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338B1 -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338B1
KR100865338B1 KR1020070013139A KR20070013139A KR100865338B1 KR 100865338 B1 KR100865338 B1 KR 100865338B1 KR 1020070013139 A KR1020070013139 A KR 1020070013139A KR 20070013139 A KR20070013139 A KR 20070013139A KR 100865338 B1 KR100865338 B1 KR 100865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system
optical module
refractive pow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4302A (ko
Inventor
김홍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토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토메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토메카
Priority to KR102007001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338B1/ko
Publication of KR20080074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95Relay lenses or ro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43Inhomogeneous or irregular arrays, e.g. varying shape, size, he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경량이면서도 고해상도를 얻을 수 있는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에서부터 상면측으로 순서대로, 물체측으로 볼록한 양의 굴절력을 갖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1 렌즈, 상면측으로 볼록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및 상면측으로 오목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3 렌즈의 6개의 렌즈면 중 적어도 4개의 렌즈면이 비구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 경량이면서도 고해상도의 렌즈 시스템을 얻을 수 있어 초소형 광학 모듈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Lens System for Super Slim Optical Modul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계되는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실시예 1의 제1 렌즈의 상면측 렌즈면의 회절면 형상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3은 실시예 1의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제 수차 (구면 수차, 비점 수차 및 왜곡)를 나타내는 수차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계되는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는 실시예 2의 제1 렌즈의 상면측 렌즈면의 회절면 형상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6은 실시예 2의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제 수차 (구면 수차, 비점 수차 및 왜곡)를 나타내는 수차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1 ~ L3: 렌즈(lens) R1 ~ R9: 렌즈면(광학 면)의 곡률 반경
D1 ~ D9: 축상 면 간격 1: 개구조리개(stop)
2: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 filter)
3: 촬상 소자
본 발명은 3매의 렌즈로 구성되는 전장 거리가 짧은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화소를 요구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상 획득에 매우 적합한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초소형 광학 모듈, 예컨대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비교적 낮은 수준의 해상도가 요구되어 촬상면의 사이즈(size)가 작은 촬상 소자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적 높은 수준의 해상도가 요구되어 촬상면의 사이즈가 큰 촬상 소자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로 나뉜다.
낮은 수준의 해상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이미지 사이즈가 작고, 렌즈 시스템도 적은 매수의 렌즈로 구성되어 소형화 하는 것이 우선시 되었다. 이와 같은 촬상 소자에 적용되는 렌즈 시스템은 2매 이하의 렌즈 구성이라도 수차의 발생이 적어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높은 수준의 해상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촬상 소자의 촬상면의 사이 즈가 커서, 4매 이상의 렌즈 구성을 사용해야만 광학적인 성능을 만족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 여러 매수의 렌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장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려웠으며, 전장 길이를 줄이기 위해 3매의 렌즈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수차가 많이 발생하여, 요구 수준의 광학 성능을 만족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최근 들어 촬상 소자의 고화소화 및 촬상면의 소형화로 인해 카메라 모듈은 높은 수준의 광학 성능과 짧은 전장 길이를 요구하게 되어, 기존의 렌즈 시스템을 이용하였을 경우 상기 언급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은 수준의 광학 성능과 짧은 전장을 갖는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체측에서부터 상면측으로 순서대로, 물체측으로 볼록한 양의 굴절력을 갖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1 렌즈, 상면측으로 볼록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및 상면측으로 오목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3 렌즈의 6개의 렌즈면 중 적어도 4개의 렌즈면이 비구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렌즈의 파워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f < f1 < 0.95f
여기서, f1은 제1 렌즈의 초점 거리, f는 전체 렌즈 시스템의 유효 초점 거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실시예 1의 것을 대표하여 표시)의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에서부터 순서대로, 물체측으로 볼록한 양의 굴절력을 갖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1 렌즈(L1), 상면측으로 볼록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L2) 및 상면측으로 오목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L3)를 배열하여, 광축을 따라 입사된 광속이 촬상소자(3)에 효율적으로 집속되도록 한 렌즈 시스템이다.
