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105A - 접속 대상물 사이의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부재 - Google Patents

접속 대상물 사이의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105A
KR20070081105A KR1020070013302A KR20070013302A KR20070081105A KR 20070081105 A KR20070081105 A KR 20070081105A KR 1020070013302 A KR1020070013302 A KR 1020070013302A KR 20070013302 A KR20070013302 A KR 20070013302A KR 20070081105 A KR20070081105 A KR 20070081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protrusions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ion member
bas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6704B1 (ko
Inventor
아카네 요네타
히로시 아키모토
타케시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1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2Anchoring devices for strings, e.g. tail pieces or hitchp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1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conductive elastom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시트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일면에 배열된 절연성 제1 탄성체와, 상기 제1 탄성체 상에 배열된 제1 부분(31a)을 가지는 절연막을 포함하는 전기 접속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 부분(31a)은 제1 접속 대상물과 접촉을 위한 제1 접촉점을 가진다. 제1 탄성체는 제1 접촉점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제1 돌기를 가진다.

Description

접속 대상물 사이의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부재{ELECTRICAL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ON BETWEEN OBJECTS TO BE CONNECTED}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의 사시도로서, 상기 전기 접속부재에 접속될 두 개의 대상물을 부분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접속부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의 탄성체가 가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접촉점(contact points)을 가지는 가요성 막(flexible film)에 의해 두 개의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전기 접속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JPA) H06-76876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전도성(conductivity)을 가지는 평행 세선(fine parallel line) 패턴이 막 표면상에 형성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도전성 패턴이 외부에 노출된 판 형태(plate-shaped)의 고무형상 탄성체(rubber-like elastic body)를 사이에 끼우도록 막을 접고(folding), 상기 고무형상 탄성체를 상기 막에 고정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는 두 개의 접속 대상물 사이에서 개재하며 상기 접속 대상물이 커넥터에 대하여 가압됨으로써, 상기 막위의 패턴과 접속 대상물 사이에 접속이 확립된다.
그러나, 만일 접속 대상물 중 어느 하나가 휘거나 변형되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술된 커넥터는 그 휨(warpage)이나 변형(deformation)을 따를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는 때로는 접촉에 필요한 충분한 힘을 얻을 수 없어, 불안정한 접촉 상태의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만일 상기 막과 고무형상 탄성체가 서로 위치가 오정렬된(positionally misaligned) 상태에서 서로 결합된다면, 커넥터는 접촉에 필요한 충분한 힘을 얻을 수 없어, 불안정한 접촉 상태의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제조될 제품이 고무형상 탄성체와는 다른 피치방향에서의 간격을 가지 는 도전성 패턴을 구비하는 경우, 고무형상 탄성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각 피치에 대한 몰딩 다이(molding die)가 필요로 되어, 제조 인시(production man-hours)와 비용이 증가된다고 하는 문제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확립할 수 있는 전기 접속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접속부재의 부분(parts) 및 구성부품(components)의 제조에 필요한 인시(man-hours)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기 접속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접속 대상물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 접속부재로서, 상기 전기 접속부재는, 베이스 시트(base sheet), 상기 베이스 시트의 일면 상에 배열된 절연성 제1 탄성체(insulating first elastic body), 및 상기 제1 탄성체 상에 배열된 제1 부분(a first part)을 가지는 절연막(insulating film)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부분은 제1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기 위한 제1 접촉점(contact point)을 가지며, 상기 제1 탄성체는 제1 접촉점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제1 돌기(protrusions)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를 나타낸다. 전기 접속부재 뿐만 아니라, 도 1은 접속전 상태의 전기 접속부재에 접속될 두 개의 대상물을 나타낸다. 도 2는 분해된 상태로 도 1의 전기 접속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기 접속부재(1)는 절연성 베이스 시트(11), 상기 베이스 시트(11)의 일면 상에 배열된 절연성 제1 탄성체(21) 및 상기 제1 탄성체(21) 상에 배열된 제1 부분(31a)을 가지는 절연막(31)을 포함한다.
베이스 시트(11)는 긴 판(long plate) 형상을 가진다. 상기 막(31)의 제1 부분(31a)은 도 1에 나타낸 접속 대상물 중 하나인 인쇄배선기판(51)과 접촉하는 제1 접촉점(33a)을 가진다.
제1 탄성체(21)는 제1 접촉점(33a)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제1 돌기(25)와, 복수의 제1 돌기(25)를 서로 연결하는 제1 플레이트(26)를 가진다.
제1 돌기(25)는 상기 제1 플레이트(26)의 일면 상에서 서로 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배열된다.
