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832A - 촬상렌즈 - Google Patents

촬상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2832A
KR20070072832A KR1020067026662A KR20067026662A KR20070072832A KR 20070072832 A KR20070072832 A KR 20070072832A KR 1020067026662 A KR1020067026662 A KR 1020067026662A KR 20067026662 A KR20067026662 A KR 20067026662A KR 20070072832 A KR20070072832 A KR 2007007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mage
imaging
aberration
refractiv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1643B1 (ko
Inventor
사토시 도
Original Assignee
마일스톤 가부시키가이샤
사토시 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일스톤 가부시키가이샤, 사토시 도 filed Critical 마일스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Abstract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고, 동시에 광학 길이가 짧으며, 그런데도 충분한 백포커스가 확보되는 촬상렌즈를 개시한다. 개시된 촬상렌즈는 개구 조리개(S1),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를 구비하며,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개구 조리개, 제 1 렌즈,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의 순서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제 1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이다. 제 2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이다. 제 3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이다. 또, 제 1 렌즈의 양면이 비구면, 동시에 제 2 렌즈의 양면이 비구면, 동시에 제 3 렌즈의 양면이 비구면이다.

Description

촬상렌즈{PICKUP LENS}
본 발명은 촬상렌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CCD(Charge Coupled Devices)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촬상 소자로서 이용하는, 휴대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입력장치, 디지털 카메라, 감시용 CCD 카메라, 검사장치 등에 탑재하기에 적합한 촬상렌즈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촬상렌즈에 있어서는 이 촬상렌즈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결상면(CCD 등의 촬상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되는 광학 길이가 짧을 필요가 있다. 즉, 렌즈 설계에 있어서, 촬상렌즈의 합성초점거리에 대한 광학 길이의 비를 작게 하는 고안이 필요하다. 이후, 광학 길이가 짧고, 초점거리에 대한 광학 길이의 비가 작은 촬상렌즈를 콤팩트한 렌즈라고 한다.
휴대전화기를 예를 들면, 적어도 그 광학 길이는 휴대전화기본체의 두께보다 짧아야 한다. 한편, 촬상렌즈의 상측 출사면으로부터 촬상면까지의 거리로서 정의되는 백포커스는 가능한 한 긴 것이 좋다. 즉, 렌즈 설계에 있어서 초점거리에 대한 백포커스의 비는 할 수 있는 만큼 크게 하는 고안이 필요하다. 이는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필터나 카바 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이외에도 촬상렌즈로서, 제수차가 상의 왜곡이 시각을 통하여 의식되 지 않으며, 또 촬상소자[(화소(pixels) 라고도 함]의 집적밀도에서 요청되는 충분한 정도로 작게 보정되는 것이 당연히 요청된다. 즉,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될 필요가 있으며, 이하, 이와 같은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된 화상을 「양호한 화상」이라고 한다.
이하에 게재된 것에는 휴대형 컴퓨터나 화상 전화장치 등으로 대표되는 CCD, CMOS 등의 고체촬상소자를 이용한 촬상장치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3매 구성의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렌즈는 어느 것이나 넓은 화각을 확보함과 함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중 제 1의 3매 구성 렌즈로서, 넓은 화각을 확보하면서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 1, 제 2 및 제 3 렌즈로 배열된 이들 3매의 렌즈 형상이, 제 1 렌즈가 상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렌즈, 제 2 렌즈가 물체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렌즈, 제 3 렌즈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凸렌즈로 구성되어 있어, 백포커스의 길이에 대한 광학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콤팩트한 렌즈로 할 수 없다.
제 2 내지 제 4의 3매 구성 렌즈로서, 넓은 화각을 확보하면서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고, 짧은 초점화를 도모한 촬상렌즈가 각각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참조).
이들 촬상렌즈도 상술한 촬상렌즈와 동일하게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 1 , 제 2 및 제 3 렌즈로 배열되고 이들 3매의 렌즈가 가지는 굴절력은, 제 1 렌즈가 정의 굴절력, 제 2 렌즈가 부의 굴절력, 제 3 렌즈가 정의 굴절력이다. 그리고, 촬상렌즈로서의 합성초점거리는 짧게 설정되어 있으나, 합성초점거리에 대한 백포커스가 길고, 광학 길이도 지나치게 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글래스 소재를 이용한 렌즈이므로 코스트가 높다.
제 5의 3매 구성 렌즈로서, 비구면 렌즈를 이용함과 아울러 파워 배분 및 면 형상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소형화된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참조).
그러나, 이 촬상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 1, 제 2 및 제 3 렌즈로 배열되고, 이들 3매의 렌즈가 가지는 굴절력은, 제 1 렌즈가 부의 굴절력, 제 2 렌즈가 정의 굴절력, 제 3 렌즈가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그 결과, 합성초점거리에 대한 광학 길이가 긴 촬상렌즈로 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글래스 소재를 이용한 렌즈이므로 코스트가 높다.
제 6의 3매 구성 렌즈로서, 서로에 오목(凹)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1조의 렌즈를 각각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로 하고, 전체 렌즈계를 3매 렌즈로 구성함으로써 소형화 및 저코스트화를 달성함과 함께 온도변화에 따른 핀트 이동의 억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6 참조).
그러나, 이 촬상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 1, 제 2 및 제 3 렌즈로 배열된 이들 3매의 렌즈가 각각 가지는 굴절력이, 제 1 렌즈가 약한 굴절력, 제 2 렌즈가 약한 굴절력, 제 3 렌즈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렌즈와 제 2 렌즈의 굴절력을 제 3 렌즈만으로 보충하는 것이 어렵고, 그 결과 합성초점거리에 대한 백포커스가 길게 되고 광학 길이도 길어지게 된다. 더욱이, 제 3 렌즈가 글래스 소재의 렌즈로 되기 때문에, 저코스트화도 달성할 수 없다.
제 7의 3매 구성 렌즈로서, 렌즈계 전체를 전,후군의 둘로 나누고, 전군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후군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 구성으로 한 망원타입으로 하여 광학 길이가 짧고 저렴한 렌즈계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7 참조).
그러나, 이 렌즈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 1, 제 2 및 제 3 렌즈로 배열된 이들 3매 렌즈가 각각 가지는 굴절력이, 제 1 렌즈가 부의 굴절력, 제 2 렌즈가 정의 굴절력, 제 3 렌즈가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 2 렌즈와 제 3 렌즈 사이의 간격이 넓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합성초점거리에 대한 광학 길이가 길고, 또 제 3 렌즈가 대구경화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어, 휴대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입력장치, 디지털 카메라, 감시용 CCD 카메라, 검사장치 등에 탑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제 8의 3매 구성 렌즈로서, 물체측에 2매의 정렌즈 및 양면이 비구면으로 되고,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주변으로 감에 따라 부의 파워가 점차적으로 약하게 되어 주변부에서 정의 파워를 가지는 상측으로 오목(凹)면을 향한 부의 렌즈를 배치한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8 참조).
그러나, 이 렌즈계는 제 3 렌즈에 상당하는 렌즈가 그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주변으로 감에 따라 부의 파워가 점차 약해져 정의 파워로 바뀌는 위치가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렌즈의 유효구경의 0.7배에서 1.0배 범위에 존재하는 점이 특징이다. 실시예로서 개시되어 있는 렌즈에서는, 그 정의 파워로 바뀌는 위치가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렌즈 유효구경의 각각 0.96배 및 0.97배로 되어 있어 대부분 렌즈의 주변부에 설정되어 있다.
