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728A - 치과용 진동기구의 진동팁 - Google Patents

치과용 진동기구의 진동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728A
KR20070083728A KR1020077008910A KR20077008910A KR20070083728A KR 20070083728 A KR20070083728 A KR 20070083728A KR 1020077008910 A KR1020077008910 A KR 1020077008910A KR 20077008910 A KR20077008910 A KR 20077008910A KR 20070083728 A KR20070083728 A KR 20070083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tip
vibration
vibrating
too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590B1 (ko
Inventor
빠뜨릭 르사쥬
Original Assignee
빠뜨릭 르사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빠뜨릭 르사쥬 filed Critical 빠뜨릭 르사쥬
Publication of KR20070083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0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61C3/03Instruments operated by vib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수술용 핸드피스(101)와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된 제1끝(111)과, 핸드피스에 의해 전달된 진동을 재생성하도록 된 공구홀더(112)가 고정되는 제2끝을 가진 본체(110)를 구비하는 진동팁(100)에 관한 것으로, 이 팁은 추가로 작업영역(121)을 갖춘 공구(120)를 구비하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구(120)는 공구홀더(112)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서, 공구 자체가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이빨과 접촉해 있고 하나의 팁으로 이빨의 전체 외주에 작업영역을 위치시킬 수 있게 하며, 바람직하기로 상기 공구는 2개의 작업영역을 구비하여 처리될 이빨의 표면에 공구를 우수하게 안내하고 유지되게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진동기구의 진동팁 {Cutting insert for a vibrating dental instrument}
본 발명은 치과용 치료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청 주파수 또는 초음파 주파수에서 진동하는 진동기구를 구비하는 치석제거기와 같은 진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유형의 기구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10)이라 불리면서 진동기구에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트랜스듀서를 구비하는 핸드피스(handpiece:1)를 구비해야 하는데, 이 핸드피스는 진동발생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팁의 예가 특히 미국 특허 제6,312,256호와 동 제4,283,175호에 나타나 있다.
팁은 사용하려는 용도(예컨대, 치석제거:단단한 침전물의 제거, 광택내기:생물막의 제거, 연마:공동부(空洞部) 또는 인공보철을 위한 준비)에 따라 아주 다양한 형상을 가진 교환가능한 부품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존하는 장치는 대개 금속제인 본체(11)를 구비하는데, 그 한쪽 끝은 핸드피스(1)의 트랜스듀서에 견고하게 조립되고, 본체(11)의 다른쪽 끝은 공구홀더와 이 본체에 고정된 공구(12)로 더욱 연장되게 된다. 이 공 구는 작업영역을 갖는바, 이는 날카로운 선단이나, 연마제 현탁액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매끄러운 선단 또는 표면, 그 밖에 다이아몬드가 장착된 표면으로 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에 의해 생성된 진동은 공구의 작업영역으로 직접 전달되게 된다.
이빨의 모든 면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팁은 종종 3가지의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직진형과 왼쪽형 및 오른쪽형이 있다. 이빨을 연마하는 작업 동안, 특히 주변을 준비하기 위해 의사는 적어도 2가지의 다른 모델로 된 팁, 즉 오른쪽형과 왼쪽형을 사용해야 한다.
이는 도 1a에서 선(O)으로 경계가 정해진 구강이 양쪽 뺨에 의해 측면이 막혀 있고 환자의 입이 개방되는 것이 제한됨으로 인해, 팁이 경사지게 되어야 하며, 연마될 이빨 주위에서의 운동이 비교적 제한되기 때문이다. 도 1a에 도시된 양끝 화살표선(C)은, 의사가 핸드피스(1)를 움직일 수 있는 최대이동거리를 나타낸다.