상기 막(31)은 베이스 시트(11)의 대향 면(opposite face)에 대면하는 제2 부분(31b)과, 제1 및 제2 부분(31a, 31b)을 서로 연결하는 U자 형상 단면부(U-shaped cross-sectional part, 31c)를 가진다.
상기 막(31)의 제2 부분(31b)은 제1 접촉점(33a)에 접속된 제2 접촉점(33b)을 가진다. 제2 접촉점(33b)은 도 1에 나타낸 다른 접속 대상물인 인쇄배선기판(61)과 접촉될 부분이다.
또한, 전기 접속부재(1)는 베이스 시트(11)와 제2 부분(31b) 사이에 배열된 절연성 제2 탄성체(21')를 가진다. 제2 탄성체(21')는 베이스 시트(11)의 다른 면상에 배열된다.
제2 탄성체(21')는 제1 탄성체(21)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에서는 제1 탄성체(21)의 부분 및 구성 부품에 대한 참조 부호에 프라임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탄성체(21')는 제2 접촉점(33b)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제2 돌기(25')와, 상기 제2 돌기(25')를 연결하는 제2 플레이트(26')를 가진다.
제2 돌기(25')는 제2 플레이트(26')의 일면 상에서 서로 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배열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및 제2 탄성체(21, 21')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제1 방향(A)은 피치방향(A)이라고 하며, 제1 및 제2 탄성체(21, 21')의 일면 상에서 피치방향(A)과 직교하는 제2 방향(C)은 교차 방향(C)으로 한다.
제1 플레이트(26)는, 제1 돌기(25)와 일체로 되어 있다. 모든 제1 돌기(25)는 사각형 기둥 형상(quadrangular prismatic shape)을 가진다. 이것은,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제1 탄성체(21)의 제1 돌기(25)가 실질적으로 돌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복수의 제1 돌기(25)는, 제1 플레이트(26)의 일면 상에서 피치방향(A)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다. 또한, 제1 돌기(25)는, 그 길이방향이 교차방향(C)과 평행하게 되도록 제1 플레이트(26)의 일면 상에 배열된다.
복수의 제2 돌기(25')는 제2 플레이트(26')의 대향면 상에 피치방향(A)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다. 또한, 제2 돌기(25')는, 그 길이방향이 교차방향(C)과 평행이 되도록 제2 플레이트(26')의 대향면 상에 배열된다.
상기 막(31)은 가요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막(31)은 베이스 시트(11)의 일면 상에 배열된 제1 탄성체(21)와 베이스 시트(11)의 타면 상에 배열된 제2 탄성체(21')를 감싸며 상기 막(31)의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 이들 탄성체(21, 21')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막(31)은 일측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 단면부(31c)에서, 실질적으로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지며, 제1 및 제2 돌기(25, 25')와 접촉하게 된다.
복수의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은 피치방향(A)으로 서로 떨어져 있도록 막(31)의 외부 표면상에 소정 위치에 배열된다.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은 도전성 물질로 만들어지며, U자 형상 단면부(31c)의 외부 표면에서 상호 접속되어 전기 회로로 기능하는 도전 패턴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1 접촉점(33a)과 반대쪽인 막(31)의 내부 표면은 제1 탄성체(21)의 복수의 제1 돌기(25)와 대면한다. 제1 실시예의 전기 접속부재(1)에 있어서,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에서의 제1 접촉점(33a) 각각의 치수는 두 개의 제1 돌기(25)를 포함하는 제1 탄성체(21)의 일부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 접촉점(33b)과 반대쪽인 막(31)의 내부 표면은 제2 탄성체(21')의 복수의 제2 돌기(25')와 대면한다. 제1 실시예의 전기 접속부재(1)에 있어서,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으로의 각 제2 접촉점(33b)의 치수는, 두 개의 제2 돌기(25')를 포함하는 제2 탄성체(21')의 일부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것은,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과 반대쪽인 막(31)의 내부 표면부분들이 제1 탄성체(21)의 두 개의 제1 돌기(25)와 제2 탄성체(21')의 두 개의 제2 돌기 (25')와 각각 대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기 접속부재(1)는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 사이에 끼워진다.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은 상하에서 전기 접속부재(1)에 대하여 가압함으로써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에는 일대일 대응으로 막(31)의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과 대면하는 도전성부(도전 패드(conduction pad))(53, 63)가 각각 설치된다. 도전성부(conductive portions)(53, 63)는 피치방향(A)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전기 접속부재(1)가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 사이에서 가압되어 배치되는 경우, 도전성부(53, 63)는 일대일 대응으로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와 각각 접촉하게 된다.