정의 파워로 바뀌는 위치를 렌즈의 주변부에 설정하면 렌즈 광축과 촬상면과의 교점부근 및 주변부로 입사하는 광은 촬상소자로의 입사각이 직각에 근사하게 되나, 렌즈 광축과 촬상면과의 교점과 렌즈 주변부와의 중간 위치에서는 촬상소자로의 입사각이 직각과는 크게 떨어진다. 따라서, 화상의 중요한 부분을 점하는 렌즈 주변부와의 중간 위치에서는 광의 입사각이 직각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에 의해 촬상소자의 경사방향으로부터 촬상소자로 입사하는 것으로 되고 입사면에서의 반사량이 증가하여 촬상소자의 광전변환면에 이르는 광 에너지가 작아지게 되며, 이에 의해 이 부분의 화상이 어두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제 1 렌즈가 정의 굴절력, 제 2 렌즈도 정의 굴절력, 제 3 렌즈가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광학 길이가 길게 되어 콤팩트화가 어렵다. 그외 개구 조리개가 제 1 렌즈와 제 2 렌즈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제 1 렌즈의 유효 구경을 크게 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제 1 렌즈의 물체측에 기계식 셔터를 설치하기가 어렵게 된다.
제 9의 3매 구성 렌즈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개구 조리개, 정의 굴절 력을 가지는 양 볼록(凸)형상의 제 1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오목(凹)면을 향한 제 2 렌즈, 물체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3 렌즈를 배열한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9 참조).
이 렌즈계는, 제 1 렌즈의 물체측에 개구 조리개를 배치한 경우에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개구 조리개를 제 1 렌즈의 물체측에 배치함으로써, 입사동의 위치를 물체측에 가깝게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주광선을 화상면에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입사시킬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광선이 화상면에 경사로 입사되면, 화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화소(촬상소자)로의 입사광량이 감소하는 쉐이딩(shading)이 발생하여, 화면의 주변부에서 화상이 어두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는 촬상소자의 경사방향에서 촬상소자에 광선이 입사되면, 촬상소자 화면에서의 반사량이 증가하여 촬상소자의 광전변환면에 이르는 광 에너지가 작아지게 되는 것에 기인한다. 즉, 개구 조리개를 제 1 렌즈의 물체측에 배치함으로써, 쉐이딩 발생이 어려운 촬상렌즈를 설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설계 지침에 기초하여 설계된 렌즈계에 대하여,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감소하는 현상인 플레어(flare) 또는 화상 번짐 현상인 스미어(smear)를 방지할 목적으로, 제 1 렌즈와 제 2 렌즈 사이에 다른 조리개를 배치하면,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 즉, 개구 조리개를 통과한 주광선 내 촬상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큰 입사각도로 입사하는 주광선이 그 교축에 의해 차단되어 버린다. 이에 의해 화질을 떨어뜨리는 플레어 또는 스미어 등의 원인이 되는 미광을 차단하는 대신에 상술한 바와 같은 주광선의 일부가 차단되어 버리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화상 주변에서의 광량이 감소하여 화상 주변부가 어두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 이 렌즈계는 제 3 렌즈에 상당하는 렌즈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렌즈인 특징으로서 광학 길이에 대한 백포커스가 상대적으로 짧다. 따라서, 촬상렌즈와 촬상면 사이에 필터나 카바 글래스 등의 부품을 삽입하기 위해서 백포커스를 길게 하면 광학 길이도 길어지게 되어 렌즈계가 지나치게 커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제 10의 3매 구성 렌즈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물체측 면을 볼록(凸)면 형상으로 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1 렌즈, 조리개,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적어도 1면을 비구면 형상으로 한 물체측으로 오목(凹)면을 향한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2 렌즈, 양면을 비구면으로 하여 물체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3 렌즈를 배치한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0 참조).
제 10의 3매 구성 렌즈는 제 1 렌즈와 제 2 렌즈의 사이에 조리개를 설정하고, 이 조리개를 개구 조리개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렌즈의 물체측에 셔터 등을 배치하면, 이 셔터 때문에 렌즈의 입사 개구가 좁아지게 된다. 즉, 이 셔터 등이 실질적인 조리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조리개로 입사하는 주광선의 일부가 차단되어 버린다.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큰 각도로 입사하는 주광선은 화상의 주변부를 형성하는 광선인바, 이 광선이 제 1 렌즈의 물체측에 설치된 셔터 등에 의해 차단되어 화상의 주변부분이 어둡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외, 이 렌즈계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 9의 3매 구성 렌즈와 동일하게 제 3 렌즈에 상당하는 렌즈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렌즈이다. 따라서, 이 렌즈계에 있어서도 제 9의 3매 구성 렌즈와 동일하게 백포커스를 길게 하면 광학 길이도 길어지게 되어 렌즈계가 지나치게 커져 버린다는 문제도 있다.
제 11의 3매 구성 렌즈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글래스 재료로 되고 동시에 물체측 면을 볼록(凸)면 형상으로 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1 렌즈와, 조리개와, 플라스틱 재료로 되고 적어도 1면을 비구면으로 하며 동시에 물체측으로 오목(凹)면을 향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2 렌즈와, 플라스틱 재료로 되고 양면을 비구면 형상으로 하며 동시에 물체측으로 볼록(凸)을 향한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3 렌즈를 배치한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1 참조).
제 11의 3매 구성 렌즈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 10의 3매 구성 렌즈와 동일하므로 제 10의 3매 구성 렌즈와 같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있다.
제 12의 3매 구성 렌즈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적어도 1면을 비구면 형상으로 하고, 또 양 볼록(凸)면 형상으로 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1 렌즈와, 조리개와, 적어도 1면을 비구면 형상으로 하고 또 물체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2 렌즈와, 양면을 비구면 형상으로 하고 동시에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의 면이 볼록(凸)면 형상의 플라스틱재료로 된 제 3 렌즈를 배치한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2 참조).
제 12의 3매 구성 렌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 10 및 제 11의 3매 구성 렌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0 및 제 11의 3매 구성 렌즈와 같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있다.
제 13의 3매 구성 렌즈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물체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1 렌즈와, 상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2 렌즈와, 물체측으로 볼록(凸)을 향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3 렌즈를 배치한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렌즈의 물체측에 조리개를 배치한 촬상렌즈와, 제 1 렌즈와 제 2 렌즈 사이에 조리개를 배치한 촬상렌즈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참조).
즉, 제 1 렌즈의 물체측에 배설한 조리개를 개구 조리개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촬상렌즈와, 제 1 렌즈와 제 2 렌즈 사이에 배설한 조리개를 개구 조리개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렌즈의 물체측에 배설한 조리개를 개구 조리개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촬상렌즈에 대하여, 제 1 렌즈와 제 2 렌즈 사이에 다른 조리개를 배치하면, 개구 조리개를 통과한 주광선 내 촬상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큰 입사각도로 입사하는 주광선이, 다르게 배치된 조리개에 의해 차단되어 버린다. 또, 동일하게, 제 1 렌즈와 제 2 렌즈 사이에 배설한 조리개를 개구 조리개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양호한 화상 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촬상렌즈에 대하여, 제 1 렌즈의 물체측에 조리개를 배치하면, 개구 조리개를 통과한 주광선 내 촬상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큰 입사각도로 입사하는 주광선이 다르게 배치된 조리개에 의해 차단되어 버린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화질을 떨어뜨리는 플레어 또는 스미어 등의 원인으로 되는 미광을 차단하는 대신에 상술한 바와 같은 주광선의 일부가 차단되어 버리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화상 주변에서의 광량이 감소하여 화상의 주변부가 어둡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제 13의 3매 구성렌즈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 9의 3매 구성렌즈와 동일하게 제 3 렌즈에 상당하는 렌즈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렌즈이다. 따라서, 이 렌즈계에 있어서도, 제 9의 3매 구성렌즈와 동일하게 백포커스를 길게하면 광학 길이도 길어져 렌즈계가 지나치게 커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제 14의 3매 구성렌즈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제 1 렌즈, 개구 조리개,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2 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오목(凹)면을 향한 제 3 렌즈를 배치한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4 참조).
