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746Y1 -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746Y1
KR200155746Y1 KR2019950051836U KR19950051836U KR200155746Y1 KR 200155746 Y1 KR200155746 Y1 KR 200155746Y1 KR 2019950051836 U KR2019950051836 U KR 2019950051836U KR 19950051836 U KR19950051836 U KR 19950051836U KR 200155746 Y1 KR200155746 Y1 KR 200155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or
electrode pad
substrate
pane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18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531U (ko
Inventor
주영대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199500518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746Y1/ko
Publication of KR970046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5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7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판표시소자의 전극패드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전극인출구조를 개시한다.
종래 FPC등의 접속수단은 열처리등이 필요하여 접속이 번거롭고 분리도 곤란하며 분리후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안정된 접속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ㄷ자형 결합슬롯을 가지는 커넥터를 기판측단에 결합하여 용이한 접속과 안정된 접속상태, 그리고 반복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정합홈 및 정합돌기의 대응구성으로 삽입만으로 정확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제1도는 종래의 접속구조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접속구조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그 결합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기판 P : 전극패드(electrode pad)
1 : 커넥터(connector) 2 : 결합슬롯(coupling slot)
3 : 접속브러시(connecting brush) 4, 5 : 연장부
6 : 케이블 다발
8, 9 : 접합홈(alignment groove) 및 정합돌기
본 고안은 평판표시소자(Flat Display Panel ; FDP)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표시소자(PDP)나 액정표시소자(LCD)등의 FDP는 기판상에 전극등의 기능층을 배열하여 구성한 것으로, 소정화소의 선택적 표시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두 기판에 서로 교차상태로 대향하는 전극 군(群)을 배열하고 있다.
LCD등 저전압을 사용하는 FDP에 있어서는 전극을 기판의 외단까지 연장하여 제브라 커넥터(Zebra Connector)등의 접속수단을 접촉시켜 외부회로에 접속하고 있는데, LCD도 대형화되면 제브라 커넥터로는 일괄적으로 접속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PDP등 고전압을 사용하는 FDP에 있어서는 절연이나 접촉저항의 문제에 의해 접촉방식의 접속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FDP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G)을 복수의 그룹(group)으로 나누어 기판(S) 측단에 각각 전극패드(P)를 형성하고 이 전극패드(G)에 접속수단을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접속수단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도시된 바와 같은 FPC(Flexible Pannel Connector)인바, 이것은 유연한 합성수지 필름(film)상에 복수의 도전경로를 형성하는 금속박(薄)을 피복한 구성으로 열접착등에 의해 전극패드(P)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FPC는 전극패드(P)내의 다수의 전극패턴들을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지만, 접속에 열처리공정이 필요하고 일단 부착된 후에는 접속불량등에 의해 분리하고자 해도 분리가 어렵고 전극패드(P)에 손상을 야기하며, 일단 분리된 FPC는 재사용될 수 없어 폐기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접속상태의 물리적 결합 강도도 그다지 높지 못해 화상표시장치 구성시의 신뢰성도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별다른 공구나 공정이 없이도 결합이 가능하고, 반복적인 분해결합이 가능할 뿐아니라 결합강도도 높은 FDP의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접속구조는 기판의 측단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ㄷ자형의 결합슬롯(結合 slot)이 형성되며, 이 결합슬롯내에 전극패드와 동일 피치로 배열되어 케이블 다발의 각 케이블에 연결되는 접속브러시들을 가지는 커넥터를 전극패드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특징에 의하면 커넥터의 결합슬롯을 형성하는 두 연장부중 적어도 한 연장부는 평판이며, 기판의 전극패드의 양측중 적어도 일측에는 정합홈(alignment groove)이 형성되고 커넥터의 대응위치에도 정합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서, 본 고안에 의한 접속구조는 전극패드(P)에 케이블 다발(6)이 연결된 커넥터(1)가 결합된다. 이 커넥터(1)는 상,하의 두 연장부(4, 5)에 의해 ㄷ자형의 결합슬롯(2)을 형성하여, 이 결합슬롯(2)이 기판(S)의 단부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결합슬롯(2)의 내부에는 케이블다발(6)의 각 케이블(7)에 연결되는 접속브러시(3)들이 전극패드(P)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어 있어서, 커넥터(1)를 전극패드(P)의 일측으로 삽입시키면 결합슬롯(2)이 기판(S)에 탄성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접속브러시(3)가 해당 전극패드(P)에 접촉되어 케이블다발(6)의 해당 케이블(7)과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커넥터(1)는 기판(S)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연장부(4, 5)의 두께만큼 기판(S)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이것은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시 FDP의 설치를 곤란하게 하므로 양 연장부(4, 5)중 어느 하나, 도시된 상태에서는 하측 연장부(5)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두께의 평판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1)의 구성은 케이블 다발(6)을 제외하면 컴퓨터에 있어서 보오드(board)를 연결하는 슬롯과 유사한 구성이나, 슬롯에 삽입되는 보오드는 슬롯보다 작은 크기인 반면, 본 고안에서와 같은 커넥터(1)는 기판(S) 보다 작은 크기로 기판(S)의 한 변에 복수가 결합되어야 하므로 전극패드(P)와 접속브러시(3)가 정확히 대응하도록 삽입시켜 그 결합상태를 유동없이 유지하기가 다소 곤란하다.
