간 깊어지고 있다.
(실시예 3)
실제로 시공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경 약 60mm, 두께 약 5.0mm, 길이 약 40cm의 폴리프로필렌제 파이프(후지화공사제. 상품명: 후지·폴리프로필렌-PP) 및 접속 지그를 사용하고, 도 2, 도 3에 그 일부를 나타낸 바와 같은, 높이 약 3m, 가로 세로 약 3m의 빗물 저류 구조 조립물(A)을 형성하고, 깊이 약 5m의 소정의 내용적을 가지는 피트 내에 배치하고, 빗물 저류 구조물을 구축하였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제 파이프는, 길이 방향의 압축 강도가 약 105kN/4개(26.25kN/개)이며, 1m2당 6.25개를 사용하면, 압축 강도 16OkN/m2를 얻을 수 있어, 복토를 2m(부하: 약 36kN/m2)으로 한 경우라도, 약 4.5배 강한 압축 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충분히 실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1.2m×1.2m×1.2m(1유닛은 O.4m 피치이기 때문)의 크기로 빗물 저류 구조물을 구축하고, 그 위로부터 2m의 복토에 상당하는 중추를 탑재하여 1년 이상 경과하였으나, 사용상 문제로 되는 변형이나 기타의 문제는 일체 생기지 않았다.
(제4 실시예)
도 25는 제4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물의 개략 정면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내부에 저류된 빗물을 대류시키는 대류 생성 기구(23)가, 점검구멍(10)을 통하여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고, 소정 시간의 대류가 종료하면, 적당히 분리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대류 생성 기구(23)로서는, 예를 들면, 축(23a) 선단에 스크류 장치(23b)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내부에 삽입되어, 도면 밖의 전동기 등에 의해 스크류 장치(23b)를 구동시켜 저류되어 있는 빗물을 교반·대류시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에 부착되어 있는 토사 등을 저부에 낙하시키는 동시에, 이들 토사 및 저부에 퇴적된 토사 등을 다른 쪽을 향해 밀어낸다.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배치되어 있는 다른 쪽에, 피트의 저부 보다 낮은 오목한 부분(24)이 형성되어 있고, 대류 생성 기구(23)에 의한 저류 빗물의 대류에 의해, 이 오목한 부분(24)에 토사 등이 퇴적된다. 이 경우, 피트 저부를 오목한 부분(24)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성해도 된다. 소정 시간 동안, 대류 생성 기구(23)에 의해 대류를 발생시킨 후에는, 이것을 분리해도 된다.
오목한 부분(24)에 퇴적된 토사 등의 퇴적물(25)은, 수시로, 점검구멍(10) 등을 통하여, 길이가 긴 호스 등을 가지고 오목한 부분(24)에 삽입 가능한 고형물 회수 장치인 감압 흡인 장치(26)에 의해, 피트 밖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감압 흡인 장치(26)로서는, 빗물의 저류 용량이나 사양에 따른 시판중인 각종 진공 장치를 선택·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점검구멍(10)을 통하여 폭기 장치(27)가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고, 내부에 저류되어 있는 빗물에 신선한 공기를 도입하여 적당히 폭기시켜, 산화시킴으로써, 빗물의 청정화를 도모하여 수질 악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폭기 장치(27)도 착탈 가능하며, 사용시에 적당히, 피트 내에 삽입해 작동시킬 수 있어, 폭기 처리가 종료되면, 분리할 수 있다.
대류 생성 기구(23), 감압 흡인 장치(26), 폭기 장치(27)에 사용하는 동력원으로서는, 상용 전원 외에, 가반식(可搬式)의 발전 장치나, 각종 1차 전지, 2차 전지 등의 전지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빗물 저류 구조물의 지상부에 태양 전지 발전 장치나 풍력 발전 장치 등을 설치하여, 이로써 얻어지는 전력을 사용해도 된다. 특히, 대류 생성 기구(23)의 스크류 장치(23b)와 풍력 발전용 프로펠러를 직결하고, 스크류 장치(23b)를 회전시켜도 된다.
또, 대류 생성 기구(23), 고형물 회수하는 감압 흡인 장치(26), 폭기 장치(27)를, 각각 착탈가능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빗물 저류 구조물에 고정하여도 된다.
