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246A - 메주의 용도와 미용팩용 파우더 및 이를 이용한 미용팩용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주의 용도와 미용팩용 파우더 및 이를 이용한 미용팩용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246A
KR20070082246A KR1020060014809A KR20060014809A KR20070082246A KR 20070082246 A KR20070082246 A KR 20070082246A KR 1020060014809 A KR1020060014809 A KR 1020060014809A KR 20060014809 A KR20060014809 A KR 20060014809A KR 20070082246 A KR20070082246 A KR 20070082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smetic
pack
cosmetic pack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6441B1 (ko
Inventor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이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희 filed Critical 이진희
Priority to KR1020060014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441B1/ko
Publication of KR2007008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메주의 신규한 용도와 피부의 트러블을 방지함은 물론 각질제거와 영양공급으로 피부의 상태를 좋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미용팩용 파우더와 이를 이용한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메주의 신규한 용도는 미용팩용 파우더로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미용팩용 파우더는 메주파우더 50 ~ 70중량%와 보충제파우더 30 ~ 50중량%를 혼합하여서 되고, 상기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용팩용 파우더를 화장수나 물 같은 액체에 혼합하여서 만든 구성을 가지고, 피부발진 등의 피부 트러블이 없고 모공을 깨끗이 해 줌으로써 화장발이 좋고, 각질제거 효력이 있고 세척이 수월하다.
미용, 화장품, 미용팩, 파우더, 분말

Description

메주의 용도와 미용팩용 파우더 및 이를 이용한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Uses of framed soybean and powder for a cosmetic pack and composite for a cosmetic pack utilizing the powd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가 포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약 6g의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에 약 4cc(약 4g)의 물에 반죽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약 6g의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를 약 5cc의 물에 반죽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약 6g의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를 약 7cc의 물에 반죽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약 6g의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를 약 9cc의 물에 반죽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미용팩용 파우더와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부의 트러블을 방지함은 물론 각질제거와 영양공급으로 피부의 상태를 좋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미용팩용 파우더와 이를 이용한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안 등과 같이 신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닦거나 씻는 경우 다양한 세안수단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단들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주로 화학적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누, 바디샴푸, 폼크린싱크림, 각질제거용 화장품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세안수단들은 대부분 화학성분을 그 주성분으로 하여 피부 트러블이 발생 되고, 수분 또는 물에 의해 완전히 분해 되거나 정화되지 못하므로 인해 수질오염과 같은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세안수단들은 단순한 세안효과 만을 제공할 뿐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거나 좋은 상태로 유지할 수 없어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피부는 세포라는 단위체로 구성되어 있고, 세포는 세포막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상기 세포막이 손상될 경우 세포막의 기능을 원만히 수행할 수 없어 세포는 구조적, 기능적 손상을 입게 되어 피부의 손상 및 노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어 지는 데, 아름답고 탄력 있는 피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미용팩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제까지 상기와 같은 미용팩에 사용되는 화장료의 성분은 대개 인공 으로 합성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연약한 피부에 손상을 주거나 건강하고 윤택한 피부로 재생시키는 효과는 뒤떨어지는 실정이다. 또한 인공합성 미용팩 조성물은 심한 경우 피부발진이나,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매우 심각한 단점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최근 들어 많이 사용하는 황토팩의 경우 팩을 한 후에 잘 지워지지 않아 여러 번 씻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주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발진이나 알레르기 등 피부의 트러블을 방지하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며 각질제거는 물론 부드러운 피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미용팩용 파우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를 이용한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팩을 한 후에 잘 씻기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주의 새로운 용도는 미용팩용 파우더로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메주는 100 ~ 1000메쉬의 파우더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0 ~ 450메쉬 정도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는 미용팩용 파우더에 있어서, 메주파우더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미용팩용 파우더는 메주파우더 50 ~ 70중량%와 보충제파우더 30 ~ 50중량%를 혼합하여서 된 것이 좋다.
