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429A -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429A
KR20190080429A KR1020170182868A KR20170182868A KR20190080429A KR 20190080429 A KR20190080429 A KR 20190080429A KR 1020170182868 A KR1020170182868 A KR 1020170182868A KR 20170182868 A KR20170182868 A KR 20170182868A KR 20190080429 A KR20190080429 A KR 20190080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salmon
skin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6334B1 (ko
Inventor
황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린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린테크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린테크노
Priority to KR1020170182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3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어껍질로부터 추출한 연어 콜라겐을 이용하여 인체에 안전하고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연어의 껍질로부터 분리된 연어 콜라겐을 함유하며,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collagen derived from salmon skin}
본 발명은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어껍질로부터 추출한 연어 콜라겐을 이용하여 인체에 안전하고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피부란 피부의 표면이 매끈하고 윤기가 있어야 하고, 피부에 닿았을 때 부드럽고 연한 느낌이 있고, 피부에 탄력과 팽팽한 감이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혈액순환이 좋아 화색이 돌아야 한다.
피부를 정상적으로 보호하고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운동과 영양 섭취, 적절한 휴식, 자신의 피부에 맞는 피부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피부는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고, 같은 연령, 같은 피부유형이라도 개개인이 처한 내적, 외적인 환경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일예로, 음주, 식습관, 흡연, 오염된 환경의 노출,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 노출, 각종 스트레스 및 계절적 요인 등으로 인하여 피부에 심각한 영향을 주어 피부 기능이 저하되고 심지어는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등 심각한 상태에 이르는 사례가 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피부 상태를 호전 혹은 유지시킬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욕구심리는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콜라겐은 동물 체내에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단백질로서 체단백질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며, 최소 19종류(TypeⅠ-ⅩⅨ) 이상인 것으로 밝혀져 있다(Nakamura, Y.N. et al., Relationship among collagen amount, distribution and architecture in the M. Longissimus thoracis and M. pectoralis profundus from pigs. Meat Science, 64, pp 43-50, 2003). 또한, 콜라겐은 동물의 결합조직의 주요 단백질이며, 조직이나 장기를 지탱하게 하고 체표를 둘러싸고 있어 체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생체에서 피부, 연골, 뼈 등의 결합조직의 주요한 구성성분으로 40%는 피부, 20%는 뼈와 연골, 그 외 혈관과 내장 등 전신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콜라겐은 예전부터 피혁이나 젤라틴의 원료로서 응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그 응용분야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콜라겐은 식품, 의약품의 기능성 소재로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보습성을 높이는 기능이 있어 화장품의 기초 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콜라겐은 주로 소, 돼지 등 육상동물로부터 유래된 것이었으나 육상동물의 각종 질병 및 유해 바이러스 등에 의한 부작용 또는 감염의 우려가 있다. 반면에 해양유래 콜라겐은 분류학상 육상동물과 거리가 멀어 위험요소가 거의 없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변성이 일어나고 분자량이 소, 돼지, 닭과 유사하여 그 응용성이 매우 높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942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926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9119호 등에는 해양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연어로부터 추출된 해양유래 콜라겐의 예는 없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9423호: 어피 유래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9263호: 천연 식물 발효 추출물 및 해양 유래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9119호: 안면 피부 온도를 낮추어 미백 효과를 내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연어껍질로부터 추출한 연어 콜라겐을 이용하여 인체에 안전하고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연어의 껍질로부터 분리된 연어 콜라겐을 함유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오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에센스는 허브워터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증제 0.1 내지 2중량부와, 아데노신 2 내지 10중량부와, 상기 연어 콜라겐 1 내지 8중량부와, 보습제 2 내지 10중량부와, 히알루론산 0.5 내지 4중량부와, 트레할로스 0.5 내지 4중량부와, 스쿠알란 0.5 내지 2중량부와, 방부제 3 내지 5중량부와, 에센셜오일 2 내지 6중량부를 함유한다.
상기 연어 콜라겐은 연어 껍질을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을 수득한 다음, 알칼리와 산을 가해 콜라겐을 추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어껍질로부터 추출한 해양유래의 연어 콜라겐을 이용함으로써 인체에 안전하면서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폐기되는 어류 부산물인 연어 껍질을 원료로 이용하므로 수급이 용이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소각막을 이용한 안점막자극시험(BCOP test)의 시험성적결과이고,
도 2는 유정란을 이용한 안점막자극 대체시험(HET-CAM assay)의 시험성적결과이고,
도 3은 인공피부를 이용한 피부자극시험의 시험성적결과이고,
도 4는 콜라겐 생성시험의 시험성적결과이고,
도 5 및 도 6은 Antera 3D를 이용하여 관찰한 피부주름 양의 변화와 개선율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 및 도 8은 Antera 3D를 이용하여 관찰한 피부주름 최대깊이 값의 변화와 개선율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해양유래 콜라겐을 함유한다. 해양유래 콜라겐으로 연어의 껍질로부터 분리된 연어 콜라겐을 이용한다.
