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861A -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861A
KR20070068861A KR1020050130922A KR20050130922A KR20070068861A KR 20070068861 A KR20070068861 A KR 20070068861A KR 1020050130922 A KR1020050130922 A KR 1020050130922A KR 20050130922 A KR20050130922 A KR 20050130922A KR 20070068861 A KR20070068861 A KR 20070068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upled
bracket
lower rail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7590B1 (ko
Inventor
이재환
김성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50130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590B1/ko
Publication of KR2007006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로워레일(10)이 외측으로 돌출된 별도의 구조물 없이 직접 플로어패널상에 장착됨으로써, 협소한 플로어패널상에 다수개의 시트레일(5)을 장착함에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외관미의 향상과 부품수의 감축을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Seat rail structure for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시트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시트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레일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레일에서 로워레일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레일에서 로워레일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Ⅰ-Ⅰ선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레일에서 구름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Ⅱ-Ⅱ선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레일에서 간격유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Ⅲ-Ⅲ선 부분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레일에서 로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Ⅳ-Ⅳ선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시트레일 10 - 로워레일
10a - 레일홈 11 - 바닥면
20 - 어퍼레일 30 - 로크기구
40 - 로워레일결합수단 50 - 구름수단
60 - 간격유지수단 70 - 스토퍼수단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워레일을 차체의 플로어패널에 직접 결합시키도록 구조를 개선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차체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는데, 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시트레일이다.
통상 2열 시트를 구비한 승용 차량일 경우에는 길이가 짧은 숏레일을 적용하여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를 이동시키도록 하고, 2열 이상의 시트를 구비한 레저용 차량일 경우에는 1열과 2열의 시트에는 숏레일이 적용되고 그 이상의 시트에는 길이가 긴 롱레일을 적용하여 시트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여기서, 차량의 시트레일은 시트쿠션프레임과 결합된 어퍼레일이 차체의 플로어패널에 결합된 로워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어퍼레일의 자유로운 이동을 구속하는 로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2열 이상의 시트를 구비한 레저용 차량일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시트마다 이동할 수 있는 시트레일을 구비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차실내의 플 로어패널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시트레일(1)이 차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구조로 장착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시트레일(1)을 구비한 레저용 차량일 경우에는 플로어패널에 장착된 로워레일이 인접한 로워레일과의 사이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야만 어퍼레일을 통한 시트의 이동이 원활하게 동작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레일(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브라켓(3)이 로워레일(2b)의 좌우측방 및 전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3)을 관통하는 볼트(미도시)를 통해 상기 로워레일(2b)이 플로어패널(미도시)에 장착되는 구조이다.
상기의 종래 구조는, 최소한 브라켓(3)의 크기 이상으로 인접한 로워패널(2b)을 이격시켜야 하므로, 협소한 플로어패널의 공간에서 다수개의 시트레일(2)을 장착시키는 데에 설계상 많은 제약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구조는 로워레일(2b)의 외부로 돌출되는 브라켓(3)에 의해 미관이 않좋은 문제점도 있었다.
도 2에 도시된 미설명 부호 2a는 어퍼레일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보조물을 사용하지 않고 로워레일을 차체의 플로어패널에 직접 결합시키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인접한 로워패널과의 이격거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협소한 플로어패널의 공간에서 다수개의 시트레일을 장착함에 있어 설계의 자유도 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외관미의 향상과 부품수의 감축을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레일홈을 갖추고서 플로어패널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로워레일과, 상측은 시트쿠션프레임과 고정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레일홈에 끼워져서 레일홈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퍼레일과, 상기 어퍼레일에 고정 설치되어 로워레일과의 선택적인 구속에 의해 어퍼레일의 자유로운 이동을 방지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워레일의 바닥면을 플로어패널에 고정 결합시키는 로워레일결합수단과; 상기 어퍼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어퍼레일의 이동을 도와주는 구름수단과; 상기 어퍼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워레일에 대한 어퍼레일의 좌우 측방향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수단과; 상기 로워레일의 양끝단에 결합되어 로워레일로부터 상기 어퍼레일의 이탈을 예방하는 스토퍼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레일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레일(5)은 기본적으로 내부에 레일홈(10a)을 갖추고서 플로어패널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로워레일(10)과, 상측은 시트쿠 