결국, 예컨대 인공보철(인공치관 등)을 끼우기 위해 준비하려고 이빨(20)의 주변을 연마하는 것과 같이 이빨의 전체 외주와 관계된 작업을 하는 동안 의사는 적어도 2개의 팁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빨의 앞부분에 공구의 작업영역을 위치시키도록 된 팁과, 이빨의 뒷부분에 작업영역이 위치하도록 된 다른 팁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도 1b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는 안쪽으로 방위를 가진 공구의 작업영역(13a)을 갖고서 경사진 본체(11a)를 구비하여 공구(12a)의 작업영역(13a)에 의해 이빨(20)의 뒷부분을 연마할 수 있도록 된 제1팁(10a)과, 바깥쪽으로 향한 공구(12b)의 작업영역(13b)에 의해 이빨의 앞부분을 연마할 수 있게 하는 경사진 본체(11b)를 갖춘 제2팁(10b)을 사용한다.
이빨의 주변을 연마하는 동안 2개의 팁을 사용해야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대칭인 작업영역을 가진 하나의 팁을 사용하는 다른 해결방법이 있다. 이러한 팁의 예가, 상이한 크기를 가진 2개의 팁(30a,30b)을 나타낸 도 2a와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바, 그 본체(31a,31b)는 전체 외주에 걸쳐 다이아몬드가 장착된 표면을 구비하는 선대칭의 작업영역(33a,33b)을 가진 공구(32a,32b) 및 공구홀더로 뻗어 있다. 따라서, 의사는 하나의 동일한 팁으로 이빨(40)의 주변을 연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해결방법은 팁의 본체의 축이 각이동할 때 아주 큰 이동거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도 주변을 연마할 수 있게 하지만, 상당한 결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의 작업영역(33a)이 갖는 선대칭인 특성과, 그 단면이 준비형상을 재생성하는 회전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으로 인해, 공구는 연마 깊이의 2배와 같은 직경을, 즉 비대칭인 공구의 폭의 2배의 직경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팁은 쓸모없거나, 인접한 이빨들(41,42)의 일부를 침범할 우려가 크게 된다.
감소된 직경을 가진 공구(32b)를 사용하는 해결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팁을 사용하면 연마 깊이를 상당히 줄이게 되어서, 전체적으로 이빨들(41,42)을 손상시킬 위험은 없애지 못하고서 연마가 이루어지게 된다.
더구나, 사용되는 팁의 유형에 상관없이 작업영역의 끝부분에서 충격을 초래하는 축방향 진동이 있게 되어서, 이 진동이 작업된 부분의 표면상태를 나쁘게 만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비대칭 또는 선대칭이든지 주변을 연마하는 작업을 위해 진동의 팁을 사용하는 것은 비교적 어렵고, 이 분야에서 통상의 회전식 기구를 사용하는 기술에 비해 장점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한 이빨들에 손상을 입힐 우려 없이, 하나의 동일한 팁으로 이빨이나 치관 또는 치근 등 전체 외주부에다 공구의 작업영역을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팁에 의해 성취되는바, 이는 팁의 본체에 고정되고서 팁의 본체가 결합되는 핸드피스에 의해 전달된 진동을 재생성하는 공구홀더의 끝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공구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팁은,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팁의 본체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공구를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구조를 갖는다. 팁의 본체 주위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빨과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공구는 자동으로 자기조절(즉 회전)되어서 하나의 팁으로 이빨의 전체 외주에 작업영역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더구나, 공구는 치료될 이빨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공구를 안내하고 유지하는 2개의 작업영역을 가진다.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공구에 2개의 작업영역을 갖게 함으로써, 이빨의 표면에서 2개의 구별된 지지점에 의해 작업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빨에 대해 공구가 이동하는 동안, 의사에 의해 핸드피스에 가해진 압력이 2개의 작업영역으로 분배되기 때문에, 2개의 작업영역은 아주 안정되게 공구가 이빨과 접촉해 있게 하는 데에 도움이 되어서, 공구는 그 이동 중이라도 이빨에 안전하게 유지된다.
