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537A -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537A
KR20070075537A KR1020060003921A KR20060003921A KR20070075537A KR 20070075537 A KR20070075537 A KR 20070075537A KR 1020060003921 A KR1020060003921 A KR 1020060003921A KR 20060003921 A KR20060003921 A KR 20060003921A KR 20070075537 A KR20070075537 A KR 20070075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 transportation
re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159B1 (ko
Inventor
정재우
조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159B1/ko
Publication of KR2007007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5Grip increasing with strain fo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예약 시스템은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승차를 예약하기 위한 솔루션이 저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대중교통 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승차 예약 정보를 외부 출력하는 교통 단말기와, 교통 단말기와 RF 통신을 수행하며, GPS 위치 추적을 통해 교통 단말기가 설치된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위치를 추적하고, 임의의 정류장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을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과,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운행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여 솔루션의 구동에 의해 운행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솔루션의 구동에 의해 승차 예약 정보가 전송되면 교통 단말기로 승차 예약 정보를 전송하여 교통 단말기가 승차 예약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예약 서버를 포함하며,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운행자가 예비 승객의 존재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대중교통, 버스, 도착 시간, 요금 결제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 및 방법{RESERVATION SYSTEM FOR PUBLIC TRANSPORT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이동 통신 단말기 120 : 이동 통신망
130 :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 140 : 공중 전화망
150 :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 160 : 결제 서버
170 : 예약 서버 180 : 교통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외버스 또는 시내버스 등과 같이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대중교통에 대한 승차 예약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심권 대중교통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시내버스 정류장을 보면 버스가 아무 곳에서나 정차하고,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들은 자기가 승차할 버스를 확인하기 위해 남녀노소 불문하고 이리 저리 뛰어 다녀야 하는 실정이기 때문에 무질서와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다. 또한, 교통 체증 등의 원인에 의한 버스의 불규칙적인 운행간격과 결행에 의해 승객들의 불만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러한 대중교통의 문제점, 특히 시내버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6302호에는 "시내버스 도착정보 제공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시내버스 도착정보 제공시스템은, 모니터 등의 표시수단을 통해 버스 도착 시에 미리 대기 중인 승객들에게 버스의 도착을 통보하며, 버스가 도착하지 않는 시간동안 홍보나 상업적 광고 등을 모니터 등의 표시수단을 통해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버스 도착 시에 미리 대기 중인 승객들에게 버스의 도착을 통보하게 되어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들이 이리저리 뛰어다닐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함과 안전성이 뛰어나고 동시에 교통 무질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3807호에는 "RF 통신망을 이용한 버스 도착 안내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RF 통신망을 이용한 버스 도착 안내 방법 및 시스템은, GPS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에서 버스에 설치된 단말 장치와 버스 정류장에 위치한 버스 도착 안내기 사이에 RF 통신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버스 정류장에 위치한 버스 도착 안내기를 통해 정류장에 대기 중인 승객에게 정확한 버스 도착 및 출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등록특허 및 공개특허는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예비 승객들에게는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알려주는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으나, 운행 중인 버스의 기사는 버스 정류장에서 승차 대기 중인 예비 승객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다.
한편, 노선 버스의 경우에 모든 정류장에 정차한 후 승객의 유무를 확인하고 승차 승객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 승객의 안전한 승차를 확인한 후에 출발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교통체증 등으로 인하여 항상 기준 운행시간에 쫓기게 되며 이로써 일부 정류장에서는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는 경우가 간헐적으로 발생되기도 한다.
특히, 인접 도시들을 연결하는 광역 노선 버스의 경우에 시외 운행구간에서는 시내 운행구간보다는 훨씬 빠른 속도로 운행하며, 시외 운행구간의 일부 정류장에서는 승객이 없을 것으로 추정하여 무정차 통과하는 경우가 보다 빈번히 발생된다.
