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871A -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및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및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871A
KR20070068871A KR1020050130946A KR20050130946A KR20070068871A KR 20070068871 A KR20070068871 A KR 20070068871A KR 1020050130946 A KR1020050130946 A KR 1020050130946A KR 20050130946 A KR20050130946 A KR 20050130946A KR 20070068871 A KR20070068871 A KR 20070068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particles
mesoporous silica
inorganic nanoparticles
silica nanoparticles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택환
김재윤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50130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8871A/ko
Publication of KR20070068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8Preparation of finely divided silica neither in sol nor in gel form; After-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78Pore diameter
    • B01J20/28083Pore diameter being in the range 2-50 nm, i.e. mesop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실리카 외피층과 상기 실리카 외피층에 내포된 무기계 나노입자 그리고 상기 실리카 외피층을 관통하는 직경 2nm 내지 10nm의 세공을 갖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i) 유기 용매에 분산된 소수성 무기계 나노입자를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수용액에 분산시켜서, 계면활성제로 둘러싸인 무기계 나노입자의 수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 그리고 ii) 상기 제조된 수분산액에 실리카 전구체를 넣어 상기 무기계 나노입자에 메조 세공 실리카로 된 외피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Description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및 그 제조 방법{Mesoporous silica nano particle which contains inorganic nanoparticles and preparation process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합성 과정을 단계적으로 묘사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평균 직경 150nm 의 크기를 가진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의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사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평균 직경 150nm 의 크기를 가진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의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 나노 입자와 반도체 나노 입자가 내포된 평균 직경 150nm 의 크기를 가진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의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의 질소 흡착/탈착 등온선과 흡착 곡선에서 BJH 방법으로 계산한 기공 크기 분포 곡선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의 장-의존 자력곡선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성 나노 입자 또는 반도체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와 합성에 사용된 반도체 나노 입자의 형광 스펙트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성 나노 입자와 초록색 발광 반도체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와 적색 발광 반도체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의 혼합물에 대한 공초점 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도 8의 혼합물에서 자기장을 사용하여 자성 나노 입자와 초록색 발광 반도체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를 분리해 내고 남은 결과물에 대한 공초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에 이부프로펜을 흡착시키고 버퍼 용액에 흡착된 이부프로펜을 일정 시간 방출시킨 후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를 자석으로 분리한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성 나노 입자가 파묻힌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와 표면을 아미노기로 개질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에서의 시간에 따른 이부프로펜 방출량을 나타낸 도표이다.
