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6798A - 비상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비상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6798A
KR20070086798A KR1020077014899A KR20077014899A KR20070086798A KR 20070086798 A KR20070086798 A KR 20070086798A KR 1020077014899 A KR1020077014899 A KR 1020077014899A KR 20077014899 A KR20077014899 A KR 20077014899A KR 20070086798 A KR20070086798 A KR 20070086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auxiliary
main power
emergency
abnorm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히꼬 오자와
데쯔오 도리이
노리오 아시따떼
이와오 사가라
Original Assignee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아시따떼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4596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5124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4597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58104A/ja
Application filed by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아시따떼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6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8Application transfer; between utility and emergency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주 전원 계통(1, 10)을 백업하는 비상 전원 장치(9)에 있어서, 주 전원 계통(1, 10)이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보조 기계(2)를 협조 제어함으로써 운전되는 산업용 기기와, 전력을 축적하는 보조 전원(20)과, 주 전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보조 전원(20)에 충전하는 충전 회로(21)와, 보조 전원(20)에 축적된 전력을 보조 기계(2)에 대해 공급하는 방전 회로(22)와,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보조 전원(20)의 전력을 보조 기계(2)에 대해 공급하도록 방전 회로(22)를 제어하는 동시에,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산업 장치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보조 기계(2)의 작동을 제어하는 비상 제어 회로(40)를 구비한다.
비상 전원 장치, 방전 회로, 비상 제어 회로, 어시스트 모터, 배터리, 제어기

Description

비상 전원 장치{EMERGENCY POWER SUPPLY}
본 발명은 비상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는 엔진, 트랜스미션, 브레이크, 스티어링 등의 전자 제어화가 진행되고, 각 제어기 사이에서 통신 회선을 통해 정보를 서로 전달하여 협조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 제어 장치를 탑재한 자동차에 있어서, 차량의 사고 발생시 등에 메인 배터리가 고장난 경우에, 전자 제어 장치가 모두 작동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78885호 공보에는, 사고 발생시에 메인 배터리가 고장난 경우에, 전원 공급을 보조 배터리로 절환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긴급 통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시스템에 있어서는, 차량의 사고 발생시에 메인 배터리가 고장난 경우에, 주 전원으로부터 보조 전원으로 절환하여 전력이 공급되어도, 이 주 전원의 이상 발생시에 대응한 차량의 운전 제어가 행해지지 않으므로 2차 고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주 전원의 이상 발생시에 대응하는 비상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 전원 계통의 이상시에 주 전원 계통을 백업하는 비상 전원 장치이다.
본 비상 전원 장치는, 상기 주 전원 계통이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보조 기계(補機)를 협조 제어함으로써 운전되는 산업용 기기와, 전력을 축적하는 보조 전원과, 주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보조 전원에 충전하는 충전 회로와, 상기 보조 전원에 축적된 전력을 상기 보조 기계에 대해 공급하는 방전 회로와, 상기 주 전원 계통의 이상시에 상기 보조 전원의 전력을 상기 보조 기계에 대해 공급하도록 상기 방전 회로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주 전원 계통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상기 산업용 기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상기 보조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비상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 전원 계통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비상 제어 회로에 의해 보조 기계에 대해 전력이 공급되는 동시에, 그 보조 기계는 주 전원 계통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산업용 기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제어되므로, 2차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새로운 사고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비상용 전원 장치를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적용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도2는 본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비상용 전원 장치를 차량의 테일 램프 장치 에 적용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도3은 본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비상용 전원 장치를 산업 플랜트에 적용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비상 전원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비상용 전원 장치를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적용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산업용 기기로서의 차량에 탑재되는 것이고, 주 전원으로서의 배터리(1)와, 배터리(1)에 점화 스위치(6)를 통해 접속되는 주 전원 회로(10)와, 배터리(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하여 조타축(도시하지 않음)에 어시스트력을 부여하는 어시스트 모터(2)와, 어시스트 모터(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3)와, 배터리(1) 및 주 전원 회로(10)로 구성되는 주 전원 계통의 이상시에 동작하여 주 전원 계통을 백업하는 비상 전원 장치(9)를 구비한다.
또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조타각 및 조타 토크를 검출하여 그 검출한 정보를 제어기(3)에 출력하는 센서(4)와, 제어기(3)가 다른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회선(5)을 구비한다.
