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219A -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219A
KR20070081219A KR1020060012992A KR20060012992A KR20070081219A KR 20070081219 A KR20070081219 A KR 20070081219A KR 1020060012992 A KR1020060012992 A KR 1020060012992A KR 20060012992 A KR20060012992 A KR 20060012992A KR 20070081219 A KR20070081219 A KR 20070081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ading
moving rail
transfer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9035B1 (ko
Inventor
정경자
Original Assignee
정경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자 filed Critical 정경자
Priority to KR1020060012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035B1/ko
Priority to PCT/KR2007/000684 priority patent/WO2007091855A1/en
Publication of KR20070081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05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하역 및 이송 중에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되는 상태로 신속히 이송 및 적재되도록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처리방법은 하역수단으로 이송수단을 이동시켜 상기 하역수단에 의해 하역되는 컨테이너를 상기 이송수단에 탑재하는 컨테이너 탑재단계와, 상기 컨테이너를 탑재한 상태로 상기 이송수단을 적재수단으로 이송시키는 컨테이너 이송단계와, 상기 적재수단에 이송된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수단의 내부에 적재하는 컨테이너 적재단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는,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하역수단에 의해 하역될 때의 방향인 길이방향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하역수단에서 상기 적재수단까지 이송되고; 상기 컨테이너 적재단계는, 상기 적재수단까지 이송되면서 유지된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적재수단에 적재되는 것이다.
컨테이너, 적재, 하역, 처리, 물류

Description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container physical distribu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방법을 보인 단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이전 로더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로더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이동대차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역부
20 : 적재부
21 : 적재실 22 : 수평통로
30 : 이송부
31 : 제1이동레일 32 : 제2이동레일
33 : 이송대차 34 : 대차이전 로더
35 : 수평이동레일 36 : 수평이동대차
37 : 적재로더
40 : 반출부
41 : 반출도로 42 : 반출로더
본 발명은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역 및 이송 중에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되는 상태로 신속히 이송 및 적재되도록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화물을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수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자형 용기(容器)를 말하는 것으로, 그 길이와 높이가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가 20ft이거나 40ft인 컨테이너를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를 작용 장소에 대량을 적재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공개된 특허공개 제10-2005-0111304호(2005.11.24)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및 장치"가 있고, 이를 도 10과 도 11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관계를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 물류 처리장치는 컨테이너선(S)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하역부(100)와, 상기 하역부(100)의 전방으로 항만에 설치되는 적재부(200)와, 상기 하역부(100)와 적재부(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부(300)와, 상기 이송부(300)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400)와, 상기 적재부(200)의 일측으로 상기 이송부(300)의 끝단에 설치되는 반출입부(5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컨테이너 물류 처리장치는 하역부(100)에 의해 컨테이너선(S)에서 컨테이너가 하역되면서 상기 하역부(100)에서 중앙제어부(400)로 상기 컨테이너의 정보를 발신하면, 상기 컨테이너의 정보를 수신한 중앙제어부(400)는 정보를 발신한 상기 하역부(100)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해 있는 자동대차(302)를 상기 하역부(100)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자동대차(302)가 하역부(100)에 도착을 하면 상기 하역부(100)는 하역하고 있는 컨테이너를 상기 자동대차(302)에 탑재하게 되고, 상기 자동대차(302)에 컨테이너의 탑재가 완료되면 중앙제어부(400)는 상기 컨테이너의 정보와 적재부(200)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할 것인지 아니면 반출입부(500)를 통해 외부로 반출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중앙제어부(400)에 의해 외부 반출이 결정되면, 상기 중앙제어부(400)에 의해 선택된 이동선로(301)와 선로회전부(303)에 의해 진행노선이 변경되면서 적재부(200)를 관통하여 반출입부(500)로 