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6564A - 석출 경화형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 - Google Patents

석출 경화형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6564A
KR20070086564A KR1020077014252A KR20077014252A KR20070086564A KR 20070086564 A KR20070086564 A KR 20070086564A KR 1020077014252 A KR1020077014252 A KR 1020077014252A KR 20077014252 A KR20077014252 A KR 20077014252A KR 20070086564 A KR20070086564 A KR 20070086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tainless steel
martensitic stainless
max
steel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칸 홀름베리
Original Assignee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filed Critical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70086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석출 경화형 스테인레스 크롬 니켈 강이 이하의 조성을 가지며 개시된다:
C 최대 0.07, Si 최대 1.5, Mn 0.2 ~ 5, S 0.01 ~ 0.4, Cr 10 ~ 15, Ni 7 ~ 14, Mo 1 ~ 6, Cu 1 ~ 3, Ti 0.3 ~ 2.5, Al 0.2 ~1.5 , N 최대 0.1, 잔부는 Fe 및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불순물.

Description

석출 경화형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PRECIPITATION HARDENABLE MARTENSITIC STAINLESS STEEL}
본 발명은 석출 경화형 스테인레스 크롬 니켈 강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매우 간단한 합금 처리로 경화가능한 스테인레스 크롬 니켈 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저온에서 경화되고 또한 드릴링, 선삭, 밀링 및 다른 절삭 작용을 받을 때 우수한 가공성을 갖는 석출 경화형한 스테인레스 크롬 니켈 강에 관한 것이다.
석출 경화형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은 예컨대 스프링, 수술용 바늘, 클립, 미세 튜브, 기계용 부품 및 마모에 노출된 부분 등의 고경도 응용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고경도 적용분야에 있어서 만족할만한 재료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이 재료들은 소정의 특성들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예컨대, 상기 강은, 합금화, 주조, 냉간 가공 외에 열간 가공을 포함하고, 기계적 절삭법에 의해 와이어, 시트, 스트립, 바 또는 튜브재로부터 시작하여 최종 부품으로 쉽게 제작될 수 있는 고경도 재료가 되도록 용이한 제조 공정에 의해 생산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최종 고경도에도 불구하고, 상기 재료는 연성이어서 상기 조건하에서 벤딩, 코일링, 프레싱, 트위스팅 등의 몇몇 성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기계적 특성 외에도, 매우 우수한 내마모성이 종종 필요하고, 페인팅 또는 다른 유형의 표면 코팅 등의 추가적인 마모 보호를 고려하지 않고도 재료를 다른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강은 최소 형상의 교란을 야기하는 간단한 저온 합금 처리에 의해 최종적으로 고경도가 되도록 경화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상이한 합금 컨셉의 몇몇 합금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사용 동안에 제품에 필요한 특성 외에 문제가 없는 제품 모두에 의해 여러 가지 상기 요구사항들을 만족한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 있어서, 필요한 특성들을 단일 재료에서 겸비하는 것을 어렵다. 탄소강은 그 조성에 따라 다소 형성가능하고 더 높은 탄소 함량으로 고경도까지 경화될 수 있다. 그러나 낮은 내식성은 약간 부식되는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 페라이트 크롬 강은 우수한 내식성을 보이지만, 높은 강도까지 경화될 수는 없다. 마르텐사이트 크롬강은 경화될 수 있으나 연성이 낮아 그 사용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강은 그 조성에 따라 풀림된 상태에서 부드럽거나 연성이고 또는 냉간 변형된 상태에서는 단단하고 덜 연성일 수 있다. 더 단단한 상태에서 오스테나이트강은 또한 가공하기가 매우 어렵다. 다른 그룹은 매우 부드러운 상태에서 형성될 수 있고 다음에 고경도를 얻도록 합금 처리될 수 있는 석출 경화형 스테인레스 강이다. 이 그룹의 강 역시 예컨대 경화형 마르텐사이트 강에 비해 가공하기가 더 어렵다.