이 촬상렌즈는, 제 1 렌즈의 초점거리 f1와 촬상렌즈 전계의 초점거리 f의 비f1/f의 값이, 0.8<f1/f<2.0을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렌즈의 굴절력이 약하여 광학 길이를 길게 설정할 수밖에 없다. 그 때문에 콤팩트화가 곤 란하다. 또 제 2 렌즈에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를 채용함으로써, 이 제 2 렌즈의 상측면(상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면)의 곡률반경을 짧게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렌즈면의 곡률이 크게 되어 금형의 가공이 어렵게 된다.
제 15의 3매 구성렌즈로서, 물체측에 차례로 개구 조리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1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2 렌즈,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3 렌즈로 되고, 조건의 하나로서 0.9<f1/f<1.3을 만족하는 소형 결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5 참조). 조건식 0.9<f1/f<1.3는 0.769<f1/f<1.111로 고쳐 쓸 수 있다.
이 소형 결상렌즈에서는, 제 1 렌즈의 굴절력을 조건식 0.769<f1/f<1.111의 하한 이하(f1/f를 0.769 이하)로 하면, 제수차가 증대하여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없게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결과적으로 광학 길이가 길게 되어 버려, 콤팩트화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제 16의 3매 구성렌즈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차례로 물체측에 볼록(凸)면을 향한 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1 렌즈, 물체측으로 오목(凹)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2 렌즈 및 보정렌즈로서 기능하는 제 3 렌즈를 구비하여 구성된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6 참조). 이 촬상렌즈는 제 1 렌즈와 제 2 렌즈의 사이에 개구 조리개를 설치함으로써,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최근 CCD, CMOS 등의 전자촬상소자는 100만 화소 내지 320만 화소로서, 메가 픽셀화가 진척되고 있다. 이와 같이 많은 화소를 구비한 촬상면을 이용하는 촬상장치에 있어서는, 동화를 촬영하면, 화상이 왜곡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이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셔터를 촬상렌즈의 입사면에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더욱이 셔터 경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즉, 셔터는 조리개로서의 기능을 병행해 가지므로, 일반적으로 조리개를 촬상렌즈의 입사면에 설치한다고 하는 전제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또, 셔터를 촬상렌즈의 입사면에 설치함으로써 스미어를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6에 개시되어 있는 촬상렌즈는 메가픽셀의 촬상면에 대응하도록 고려가 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이 촬상렌즈는 촬상렌즈의 입사면에 설치한 셔터에 의해 입사광선의 일부가 차단되기 때문에 주변광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생긴다.
촬상렌즈의 입사면에 있던 제 1 렌즈의 물체측에 셔터를 설치하면, 입사 개구가 좁아진다. 즉, 제 1 렌즈와 제 2 렌즈 사이에 개구 조리개를 설치하는 구성의 촬상렌즈는, CCD 카메라 등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때에, 제 1 렌즈의 물체측에 셔터가 설치된다. 이 셔터가 실질적인 제 2의 조리개로서 기능하여, 입사광선의 일부를 차단하는 결과로 된다. 즉, 광축에 대하여 큰 각도로 렌즈에 입사하는 주광선은, 화상의 주변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기여하는 바, 이 주광선이 셔터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화상의 주변부분이 어둡게 된다.
또, 특허문헌 16에 개시되어 있는 촬상렌즈는, f1/f의 값이 0.65 에서부터 0.736의 범위로 안정되어 있다. 즉, 이 촬상렌즈는 제 1 렌즈의 굴절력이 약하게 설정되어 있어, 그 결과 광학 길이가 길게 되어 콤팩트화가 곤란한 렌즈이다.
제 17의 3매 구성렌즈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물체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1 렌즈와, 개구 조리개와, 상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2 렌즈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3 렌즈가 배치된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7 참조). 이 촬상렌즈의 특징은 제 1 렌즈에 강한 정의 굴절력을 부여하고, 제 2 및 제 3 렌즈가 보조렌즈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되어 있다.
이 촬상렌즈는 광축에 대한 입사각도가 충분하게 큰 주광선도 포함시켜 거두어 들임으로써 화상의 주변부분까지 균일한 밝기가 되도록 배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렌즈의 물체측 면에 기계식 셔터를 배치하면, 이 기계식 셔터에 의해 입사광선의 일부가 차단되어 버려, 화상의 주변광량이 감소하여 어둡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 촬상렌즈는 광축에 대한 입사각도가 작은 주광선만을 거두어 들임으로써 화상의 주변부분까지 균일한 밝기가 되도록 배려가 되어 있지 않다.
또, 제 1 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 R1과 상측면의 곡률반경 R2의 비인 R1/R2의 값이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왜곡수차 등의 제수차를 충분하게 작게하여 양호한 화상을 얻기가 어려운 구성이다.
제 18의 3매 구성렌즈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양면이 볼록(凸)면인 제 1 렌즈, 물체측으로 오목(凹)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2 렌즈, 및 물체측으 로 볼록(凸)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 3 렌즈가 배치된 구성의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8 참조). 그러나, 이 촬상렌즈는 제 3 렌즈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렌즈이기 때문에, 광학 길이(L)와 촬상렌즈의 상면에 설치된 고체촬상소자의 사각형 수광면에 있어서 대각선의 길이로서 정의되는 상고(2Y)의 비인 L/2Y가 1.0 이상의 값을 가져 촬상렌즈의 콤팩트화가 곤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특개 2001-075006 호 공보
특허문헌 2:특개 2003-149548 호 공보
특허문헌 3:특개 2002-221659 호 공보
특허문헌 4:특개 2002-244030 호 공보
특허문헌 5:특개 2003-149545 호 공보
특허문헌 6:특개평 10-301022 호 공보
특허문헌 7:특개평 10-301021 호 공보
특허문헌 8:특개 2003-322792 호 공보
특허문헌 9:특개 2004-004566 호 공보
특허문헌 10:특개 2004-302058 호 공보
특허문헌 11:특개 2004-302059 호 공보
특허문헌 12:특개 2004-302060 호 공보
특허문헌 13:특개 2005-004045 호 공보
특허문헌 14:특개 2005-242286 호 공보
특허문헌 15:특개 2005-227755 호 공보
특허문헌 16:특개 2005-309210 호 공보
특허문헌 17:특개 2004-219982 호 공보
특허문헌 18:특개 2005-173319 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CCD 또는 CMOS를 촬상소자로 이용하는 카메라에 탑재하기에 적합한, 광학 길이가 짧고, 백포커스는 가능한 한 길며, 또한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촬상 렌즈를 제공하는데 있다. 광학 길이가 짧은 것은, 구체적으로는 초점거리에 대한 광학 길이의 비가 작은 것을 의미한다. 백포커스가 길은 것은, 구체적으로는 초점거리에 대한 백포커스의 비가 큰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촬상렌즈를 구성하는 전체 렌즈(3매)를 플라스틱 재료로 실현함으로써, 저코스트와 동시에 경량화를 도모한 촬상 렌즈를 제공함에 있다. 여기서, 플라스틱 재료로는 열과 압력 또는 그 양자에 의해 소성변형되어 성형되는 것으로 렌즈를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물질로서 가시광에 대하여 투명인 소재를 말한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각형 수광면에서 대각선의 길이가 2Y인 고체촬상소자를 구비한 촬상장치에 탑재되는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개구 조리개(S1),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를 구비하며,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개구 조리개(S1),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의 순서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제 1 렌즈(L1)는 물체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이다. 제 2 렌즈(L2)는 상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이다. 제 3 렌즈(L3)는 물체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이다.
또한, 제 1 렌즈(L1)의 양면이 비구면, 제 2 렌즈(L2)의 양면이 비구면, 또 제 3 렌즈(L3)의 양면이 비구면이다.
또, 본 촬상렌즈는, 이하의 조건 (1)로부터 (4)를 만족한다.