(제5 실시예)
도 26은 제5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물의 개략 정면 단면 구조를 나타 낸다.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내부에 저류된 빗물을 대류시키는 대류 생성 기구(23)가, 점검구멍(10)을 통하여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고, 소정 시간의 대류가 종료되면, 적당히 분리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대류 생성 기구(23)로서는, 예를 들면, 축(23a) 선단에 스크류 장치(23b)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내부에 삽입되어, 도면 밖의 전동기 등에 의해 스크류 장치(23b)를 구동시켜 저류되어 있는 빗물을 교반·대류시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에 부착되어 있는 토사 등을 저부에 낙하시키는 동시에, 이들 토사 및 저부에 퇴적된 토사 등을 다른 쪽을 향해 밀어낸다.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배치되어 있는 다른 쪽에, 비트의 저부 보다 낮은 오목한 부분(24)이 형성되어 있고, 대류 생성 기구(23)에 의한 저류 빗물의 대류에 의해, 이 오목한 부분(24)에 토사 등이 퇴적된다. 이 경우, 피트 저부를 오목한 부분(24)을 향해 경사지게 구성해도 된다. 소정 시간 동안, 대류 생성 기구(23)에 의해 대류를 발생시킨 후에는, 이것을 분리해도 된다.
오목한 부분(24)에 퇴적된 토사 등의 퇴적물(25)은, 수시로, 점검구멍(10) 등을 통하여, 길이가 긴 호스 등을 가지고 오목한 부분(24)에 삽입 가능한 고형물 회수 장치인 감압 흡인 장치(26)에 의해, 피트 밖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감압 흡인 장치(26)로서는, 도 25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빗물의 저류 용량이나 사양에 따른 시판중인 각종 진공 장치를 선택·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점검구멍(10)을 통해, 폭기 장치(37)가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구성하는 파이프형 세로 부재(3)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고, 내부에 저류되어 있 는 빗물에 신선한 공기를 보내 폭기시켜, 산화시킴으로써, 빗물의 청정화를 도모하여 수질 악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폭기 장치(3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이프형 세로 부재의 상부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급기펌프(P)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급기펌프(P)를 작동시킴으로써, 파이프형 세로 부재(3)의 내부(3a)에 공기를 보내, 파이프형 세로 부재(3)의 저부 가까이에 뚫린 분산 기공으로부터 공기를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폭기 장치(37)는 착탈 가능하며, 폭기 처리가 종료되면, 분리할 수 있다.
대류 생성 기구(23), 감압 흡인 장치(26), 폭기 장치(37)에 사용하는 동력원으로서는, 상용 전원 외에, 가반식의 발전 장치나, 각종 1차 전지, 2차 전지 등의 전지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빗물 저류 구조물의 지상부에 태양 전지 발전 장치나 풍력 발전 장치 등을 설치하여, 이로써 얻어지는 전력을 사용해도 된다. 특히, 대류 생성 기구(23)의 스크류 장치(23b)와 풍력 발전용 프로펠러를 직결하고, 스크류 장치(23b)를 회전시켜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류 생성 기구(23), 고형물 회수 장치(26), 폭기 장치(37)를, 각각 착탈가능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빗물 저류 구조물에 고정해도 되고, 또, 폭기 장치(37)의 펌프(P)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일 필요는 없고, 하나의 펌프를 사용하여 급기하도록 해도 된다.
(제6 실시예)
도 27은 제6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물의 개략 정면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차수 시트(4) 상에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배치한 후, 이것을 덮도 록 하여, 유연성을 가지는 투수성재인 부직포제 또는 수지제의 네트재, 또는 부직포제 또는 수지제의 매트재, 또는 수지 코팅된 네트재(이하, 단지 매트재 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30)를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측면 및 상면에 걸쳐 피복한다. 상기 매트재 등(30)의 주변 단부는, 피트 주변의 지면보다 약간 낮게 굴삭된 여분의 굴삭부 주변(31b)에 배치되어 있어, 그 결과, 매트재 등(30)은 여분의 굴삭부 주변(31b)과 여분의 굴삭부 법면(法面)(31a), 및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측면과 상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매트재 등(30)의 주변 단부는, 여분의 굴삭부 주변(31b)까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여분의 굴삭부 주변(31b)까지 도달하지 않아도 되고, 적어도 여분의 굴삭부 법면(31a)에 도달하면 된다.
