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406B1 - 패널 커넥터 - Google Patents

패널 커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406B1
KR0139406B1 KR1019930020320A KR930020320A KR0139406B1 KR 0139406 B1 KR0139406 B1 KR 0139406B1 KR 1019930020320 A KR1019930020320 A KR 1019930020320A KR 930020320 A KR930020320 A KR 930020320A KR 0139406 B1 KR0139406 B1 KR 0139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nector
electrodes
groups
conductiv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189A (ko
Inventor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1019930020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406B1/ko
Publication of KR950010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406B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의 패널과 기판간을 접속하는 신규한 패널커넥터를 개시한다.
패널에는 화소구동을 위해 다수의 전극들이 인출되어 전극패드를 구성하는데 이들을 기판에 접속시키기 위해 커넥터가 사용된다. 그런데 전극의 수가 늘어 피치가 감소되면 전극간에 간섭과 구동노이즈가 발생된 패널의 고밀도화에 장애가 되었다.
본 발명 커넥터상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그룹의 도전전극을 배열하고, 양 도전전극 그룹의 단부부분에 루우프를 형성하여 접속면을 구성함으로써 패널의 고밀도화가 가능하게 하였다.(제4도)

Description

패널 커넥터
제1도는 패널과 기판간의 접속을 보이는 사시도,
제2도는그 전개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커넥터의 구성원리를 보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커넥터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한 전극패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커넥터(flexible panel connector) T1,T2:도전전극(導電電極)
F:접속면(接續面) L: 지지블록(end block)
E:탄성패드(elastic pad) P:패널(Flat Display Panel)
B:기판(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패널과 회로기판간을 접속시키는 패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평판표시패널(Flat Display Panel)을 이용한 평판표시장치는 전자기기의 경박단소화 경향에 따라 점차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패널에 화상등의 고정보밀도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화소에 의한 세그먼트(segment)방식이 아니라 매트릭스(matrix)방식으로 구성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panel:P)과 회로기판(B)에는 XY 방향의 다수의 화소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다수의 전극(G)이 인출되는 바, 이 전극(G)들의 집합을 통칭하여 전극패드(전극 pad;D1,D2)로 부르고 있다.
이와같은 패널(P)을 그 구동회로등이 내장된 기판(B)과 접속하기 위해서는 패널(P)과 기판(B)의 전극패드(D1,D2)간을 상호접속시켜야 하는 바, 이와같은 전극패드(D1,D2)간의 접속에는 일반적으로 FPC(Flexible Panel Connector)로 불리우는 커넥터(K)가 사용되고 있다. 이 커넥터(K)는 유연한 절연재질의 베이스(base)상에 구리등 연성(연성)이 큰 금속을 적층하여 복수의 도전전극을 형성한 것으로, 유연하게 절곡될 수 있으므로 점선과 같이 기판(B)을 패널(P)의 하부에 설치하는 등 표시장치의 설계에 많은 편의를 주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접속구조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널(P) 또는 기판(B)의 전극패드(D1,D2)의 전극(G)과 커넥터(K)의 베이스(S)상의 도전전극(T)이 동일한 피치(pitch)로 대응되어 서로 정확히 접합된 상태로 접촉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패널(P)의 고정세화에 따라 전극패드(D1,D2)의 전극(G)수가 점차 증가하게 되므로 전극(G)간의 피치가 좁아지게 되고, 이에따라 대응 전극간의 정확한 접속이 어려워지며 접속면적이 작아 적절한 구동이 곤란하며 노이즈의 혼입이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은 평판표시소자의 고해상도화에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대응전극과의 정확한 접속이 가능한 패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패널 커넥터는, 패널과 기판의 전극패드간을 접속하는 패널 커넥터에 있어서, 베이스상에, 각각의 단부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중식축선이 서로 교호하는 두 그룹(group)의 도전전극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 패널 커넥터는 전극의 피치가 종래의 ½이하로 감소되어도 전극간의 간섭없이 접속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두 그룹의 도전전극의 단부 부근에서 커넥터가 루우프(loop)를 형성하여 접속면을 구성함으로써 이 접속면상에 두 그룹의 도전전극들의 단부가 서로 교호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하면 매우 조밀한 피치로 전극이 배치된 전극패드라하더라도 접속위치의 이탈이나 전극간의 간섭 또는 단락이 없이 접속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이 루우프내에는 지지블록과 탄성패드가 설치되어 접속면상의 두 그룹의 도전전극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고 접속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해 주게 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 패널 커넥터의 구체적 특징과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3도에서, 본 발명 패널 커넥터(1)는 그 하부에 보인 바와 같이, 베이스(S)상에 두 그룹의 도전전극(T1,T2)을 그 단부간의 소정 간격(d)이 유지되도록 배열한 기본적 구성을 가지게 된다. 양 그룹의 도전전극(T1,T2)은 연속적으로 배열된 전극패드의 전극(도시안됨)에 교호적으로 접속되는데, 이 전극의 구성상 바람직하기로는 양 그룹의 도전전극(T1,T2)의 중심축선도 서로 교호하게 된다. 즉 양 그룹의 도전전극(T1,T2)들은 그 중심축선을 연장하였을 때 서로 만나지 않고 교호하게 되므로 양 그룹은 완전히 분리된 별도의 전기적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은 특징을 가지는 커넥터(1)는 전극패드와의 접속의 편의를 위해 제3도의 상부에 보인 바와같이 루우프를 형성하도록 변곡시켜 양 접선(A-A)사이의 부분이 접속면(F)을 형성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접속면(F)에는 두 그룹의 도전전극(T1,T2)의 단부들이 서로 소정간격을 유지한채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이와같은 패널 커넥터(1)는 패널 또는 기판의 전극패드에 접속되어 교정되어야 하므로 바람직하기로는 제4도와 같은 구성을 가지게 된다. 즉 커넥터(1)의 루우프 내에는 지지블록(L)과 탄성패드(E)가 구비되어 커넥터(1)의 루우프 부분을 한 블록으로 구성해주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지지블록(L)은 경질(硬質)의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탄성패드(E)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이에따라 제4도의 구성에 있어서는, 지지블록(L) 및 탄성패드(E)에 의해 지지되는 커넥터(1)의 루우프 부분에 파지가능한 블록이 형성되어, 패널의 기판 조립시 이를 파지하여 커넥터(1)를 패널(P) 또는 기판(B)의 전극패드(D1)상에 접속 및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커넥터(1)의 접속면(F)에는 두 그룹의 도전전극(T1,T2)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도면 우측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접속단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패널(P) 또는 기판(B)의 전극패드(D1)의 전극(G1,G2)은 커넥터(1)의 도전전극(T1,T2)에 대응하도록 두 그룹으로 분리된 접속위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에는 본 발명 커넥터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하도록 접속위치가 분리된 전극패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평판표시장치의 접속구조라는 명칭으로 본원과 동일자로 출원(특허출원번호 추후보정)된 것이다. 이 전극패드(D1)는 서로 종단길이가 다른 복수의, 바람직하기로는 두 그룹의 전극(G1,G2)이 교호적으로 배열되어 그 종단에 면적이 증대된 접속점(N)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커넥터(1)의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두 그룹의 도전전극(T1,T2)이 전극패드(D1)의 두 그룹의 전극(G1,G2)의 접속점(N)에 각각 접촉하여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형성되는 도전경로는 한 전극(G1,G2) 걸러 서로 커넥터(1)의 반대측에 형성된 도전전극(T1,T2)을 통해 형성되므로 상호 전기적 간섭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패드의 전극수가 증가하여 전극간의 피치가 조밀해지더라도 인접전극간에 전기적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신뢰성 높은 접속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이에따라 본 발명 커넥터에 의하면 전극패드의 전극패치를 종래의 2배 정도로 조밀화할 수 있게 되어 평판표시장치의 고밀도화에 큰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베이스상에, 다수의 도전전극이 배열되어 구성된 패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도전전극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두 그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그룹의 도전전극의 중심축선이 서로 교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두 도전전극 그룹의 단부 부근에서 루우프를 형성하여 접속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접속면에 상기 두 그룹의 도전전극의 단부들이 서로 교호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루우프내에 지지블록이 설치되어 이 루우프부분이 파지 및 고정가능한 접속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의 하부에 상기 접속면의 접속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해주는 탄성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커넥터.
KR1019930020320A 1993-09-28 1993-09-28 패널 커넥터 KR0139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320A KR0139406B1 (ko) 1993-09-28 1993-09-28 패널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320A KR0139406B1 (ko) 1993-09-28 1993-09-28 패널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189A KR950010189A (ko) 1995-04-26
KR0139406B1 true KR0139406B1 (ko) 1998-07-01