상기 보충제파우더는 곡물파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충제파우더는 밀파우더, 쌀파우더, 콩파우더, 보리파우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이 좋다.
상기 보충제파우더는 콩파우더 27 ~ 43중량% 김파우더 3 ~ 7중량%인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콩파우더는 검은콩의 콩파우더인 것이 가장 좋다.
상기 메주파우더는 60중량%, 상기 보충제파우더는 검은콩파우더 35중량%와 김파우더 5중량%로 이루어진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점착성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파우더 100g당 15g 안팎의 전분 을 더 추가할 수 있고, 또 경우에 따라 김파우더 대신에 전분이 추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를 화장수, 물, 우유, 요구르트 등의 액체에 혼합하여 만든 것이 좋다.
상기 미용팩용 파우더와 상기 액체의 혼합 중량비는 6:4 ~ 6:9 정도로 하면 되고, 경우에 따라 6:9 이상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미용팩용 파우더와 상기 액체의 혼합 중량비는 6: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가 상기와 같은 발명하게 된 동기는 수년 전 불의의 사고로 얼굴에 화상을 입은 후에, 피부회복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생각해오다가 옛날 조상들이 신체에 상처가 났을 때 된장을 붙여 치료하는 데 착안하여 메주를 이용하여 수년간 얼굴에 팩을 해오는 과정에서 메주가 미용에 큰 효과가 있음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메주가 미용에 큰 효과가 있음을 알고부터 일반인들이 큰 부담 없이 미용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여러 가지를 재료파우더를 메주파우더와 섞어서 친척과 주위 사람들 그리고 찜질방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사용해보게 하였다. 주변에서 사용해본 사람들의 반응은 의외로 좋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제품을 개발하게 되었다.
먼저, 메주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주 재료로 사용되는 메주를 만드는 방법은 콩을 삶아서 원하는 형상으로 만든 후 볏짚으로 묶어 매달아 두어 두세 달 동안 숙성시킨다. 이 때 볏짚에서 곰팡이나 효모, 세균 등의 미생물들이 옮겨와 메주에서 번식한다. 메주의 표면에는 털곰팡이나 거미줄 곰팡이 같은 곰팡이들이 주로 번식한다. 메주의 향과 영양가를 주로 결정하는 발효균은'고초균'이라 불리는 바실리스 속 세균이다. 세균들은 주로 메주 안에서 번식한다. 고초균은 단백질 분해 효소 등 여러 가지 효소들을 분비하여 영양분과 향을 형성한다.
예로부터 전해져 오는 고문헌에는"된장은 성질이 차고 맛이 짜며 독이 없어서 해독, 해열에 사용되며 독벌레나 뱀, 벌에 물리거나 쏘여 생기는 독을 풀어 주 고, 화상이나 머리의 타박상에 바르면 치료효과가 있다"라는 말이 있다. 된장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치료효능은 메주속 고초균이 분비하는 서브틸리신(subtilisin)이라는 항생 물질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메주를 주재료로 하여 만드는 것으로, 피부 소독과 모공청소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피부 소독기능을 앞에서 언급한 서브틸리신(subtilisin)이라는 항생 물질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모공청소의 기능은 발효된 메주에 포함된 털곰팡이, 거미줄 곰팡이 및 기타 유기물에 액체가 가해짐에 의해 점성을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재료로 사용되는 생콩의 파우더에는 사포닌과 레시틴 성분이 많은데, 사포닌은 피부를 맑고 깨끗하게 만들고 레시틴은 피부를 윤기 나게 하는 작용을 한다. 특히 검은콩에 있는 천연 토코페롤(비타민 E) 성분은 피부를 탄력 있게 해주며, 자외선으로 인한 기미 및 주근깨를 없애주고, 검은콩에 있는 아연은 피부가 손상되었을 때 복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부재료로 사용되는 김파우더는 피부에의 접착력을 높여주고 피부에 바른 후 건조되는 과정에서 수축력이 크기 때문에 피부를 조여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를 깨끗이 씻은 후 물에 적당량 개어서 눈을 제외한 필요한 부분에 도포하여 팩을 실시하면 된다. 통상 6g 정도의 파우더에 약 4 ~ 9cc정도의 물을 가하여 반죽하여 사용하면 된다. 반죽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식물성이기 때문에 약간의 냄새가 날 수 있으나, 우려할 정도는 아니며 팩을 하다가 냄새가 싫은 경우 미온수로 씻으면 금방 해소된다. 팩을 하는 도중에 피부가 약간 따금 거릴 수 있다.