0.57 < f1/f < 0.65 (1)
0.01 ≤ r2/r3 ≤ 0.05 (2)
0.1 ≤ d3/f < 0.15 (3)
0.6 < L/2Y < 0.9 (4)
단,
f:촬상렌즈의 합성초점거리
f1:제 1 렌즈(L1)의 초점거리
r2: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 광축근방에 있어서 곡률반경(광축상곡률반경)
r3:제 1 렌즈(L1)의 상측면 광축근방에 있어서 곡률반경(광축상곡률반경)
d3:제 1 렌즈(L1)와 제 2 렌즈(L2)의 광축상 간격
L: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에서 상면까지 광축상의 공기중 거리(광학길이)
2Y:촬상렌즈의 상면에 설치된 고체촬상소자의 사각형 수광면에서 대각선의 길이이다.
여기서, 공기중 거리로는, 필터나 카바 글래스 등의 부품 등의 평행평판이 제 3 렌즈와 상면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평행평판 부분은 공기환산거리로서 상술의 L의 값을 환산하는 것으로 한다. 이후 설명에서도 동일하게 공기중의 거리라고 말하는 경우에는, 평행평판부분을 공기환산거리로서 계산하여 구한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즉, 평행평판부분의 기하학적 거리가 a이고, 그 굴절률이 n인 경우에는 그 거리 a를 a/n으로 환산한다
촬상렌즈의 상측 출사면으로부터 촬상면까지의 거리로서 정의되는 백포커스(bf)는, 여기서는 제 3 렌즈(L3)의 상측면에서부터 상면까지의 광축상 거리이다. 상고(2Y)는 유효화면 대각선 길이, 즉, 촬상렌즈의 상면에 설치된 고체촬상소자의 사각형 수광면에 있어서 대각선의 길이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에 있어서, 제 2 렌즈(L2)의 소재의 굴절률이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의 소재의 굴절률보다도 높고, 제 2 렌즈(L2)의 소재의 아베수가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의 소재의 아베수보다도 작은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의 촬상렌즈에 있어서,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를 아베수가 30에서 60 범위 내의 값인 소재로 형성한 렌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렌즈(L1) 및 상기 제 3 렌즈(L3)가 시클로오레핀계 플라스틱을 소재로 형성한 렌즈이고, 제 2 렌즈(L2)가 폴리카보네이트를 소재로 형성한 렌즈로 하는 것이 좋다.
발명의 효과
제 1 렌즈(L1)를 물체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로 하고, 제 2 렌즈(L2)를 상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로 하며, 제 3 렌즈(L3)를 물체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학 길이(L)를 짧게 할 수 있다.
조건식 (1)에서 (4)를 만족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본 발명의 촬상렌즈에 대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상술의 조건식(1)은 제 1 렌즈의 굴절력을 규정하는 조건식으로서, f1/f의 값이 상한보다도 작으면,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 중 유일하게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1 렌즈(L1)의 굴절력을 알맞은 크기로 설정할 수 있어, 즉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없는 정도의 큰 수차를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로 제 1 렌즈(L1)의 굴절력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어, 촬상렌즈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 f1/f의 값이 하한보다도 크면, 제 1 렌즈(L1)의 정의 굴절력이 필요 이상으로 크게 되지 않고, 제 1 렌즈(L1)에서 발생하는 고차의 구면수차나 코마수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상술의 조건식 (2)는 제 1 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 면)의 광축상곡률반경과 제 2 면(상측 면)의 광축상곡률반경의 비를 정하는 조건식이다. 이 비가 조건식 (2)가 제공하는 하한보다 크면, 이 촬상렌즈의 백포커스 bf를, 촬상렌즈와 촬상면과의 사이에 카바 글래스 또는 필터 등의 부품을 삽입하기에 충분하게 되고, 또 이 촬상렌즈를 탑재하는 기기의 콤팩트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의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또 구면수차도 지나치게 크게 되지 않고, 제 1 렌즈(L1)의 제 1 면의 가공도 용이하다.
제 1 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 면)의 광축상곡률반경과 제 2 면(상측 면)의 광축상곡률반경의 비가 조건식(2)이 제공하는 상한보다 작으면, 백포커스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촬상렌즈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구면수차 및 비점수차가 정의 값으로 크게 되지 않는다. 왜곡수차는 부의 값을 취하나 그 절대값은 크게 되는 것이 아니다. 이 때문에,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에 의해 이들의 수차를 필요한 범위로 자리 잡도록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 1 렌즈의 주점을 전방으로 배치하기가 쉬우므로, 상면에 입사하는 광선의 입사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쉐이딩을 일으키기 어렵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의 조건식 (3)은 제 1 렌즈(L1)와 제 2 렌즈(L2)의 광축상 간격(d3)이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를 촬상렌즈의 합성초점거리(f)로 규격화하여 정하는 조건식이다. d3/f의 값이, 조건식 (3)가 정하는 하한보다 크면, 상면으로 입사하는 외주변의 광선 입사각도가 지나치게 크게 되지 않고, 상면상의 마이크로렌즈에 의해 소위 「비네팅(vignetting)」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화상의 주변부분이 어둡게 되지 않고,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백포커스가 너무 길게 되지 않는다. d3/f의 값이 조건식 (3)가 정하는 상한보다 작으면, 제 3 렌즈(L3)의 구경을 크게 할 필요가 없어 촬상렌즈 전체로서 콤팩트화 도모할 수 있다. d3/f의 값이 조건식 (3)의 정한 범위 내에 있으면, 왜곡수차, 구면수차 및 상면 왜곡의 크기를 충분히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의 조건식 (4)는 상고, 즉 촬상렌즈의 상면에 설치된 고체촬상소자의 사가각형 수광면에 있어서 대각선의 길이(2Y)에 대한 광학 길이(L)의 비가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를 규정하는 조건식이다.
L/2Y의 값이 조건식 (4)이 정하는 하한보다도 크면,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의 두께를 렌즈 형성시에 필요한 두께 이상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수지소재로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를 구성하는 경우, 사출 성형시에 렌즈의 두께가 얇으면 수지소재를 주형에 균등하게 널리 가도록 주입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수지소재로 렌즈를 형성하는 경우, 렌즈의 두께는 어느 정도 두꺼울 필요가 있다. L/2Y의 비가 조건식 (4)의 하한보다도 크면 렌즈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L/2Y의 값이 조건식 (4)이 정하는 상한보다도 작으면,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의 외경을 콤팩트성을 손상할 정도로 크게 확보하지 않고도 촬상렌즈의 주변 광량비가 너무 작게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면, 제 1 렌즈의 물체측면에서부터 상면까지의 광축상 공기중의 거리, 즉 렌즈 전 길이도 상승적으로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의 본 발명의 촬상렌즈 각각에 대한 조건식 (1)에서 (4) 4개의 조건을 각각 만족하는 렌즈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술의 문제점은 해소하고, 소형으로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콤팩트한 촬상렌즈를 제공할 수 있고, 또 광축에 대한 입사각도가 작은 주광선만을 거두어 들임으로써, 화상의 주변부분까지 균일하게 밝게 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입사동을 확정하는 개구 조리개(S1)를 제 1 렌즈(L1)의 전면, 즉 제 1 렌즈(L1)의 물체측에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이것에 의해 입사동을 물체측으로 가깝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주광선을 화상면에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입사시킬 수 있으며, 쉐이딩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 2 렌즈(L2)의 소재 굴절률이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의 소재 굴절률보다도 높고, 제 2 렌즈(L2)의 소재 아베수가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의 소재 아베수보다도 작으면, 색,구면수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렌즈(L2)를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하고,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를 시클로오레핀계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면, 제 2 렌즈(L2)의 소재 굴절률이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의 소재 굴절률보다도 높고, 제 2 렌즈(L2)의 소재 아베수가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의 소재 아베수보다도 작아질 수 있다.
시클로오레핀계 플라스틱의 굴절률은 1.5300, 폴리카보네이트의 굴절률은 1.5830이고, 시클로오레핀계 플라스틱의 아베수는 56.0, 폴리카보네이트의 아베수는 30.0이므로, 이들의 소재를 본 발명의 촬상렌즈에 이용할 수 있다.
