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080A - 크로스바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크로스바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080A
KR20070073080A KR1020060000596A KR20060000596A KR20070073080A KR 20070073080 A KR20070073080 A KR 20070073080A KR 1020060000596 A KR1020060000596 A KR 1020060000596A KR 20060000596 A KR20060000596 A KR 20060000596A KR 20070073080 A KR20070073080 A KR 20070073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ase
crossbar
turn lever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6472B1 (ko
Inventor
조현영
김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0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472B1/ko
Priority to EP06768824A priority patent/EP1831053A4/en
Priority to JP2007553052A priority patent/JP4558803B2/ja
Priority to PCT/KR2006/002225 priority patent/WO2007078036A1/en
Priority to CNB2006800018051A priority patent/CN100548749C/zh
Priority to US11/533,974 priority patent/US20070152001A1/en
Publication of KR2007007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60R9/12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for sk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바의 양쪽 고정장치를 동시에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크로스바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작동 모듈과 상기 각 작동 모듈을 연동시키는 케이블로 구성되어 일측의 작동 모듈을 작동하면 양측의 작동모듈을 동시에 고정해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락킹 핀이 루프 랙에 고정되는 구성에 의해 견고한 고정력을 가지는 효과가 있는 크로스바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턴 레버, 케이블, 락킹 핀, 크로스바

Description

크로스바 고정 장치{Fixing apparatus for cross bar}
도 1은 루프 랙과 크로스바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턴 레버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핸드레버가 부가된 것을 도시하는 분리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고정장치의 작동 메카니즘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200 : 작동 모듈 110 : 베이스
111 : 수용부 120 : 턴 레버
121 : 작동부 122 : 연결부
123 : 케이블 고정부 124 : 관통공
125 : 슬릿 130 : 고정부
131 : 락킹 핀 132 : 풀리
133 : 연결축 134 : 스프링
300 : 케이블 400 : 핸드 레버
C : 크로스바 R : 루프 랙
본 발명은 루프 랙에 크로스바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로스바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작동 모듈과 상기 각 작동 모듈을 연동시키는 케이블로 구성되어 크로스바의 양쪽 끝단을 동시에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 캐리어라고 하는 것은 차량의 천장위에 설치되어, 각종 화물이나 스키 장비등과 같이 차체의 폭에 비해 부피가 크거나 차체의 전장에 비해 길이가 긴 짐들을 적재하는 장비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루프 캐리어는 차량의 전장 양측에 그 길이방향에 따라 각각 설치되는 루프 랙(10)과 상기 루프 랙(10)에 고정되는 크로스바(20) 및 상기 크로스바(20)를 상기 루프 랙(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20)는 상기 각 루프 랙(10)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크로스바(20)의 양단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고정부(30)에 의해 상기 루프 랙(10)의 특정 위치에 상기 크로스바(20)가 선택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루프 캐리어는 상기 크로스바(20)의 양단에 결합되어 있는 각 고정부(30)가 서로 별개의 동작에 의해 상기 크로스바(20)를 상기 루프 랙(10)에 고정 또는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루프 캐리어에 적재되는 화물(짐)의 크기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2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명의 작업자가 상기 크로스바(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상기 고정부(30)를 동시에 조작해야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물론 한 면의 작업자가 각 고정부(30)를 순차적으로 조작하여 상기 크로스바(2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지만 이런 경우에도 상기 작업자가 각각 상기 고정부(30)를 조작해야 한다는 불편함은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35591호에서는 상기 고정부(30)의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한 측면에서 캠(25)을 회전시킴에 따라 한 쌍의 압축로드(21)가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마찰패드(22)를 루프 랙(10)에 밀착시켜 상기 마찰패드(22)와 상기 루프 랙(10) 상호간의 마찰력으로 상기 크로스바가 고정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 역시 화물의 하중을 견디는 구성이 단순한 마찰패드(22)와 루프 랙(10)의 마찰력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정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크로스바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서 턴 레버에 의해 케이블을 작동시키는 작동 모듈에 의해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을 동시에 고정 또는 해제함은 물론 락킹 핀을 루프 랙에 삽입 고정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크로스바를 루프 랙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상기 크로스바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작동 모듈과 상기 각 작동 모듈을 연동시키는 케이블로 구성되는 고정장치로서, 상기 고정장치의 작동 모듈은 상기 크로스바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와 사용자가 작동하게 되는 작동부와 상기 케이블 고정부 및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상에서 회전함에 의해 상기 케이블을 구동하는 턴 레버와, 상기 턴 레버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구동됨에 따라 상기 루프 랙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락킹 핀과 상기 락킹 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이 접촉하는 풀리와 상기 락킹 핀을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연결축으로 구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크로스바 고정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크로스바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작동 모듈과 상기 각 작동 모듈을 연동시키는 케이블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 모듈에 장착되는 턴 레버가 케이블을 구동함에 의해 상기 크로스바의 양쪽 끝단을 루프 랙에 동시에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로스바(C)의 양쪽 끝단에 설치되는 작동 모듈(100,200)과 상기 작동 모듈(100,200)을 연동시키는 케이블(300)로 구성된다.