본 발명은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실리카 외피층과 상기 실리카 외피층에 내포된 무기계 나노입자 그리고 상기 실리카 외피층을 관통하는 직경 2nm 내지 10nm의 세공을 갖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i) 유기 용매에 분산된 소수성 무기계 나노입자를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수용액에 분산시켜서, 계면활성제로 둘러싸인 무기계 나노입자의 수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 그리고 ii) 상기 제조된 수분산액에 졸-겔 반응 촉매, 실리카 전구체를 넣어 상기 무기계 나노입자에 메조 세공 실리카로 된 외피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에 포함된 무기계 자성체 나노입자 또는 반도체 나노 입자와 같은 무기계 나노입자는 그 크기에 따라 다양한 자성과 발광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들의 합성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무기계 나노 입자를 MRI 조영제나 약물 전달계에 쓰일 자성 운반체, 생물학적 레이블링, 그에 따른 진단 등의 여러 생의학적 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는 균일한 세공 크기, 높은 비 표면적, 큰 기공 부피 등으로 인하여, 산업적 활용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다. 메조 세공체란, 직경이 2nm 에서 50 nm 범위의 기공을 가진 입자를 말한다. 표면적이 넓고 내부 용적이 크기 때문에 다양한 물질이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에 내포될 수 있다. 따라서 나노입자를 기능적인 전달체나 촉매 지지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나노입자에 다공성의 실리카 외피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 나노입자를 내포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방법이 학회지[Advanced Materials. 2002, 14, 529]에 발표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물에서 환원제를 이용하여 합성된 금 나노 입자의 표면을 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ercaptopropyl trimethoxysilane)으로 개질한 후 메조 세공을 형성시키는데 이용되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CTAB) 존재하에서 실리카 전구체인 테트라에틸오르쏘실리케이트(TEOS)의 졸-겔 반응을 유도하여 금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그런데 여기서 사용된 금 나노 입자는 수용액 상에서 환원제를 이용하여 합성하게 되는데 수용액에서 제조할 수 있는 금 나노 입자의 양은 매우 작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1회의 회분식 공정을 통하여 금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의 1회의 회분식 공정을 통하여 합성할 수 있는 양이 매우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수율이 낮은 공정인 수용액 공정에서 제조된 금 나노 입자만이 위 합성에 적용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수용액 상의 금 나노 입자 주위에서 메조 세공 실리카를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먼저 금 나노 입자 표면과 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ercaptopropyl trimethoxysilane)의 HS-기능기 간의 결합을 일으켜 실란 그룹이 외부로 표출된 금 나노 입자를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 아니하면 메조 세공의 주형이 되는 계면 활성제 존재하에서 실리카 졸-겔 반응을 일으켜도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없다. 반드시 실란 그룹이 표출된 금 나노 입자를 만들고 나서 이후에 계면활성제 존재 하에서 실리카 전구체의 졸-겔 반응을 유도해야만 금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 입자를 얻을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또한 백금 나노입자를 내포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이 학회지(Advanced Materials, 2004, 16, 1845)에 발표되었다. 이 방법에서는 백금 나노입자를 폴리피롤리돈(PVP(poly(vinylpyrrolidone)))의 존재하에서 합성하여 에탄올에 분산시킨 뒤, 계면 활성제인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CTAB) 존재하에서 실리카 전구체인 테트라에틸오르쏘실리케이트(TEOS)의 졸-겔 반응을 유도한 다음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CTAB)를 제거하여 백금 나노 입자가 중심 부분에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이 방법은 에탄올 용매에서 폴리피롤리돈을 안정제(stabilizer)로 사용하여 합성한 나노 입자의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나노 입자의 크기 조절이 어렵고 또한 낮은 온도에서 합성을 하였기 때문에 나노 입자의 결정성이 낮아서 물성이 좋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 공개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Journal of American Chemical Society, 2005, 127, 8916)에서는, 수용액 상에서 합성한 크기 150 nm 부근의 적철광 주위를 메조 세공 실리카 외피층으로 둘러싸고, 이어서 적철광을 수소로 환원함으로써 메조 세공 실리카 외피내에 자성 입자가 내포된 구조를 합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의 경우에는 코어로 사용된 적철광의 크기가 150 nm 정도로서 기존 나노 입자에 비해 매우 크다. 적철광은 수소를 사용하여 환원시키면 자성을 띠는 마그네타이트로 바뀌지만 크기로 인해 강자성체의 성질을 띠게 되는데 이는 상자성체 나노 입자에 비해서 약물 전달 등의 응용에 실제로 적용될 때 불리한 점이 있다.