따라서, 상기의 기준을 만족하는 재료를 시중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석출 경화형 스테인레스 크롬 니켈 강이 이하의 중량% 의 조성을 가지며 개시된다:
C 최대 0.07
Si 최대 1.5
Mn 0.2 ~ 5
S 0.01 ~ 0.4
Cr 10 ~ 15
Ni 7 ~ 14
Mo 1 ~ 6
Cu 1 ~ 3
Ti 0.3 ~ 2.5
Al 0.2 ~1.5
N 최대 0.1
잔부는 Fe 및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불순물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강은 티타늄 황화물을 포함한다.
본 스테인레스 강은 저온에서 경화되고 드릴링, 선삭, 밀링 및 다른 절삭 작업을 받을 때 우수한 가공성을 나타낸다.
도 1 은 참조용 합금의 SEM 사진이다.
도 2a 는 테스트 포인트 스펙트럼1 으로 표시된 도 1 의 SEM 사진이다.
도 2b 는 도 2a 의 스펙트럼1 의 EDX 결과이다.
도 3a 는 테스트 포인트 스펙트럼2) 으로 표시된 도 1 의 SEM 사진이다.
도 3b 는 도 3a 의 스펙트럼2 의 EDX 결과이다.
도 4a 는 테스트 포인트 스펙트럼3 으로 표시된 도 1 의 SEM 사진이다.
도 4b 는 도 4a 의 스펙트럼3 의 EDX 결과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의 SEM 사진이다.
도 6a 는 테스트 포인트 스펙트럼1 로 표시된 도 5 의 SEM 사진이다.
도 6b 는 도 6a 의 스펙트럼1 의 EDX 결과이다.
도 7a 는 테스트 포인트 스펙트럼2 으로 표시된 도 5 의 SEM 사진이다.
도 7b 는 도 7a 의 스펙트럼2 의 EDX 결과이다.
도 8a 는 테스트 포인트 스펙트럼3 으로 표시된 도 5 의 SEM 사진이다.
도 8b 는 도 8a 의 스펙트럼3 의 EDX 결과이다.
도 9a 는 테스트 포인트 스펙트럼4 로 표시된 도 5 의 SEM 사진이다.
도 9b 는 도 4a 의 스펙트럼4 의 EDX 결과이다.
발명된 석출 경화형 스테인레스 강의 특성의 조합의 영향을 완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각각의 모든 원소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탄소는 여러 방식으로 강에 영향을 끼치는 강력한 원소이다. 고 탄소 함량은 냉간 변형시의 강도가 높아져서 강의 연성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변형 경화에 영향을 줄 것이다. 크롬 탄화물의 석출의 위험이 탄소 함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고 탄소 함량은 또한 부식의 관점에 불리하다. 이에 따라 탄소 함량은 낮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대 0.07 %, 바람직하게는 최대 0.05 %,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0.025 % 이다.
규소는 페라이트 형성 원소이며 또한 고함량시에 강의 열간 가공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규소의 함량은 최대 1.5 %,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 이다.
망간은 니켈과 유사한 방식으로 강이 냉간 변형시에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덜 받도록 해주는 오스테나이트 형성 원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의 망간 최소 함량은 0.2 중량% 이다. 강이 석출 경화를 위해 상당한 마르텐사이트 함량을 가져야만 하기 때문에, 망간 함량은 최대 5 %, 바람직하게는 최대 3 %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 이다. 망간은 황과 함께 예컨대 가공성에 유리한 연성 비금속 개재물 (inclusion) 을 형성한다.
은 강에서 황화물을 형성할 원소이다. 황화물은 가공 동안에 칩 브레이커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에 따라 황의 함량은 최소 0.01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0.015 % 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소 0.1 % 이다. 그러나 황화물은 내식성의 관점에서 강에 있어서 취약부일 수 있다. 또한, 고함량의 황은 또한 열간 가공성이 불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함량은 최대 0.4 % 이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0.3 % 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의 조성은 합금이 티타늄 황화물을 포함하도록 선택된 다. 티타튬 황화물은 주로 TiS 또는 TiS2 의 형태로 존재한다.
크롬은 내식성에 있어서 필수적이고 본 발명에 따른 강에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1.5 % 이상의 함량으로 첨가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크롬은 고함량에서 변형시 마르텐사이트의 형성을 억제하는 강한 페라이트 형성 원소이다. 이에 따라 크롬의 함량은 최대 15%, 바람직하게는 최대 14 % 로 억제되어야 한다.