상기 양측의 작동 모듈(100,200)은 구성이 동일하여 그 중 하나의 작동 모듈(10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작동 모듈(100)은 상기 크로스바(C)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장착되는 한편 상기 케이블(300)을 구동하는 턴 레버(120)와 상기 턴 레버(120)에 의해 구동되는 케이블(300)의 작동에 의해 루프 랙(R)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고정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크로스바(C)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상면에 힌지부(112)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턴 레버(120)와 핀 결합을 하는 한편 상기 베이스(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111)에 의해 역시 후술되는 고정부(130)의 연결축(133)이 장착된다.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루프 랙(R)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락킹 핀(131)과 상기 락킹 핀(13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풀리(13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풀리 수용부(135)와, 상기 풀리 수용부(135)를 관통하는 한편 상기 베이스(110)의 수용부(111)에 고정되는 연결축(133)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풀리(132)상에 걸쳐져서 구동되는 케이블(300)에 의해 상기 락킹 핀(131)이 전진 또는 후퇴하여 상기 루프 랙(R)에 고정 또는 해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축(133)상에 스프링(134)이 장착되어 상기 스프링(13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킹 핀(131)이 항상 상기 루프 랙(R)에 삽입되게 하여 결국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 메카니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30)는 케이블(300)에 의해 전진 후퇴되는데 상기 케이블(300)은 턴 레버(120)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턴 레버(12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300)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123)와 사용자가 작동하게 되는 작동부(121)와 상기 케이블 고정부(123) 및 조작부(121)를 연결하는 연결부(1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턴 레버(120)에 관통공(124)이 형성되는데, 상기 턴 레버(120)의 관통공(124)과 상기 베이스(110)의 힌지부(112)가 핀 결합됨에 의해 상기 턴 레버(12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케이블(300)을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턴 레버(12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슬릿(125)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130)의 연결축(133)이 상기 슬릿(125)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110)의 수용부(111)에 장착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턴 레버(120)의 작동부(121)를 사용자가 들어 올리면 상기 베이스(110)의 힌지부(112)와 핀 결합되어 있는 관통공(12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케이블 고정부(123)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기 케이블 고정부(123)가 케이블(300)을 끌어당기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루프 랙(R)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락킹 핀(131)이 후퇴하면서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락킹 핀(131)에 장착되어 있는 풀리(132)가 상기 케이블(300)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상기 락킹 핀(131)을 끌어당기는데 필요로 하는 힘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 고정부(123)에 걸림구(123a)를 형성하여 케이블(300)을 고정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133)상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13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후퇴된 락킹 핀(131)이 다시 루프 랙(R)에 삽입 고정되어 자동으로 고정상태가 유지되어 사용자가 따로이 본 발명의 작동 모듈을 작동하지 않아도 잠금상태로 복원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턴 레버(120)의 작동부(121)상에 상기 작동부(121)의 크기보다 큰 핸드레버(400)를 장착하여 상기 작동부(121)를 움직이는데 필요로 하는 힘을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 모듈을 크로스바(C)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본 발명에 의해 상기 크로스바(C)가 동시에 고정 또는 해제되는 메카니즘에 대해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6a는 상기 크로스바(C)에 장착되어 있는 작동 모듈이 상기 루프 랙(R)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상기 도 6b는 작동 모듈이 상기 루프 랙(R)으로 부터 이탈되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동 모듈은 상기 크로스바(C)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크로스바(C)와의 고정을 위해 상기 베이스(110)를 볼트에 의해 상기 크로스바(C)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작동 모듈은 하우징(H)에 의해 수용되는데, 상기 하우징(H)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 6a는 크로스바(C) 양 측에 장착되는 작동 모듈이 루프 랙(R)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하 상기 작동 모듈중 좌측의 작동모듈(100)을 기준으로 그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우측의 작동모듈(200)의 작동 메카니즘도 동일함은 물론이다.