위 세 가지 공지된 방법의 경우 메조 세공체 나노 입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수용액이나 에탄올 상에서 합성된 일부 나노 입자만 국한되어 이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유기 용매 상에서 고온의 조건에서 나노 입자를 합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인 방법인데, 합성할 수 있는 나노 입자의 종류가 귀금속, 자성, 반도체 등 매우 다양하고, 나노 입자의 크기 조절이 쉬우며, 나노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고, 또한 고온에서 합성하여 그 결정성이 우수하여 그에 따른 나노 입자의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나노 입자를 합성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3가지의 공지 기술을 통하여 유기 용매에서 고온에서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경우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를 합성하기는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직까지 유기용매에서 합성한 무기계 나노 입자를 내포하고 있는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의 합성에 대한 보고는 없다. 왜냐하면 유기용매에서 합성된 나노 입자를 둘러싼 메조 세공 실리카 외피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수용액 상에서 실리카 전구체의 졸-겔 반응을 유도해야 하는데, 유기 용매에서 합성된 나노 입자는 표면에 소수성으로서 비극성의 유기 용매에 분산되어 있으므로 극성인 수용액에 다시 분산시키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노 입자의 특성을 이용한 약물 전달체 등으로의 응용을 위해 유기 용매에서 고온에서 합성한 나노 입자를 이용하여 이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 입자를 합성하는 것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합성 과정상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물 전달체로 사용하기 적절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 유기 용매에 분산된 소수성 무기계 나노입자를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수용액에 분산시켜서, 계면활성제로 둘러싸인 무기계 나노입자의 수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ii) 상기 i)단계에서 제조된, 무기계 나노입자가 분산된 수분산액에 실리카 전구체를 넣어 상기 무기계 나노입자에 메조 세공 실리카로 된 외피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실리카 외피층과, 상기 실리카 외피층에 내포된 무기계 나노입자 그리고 상기 실리카 외피층을 관통하는 직경 2nm 내지 10nm의 세공을 갖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의 지름은 바람직하게는 50nm 내지 250nm이다.
본 발명의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의 실리카 외피층을 관통하는 세공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2nm 내지 1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nm 내지 5nm 이다.
본 발명의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에 내포될 수 있는 무기계 나노입자로는, 마그네타이트 (Fe3O4), 마그헤마이트 (gamma-Fe2O3), 코발트 페라이트 (CoFe2O4), 망간 페라이트 (MnFe2O4), 아이언-플래티늄 합금 (Fe-Pt alloy), 코발트-플래티늄 합금 (Co-Pt alloy), 코발트 (Co) 등의 자성체 나노입자와, 카드뮴 셀레나이드 (CdSe), 카드뮴 셀레나이드/징크 설파이드 코어셀 (CdSe/ZnS core/shell), 징크 설파이드 (ZnS), 카드뮴 설파이드 (CdS), 인듐 알세나이드(InAs), 인듐 포스파이드(InP), 인듐 알세나이드포스파이드/인듐 포스파이드/징크 셀레나이드 (InAsxP1-x/InP/ZnSe) 등의 반도체 나노입자, 금(Au), 팔라듐 (Pd), 백금(Pt) 등의 금속 나노입자, 또는 이들에서 선택되는 2종류 이상의 나노입자 혼합물이 적합하다.
상기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는 경우에 따라서는 약물전달체로 또는 서방형 약물 운반체 또는 외표면에 약물이 흡착된 약학 제형 운반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 유기 용매에 분산된 소수성 무기계 나노입자를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수용액에 분산시켜서, 계면활성제로 둘러싸인 무기계 나노입자의 수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 그리고 ii) 상기 제조된 수분산액에 실리카 전구체를 넣어 상기 무기계 나노입자에 메조 세공 실리카로 된 외피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의 제 i)단계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CTAB), 옥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OCTAB),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DTAB)과 같이, 8 내지 25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CH3)3RX, 여기서 R은 C8 ~ C25, X는 Br, Cl, I 이다.) 계열의 계면활성제, 올레일아민(Oleylamine), 옥틸아민(octylamine), 헥사데실아민(Hexadecylamine), 옥타데실아민(Dctadecylamine)과 같이, 6 내지 20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알킬아민(alkyl amine(RNH2)계 계면활성제, (ethylene oxide)20(propylene oxide)70(ethylene oxide)20 과 같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poly(propylene oxide, 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 계열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삼중공중합체 (poly(alk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등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의 제 ii)단계의 실리카 전구체는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TMOS (tetramethyl orthosilicate), TBOS (tetrabutyl orthosilicate), SiCl4 (tetraclorosilane), sodium silicate 등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의 제 ii)단계의 실리카 졸-겔 반응의 촉매로 NH4OH, NaOH 등의 염기성 화합물과 HCl, HNO3 등 산성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의 제 ii)단계에서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분산안정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요소와 기술적 특징을 다음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 실시 예들에 예시한 것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자성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과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사진을 도 2와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2와 도 3의 사진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의 직경이 150nm 정도로 비교적 매우 균일함을 알 수 있고, 이는 약물과 유전자 전달에 응용하기에 적합한 크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자성 나노입자와 반도체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의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이며, 직경은 150 nm 정도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의 질소 흡탈착 등온선을 도 5에 도시하였으며, 상기 등온선은 이력 곡선을 나타내며, 이는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가 메조 세공체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의 기공크기는 BJH 방법으로 계산하여 3.5nm이며, BET 표면적과 총 기공부피는 각각 721 m2g-1, 1.09cm3g-1이었으며, 상기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와 같이 균일한 세공과 비교적 작은 입자 크기 (<200nm)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자성 고분자 비드에 비하여 약물 전달계에 유리하다.
