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707A - 패각을 이용한 풋스크럽제 또는 크림 - Google Patents

패각을 이용한 풋스크럽제 또는 크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707A
KR20200099707A KR1020190017617A KR20190017617A KR20200099707A KR 20200099707 A KR20200099707 A KR 20200099707A KR 1020190017617 A KR1020190017617 A KR 1020190017617A KR 20190017617 A KR20190017617 A KR 20190017617A KR 20200099707 A KR20200099707 A KR 20200099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shell
cream
scrub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김정원
한동주
고범석
손희진
송영란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9707A/ko
Publication of KR20200099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각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버려지는 패각을 자원으로 활용하며, 해양오염을 일으키는 마이크로비즈를 대체하여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화장료의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각을 이용한 풋스크럽제 또는 크림{Footscrub or cream with shells}
본 발명은 패각을 이용하는 풋스크럽제 또는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최외각에 위치한 각질층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에 대한 피부 및 신체를 보호하는 것이다. 각질층의 구성은 케라틴이라 불리는 단백질, 지방, 수용성 물질 및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피부 속에서 성장하는 피부세포는 각질층으로 올라오면서 각질세포를 형성하고, 생성과 탈락을 반복한다. 이러한 과정을 각질 턴오버(turnover)라고 하는데 나이가 들수록 또는 자외선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이 각질 턴오버가 정상적인 주기로 떨어져 나가지 못하는 되는 과각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과각화된 각질층으로 인하여 피부톤이 일정하지 않고, 피부가 거칠고 칙칙하게 보이게 되고, 화장이 고르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각질 제거용 화장료들이 개발되고 있다. 스크럽제는 물리적 각질제거제의 일종으로, 피부를 문지를 때 그 안에 함유되어 있는 스크럽 입자가 피부에 균일한 자극을 주어 피부의 노후 된 각질을 제거하여 각질층이 두터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필링(peeling)효과를 가진다. 종래의 스크럽제는 주로 마이크로비드((microbeads)를 사용하고 있다.
마이크로비즈는 화장품 및 생활용품 원료로 사용되는 작은 미세 플라스틱 알갱이로, 주로 각질 제거 등의 박피 용도로 쓰인다. 마이크로 비즈는 주로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지만,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스틸렌과 같은 석유화학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마이크로비즈는 분해가 되지 않으며, 입자가 너무 미세하여 하수 처리 시설에서 하수 슬러지 중에 포착되지 않고 처리 완료된 액의 방류를 통해 하천이나 호수와 늪, 바다 등의 자연 환경 중에 방출된다. 자연 환경 중에 방출된 마이크로비즈는 환경 중에 존재하는 각종 화학 오염 물질을 흡착한다. 화학 오염 물질을 흡착한 마이크로비즈는 수생 생물에 의해 음식으로 착각되어 수생 생물의 체내에 들어간다. 이렇게 하여 마이크로비즈는 먹이 사슬에 파고들어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패각 분말 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풋스크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크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나의 양태로 패각 분말 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패각 분말을 전체조성물 중 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패각”은 조개류의 껍데기로, 상기 패각은 전복, 소라, 굴, 꼬막, 가리비 등의 다양한 조개의 껍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굴 껍데기 파우더를 이용하여 스크럽제를 제조하였으며, 가리비 껍데기 파우더를 이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패각은 굴 또는 가리비 껍데기일 수 있다.
상기 패각 분말이 전체 조성물의 5 중량% 미만인 경우 각질제거 효과가 미비하며, 30 중량% 초과인 경우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굴 껍데기를 16.11 중량%로 포함하여 스크럽제를 제조하였으며, 굴 껍데기 파우더의 입자가 고와 종래의 스크럽제 보다 피부 손상이 적고, 사용감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크럽제로 이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풋스크럽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각은 진주에서 얻어지는 경단백질의 일종인 콘키올린(Conchiolin)을 포함한다. 