연어 콜라겐은 시중에서 상업화된 제품을 구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연어 콜라겐은 연어의 껍질로부터 직접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추출의 일 예로 연어 껍질을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전처리단계와, 알칼리와 산을 이용하여 분말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하는 추출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연어 껍질을 수분 함량 2 내지 7중량%로 건조시킨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연어껍질 분말을 수득한다. 가령 50 내지 150메쉬 입도 크기로 분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어껍질 분말과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1:5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실온(20~25℃)에서 12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한다. 원심분리를 통해 하부에 침전된 알칼리잔사를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알칼리잔사를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알칼리잔사와 초산용액을 1:5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실온(20~25℃)에서 12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한다.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 즉 산 가용화 콜라겐을 수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산가용화 콜라겐에 펩신을 가하여 실온(20~25℃)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한다.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 즉 펩신 가용화 콜라겐을 수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펩신가용화콜라겐에 염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콜라겐을 침전시킨 후 필터로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연어 콜라겐을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순도의 연어 콜라겐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정제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정제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연어 콜라겐을 0.01 내지 30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콜라겐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주름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함량에 비해 상승된 효과를 가지기 어렵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각종 공지의 성분 등을 추가하여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파우더, 메이컵베이스, 파운데이션, 바디오일, 바디로션, 클렌징오일, 클렌징폼, 헤어오일, 헤어샴프 및 헤어린스, 비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 팩인 경우 공지의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롤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인 경우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비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스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롤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세정제인 경우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에센스일 경우 허브워터, 점증제, 아데노신, 보습제, 히알루론산, 트레할로스, 스쿠알란, 방부제, 에센셜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가령, 에센스의 일 예로 허브워터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증제 0.1 내지 2중량부와, 아데노신 2 내지 10중량부와, 연어 콜라겐 1 내지 8중량부와, 보습제 2 내지 10중량부와, 히알루론산 0.5 내지 4중량부와, 트레할로스 0.5 내지 4중량부와, 스쿠알란 0.5 내지 2중량부와, 방부제 3 내지 5중량부와, 에센셜오일 2 내지 6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공지된 성분인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 등이 이용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고, 사용 대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 및 실험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연어 콜라겐의 추출>
연어 껍질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연어껍질 분말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연어껍질 분말에 0.1M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10배의 중량비로 가한 다음 실온(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비콜라겐성 단백질이 제거된 알칼리잔사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알칼리잔사를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0.5M의 초산용액을 10배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실온(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등액을 분리하여 산가용화 콜라겐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산가용화 콜라겐에 펩신을 가하여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기로 상등액을 분리하여 펩신가용화 콜라겐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펩신가용화콜라겐에 염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콜라겐을 침전시킨 후 필터로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연어 콜라겐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연어 콜라겐을 시료로 하여 안점막 자극시험, 피부자극시험, 콜라겐생성시험을 하였다.
<안점막 자극시험>
안자극 안전성 측면에서 인체의 눈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화장품 원료 및 그 원료를 사용한 제품에 대한 안자극 가능성의 평가는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연어 콜라겐의 안자극 유발여부를 HET-CAM assay와 BCOP test를 통해 확인하였다. 유정란을 이용한 안점막자극 대체시험(HET-CAM assay)는 유정란을 이용하여 융모요막에 시험물질을 적용하였을 때 관찰되는 출혈, 융해, 응고 등의 현상을 관찰 및 평가하는 시험방법이다. 그리고 소각막을 이용한 안점막자극시험(BCOP test)은 적출된 소각막을 이용하여 시험물질의 눈 혼탁 유발 및 투과도 증가를 측정함으로써 눈에 대한 유해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소각막을 이용한 안점막자극시험(BCOP test)과 유정란을 이용한 안점막자극 대체시험(HET-CAM assay)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시험의뢰하였다.
소각막을 이용한 안점막자극시험(BCOP test)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시험결과, 연어 콜라겐의 안점막자극지수(IVIS)가 0.6±0.2로 나타났다. 이는 하기 표 1의 안점막자극지수 기준(OECD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437, 2013)에 의하면 UN GHS: No Category에 해당하는 것이다.