도 6은 300K에서의 자기장 의존 자성곡선이며, 상기 자성곡선은 이력곡선을 나타내지 않음으로써,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가 약물 전달과 분리에 바람직한 상자성 특성을 띠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에서는 3.5nm 크기의 카드뮴셀레나이드/황화아연(CdSe/ZnS) 양자점과, 이것으로 합성한 자성 나노입자와 초록색 발광 반도체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GQD-MSS)가 약간의 적색변이를 보이지만 비슷한 파장 위치에서 발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성분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자성 나노 입자와 초록색 발광 반도체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GQD-MSS)의 자성과 형광 특성을 동시에 시험하였다. 먼저 6nm크기의 적색 발광 카드뮴셀레나이드/황화아연(CdSe/ZnS) 양자점이 파묻힌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적색 발광 반도체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RQD-MSS))를 합성하였고, 그 후 적색 발광 반도체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RQD-MSS)와 자성 나노 입자와 초록색 발광 반도체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GQD-MSS)를 물에서 섞고 자기장을 가하여 분리 과정를 수행한 결과를 도8과 도9에 도시하였다.
도 8은 두 물질이 섞인 용액의 공초점 현미경 사진으로써, 적색과 초록색의 점들이 공존한다는 것을 알수 있는 반면, 도 9는 자석으로 자성 나노 입자와 초록색 발광 반도체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GQD-MSS)를 분리하고 난 후의 공초점 사진으로, 오직 적색 점만이 존재 하는 것으로 보아, 초록 형광을 내는 자성 나노 입자와 초록색 발광 반도체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GQD-MSS)가 자석으로 인해 혼합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가 약물전달체임을 시험하기 위하여, 모형 약물로 이부프로펜을 선택하였다. 이부프로펜은 잘 알려진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제로 분자 구조안에 카르복실 기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표면이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개질된 M-MSS-NH2 샘플을 준비하였고, 다른 표면 특성을 가진 두 시료, 즉 실라놀 기가 있는 자성 나 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 아미노 기가 있는 M-MSS-NH2에 각각 이부프로펜을 담지하였다.
상기 이부프로펜 담지량은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 아민기로 표면을 개질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NH2)에서 각각 18 wt%, 13 wt% 였으며, 아민기로 표면을 개질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NH2)에서 이부프로펜의 담지량이 낮아진 이유는 표면 개질 과정에서 나타나는 표면적의 감소 (706 m2g- 1 에서 302 m2g-1) 때문이다.
그러나 이부프로펜 담지량을 단위 표면적에 대해 계산하면 아민기로 표면을 개질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NH2)가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보다 더 높은 담지량을 보인다.