팩을 한 후 5 ~ 15분 지난 후 미온수로 깨끗이 씻으면 팩이 깨끗이 지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를 이용하는 경우 3일에 한번 정도 팩을 해주면 효과가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가 포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를 나타낸 사진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메주를 주재료로 한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번 사용하기에 적당한 양을 종이팩에 담아서 시중에 유통시킬 수 있다. 물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미용팩용 파우더를 큰 밀폐용기 등에 담고 1회 사용하기에 적당한 량을 표기하여 유통시킬 수 있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비닐로 된 지퍼백 등에 담아서 유통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약 6g의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에 약 4cc(약 4g)의 물에 반죽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으로, 팩을 하기에는 수분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런대로 팩을 할 수 있는 상태였다.
도 4는 약 6g의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를 약 5cc의 물에 반죽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으로, 피부에의 부착성 등이 팩을 하는 데 적정한 상태이다.
도 5는 약 6g의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를 약 7cc의 물에 반죽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으로, 큰 불편 없이 팩을 할 수 있는 상태이다.
도 6은 약 6g의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를 약 9cc의 물에 반죽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으로, 다소 수분이 많아 약간 질척한 상태이지만 팩은 할 수는 있는 상태이다.
약 6g의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에 9cc 이상의 물에 반죽하는 경우 파우더가 서로 뭉치지 않고 흩어져 묽은 죽처럼 되는 데, 이 경우에는 붓을 이용해 얼굴에 도포하여 팩을 할 수 있다.
상기의 사항들을 참고해볼 때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는 물 등의 액체와 중량비로 6:5 ~ 6:6이 적당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렇지만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와 액체의 중량비를 6:4 ~ 6:9까지, 더 나아가서는 6:9 이상으로 묽게 하여 붓 등의 보조도구를 이용해 팩을 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메주를 분쇄하여 메주파우더를 만든 후 만들어진 메주파우더를 밀파우더와 50:50(파우더 1), 60:40(파우더 2), 70:30(파우더 3)으로 각각 혼합한 것에 물을 중량대비 6 : 5로 가하여 반죽하였다.
표 1.
비고 평가항목 비교예보다 나쁘다 비교예와 비슷하다 비교예보다 좋다 비교예보다 월등히 좋다
파우더 1 피부트러블 - 3 3 4
각질제거 - 4 5 1
피부상태 1 4 2 3
세척성 - - - 10
파우더 2 피부트러블 - 4 3 3
각질제거 - 3 4 3
피부상태 - 5 3 2
세척성 - - - 10
파우더 3 피부트러블 - 5 3 2
각질제거 1 5 3 1
피부상태 - 6 2 2
세척성 - - - 10
실험예 1.
표 1.과 같은 형태의 양식을 나누어주고, 상기 반죽한 것들과 시중에서 구매한 타사의 미용팩(비교예, 황토팩)을 같은 조건에서 25세 ~ 60세 여성 10명에게 각각 사용해보게 한 후, 파우더 1 ~ 3과 비교예의 피부트러블, 각질제거, 피부상태, 사용 후 피부에서의 세척성에 대한 상태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는 위의 표 1.과 같다.
그 외의 사용해본 후의 소감은 팩 도중에 약간의 냄새가 나고 피부가 약간 따금 거린다는 사람이 있었다.
실시예 2.
메주를 분쇄하여 메주파우더를 만든 후 만들어진 메주파우더를 쌀파우더와 50:50(파우더 4), 60:40(파우더 5), 70:30(파우더 6)으로 각각 혼합한 것에 물을 중량대비 6 : 5로 가하여 반죽하였다.