상기 콘키올린은 피부 보습 및 미백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패각 파우더를 이용하면, 진주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패각은 항염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패각 파우더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로오션, 밤(balm), 왁스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나의 다른 양태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풋스크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풋스크럽”은 발의 각질 제거용도로 이용되는 화장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풋스크럽은 패각 파우더를 포함하여 물리적으로 각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굴 껍데기 파우러를 이용하여 풋 스크럽제를 제조하였다. 굴 껍데기 파우더를 정제수와 혼합 후 글리세린과 카올린을 넣고 굳지 않도로 계속 저어 주었다. 그 후 AHA를 첨가하여 굴 파우더와 반응시키며, 이때 발생하는 기포를 배출시키고, 기포 배출이 완료된 후 나머지 성분을 비율이 큰 순서대로 첨가하여 혼합하여 주었다.
구체적으로 흑설탕, 구연산, 히알루론산, 티타늄디옥사이드, 스쿠알란, 나프리(보존제), 에칠 헥실 글리세린, 상온점증유화제, 아로마오일(페퍼민트, 티트리), 카보머, 알란토인를 첨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풋스크럽은 굴 껍데기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풋스크럽은 흑설탕, 구연산, 히알루론산, 티타늄디옥사이드, 스쿠알란, 나프리(보존제), 에칠 헥실 글리세린, 상온점증유화제, 아로마오일(페퍼민트, 티트리), 카보머, 알란토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나의 다른 양태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크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크림은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패각을 포함하여 항염증 효과를 가진다. 또한 패각이 피부 보습 및 미백효과를 가지는 콘키올린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피부 보습 또는 미백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리비 껍데기 파우더를 포함하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패각은 가리비 껍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마이크로비즈를 대체하여 패각을 이용하는 풋스크럽과 패각의 항염 효과를 이용하는 크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풋스크럽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비즈를 대체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종래에 버려지는 패각을 활용하여 생산단가를 절감한다.
또한 패각이 진주의 콘키올린과 유사한 성분을 포함하여, 생산단가가 낮으며, 효과가 우수한 항염증용 크림으로 화장료 산업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럽제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럽제와 크림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럽제를 혼합하는 과정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1> 굴 껍데기 파우더를 포함하는 스크럽제의 제조
굴(모려) 파우더 16.11g과 정제수 9.47g을 혼합한 후, 글리세린 21.86g과 카올린(Kaolin) 14.57g을 넣는다. 이 때 혼합물의 굳지 않도록 계속 저어주었다.
여기에 AHA 4.37g을 추가한다. 굴 파우더와 AHA가 혼합되면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계속 저어주면 공기층을 배출시켰다.
이후 표 1의 나머지 성분을 비율이 큰 순서대로 차례로 넣어 혼합하여 스크럽제를 제조하였다.
최종 완성된 스크럽제는 종래의 스크럽제(마이크로비즈) 보다 입자가 고우며, 텍스쳐가 부드러워 사용시 피부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굴 껍데기 파우더를 포함하는 스크럽제의 조성
성분명 비율(중량%)
굴 파우더 16.11
흑설탕 16.11
유기농 글리세린 21.86
티트리 아로마 오일 0.29
정제수 9.47
상온점증유화제 0.44
AHA 4.37
구연산 4.37
나프리(보존제) 1.46
에칠 헥실 글리세린 0.44
카올린 14.57
티타늄디옥사이드 2.91
알란토인 0.01
히알루론산 4.37
알로에 추출물 0.29
카보머 0.01
스쿠알란 2.91
100
<실시예2> 가리비 파우더를 포함하는 크림 조성물
먼저 요소 8.55g과 정제수 8.55g을 혼합하여 녹을 때 까지 잘 저어주었다. 다음으로 가열이 가능한 용기에 정제수 22.22g, 글리세린 23.08g, 라눌리니버터 5.13g, 세티아르알콜 3.42g, 시어버터 2.56g, 호호바 오일 2.56g, 타마누 오일 1.71g, 비즈왁스 1.71g, 올리브유화왁스 1.71g, 스테아린산 1.71g, 천연비타민E 0.85g을 넣어 섞으며 가열하였다.
** 초기에는 높은 온도 가열하고, 점차 녹으면 저온으로 처리하여 열원에서 용기를 내려 잔열을 이용하여 녹여주며, 과열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상기에서 녹은 혼합물을 유화를 위해 블렌더로 혼합하고, 기포가 없어질 때 까지 블렌더는 스푼을 이용하여 저어주었다.
기포가 없는 상태로 혼합하여, 크림 제형과 색이 나오면, 상기에서 제조한 요소와 정제수 혼합용액, 보존제, 에센셜 오일(페퍼민트, 라벤더, 캐모마일로먼, 레몬그라스)을 첨가하고, 가리비 파우더를 넣고 섞어주었다.
**상기 에센셜 오일은 기호에 따라 상기에 기재된 오일 외의 다른 오일을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블렌더로 상기의 혼합물을 잘 혼합하고 크림제형이 되면 스푼으로 저어 주었다.
가리비 파우더를 포함하는 크림 조성물
성분명 비율(중량%)
정제수 22.22
글리세린 23.08
식물성 라놀리니버터 5.13
세티아르알콜 3.42
시어버터 2.56
호호바 오일 2.56
타마누오일 1.71
비즈왁스 1.71
올리브유화왁스 1.71
스테아린산 1.71
천연비타민E 0.85
요소+정제수(1:1 중량비) 17.09
보존제 0.85
페퍼민트 에센셜 오일 4.27
라벤더 에센셜 오일 4.27
캐모마일로먼 에센셜 오일 1.71
레몬 그라스 에센셜 오일 0.85
가리비 파우더 4.27
100.00