이동하고, 상기 반출입부(500)는 상기 중앙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자동대차(302)에 탑재되어 이송된 컨테이너를 차량에 실어 외부로 반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중앙제어부(400)에 의해 컨테이너의 적재가 결정이 되면 상기 컨테이너를 탑재한 자동대차(302)가 선로회전부(303)에 의해 진행노선이 변경되면서 이동선로(301)를 따라 적재부(200)로 들어가게 되고, 이때 상기 적재부(200)에 설치된 적재장치가 상기 컨테이너를 미리 정한 적재위치로 이동시켜 적재를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자동대차가 적재부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이동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선로회전부에 의한 배치방향의 변경이 필요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이송 및 적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로회전부는 컨테이너를 탑재한 이동대차를 회전시키는 중에 상기 컨테이너에 의해 편하중으로 주요부품이 쉽게 손상되어 잦은 고장이 발생함으로 유지관리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역 및 이송 중에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되는 상태로 신속히 이송 및 적재되도록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역수단과 적재수단의 사이로 컨테이너의 빠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하역 및 이송 중에 컨테이너의 배치 방향이 유지되는 상태로 신속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되는 상태로 신속히 적재되도록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부에서 컨테이너의 반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은 하역수단으로 이송수단을 이동시켜 상기 하역수단에 의해 하역되는 컨테이너를 상기 이송수단에 탑재하는 컨테이너 탑재단계와, 상기 컨테이너를 탑재한 상태로 상기 이송수단을 적재수단으로 이송시키는 컨테이너 이송단계와, 상기 적재수단에 이송된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수단의 내부에 적재하는 컨테이너 적재단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는,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하역수단에 의해 하역될 때의 방향인 길이방향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하역수단에서 상기 적재수단까지 이송되고; 상기 컨테이너 적재단계는, 상기 적재수단까지 이송되면서 유지된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적재수단에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에서 상기 이송수단은, 탑재된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되도록 상기 하역수단과 적재수단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레일의 양단 사이에 횡방향 으로 설치되는 로더에 의해 이동레일이 변경되도록 횡방향으로 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에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이동레일과 로더에 의해 일방향이면서 무한궤도로 순환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에서, 상기 적재수단의 근처에 있는 이동레일과 상기 적재수단의 사이에 설치된 수평이동레일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적재수단의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에서, 상기 이송수단에 탑재된 컨테이너가 상기 적재수단의 근처에 있는 이동레일에서 적재로더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수평이동레일에 있는 이송수단으로 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물류 처리장치는 컨테이너선에서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하역부와, 상기 하역부에 의해 컨테이너선에서 하역되는 컨테이너와 외부에서 반입되는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적재부와, 상기 하역부와 상기 적재부의 사이로 상기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하역부에 근접되는 지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이동레일과, 상기 제1이동레일에 대응하여 상기 적재부에 근접되는 지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이동레일과, 상기 제1이동레일 및 제2이동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되고 컨테이너를 이 송시키는 이송대차와, 상기 제1이동레일 및 제2이동레일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제1이동레일과 제2이동레일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상기 이송대차를 이전시키는 대차이전 로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부는, 상기 하역부에 의해 하역될 때의 컨테이너의 방향인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적재실과, 상기 적재실의 하부 측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수평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2이동레일의 일측에서 상기 수평통로를 따라 상기 적재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수평이동레일와, 상기 수평이동레일을 따라 상기 적재부의 내부로 이동되고 컨테이너를 이송시키는 수평이동대차와, 상기 제2이동레일과 수평이동레일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차에 탑재된 컨테이너를 상기 수평이동대차로 이전시키는 적재로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이동레일의 끝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반출도로와, 상기 반출도로와 수평이동레일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동대차에 의해 상기 적재부에서 반출되는 컨테이너를 차량으로 이전시키는 반출로더를, 포함하는 