니켈은 어닐링시에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얻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강에 첨가되어 페라이트 형성 원소의 균형을 잡는다. 니켈은 또한 냉간 변형에 의한 경화를 적절히 하기 위해 중요한 원소이다. 니켈은 또한 티타늄 및 알루미늄 등의 원소와 함께 석출 경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에 따라 니켈의 최소 함량은 7 % 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8 % 이상이다. 니켈의 너무 높은 함량은 변형시에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될 가능성을 제한할 것이다. 이에 따라 니켈의 함량은 최대 14 % 또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13 % 이다.
몰리브덴은 강의 내식성에 기여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강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몰리브덴은 또한 석출 경화 동안에 활성 원소이다. 이에 따라 몰리브덴의 최소 함량은 1 % 이고, 바람직하게는 최소 2 %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소 3 % 이다. 그러나 몰리브덴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열간 가공 동안에 문제가 될 수 있는 함량까지 페라이트의 형성을 촉진시키게 된다. 또한, 몰리브덴의 고함량은 또한 냉간 변형 동안에 마르텐사이트 형성을 억제할 것이다. 이에 따라 몰리브덴의 함량은 최대 6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5 % 이다. 또 한, Mo 은 종래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일반적인 관례에 따라 텅스텐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대체될 수 있지만, 여전히 합금의 원하는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구리는 니켈과 함께 원하는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안정화시키는 오스테나이트 형성 원소이다. 구리는 또한 적정 함량에서 연성을 증가시키는 원소이다. 이에 따라 구리의 최소 함량은 1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다. 반면에, 고함량의 구리는 열간 가공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구리 함량은 최대 3 % 이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 이다.
티타늄은 두 가지 이상의 이유로 인해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 합금 원소이다. 우선, 티타늄은 석출 경화를 위한 강화 요소로서 사용되고 이에 따라 강을 최종 강도로 경화시킬 수 있도록 존재해야 한다. 두번째로, 티타늄은 황과 함께 티타늄 황화물 (TiS 또는 가능하다면 TiS2) 을 형성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타늄은 망간보다 더 강한 황화물 형성 원소이다. TiS 가 MnS 보다 전기화학적으로 더 우수하기 때문에, 가공성 증가를 위해 MnS 을 사용하는 쾌삭강에 있어서 일반적인 경우인 내식성의 악화 없이 향상된 가공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티타늄의 최소 함량은 0.3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다. 티타늄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강에서 페라이트 형성을 촉진시켜서 취성 또한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티타늄의 최대 함량은 2.5 % 로 제한되고, 바람직하게는 2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 이다.
알루미늄은 열처리시에 경화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강에 첨가된다. 알루미늄은 니켈과 함께 Ni3Al 및 NiAl 등의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우수한 경화 반응을 얻기 위해서, 알루미늄의 최소 함량은 0.2 % 이어야 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소 0.3 % 이어야 한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강한 페라이트 형성 원소이기 때문에, 최대 함량은 1.5 % 이거나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 이어야 한다.