공구의 다른 부분은 바람직하기로 인접한 이빨들을 보호하도록 매끄럽게 되어 있다. 작업영역은 다이아몬드와 같은 연마재료로 처리되거나 덮어씌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작업영역은 예상되는 처리(연마, 치석제거, 광택내기)에 상응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구는 이 공구의 침투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핀을 그 하부에 구비한다. 이 안내핀은 공구에 고정된 부분으로 형성되거나, 공구의 공동부의 바닥을 관통하는 공구홀더의 끝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구는 바람직하기로 탈착가능하고 교환가능한 부재로서, 이는 공구홀더와 상호작용하는 공동부를 형성하는 구멍과, 공구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공구홀더에 부착시키는 부착수단 및, 날카로운 선단이나 매끄러운 선단, 매끄러운 표면, 연마표면, 또는 기계적으로나 화학적으로나 열적으로 처리된 표면으로 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작업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구를 공구홀더에 부착하는 부착수단은, 그 끝이 공구홀더에 형성된 보유지지수단과 상호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를 구비한다.
상기 공구는 교환가능하여서, 하나의 동일한 팁의 본체가 다른 공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구는 공구홀더를 위한 하우징을 형성하는 공동부를 구비한다. 유연성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펠릿(pellet)이 공동부의 바닥에 위치되어서, 공구와 공구홀더의 끝 사이의 어떤 충돌의 영향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발생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술용 핸드피스를 구비함과 더불어,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팁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음파-진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비제한적인 예로 주어진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대칭 팁이 이동에 제한받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라 이빨의 주변을 연마하는 동안 적어도 2개의 다른 팁을 이용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라 이빨의 주변을 연마하는 동안 적어도 2개의 다른 팁을 이용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내는 도 1b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대칭인 팁으로 이행되는 연마작업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대칭인 팁으로 이행되는 연마작업을 나타낸 평면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팁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연마작업 중인 도 3의 팁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연마작업 동안 도 3의 팁의 작업헤드가 갖는 상이한 위치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와 도 6b 및 도 6c는 이빨 또는 치근 표면에서 치석제거나 광택내기를 하도록 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팁의 사시도 및 2개의 단면도로서, 도 6c는 도 6a의 VIC 단면을 따라 이빨 및 공구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팁의 사시도 및 2개의 단면도이다.
도 8a와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팁의 사시도 및 2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팁(100)을 도시한다. 이 팁(100)은 예컨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서 일체로 된 본체(110)를 구비하는데, 이는 핸드피스(101)에 고정되도록 된 제1끝(111)을 갖춘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핸드피스(101)는 예컨대 압전재료로 형성된 트랜스듀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는 음파 또는 초음파 진동발생기로서, 팁에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팁에 진동파를 전달한다. 본체(110)의 제2끝은, 핸드피스에 의해 전달된 진동을 재생성하도록 된 공구홀더(112)를 형성한다. 이 공구홀더(112)는 팁의 본체(110)와 (너트와 볼트 시스템이 나 용접 등에 의해, 또는 팁의 단순한 연장부로서) 견고하게 조립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구(120)는 공구홀더(112)에 위치된다. 이 공구(120)는 공구홀더(112)의 끝을 위한 하우징으로 작용하는 공동부(122)를 구비한다. 공구(120)는 링(124)에 고정된 로드(123)에 의해 공구홀더(112)에 연결되는데, 링(124)은 쇼울더(113)에 지지됨으로써 공구홀더에서 공구의 병진이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구홀더(112)는, 링(124)이 수용되는 환형상의 홈(115)을 쇼울더(113)와 함께 형성하는 제2쇼울더(114)를 구비한다. 하지만, 링(124)을 보유지지하는 것은, 공구가 공구홀더의 끝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쇼울더(113)에서 공구홀더(112)에 위치된 간단한 칼라(collar)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공동부(122)의 바닥은 공구홀더에서 공구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한 저지부로 작용한다.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공구홀더에 공구를 부착하는 수단의 다른 형태가 기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구홀더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공구를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임의 형태의 수단은 본 발명에 적당하다 할 것이다.