어시스트 모터(2)는 주 전원 계통(1, 10)이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차량의 보조 기계의 하나로, 이들 보조 기계를 협조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동작이 제어된다.
비상 전원 장치(9)는 전력을 축적하는 보조 전원(20)과, 주 전원 회로(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보조 전원(20)에 충전하는 충전 회로(21)와,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보조 전원(20)에 축적된 전력을 제어기(3)를 통해 어시스트 모터(2)에 공급하는 방전 회로(22)와,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를 판정하여 이상시에는 방전 회로(22)와 어시스트 모터(2)의 작동을 제어하는 비상 제어 회로(40)를 구비한다.
주 전원 회로(10) 및 방전 회로(22)에는 다이오드(11, 12)가 각각 개재 장착되어,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보조 전원(20)은 전기 이중층 콘덴서에 의해 구성된다. 전기 이중층 콘덴서는, 고표면적 재료를 갖고 전하를 축적하는 쌍의 전극 구조체와, 각 전극 구조체 사이에 개재하는 이온 도전성 물질을 구비하고, 전극 구조체의 고표면적 재료와 이온 도전성 물질의 전해질 사이에서 전기 이중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충전 회로(21)는 보조 전원(20)의 충전 상태가 소정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충방전 제어를 행한다. 소정 범위의 하한은 어시스트 모터(2)의 구동에 필요한 최저 상태로 하고, 소정 범위의 상한은 전기 이중층 콘덴서의 정격 전압을 초과하지 않는 상태로 한다.
비상 제어 회로(40)는 MPU(microprocessor unit), FPROM(fiel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주체로 하여 구성된다.
비상 제어 회로(40)는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를 판정하는 이상시 판 정 수단(41)과,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보조 전원(20)의 전력을 제어기(3)에 출력하도록 방전 회로(22)에 대해 신호를 출력하는 보조 전원 제어 수단(42)과,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어시스트 모터(2)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제어기(3)에 출력하는 비상 제어 수단(43)과, 통신 회선(5) 또는 무선용 안테나(8)를 통해 다른 제어기와 차량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수단(44)을 구비한다.
이상시 판정 수단(41)은 주 전원 회로(10)의 전압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전압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주 전원 회로(10)의 정상시라 판정하고, 이 검출된 전압이 소정치보다 낮은 경우에 주 전원 회로(10)의 이상시라 판정한다.
비상 제어 수단(43)에는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조타 상태를 검출하는 비상용 검출기로서의 비상용 센서(30)가 접속되어 있다.
비상 제어 수단(43)은 이상시 판정 수단(41)의 판정 결과와 함께, 비상용 센서(30)에 의한 검출 신호와, 통신 회선(5) 또는 무선용 안테나(8)를 통해 통신 수단(44)으로부터 차량의 운전 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이들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차량의 운전 상태, 즉 조타 상태 및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어시스트 모터(2)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제어기(3)에 출력한다.
또한, 비상 제어 수단(43)에는 경보기(45)가 접속되어, 비상 제어 수단(43)은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는 경보기(45)를 작동시켜 운전자에 주 전원 회로(10)의 이상을 알린다.
또한, 통신 수단(44)은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을 알리는 정보를 통신 회선(5)이나 무선용 안테나(8) 등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다른 차량 탑재 제어기에 송신한다.
다음에,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점화 스위치(6)가 온(ON)이 되고, 주 전원 계통(1, 10)이 정상으로 작동하는 통상 운전시에는 주 전원 회로(10)로부터 전력이 제어기(3)에 공급된다. 제어기(3)는 센서(4)의 검출 신호나 통신 회선(5)을 통해 수신하는 차량의 속도 신호 등의 차량의 운전 정보를 기초로, 어시스트 모터(2)에 대해 구동 전류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어시스트 모터(2)가 조타축에 적절한 어시스트력을 부여하여 운전자의 조타력을 경감시킨다.
통상 운전시, 주 전원 회로(10)로부터의 전력이 보조 전원(20)의 전기 이중층 콘덴서에 축적된다. 전기 이중층 콘덴서는 화학 반응을 이용한 축전지에 비해 높은 충전 효율을 갖는 동시에, 충방전 사이클 수명이 길어 유지 보수가 거의 불필요하다.