이는 아민기로 표면을 개질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NH2)의 아미노 기와 이부프로펜의 카르복실 기와의 인력으로 인해 아민기로 표면을 개질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NH2)의 단위 표면적당 이부프로펜 담지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용액 속으로 방출되는 이부프로펜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버퍼 용액에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를 자석으로 분리한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11은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와 아민 기로 표면을 개질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NH2)에서의 이부프로펜 방출량을 나타낸 곡선이다. 상기 곡선에서 60 시간 안에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에 파묻힌 양의 95%의 이부프로펜이 방출된 반면, 아민기로 표면을 개질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NH2)에서는 방출이 지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사실들은, 80 시간 후 아민기로 표면을 개질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NH2)에 파묻힌 이부프로펜 중에서 단지 15% 만이 방출되었는데, 이는 이부프로펜의 카르복실 기와 아민기로 표면을 개질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NH2)의 아미노기 사이의 이온성 인력 때문에 파묻힌 이부프로펜이 쉽게 방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실리카 나노입자의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로부터 약물의 방출 속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1]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체 실리카 입자(M-MSS)의 합성
유기 용매에서 합성한, 올레익 산으로 안정화된 자성 나노 입자 (Fe3O4) 7.5 mg 을 0.5 ml의 클로로포름에 분산시키고 이것을 0.05~0.1g의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CTAB)가 녹아있는 수용액에 첨가하여 교반 하였다. 10분간 교반 후 균일한 마이크로 에멀젼 상태의 용액을 60도에서 10분간 가열하여 클로로포름을 증발 시킨 후, 결과물의 0,5 ml를 10 ml의 증류수로 희석한 뒤 0.3ml의 암모니아수, 0.05ml의 테트라에틸오르쏘실리케이트(TEOS), 0.5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차례로 첨가하였다.
결과물을 30초에서 1분간 교반 한 후 교반을 멈추고 3시간 유지한 후 결과물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뒤 에탄올로 씻고 다시 원심분리하여 건조시켰다.
[실시예 2]
자성 나노 입자와 초록색 발광 반도체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GQD-MSS)의 합성
유기 용매에서 합성한, 올레익 산으로 안정화된 자성 나노 입자 (Fe3O4) 7.5 mg 을 0.5 ml의 클로로포름에 분산시키고 이것을 0.05~0.1g의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CTAB)가 녹아있는 수용액에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10분간 교반 후 균일한 마이크로 에멀젼 상태의 용액을 60도에서 10분간 가열하여 클로로포름을 증발시킨 후, 상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7mg의 카드뮴셀레나이드/황화아연(CdSe/ZnS) 나노 입자를 수용액으로 이동시켰다.
두 종류의 물에 분산된 나노 입자를 각각 0,3 ml를 10 ml의 증류수로 희석한 후 0.3ml의 암모니아수, 0.05ml의 테트라에틸오르쏘실리케이트(TEOS), 0.5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차례로 첨가하였다. 결과물을 30초에서 1분간 교반한 후 교반을 멈추고 3시간 유지한 뒤, 결과물을 원심분리 후 에탄올로 씻고 다시 원심분리하여 건조시켰다.
[실시예 3]
적색 발광 반도체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RQD -MSS)의 합성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유기 용매에서 합성한 7mg의 카드뮴셀레나이드/황화아연(CdSe/ZnS) 나노 입자를 수용액으로 이동시켰다.
물에 분산된 나노 입자 0.5 ml를 10 ml의 증류수로 희석한 후 0.3ml의 암모니아수, 0.05ml의 테트라에틸오르쏘실리케이트(TEOS), 0.5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차례로 첨가하였다. 결과물을 30초에서 1분간 교반 한 후 교반을 멈추고 3시간 유지한 뒤, 결과물을 원심분리 후 에탄올로 씻고 다시 원심분리하여 건조시켰다.
[실시예 4]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를 이용한 이부프로펜의 흡착 및 방출
이부프로펜의 흡착 및 방출 실험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실행하였다. 먼저 메조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의 표면에 아민기를 도입하기 위해 물이 제거된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를 톨루엔 상에서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넣고 3 시간 동안 환류(reflux)한 후 원심분리 후 톨루엔과 에탄올로 차례로 씻은 후 60도에서 건조시켰다.