질소는 변형 경화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강한 원소이다. 그러나, 질소는 또한 냉간 변형시에 마르텐사이트 변태쪽으로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킨다. 또한 질소는 티타늄, 알루미늄 및 크롬 등의 질화물 형성 원소와 높은 친화력을 갖는다. 질소 함량은 최대 0.1 % 로 제한되고, 바람직하게는 0.07 %이고 가장 자람직하게는 최대 0.05 % 로 제한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합금은 실질적으로 망간 황화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합금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이하의 근사 조성 (중량%) 을 갖는다:
C 최대 0.2
Si 최대 0.3
Mn 0.5
S 0.1
Cr 12
Ni 9
Mo 4
Cu 2
Ti 1
Al 0.4
N 최대 0.1
잔부는 Fe 및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불순물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합금은 이하의 근사 조성 (중량%) 을 갖는다:
C 최대 0.2
Si 최대 0.3
Mn 2.5
S 0.1
Cr 12
Ni 9
Mo 4
Cu 2
Ti 1
Al 0.4
N 최대 0.1
잔부는 Fe 및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불순물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1
표 1 에 따른 화학 조성을 갖는 5 개의 270kg 의 멜트가 진공 유도 용해 (VIM) 로에서 용융되어 9", 즉 229 mm 의 잉곳으로 주조되었다. 합금 830207 은 참조용 합금으로서 포함되었고,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지는 않는다. 상기 잉곳은 103×103 mm 의 슬라브로 단조되었다. 그 후에 이 슬라브는 1150℃ 까지 가열되었고 5.5 mm 의 와이어 로드로 열간 압연되었다. 이 와이어 로드는 피클된 후에 어떠한 중간 어닐링도 없이 다중 블록 인발기에서 2.1 mm 로 인발되었다. 직경 2.1 mm 의 열간 압연된 와이어를 직경 5.5 mm 로 인발할 시의 면적 감소율 함수로 인장 강도 (MPa) 가 표 2 에 나타나있다. 인장 시험은 어떠한 열처리도 없이 SS-EN10002-1 에 따라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의 표 1 에 주어진 조성은 약 0.5 % 또는 약 2.5 % 의 Mn 함량 및 약 0.015 % 또는 0.1 % 의 S 함량을 갖는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 1. 화학 조성 (중량%)
Figure 112007045416911-PCT00001
표 2. 냉간 인발시 다양한 면적 감소율에서의 인장 강도 (MPa)
Figure 112007045416911-PCT00002
실시예 2
표 2 에 따른 인발 와이어는 4 시간 동안 475 ℃ 에서 열처리된 후에 석출 경화 (PH) 시에 기계적 강도의 증가량을 평가하기 위해서 인장 시험되었다. 석출 경화를 야기하는 열처리 후에 인장 강도는 표 3 에서 알 수 있다.
표 3. 다양한 면적 감소율에서의 와이어 인발 및 다음의 석출 경화 후의 인장 강도 (MPa)
Figure 112007045416911-PCT00003
실시예 3
표 1 에 따른 합금의 내식성은 석출 경화 조건에서 시험되었다. 임계 공식 온도 (Critical Pitting Temperature: CPT) 는 0.1 % 의 NaCl 용액에서 측정되었다. 전위는 300 mV Vs표준 칼로멜 전극 (Standard Calomel Electrode: SCE) 으로 유지되었다. 600 그릿 피니쉬로 연삭한 후에, 합금당 6 개의 시편 (직경: 3.5 mm) 이 시험되어 각 재료의 임계 공식 온도를 정하였다. 표 4 는 합금당 상기 CPT 값을 보여준다.
표 4. 시험된 합금의 6 개의 시편에 대해 300 mV Vs SCE 에서 0.1 % NaCl 용액에서의 CPT 값
Figure 112007045416911-PCT00004
실시예 4
표 1 에 따른 조성물의 가공성도 시험되었다. 직선화 작업을 하여 직경 5.5 mm 에서 3.5 mm 으로 와이어를 인발한 다음에 직경 3.5 mm 의 직선형 바가 제조되었다. 표 5 에 따른 기계적 특성을 가지며 직선화되고, 열처리 되지 않은 상태에서 드릴링 시험이 수행되었다. SS-EN ISO 6507 에 따라 경도 시험이 수행되었다.
표 5. 가공성 시험에 사용된 직선형 바의 치수 및 기계적 특성.
Figure 112007045416911-PCT00005
드릴링 시험은 표 6 에 보여진 드릴링 파라미터로 수행되었다. 130°의 팁각을 가지며, φ2 mm 의 코팅되지 않은 초경합금 드릴인 HAM 380 이 드릴로 사용되었다. 드릴링 깊이는 바 직경의 두 배였다.
표 6. 드릴링시의 가공 데이터.
Figure 112007045416911-PCT00006
가공성은 칩 형태, 드릴 마모 및 드릴링성에 대해 평가되었다. 드릴링시의 칩 형상은 참조 챠트로서 "Svenska Mekanorbundets Spanskala"(Karlebo Handbook,15th Edition, 2000, page 449 ~ 450) 을 사용하여 판단되었다.
표 7. 드릴링시의 칩 형태.