표 2.
비고 평가항목 비교예보다 나쁘다 비교예와 비슷하다 비교예보다 좋다 비교예보다 월등히 좋다
파우더 4 피부트러블 - 4 3 3
각질제거 - 4 4 2
피부상태 1 3 3 3
세척성 - - - 10
파우더 5 피부트러블 - 4 3 3
각질제거 - 4 3 3
피부상태 - 3 3 4
세척성 - - - 10
파우더 6 피부트러블 - 4 3 3
각질제거 1 3 3 3
피부상태 - 4 3 3
세척성 - - - 10
실험예 2.
상기 파우더 4 ~ 6의 반죽 한 것들과 시중에서 구매한 타사의 미용팩(비교예, 황토팩)을 같은 조건에서 25세 ~ 60세 여성 10명에게 각각 사용해보게 한 후, 파우더 4 ~ 6과 비교예의 피부트러블, 각질제거, 피부상태 및 사용 후 피부에서의 세척성에 대한 상태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는 위의 표 2.와 같다.
실시예 3.
메주를 분쇄하여 메주파우더를 만든 후 만들어진 메주파우더를 생콩의 콩파우더와 50:50(파우더 7), 60:40(파우더 8), 70:30(파우더 9)으로 각각 혼합한 것에 물을 중량대비 6 : 5로 가하여 반죽하였다.
실험 예3.
상기 파우더 7 ~ 9의 반죽한 것들과 시중에서 구매한 타사의 미용팩(비교예)을 같은 조건에서 25세 ~ 60세 여성 10명에게 사용해보게 한 후, 파우더 7 ~ 9와 비교예의 피부트러블, 각질제거, 피부상태 및 사용 후 피부에서의 제거성에 대한 상태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표 3.
비고 평가항목 비교예보다 나쁘다 비교예와 비슷하다 비교예보다 좋다 비교예보다 월등히 좋다
파우더 7 피부트러블 - 2 4 4
각질제거 - 3 5 2
피부상태 - 2 3 5
세척성 - - - 10
파우더 8 피부트러블 - 3 3 4
각질제거 - 3 4 3
피부상태 - 2 4 4
세척성 - - - 10
파우더 9 피부트러블 - 3 3 4
각질제거 - 5 2 3
피부상태 - 4 3 3
세척성 - - - 10
실시예 4.
메주를 분쇄하여 메주파우더를 만든 후 만들어진 메주파우더를 검은 생콩의 콩파우더와 김파우더를 50:43:7(파우더 10), 60:35:5(파우더 11), 70:27:3(파우더 12)으로 각각 혼합한 것에 물을 중량대비 6 : 5)로 가하여 반죽하였다.
실험예 4.
상기 파우더 10 ~ 12의 반죽한 것들과 시중에서 구매한 타사의 미용팩(비교예, 황토팩)을 같은 조건에서 25세 ~ 60세 여성 10명에게 각각 사용해보게 한 후, 파우더 10 ~ 12와 비교예의 피부트러블, 각질제거, 피부상태 및 사용 후 피부에서의 제거성에 대한 상태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는 아래의 표 4.과 같다.
표 4.
비고 평가대상 비교예보다 나쁘다 비교예와 비슷하다 비교예보다 좋다 비교예보다 월등히 좋다
파우더 10 피부트러블 - 2 3 5
각질제거 - 2 3 5
피부상태 - 2 2 6
세척성 - - - 10
파우더 11 피부트러블 - - 2 8
각질제거 - 1 2 7
피부상태 - 1 2 7
세척성 - - - 10
파우더 12 피부트러블 - 2 3 5
각질제거 - 3 2 5
피부상태 - 3 3 4
세척성 - - - 10
상기의 실시예들에 따른 각 실험예들에서 메주파우더에 보충제파우더로 밀파우더나 쌀파우더 또는 콩파우더와 같은 곡물파우더를 사용하더라도 비교예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특히 보충제파우더에 김파우더를 3 ~ 7중량% 첨가한 것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보리파우더 등 기타의 곡물파우더도 밀파우더, 쌀파우더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곡물들 중에서는 콩파우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콩파우더로는 검은콩으로 만든 것이 좋다.