또한 제1 렌즈의 물체측 또는 제1 렌즈와 제2 렌즈의 사이에 조리개(1)가 배치되고, 렌즈 시스템과 촬상소자(3) 사이에는 적외선 차단 필터(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3 렌즈의 6개의 렌즈면 중 적어도 4개의 렌즈면은 다음의 비구면 식을 따른다.
Figure 112007011783214-pat00001
여기서, Z는 광축으로부터 높이 r인 비구면상의 점으로부터 비구면 정점의 접평면 (광축에 수직의 평면)에 내린 수선의 길이, C는 렌즈면의 곡률 (C = 1/R), k는 코닉 상수, r은 광축으로부터의 높이, A4, A6, ..... , A20은 4, 6,......20차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작용을 보면, 렌즈 매수가 3매로 구성되는 것은 요구되는 적당한 수준의 광학 성능을 얻기 위한 필요한 매수이며, 제1 렌즈(L1)에 양의 굴절력을 매우 강하게 하는 것은 렌즈 시스템의 전장 길이를 최소화 하는 방법이다.
또한 제2 렌즈(L2)에 음의 굴절력을 갖게 하는 것은 제1 렌즈에 의해 급격히 굴절된 광속을 절절히 분산시켜 줌으로써 렌즈 시스템에 의한 이미지 사이즈가 촬상 소자의 촬상면 사이즈와 같아지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L3)는 렌즈 시스템에 구면 수차, 비점 수차 및 왜곡 등의 수차를 보정하고, 상면을 플랫(Flat)하게 하여 주변의 광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렌즈의 파워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f < f1 < 0.95f
여기서, f1은 제1 렌즈(L1)의 초점 거리, f는 전체 렌즈 시스템의 유효 초점 거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1 렌즈(L1)에 양의 파워를 매우 강하게 하고 제2 렌즈(L2) 및 제3 렌즈(L3)에 음의 파워를 갖게 하는 것은 전체 렌즈 시스템의 파워를 제1 렌즈(L1)에 부과하는 것이다.
f1이 0.5f보다 큰 것은 렌즈 시스템을 3 매의 렌즈로 구성하기 위함이고, f1이 0.95f보다 작은 것은 렌즈 시스템의 성능을 최대한 높이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렌즈(L1)의 파워를 매우 강하게 하기 위해 제1 렌즈의 상면측 렌즈면에 회절면을 부여할 수 있다. 회절면은 다음의 위상 수식을 따른다.
Figure 112007011783214-pat00002
여기서, Φ는 회절면에 의한 위상을 나타내며, r은 광축으로부터의 높이, C2, C4, ....., C20은 2, 4,......, 20차 위상 계수를 나타낸다.
제1 렌즈(L1)의 상면측 렌즈면에 회절면을 부여함으로써, 제1 렌즈의 물체측 렌즈면의 곡률 반경(R1)을 작게 하지 않고도 제1 렌즈의 파워를 강하게 할 수 있으며, 회절면의 최대 장점인 색수차 보정 기능에 의해 전체 렌즈 시스템의 광학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해, 적은 렌즈 매수를 이용하여, 전장이 짧고 소형인 렌즈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래의 고화소, 초소형 촬상소자에 적용할 수 있는 고성능의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 따른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1에 나타내었다.
이 렌즈 시스템의 구성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방법을 따랐으며, 제1 렌즈(L1) 내지 제3 렌즈(L3)의 모든 렌즈면이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1 렌즈의 상면측 렌즈면에 회절면을 부여하였다.
이 렌즈 시스템의 각 렌즈면의 곡률 반경(R), 각 렌즈의 중심 두께 및 각 렌즈면 간의 거리(D), 각 렌즈 재료의 d선에서의 굴절율(Nd) 및 아베수(Vd)를 표1에 표시하였다. 표에서 숫자는 물체측에서부터의 순번을 표시한 것이다. 또, 표2에는 각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 및 제1 렌즈(L1)의 상면측 렌즈면의 위상 계수를 표시하였다.