그 후, 매트재 등(30)의 주변부 상면 및 전체면이, 피트를 메울 덩어리진 상태의 쇄석이나 토석 등의 석재로 이루어지는 충전물(32)에 의해, 그 자중에 의해 가압·피복되면 매트재 등(30)이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측면 및 상면을 따라 견고하게 장착되어,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강하게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빗물 저류 구조물 내부에 저류되어 있는 빗물에 더하여, 장마 등에 의해 지하수위가 상승하는 경우에라도,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이 부상하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충전물(32) 끼리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도 빗물을 저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덮는 매트재 등(30)과 병행하여, 토사나 먼지나 기타의 이물질이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 내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충전물(32)로서는, 덩어리진 상태의 쇄석이나 토석 등의 석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파쇄된 콘크리트 등도 되고, 주로 석재로터 이루어지는 것이면 된다.
또한, 피트의 한쪽의 주변에 빗물을 유입시키는 파이프 모양의 유입구(33)를 설치하는 동시에, 다른 쪽에 오버플로 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는 파이프 모양의 유출구(34)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빗물을 주위로부터도 확실하게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 내에 유도해 유입시키고 저류시킬 수가 있고, 오버플로 되면, 하수구 등을 향하여 유출구로부터 빗물을 배출시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 내의 저수량을 항상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구(33) 및 유출구(34)를,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에 직접 접속할 필요는 없고, 따라서, 이 부분의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여분의 굴삭부(31)에 충전된 쇄석(32) 끼리의 간극 부분이, 빗물 저류의 기능도 달성하기 때문이다.
빗물 저류 구조물 상의 매트재 등(30) 및 쇄석(32)의 위로부터, 0.5~1m 정도의 복토(6)로 피복하고, 지면과의 높이 조정을 행하는 동시에, 목적에 따른 표면으로 마무리한다. 그 경우, 상기 빗물 저류 구조물의 적당 위치에, 점검구멍을 1 또는 복수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그와 같은 점검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내부에 저류된 빗물을 대류시키는 대류 생성 기구를 점검구멍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소정 시간의 대류를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일으킴으로써,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 내를 청정하게 하여, 그 저수 기능을 항상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을 피복하는 투수성재로서는, 부직포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토가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에 용이하게 들어가지 않고, 유연성이 있고, 쇄석 등의 가중에 견딜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다른 실시예)
(1) 상기 실시예의 경우, 수지제 파이프형 세로 부재의 구성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제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염화비닐,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lephthalate) 등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한 강도가 얻어지면, 각종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형 세로 부재로서, 수지제에 대신하여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제 파이프로 할 수도 있고, 수지제 파이프형 세로 부재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거나, 또는 철근 콘크리트를 삽입하여 보강해도 된다.
(2) 파이프형 부재, 가로 부재, 접속 지그는, 같은 재질의 수지제로 하였으나, 상이한 재질의 수지제라도 된다.
(3) 수지제 파이프형 부재, 가로 부재, 접속 지그의 구성 재료에, 분체상(粉體狀)의 탄산칼슘(탄칼) 등을 혼입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구성 재료의 비중을 크게 할 수 있고, 빗물을 저류할 때에 생기는 부력에 저항할 수 있고, 부력 대책으로서 특별한 시공이 불필요하게 되고, 작은 스페이스에서도 보다 큰 저수량을 확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3% 정도의 탄칼을 수지에 혼입시킴으로써, 비중을 1.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4) 상기 구성 재료에 혼입시키는 경우, 탄칼에 대신하여, 탤크(talc), 황산 바륨 등의 휘스커(whisker)를 혼입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들은, 탄칼에 비해 아스펙트비(aspect ratio)비가 크고,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크다. 또한, 유리 섬유를 상기 구성 부재에 혼입시켜도 된다. 유리 섬유는, 구성 부재의 비중을 높일 뿐만 아니라, 강도, 치수 안정성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유리 섬유를 4.6wt% 첨가(20wt% 마스터 배치100에 대해서 30부 첨가)하면, 비중은 0.03 높아지고, 강도는 15% 향상되고, 성형시에 수축율은 0.4%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를 구성하는 접속 지그의 (a)평면도, (b)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를 구성하는 가로 부재의 (a)좌측면도, (b)평면도, (c)Ⅱ-Ⅱ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를 구성하는 파이프형 세로 부재의 (a)정면도, (b)Ⅲ-Ⅲ 단면도이다.