이러한 무정차 통과의 경우에 통과 정류장에서 승차를 대기하는 예비 승객들은 다음 회차의 버스가 도착하기를 대기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대표적인 민원불만사항 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버스의 기사들에게는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범하지 않도록 하는 교육이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실제로는 기준 운행시간 준수 등에 막혀서 정류장 무정차 통과의 문제점이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시외버스 또는 시내버스 등과 같이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정류장에 대기 중인 예비 승객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승차 예정 정보를 발송하면 해당 운송수단에 설치된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함으로써 해당 운송수단의 운행자(예로서 버스 기사)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은, 시외버스나 시내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승차를 예약하기 위한 솔루션이 저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대중교통 운송수단에 설치되어 교통 카드 결제 기능을 수행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승차 예약 정보를 외부 출력하는 교통 단말기와, 교통 단말기와 RF 통신을 수행하며, GPS 위치 추적을 통해 교통 단말기가 설치된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위치를 추적하고, 임의의 정류장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을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과,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운행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여 솔루션의 구동에 의해 운행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솔루션의 구동에 의해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승차 예약 정보가 전송되면 교통 단말기로 승차 예약 정보를 전송하여 교통 단말기가 승차 예약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예약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방법은, 시외버스나 시내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승차를 예약하기 위한 솔루션이 저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운행 정보를 전송하여 솔루션의 구동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운행 정보에 의거한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승차 예약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와, 전송 받은 승차 예약 정보를 대중교통 운송수단에 설치된 교통 단말기로 전송하여 승차 예약 정보가 교통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 이동 통신망(120),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130), 공중 전화망(PSTN)(140),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150), 결제 서버(160), 예약 서버(170), 교통 단말기(180) 등을 포함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망(120)을 통해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130)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130)은 공중 전화망(140)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150)과 결제 서버(160) 및 예약 서버(170)에 연결되어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과 같은 어떠한 이동 통신 단말기도 사용 가능하지만 초고속의 통신속도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는 대중교통의 승차를 예약하거나 승차 요금의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기본적인 솔루션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솔루션은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약 서버(170)로부터 수시로 다운로드되어 업데이트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도시 생략됨)를 내장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구비되어 있는 RF 안테나 또는 광통신 포트를 통하여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스마트 카드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전화번호, 사용자 정보, 결제 인증키 등과 같이 결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150)은 시외버스 또는 시내버스 등과 같이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운송수단에 각각 설치된 교통 단말기(180)와 RF 통신을 수행하며, GPS 위치 추적을 통해 교통 단말기(180)가 설치된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위치를 추적하고, 임의의 정류장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 등을 파악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의한 승차 예약 또는 결제 수행 시에 해당 정보를 교통 단말기(180)로 전송하여 교통 단말기(180)에 해당 정보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운송수단의 운행자(예로서 버스 기사)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교통 단말기(180)는 스마트 카드(도시 생략됨)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를 수행하도록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기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된 결제 정보(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전화번호,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결제 인증키 등)를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150)을 통해 결제 서버(160)로 전송하여 결제 요청을 한다. 또한, 교통 단말기(180)는 충전식 교통 카드와 교통 카드 기능을 가지는 신용 카드 등과도 근거리 통신을 통해 결제 정보(결제 인증키 등)를 획득한 후에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150)을 통해 결제 서버(160)로 전송하는 공지의 교통 카드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예약 서버(170)는 대중교통의 승차를 예약하기 위한 솔루션을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게 제공하며,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150)으로부터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운행 정보 등을 제공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게 제공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예약 정보가 전송되면 다수의 교통 단말기(180) 중에서 해당하는 교통 단말기(180)를 파악한 후에 파악된 교통 단말기(180)로 예약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교통 단말기(180)가 예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예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줄 것을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130)에게 요청한다.
결제 서버(160)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결제 정보가 전송되면 수신한 결제 정보를 검증한 후 결제를 수행하며,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결제 정보를 해당 교통 단말기(180)로 전송하며,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줄 것을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130)에게 요청한다.