면번호 Object 1 2 Stop 3 4 5 6 7 8 9
R (mm) 1.2163 4.0569 -1.1933 -1.3919 1.9697 1.3615
D (mm) 1200.00 0.4000 0.1005 0.5303 0.5385 0.6305 0.5505 0.6000 0.3000 0.3000
Nd 1.52279 1.52996 1.52996 1.51680
Vd 47.83 55.84 55.84 64.16
면 번호 1 2 4 5 6 7
k 0.132748248 0.715342318 0.312848458 -0.752751375 -17.11833872 -8.276406193
A4 0.010388789 -0.001900740 -0.085275892 -0.142645101 -0.164744689 -0.102435885
A6 -0.037974234 0.020029609 -0.160800883 0.348447409 0.077083981 0.033712067
A8 0.311127247 -0.236344983 1.060449774 -0.395610579 -0.016883202 -0.010527175
A10 -1.071306533 0.407318692 -1.525347117 0.623379457 -0.000165589 0.001871920
A12 1.776628465 -0.701694804 1.398339501 -0.36604094 0.000617267 -0.000203124
A14 -1.362922551 0.242167813 -2.65840074 0.055912699 -0.000047982 0.000003092
C2 -0.013645731
C4 0.003216568
도2는 실시예 1의 제1 렌즈(L1)의 상면측 회절면의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횡축은 회절면의 광축에 대한 높이를, 종축은 회절면의 위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점선은 위상 수식에 의한 회절면의 위상을 나타내고, 실선은 실제 설계 중심 파장(587.6nm)에 대한 회절면의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도3은 실시예 1의 전체 렌즈 시스템의 제 수차(구면 수차, 비점 수차, 왜곡)을 나타내는 수차도이다. 구면 수차도에는 설계 중심 파장(587.6nm) 및 주변 파장(656.3nm, 486.1nm)에 대한 각각의 구면 수차를 표시하였으며, 종축은 광축에 대한 출사동의 상대 높이를 나타낸다. 비점 수차도에는 세지탈 상면(S) 및 탄젠셜 상면(T)에 대한 비점 수차를 표시하였으며, 종축은 상면의 높이를 나타낸다. 이러한 수차도로부터 실시예 1의 렌즈 시스템의 광학 성능이 우수함을 유추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f1은 0.863f로서, 전술한 f1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따른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4에 나타내었다.
이 렌즈 시스템의 구성은 실시에 1의 형태와 거의 유사하며, 이에 대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따랐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의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도, 제1 렌즈(L1) 내지 제3 렌즈(L3)의 모든 렌즈면이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1 렌즈의 상면측 렌즈면에 회절면을 부여하였다.
이 렌즈 시스템의 각 렌즈면의 곡률 반경(R), 각 렌즈의 중심 두께 및 각 렌즈면 간의 거리(D), 각 렌즈 재료의 d선에서의 굴절율(Nd) 및 아베수(Vd)를 표3에 표시하였다. 표에서 숫자는 물체측에서부터의 순번을 표시한 것이다. 또, 표4에는 각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 및 제1 렌즈(L1)의 상면측 렌즈면의 위상 계수를 표시하였다.