Family

ID=6682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320A KR0139406B1 (ko) 1993-09-28 1993-09-28 패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93Y1 (ko) * 2008-11-25 2010-10-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디지털 신호 논리 인터페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189A (ko) 1995-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86535B (zh) 显示模组、显示模组的制造方法及显示装置
KR20060113517A (ko)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안정된 접속이 가능한 전기접속 부재및 그것을 사용하는 커넥터
KR100856704B1 (ko) 접속 대상물 사이의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부재
US6265986B1 (en) Display system
KR100529225B1 (ko) 액정 표시 패널의 검사용 프로브, 액정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및 검사 방법
US7342180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KR970011941A (ko)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0139406B1 (ko) 패널 커넥터
US5555116A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djacent electrode terminals set equal in length
CN110703521A (zh) 液晶显示面板
KR0166003B1 (ko) 패널의 접속구조
KR100300388B1 (ko) 액정표시장치
US11013122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wiring boards and display device
JP2000131673A (ja) 表示装置
JPH0894668A (ja) プローブ
JPH07325315A (ja) 表示装置
JPH11134105A (ja) 電磁誘導型タブレット
KR200155746Y1 (ko)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JPH10160761A (ja) コンタク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84853A (ja) プローブユニット
JP3285489B2 (ja) 表示パネル検査用コンタクト装置
JPH1139953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0066622A (ja) 表示装置
KR100572549B1 (ko) 전극단자 및 이 전극단자의 접촉에 사용하는 누름수단 및 이들을 이용한 전기부품 검사용 소켓
JP2857547B2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