상황에 따라, 공구홀더 주위의 공구의 회전은 완전하게 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저지부의 위치선정으로 결정된 각도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 공구에 상응한 팁(100)의 공구홀더(112)가 공구(120)의 공동부(122)에 수용된다. 이러한 장착에 의해, 공구홀더(112)의 끝에서 재생성된 진동이 공구(120)로 전달되고, 특히 공구의 작업영역(121)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작업부가 전체적으로 팁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종래기술에 따른 팁과 달 리, 본 발명에 따른 팁은 공구홀더(112)의 끝의 진동에 의해 구동되고 회전운동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유연성 있는 재료(예컨대 소프트 메탈 또는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 펠릿(126)이 공동부(122)의 바닥에 위치되어, 공구(120)와 공구홀더(112)의 끝 사이의 충돌의 움직임 또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공구(120)는 연마되거나 처리(치석제거, 광택내기 등)될 이빨의 벽과 접촉하도록 된 작업영역(121)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작업영역(121)은 다이아몬드와 같은 연마재료로 덮어씌워지거나, 연마입자를 함유한 용액과 함께 사용될 수 있게 매끄럽게 될 수 있다. 공구(120)의 형상과 특히 작업영역(121)의 형상은 이빨에 이행되길 원하는 처리 또는 연마 프로파일과 상관 있다.
공구(120)의 다른 부분은 처리되지 않은 매끄러운 부분으로서, 이는 바람직하기로 감소된 직경을 가져 인접한 이빨과의 접촉을 방지하고 헤드의 통과를 용이하게 한다. 사실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120)의 최대부분은 연마될 이빨의 벽과 접촉하도록 유지되는 작업영역(121)을 구비한다. 보유지지하는 링(124)과 로드(123)를 구비하는 공구(120)의 나머지 부분은 매우 줄어든 크기를 가져서, 인접한 이빨(140)과 접촉할 우려를 제한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공구와 팁의 본체는 아음속 범위에서 초음파 범위까지 뻗어 있는 주파수 범위의 진동을 복구시키면서 견딜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재료로는 예컨대 금속이 있다.
공구홀더(112)의 주위로 공구(120)가 자유로이 회전함으로써, 단일한 모델의 팁으로 그 전체 외주에 걸쳐 이빨을 연마할 수 있다. 이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서는 이빨(130)의 주변을 연마하는 동안 공구(120)가 갖는 상이한 위치들을 나타내고 있다. 더구나, 공구(120)가 자유로이 회전함으로써, 팁의 본체를 그리고 함께 결합되어 있는 핸드피스를 거의 항상 같은 방위를 갖도록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의사는 더 이상 연마될 이빨의 부분에 따라 작업위치를 선택하지 않고, 예컨대 의사가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에 따라 결정되는 것과 같이 의사를 위한 최적의 작업위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구는 그 끝에 안내핀(125)을 갖출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핀(125)은 작업영역(121)이 잇몸(160)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의사의 연마작업은, 의사가 더 이상 잇몸과 공구의 끝 사이의 거리를 계속적으로 조절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덜 어렵게 된다. 더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핀은 잇몸(160)을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더구나, 공구에서 안내핀(125)의 위치와 그 높이는 작업영역이 이빨에 침투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안내핀(125)은 공구가 옆으로 이빨에 침투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핀(125)이 이빨(130)의 표면(130b)에 안착되면 더 이상 물질을 이동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안내핀에 의해 공구가 전진하는 것이 제한되기 때문에, 안내핀(125)은 의사가 공구의 침투깊이에 관해서는 특별히 조심하지 않고서도 이빨을 연마할 수 있게 저지부로 작용한다.
변형예에서, 안내핀도 작업영역을 구비하여, 이빨의 표면(130b)의 세척과 치 석제거 및 모서리부(130c)의 다듬질이 이루어지게 한다.
공구는 2개의 작업영역을 갖출 수 있는바, 이빨을 연마할 수 있는 다이아몬드가 장착된 영역과, 이빨 벽에 광택내기를 할 수 있는 매끄러운 영역을 갖춘다.