제1 및 제2 돌기(25, 25')는 전기 접속부재(1)가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 사이에서 가압되어 유지되는 경우 피치방향(A)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제1 돌기(25) 사이의 공간 및 제2 돌기(25') 사이의 공간이 그들 사이의 변형이 발생될 때의 상호 접촉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크게 설정된다.
베이스 시트(11) 및 막(3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폴리이미드(PI) 수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수지, 아라미드(aramid) 수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수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수지, 나일론(nylon, 판매명) 수지, 플루오로수지(fluororesin), 탄소섬유 강화(carbon fiber reinforced) 수지 등, 또는 그 복합물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탄성체(21, 21')는 합성고무(synthetic rubber), 자연고무 (natural rubber), 또는 젤 재료(gel material)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탄성체(21, 21')로 사용된 젤 재료는, 콜로이드 용액 내의 입자가 젤 상태로 고화되어 있는 재료이며, 실리콘 또는 아크릴 재료로부터 선택된다.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은 높은 탄성률(high modulus of elasticity) 및 작은 두께를 가지는 금속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용 금속재료는 니켈, 니켈 합금, 모넬(Monel), 니켈바나듐(nickel vanadium), 구리(copper), 인청동(phosphor bronze)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은 기상 증착(vapor deposition) 또는 도금(plat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의 두께는 수 마이크로미터(several micrometers) 대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를 나타낸다. 이러한 전기 접속부재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1 및 제2 탄성체(21, 21')의 구조에 있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실시예의 전기 접속부재(1)와 다를 뿐이다. 따라서, 유사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붙이며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접속부재(111)의 제1 탄성체(121)는 복수의 제1 돌기(125) 및 제1 돌기(125)를 서로 연결하는 긴 판 형상 제1 플레이트(126)를 가진다.
제1 탄성체(121)는 베이스 시트(11)의 일면 상에 배열된다. 복수의 제1 돌기(125)는 제1 플레이트(126)의 일면 상에 배열된다. 모든 제1 돌기(125)는 동일한, 사각형 기둥형상을 가진다. 제1 플레이트(126)는 제1 돌기(125)와 일체로 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돌기(125)는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고 제1 플레이트(126)의 일면 상에 배열된다. 또한, 제1 돌기(125)는 각 제1 돌기(125)의 길이 방향이 피치방향(A)과 나란하게 되도록 제1 플레이트(126)의 일면 상에 배열된다.
제2 탄성체(121')는 제1 탄성체(12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제1 돌기(125')와 상기 제1 돌기(125')를 서로 연결하는 긴 판형상의 제1 플레이트(126')를 가진다.
제2 탄성체(121')는 베이스 시트(11)의 다른 면 상에 배열된다. 복수의 제2 돌기(125')는 제2 플레이트(126')의 일면 상에 배열된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 각각은 제1 돌기(125) 및 제2 돌기(125')의 피치방향(A)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피치방향(A)의 치수를 가진다. 또한, 각각의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은 교차방향(C)으로 3개의 제1 돌기(125) 및 3개의 제2 돌기(125')와 각각 대면하는 교차방향(C)에서의 치수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서 제1 접촉점(33a) 중 대응하는 하나와 반대쪽인 막(31)의 각각의 내부 표면 부분은 제1 탄성체(121)의 대응하는 3개의 제1 돌기(125)의 상면에 대면한다. 제2 접촉점(33b) 중 대응하는 하나와 반대쪽인 막(31)의 각각의 내부 표면 부분은 제2 탄성체(121)의 대응하는 3개의 제2 돌기(125')의 상면과 대면한다.
도 1에 나타낸 막(31)의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과 두 개의 인쇄회로기판(51, 61)의 도전성부(53, 63)는,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 사이에서 전기 접속부재(111)가 유지되고, 인쇄배선기판(51, 61)이 전기 접속부재(111)에 대하여 가압되면, 일대일 대응으로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를 나타낸다. 제3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1 및 제2 탄성체(21, 21')의 구조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예와 다를 뿐이다. 따라서,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접속부재(211)의 제1 탄성체(221)는 복수의 제1 돌기(225) 및 제1 돌기(225)를 서로 연결하는 긴 판형상의 제1 플레이트(226)을 가진다.
제2탄성체(221)는 베이스 시트(11)의 일면 상에 배열된다. 제1 돌기(225)는 제1 플레이트(226)의 일면 상에 배열된다.
제1 돌기(225)는 동일한 사각형 기둥형상을 가진다. 제1 플레이트(226)은 제1 돌기(225)와 일체이다. 제1 돌기(225)는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제1 플레이트(226)의 일면 상에 지그재그 방식(staggered manner)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제1 돌기(225)는 각 제1 돌기(225)의 길이방향이 교차방향(C)과 평행이 되도록 제1 플레이트(226)의 일면 상에 배열되어 있다.