이상시 판정 수단(41)에 의해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가 검출된 경우에는, 비상 제어 장치(9)가 자동적으로 작동한다.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라 함은, 예를 들어 배터리(1)가 열화됨으로써 출력 전압이 소정치보다 저하된 경우나, 사고 등이 발생하여 주 전원 회로(10)가 단선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는, 보조 전원 제어 수단(42)은 보조 전원(20)의 전력을 제어기(3)를 통해 어시스트 모터(2)에 대해 공급하도록 방 전 회로(22)를 제어한다. 또한, 비상 제어 수단(43)은 비상용 센서(30)에 의해 검출된 조타 상태, 및 통신 수단(44)에 의해 수신한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어시스트 모터(2)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제어기(3)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어시스트 모터(2)는 보조 전원(20)을 동력원으로 하고,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작동한다.
이와 같이, 본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상 제어 장치(9)는 보조 전원(20)의 전력을 제어기(3)를 통해 어시스트 모터(2)에 대해 공급하는 동시에,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어시스트 모터(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차량의 사고 등에 의해 주 전원 계통(1, 1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어시스트 모터(2)는 조타축에 필요한 어시스트력을 부여하여 운전자의 조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비상용 센서(30)를 구비하므로,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조타각 및 조타 토크를 검출하는 센서(4)로부터의 신호가 끊어져도, 비상 제어 장치(9)는 비상용 센서(30)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어시스트 모터(2)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비상 제어 회로(40)에는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을 알리는 정보를 통신 회선(5) 또는 무선용 안테나(8)를 통해 다른 차량 탑재 제어기에 송신하는 통신 수단(44)을 구비하므로, 각 차량 탑재 제어기가 주 전원 회로(10)의 이상에 대처한 협조 제어를 행하여 2차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상 제어 장치(9)는 보조 전원(20), 충전 회로(21) 및 비상 제어 회 로(40)를 유닛화하여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어기(3)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사고 발생시에 주 전원 계통의 배터리(1) 등이 손상되어도 비상 제어 장치(9)는 손상을 받기 어렵고,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작동이 비상 제어 장치(9)에 의해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비상 제어 수단(43)은 조타 상태 및 차량의 운전 상태의 양방에 따라서 어시스트 모터(2)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조타 상태 및 차량의 운전 상태의 어느 한쪽에 따라서 어시스트 모터(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비상 제어 회로(40)에 통신 회선(5)을 통해 운전자나 도로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운전자가 스티어링 조작을 하지 않아도 어시스트 모터(2)를 통해 자동적으로 조타하고, 차량을 긴급 정지 위치로 유도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비상 전원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본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비상용 전원 장치를 차량의 테일 램프 장치에 적용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테일 램프 장치는 산업용 기기로서의 차량에 탑재되는 것이며, 주 전원으로서의 배터리(1)와, 배터리(1)에 접속되는 주 전원 회로(10)와, 주 전원 회로(10)에 직렬로 개재 장착되는 주 스위치(76) 및 보조 스위치(77)와, 차량의 후방부에 설치 되고 주 스위치(76) 및 보조 스위치(77)에 의해 작동하는 테일 램프(72)와, 주 스위치(76) 및 보조 스위치(77)에 대해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55)와, 배터리(1) 및 주 전원 회로(10)로 구성되는 주 전원 계통의 이상시에 동작하여 주 전원 계통을 백업하는 비상 전원 장치(9)를 구비한다.
테일 램프(72)는 주 전원 계통(1, 10)이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차량의 보조 기계의 하나로, 이들 보조 기계를 협조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동작이 제어된다.
주 스위치(76)는 제어기(55)가 출력하는 지령 신호에 의해 온ㆍ오프(ONㆍOFF)하고, 배터리(1)로부터 테일 램프(72)로의 전력의 공급과 공급 정지를 절환한다.
보조 스위치(77)는 주 전원 회로(10)로부터의 전력을 테일 램프(72)로 유도하는 포지션과, 비상 제어 장치(9)로부터의 전력을 테일 램프(72)로 유도하는 포지션을 갖고, 비상 제어 장치(9)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신호에 의해 이 포지션이 절환된다.