안내핀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원통형상으로 되어 이빨에 대한 공구의 안내를 용이하게 한다. 더구나, 상황에 따라 2개의 안내핀이 공구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팁(400)은 치석제거나 광택내기를 위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이는 치아형태에 따라 처리되고 윤곽을 가진 둥근 선단을 형성하는 2개의 작업영역(421a,421b)을 구비한 공구(420)를 구비한다. 도 6c는 공구가 처리될 이빨(430)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안내하고 유지하는 2개의 작업영역이 갖는 장점을 강조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르면 공구가 공구홀더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작업영역을 가진 공구를 가지고 의사가 만곡된 표면을 가진 이빨에다 공구를 접촉시키도록 핸드피스에 압력을 가할 때, 이빨의 표면에 공구를 유지하고 있기가 어렵게 될 수 있다(이빨에서 공구가 미끄러져 공구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회전하면서 이빨의 표면과 작업영역이 접촉될 수 없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된 2개의 작업영역에 의해, 압력은 2개의 작업영역(2개의 접촉점)으로 분배되는데, 이는 공구가 움직일 때라도 이빨에 공구가 지지되는 우수한 안정성을 갖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빨과 작업영역의 우수한 접촉이 보장되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도 면에 나타낸 팁(200)은 무엇보다도, 이 팁의 본체(210)에 고정된 공구홀더의 끝부분이 공구를 완전히 통과한다는 점에서 도 3과 도 4의 팁과 상이하다. 특히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홀더(212)는 공구(220)를 지지하는데, 공동부(222)가 공구홀더(212)의 끝을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이 끝은 공동부(222)의 바닥을 관통하는 종결부(225)를 갖춘다. 이 실시예에서, 공구(220)를 지나가는 종결부(225)의 일부가, 공구(120)의 안내핀(125)과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침투깊이를 제한할 수 있게 하는 안내핀(226)을 형성한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와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공구홀더에 공구를 부착하는 데에 사용되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이는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공구(220)는, 그 끝에 부착러그(224a,224b)를 구비하는 2개의 로드(223a,223b)에 연결되는데, 상기 부착러그는 공구홀더(212)에 형성된 홈(215)에 끼워지기 때문이다. 로드(223a,223b)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여서 공구홀더에 공구를 장착하거나 떼어내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전술된 팁과 마찬가지로, 공구(220)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연마재료로 덮어씌워지거나, 연마입자를 함유한 용액과 함께 사용될 수 있게 매끄럽게 처리될 수 있는 작업영역(221)을 구비한다. 이 공구는 확실히,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이 성취하길 원하는 연마프로파일에 따라 어려움 없이 예측될 수 있는 다른 많은 유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팁(300)은, 공구(320)가 중공부에 의해 이격된 2개의 작업영 역(321a,321b)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7a 내지 도 7c의 팁과 상이하다. 이러한 유형의 공구 형상은 이빨의 외주에다 작업영역을 우수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공구는 추가로 2개의 안내핀(325a,325b)을 구비한다.
전술된 실시예들에서는, 공구는 공구홀더 주위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부착모드에 한정되지 않고, 공구홀더의 내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공구는 공구홀더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구는 공구홀더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팁은 음파 또는 초음파 치과치료용 진동기구와 같은 치과용 주변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인간공학 및 기능성을 통해 최종제품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유형의 기구의 한 예가 특히 프랑스 특허 04 06630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들 팁은 치과수술용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전용제품의 다른 모듈과 일체로 되도록 된 모듈의 형태로 기구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한 이빨들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서, 하나의 동일한 팁으로 이빨의 전체 외주부에다 공구의 작업영역을 위치시킬 수 있는 치과용 진동기구의 진동팁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15)

  1. 진동을 발생시키는 수술용 핸드피스(101)와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된 제1끝과, 핸드피스에 의해 전달된 진동을 재생성하도록 된 공구홀더가 고정되는 제2끝을 가진 본체를 구비하고, 공구홀더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공구(320;420)를 추가로 구비하는 진동팁(300;400)에 있어서,
    상기 공구(320;420)는 공구가 처리될 이빨(430)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안내하고 유지하는 2개의 작업영역(321a,321b;421a,421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팁.
  2. 제1항에 있어서, 공구(120)는 그 하부에 이 공구(120)의 침투깊이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핀(1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팁.