제2 탄성체(221')는 제1 탄성체(22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제2 돌기(225')와 상기 제2 돌기(225')를 서로 연결하는 제2 플레이트(226')를 가진다.
제2 탄성체(221')는 베이스 시트(11)의 다른 표면상에 배열된다. 제2 돌기(225')는 제2 플레이트(226')의 일면 상에 배열된다.
제3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은, 대응하는 5개의 제1 돌기(225)와 대응하는 5개의 제2 돌기(225')의 피치방향(A)에서의 전체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피치방향(A)에서의 치수를 가진다. 또한, 5개의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 각각은, 각각의 접촉점(33a, 33b)이 교차방향(C)으로 대응하는 5개의 제1 및 제2 돌기(225, 225')와 대면하는 교차방향(C)에서의 치수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서 제1 접촉점(33a) 중 대응하는 하나와 반대인 막(31)의 내부 표면 부분 각각은 제1 탄성체(221)의 대응하는 5개의 제1 돌기(225)의 상면과 대면한다. 제2 접촉점(33b) 중 대응하는 하나와 반대쪽인 막(31)의 각각의 내부 표면 부분은 제2 탄성체(221')의 대응하는 5개의 제2 돌기(225')의 상면과 대면한다.
도 1에 나타낸 막(31)의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과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의 도전성부(53, 63)는, 전기 접속부재(111)가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 사이에서 유지되고, 인쇄배선기판(51, 61)이 전기 접속부재(111)에 대하여 가압될 때, 일대일 대응으로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를 나타낸다. 제4 실시예는, 제1 탄성체(221) 대신에, 제1 플레이트(223)의 일면 상에 배열된 제1 탄성체(321)의 구조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3 실시예와 다를 뿐이다. 따라서,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 접속부재(311)의 제1 탄성체(321)는 복수의 제1 돌기(325)와, 복수의 제1 돌기(325)를 서로 연결하는 긴 판형상 제1 플레이트(323)를 가진다.
제1 탄성체(321)는 베이스 시트(11)의 일면 상에 배열된다. 복수의 제1 돌기(325)는 제1 플레이트(326)의 일면 상에 배열된다.
모든 제1 돌기(325)는 동일한 원통 형상을 가진다. 제1 플레이트(326)는 제1 돌기(325)와 일체로 된다. 제1 돌기(325)는 피치방향(A) 및 교차방향(C)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고 제1 플레이트(326)의 일면 상에 배열된다.
제2 탄성체(225')는 도 4에 나타낸 제1 탄성체(32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제2 탄성체(221')는 베이스 시트(11)의 다른 면상에 배열된다.
제4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접촉점(33a)은 제1 탄성체(321) 상에 배열된 5 내지 8개의 제1 돌기(325)와 대면하는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에서의 치수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1 접촉점(33a) 중 대응하는 하나와 반대쪽인 막(31)의 각각의 내부 표면부분은 제1 탄성체(321)의 대응하는 5 내지 8개의 제1 돌기(325)의 상면과 대면한다.
도 1에 나타낸 막(31)의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과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의 도전성부(53, 63)는, 전기 접속부재(111)가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 사이에 유지되며,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이 전기 접속부재(111)에 대하여 가압될 때, 일대일 대응으로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를 나타낸다. 제5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1 및 제2 탄성체(21, 21')의 구조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예와 다를 뿐이다. 따라서, 유사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기 접속부재(411)의 제1 탄성체(421)는 복수의 제1 돌기(425)와, 상기 제1 돌기(425)를 서로 연결하는 긴 판형상 제1 플레이트(426)를 가진다.
모든 제1 돌기(425)는 동일한, 연장된 직사각형 단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제1 플레이트(426)는 제1 돌기(425)와 일체로 된다. 복수의 제1 돌기(425)는 교차방향(C)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고 제1 플레이트(426)의 일면 상에 배열된다. 또한, 제1 돌기(425)는, 각 제1 돌기(425)의 길이방향이 피치방향(A)과 나란하게 되도록 제1 플레이트(426)의 일면 상에 배열된다.