Figure 112007045416911-PCT00007
마모는, 절삭날의 여유면에서의 마모 (플랭크 마모), 빌트 업 에지에 의한 코너 마모 및 가능한 날 손상으로서 측정되었다. 어떤 경우에, 이 시험은 각 합금 조성의 두 가지 샘플에 대해 수행되었다. 손상/마모는, 상이한 종류의 마모/손상에 관해 스케일(scale) 후에 등급이 매겨지고, 가능한 한 낮은 등급일수록 바람직하다. 낮은 값은 높은 값에 비해 더 긴 공구 수명을 나타낸다. 결과를 표 8 에 나타내었다.
표 8. 마모 시험의 등급 결과.
Figure 112007045416911-PCT00008
합금당 두 가지 시험의 공구 마모의 평균 등급을 표 9 에 나타냈다. 낮은 등급은 높은 등급에 비해 더 긴 공구 수명을 나타낸다.
표 9. 드릴링시의 표 8 의 두 가지 시험의 평균 공구 마모.
Figure 112007045416911-PCT00009
대규모 드릴링 시험이 합금 (830207, 830209) 으로 된 재료에 대해 수행되었다. 드릴링성은, 드릴이 완전히 마모되기까지의 드릴링된 부분의 수로 측정되었다. 또한, 시간당 드릴링된 구멍의 수가 측정되었다. 결과를 표 10 에 나타낸다.
표 10. 대규모 드릴링 시험의 결과.
Figure 112007045416911-PCT00010
드릴링 시험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든 합금이, 드릴링 동안에 칩 고임의 위험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중요한 칩 형태로 참조 합금 (830207) 에 비해 가공성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든 합금은 참조 합금 (830207) 에 비해 공구 마모가 적어졌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드릴이 교체되어야 하기 전에 더 많은 부분이 생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5
참조 합금 (830207) 과 본 발명에 따른 합금 (830211) 은 후방 산란 전자 (Back Scattered electrons:BSE) 를 사용하여 주사 전자 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에 의해 분석되었다. 이 재료들의 표면은 에칭되지 않은 상태였다. SEM 으로 찍힌 참조 합금의 사진이 도 1 에 도시된다. 도 2a 에 도시된 스펙트럼1, 도 3a 에 도시된 스펙트럼2 및 도 4a 에 도시된 스펙트럼3 의 3 가지 상이한 테스트 포인트가 에너지 분산형 X-선 분석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EDX) 에 의해 조사되었다. 그 결과가 도 2b, 3b, 및 4b 에 각각 도시된다. 이 결과로부터 명확하게 보이는 바와 같이, 티타늄 황화물은 없다. 이는 합금에 황 함량이 적은 결과로 여겨진다.
SEM 으로 찍은 본 발명에 따른 합금 (830211) 의 사진이 도 5 에 도시된다. 도 1 과 비교하면 차이점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스펙트럼1, 스펙트럼2, 스펙트럼3 및 스펙트럼4 의 상이한 테스트 포인트가 도 6a, 7a, 8a 및 9a 에 주어져 있다. 이 테스트 포인트의 조성은 EDX 로 분석되었고, 결과가 각각 도 6b, 7b, 8b, 및 9b 에 주어져 있다.
놀랍게도, Mn 함량이 꽤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약 2.5 %) 합금 (830211) 에서는 망간 황화물이 발견되지 않았다.
종래의 합금과 비교하여 내식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실질적으로 가공성이 향상된 합금이 개발되었음이 상기 실시예에서 명확해졌다. 황 함량의 증가는, 망간 황화물의 함량이 실질적으로 증가되지 않는 한 내식성을 감소시키지 않고도 가공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이하의 조성 (중량%) 을 가지며,
    티타늄 황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합금.
    C 최대 0.07
    Si 최대 1.5
    Mn 0.2 ~ 5
    S 0.01 ~ 0.4
    Cr 10 ~ 15
    Ni 7 ~ 14
    Mo 1 ~ 6
    Cu 1 ~ 3
    Ti 0.3 ~ 2.5
    Al 0.2 ~1.5
    N 최대 0.1
    잔부는 Fe 및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불순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망간 황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 합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S 의 함량은 0.015 ~ 0.3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 합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i 의 함량은 0.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 합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Ti 함량은 최대 2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 합금.