[실시예 5]
상기 아민기로 표면을 개질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NH2)를 이부프로펜을 담지하기 위해 자성 나노 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 아민기로 표면을 개질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M-MSS-NH2)를 각각 20 mg 씩 취하여 1mg/ml 농도의 헥산에 녹인 이부프로펜 10 ml에 넣고 200 rpm 으로 24시간 흔들어주었다. 이부프로펜이 흡착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는 자석으로 끌어당겨 분리한 후 완전히 건조시켰다. 완전히 건조시킨 메조세공 실리카 입자를 100 mM 농도의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버퍼 (pH 7.0) 10 ml에 분산시킨후 100 rpm으로 흔들어 주었다.
[실시예 6]
이부프로펜이 용액 속으로 방출된 양을 계산하기 위해서 흔드는 도중 자석으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를 끌어당겨 분리한 후 1 ml의 용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용액을 이용하여 264nm에서의 흡착도를 계산하여 이부프로펜의 함유량 즉 일정 시간 후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로부터 방출된 이부프로펜의 양을 계산하였다 (이부프로펜은 264nm에서 농도에 비례하는 흡광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균일한 자성 나노입자 또는 반도체 나노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내포하고 있는 균일한 크기의 세공을 가진, 직경 150nm 정도의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는 약물 전달체 등 의약학 분야에 이용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들에 따라 제조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에 비해 입자가 작고 표면적과 세공 내부 용적이 커서 우수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7)

  1. 실리카 외피층과, 상기 실리카 외피층에 내포된 무기계 나노입자 그리고 상기 실리카 외피층을 관통하는 직경 2nm 내지 10nm의 세공을 갖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나노입자의 직경이 50nm 내지 25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공의 직경이 2nm 내지 5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나노입자가, 마그네타이트(Fe3O4), 마그헤마이트(gamma-Fe2O3), 코발트 페라이트(CoFe2O4), 망간 페라이트(MnFe2O4), 아이언-플래티늄 합금(Fe-Pt alloy), 코발트-플래티늄 합금(Co-Pt alloy) 그리고 코발트(C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자성체 나노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나노입자가, 카드뮴 셀레나이드(CdSe), 카드뮴 셀레나이드/징크 설파이드 코어셀(CdSe/ZnS core/shell), 징크 설파이드(ZnS), 카드뮴 설파이드(CdS), 인듐 알세나이드(InAs), 인듐 포스파이드(InP) 그리고 인듐 알세나이드포스파이드/인듐 포스파이드/징크 셀레나이드(InAsxP1-x/InP/Zn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반도체 나노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나노입자가, 금(Au), 팔라듐(Pd) 그리고 백금(Pt)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금속 나노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나노입자가, 자성체 나노입자와 반도체 나노입자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가 약물 운반체로서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가 서방형 약물 운반체로서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가 외표면에 약물이 흡착된 약학제형 운반체로서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11. i) 유기 용매에 분산된 소수성 무기계 나노입자를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수용액에 분산시켜서, 계면활성제로 둘러싸인 무기계 나노입자의 수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 그리고 ii) 상기 제조된 수분산액에 실리카 전구체를 넣어 상기 무기계 나노입자에 메조 세공 실리카로 된 외피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12. 제 11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ii)단계의 실리카 전구체는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TMOS (tetramethyl orthosilicate), TBOS (tetrabutyl orthosilicate), SiCl4 (tetrachlorosilane),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13. 제 11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ii)단계에서, 실리카 졸-겔 반응의 촉매로서, NH4OH, NaOH의 염기성 화합물들과 HCl, HNO3 의 산성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14. 제 11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ii)단계에서 분산안정화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15. 제 14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산안정화제가 에틸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16. 제 11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i)단계의 계면활성제가,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CTAB), 옥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OCTAB),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DTAB)와 같은, 8 내지 25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CH3)3RX, 여기서 R은 C8 내지 C25의 탄화수소이고 X는 Br, Cl, I이다.) 계면활성제, 올레일아민(Oleylamine), 옥틸아민(Octylamine), 헥사데실아민(Hexadecylamine), 옥타데실아민(Octadecylamine)과 같은, 6 내지 20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알킬아민(alkylamine(RNH2))계 계면활성제 그리고, (ethylene oxide)20(propylene oxide)70(ethylene oxide)20과 같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 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 계열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삼중공중합체(poly(alk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17. 제 11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알리파틱 아마솔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방법.