도 4는 파이프형 부재와 접속 부재를 사용하여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파이프형 부재와 접속 부재를 사용하여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를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인 파이프형 부재의 (a)정면 단면도, (b)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인 접속 부재의 (a)평면도, (b)정면 단면도, (c)c-c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파이프형 부재와 접속 부재를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물(A)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파이프형 부재와 접속 부재를 사용하여 빗물 저류 구조용 조 립물(A)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 부재의 단위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 부재를 구성하는 가로 부재의 상면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가로 부재의 저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빗물 저류 구조용 조립 부재를 구성하는 가로 부재와 접속 지그의 접속 구조의 변형예의 조립 중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접속 구조의 조립 완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예에 관한 파이프형 세로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 도 15에 나타낸 접속 부재의 최상 부위치에 사용한 변형예 3에 관한 캡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3 실시예의 변형예 4에 관한 패널의 좌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A-A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3 실시예에 관한 측면 패널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측면 패널의 좌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측면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물의 개략 정면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물의 개략 정면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한 빗물 저류 구조물의 개략 정면 단면도이다.

Claims (7)

  1.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파이프형 세로 부재,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함께 삼차원 구조체를 조립하는 가로 부재,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상기 가로 부재에 접속 가능하고, 또한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상기 가로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접속 지그
    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와 상기 가로 부재와 상기 접속 지그를 조립하여 삼차원 구조체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로 부재의 배면 측이 개구되어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를 구획하도록 길이 방향에 걸쳐서 길이 방향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에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는 측면 패널을 장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부재와 상기 접속 지그의 접속이, 상기 가로 부재의 단면과 상기 접속 지그의 외주면이 서로 대면하여 행해지며, 상기 가로 부재의 단면이 상기 접속 지그의 회전을 회전 불가능하게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구조 용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부재의 단면에 돌기 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 지그의 외주부에, 상기 가로 부재의 돌기 또는 구멍과 결합되는 구멍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 부재의 상면에, 다수개의 물빼기용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부재의 배면 측의 오목부에, 상기 길이 방향 리브에 직교하는 단변측의 단변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의 최상부 위치에 장착되어, 이 부분을 평활화하는 캡 부재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형 세로 부재의 사이에 또한 상기 가로 부재 상에 배치 가능한 평탄형 패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구조체는, 적어도 108kN/m2 이상의 상하 방향으로부터의 압축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로부터 조립된 3차원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삼차원 구조체의 상면 측에 피복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구조물.
KR1020077016524A 2004-10-04 2005-10-04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와 이것을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KR100806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91698A JP2006104739A (ja) 2004-10-04 2004-10-04 雨水貯留構造用部材と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構造物
JPJP-P-2004-00291698 2004-10-04
JPJP-P-2004-00291013 2004-10-04
JP2004291013A JP2006104721A (ja) 2004-10-04 2004-10-04 雨水貯留構造用部材と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構造物
JPJP-P-2005-00162190 2005-06-02
JP2005162190A JP2006336299A (ja) 2005-06-02 2005-06-02 雨水貯留構造物
JP2005165459A JP2006336406A (ja) 2005-06-06 2005-06-06 雨水貯留構造物
JP2005165450A JP2006336405A (ja) 2005-06-06 2005-06-06 雨水貯留構造物
JPJP-P-2005-00165459 2005-06-06
JPJP-P-2005-00165450 2005-06-06
JPJP-P-2005-00206364 2005-07-15
JP2005206364 2005-07-15
JP2005268195A JP3802919B1 (ja) 2005-07-15 2005-09-15 雨水貯留構造用部材と雨水貯留構造物
JPJP-P-2005-00268195 2005-09-1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628A Division KR20070074551A (ko) 2004-10-04 2005-10-04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와 이것을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159A true KR20070087159A (ko) 2007-08-27
KR100806244B1 KR100806244B1 (ko) 2008-02-22

Family

ID=361426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628A KR20070074551A (ko) 2004-10-04 2005-10-04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와 이것을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KR1020077016524A KR100806244B1 (ko) 2004-10-04 2005-10-04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와 이것을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628A KR20070074551A (ko) 2004-10-04 2005-10-04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와 이것을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070074551A (ko)
WO (1) WO20060386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535B1 (ko) 2009-12-30 2012-03-20 주식회사 한설그린 정수(淨水) 기능이 구비된 조립식(組立式) 우수(雨水)저류(貯留) 블록
KR101407834B1 (ko) 2011-02-25 2014-06-17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아웃 설계 방법, 레이아웃 설계 장치, 및 프로그램
NL2016014B1 (en) * 2015-12-23 2017-07-03 Hocosto B V Subsurface tank.