  6. 제 1 항에 있어서, Mo 함량은 2 ~ 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 합금.
  7. 제 1 항에 있어서, Cr 함량은 11.5 ~ 13 % 이고 Ni 함량은 8 ~ 13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 합금.
  8. 제 1 항에 있어서, 석출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 합금.
  9. 제 1 항에 있어서, 종래의 야금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 합금.
  10. 제 1 항 내지 3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최대 0.2
    Si 최대 0.3
    Mn 0.5
    S 0.1
    Cr 12
    Ni 9
    Mo 4
    Cu 2
    Ti 1
    Al 0.4
    N 최대 0.1
    잔부는 Fe 및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불순물인
    근사 조성을 갖는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 합금.
  11. 제 1 내지 3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최대 0.2
    Si 0.2
    Mn 2.5
    S 0.1
    Cr 12
    Ni 9
    Mo 4
    Cu 2
    Ti 1
    Al 0.4
    N 최대 0.1
    잔부는 Fe 및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불순물인
    근사 조성을 갖는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 합금.
KR1020077014252A 2004-12-23 2005-12-22 석출 경화형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 KR200700865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403176A SE528454C3 (sv) 2004-12-23 2004-12-23 Utskiljningshärdbart martensitiskt rostfritt stål innefattande titansulfid
SE0403176-1 2004-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564A true KR20070086564A (ko) 2007-08-27

Family

ID=3410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252A KR20070086564A (ko) 2004-12-23 2005-12-22 석출 경화형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210344A1 (ko)
EP (1) EP1831417A1 (ko)
JP (1) JP2008525637A (ko)
KR (1) KR20070086564A (ko)
CN (1) CN100540712C (ko)
SE (1) SE528454C3 (ko)
WO (1) WO20060686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761A (ko) * 2019-11-06 2021-05-14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석출경화형 스테인리스강의 열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커플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7558B1 (fr) * 2005-06-28 2007-08-17 Aubert & Duval Soc Par Actions Composition d'acier inoxydable martensitiqu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iece mecanique a partir de cet acier et piece ainsi obtenue
EP2265739B1 (en) 2008-04-11 2019-06-12 Questek Innovations LLC Martensitic stainless steel strengthened by copper-nucleated nitride precipitates
US7931758B2 (en) * 2008-07-28 2011-04-26 Ati Properties, Inc. Thermal mechanical treatment of ferrous alloys, and related alloys and articles
WO2011040876A1 (en) * 2009-10-02 2011-04-07 Nanoxis Ab Screening of binders on immobilized native membrane proteins
JP5502575B2 (ja) * 2010-04-16 2014-05-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析出硬化型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蒸気タービン動翼
DE102010025287A1 (de) 2010-06-28 2012-01-26 Stahlwerk Ergste Westig Gmbh Chrom-Nickel-Stahl
CN102168228A (zh) * 2011-03-28 2011-08-31 徐英忱 一种医用沉淀硬化不锈钢材料及其制备方法
JP5764503B2 (ja) * 2012-01-19 2015-08-19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析出硬化型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それを用いた蒸気タービン長翼、タービンロータ及び蒸気タービン
JP6111763B2 (ja) 2012-04-27 2017-04-12 大同特殊鋼株式会社 強度及び靭性に優れた蒸気タービンブレード用鋼
CN105908099A (zh) * 2016-04-18 2016-08-31 和县隆盛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地坪打磨机械臂及制备方法
SE539763C2 (en) * 2016-06-16 2017-11-21 Uddeholms Ab Steel suitable for plastic molding tools
CN107326300A (zh) * 2017-06-20 2017-11-07 上海大学兴化特种不锈钢研究院 一种耐蚀抗菌医用外科器件马氏体不锈钢及其制备方法
CN107587080B (zh) * 2017-10-17 2019-06-18 中国华能集团公司 一种沉淀强化耐热钢及其制备工艺
US11692232B2 (en) 2018-09-05 2023-07-04 Gregory Vartanov High strength precipitation hardening stainless steel alloy and article made therefrom