비상 제어 장치(9)는 전력을 축적하는 보조 전원(20)과, 주 전원 회로(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보조 전원(20)에 충전하는 충전 회로(21)와,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보조 전원(20)에 축적된 전력을 보조 스위치(77)를 통해 테일 램프(72)에 공급하는 방전 회로(22)와,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를 판정하여 이상시에는 방전 회로(22)와 테일 램프(72)의 작동을 제어하는 비상 제어 회로(50)를 구비한다.
비상 제어 회로(50)는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를 판정하는 이상시 판정 수단(51)과,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보조 전원(20)의 전력을 테일 램프(72)에 출력하도록 방전 회로(22)에 대해 신호를 출력하는 보조 전원 제어 수단(52)과,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테일 램프(72)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보조 스위치(77)에 출력하는 비상 제어 수단(53)과, 통신 회선(5) 또는 무선용 안테나(8)를 통해 다른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와 차량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수단(44)을 구비한다.
이상시 판정 수단(51)은 주 전원 회로(10)의 전압을 검출하는 동시에, 제어기(55)로부터 주 스위치(76)로 출력되는 지령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주 스위치(76)가 온(ON) 상태에서의 주 전원 회로(10)의 전압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주 전원 회로(10)의 정상시라 판정하고, 또한 주 스위치(76)가 온 상태에서의 주 전원 회로(10)의 전압이 소정치보다도 낮은 경우에 주 전원 회로(70)의 이상시라 판정한다.
비상 제어 수단(53)은 이상시 판정 수단(51)의 판정 결과와 함께, 통신 회선(5) 또는 무선용 안테나(8)를 통해 통신 수단(44)으로부터 차량의 운전 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테일 램프(72)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보조 스위치(77)에 출력한다.
다음에, 테일 램프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주 전원 계통(1, 10)이 정상으로 작동하는 통상 운전시에는, 주 전원 회 로(10)로부터의 전력이 주 스위치(76)를 통해 테일 램프(72)에 공급되어 테일 램프(72)가 점등한다. 그 동안, 주 전원 회로(10)로부터의 전력은 보조 전원(20)의 전기 이중층 콘덴서에 축적된다.
이상시 판정 수단(51)에 의해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가 검출된 경우에는 비상 제어 장치(9)가 자동적으로 작동한다.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는, 보조 전원 제어 수단(52)은 보조 전원(20)의 전력을 테일 램프(72)에 대해 공급하도록 방전 회로(22)를 제어한다. 또한, 비상 제어 수단(53)은 통신 수단(44)에 의해 수신된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테일 램프(72)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보조 스위치(77)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테일 램프(72)는 보조 전원(20)을 동력원으로 하고,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작동한다.
이와 같이, 본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 전원 회로(10)에 주 스위치(76)와 보조 스위치(77)를 직렬로 개재 장착하여, 주 전원 계통(1, 10)이 정상으로 작동하는 통상 운전시에는 배터리(1)의 전력에 의해 주 스위치(76)를 통해 테일 램프(72)를 점등시키고,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는 보조 전원(20)의 전력에 의해 보조 스위치(77)를 통해 테일 램프(72)를 점등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차량의 사고 등에 의해 주 전원 회로(10)가 단선된 경우에도 테일 램프(72)가 비상시의 모드에서 점등하여 후속의 차량 등에 자차의 존재를 알릴 수 있다. 또한, 회로 구성의 간소화가 도모되어, 사고 등에 의해 회로가 단선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비상 전원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은 본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비상용 전원 장치를 산업 플랜트에 적용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비상용 전원 장치가 적용되는 산업 플랜트라 함은, 화학 플랜트, 발전 플랜트, 제조 라인 등의 산업용 기기이며, 모터, 팬, 열 처리 노, 전동 밸브 등의 복수의 보조 기계를 제어 센터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협조 제어함으로써 운전되는 것이다.
산업 플랜트는, 주 전원(1)과, 주 전원(1)에 접속되는 주 전원 회로(10)와, 주 전원(1)의 전력이 공급되는 각 보조 기계(7)의 개별 전원(1a)과, 개별 전원(1a)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 열 처리 노, 전동 밸브 등의 보조 기계(7)와, 보조 기계(7)의 작동을 제어하는 주 제어 장치(65)와, 주 제어 장치(65)에 대해 지령을 내리는 제어 센터(66)와, 주 전원(1) 및 주 전원 회로(10)로 구성되는 주 전원 계통의 이상시에 동작하여 주 전원 계통을 백업하는 비상 전원 장치(9)를 구비한다.