제2 탄성체(421')는 제1 탄성체(42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제2 돌기(425')와, 상기 제2 돌기(425')를 연결하는 제2 플레이트(426')를 가진다. 제2 돌기(425')는 피치방향(A)으로 연장된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제2 탄성체(421')는 베이스 시트(11)의 다른 면상에 배열된다. 제5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은,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 각각이 교차방향(C)으로 대응하는 3개의 제1 및 제2 돌기(425, 425')와 대면하는 교차방향(C)으로의 치수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5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 중 대응하는 하나와 반대쪽인 막의 각각의 내부 표면부분은 교차방향(C)으로 제1 및 제2 탄성체(421, 421')의 대응하는 3개의 제1 및 제2 돌기(425, 425')의 상면과 대면한다.
도 1에 나타낸 막(31)의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과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의 도전성부(53, 63)는, 전기 접속부재(111)가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 사이에서 유지되며 인쇄배선기판(51, 61)이 전기 접속부재(111)에 대하여 가압되면, 일대일 대응으로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도 7은, 제6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다. 제 6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탄성체(21, 21')의 구조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예와 다를 뿐이다. 따라서,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기 접속부재(511)의 제1 탄성체(521)는 긴 판형상을 가지며, 제1 탄성체(521)의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복수의 제1 구멍(523)과, 연속 방식으로 제1 구멍(523)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돌기(525)를 가진다.
제1 탄성체(521)의 제1 돌기(525)는, 제1 돌기(525) 각각이 막(31)의 제1 접촉점(33a) 중의 대응하는 하나와 대면하도록 배열된다. 도 1에 나타낸 상기 막(31)의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과 두 개의 제1 인쇄배선기판(51, 61)의 도전성부(53, 63)는 전기 접속부재가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 사이에서 유지되고, 인쇄배선기판(51, 61)이 전기 접속부재(111)에 대하여 가압될 때, 일대일 대응으로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도 8은, 제7 실시예에 따르는 제1 탄성체(621)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7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1 탄성체(21)의 구조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예와 다를 뿐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8에 나타낸 제1 탄성체(621)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탄성체(621)는 긴 판 형상을 가지며, 서로 간격을 가지고 제1 특정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1 홈(623)을 가진다. 제1 돌기(625)는 인접하는 제1 홈(623) 사이에 형성된다.
제7 실시예의 제1 탄성체(621)에 있어서, 복수의 제1 홈(623)이 제1 탄성체(621)의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을 가로지르는 경사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1 돌기(625)는,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을 가로지르는 경사방향으로 각각의 제1 홈(623)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다.
도 1에 나타낸 제1 접촉점(33a) 중의 대응하는 하나와 반대인 막(31)의 각각의 내부 표면부분은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제1 돌기(625)의 상면과 대면한다. 복수의 제1 홈(623)은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 또는 다른 폭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체(62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11)의 양면상에 배열되며, 막(31)은 이들 제1 탄성체(621)를 감싸도록 구부러진다. 복수의 제1 돌기(625)는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막(31)의 상기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의 대응하는 하나와 반대인 막(31)의 각 내부 표면부분은 복수의 제1 돌기(625)의 상면과 대면한다.
도 9는, 평면도로 보았을 때의 제8 실시예의 제1 탄성체(721)를 나타낸다. 제8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1 탄성체(21)의 구조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예와 다를 뿐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9에 나타낸 제1 탄성체(721)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탄성체(721)는 긴 판형상을 가지며, 서로 간격을 가지고 제1 특정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1 홈(723)과, 서로 간격을 가지며 제1 특정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특정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2 홈(724)을 가진다.
제1 돌기(725)는 인접하는 제1 홈(723) 각쌍과 인접하는 제2 홈(724) 각 쌍 사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탄성체(721)에서, 제1 홈(723)은 제1 탄성체(721)의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을 가로지르는 경사 방향으로 서로 공간을 가지고 형성되며, 제2 홈(724)은, 제1 홈(723)에 수직이거나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제1 돌기(725)는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을 가로지르는 경사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며 제1 및 제2 홈(723, 724) 사이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 중 대응하는 하나와 반대쪽인 막(31)의 각각의 내부 표면부분은 복수의 제1 돌기(725)와 대면한다. 제8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는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을 가로지르도록 배열된 제1 돌기(725)의 상면과 대면한다.
제1 탄성체(72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베이스 시트(11)의 양면 상에 쌍으로 설치되며, 막(31)은 제1 탄성체(721)상을 감싸도록 구부러진다. 상기 막(31)의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은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으로 배열되기 때문 에,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 각각은 복수의 제1 돌기(725)와 대면한다.
도 10은, 제9 실시예에 따르는 제1 탄성체(821)를 평면도로 나타낸다. 제9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1 탄성체(21)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예와 다를 뿐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제1 탄성체(821)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탄성체(821)는 긴 판형상을 가지며, 제1 탄성체(821)의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을 가로지르는 경사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복수의 제1 홈(823)과, 상기 제1 홈(823)과 인접하며 제1 탄성체(821)의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을 가로지르는 경사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복수의 제1 돌기(825)를 가진다.