  3. 제2항에 있어서, 각 안내핀(226)은 자체로 작업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팁.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안내핀(226)은, 공구(220)에 형성된 공동부(222)의 바닥을 통과하는 공구홀더(212)의 종결부(225)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팁.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어진 각도범위로 공구(1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팁.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구(120)는 탈착가능하고 교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팁.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구(120)는 공구홀더(112) 주위로 공구(120)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부착수단에 의해 팁의 본체(1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그 끝이 팁(100)의 공구홀더(112)에 형성된 보유지지수단(115)과 상호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1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팁.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구(120)는 공구홀더(112)의 끝을 위한 하우징을 형성하는 공동부(1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팁.
  10. 제9항에 있어서, 유연성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펠릿(126)이 공동부(122)의 바닥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팁.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작업영역(121)은 연마재료로 덮어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팁.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작업영역은 기계적으로, 화학적으로, 또는 열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팁.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작업영역(121)은 이행될 처리에 상응한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팁.
  14. 진동을 발생시키는 수술용 핸드피스(101)와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된 제1끝(111)과, 핸드피스에 의해 전달된 진동을 재생성하도록 된 공구홀더(112)가 고정되는 제2끝을 가진 본체(110)를 구비하고, 공구홀더(112)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공구(120)를 추가로 구비하는 진동팁(100)에 있어서,
    상기 공구(120)는 그 하부에 이 공구(120)의 침투깊이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핀(1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팁.
  15. 초음파 발생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술용 핸드피스를 구비하는 초음파 치과치료용 기구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팁(100;200;300)을 추가로 구비하는 초음파 치과치료용 기구.
KR1020077008910A 2004-10-20 2005-10-20 치과용 진동기구의 진동팁 KR101181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11129 2004-10-20
FR0411129A FR2876574B1 (fr) 2004-10-20 2004-10-20 Insert de taille pour appareil dentaire a vibrations
PCT/FR2005/050871 WO2006043007A1 (fr) 2004-10-20 2005-10-20 Insert de taille pour appareil dentaire a vibr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728A true KR20070083728A (ko) 2007-08-24
KR101181590B1 KR101181590B1 (ko) 2012-09-10

Family

ID=3494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910A KR101181590B1 (ko) 2004-10-20 2005-10-20 치과용 진동기구의 진동팁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202087B2 (ko)
EP (1) EP1833403B1 (ko)
JP (1) JP4812768B2 (ko)
KR (1) KR101181590B1 (ko)
CN (1) CN101065075B (ko)
BR (1) BRPI0517394A (ko)
CA (1) CA2584477C (ko)
ES (1) ES2566045T3 (ko)
FR (1) FR2876574B1 (ko)
HK (1) HK1109048A1 (ko)
WO (1) WO2006043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5671A1 (fr) * 2007-05-04 2008-11-07 Satelec Sa Insert ultrasonique de soulevement de membrane sinusienne
JP5876891B2 (ja) 2011-03-11 2016-03-02 ニクリス アーゲー 超音波エネルギー導入用ソノトロード
CN103462708B (zh) * 2013-09-26 2016-01-13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振动器
FR3024028B1 (fr) * 2014-07-23 2016-08-19 Patrick Lesage Instrument vibratoire a moyens perfectionnes de changement d'outil
CN104546187B (zh) * 2015-01-07 2017-01-04 华侨大学 一种旋转超声辅助磨牙机
CN105361960B (zh) * 2015-12-08 2017-11-28 桂林市啄木鸟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牙科手机及其制作方法
US20170333169A1 (en) * 2016-05-19 2017-11-23 Tram Quynh Hoang Scaler Tips and Implant Cleaning Inserts