또한, 산업 플랜트는, 보조 기계(7)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여 그 검출한 정보를 주 제어 장치(65)에 출력하는 센서(4)와, 주 제어 장치(65)와 제어 센터(66) 사이에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회선(5)을 구비한다.
비상 전원 시스템(9)은, 전력을 축적하는 보조 전원(20)과, 주 전원 회 로(1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보조 전원(20)에 충전하는 충전 회로(21)와,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보조 전원(20)에 축적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개별 전원(1a)에 공급하는 방전 회로(22)와,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를 판정하여 이상시에는 방전 회로(22)와 보조 기계(7)의 작동을 제어하는 비상 제어 회로(60)를 구비한다.
비상 제어 회로(60)는,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를 판정하는 이상시 판정 수단(61)과,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보조 전원(20)의 전력을 개별 전원(1a)에 출력하도록 방전 회로(22)에 대해 신호를 출력하는 보조 전원 제어 수단(62)과,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산업 플랜트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보조 기계(7)의 작동을 제어하는 비상 제어 수단(63)과, 통신 회선(5) 또는 무선용 안테나(8)를 통해 제어 센터(66)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수단(44)을 구비한다.
이상시 판정 수단(61)은 주 전원 회로(10)의 전압을 검출하여, 이 검출된 전압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주 전원 회로(10)의 정상시라 판정하고, 이 검출된 전압이 소정치보다 낮은 경우에 주 전원 회로(10)의 이상시라 판정한다.
비상 제어 수단(63)에는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보조 기계(7)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비상용 센서(30)가 접속되어 있다.
비상 제어 수단(63)은 이상시 판정 수단(61)의 판정 결과와 함께, 비상용 센서(30)에 의한 검출 신호와, 통신 회선(5) 또는 무선용 안테나(8)를 통해 통신 수단(44)으로부터 산업 플랜트의 운전 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이들 입력된 정보 를 기초로,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산업 플랜트의 운전 상태, 즉 보조 기계(7) 및 플랜트 전체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보조 기계(7)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주 제어 장치(65)에 출력한다.
다음에, 산업 플랜트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주 전원 계통(1, 10)이 정상으로 작동하는 통상 운전시에는, 주 전원 회로(10)로부터 전력이 개별 전원(1a)에 공급된다. 주 제어 장치(65)는 센서(4)의 검출 신호나 통신 회선(5)을 통해 제어 센터(66)로부터 수신하는 산업 플랜트의 운전 정보를 기초로 보조 기계(7)에 대해 구동 전류를 출력한다. 이 통상 운전시, 주 전원 회로(10)로부터의 전력이 보조 전원(20)의 전기 이중층 콘덴서에 축적된다.
이상시 판정 수단(61)에 의해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가 검출된 경우에는, 비상 제어 장치(9)가 자동적으로 작동한다.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는, 보조 전원 제어 수단(62)은 보조 전원(20)의 전력을 개별 전원(1a)에 대해 공급하도록 방전 회로(22)를 제어한다. 또한, 비상 제어 수단(63)은 비상용 센서(30)에 의해 검출된 보조 기계(7)의 작동 상태, 및 통신 수단(44)에 의해 수신한 산업 플랜트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보조 기계(7)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주 제어 장치(65)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보조 기계(7)는 보조 전원(20)을 동력원으로 하고,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작동한다.