메주는 소독과 모공청소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콩파우더로는 생콩의 파우더를 사용하였는데, 생콩의 파우더는 피부를 매끄럽고 부드럽게 하며 김파우더는 조여 주는 역할을 하며 점착성을 좋게 하여준다.
그리고 위 실험예들에서는 파우더와 액체의 혼합비를 6:5로 하였지만, 미용팩에 화장료 조성물을 얇은 두께로 도포하여 사람의 얼굴에 부착했을 때 화장료 조 성물이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의 점성을 가지도록 하면 되므로 혼합비는 사용자가 적절히 알아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제비를 만들 때의 밀파우더 반죽정도로 하면 된다. 즉, 파우더에 첨가되는 물, 우유, 요구르트, 일반 물 등 액체의 양은 중량대비 6:4 ~ 6:9 정도까지 하면 되고, 경우에 따라 6:9 이상으로 하여도 된다.
그리고 파우더의 입도는 약 100메쉬에서 1000메쉬까지 사용될 수 있고, 약 250 ~ 450메쉬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본 발명자가 여러 차례 메주가루를 푼 물에 머리를 감아본 결과 비듬제거에도 효과가 있으며 머릿결이 살아나는 효과도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주성분인 메주의 재료로 이용되는 콩에는 사포닌과 레시틴 성분이 많은데, 사포닌은 피부를 맑고 깨끗하게 만들고 레시틴은 피부를 윤기 나게 하는 작용을 한다. 특히 검은콩에 있는 천연 토코페롤(비타민 E) 성분은 피부를 탄력 있게 해주며, 자외선으로 인한 기미 및 주근깨를 없애주고, 검은콩에 있는 아연은 피부가 손상되었을 때 복구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에 의하면, 피부가 소독 되고, 모공이 깨끗해짐으로써 화장발이 좋고, 각질제거 효력이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를 물에 미량 첨가하여 세안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는 무색소, 무방부제의 100% 천연 식물성 웰빙 파우더로 만들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미용팩을 사용하는 경우, 피부를 부드럽게 하면서 탄력을 증대시켜준다.
천연곡물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트러블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적절한 각질제거 효과와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여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제품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 후 물에 의해 완전히 분해 되거나 정화되어 수질오염 및 환경오염을 초래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파우더를 푼 물에 머리를 감는 경우 비듬제거 효과, 머릿결이 살아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3)

  1. 메주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메주를 미용팩용 파우더로 이용하는 용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주는 100 ~ 1000메쉬의 파우더상태로 하여 미용팩용 파우더로 이용하는 용도.
  3. 미용팩용 파우더에 있어서,
    메주파우더를 포함하는 미용팩용 파우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팩용 파우더는 메주파우더 50 ~ 70중량%와 보충제파우더 30 ~ 50중량%를 혼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용 파우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제파우더는 곡물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용 파우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제파우더는 밀파우더, 쌀파우더, 콩파우더, 보리파우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용 파우 더.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제파우더는 밀파우더, 쌀파우더, 콩파우더, 보리파우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 27 ~ 43중량% 김파우더 또는 전분 3 ~ 7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용 파우더.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제파우더는 콩파우더 27 ~ 43중량% 김파우더 3 ~ 7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용 파우더.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콩파우더는 검은콩의 콩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용 파우더.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주파우더는 60중량%, 상기 보충제파우더는 검은콩파우더 35중량%와 김파우더 5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용 파우더.