Claims (4)

  1. 패각 분말 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서,
    상기 패각은 굴 껍데기 또는 가리비 껍데기인 스크럽제 조성물.
  3. 제 1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풋스크럽.
  4. 제 2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크림.
KR1020190017617A 2019-02-15 2019-02-15 패각을 이용한 풋스크럽제 또는 크림 KR20200099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617A KR20200099707A (ko) 2019-02-15 2019-02-15 패각을 이용한 풋스크럽제 또는 크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617A KR20200099707A (ko) 2019-02-15 2019-02-15 패각을 이용한 풋스크럽제 또는 크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707A true KR20200099707A (ko) 2020-08-25

Family

ID=7224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617A KR20200099707A (ko) 2019-02-15 2019-02-15 패각을 이용한 풋스크럽제 또는 크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97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7686C1 (ru) * 2021-06-29 2022-03-18 Алекс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рещеновский Косметический крем-скраб (вариант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7686C1 (ru) * 2021-06-29 2022-03-18 Алекс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рещеновский Косметический крем-скраб (вариант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7170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4280341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4488560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4143223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15517564A (ja) 組成物
WO2021111065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triphasique
JP4658631B2 (ja) 入浴剤組成物
CA2745143A1 (en) Compositions having a plurality of discrete emulsions
JP2003277223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皮膚弾力性維持化粧料。
WO2009095341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lycogen for skin application with velvet effect
US6210694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harcoal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5912397B2 (ja) 化粧液,化粧液の製造方法及び化粧方法
KR20200099707A (ko) 패각을 이용한 풋스크럽제 또는 크림
KR20190080429A (ko)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4002517A (ja) 生姜成分を含む石鹸の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83356A (ja) フィコシアニ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ことを特徴とする化粧料
RU2232587C1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на основе аквагомогената икры осетровых рыб или на основе аквагомогената икры лососевых рыб, или на основе комплекса аквагомогената икры осетровых и лососевых рыб (варианты)
KR101405314B1 (ko) 스킨로션 제조방법
KR20150073138A (ko) 나노공법을 적용한 클로렐라와 천연유황을 이용한 화장료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JP2001019611A (ja) 皮膚外用組成物
JP3976930B2 (ja) 化粧料
KR100839791B1 (ko) 야간위장용 크림의 조성물
KR20170096842A (ko) 불가사리로부터 피부 재생 인자 및 세포 성장 인자의 추출 방법 및 이의 응용
JP2006045236A (ja) 血行促進剤
JP2011026223A (ja) 皮膚外用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