ES2874156T3 (es) * 2019-03-07 2021-11-04 Ferton Holding Sa Elemento de punta para un dispositivo de tratamiento dental ultrasónico, sección de transformación de movimiento de tal dispositivo de tratamiento dental, dispositivo de tratamiento dental que tiene tal elemento de punta y dispositivo de tarjeta para verificar tal elemento de punta
EP3858286B1 (en) * 2020-01-28 2023-08-02 Ferton Holding S.A. Tool for a medical treatm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3175A (en) 1979-11-05 1981-08-11 Syntex (U.S.A.) Inc. Dental scaler having scaling tip with rounded edge work surfaces particularly suitable for circular or ellipsoidal patterns of vibration
US4289486A (en) * 1980-04-21 1981-09-15 Innovate, Inc. Pneumatic dental scaler
IT1221486B (it) * 1983-05-25 1990-07-06 Dott Riitano Francesco Strumento ondodontico rigido con anima guida interna per la rettificazione e l' alesaggio dei canali radicolare dentali
JPH0370233A (ja) * 1989-08-09 1991-03-26 Hitachi Ltd 電子掲示板装置
JPH0370233U (ko) * 1989-11-08 1991-07-15
DE4439410A1 (de) * 1994-11-04 1996-05-09 Kaltenbach & Voigt System zur Beseitigung eines Defektes an einem Zahn
DE19736240A1 (de) * 1997-08-20 1999-02-25 Kaltenbach & Voigt Medizinisches oder dentalmedizinisches Handstück mit einem Werkzeug zur spanabhebenden Bearbeitung
DE19736238A1 (de) * 1997-08-20 1999-02-25 Kaltenbach & Voigt Dentalmedizinisches Werkzeug zur Präparation eines Zahnes für eine Zahn-Krone
JPH11127246A (ja) 1997-10-21 1999-05-11 Seft Dev Lab Co Ltd 電話セールス自動評価システム
JPH11127247A (ja) 1997-10-24 1999-05-11 Oki Software Okayama:Kk 電話接続システムおよび電話接続方法
FR2773468B1 (fr) 1998-01-13 2000-04-21 Satelec Sa Societe Pour La Con Instrument dentaire a ultrasons destine au traitement des poches parodontales
WO2000057806A1 (en) * 1999-03-26 2000-10-05 Harrel Stephen K Abrasive tool having safe and active areas
US6910889B1 (en) * 2000-11-02 2005-06-28 San Diego Swiss Machining, Inc. Ultrasonic surgical dental tool having a rasp t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84477A1 (en) 2006-04-27
US8202087B2 (en) 2012-06-19
EP1833403B1 (fr) 2015-12-30
ES2566045T3 (es) 2016-04-08
FR2876574B1 (fr) 2007-11-02
JP2008516718A (ja) 2008-05-22
CN101065075B (zh) 2010-09-01
KR101181590B1 (ko) 2012-09-10
BRPI0517394A (pt) 2008-10-14
WO2006043007A1 (fr) 2006-04-27
US20090047623A1 (en) 2009-02-19
JP4812768B2 (ja) 2011-11-09
FR2876574A1 (fr) 2006-04-21
EP1833403A1 (fr) 2007-09-19
HK1109048A1 (en) 2008-05-30
CN101065075A (zh) 2007-10-31
CA2584477C (en) 201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590B1 (ko) 치과용 진동기구의 진동팁
CA2476390C (en) Dental instruments for use with ultrasonic handpieces
US20030096213A1 (en) Universal ultrasonic finishing instrument
JP3388545B2 (ja) 歯内の欠陥を除去する装置および挿入物またはそのような装置のための器具
KR101767285B1 (ko) 교체가능한 도구를 포함하는 진동 기구
JP2001514923A (ja) 医療用または歯科用器具およびこのような器具用のツール
EP4096565B1 (en) Tool for a medical treatment
EP2675388B1 (en) Endodontic burs and kits
US20230066307A1 (en) Tool for a medical treatment, tool tip, moving part and/or handpiece for such a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tool for a medical treatment
US6062858A (en) Medical or dental handpiece with a tool for processing by machining
US20020168611A1 (en) Ultrasonic surgical dental tool having a chisel tip
WO1994013220A1 (en) Endodontic apparatus for retrofill cavity preparation
US6186789B1 (en) Dental tool for preparing a tooth for a dental crown
JP6349526B2 (ja) 歯科用振動式ハンドピースのブラシホルダーの製造方法
JP2003325551A (ja) 歯科用スケーラーチ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歯科用スケーラー
EP4356866A1 (en) A tip holder, a tool tip and a medical tool
JPH0710735Y2 (ja) 超音波チゼル
JP3926787B2 (ja) 歯科用の歯牙研削のための研削バー
WO2024083763A1 (en) A tip holder, a tool tip and a medical tool
JP2019042303A (ja) チ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