KR1020050130946A 2005-12-27 2005-12-27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및그 제조 방법 KR20070068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946A KR20070068871A (ko) 2005-12-27 2005-12-27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및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946A KR20070068871A (ko) 2005-12-27 2005-12-27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및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871A true KR20070068871A (ko) 2007-07-02

Family

ID=3850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946A KR20070068871A (ko) 2005-12-27 2005-12-27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및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8871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786B1 (ko) * 2007-06-28 2009-11-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단 및 치료용 자성 메탈 나노 복합체
KR100937205B1 (ko) * 2006-07-24 2010-01-19 (주)나노하이브리드 개선된 특성을 갖는 혼성물질 및 그 제조 방법
KR100976084B1 (ko) * 2008-05-31 2010-08-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이 치환된 메조세공 실리카 및 그 제조방법
KR101102439B1 (ko) * 2009-12-02 2012-01-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의 나노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39691B1 (ko) * 2011-03-15 2013-03-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형광성을 가지는 자성 코어/쉘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5054768A1 (pt) * 2013-10-15 2015-04-23 Fundação Universidade Federal De São Carlos Micropartículas magnéticas de sílica porosa e processo de síntese
WO2015141885A1 (ko) * 2014-03-21 2015-09-2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B-GNR/SiO2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암치료제
CN111515382A (zh) * 2019-02-01 2020-08-11 Cen有限公司 包埋合金颗粒的介孔二氧化硅及其制备方法
US11207348B2 (en) 2019-04-25 2021-12-28 Imam Abdulrahman Bin Faisal University Spinel ferrite impregnated mesoporous silica containing a platinum complex
CN116473944A (zh) * 2023-04-27 2023-07-25 东北林业大学 肿瘤微环境响应性降解的FMMSNs制备方法、制得的FMMSNs及其应用
CN116970387A (zh) * 2023-07-25 2023-10-31 南京邮电大学 一种检测水解奶粉的复合纳米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30160118A (ko)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씨이엔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메조 세공 실리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6473944B (zh) * 2023-04-27 2024-05-31 东北林业大学 肿瘤微环境响应性降解的FMMSNs制备方法、制得的FMMSNs及其应用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205B1 (ko) * 2006-07-24 2010-01-19 (주)나노하이브리드 개선된 특성을 갖는 혼성물질 및 그 제조 방법
KR100924786B1 (ko) * 2007-06-28 2009-11-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단 및 치료용 자성 메탈 나노 복합체
KR100976084B1 (ko) * 2008-05-31 2010-08-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이 치환된 메조세공 실리카 및 그 제조방법
KR101102439B1 (ko) * 2009-12-02 2012-01-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의 나노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39691B1 (ko) * 2011-03-15 2013-03-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형광성을 가지는 자성 코어/쉘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5054768A1 (pt) * 2013-10-15 2015-04-23 Fundação Universidade Federal De São Carlos Micropartículas magnéticas de sílica porosa e processo de síntese
WO2015141885A1 (ko) * 2014-03-21 2015-09-2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B-GNR/SiO2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암치료제