우선 상기 핸드 레버(400)를 들어올리면 상기 핸드 레버(400)와 고정되어 있는 턴 레버(120)의 작동부(121)가 같이 들려지고 이에 의해 상기 턴 레버(120)는 상기 베이스(110)의 힌지부(112)와 핀 결합되어 있는 관통공(12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턴 레버(120)의 케이블 고정부(123)가 상기 관통공(124)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123)에 고정되는 케이블(300)이 우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우측으로 당겨지는 케이블(300)이 상기 고정부(130)의 풀리(132)를 타고 당겨짐에 의해 상기 고정부(130)의 락킹 핀(131)도 우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133)이 상기 베이스(110)에 삽입되는 구성도 가능하고 또는 상기 풀리 수용부(135)에 상기 연결축(133)이 관통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루프 랙(R)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락킹 핀(131)이 후퇴하게 되고 결국 상기 크로스바(C)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블(300)이 상기 풀리(132)를 통해 당겨지게 됨에 의해 상기 크로스바(C)의 우측에 장착되어 있는 작동 모듈(200)과 연결되는 케이블(300)은 좌측으로 구동된다. 이에 의해 상기 우측 작동 모듈(200)의 락킹 핀 또한 상기 루프 랙(R)으로 부터 이탈되어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결국 한측의 작동 모듈을 작동함에 의해 양쪽 작동 모듈을 일거에 작동시켜 크로스바(C)의 고정상태를 한번에 해제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락킹 핀(131)이 루프 랙(R)에 삽입시켜 고정하는 구성에 의해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축(133)상에 장착되는 스프링(134)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핸드 레버(400)를 들어올려 고정상태를 해제한 후에도 상기 스프링(13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킹 핀(131)이 원래 고정상태로 회복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예를 들어 차량의 지붕에 짐을 올려놓고 상기 작동 모듈을 조작하여 상기 짐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크로스바(C)를 맞추면 상기 스프링(134)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다시 고정상태로 복원되어 사용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증진할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작동 모듈을 커버하는 한편 상기 루프 랙(R)과 접촉하여 이동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H)을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크로스바(C)에 장착되어 있는 작동 모듈을 덮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턴 레버(120)상에 장착되는 핸드 레버(400)를 노출시킬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H)을 장착하여 외관의 미려함을 증진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두 명의 작업자가 크로스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상기 고정부를 동시에 조작하여 고정을 해제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한 측면에서 캠을 회전시킴에 따라 한 쌍의 압축로드가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마찰패드를 루프 랙에 밀착시켜 상기 마찰패드와 상기 루프 랙 상호간의 마찰력으로 상기 크로스바가 고정되는 구성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역시 단순한 마찰패드와 루프 랙의 마찰력만 고정되어 고정력이 약하다는 문제 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경우 크로스바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작동 모듈과 상기 각 작동 모듈을 연동시키는 케이블로 구성되어 일측의 작동 모듈을 작동하면 양측의 작동모듈을 동시에 고정해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락킹 핀이 루프 랙에 고정되는 구성에 의해 견고한 고정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크로스바를 한 쌍의 루프 랙에 고정 또는 해제를 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크로스바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작동 모듈과 상기 각 작동 모듈을 연동시키는 케이블로 구성되는데,
    상기 작동 모듈은 상기 크로스바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와 사용자가 작동하게 되는 작동부와 상기 케이블 고정부 및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상에서 회전함에 의해 상기 케이블을 구동하는 턴 레버와,
    상기 턴 레버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구동됨에 따라 상기 루프 랙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락킹 핀과 상기 락킹 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풀리 수용부와, 상기 풀리 수용부를 관통하는 한편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연결축으로 구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바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 레버의 작동부상에 상기 작동부의 크기보다 큰 핸드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바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핀과 베이스사이에 설치되는 연결축상에 스프링을 장착하여 상기 락킹 핀이 상기 루프 랙에 삽입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바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 양단에 장착되는 한편 상기 작동 모듈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면에 상기 턴 레버의 작동부를 노출시키는 개방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바 고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턴 레버의 상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베이스 상면에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턴 레버의 관통공과 상기 힌지부가 핀 결합됨에 의해 상기 턴 레버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상기 턴 레버에 형성되는 슬릿에 의해 상기 고정부의 연결축이 상기 턴 레버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의 수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바 고정 장치.