시클로오레핀계 플라스틱 및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는 기존에 확립된 제조기술인 사출 성형방법으로 렌즈를 형성하기에는 적합한 재료인 것이 알려지고 있다. 물론, 특정 플라스틱 재료에 한정하지 않고, 아베수가 30에서부터 60의 범위 내인 플라스틱 재료나 몰드 글래스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 1에서부터 실시예 5에 있어서,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는 시클로오레핀계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제 2 렌즈(L2)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9는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3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3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3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4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4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4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4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왜곡수차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비점수차도이다.
도 21은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색·구면수차도이다.
[부호의 설명]
10:촬상소자
12:카바 글래스
S1:개구 조리개
L1:제 1 렌즈
L2:제 2 렌즈
L3:제 3 렌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이들 도면은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로 구성요소의 형상, 크기 및 배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또 이하에 설명하는 수치적 조건 및 다른 조건은 간단한 좋은 예이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촬상렌즈의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정의되어 있는 면번호나 면간격 등의 기호는 도 2, 도 6, 도 10, 도 14, 도 18에서 공통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물체측으로부터 세어서 제 1, 제 2 및 제 3 렌즈를 각각 L1, L2 및 L3로 나타내고, 제 1 렌즈의 전면에 배치된 개구 조리개를 S1으로 표기한다. 또, 오해가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ri (i=1,2,3,...,10)을 광축상곡률반경의 값을 의미하는 변수로 이용하거나 렌즈나 카바 글래스 또는 촬상면을 식별하는 기호(예를 들면 r2을 제 1 렌즈의 물체측면의 의미로 이용하는 등)로도 이용한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낸 ri(i=1,2,3,···,10) 및 di(i=1,2,3,···,9) 등의 파라메타는 이하에 나타낸 표 1에서 표 5에 구체적 수치로서 부여한다. 첨자 i는 물체측에서부터 상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각 렌즈의 면번호 또는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면 간격 등에 대응시켜 부여한 것이다.
즉,
ri는 i번째 면의 광축상곡률반경,
di는 i번째 면에서부터 i+1번째 면까지의 거리,
Ni는 i번째 면과 i+1번째 면으로 이루어진 렌즈의 소재 굴절률 및
νi는 i번째 면과 i+1번째 면으로 이루어진 렌즈의 소재 아베수
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서는 조리개의 개구부를 선분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는 렌즈면으로부터 조리개면까지의 거리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조리개면과 광축의 교점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또, 실시예 1에서 5의 촬상렌즈 각각의 단면도인 도 2, 도 6, 도 10, 도 14, 도 18에 있어서는, 상기 도 1과는 반대로, 조리개의 개구부를 개방하고, 개구부의 단을 시점으로 한 2개의 직선으로 광을 차단하는 조리개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주광선 등의 광선을 기입하기 위해서, 조리개의 실태를 반영하여 조리개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나타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광학 길이(L)는 조리개(S1)로부터 촬상면까지의 거리이다. 백포커스(bf)는 광축상에서의 제 3 렌즈(L3)의 상측면에서부터 촬상면까지의 거리이다.
비구면 데이타는 표 1에서 표 5의 각각 난에 면번호와 함께 나타내었다. 조리개 S1 및 카바 글래스(또는 필터 등)의 면, 또 촬상면은 평면이기 때문에 곡률반경 ∞로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구면은 다음 식으로 부여된다.
Z = ch2 / [1 + [1 - (1 + k)c2h2] +1/2] + A0h4 + B0h6 + C0h8 + D0h10
단,
Z: 면정점에 대한 접평면으로부터의 깊이
c: 면의 광축상 곡률
h: 광축으로터의 높이
k: 원추정수
A0: 4차 비구면계수
B0: 6차 비구면계수
C0: 8차 비구면계수
D0: 10차 비구면계수
이다.
본 명세서 중의 표 1 내지 표 5에 있어서, 비구면계수를 나타낸 수치는 지수 표시이며, 예를 들면 「e - 1」은 「10e - 1승」을 의미한다. 또 초점거리 f로서 나타낸 값은 제 1 내지 제 3 렌즈로 이루어진 렌즈계의 합성 초점거리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1를 참조하여 실시예 1에서부터 실시예 5를 설명한다.
도 3, 도 7, 도 11, 도 15, 도 19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은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종축에 상면내에서의 광축으로부터의 최대거리를 100으로써 백분율 표시하고 있다)에 대하여, 수차(횡축에 정접조건의 불만족량을 백분율 표시하고 있다)를 표시한다. 도 4, 도 8, 도 12, 도 16, 도 20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은, 왜곡수차곡선과 같은 형태로 종축에 나타낸 광축에서부터의 거리에 대하여 수차량(mm단위)을 횡 축으로 하여 표시하며, 메리져널 면(meridional plane)과 새지털 면(sagittai plane)에 있어서 수차량(mm단위)을 표시한다. 도 5, 도 9, 도 13, 도 17, 도 21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에 있어서는 종축의 입사높이 h(F-number)에 대하여 수차량(mm단위)을 횡축으로 하여 표시한다.
또 색,구면수차곡선에 있어서는 C선 (파장 656.3nm의 광), d선 (파장 587.6nm의 광), e선 (파장 546.1nm의 광), F선 (파장 486.1nm의 광) 및 g선 (파장 435.8nm의 광)에 대한 수차값을 표시한다. 굴절율은 d선 (587.6nm의 광)에 있어서 굴절율이다.
이하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관한 구성 렌즈의 곡률반경(mm단위), 렌즈면 간격(mm단위), 렌즈 소재의 굴절율, 렌즈 소재의 아베수, 초점거리, F-넘버 및 비구면계수를 표 1에서 표 5에 일람하여 게재한다.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 각각의 초점거리를 f1,f2,f3로 표시한다. 실시예 1 내지 5에 있어서, 어느 경우에도 f1이 정의 값, f2 및 f3가 부의 값으로 되어 있다. 즉, 제 1 렌즈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이고,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가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이다. 한편, 촬상렌즈의 합성초점거리 f의 값은 1.00mm로 정격화되어 있다.
또, 광축상 곡률반경의 값ri(i=1,2,3,...,10)은 물체측에 볼록(凸)인 경우를 정의 값, 상측에 볼록(凸)인 경우를 부의 값으로 나타내고 있다. 렌즈를 구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 값의 부여로부터 제 1 렌즈는 물체측 및 상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볼록(凸) 렌즈, 제 2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 제 3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凸)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인 것이 읽혀진다.
이하에, 각 실시예의 특징을 나타낸다. 실시예 1에서 실시예 5에 있어서,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의 소재로 시클로오레핀(cycloolefin)계 플라스틱인 제녹스 E48R(제녹스는 일본 제온 주식회사의 등록상표로서, E48R은 상품번호이다)을 이용하였다. 또 제 2 렌즈(L2)의 소재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였다.
제녹스 E48R의 d선에 대한 굴절율은 1.5300이고, 폴리카보네이트의 d선에 대한 굴절율은 1.5830이다. 또, 제녹스 E48R의 아베수는 56.0, 폴리카보네이트의 아베수는 30.0이다.
또,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 각각의 양면을 비구면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조리개(S1),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를 구비하며, 물체측에서부터 상측을 향하여, 개구 조리개(S1),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의 순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제 3 렌즈(L3)와 촬상소자(10)의 사이에는 카바 글래스(12)가 삽입되어 있다. 카바 글래스의 소재는 굴절률이 1.5613, 아베수가 61인 BK7 글래스이다.
Figure 112006093621034-PCT00001
Figure 112006093621034-PCT00002
Figure 112006093621034-PCT00003
Figure 112006093621034-PCT00004
Figure 112006093621034-PCT00005
실시예 1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의 소재로 제녹스 E48R을 이용하고, 제 2 렌즈(L2)의 소재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였다.
(A) 제 1 렌즈(L1)의 초점거리(f1)은, f1 = 0.58mm이다.
(B) 제 1 렌즈(L1)의 물체측 곡률반경 r2는, r2 = 0.297mm이다.