반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대차는, 상기 제1이동레일 및 제2이동레일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사각틀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바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는 대차구동부와, 상기 대차이전 로더가 홀딩하도록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갖고 상기 본체의 상면 둘레에 장착되는 사각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이동대차는, 상기 수평이동레일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사각틀형의 몸체와, 상기 수평이동레일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몸체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바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방법을 보인 단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은 하역수단으로 이송수단을 이동시켜 상기 하역수단에 의해 하역되는 컨테이너를 상기 이송수단에 탑재하는 컨테이너 탑재단계(S1)와, 상기 컨테이너를 탑재한 상태로 상기 이송수단을 적재수단으로 이송시키는 컨테이너 이송단계(S2)와, 상기 적재수단에 이송된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수단의 내부에 적재하는 컨테이너 적재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S2)는 컨테이너가 하역수단에 의해 하역될 때의 방향인 길이방향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하역수단에서 적재수단까지 이송되는 것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의 변경이 없이 곧바로 상기 적재수단까지 이송됨으로써 신속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적재단계(S3)는 적재수단까지 이송되면서 유지된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적재수단에 적재되 는 것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이송되는 동안의 배치방향으로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수단에 적재함으로써 신속한 적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S2)에서 이송수단은 하역수단과 적재수단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레일의 양단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로더에 의해 이동레일이 변경되도록 횡방향으로 이전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의 변경이 없이 그 배치방향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를 이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S2)에서 이송수단은 이동레일과 로더에 의해 일방향이면서 무한궤도로 순환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다수의 상기 이송수단이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을 유지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수단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S2)에서 적재수단의 근처에 있는 이동레일과 상기 적재수단의 사이에 설치된 수평이동레일을 통해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적재수단의 내부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가 하역된 순간의 배치방향을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수단으로 신속히 이송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S2)에서 이송수단에 탑재된 컨테이너가 상기 적재수단의 근처에 있는 이동레일에서 적재로더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수평이동레일에 있는 이송수단으로 이전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이동레일에서 상기 수평이동레일로 신속한 이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물류 처리장치는 컨테이너선(S)에서 컨테이너(C)를 하역하는 하역부(10)와, 상기 하역부(10)에 의해 컨테이너선(S)에서 하역되는 컨테이너(C)와 외부에서 반입되는 컨테이너(C)를 적재하는 적재부(20)와, 상기 하역부(10)와 상기 적재부(20)의 사이로 상기 컨테이너(C)를 이송하는 이송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30)는 하역부(10)에 근접되는 지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이동레일(31)과, 상기 제1이동레일(31)에 대응하여 상기 적재부(20)에 근접되는 지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이동레일(32)과, 상기 제1이동레일(31) 및 제2이동레일(32)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되고 컨테이너(C)를 이송시키는 이송대차(33)와, 상기 제1이동레일(31) 및 제2이동레일(32)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컨테이너(C)의 배치방향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제1이동레일(31)과 제2이동레일(32)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상기 이송대차(33)를 이전시키는 대차이전 로더(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동레일(31)에 있는 이송대차(33)는 겐트리 크레인으로 이루어지는 하역부(10)에서 컨테이너(C)가 하역되면 상기 제1이동레일(31)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컨테이너(C)를 탑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C)를 탑재한 이송대차(33)는 제1이동레일(31)을 따라 계속 종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제1이동레일(31)의 끝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대차이전 로더(34)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C)를 탑재한 상태로 제2이동레일(32) 로 이전된다.