제1 홈(823)과 돌기(825)는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을 가로지르는 경사방향으로 서로 번갈아 배열된다. 제1 돌기(825)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31)의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의 각각이 복수의 제1 돌기(825)와 대면한다. 제9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은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을 가로지르도록 배열된 복수의 제1 돌기(825)의 상면과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 각각이 대면하도록 배열된다.
제1 탄성체(82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베이스 시트(11)의 대향면 상에 쌍으로 설치되며, 막(31)은 제1 탄성체(821)를 감싸도록 구부러진다. 제1 돌기(825)가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막(31)의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 각각은 복수의 제1 돌기(825)와 대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라, 전기 접속부재를 채용하는 전기 접속장치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여, 전기 접속부재(910)는 사각형 베이스 시트(911), 상기 베이스 시트(911)의 일면 상에 배열된 제1 탄성체(921), 및 상기 제1 탄성체(921) 상에 배열된 절연막(31)을 가진다.
상기 막(31)과 접촉점(33)은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상기 막(31)과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과 동일하다. 제1 탄성체(921)는 베이스 시트(911)의 일면 상에 설치된다. 제2 탄성체(922)는 제1 탄성체(921)와 대향하도록 베이스 시트(911)의 상술한 일면으로부터의 반대 표면상에 설치된다. 제10 실시예의 제1 탄성체(921)와 제2 탄성체(921)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개구(opening, 미도시)가 베이스 시트(911)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전자 장치(950)는 베이스 시트(911)의 개구에 설치된다. 제1 탄성체(921)는, 제1 플레이트(926)와 제1 플레이트(926)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926)의 일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제1 돌기(925)를 가진다.
제1 돌기(925)는 제1 플레이트(92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전자 장치(950)는 제1 플레이트(926)의 개구 내에 설치된다. 제1 돌기(925)는 동일한, 기둥형상을 가진다. 제1 돌기(925)는 피치방향(A)과 교차방향(C)으로 서로 떨어지도록 개구를 제외한 제1 플레이트(923)의 4개의 표면 영역 상에 배열된다. 제1 및 제2 접촉점(33a, 33b) 중 대응하는 하나와 반대쪽인 막(31)의 각각의 상부 표면부분은 제1 탄성체(921)의 복수의 제1 돌기(925)의 상면과 대면한다.
전기 접속부재(910)는, 전기 접속부재(910)가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 사이에 유지되고 인쇄배선기판(51, 61)이 전기 접속부재(910)에 대하여 가압되는 경우, 도 1에 나타낸 하나의 인쇄배선기판(51)과 다른 인쇄배선기판(61)을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제10 실시예의 전기 접속부재(910)에 있어서, 그 안에 전자 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인쇄배선기판(51, 61) 중 하나에 개구가 형성된다. 전자 장치(950)는 인쇄배선기판(51, 61)의 다른 하나 상의 회로에 접속된다.
도 12는, 제1 및 제2 인쇄배선기판(51, 61) 사이에 전기 접속부재(910)가 끼워진 채 전기 접속부재(910)에 대하여 인쇄배선기판(51, 61)을 가압함으로써,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에 전기 접속부재(910)가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될 때 돌기(925)가 탄성적으로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만일 돌기(925)가 서로 접촉하고 제1 돌기(925) 사이의 접촉이 제1 돌기(925)의 변형에 영향을 미친다면 막(31)의 접촉점(33)과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의 도전성부(53, 63) 사이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예견된다. 이 경우, 소정의 간격(S) 만큼 제1 돌기(925)가 서로 떨어져 있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제1 돌기(925)는, 두 개의 인쇄배선기판(51, 61)이 그들 사이에 전기 접속부재(910)가 끼워진 상태로 전기 접속부재(910)에 대하여 가압될 때 서로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간격(S)만큼 서로 떨어져 있음으로써, 제1 돌기(925)는 그들의 변형으로 인하여 서로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며, 그리하여 막(31)의 접촉점(33)과 두 개의 인쇄 배선기판(51, 61)의 도전성부(53, 63) 사이의 접촉은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시트(911)를 향하여 가압됨으로써 변형된 제1 돌기(925)의 변형치수가 0mm 보다 크고 또는 0.5mm 이하이면, 인접하는 제1 돌기(925) 사이의 간격(S)은 제1 돌기(925)의 변형의 진폭(amplitude of deformation)(변형의 치수)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돌기(925) 사이의 간격(S)의 설정은 제1 내지 제5 실시예, 제7 실시예 및 제8 실시예의 제1 및 제2 돌기(25, 125, 225, 325, 425, 625, 및 725)에 적용가능하다.