KR20200096054A (ko) *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씨이엔 합금 입자가 포접된 메조 세공 실리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515382A (zh) * 2019-02-01 2020-08-11 Cen有限公司 包埋合金颗粒的介孔二氧化硅及其制备方法
US11319213B2 (en) * 2019-02-01 2022-05-03 Cen Co., Ltd Mesoporous silica embedded with alloy partic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1207348B2 (en) 2019-04-25 2021-12-28 Imam Abdulrahman Bin Faisal University Spinel ferrite impregnated mesoporous silica containing a platinum complex
US11723920B2 (en) 2019-04-25 2023-08-15 Imam Abdulrahman Bin Faisal University Method for treating cancer with a nanoformulation
KR20230160118A (ko)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씨이엔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메조 세공 실리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6473944A (zh) * 2023-04-27 2023-07-25 东北林业大学 肿瘤微环境响应性降解的FMMSNs制备方法、制得的FMMSNs及其应用
CN116473944B (zh) * 2023-04-27 2024-05-31 东北林业大学 肿瘤微环境响应性降解的FMMSNs制备方法、制得的FMMSNs及其应用
CN116970387A (zh) * 2023-07-25 2023-10-31 南京邮电大学 一种检测水解奶粉的复合纳米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970387B (zh) * 2023-07-25 2024-05-10 南京邮电大学 一种检测水解奶粉的复合纳米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8871A (ko) 무기계 나노입자가 내포된 메조 세공 실리카 나노입자 및그 제조 방법
Yang et al. A magnetic, luminescent and mesoporous core–shell structured composite material as drug carrier
EP1794764B1 (en) Coated composites of magnetic material and quantum dots
CA2410023C (en) Coated nanoparticles
Bagheri et al. Modified iron oxide nanomaterials: functionalization and application
Mahtab et al. Fabrication of silica nanoparticles with both efficient fluorescence and strong magnetization and exploration of their biological applications
JP5514126B2 (ja) 超常磁性クラスタ・ナノ粒子・多孔体複合ビーズ及びその製造方法
Sonmez et al. Synthesis and applications of Fe3O4/SiO2 core-shell materials
JP5392768B2 (ja) 内部に空洞を有するナノ粒子分散微小ガラスビーズ及びその製造方法
Chang et al. Synthesis and properties of magnetic and luminescent Fe3O4/SiO2/Dye/SiO2 nanoparticles
Liu et al. Preparation of magnetic and fluorescent bifunctional chitosan nanoparticles for optical determination of copper ion
Lou et al. Functionalized magnetic-fluorescent hybrid nanoparticles for cell labelling
KR101255252B1 (ko) 유기매질 내에서 친핵치환 반응에 의해서 층상조립으로 유도된 다기능성 콜로이드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CN111790324B (zh) 一种多层级可控组装型荧光-磁性双功能微球及其制备方法、应用
KR20080051285A (ko) 산화금속 중공 나노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Park et al. Microwave enhanced silica encapsulation of magnetic nanoparticles
KR101310628B1 (ko) 자성 특성과 발광 특성을 동시에 갖는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WO2012167593A1 (zh) 无序多孔二氧化硅材料的制备及脂肪醇聚氧乙烯醚在该制备中应用
Szczeszak et al. Synthesis, photophysical analysis, and in vitro cytotoxicity assessment of the multifunctional (magnetic and luminescent) core@ shell nanomaterial based on lanthanide-doped orthovanadates
Teng et al. Amine-Functionalized Fe2O3–SiO2 Core–Shell Nanoparticles with Tunable Sizes
US20090226724A1 (en) Multifunctional nanostructure and method
KR101195771B1 (ko) 초상자성 클러스터-나노입자-기공체 복합 비드 및 그 제조방법
Cha et al. A simple method to synthesize multifunctional silica nanocomposites, NPs@ SiO 2, using polyvinylpyrrolidone (PVP) as a mediator
KR101458437B1 (ko) 자성 세라믹 형광체의 제조방법
Yang Magnetic and luminescent dual-functional SiO2 beads created through controlled sol-gel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828

Effective date: 2013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