산업 플랜트에서는, 주 전원(1)이 정전이 된 경우나, 지진이나 화재 등에 의 해 주 전원 회로(10)가 갑자기 단선된 경우에는, 주 전원(1)의 전력이 각 보조 기계(7)에 대해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제어 센터(66)에 의해 각 보조 기계(7)의 제어가 불가능해진다. 그러나, 본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상 제어 장치(9)는 보조 전원(20)의 전력을 개별 전원(1a)에 대해 공급하는 동시에,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산업 플랜트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보조 기계(7)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므로,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있어서도 화학 약품 공급 설비나 열 처리 노 등의 주요한 장치를 안정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비상 제어 수단(63)은 보조 기계의 작동 상태 및 산업 플랜트의 운전 상태의 양방에 따라서 보조 기계(7)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보조 기계의 작동 상태 및 산업 플랜트의 운전 상태의 어느 한쪽에 따라서 보조 기계(7)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주 제어 장치(65)가 주 전원(1)의 공급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경우에는,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주 제어 장치(65)의 개별 전원에 보조 전원(20)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면, 주 전원 계통(1, 10)의 이상시에 있어서도 주 제어 장치(65)가 정지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인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비상 제어 장치(9)는 비상 제어 회로(40, 50, 60)의 FPROM에 기억되는 제어 내용을 변경함으로써 다른 장치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보조 전원(20)은 상기 이중층 콘덴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납 전지, 알칼리 전지, 연료 전지 등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보조 전원(20)에 충전되는 전력은 주 전원 회로(10)에 한정되지 않고, 태양 전지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비상 전원 장치는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 테일 램프에 한정되지 않고, 파워 윈드 장치, 헤드 라이트 등 다른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주 전원 계통의 이상시에 주 전원 계통을 백업하는 비상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 전원 계통이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보조 기계를 협조 제어함으로써 운전되는 산업용 기기와,
    전력을 축적하는 보조 전원과,
    주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보조 전원에 충전하는 충전 회로와,
    상기 보조 전원에 축적된 전력을 상기 보조 기계에 대해 공급하는 방전 회로와,
    상기 주 전원 계통의 이상시에 상기 보조 전원의 전력을 상기 보조 기계에 대해 공급하도록 상기 방전 회로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주 전원 계통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상기 산업용 기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상기 보조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비상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제어 회로는,
    상기 주 전원 계통의 이상시를 판정하는 이상시 판정 수단과,
    상기 주 전원 회로의 이상시에 상기 보조 전원의 전력을 상기 보조 기계에 대해 공급하도록 상기 방전 회로를 제어하는 보조 전원 제어 수단과,
    상기 주 전원 계통의 이상시에 있어서의 상기 산업용 기기의 운전 상태에 따 라서 상기 보조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비상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전원 계통의 이상시에 상기 보조 기계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비상용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산업용 기기의 운전 상태라 함은 상기 보조 기계의 작동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제어 회로는,
    상기 주 전원 계통의 이상을 알리는 정보를 통신 회선을 통해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용 기기는 차량인 동시에, 상기 보조 기계는 조타축에 어시스트력을 부여하는 모터이고,
    상기 주 전원 계통의 이상시에 조타 상태를 검출하는 비상용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비상 제어 회로는 상기 비상용 검출기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용 기기는 차량인 동시에, 상기 보조 기계는 차량 의 램프이고,
    상기 주 전원 계통에 개재 장착된 주 스위치와 보조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 전원 계통이 정상으로 작동하는 통상 운전시에는 주 전원의 전력에 의해 상기 주 스위치를 통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고, 상기 주 전원 계통의 이상시에는 상기 보조 전원의 전력에 의해 상기 보조 스위치를 통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원 장치.
KR1020077014899A 2004-11-30 2005-11-29 비상 전원 장치 KR200700867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45975 2004-11-30
JPJP-P-2004-00345960 2004-11-30
JP2004345960A JP2006151243A (ja) 2004-11-30 2004-11-30 車両分散型非常制御装置
JP2004345975A JP2006158104A (ja) 2004-11-30 2004-11-30 非常電源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798A true KR20070086798A (ko) 2007-08-27

Family

ID=3656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899A KR20070086798A (ko) 2004-11-30 2005-11-29 비상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11389B2 (ko)
EP (1) EP1820699A4 (ko)
KR (1) KR20070086798A (ko)
AU (1) AU2005310528A1 (ko)
RU (1) RU2007119135A (ko)
WO (1) WO20060597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8553B2 (en) 2012-11-09 2019-08-1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ariable geometry diffuser having extended trav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7743A (ja) * 2005-02-04 2006-08-17 Toyota Motor Corp 電気負荷制御装置
US7446674B2 (en) * 2005-05-16 2008-11-04 Mckenna Louis H Emergency warning system for approach of right of way vehicle