IVIS UN GHS
≤3 No Category
>3 및 ≤55 No prediction can be made
>55 Category
그리고 유정란을 이용한 안점막자극 대체시험(HET-CAM assay)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시험결과, 연어 콜라겐의 안점막자극정도는 시험물질적용군(100%)에서 '0'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기 표 2의 판정기준(NIH/ICCVAM HET-CAM BRD: From Brantom et al. 1997)에 의하면 안점막자극 평가시 'Non irritating'에 해당한다.
score(S) 판정
- Non irritating
<6 Slightly irritating
6≤S≤12 Moderately irritating
12<S<16 irritating
16≤S Severe irritating
<피부자극시험>
인공피부를 이용한 피부자극시험은 비형질전환 인체유래 표피 각질세포로 구성된 3차원 구조로 이뤄진 인공조직을 이용하여 시험물질이 각질층을 투과하여 시작되는 연쇄반응의 결과로 각질세포와 다른 피부세포의 기초가 되는 부분에 대한 손상여부를 세포생존율로 판정 및 평가하는 시험방법이다.
피부자극시험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시험의뢰하였다. 시험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시험결과, 연어 콜라겐은 세포생존율의 평균값이 88.0±4.0%로 나타나 피부 비자극성 물질로 확인되었다.
<콜라겐 생성시험>
콜라겐 생성시험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시험의뢰하였다. 시험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시험결과, 연어 콜라겐을 1, 5, 10%의 농도로 처리시 각각의 농도에서 104.07±5.81, 103.32±9.47, 94.54±5.53%로 콜라겐생성 결과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연어 콜라겐은 콜라겐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부 임상시험을 통한 주름개선 평가>
연어 콜라겐을 이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에센스는 허브워터(새로핸즈, 한국)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증제(하이셀, 새로핸즈, 한국) 0.6중량부와, 아데노신(새로핸즈, 한국) 4.6중량부와, 연어 콜라겐 3.5중량부와, 보습제(모이스트24, 새로핸즈, 한국) 4.6중량부와, 히알루론산(버블뱅크, 한국) 2.3중량부와, 트레할로스(새로핸즈, 한국) 2.3중량부와, 스쿠알란(새로핸즈, 한국) 1.2중량부와, 방부제(나프리, 새로핸즈, 한국) 3.5중량부와, 에센셜오일 4.6중량부(새로핸즈, 한국)로 조성하였다.
상기 에센스를 시료로 하여 주름개선시험을 하였다. 주름개선시험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시험의뢰하였다.
1.시험방법
-시험대상자: 22명(만34~60세, 여성)
-시험부위: 우측안면부
-시료사용방법: 시험대상자가 4주 동안 시험물질을 안면부에 아침, 저녁 세안 후 스킨으로 피부결을 정리한 후 적당량의 내용물을 펌핑하여 피부결에 따라 펴서 발라준다(2회/일/인).
-측정시점: 시험물질은 시험부위에 4주간 사용하며 Antera 3D로 시험물질 사용전, 2주, 4주 측정 평가
-측정방법: ○Antera 3D를 이용한 피부주름평가
○시험대상자에 의한 주관적 설문평가
○피부과 전문의와 시험대상자에 의한 이상반응평가
2. 시험결과
(1)Antera 3D를 이용한 피부주름평가
Antera 3D를 이용하여 피부 주름의 변화를 관찰결과를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5 및 도 6은 피부주름 양의 변화와 개선율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 및 도 8은 피부주름 최대깊이 값의 변화와 개선율을 각각 나탄낸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주름양 개선율은 2주 후에 7.81%, 4주 후에 9.18%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름최대 깊이 값 개선율은 2주 후에 7.14%, 4주 후에 14.29%로 나타났다.
Antera 3D를 이용한 주름 양 측정결과, 시험물질 사용전과 사용 후 4주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고 (P <0.05), 주름 최대 깊이 값 측정결과, 시험물질 사용전과 사용 후 4주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P <0.05).