상기 제2이동레일(32)로 이전된 이송대차(33)는 상기 제2이동레일(32)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적재부(20) 근처에서 컨테이너(C)를 내리고 나서 상기 제2이동레일(32)의 끝단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이동레일(32)의 끝단까지 이동한 이송대차(33)는 그 끝단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된 대차이전 로더(34)에 의해 상기 제2이동레일(32)에서 제1이동레일(31)로 다시 이전되면서 원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상기 이송대차(33)가 처음의 위치로 되돌아옴으로써, 하역부(10)에 의해 하역되는 컨테이너(C)를 다시 탑재하여 적재부(20)까지 그 배치방향의 변경없이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이송대차(33)는 제1이동레일(31) 및 제2이동레일(32)과 그 양단에 설치된 대차이전 로더(34)에 의해 탑재한 컨테이너(C)의 배치방향을 변경시키는 않은 상태로 무한궤도로 이동하면서 상기 컨테이너(C)를 하역부(10)에서 적재부(20)로 이송하거나 상기 적재부(20)에서 상기 하역부(10)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제1이동레일(31) 및 제2이동레일(32)은 다수의 이송대차(33)가 한꺼번에 이동되어 대량의 컨테이너를 이송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재부(20)는 하역부(10)에 의해 하역될 때의 컨테이너(C)의 방향인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적재실(21)과, 상기 적재실(21)의 하부 측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수평통로(2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적재부(20)는 수평통로(22)를 통해 내부로 들어오는 컨테이너(C)를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적재장치를 통해 미리 선정된 적재실(21)에 적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적재실(21)은 컨테이너(C)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C)의 배치방향의 변화없이 즉, 상기 컨테이너(C)가 하역될 때의 배치방향이 유지된 상태로 그대로 상기 적재실(21)에 적재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30)는 제2이동레일(32)의 일측에서 수평통로(22)를 따라 적재부(2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수평이동레일(35)와, 상기 수평이동레일(35)을 따라 상기 적재부(20)의 내부로 이동되고 컨테이너(C)를 이송시키는 수평이동대차(36)와, 상기 제2이동레일(32)과 수평이동레일(35)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송대차(33)에 탑재된 컨테이너(C)를 상기 수평이동대차(36)로 이전시키는 적재로더(3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C)를 탑재한 이송대차(33)는 제2이동레일(32)을 따라 이동되다가 미리 선정된 적재실(21)의 가까이에 있는 적재로더(37)에 정지하게 되고, 이와 같이 상기 이송대차(33)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로더(37)가 컨테이너(C)를 파지한 후에 수평이동레일(35)에 있는 수평이동대차(36)로 이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적재로더(37)에 의해 컨테이너(C)가 이송대차(33)에서 수평이동대차(36)로의 이전이 완료되면 상기 수평이동대차(36)는 컨테이너(C)를 탑재한 상태로 수평이동레일(35)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여 적재부(20)에 형성된 수평통로(22)로 들어가 컨테이너(C)를 신속히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처리장치는 수평이동레일(35)의 끝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반출도로(41)와, 상기 반출도로(41)와 수평이동레일(35)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동대차(36)에 의해 상기 적재부(20)에서 반출되는 컨테이너(C)를 차량으로 이전시키는 반출로더(42)를 포함하는 반출부(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반출부(40)는 적재부(20)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외부로 반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적재부(20)의 적재실(21)에 있던 컨테이너(C)가 적재장치에 의해 배출된 후에 수평통로(22)의 내측으로 수평이동레일(35)에 있는 수평이동대차(36)에 탑재되고, 상기 컨테이너(C)를 탑재한 수평이동대차(36)는 상기 수평이동레일(35)을 따라 반출도로(41)까지 이동한 후에 정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반출로더(42)에 의해 수평이동대차(36)의 컨테이너(C)가 상기 반출도로(41)에 있는 차량에 탑재되어 외부로 신속히 반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이전 로더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이전 로더(34)는 제1이동레일(미도시) 및 제2이동레일(미도시)의 사이에 설치되는 로더프레임(341)의 내측으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로더대차(342)의 하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면의 모서리 부위에 이송대차(33)를 착탈할 수 있도록 홀더부(343)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대차(33)는 제1이동레일(미도시) 및 제2이동레일(미도시)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사각틀형의 본체(331)와, 상기 본체(33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바퀴(332)와, 상기 본체(3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 (332)를 회전시키는 대차구동부(333)와, 대차이전 로더(34)가 홀딩하도록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결합홈(335)을 갖고 상기 본체(331)의 상면 둘레에 장착되는 사각프레임(334)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대차(33)는 대차구동부(333)에 의해 회전되는 바퀴(332)에 의해 본체(331)가 이동되고, 상기 본체(331)의 상면에 설치되는 사각프레임(334)의 결합홈(335)에 홀더부(343)가 끼워져 결합되거나 이탈되어 분리됨으로써, 대차이전 로더(34)가 컨테이너(C)를 탑재재한 상태로 상기 이송대차(33) 자체를 홀딩하여 하나의 이동레일(미도시)에서 다른 이동레일(미도시)로 이전을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사각프레임(334)은 그 내측으로 본체(331)의 상면에 컨테이너(C)가 