탄성체는 제1 내지 제10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 원형, 별모양, 도넛 모양, 및 십자가 모양 등 다른 다양한 형상의 돌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탄성체는 단면으로 보았을 때 피치방향과 교차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가지지만, 실질적으로 경사지게 돌출하는 돌기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10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접속부재가 제1 및 제2 탄성체에 대하여 피치방향에서의 위치가 조금 오정렬된 제1 및 제2 접촉점들과 조립된다고 하여도, 제1 및 제2 접촉점들 각각이 복수의 제1 및 제2 돌기와 접촉하기 때문에 전기 접속부재는 안정적인 접촉력을 제공하도록 허용된다.
따라서, 접속 대상물 사이의 전기 접속을 위해 필요한 충분한 힘을 얻을 수있는 전기 접속부재가, 접속 대상물 사이의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기 접속부재는 제1 및 제2 탄성체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접속 대상물의 휨이나 변형을 따르기 위한 안정적인 접촉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전기 접속부재에 공통인 고무, 젤 재료 등으로 형성된 탄성체를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다양한 피치를 가진 다양한 종류의 전기 접속부재가 막 상에 배열된 접촉점 사이의 피치방향으로의 간격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오직 한 종류의 몰딩 다이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피치방향으로 새로 설정된 간격을 가진 전기 접속부재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접속부재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인시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막 상에 배열된 제1 및 제2 접촉점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피치방향으로의 다양한 길이를 가진 다양한 종류의 전기 접속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는, 제1 및 제2 탄성체용 공통 몰딩다이를 사용하고, 접촉점의 피치방향으로 길이에 상관없이 공통 조립지그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탄성체상의 막을 감싸고, 피치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고 제1 탄성체와 제2 탄성체 부분을 연속적으로 배열하며 피치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가진 복수의 제1 및 제2 돌기를 배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전기 접속부재의 크기 감소와 피치방향으로의 감소된 피치는 상기 막과 제1 및 제2 탄성체 사이에서 위치 오정렬을 보다 용이하게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및 제2 탄성체는, 제1 및 제2 접촉점 각각에 대면하도록 복수의 제1 및 제2 돌기가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기 접속부재는 IC 메모리카드용 커넥터, 액정 패널용 콘택트, 및 LSI 상에 표면실장된 전자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방성 도전성 커넥터(anisotropic conductive connector)에 적용가능하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확립할 수 있는 전기 접속부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그 구성부품의 제조에 필요한 인시(man-hours)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기 접속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제1 및 제2 접속 대상물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 접속부재로서,
    베이스 시트,
    상기 베이스 시트의 일면 상에 배열된 절연성 제1 탄성체, 및
    상기 제1 탄성체 상에 배열된 제1 부분을 가지는 절연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은 제1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을 위한 제1 접촉점을 가지며,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제1 접촉점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제1 돌기를 가지는, 전기 접속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대향 면(opposite surface)과 대면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을 연결하는 U자 형상 단면부를 가지며,
    상기 제2 부분은 제2 접속 대상물과 접촉을 위한 제2 접촉점을 더 가지며, 상기 제2 부분이 제1 접촉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와 제2 부분 사이에 배열된 절연성 제2 탄성체를 더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제2 접촉점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제2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체는 제1 돌기를 서로 연결하는 플레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 상에, 서로 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서로 간격을 가지고 지그재그식으로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체는 서로 간격을 가지고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1 홈을 가지며, 상기 제1 돌기는 인접하는 상기 제1 홈 쌍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체는 서로 간격을 가지고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1 홈과, 서로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2 홈을 가지며, 상기 제1 돌기는 인접하는 상기 제1 홈 쌍들과 인접하는 상기 제2 홈 쌍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체는 복수의 구멍들을 가지며,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구멍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부재.
  11.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 시트의 복수의 가장자리 각각에 설치된 제1항에 따른 전기 접속부재를 가지는 전기 접속장치.