(C) 제 1 렌즈(L1)의 상측 곡률반경 r3는, r3 = 5.941mm이다.
(D) 제 2 렌즈(L2)와 제 3 렌즈(L3)의 광축상 간격(D)은, d3=0.1020mm이다.
(E) 광학 길이(L)는, L = 0.997mm이다.
(F) 상고(유효화면 대각선 길이)(2Y)는, 2Y = 1.18mm이다.
따라서,
(1) f1/f = 0.58/1.00 = 0.58
(2) r2/r3 = 0.297/5.941 = 0.0500
(3) d3/f = 0.1020/1.00 = 0.1020
(4) L/2Y = 0.997/1,18 = 0.8449
으로 됨으로써, 실시예 1의 렌즈는 이하의 조건식 (1)에서 (4)까지 모두 만족하고 있다.
0.57 < f1/f < 0.65 (1)
0.01 ≤ r2/r3 ≤ 0.05 (2)
0.1 ≤ d3/f < 0.15 (3)
0.6 < L/2Y < 0.9 (4)
이후, 본 발명에 있어서 조건식으로는 상기 (1)에서 (4)까지의 4개의 식을 지시하는 것으로 한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개(S1)는 제 1 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 면)과 광축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조리개면은 평면이므로 표 1에 r1 = ∞로 나타내었으며, 면 r1의 위치에 조리개(S1)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F-넘버는 3.4이다.
도 2에 실시예 1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초점거리 1.00mm에 대한 백포커스는 0.357mm로 충분한 길이로 확보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20, 도 4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저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22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24), 도 5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C선에 대한 수차곡선 26, d선에 대한 수차곡선 28, e선에 대한 수차곡선 30, F선에 대한 수차곡선 32 및 g선에 대한 수차곡선 34)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고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었다. 도 3 및 도 4 중에서 100%는 0.590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5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3.4에 대응한다. 도 3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며, 도 4, 도 5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고 60%(상고 0.354mm) 위치에 있어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1.4195%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59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1.4195% 이내로 안정된다.
비점수차는 상고 100%(상고 0.590mm) 위치에 있어서 메리저널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595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고 0.59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최대치가 0.0595mm 이내로 안정된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100%에 있어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34의 절대치가 0.0135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135mm 이내로 안정된다.
실시예 2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의 소재로 제녹스 E48R을 이용하고, 제 2 렌즈(L2)의 소재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였다.
(A) 제 1 렌즈(L1)의 초점거리(f1)은, f1 = 0.61mm이다.
(B) 제 1 렌즈(L1)의 물체측 곡률반경 r2는, r2 = 0.323mm이다.
(C) 제 1 렌즈(L1)의 상측 곡률반경 r3는, r3 = 32.244mm이다.
(D) 제 2 렌즈(L2)와 제 3 렌즈(L3)의 광축상 간격(D)은, d3=0.1108mm이다.
(E) 광학 길이(L)는, L = 1.042mm이다.
(F) 상고(유효화면 대각선 길이)(2Y)는, 2Y = 1.18mm이다.
따라서,
(1) f1/f = 0.61/1.00 = 0.61
(2) r2/r3 = 0.323/32.244 = 0.0100
(3) d3/f = 0.1108/1.00 = 0.1108
(4) L/2Y = 1.042/1,18 = 0.8831
으로 됨으로써, 실시예 2의 렌즈는 이하의 조건식 (1)에서 (4)까지 모두 만족하고 있다.
0.57 < f1/f < 0.65 (1)
0.01 ≤ r2/r3 ≤ 0.05 (2)
0.1 ≤ d3/f < 0.15 (3)
0.6 < L/2Y < 0.9 (4)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개(S1)는 제 1 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 면)과 광축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조리개면은 평면이므로 표 2에 r1 = ∞로 나타내었으며, 면 r1의 위치에 조리개(S1)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F-넘버는 3.4이다.
도 6에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초점거리 1.00mm에 대한 백포커스는 0.347mm로 충분한 길이로 확보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36, 도 8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저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38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40), 도 9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C선에 대한 수차곡선 42, d선에 대한 수차곡선 44, e선에 대한 수차곡선 46, F선에 대한 수차곡선 48 및 g선에 대한 수차곡선 50)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고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었다. 도 7 및 도 8 중에서 100%는 0.590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9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3.4에 대응한다. 도 7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며, 도 8, 도 9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고 100%(상고 0.590mm) 위치에 있어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7512%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59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7512% 이내로 안정된다.
비점수차는 상고 100%(상고 0.590mm) 위치에 있어서 메리저널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046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고 0.59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최대치가 0.0046mm 이내로 안정된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30%에 있어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50의 절대치가 0.0168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168mm 이내로 안정된다.
실시예 3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의 소재로 제녹스 E48R을 이용하고, 제 2 렌즈(L2)의 소재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였다.
(A) 제 1 렌즈(L1)의 초점거리(f1)은, f1 = 0.62mm이다.
(B) 제 1 렌즈(L1)의 물체측 곡률반경 r2는, r2 = 0.326mm이다.
(C) 제 1 렌즈(L1)의 상측 곡률반경 r3는, r3 = 20.315mm이다.
(D) 제 2 렌즈(L2)와 제 3 렌즈(L3)의 광축상 간격(D)은, d3=0.1118mm이다.
(E) 광학 길이(L)는, L = 1.071mm이다.
(F) 상고(유효화면 대각선 길이)(2Y)는, 2Y = 1.20mm이다.
따라서,
(1) f1/f = 0.62/1.00 = 0.62
(2) r2/r3 = 0.326/20.315 = 0.0160
(3) d3/f = 0.1118/1.00 = 0.1118
(4) L/2Y = 1.071/1,20 = 0.8925
으로 됨으로써, 실시예 3의 렌즈는 이하의 조건식 (1)에서 (4)까지 모두 만족하고 있다.
0.57 < f1/f < 0.65 (1)
0.01 ≤ r2/r3 ≤ 0.05 (2)
0.1 ≤ d3/f < 0.15 (3)
0.6 < L/2Y < 0.9 (4)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개(S1)는 제 1 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 면)과 광축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조리개면은 평면이므로 표 3에 r1 = ∞로 나타내었으며, 면 r1의 위치에 조리개(S1)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F-넘버는 3.4이다.
도 10에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초점거리 1.00mm에 대한 백포커스는 0.37mm로 충분한 길이로 확보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52, 도 12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저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54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56), 도 13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C선에 대한 수차곡선 58, d선에 대한 수차곡선 60, e선에 대한 수차곡선 62, F선에 대한 수차곡선 64 및 g선에 대한 수차곡선 66)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 및 도 12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고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었다. 도 11 및 도 12 중에서 100%는 0.600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13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3.4에 대응한다. 도 11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며, 도 12, 도 13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고 100%(상고 0.600mm) 위치에 있어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6561%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60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6561% 이내로 안정된다.
비점수차는 상고 100%(상고 0.600mm) 위치에 있어서 메리저널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079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고 0.60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최대치가 0.0079mm 이내로 안정된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30%에 있어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66의 절대치가 0.0173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173mm 이내로 안정된다.
실시예 4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의 소재로 제녹스 E48R을 이용하고, 제 2 렌즈(L2)의 소재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였다.
(A) 제 1 렌즈(L1)의 초점거리(f1)은, f1 = 0.58mm이다.
(B) 제 1 렌즈(L1)의 물체측 곡률반경 r2는, r2 = 0.302mm이다.
(C) 제 1 렌즈(L1)의 상측 곡률반경 r3는, r3 = 20.172mm이다.
(D) 제 2 렌즈(L2)와 제 3 렌즈(L3)의 광축상 간격(D)은, d3=0.1004mm이다.
(E) 광학 길이(L)는, L = 1.043mm이다.
(F) 상고(유효화면 대각선 길이)(2Y)는, 2Y = 1.18mm이다.