탑재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로더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이동대차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로더(37)는 제2이동레일(미도시)과 수평이동레일(미도시)의 사이에 설치되는 로더프레임(371)의 내측으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로더대차(372)의 하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면의 모서리 부위에 컨테이너(C)를 착탈할 수 있도록 홀더부(373)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이동대차(36)는 수평이동레일(미도시)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사각틀형의 몸체(361)와, 상기 수평이동레일(미도시)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몸체(361)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바퀴(362)와, 상기 몸체(36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바퀴(362)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63)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이동대차(36)는 구동부(36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바퀴(362)에 의해 몸체(361)가 이동되고 적재로더(37)에 의해 이동대차(미도시)의 컨테이너(C)가 옮겨지면서 가 탑재되어 상기 컨테이너(C)를 적재부(미도시)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역 및 이송 중에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되는 상태로 신속히 이송 및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선에서 하역되는 컨테이너가 배치방향의 변화없이 그대로 적재되어 컨테이너 물류의 처리가 신속하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역수단과 적재수단의 사이로 컨테이너의 빠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신속히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하역 및 이송 중에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되는 상태로 신속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송부의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고 주요 부품의 유지관리가 편리하며 컨테이너 물류의 처리가 신속하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되는 상태로 신속히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신속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부에서 컨테이너의 반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적재된 컨테이너의 신속한 반출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1)

  1. 하역수단으로 이송수단을 이동시켜 상기 하역수단에 의해 하역되는 컨테이너를 상기 이송수단에 탑재하는 컨테이너 탑재단계(S1)와, 상기 컨테이너를 탑재한 상태로 상기 이송수단을 적재수단으로 이송시키는 컨테이너 이송단계(S2)와, 상기 적재수단에 이송된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수단의 내부에 적재하는 컨테이너 적재단계(S3)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S2)는,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하역수단에 의해 하역될 때의 방향인 길이방향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하역수단에서 상기 적재수단까지 이송되고;
    상기 컨테이너 적재단계(S3)는,
    상기 적재수단까지 이송되면서 유지된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적재수단에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S2)에서 상기 이송수단은,
    탑재된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되도록 상기 하역수단과 적재수단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 동레일의 양단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로더에 의해 이동레일이 변경되도록 횡방향으로 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S2)에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이동레일과 로더에 의해 일방향이면서 무한궤도로 순환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S2)에서, 상기 적재수단의 근처에 있는 이동레일과 상기 적재수단의 사이에 설치된 수평이동레일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적재수단의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이송단계(S2)에서, 상기 이송수단에 탑재된 컨테이너가 상기 적재수단의 근처에 있는 이동레일에서 적재로더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수평이동레일에 있는 이송수단으로 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6. 컨테이너선에서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하역부(10)와, 상기 하역부(10)에 의해 컨테이너선에서 하역되는 컨테이너와 외부에서 반입되는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적재부(20)와, 상기 하역부(10)와 상기 적재부(20)의 사이로 상기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이송부(30)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는,
    상기 하역부(10)에 근접되는 지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이동레일(31)과,
    상기 제1이동레일(31)에 대응하여 상기 적재부(20)에 근접되는 지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이동레일(32)과,
    상기 제1이동레일(31) 및 제2이동레일(32)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되고 컨테이너를 이송시키는 이송대차(33)와,
    상기 제1이동레일(31) 및 제2이동레일(32)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배치방향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제1이동레일(31)과 제2이동레일(32)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상기 이송대차(33)를 이전시키는 대차이전 로더(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20)는,