KR1020060000596A 2006-01-03 2006-01-03 크로스바 고정 장치 KR100756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596A KR100756472B1 (ko) 2006-01-03 2006-01-03 크로스바 고정 장치
EP06768824A EP1831053A4 (en) 2006-01-03 2006-06-12 TRANSVERSE BAR LOCK DEVICE
JP2007553052A JP4558803B2 (ja) 2006-01-03 2006-06-12 クロスバーロック装置
PCT/KR2006/002225 WO2007078036A1 (en) 2006-01-03 2006-06-12 Crossbar locking device
CNB2006800018051A CN100548749C (zh) 2006-01-03 2006-06-12 横杆锁定装置
US11/533,974 US20070152001A1 (en) 2006-01-03 2006-09-21 Crossbar loc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596A KR100756472B1 (ko) 2006-01-03 2006-01-03 크로스바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080A true KR20070073080A (ko) 2007-07-10
KR100756472B1 KR100756472B1 (ko) 2007-09-07

Family

ID=3822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596A KR100756472B1 (ko) 2006-01-03 2006-01-03 크로스바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52001A1 (ko)
EP (1) EP1831053A4 (ko)
JP (1) JP4558803B2 (ko)
KR (1) KR100756472B1 (ko)
CN (1) CN100548749C (ko)
WO (1) WO20070780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078B1 (ko) * 2007-11-26 2008-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식 크로스바 장치 및 작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5981B2 (en) 2004-10-25 2015-06-16 Lanx, Inc. Spinal implants and methods
US8241330B2 (en) 2007-01-11 2012-08-14 Lanx, Inc. Spinous process implants and associated methods
US9265532B2 (en) 2007-01-11 2016-02-23 Lanx, Inc. Interspinous implants and methods
KR100916261B1 (ko) * 2007-12-14 2009-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KR100916262B1 (ko) * 2008-02-12 2009-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KR100946462B1 (ko) * 2008-10-22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WO2010114925A1 (en) 2009-03-31 2010-10-07 Lanx, Inc. Spinous process implants and associated methods
US11812923B2 (en) 2011-10-07 2023-11-14 Alan Villavicencio Spinal fixation device
CN108674629B (zh) * 2018-05-22 2021-10-12 西北工业大学 一种飞机外挂点的机构式密封口盖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0007A1 (en) * 1992-10-28 1994-05-11 The American Team Carrier operable from one side of vehicle
EP0740620B1 (en) * 1994-01-26 1998-04-22 Advanced Accessory Systems, Llc Article carrier
US5924614A (en) * 1997-04-03 1999-07-20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assembly having a cross rail assembly longitudinally adjustable from one side of a motor vehicle
CA2233930C (en) * 1997-04-03 2006-06-06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assembly having a cross rail assembly adjustable within a range of infinite operating positions
US6112964A (en) 1998-02-17 2000-09-05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 releasable locking mechanism
US6779696B2 (en) * 2001-10-05 2004-08-24 Jac Products, Inc.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d releasable cross bar
US7044345B2 (en) * 2002-02-25 2006-05-16 Jac Products, Inc. Single sided releaseable article carrier using leaf spring
JP3966767B2 (ja) * 2002-05-30 2007-08-2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母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焼結装置
US7441679B1 (en) * 2003-11-12 2008-10-28 Sportrack Llc One sided adjustable cross rail
KR100921075B1 (ko) * 2004-12-03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래크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593857B1 (ko) * 2005-05-25 2006-06-28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9489B1 (ko) * 2005-06-13 2006-08-08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078B1 (ko) * 2007-11-26 2008-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식 크로스바 장치 및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8800A (zh) 2008-01-02
JP2008518139A (ja) 2008-05-29
WO2007078036A1 (en) 2007-07-12
CN100548749C (zh) 2009-10-14
US20070152001A1 (en) 2007-07-05
JP4558803B2 (ja) 2010-10-06
KR100756472B1 (ko) 2007-09-07
EP1831053A1 (en) 2007-09-12
EP1831053A4 (en) 201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472B1 (ko) 크로스바 고정 장치
CA2600671C (en) Slide out cargo floor
EP1766168B1 (en) Lockable tie down
CN101161506A (zh) 车顶行李架的纵向杆与横向杆锁紧装置
EP2978635A1 (en) Device for fastening a load strap
KR100599493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20090063587A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KR100773157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KR20160003912U (ko) 벨트 고정 장치
US8407865B2 (en) Tie-down tension enhancer
KR100666275B1 (ko) 크로스 바의 슬라이더 락킹 핀 해제장치
KR100822998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599495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5658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5655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340762B1 (ko) 자동차용 탈착식 시트
EP3446923B1 (en) Bike carrier
KR200411893Y1 (ko) 자전거 자물쇠
JP3820283B2 (ja) 車両用荷台の荷押え装置
CN114364574B (zh) 承载件支脚
KR101238055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200311036Y1 (ko) 잠금장치
KR100461607B1 (ko) 화물차량용 화물고정장치
KR100802676B1 (ko) 자동차 루프레일 록킹장치
JPH11170919A (ja) ルーフキャリ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