(2)시험대상자에 의한 주관적 설문평가
시험물질 사용 후 피부상태에 관한 설문평가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문항 평균 표준편차
피부가 촉촉해진 것 같다. 7.23 2.37
피부가 당김이 줄어든 느낌이다. 6.95 2.44
주름이 옅어진 것 같다. 7.32 2.25
주름부위에 피부가 탄탄해진 느낌이다. 6.59 2.40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싶다. 7.32 2.28
제품을 주변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7.41 2.15
(0=전혀 그렇지 않다, 5=보통이다, 10=매우 그렇다, N : Number of Subject)
그리고 시험물질 사용 후 사용감에 관한 설문평가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문항 평균 표준편차
제형의 질감 6.64 1.62
발림성 7.27 1.96
촉촉함 8.05 2.13
흡수력 8.23 1.66
6.00 2.41
전반적 사용감 7.82 1.59
(0=전혀 그렇지 않다, 5=보통이다, 10=매우 그렇다, N : Number of Subject)
주관적 설문평가 결과, 모든 설문평가 항목에서 시험물질 사용전과 비교하여 시험물질 사용후 피부상태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3)피부과 전문의와 시험대상자에 의한 이상반응평가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피부이상반응 평가결과,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allergic contact dermatitis)이나 자극성 접촉 피부염(irritant contact dermatitis)에 대한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시험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피부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통해, 본 발명은 피부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연어의 껍질로부터 분리된 연어 콜라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스는 허브워터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증제 0.1 내지 2중량부와, 아데노신 2 내지 10중량부와, 상기 연어 콜라겐 1 내지 8중량부와, 보습제 2 내지 10중량부와, 히알루론산 0.5 내지 4중량부와, 트레할로스 0.5 내지 4중량부와, 스쿠알란 0.5 내지 2중량부와, 방부제 3 내지 5중량부와, 에센셜오일 2 내지 6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어 콜라겐은 연어 껍질을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을 수득한 다음, 알칼리와 산을 가해 콜라겐을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82868A 2017-12-28 2017-12-28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76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868A KR102076334B1 (ko) 2017-12-28 2017-12-28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868A KR102076334B1 (ko) 2017-12-28 2017-12-28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429A true KR20190080429A (ko) 2019-07-08
KR102076334B1 KR102076334B1 (ko) 2020-02-11

Family

ID=6725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868A KR102076334B1 (ko) 2017-12-28 2017-12-28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3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6278A1 (fr) * 2020-01-17 2021-07-23 Dermway Paris Composition comprenant du collagène de poisson, de l’adénosine et du hyaluronate de sodium
KR20210132378A (ko) * 2020-04-27 2021-11-04 양승호 백합조개 패각분말이 함유된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572B1 (ko) 2022-07-29 2023-07-11 (주)코스파니엘 씨앗오일과 연어정소단백질추출물의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222A (ja) * 2001-12-03 2003-06-17 Nonogawa Shoji Kk 化粧料
JP2013001664A (ja) * 2011-06-14 2013-01-07 Ihara Suisan Kk 化粧品用水溶性コラーゲンおよび該コラーゲンを含有する化粧品
KR20130066342A (ko) * 2011-12-12 2013-06-20 황재호 어피 유래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39263A (ko) 2013-10-01 2015-04-10 김명화 천연 식물 발효 추출물 및 해양 유래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9119B1 (ko) 2015-04-09 2016-01-28 김인숙 안면 피부 온도를 낮추어 미백 효과를 내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222A (ja) * 2001-12-03 2003-06-17 Nonogawa Shoji Kk 化粧料
JP2013001664A (ja) * 2011-06-14 2013-01-07 Ihara Suisan Kk 化粧品用水溶性コラーゲンおよび該コラーゲンを含有する化粧品
KR20130066342A (ko) * 2011-12-12 2013-06-20 황재호 어피 유래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9423B1 (ko) 2011-12-12 2013-12-10 유은경 어피 유래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39263A (ko) 2013-10-01 2015-04-10 김명화 천연 식물 발효 추출물 및 해양 유래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9119B1 (ko) 2015-04-09 2016-01-28 김인숙 안면 피부 온도를 낮추어 미백 효과를 내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6278A1 (fr) * 2020-01-17 2021-07-23 Dermway Paris Composition comprenant du collagène de poisson, de l’adénosine et du hyaluronate de sodium
KR20210132378A (ko) * 2020-04-27 2021-11-04 양승호 백합조개 패각분말이 함유된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334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4643B2 (ja) 水性組成物
KR101047769B1 (ko)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8052B1 (ko)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TW201105362A (en) Collagen production enhancer, and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and cosmetic each comprising same
KR102076334B1 (ko)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8553341A (zh) 一种抑痘杀菌的组合物
CN109908035A (zh) 一种基于牡丹籽油的祛斑面膜
KR102281086B1 (ko) 점액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를 세정하는 방법
KR20120000251A (ko)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3281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870377B1 (ko) 오이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CN105267124A (zh) 一种美白保湿洁面乳及其制备方法
KR20150086922A (ko) 천연발효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의 완화 및 피부보습용 조성물
KR101966747B1 (ko)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24529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홍해삼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4675A (ko)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15566A (ko) 두족류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KR102135551B1 (ko) 포름오노네틴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레드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티에이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0357A (ko) 옥정수와 연옥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
KR101855210B1 (ko)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3622A (ko) 로도크로사이트 추출물, 스미스소나이트 추출물 및피토스테릴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200016063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including fermented pearl product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007437A (ja) 化粧料用原料および該原料を含有する化粧料
KR102630938B1 (ko) 피부 투과성 및 성분 안정성을 개선한 피부 재생과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