    상기 하역부(10)에 의해 하역될 때의 컨테이너의 방향인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적재실(21)과,
    상기 적재실(21)의 하부 측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수평통로(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는,
    상기 제2이동레일(32)의 일측에서 상기 수평통로(22)를 따라 상기 적재부(2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수평이동레일(35)과,
    상기 수평이동레일(35)을 따라 상기 적재부(20)의 내부로 이동되고 컨테이너를 이송시키는 수평이동대차(36)와,
    상기 제2이동레일(32)과 수평이동레일(35)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차(33)에 탑재된 컨테이너를 상기 수평이동대차(36)로 이전시키는 적재로더(3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레일(35)의 끝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반출도로(41)와,
    상기 반출도로(41)와 수평이동레일(35)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동대차(36)에 의해 상기 적재부(20)에서 반출되는 컨테이너를 차량으로 이전시키는 반출로더(42)를,
    포함하는 반출부(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33)는,
    상기 제1이동레일(31) 및 제2이동레일(32)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사각틀형의 본체(331)와,
    상기 본체(33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바퀴(332)와,
    상기 본체(3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332)를 회전시키는 대차구동부(333)와,
    상기 대차이전 로더(34)가 홀딩하도록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결합홈(335)을 갖고 상기 본체(331)의 상면 둘레에 장착되는 사각프레임(3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대차(36)는,
    상기 수평이동레일(35)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사각틀형의 몸체(361)와,
    상기 수평이동레일(35)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몸체(361)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바퀴(362)와,
    상기 몸체(36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바퀴(362)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물류 처리장치.
KR1020060012992A 2006-02-10 2006-02-10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KR100759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992A KR100759035B1 (ko) 2006-02-10 2006-02-10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PCT/KR2007/000684 WO2007091855A1 (en) 2006-02-10 2007-02-08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aging and transfering contain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992A KR100759035B1 (ko) 2006-02-10 2006-02-10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219A true KR20070081219A (ko) 2007-08-16
KR100759035B1 KR100759035B1 (ko) 2007-09-17

Family

ID=3861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992A KR100759035B1 (ko) 2006-02-10 2006-02-10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339B1 (ko) * 2019-11-13 2020-02-17 이상훈 물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688B1 (ko) * 2004-05-21 2006-02-24 정경자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035B1 (ko) 2007-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33913B (en) 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TWI491546B (zh) Supply out of the system
JP4200387B2 (ja) 搬送システム
JP2008178803A (ja) 自動車ボディ乾燥ブース用昇降機構
JP5629267B2 (ja) 標準貨物保持器、特にisoコンテナおよびスワップボディを鉄道と道路との間で移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0052878A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US10611288B2 (en) Transport vehicle for containers
KR100759035B1 (ko) 컨테이너 물류 처리방법
FI111157B (fi) Menetelmä ja sovitelma paperi-, kartonki- ja sellurullien lastaamiseksi kuljetusvälineeseen
CN115605419A (zh) 用于装载和卸载卡车的装载系统
JPH0474241B2 (ko)
US20220371836A1 (en) Loading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trucks with pallets in transverse direction
JPH10147407A (ja) コンテナ立体貯蔵装置
CN111016764A (zh) 块状海绵运输小车
CN218619259U (zh) 货车装车装置
JP2013212884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TW201109255A (en)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between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transfer cart and device
KR200277232Y1 (ko) 화물 적재용 운반차
US10611289B2 (en) Transport vehicle for containers
JP3603986B2 (ja) 自動倉庫の物品搬送システム
JP2004075343A (ja) 入出庫システム
TW202235342A (zh) 物品搬送設備
JPH0812008A (ja) 自動倉庫の荷捌き方法及び自動倉庫の荷捌き装置
JP3995085B2 (ja) ループ搬送システム
JP5185191B2 (ja) ローラコンベ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