KR1020070013302A 2006-02-09 2007-02-08 접속 대상물 사이의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부재 KR100856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32739A JP4240499B2 (ja) 2006-02-09 2006-02-09 接続部材
JPJP-P-2006-00032739 2006-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105A true KR20070081105A (ko) 2007-08-14
KR100856704B1 KR100856704B1 (ko) 2008-09-04

Family

ID=3836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302A KR100856704B1 (ko) 2006-02-09 2007-02-08 접속 대상물 사이의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35101B2 (ko)
JP (1) JP4240499B2 (ko)
KR (1) KR100856704B1 (ko)
CN (1) CN100524952C (ko)
TW (1) TWI3239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9952B2 (ja) * 2007-09-19 2010-12-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部材、ic検査用ソケット
JP4678791B2 (ja) * 2007-11-19 2011-04-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部材及びコネクタ
JP5336937B2 (ja) * 2009-06-09 2013-1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2238806A (zh) * 2010-04-28 2011-11-09 富葵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电路板模组
US8231390B2 (en) * 2010-06-18 2012-07-3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pedance in a flexible circuit
JP5845029B2 (ja) * 2011-09-16 2016-01-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ハウジングレスコネクタ
JP2013258044A (ja) * 2012-06-12 2013-12-26 Molex Inc コネクタ
JP6016244B2 (ja) * 2013-06-11 2016-10-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99467B1 (ja) * 2016-10-13 2017-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KR102440998B1 (ko) * 2020-04-16 2022-09-13 주식회사 글린트머티리얼즈 양면 패턴부를 포함하는 템포러리 본딩용 미끄럼 방지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9580A (en) * 1980-12-27 1982-07-08 Miyachi Denshi Kk Detection of inter-electrode voltage in resistance welding
JPS5851485A (ja) * 1981-09-22 1983-03-26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異方性超細密導電ゴム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4706097A (en) * 1986-04-03 1987-11-10 Hewlett Packard Company Near-linear spring connect structure for flexible interconnect circuits
US4975068A (en) * 1989-12-04 1990-1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Flexible cable connector
US5059129A (en) * 1991-03-25 1991-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bilayered elastomeric member
US5273440A (en) * 1992-05-19 1993-12-28 Elco Corporation Pad array socket
JPH0660930A (ja) * 1992-08-03 1994-03-04 Bridgestone Corp 異方導電性コネク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76876A (ja) * 1992-08-28 1994-03-18 Bridgestone Corp 異方導電性コネク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88062A (ja) * 1994-09-16 1996-04-02 Toshiba Corp コネクタおよび基板実装方法
JP2876292B2 (ja) * 1995-01-20 1999-03-31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3350895B2 (ja) * 1996-01-16 2002-11-2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ラストメリ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0248582B1 (ko) 1996-07-30 2000-03-15 이사오 우치가사키 서로 마주보는 전극들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접속시트, 및 이 접속시트를 사용하는 전극접속구조 및 접속방법
US6077090A (en) * 1997-06-10 2000-06-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circuit connector with floating alignment frame
US6036502A (en) * 1997-11-03 2000-03-14 Intercon Systems, Inc. Flexible circuit compression connector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873740A (en) * 1998-01-07 1999-0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member having layers of different durometer elastomeric materials
US6520789B2 (en) * 2001-05-22 2003-02-18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ing system for printed circuit boards
JP3909771B2 (ja) * 2004-04-28 2007-04-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40499B2 (ja) 2009-03-18
US7435101B2 (en) 2008-10-14
CN101038988A (zh) 2007-09-19
US20070190820A1 (en) 2007-08-16
JP2007213985A (ja) 2007-08-23
TWI323957B (en) 2010-04-21
TW200805801A (en) 2008-01-16
KR100856704B1 (ko) 2008-09-04
CN100524952C (zh)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704B1 (ko) 접속 대상물 사이의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부재
KR100776894B1 (ko)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안정된 접속이 가능한 전기접속 부재및 그것을 사용하는 커넥터
US7537459B2 (e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KR100249250B1 (ko) 반도체 패키지용 접속 소켓
US6312263B1 (en) Board-to-board connector capable of readily electrically connecting two parallel boards to each other
US3960423A (en) Multi-contact connector for substrate-to-board connections
US20080173463A1 (en) Extendable cable or extendable connecting member
KR101397768B1 (ko) 전기 부품
US7914293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855013B2 (en) LCD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JP4756716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装置
KR100341845B1 (ko) 기판용컨넥터
JP4746035B2 (ja) 電気的接続装置
US6893269B2 (en) Connector efficiently forming a standoff region
JP2013030434A (ja) 電気コネクタ
US9118128B2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 reinforcement frame
US7973247B2 (en) Connecting portion of circuit board and circuit board-connecting structure technical field
JP4400671B2 (ja) 異方性導電フィルム
KR0139406B1 (ko) 패널 커넥터
JP2024001999A (ja) コネクタ、コネクタ対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10953A (ja) コネクタ
KR20230028560A (ko) 전기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
JP2005108656A (ja) コネクタ
KR20070082042A (ko) 접속 소자
JP2007012339A (ja) 電気接続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