따라서,
(1) f1/f = 0.58/1.00 = 0.58
(2) r2/r3 = 0.302/20.172 = 0.0150
(3) d3/f = 0.1004/1.00 = 0.1004
(4) L/2Y = 1.043/1.18 = 0.8839
으로 됨으로써, 실시예 4의 렌즈는 이하의 조건식 (1)에서 (4)까지 모두 만족하고 있다.
0.57 < f1/f < 0.65 (1)
0.01 ≤ r2/r3 ≤ 0.05 (2)
0.1 ≤ d3/f < 0.15 (3)
0.6 < L/2Y < 0.9 (4)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개(S1)는 제 1 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 면)과 광축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조리개면은 평면이므로 표 4에 r1 = ∞로 나타내었으며, 면 r1의 위치에 조리개(S1)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F-넘버는 3.4이다.
도 14에 실시예 2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초점거리 1.00mm에 대한 백포커스는 0.358mm로 충분한 길이로 확보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68, 도 16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저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70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72), 도 17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C선에 대한 수차곡선 74, d선에 대한 수차곡선 76, e선에 대한 수차곡선 78, F선에 대한 수차곡선 80 및 g선에 대한 수차곡선 82)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5 및 도 16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고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었다. 도 15 및 도 16 중에서 100%는 0.590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17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3.4에 대응한다. 도 15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며, 도 16, 도 17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고 100%(상고 0.590mm) 위치에 있어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4874%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59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4874% 이내로 안정된다.
비점수차는 상고 100%(상고 0.590mm) 위치에 있어서 메리저널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065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고 0.59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최대치가 0.0065mm 이내로 안정된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100%에 있어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82의 절대치가 0.0185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185mm 이내로 안정된다.
실시예 5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의 소재로 제녹스 E48R을 이용하고, 제 2 렌즈(L2)의 소재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였다.
(A) 제 1 렌즈(L1)의 초점거리(f1)은, f1 = 0.62mm이다.
(B) 제 1 렌즈(L1)의 물체측 곡률반경 r2는, r2 = 0.323mm이다.
(C) 제 1 렌즈(L1)의 상측 곡률반경 r3는, r3 = 20.179mm이다.
(D) 제 2 렌즈(L2)와 제 3 렌즈(L3)의 광축상 간격(D)은, d3=0.1499mm이다.
(E) 광학 길이(L)는, L = 1.045mm이다.
(F) 상고(유효화면 대각선 길이)(2Y)는, 2Y = 1.18mm이다.
따라서,
(1) f1/f = 0.62/1.00 = 0.62
(2) r2/r3 = 0.323/20.179 = 0.0160
(3) d3/f = 0.1499/1.00 = 0.1499
(4) L/2Y = 1.045/1.18 = 0.8856
으로 됨으로써, 실시예 5의 렌즈는 이하의 조건식 (1)에서 (4)까지 모두 만족하고 있다.
0.57 < f1/f < 0.65 (1)
0.01 ≤ r2/r3 ≤ 0.05 (2)
0.1 ≤ d3/f < 0.15 (3)
0.6 < L/2Y < 0.9 (4)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개(S1)는 제 1 렌즈(L1)의 제 1 면(물체측 면)과 광축의 교점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조리개면은 평면이므로 표 5에 r1 = ∞로 나타내었으며, 면 r1의 위치에 조리개(S1)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F-넘버는 3.4이다.
도 18에 실시예 5의 촬상렌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초점거리 1.00mm에 대한 백포커스는 0.310mm로 충분한 길이로 확보될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낸 왜곡수차곡선 84, 도 20에 나타낸 비점수차곡선(메리저널면에 대한 수차곡선 86 및 새지털면에 대한 수차곡선 88), 도 21에 나타낸 색,구면수차곡선(C선에 대한 수차곡선 90, d선에 대한 수차곡선 92, e선에 대한 수차곡선 94, F선에 대한 수차곡선 96 및 g선에 대한 수차곡선 98)에 대하여 각각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9 및 도 20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상고를 광축으로부터의 거리의 몇 %인가로 나타내었다. 도 19 및 도 20 중에서 100%는 0.590mm에 대응하고 있다. 또, 도 21의 수차곡선의 종축은 입사높이(h)(F-넘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가 3.4에 대응한다. 도 19의 횡축은 수차(%)를 나타내며, 도 20, 도 21의 횡축은 수차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왜곡수차는 상고 60%(상고 0.354mm) 위치에 있어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9796%로 최대로 되어 있고, 상고 0.59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절대치가 0.9796% 이내로 안정된다.
비점수차는 상고 100%(상고 0.590mm) 위치에 있어서 메리저널면에 대한 수차량의 절대치가 0.0149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또 상고 0.590mm 이하의 범위에서 수차량의 최대치가 0.0149mm 이내로 안정된다.
색,구면수차는 입사높이(h)의 85%에 있어서 g선에 대한 수차곡선 98의 절대치가 0.0227mm로 최대로 되어 있고, 수차량의 절대치가 0.0227mm 이내로 안정된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촬상렌즈의 각 구성렌즈를 조건식 (1) 내지 (4)를 만족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한다. 즉,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고, 충분한 백포커스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광학 길이가 짧게 유지된 촬상렌즈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렌즈(L1) 및 제 3 렌즈(L3)에는 시클로오레핀계 플라스틱을, 제 2 렌즈(L2)에는 폴리카보네이트라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였으나, 실시예에 게재된 이외의 플라스틱 재료는 물론 플라스틱 소재가 아니어도, 예를 들면 몰드 글래스 등으로도 실시예 등에서 설명한 제조건을 만족하는 소재이면, 글래스 이외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고, 짧은 광학 길이임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으며, 백포커스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휴대전화기, 퍼스널 컴퓨터 또는 디지털 카메라에 내장되는 카메라용 렌즈로서의 이용은 물론, 휴대정보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 내장되는 카메라용 렌즈, 화상인식 기능을 구비한 완구에 내장되는 카메라용 렌즈, 감시, 검사 또는 방범기기 등에 내장되는 카메라용 렌즈로서 적용하여도 좋다.