이에 따라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기판(S)의 전극패드(P)의 적어도 일측, 바람직하기로는 양측에 정합홈(8)을 형성하고 커넥터(1)에도 이에 대응하는 정합돌기(9)를 형성한다. 정합홈(8)은 기판(S)의 단부측으로 입구가 개방되도록 약간 인입된 형태면 족한데, 커넥터(1)를 이 정합홈(8)에 안내되어 삽입되는 것만으로 전극패드(P)와 접속브라시(3)가 정확히 대응되어 접속이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유동없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접속구조는 커넥터(1)의 분해결합에 열처리등 특별한 공정이나 공구가 필요없고, 삽입만으로 정합되므로 접속불량등의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없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분해결합하여도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며 외부회로와의 접속도 용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FDP의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구조를 단순화하며 신뢰성 높은 접속을 제공하는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평판표시소자의 기판의 외단에 형성된 전극패드를 통해 전극을 인출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판(S)의 측단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ㄷ자형의 결합슬롯(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슬롯(2)내에 상기 전극패드(P)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어 케이블 다발(6)의 각 케이블(7)에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브러시(3)들을 가지는, 커넥터(1)를 상기 전극패드(P)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의 ㄷ자형 결합슬롯(2)을 형성하는 두 연장부(4, 5)중 어느 한 연장부(5)가 평판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S)의 전극패드(P)의 양측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정합홈(8)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1)에 이에 대응하는 정합돌기(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KR2019950051836U 1995-12-29 1995-12-29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KR200155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1836U KR200155746Y1 (ko) 1995-12-29 1995-12-29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1836U KR200155746Y1 (ko) 1995-12-29 1995-12-29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531U KR970046531U (ko) 1997-07-31
KR200155746Y1 true KR200155746Y1 (ko) 1999-09-01

Family

ID=1944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1836U KR200155746Y1 (ko) 1995-12-29 1995-12-29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7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720B1 (ko) * 2007-01-24 2014-0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758B1 (ko) * 2007-03-09 2008-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720B1 (ko) * 2007-01-24 2014-0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531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4980A (en) High density and multiple insertion connector
KR100776894B1 (ko)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안정된 접속이 가능한 전기접속 부재및 그것을 사용하는 커넥터
KR20030035888A (ko) 플렉시블 회로기판의 압착구조
US6855013B2 (en) LCD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JP3678267B2 (ja) 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6739878B1 (en) Pressure point contact for flexible cable
JPH07288041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KR200155746Y1 (ko)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US20190369434A1 (en) Electro-optical apparatus
JP2913151B2 (ja) 電子部品の端子部接続構造
US6769922B1 (en) Auxillary connectors for connectors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737633A (ja) エラストマコネクタ
KR0139406B1 (ko) 패널 커넥터
JP2001024301A (ja) 配線基板および導電性弾性部材
KR19980017585A (ko)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KR0170428B1 (ko) 평판표시패널의 접속구조
US20110076864A1 (en) 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H06251834A (ja)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板装置及びコネクタ装置
JP2000194278A (ja) 電気回路装置
JP3592181B2 (ja) コネクタ接続構造
KR20040062170A (ko)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JPH1139953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JP3251163B2 (ja) 表示パネル検査装置
JP2001217522A (ja) 電気基板接続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機器
KR100453191B1 (ko)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