WO2020115531A1 (fr) * 2018-12-06 2020-06-11 Aperam Acier inoxydable, produits réalisés en cet acier et leurs procédés de fabr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8513A (en) * 1969-03-06 1972-04-25 Armco Steel Corp Precipitation-hardenable stainless steel
SE346813B (ko) * 1970-11-12 1972-07-17 Sandvikens Jernverks Ab
JPH0647708B2 (ja) * 1985-07-31 1994-06-22 大同特殊鋼株式会社 オ−ステナイト系快削ステンレス鋼
SE469986B (sv) * 1991-10-07 1993-10-18 Sandvik Ab Utskiljningshärdbart martensitiskt rostfritt stål
US6238455B1 (en) * 1999-10-22 2001-05-29 Crs Holdings, Inc. High-strength, titanium-bearing, powder metallurgy stainless steel article with enhanced machinability
JP2001131713A (ja) * 1999-11-05 2001-05-15 Nisshin Steel Co Ltd Ti含有超高強度準安定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製造法
DE10251413B3 (de) * 2002-11-01 2004-03-25 Sandvik Ab Verwendung eines korrosionsbeständigen, martensitisch aushärtenden Stahls
US7901519B2 (en) * 2003-12-10 2011-03-08 Ati Properties, Inc. High strength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lloys, methods of forming the same,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6899773B2 (en) * 2003-02-07 2005-05-31 Advanced Steel Technology, Llc Fine-grained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nd method thereof
SE522813C2 (sv) * 2003-03-07 2004-03-09 Sandvik Ab Användning av ett utskiljningshärdbart, martensitiskt rostfritt stål för tillverkning av implantat och osteosyntesprodukter
JP4030925B2 (ja) * 2003-06-06 2008-01-09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快削析出硬化型ステンレス鋼
JP4152872B2 (ja) * 2003-12-12 2008-09-17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被削性に優れた冷間加工用析出硬化型ステンレス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761A (ko) * 2019-11-06 2021-05-14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석출경화형 스테인리스강의 열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커플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25637A (ja) 2008-07-17
SE528454C2 (sv) 2006-11-14
SE0403176L (sv) 2006-06-24
SE528454C3 (sv) 2007-01-09
CN100540712C (zh) 2009-09-16
SE0403176D0 (sv) 2004-12-23
CN101087897A (zh) 2007-12-12
US20080210344A1 (en) 2008-09-04
EP1831417A1 (en) 2007-09-12
WO2006068610A1 (en)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6564A (ko) 석출 경화형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
KR100957664B1 (ko)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판
WO2009154235A1 (ja) 熱処理用鋼
KR20070107166A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CN104264078A (zh) 具有出色的韧性和热导率的热加工工具钢
JP2002256397A (ja) 耐食性に優れた高硬度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06200035A (ja) 張り出し成形性と耐隙間部腐食性が優れた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US20070274855A1 (en) Steel Alloy For Cutting Details
JP4790539B2 (ja) 高強度高弾性型ステンレス鋼及びステンレス鋼線
JP4645307B2 (ja) 低温靭性に優れた耐摩耗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41502A (ko)
WO2004059023A1 (ja) 変寸抑制特性に優れた冷間ダイス鋼
JP5351528B2 (ja) 冷間金型用鋼および金型
US7297214B2 (en) Free cutting alloy
JPH10245656A (ja) 冷鍛性の優れた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00282182A (ja) 冷間加工性に優れた高疲労寿命・高耐食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4640628B2 (ja) 優れた冷間加工性と高い疲労強度をもつ析出硬化型マルテンサイト系鋼
KR101795277B1 (ko) 내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스프링강
JP6729265B2 (ja) 低合金鋼
KR101776491B1 (ko) 내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스프링강
JPH0741909A (ja) 油井用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03461B2 (ja) 高硬度非磁性ステンレス鋼および高硬度非磁性ステンレス鋼線材
JPH07316742A (ja) 耐銹性に優れた高強度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冷間成形加工品の製造方法
JP2002060907A (ja) 熱間プレス金敷用鋼および鋳鋼
JP7464832B2 (ja) ボルト、及びボルト用鋼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