지금까지 도 1에 도시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핵심적 기능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기능 및 동작이 요구되며, 이러한 추가적인 기능 및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구체화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을 통한 대중교통 예약 서비스 과정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대중교통의 승차를 예약하거나 승차요금을 결제하기 위해 이동 통신망(120),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130), 공중 전화망(140),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150) 등을 통해 예약 서버(170)에 접속(S201)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다운로드된 예약 및 결제를 위한 솔루션이 구동되며,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화면에는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150)으로부터 다운로드된 각종 대중교통 운송수단들의 운행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는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150)에 의해 운용되는 각종 운송수단들을 선택할 수 있는 서비스리스트가 제공되며,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서비스리스트 중에서 임의의 운송수단을 선택하면 해당 선택 정보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150)으로 전송된다(S203).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15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서비스리스트에서 선택한 운송수단이 운행되는 노선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회신한다. 이때,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150)은 GPS 위치 추적을 통해 교통 단말기 (180)가 설치된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위치를 추적하고, 임의의 정류장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 등을 파악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그러면,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노선 정보 및 도착 예정 시간 정보 등을 참고하여 자신이 승차하고자 하는 정류장 정보를 입력하면서 동승 인원 등의 승차 정보를 함께 입력한다. 아울러,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승차 정보를 입력하면서 예약과 결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예약이 선택된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입력한 승차 정보와 예약자 정보가 예약 서버(170)로 전송되며, 결제가 선택된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입력한 승차 정보와 결제자 정보가 결제 서버(170)로 전송된다(S205).
여기서, 승차 예약의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스마트 카드가 내장된 경우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마트 카드가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경우에는 승차 예약 후에 해당 운송수단에 탑승하면서 교통 단말기(180)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승차 예약을 선택한 경우에 예약 서버(170)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예약 정보가 전송되면 다수의 교통 단말기(180) 중에서 해당하는 교통 단말기(180)를 파악한 후에 파악된 교통 단말기(180)로 예약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교통 단말기(180)가 예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며, 예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줄 것을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130)에게 요청한다.
아울러,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승차 결제를 선택한 경우에 결제 서버(160)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결제 정보가 전송되면 수신한 결제 정보를 검증한 후 결제를 수행하며(S207),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결제 정보를 해당 교통 단말기(180)로 전송하며,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줄 것을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130)에게 요청한다(S209).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130)으로부터 전송된 단문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예약 상태 또는 결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교통 단말기(180)는 예약 정보 또는 결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여 해당 운송수단의 운행자가 특정 정류장에 승차 예정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이로써, 승차 예약 또는 결제된 운송수단의 운행자는 어떠한 경우라도 특정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지 않고 정차를 하게 되며,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 및 그 일행은 해당 운송수단에 탑승하게 된다(S209).
승차 예약 후에 운송수단에 탑승할 때에는 교통 단말기(180)에 이동 통신 단말기(110)를 근접시켜서 근거리 통신을 통한 통상의 RFID 인증 절차에 의해 결제가 이루어지며(S211), 승차 결제 후에 운송수단에 탑승할 때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전화번호 등을 확인하는 절차에 의해 결제자 확인이 이루어진다.
이때, 승차 예약 후에 RFID 인증을 통한 결제가 수행되는 경우라면 교통 단말기(180)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결제 정보를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150)을 통해 결제 서버(160)로 전송하며, 결제 서버(160)는 과금 데이터를 생성 함으로써 모든 결제 절차를 완료한다(S213).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당연히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외버스 또는 시내버스 등과 같이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정류장에 대기 중인 예비 승객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승차 예정 정보를 발송하면 해당 운송수단에 설치된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함으로써, 해당 운송수단의 운행자(예로서 버스 기사)가 예비 승객의 존재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시외버스나 시내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승차를 예약하기 위한 솔루션이 저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대중교통 운송수단에 설치되어 교통 카드 결제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승차 예약 정보를 외부 출력하는 교통 단말기와,
    상기 교통 단말기와 RF 통신을 수행하며, GPS 위치 추적을 통해 상기 교통 단말기가 설치된 상기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위치를 추적하고, 임의의 정류장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을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과,
    상기 대중교통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운행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여 상기 솔루션의 구동에 의해 상기 운행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솔루션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승차 예약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교통 단말기로 승차 예약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교통 단말기가 상기 승차 예약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예약 서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시스템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하 여 상기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승차를 위한 결제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결제 정보를 검증한 후 결제를 수행하여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결제 서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결제 인증키가 저장된 스마트 카드를 내장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제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결제 정보에는 상기 결제 인증키가 포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
  4. 시외버스나 시내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승차를 예약하기 위한 솔루션이 저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상기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운행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솔루션의 구동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운행 정보에 의거한 상기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승차 예약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와,
    상기 전송 받은 승차 예약 정보를 상기 대중교통 운송수단에 설치된 교통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승차 예약 정보가 상기 교통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승차를 위한 결제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결제 정보를 검증한 후 결제를 수행하여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방법은, 상기 대중교통 운송수단이 임의의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 시간이 상기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운행 정보에 포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방법.