DE102007039835A1 (de) * 2007-08-23 2009-02-26 Robert Bosch Gmbh Steuergerät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von Personenschutzmitteln für ein Fahrzeug
US20090174571A1 (en) * 2008-01-07 2009-07-09 Mckenna Louis H Navigation apparatus having emergency warning system
US8054200B1 (en) 2008-12-11 2011-11-08 Neva Products, Llc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algorithm for turning on warning in response to strobe
TW201111257A (en) * 2009-09-30 2011-04-01 Inotera Memories Inc Method for temporarily supplying power
DE102015201869A1 (de) * 2015-02-03 2016-08-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Steuervorrichtung für ein Mehrspannungsbordnetz
JP6704120B2 (ja) * 2016-08-02 2020-06-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載用非常電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
DE102016222676A1 (de) * 2016-11-17 2018-05-17 Mahle International Gmbh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für ein Kraftfahrzeug
JP7120041B2 (ja) * 2019-01-22 2022-08-17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用電源制御装置、及び車両用電源装置
JP7371349B2 (ja) * 2019-05-22 2023-10-3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補助電源装置及び電動車両
KR20210042469A (ko) * 2019-10-10 2021-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CN115395639A (zh) * 2022-08-16 2022-11-25 丽水博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海岛5g基站应急保障的调度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043B1 (ko) * 1997-10-27 2000-06-01 에릭 발리베 복합전기자동차용 보조동력장치의 제어시스템
DE19813921A1 (de) * 1998-03-28 1999-09-30 Telefunken Microelectron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über eine Busleitung vernetzten Rückhaltesystems bei einer fehlerhaften Stromversorgung
DE19829489C1 (de) * 1998-07-01 2000-05-25 Knorr Bremse Systeme Einrichtung zur Strom- und/oder Spannungsversorgung eines Fahrzeuganhängers für die Versorgung von Bremskomponenten
JP3522573B2 (ja) 1999-03-19 2004-04-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機器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DE19921451C1 (de) * 1999-05-08 2000-11-30 Daimler Chrysler Ag Bordnetz bei Kraftfahrzeugen
DE60140854D1 (de) * 2000-06-27 2010-02-04 Fujitsu Ten Ltd Batterielade/entladungssystem
JP2002064946A (ja) * 2000-08-11 2002-02-28 Sony Corp 電源装置
JP2003237607A (ja) 2002-02-19 2003-08-27 Toyota Motor Corp 車両の操舵装置
FR2845837B1 (fr) * 2002-10-10 2005-02-18 Renault Sa Dispositif d'alimentation en energie electrique, notamment d'un actionneur electromecanique
JP3969341B2 (ja) * 2003-03-03 2007-09-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US7151326B2 (en) * 2003-09-23 2006-12-19 Idle Free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safely and efficiently capturing power currently produced by already available power supplies to power electrical devices in a truck while its engine is turned of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8553B2 (en) 2012-11-09 2019-08-1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ariable geometry diffuser having extended trav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092166B2 (en) 2012-11-09 2021-08-1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ariable geometry diffuser having extended trav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20699A4 (en) 2015-09-02
AU2005310528A1 (en) 2006-06-08
RU2007119135A (ru) 2009-01-10
EP1820699A1 (en) 2007-08-22
WO2006059751A1 (ja) 2006-06-08
US20070262649A1 (en) 2007-11-15
US7511389B2 (en) 2009-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6798A (ko) 비상 전원 장치
JP4356685B2 (ja) 発電制御装置および発電システム
CN101395789B (zh) 电源系统及其方法
JP3972906B2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EP2879900B1 (en) Electrical storage system
KR101506411B1 (ko) 전기차의 제어장치
JP2018196252A (ja) 電力分配システム
JP2007197216A (ja) タイヤ式門型コンテナクレーンの省エネルギー制御システム
JP2016127761A (ja) 電池監視装置
JP2008072880A (ja) 電源システム
JP2006320099A (ja) 電力貯蔵システム
JP2010207061A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JP2001128305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17028772A (ja) 電源装置および電源装置の制御方法
JP2010081703A (ja) 車両用電源制御システム
CN102063067A (zh) 用于切断车辆用电源的装置
JPWO2007086271A1 (ja) 自動車
KR101704232B1 (ko) 차량의 듀얼 배터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6141974A (zh) 车辆供电装置、供电方法和车辆
JP2020150629A (ja) 作業用車両の直流給電回路
EP1626473A1 (en) Power supply for vehicle
CN100482498C (zh) 应急电源装置
JP6375977B2 (ja) 電源装置
KR950011837B1 (ko) 차량의 이상검출장치
JP2017056853A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車両用電源制御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