  11. 제 3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미용팩용 파우더를 화장수, 물, 우유, 요구르트 등의 액체에 혼합하여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팩용 파우더와 상기 액체의 혼합 중량비는 6: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팩용 파우더와 상기 액체의 혼합 중량비는 6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14809A 2006-02-15 2006-02-15 메주의 용도와 미용팩용 파우더 및 이를 이용한 미용팩용화장료 조성물 KR100776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809A KR100776441B1 (ko) 2006-02-15 2006-02-15 메주의 용도와 미용팩용 파우더 및 이를 이용한 미용팩용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809A KR100776441B1 (ko) 2006-02-15 2006-02-15 메주의 용도와 미용팩용 파우더 및 이를 이용한 미용팩용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246A true KR20070082246A (ko) 2007-08-21
KR100776441B1 KR100776441B1 (ko) 2007-11-28

Family

ID=3861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809A KR100776441B1 (ko) 2006-02-15 2006-02-15 메주의 용도와 미용팩용 파우더 및 이를 이용한 미용팩용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4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90B1 (ko) * 2008-03-10 2009-03-19 우희경 검은콩 분말이 함유된 흑비누의 제조방법
CN104083306A (zh) * 2014-07-22 2014-10-08 颜亚秀 一种用于清洁油污的豆粉及其使用方法
KR20200053296A (ko) * 2018-11-08 2020-05-18 백희순 곡물팩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815A (ja) 1996-12-17 1998-06-30 Shiga Yoko 酵素化粧品
KR19990053080A (ko) * 1997-12-23 1999-07-15 서경배 대두배양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072652A (ja) 1998-08-21 2000-03-07 Tetsuya Koga 納豆菌化粧料
KR100538536B1 (ko) * 2002-11-22 2005-12-22 주식회사 다사랑 함초가 혼합된 미용팩 제조방법
KR100606463B1 (ko) * 2003-05-02 2006-07-31 유미숙 천연 피부 미용 해독 곡물팩 및 그 제조방법
KR100810006B1 (ko) * 2004-02-06 2008-03-07 오중산 대두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041135A (ko) * 2004-11-08 2006-05-11 대경비엔티 (주) 청국장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066230A (ko) * 2004-12-13 2006-06-16 김진영 천연곡물 세안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90B1 (ko) * 2008-03-10 2009-03-19 우희경 검은콩 분말이 함유된 흑비누의 제조방법
CN104083306A (zh) * 2014-07-22 2014-10-08 颜亚秀 一种用于清洁油污的豆粉及其使用方法
KR20200053296A (ko) * 2018-11-08 2020-05-18 백희순 곡물팩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6441B1 (ko)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963B1 (ko)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US7235266B2 (en) Facial pack and bathing compositions based on Hwangto (Korean loess) and preparation thereof
CN104434741A (zh) 黑枸杞面膜
JPH1045615A (ja) 植物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CN106466291B (zh) 一种含有谷物发酵物的无泡皮肤清洁产品及其制备方法
US20040126342A1 (en) Self-tanning composition in sheeted substrate
KR100776441B1 (ko) 메주의 용도와 미용팩용 파우더 및 이를 이용한 미용팩용화장료 조성물
KR101565716B1 (ko) 천연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3383B1 (ko) 동결건조분말을 이용한 거즈형 마스크 팩
JP2000159628A (ja) 顆粒配合化粧料組成物
KR101261800B1 (ko) 누룩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4306B1 (ko) 세안용 스킨 파우더 조성물의 제조 방법
RU2500380C1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Dea vita"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И ТЕЛА
WO2011145765A1 (ko) 항균 및 항진균 효과가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70060627A (ko) 쌀겨를 이용한 자연 맛사지 팩 조성물
KR101731420B1 (ko)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12076144A (zh) 一种柔和肌肤面部清洁粉及其制备方法
KR100931985B1 (ko) 표고버섯 및 표고버섯 청국장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211823B1 (ko) 피부세정제
KR20030010940A (ko) 세안제 및 그 제조방법
CN112156029A (zh) 一种山茶控油除螨氨基酸洁面慕斯及其制备方法
KR20070074005A (ko)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JP2004155684A (ja) 化粧料
KR100809488B1 (ko)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의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의 제조방법
CN105456078B (zh) 一种杜仲去角质磨砂粒子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