면 번호 Object 1 2 Stop 3 4 5 6 7 8 9
R (mm) 1.2906 4.8218 -1.2854 -1.5783 1.5892 1.2260
D (mm) 1200.00 0.3000 0.1000 0.6742 0.5000 0.5258 0.6000 0.3500 0.3000 0.6000
Nd 1.52279 1.52996 1.52996 1.51680
Vd 47.83 55.84 55.84 64.16
면 번호 1 2 4 5 6 7
k 0.134807088 1.765924445 0.354117299 -0.060969083 -6.585977608 -5.005302999
A4 -0.004297004 -0.012078878 -0.129384884 -0.269502059 -0.309837388 -0.179512243
A6 -0.028260658 0.067643186 -0.033771999 0.613026407 0.193657511 0.089996556
A8 0.382834454 -0.495728248 1.030094700 -0.862520703 -0.058960966 -0.033988619
A10 -1.894296900 1.146041625 -2.084363084 1.242920150 -0.000750102 0.007458445
A12 3.721928226 -1.411581474 3.079831700 -0.793798459 0.005095234 -0.000979776
A14 -2.991857525 0.282136936 -2.644869333 0.175326641 -0.000859964 0.000054137
C2 -0.011154988
C4 0.001599858
도5는 실시예 2의 제1 렌즈(L1)의 상면측 회절면의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6은 실시예 2의 전체 렌즈 시스템의 제 수차(구면 수차, 비점 수차, 왜곡)을 나타내는 수차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수차도로부터 실시예 2의 렌즈 시스템의 광학 성능이 우수함을 유추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f1은 0.827f로서, 전술한 f1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3매의 적은 렌즈 매수를 이용하여, 전장이 짧고 소형인 렌즈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래의 고화소, 초소형 촬상소자에 적용할 수 있는 고성능의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물체측에서부터 상면측으로 순서대로, 물체측으로 볼록한 양의 굴절력을 갖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1 렌즈, 상면측으로 볼록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및 상면측으로 오목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3 렌즈의 6개의 렌즈면 중 적어도 4개의 렌즈면이 비구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렌즈의 파워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
    0.5f < f1 < 0.95f
    여기서,
    f1: 제1 렌즈의 초점 거리
    f: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유효 초점 거리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렌즈의 물체측 또는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에 개구조리개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상면측 렌즈면이 회절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
KR1020070013139A 2007-02-08 2007-02-08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 KR100865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139A KR100865338B1 (ko) 2007-02-08 2007-02-08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139A KR100865338B1 (ko) 2007-02-08 2007-02-08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302A KR20080074302A (ko) 2008-08-13
KR100865338B1 true KR100865338B1 (ko) 2008-10-24

Family

ID=3988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139A KR100865338B1 (ko) 2007-02-08 2007-02-08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826B1 (ko) 2010-06-16 2012-12-27 주식회사 코렌 촬영 렌즈 광학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8429A (ja) * 2004-09-28 2006-04-13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レンズ
JP3816095B1 (ja) * 2005-12-16 2006-08-30 マイルストー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
KR100662237B1 (ko) 2006-06-15 2006-12-28 주식회사 디오스텍 소형 촬영광학계
JP2007010773A (ja) 2005-06-28 2007-01-18 Largan Precision Co Ltd 撮影レン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8429A (ja) * 2004-09-28 2006-04-13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レンズ
JP2007010773A (ja) 2005-06-28 2007-01-18 Largan Precision Co Ltd 撮影レンズ
JP3816095B1 (ja) * 2005-12-16 2006-08-30 マイルストー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
KR100662237B1 (ko) 2006-06-15 2006-12-28 주식회사 디오스텍 소형 촬영광학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826B1 (ko) 2010-06-16 2012-12-27 주식회사 코렌 촬영 렌즈 광학계
US8520325B2 (en) 2010-06-16 2013-08-27 Kolen Co., Ltd.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302A (ko)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4623B2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レンズを備えた撮像装置
US8441746B2 (en) Wide angle photographic lens assembly
US8379325B2 (en) Photographing optical lens assembly
JP5206688B2 (ja)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並びに携帯端末
JP4977869B2 (ja)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US8305697B1 (en) Image capturing lens assembly
US9116325B2 (en) Imaging lens system
KR101425790B1 (ko) 촬상 렌즈 시스템
JP2005284153A (ja) 撮像レンズ
JP2012003230A (ja) 撮像光学系
WO2013111612A1 (ja) 撮像レンズ
JP2007127953A (ja) 撮像光学系、撮像レンズ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KR101425791B1 (ko) 촬상 렌즈 시스템
JP2009282223A (ja) 撮像レンズ、撮像ユニット及び携帯端末
JP2007127960A (ja) 撮像光学系、撮像レンズ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TW201310057A (zh) 成像用光學透鏡組
KR10157003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JP2007322839A (ja) 結像レンズ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KR20110040247A (ko) 와이드 컨버터 렌즈
CN113341539B (zh) 光学系统、镜头模组和电子设备
WO2011064922A1 (ja) 撮像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並びに、当該撮像装置を搭載した携帯機器
KR101536556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JP5398400B2 (ja) 撮像レンズ
KR101758734B1 (ko) 광각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0865338B1 (ko) 초소형 광학 모듈용 렌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