Claims (3)

  1. 사각형 수광면에서 대각선의 길이가 2Y인 고체촬상소자를 구비한 촬상장치에 탑재되는 촬상렌즈에 있어서,
    개구 조리개(S1),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를 구비하며,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개구 조리개(S1), 제 1 렌즈(L1), 제 2 렌즈(L2) 및 제 3 렌즈(L3)의 순서로 배열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1 렌즈(L1)는 물체측으로 凸면을 향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이며,
    상기 제 2 렌즈(L2)는 상측으로 凸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이고,
    상기 제 3 렌즈(L3)는 물체측으로 凸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렌즈이며,
    상기 제 1 렌즈(L1)의 양면이 비구면, 제 2 렌즈(L2)의 양면이 비구면, 또 제 3 렌즈(L3)의 양면이 비구면이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0.57 < f1/f < 0.65 (1)
    0.01 ≤ r2/r3 ≤ 0.05 (2)
    0.1 ≤ d3/f < 0.15 (3)
    0.6 < L/2Y < 0.9 (4)
    단,
    f:촬상렌즈의 합성초점거리
    f1:제 1 렌즈(L1)의 초점거리
    r2: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 광축근방에 있어서 곡률반경(광축상곡률반경)
    r3:제 1 렌즈(L1)의 상측면 광축근방에 있어서 곡률반경(광축상곡률반경)
    d3:제 1 렌즈(L1)와 제 2 렌즈(L2)의 광축상 간격
    L:제 1 렌즈(L1)의 물체측면에서 상면까지 광축상의 공기중 거리(광학길이)
    2Y:촬상렌즈의 상면에 설치된 고체촬상소자의 사각형 수광면에서 대각선의 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L2)의 소재의 굴절률이 상기 제 1 렌즈(L1) 및 상기 제 3 렌즈(L3)의 소재의 굴절률보다도 높고, 상기 제 2 렌즈(L2)의 소재의 아베수가 상기 제 1 렌즈(L1) 및 상기 제 3 렌즈(L3)의 소재의 아베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촬상렌즈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렌즈(L1) 및 상기 제 3 렌즈(L3)가 시클로오레핀계 플라스틱을 소재로 형성한 렌즈이고,
    상기 제 2 렌즈(L2)가 폴리카보네이트를 소재로 형성한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KR1020067026662A 2005-12-16 2006-07-31 촬상렌즈 KR100791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63087 2005-12-16
JP2005363087A JP3816095B1 (ja) 2005-12-16 2005-12-16 撮像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832A true KR20070072832A (ko) 2007-07-06
KR100791643B1 KR100791643B1 (ko) 2008-01-03

Family

ID=3699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662A KR100791643B1 (ko) 2005-12-16 2006-07-31 촬상렌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67902B2 (ko)
EP (1) EP1898244A4 (ko)
JP (1) JP3816095B1 (ko)
KR (1) KR100791643B1 (ko)
CN (1) CN100426036C (ko)
WO (1) WO2007069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5879B2 (ja) * 2004-04-19 2010-10-2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08180870A (ja) * 2007-01-24 2008-08-07 Opt Design:Kk 小型レンズ
KR100878360B1 (ko) 2007-01-29 2009-01-12 마이크롭틱스 주식회사 촬상 렌즈
KR100865338B1 (ko) * 2007-02-08 2008-10-24 주식회사 옵토메카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
KR100973290B1 (ko) * 2008-03-13 2010-07-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용 결상 광학계
JP4505765B2 (ja) * 2008-04-23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5308915B2 (ja) * 2009-05-28 2013-10-09 株式会社オプトロジック 撮像レンズ
TWI418842B (zh) * 2010-05-11 2013-12-11 Largan Precision Co Ltd 攝像用光學鏡頭
JP2012058407A (ja) * 2010-09-07 2012-03-22 Fujifilm Corp 撮像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
KR101222839B1 (ko) * 2010-10-22 2013-01-30 주식회사 코렌 촬영 렌즈 광학계
TWI435138B (zh) * 2011-06-20 2014-04-21 Largan Precision Co 影像拾取光學系統
TWI443367B (zh) 2012-03-09 2014-07-01 Largan Precision Co Ltd 拾像鏡片系統
KR102109011B1 (ko) * 2012-12-12 2020-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JP6189643B2 (ja) * 2013-05-30 2017-08-30 京セラ株式会社 カメラ保護カバーおよび撮像装置
EP3779565A3 (en) * 2013-07-04 2021-05-05 Corephotonics Ltd. Miniature telephoto lens assembly
US9857568B2 (en) * 2013-07-04 2018-01-02 Corephotonics Ltd. Miniature telephoto lens assembly
CN103969797B (zh) * 2013-11-13 2016-06-15 广东旭业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非球面高清前置广角镜头
CN103777315B (zh) * 2013-11-15 2016-05-11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微型广角成像镜头
TWI611207B (zh) 2016-03-25 2018-01-1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一)
TWI647477B (zh) 2016-03-25 2019-01-1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二)
CN106154496B (zh) * 2016-04-27 2018-09-25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便携式电子装置
KR102173119B1 (ko) * 2019-11-29 2020-1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KR20210081767A (ko) * 2019-12-24 2021-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장치 및 이미지 센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5748B2 (ja) 1997-04-30 2007-06-06 フジノン株式会社 小型レンズ
JP3545654B2 (ja) 1999-09-06 2004-07-21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撮像レンズ
JP3749128B2 (ja) 2001-01-24 2006-02-2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撮像レンズ
JP3749130B2 (ja) 2001-02-15 2006-02-2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撮像レンズ
JP4109857B2 (ja) 2001-11-12 2008-07-02 フジノン株式会社 フロントシャッタ方式の単焦点レンズ
JP3810058B2 (ja) 2001-11-16 2006-08-16 フジノン株式会社 簡易構成単焦点レンズ
EP1348990B1 (en) 2002-03-25 2006-01-11 Konica Corporation Objective composed of three lenses
JP4506083B2 (ja) 2002-03-25 2010-07-2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これを備える撮像装置、撮像ユニット及び撮像ユニットを備える携帯端末
JP3567327B2 (ja) 2002-05-08 2004-09-22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撮像レンズ
JP3976714B2 (ja) 2002-10-25 2007-09-19 株式会社長野光学研究所 撮影レンズ
JP2004212467A (ja) * 2002-12-27 2004-07-29 Nidec Copal Corp 撮影レンズ
JP3717488B2 (ja) 2003-03-31 2005-11-16 フジノン株式会社 単焦点レンズ
JP3717489B2 (ja) 2003-03-31 2005-11-16 フジノン株式会社 単焦点レンズ
JP4156961B2 (ja) 2003-03-31 2008-09-24 フジノン株式会社 単焦点レンズ
JP2005004045A (ja) 2003-06-13 2005-01-06 Enplas Corp 撮像レンズ
JP3770493B2 (ja) * 2003-06-24 2006-04-26 フジノン株式会社 結像レンズ
SG140461A1 (en) 2003-07-11 2008-03-28 Konica Minolta Opto Inc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unit, and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this image pick-up unit
JP3521332B1 (ja) * 2003-08-06 2004-04-19 マイルストー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
JP2005173319A (ja) 2003-12-12 2005-06-30 Topcon Corp 撮像レンズ
JP2005227755A (ja) * 2004-01-13 2005-08-25 Miyota Kk 小型結像レンズ
JP2005292235A (ja) * 2004-03-31 2005-10-20 Seiko Precision Inc 撮像レンズ
JP4567366B2 (ja) 2004-04-23 2010-10-20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撮像レンズ
JP4518836B2 (ja) * 2004-05-14 2010-08-04 Hoya株式会社 撮像レンズ系
JP2005338234A (ja) * 2004-05-25 2005-12-08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レンズ
JP2005345919A (ja) * 2004-06-04 2005-12-15 Seiko Precision Inc 撮像レンズ
JP2006047858A (ja) 2004-08-06 2006-02-16 Nidec Copal Corp 撮像レンズ
CN100462770C (zh) * 2004-10-28 2009-02-18 清华大学 微型摄像镜头系统
JP3816093B1 (ja) * 2005-10-03 2006-08-30 マイルストー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69364A1 (ja) 2007-06-21
US7667902B2 (en) 2010-02-23
EP1898244A4 (en) 2009-03-18
CN100426036C (zh) 2008-10-15
JP2008309810A (ja) 2008-12-25
EP1898244A1 (en) 2008-03-12
KR100791643B1 (ko) 2008-01-03
US20090185289A1 (en) 2009-07-23
JP3816095B1 (ja) 2006-08-30
CN1982933A (zh)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643B1 (ko) 촬상렌즈
KR100791642B1 (ko) 촬상렌즈
JP5206688B2 (ja)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並びに携帯端末
KR101580748B1 (ko) 촬상 광학계, 촬상 장치 및 디지털 기기
JP4977869B2 (ja)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US7894141B2 (en) Imaging lens
US7468847B2 (en) Optical lens system for taking image
KR100555110B1 (ko) 촬상 렌즈
KR101332083B1 (ko) 촬상 렌즈, 촬상 렌즈를 구비한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WO2011021271A1 (ja)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JP3659966B1 (ja) 撮像レンズ
KR20090023149A (ko) 촬상 렌즈
KR20070101776A (ko) 촬상 렌즈, 촬상 렌즈를 구비한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를구비한 휴대 단말기
TW201326957A (zh) 攝像鏡頭
JP2010060980A (ja)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並びに携帯端末
KR20120023621A (ko) 촬상 렌즈 및 그것을 이용한 촬상 장치
US20080212205A1 (en) Optical Lens System for Taking Image
US7529041B2 (en) Optical lens system for taking image
JP6287865B2 (ja) 撮像光学系ならびに撮像装置およびデジタル機器
KR100791641B1 (ko) 촬상렌즈
JP2006184385A (ja) 広角撮像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