KR1020060003921A 2006-01-13 2006-01-13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101148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21A KR101148159B1 (ko) 2006-01-13 2006-01-13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21A KR101148159B1 (ko) 2006-01-13 2006-01-13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537A true KR20070075537A (ko) 2007-07-24
KR101148159B1 KR101148159B1 (ko) 2012-05-23

Family

ID=3850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921A KR101148159B1 (ko) 2006-01-13 2006-01-13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1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370B1 (ko) * 2012-02-23 2013-04-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 정류장의 정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8426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에이텍 고속버스 승차권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4171B1 (ko) * 2017-12-20 2019-06-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버스 도착 알림 시스템
CN113657680A (zh) * 2021-08-24 2021-11-16 深圳市新天能科技开发有限公司 交互式智能公交运营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413B1 (ko) 2021-03-22 2022-06-08 이석기 머신 러닝 기반의 통합 교통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498A (ja) 2000-08-11 2002-02-22 Eagle Bus Kk バス乗車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2236997A (ja) 2001-02-07 2002-08-23 Casio Comput Co Ltd 乗客端末装置、車両運行管理装置、乗車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4334581A (ja) * 2003-05-08 2004-11-25 Hino Motors Ltd 乗合車両の乗降支援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KR20030096115A (ko) * 2003-10-31 2003-12-24 주식회사 엠키 대중교통을 위한 안내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370B1 (ko) * 2012-02-23 2013-04-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 정류장의 정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8426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에이텍 고속버스 승차권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4171B1 (ko) * 2017-12-20 2019-06-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버스 도착 알림 시스템
CN113657680A (zh) * 2021-08-24 2021-11-16 深圳市新天能科技开发有限公司 交互式智能公交运营方法及系统
CN113657680B (zh) * 2021-08-24 2024-01-16 深圳市新天能科技开发有限公司 交互式智能公交运营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159B1 (ko)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52779B (zh) 一种基于蓝牙通信的乘车引导系统及方法
US10620010B2 (en) Public and ordered transportation trip planning
US8432256B2 (e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for railroad users
JP6062641B2 (ja) タクシー運用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JP6487411B2 (ja) 運送手段呼出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運送手段呼出サービス方法
KR101647834B1 (ko) 비콘을 이용한 대중교통 결제 방법 및 시스템
CN107111792B (zh) 用于在交通网络中售检票及验票的方法和系统
KR10114815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567A (ko) 택시 호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91308A (ko) 실시간 대중교통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길안내 방법
KR20160084338A (ko) 지능형 대중 교통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ITMI20111117A1 (it) Metodo e sistema per la condivisione in sicurezza di itinerari di viaggio in fase di percorrenza da soggetti offerenti a soggetti richiedenti il trasporto
JP2017134687A (ja) 移動体乗降支援システム及び移動体乗降支援用プログラム
JP2004334581A (ja) 乗合車両の乗降支援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KR101648084B1 (ko) 택시 승차장 서비스 방법
KR101647835B1 (ko) 비콘을 이용한 대중교통 광고 방법 및 시스템
JP2008217194A (ja) バス運行システム及びバス運行方法
RU2711255C1 (ru) Способ информирования и система информирования для выдач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й информации о выходе в рельсовом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JP2007249628A (ja) 車載システム
KR20090055541A (ko) 지능형 택시 정류장 시스템
KR20140107730A (ko) 택시 승차장 서비스 방법
KR20150053655A (ko) 지하철 요금 정산을 위한 결제 서버 및 단말기
KR20110119350A (ko) 정류장의 하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79737A (ko) 버스 정류장의 하차 시스템
JP2003143650A (ja) 移動体内情報通信方法、移動体内情報通信装置、移動体内情報通信システム、移動体内情報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移動体内情報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