BR102017002336B1 (pt) * 2017-02-03 2023-04-11 Leonardo Gomes De Oliveira Equipamento para captura e armazenamento de água de chuva e de outras origens
FR3080867B1 (fr) * 2018-05-03 2020-10-23 Rehau Tube Sarl Structure tridimensionnelle a monter pour combler un bassin enterre de retention des eaux de plui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2733A (ja) * 1996-05-16 1997-11-25 Aisin Seiki Co Ltd 雨水利用装置
JP3198479B2 (ja) * 1996-12-28 2001-08-13 タキロン株式会社 地下貯水槽等に用いる充填部材
JP3570861B2 (ja) * 1997-07-09 2004-09-29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フラッシュバルブ付き水中ポンプ装置
JPH1146943A (ja) * 1997-08-01 1999-02-23 Noboru Suzuki 格子フレーム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3574400B2 (ja) * 2000-12-04 2004-10-06 株式会社 高千穂 建物の雨水利用システム
JP2002235362A (ja) * 2001-02-08 2002-08-23 Shinichiro Hayashi 浮力対策を施した槽
JP3999990B2 (ja) * 2002-03-22 2007-10-31 タキロン株式会社 地下貯水槽
JP3660917B2 (ja) * 2002-06-12 2005-06-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JP3991270B2 (ja) * 2002-12-27 2007-10-17 タキロン株式会社 雨水槽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244B1 (ko) 2008-02-22
WO2006038602A1 (ja) 2006-04-13
KR20070074551A (ko)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4516B2 (en) Modular tessellation assembly for storage of water underground
KR100806244B1 (ko)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와 이것을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WO1997036057A1 (en) Reinforcement frame for structures and method of constructing building structures utilizing the same reinforcement frame
JP2003201722A (ja) 雨水等の貯留及び/又は浸透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KR20110107634A (ko) 배수성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JP4625987B2 (ja) 貯水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660917B2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JP2004052243A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
KR101935100B1 (ko) 지하수의 저류조 유입을 위한 저수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WO2007016721A1 (en) Storage of water, rainwater or grey water or other liquids beneath a concrete floor slab
JP2001059257A (ja) 雨水貯留浸透槽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3049595A (ja) シールド掘進における立坑壁部の構築方法および立坑壁用部材
JP2002115278A (ja) 水の貯留装置
JP2009007769A (ja) 雨水貯留構造用部材と雨水貯留構造物
JP2005330734A (ja) 雨水浸透施設
JP2006336406A (ja) 雨水貯留構造物
JP3802919B1 (ja) 雨水貯留構造用部材と雨水貯留構造物
JP2004360231A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と、その施工方法
JP2007046443A (ja) 雨水貯留構造用部材と雨水貯留構造物
JP2007239346A (ja) 雨水貯留構造用部材と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構造物
JP4264309B2 (ja) 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面板部材、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及び、雨水等貯留浸透施設
CN220620354U (zh) 一种地下液体导排系统
JP2005002620A (ja) 地下貯留及び/又は浸透槽
JP2008063722A (ja) 雨水貯留構造用部材と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構造物
JP2003056748A (ja) 管体集成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