션프레임과 고정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레일홈(10a)에 끼워져서 레일홈(10a)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퍼레일(20)과, 상기 어퍼레일(20)에 고정 설치되어 로워레일(10)과의 선택적인 구속에 의해 어퍼레일(20)의 자유로운 이동을 방지하는 로크기구(3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트레일(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워레일(10)의 바닥면(11)을 플로어패널에 고정 결합시키는 로워레일결합수단(40)과, 상기 어퍼레일(20)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홈(10a)으로 삽입되어 상기 어퍼레일(20)의 이동을 도와주는 구름수단(50)과, 상기 어퍼레일(20)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홈(10a)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워레일(10)에 대한 어퍼레일(20)의 좌우 측방향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수단(60)과, 상기 로워레일(10)의 양끝단에 결합되어 로워레일(10)로부터 상기 어퍼레일(20)의 이탈을 예방하는 스토퍼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레일(5)은, 상기 로워레일(10)의 윗면에 덮여져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레일커버(81)와, 상기 레일커버(81)의 고정 및 상기 로워레일(10)의 측방향 벌어짐을 구속하기 위해 로워레일(10)의 밑면과 양쪽의 측면을 외측에서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리벳(83a)을 매개로 로워레일(10)과 결합되는 다수개의 레일클립(8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로워레일(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워레일결합수단(40)이 설치되도록 로워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편평한 모양으로 형성된 중앙의 하부바닥면(11a)과, 상기 하부바닥면(11a)의 양측에서 상측방으로 굴곡 연장 되어 편평한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구름수단(50)과 접촉을 이루는 상부바닥면(11b)과, 상기 상부바닥면(11b)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간격유지수단(60)과 접촉을 이루는 양쪽의 측면(12)과, 상기 측면(12)의 상단에서 서로를 향해 기역(ㄱ)자 모양으로 굴곡 형성된 상부면(13)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바닥면(11a)과 상부바닥면(11b)이 상기 로워레일(10)의 바닥면(11)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로워레일결합수단(40)은 도 4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하방으로 절곡된 양측의 날개부(41a)를 구비하고 이 날개부(41a)에 디귿(ㄷ)자 모양의 와셔홈(41b)이 서로 마주 대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날개부(41a)의 밑면을 통해 상기 하부바닥면(11a)상에 부분적으로 덧대여져 리벳(41c)을 매개로 고정 결합되는 패치브라켓(41)과, 상기 와셔홈(41b)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와셔브라켓(42)과, 상기 패치브라켓(41)과 상기 와셔브라켓(42) 및 상기 하부바닥면(1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그 선단이 플로어패널에 체결되는 고정볼트(4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셔브라켓(42)이 상기 와셔홈(41b)내에서 상기 패치브라켓(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와셔홈(41b)의 길이방향 크기(L1)가 상기 와셔브라켓(42)의 측면 길이(L2)보다 더 큰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치브라켓(41)과 상기 와셔브라켓(42)에는 상기 고정볼트(43)가 관통하는 볼트구멍(41d,42a)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패치브라켓(41)에 형성된 볼트구멍(41d)은 상기 고정볼트(43)의 머리(43a)보다 큰 직경(D1)으로 형성되고, 상 기 와셔브라켓(42)에 형성된 볼트구멍(42a)은 상기 고정볼트(43)의 머리(43a)보다 작은 직경(D2)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름수단(50)은 도 4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레일(20)의 양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다수개의 베어링핀(51)과, 상기 베어링핀(51)에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레일홈(10a)의 상부바닥면(11b)과 상부면(13)사이에 개재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베어링(5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수단(60)은 도 4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름수단(50)으로부터 인접한 어퍼레일(20)의 양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롤러가이드(61)와, 상기 롤러가이드(61)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롤러핀(62)을 매개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바깥면이 상기 로워레일(10)의 측면(12)과 접촉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사이드롤러(6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수단(7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워레일(10)의 양끝단에 끼워져서 측면(12)을 관통하는 스토퍼볼트(71a) 및 너트(71b)에 의해 상기 로워레일(10)과 함께 결합되는 스토퍼브라켓(71)과, 상기 레일커버(81)의 양단을 일부 포함하면서 스토퍼브라켓(71)의 상단에 덧대여져 스크류(72a)를 매개로 스토퍼브라켓(71)과 결합되는 스토퍼캡(72)으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미설명 부호 71c는 와셔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시트레일(5)은 전술한 바와 같이 로워레일(10)에 대한 어퍼레일(20)의 자유로운 이동을 구속하는 로크기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로크기구(30)는 도 4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레일(20)의 측부에 가 이드핀(31a)을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31)과, 상기 가이드브라켓(31)에 힌지축(32a)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양단에 조작부(32b)와 포크부(32c)를 구비한 작동래치(32)와, 일단은 상기 어퍼레일(20)의 결합되는 어느 한 개의 가이드핀(31a)에 탄력적으로 걸려져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래치(32)의 조작부(32b)에 탄력적으로 걸려져 결합되어 상기 작동래치(32)의 동작에 탄성 복원력을 탄성부재(3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크기구(3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 상기 어퍼레일(20)에는 작동래치(32)가 삽입되는 래치구멍(21) 및 상기 래치구멍(21)의 하부에 포크구멍(22)이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로워레일(10)의 상부면(13)에도 어퍼레일(20)의 포크구멍(22)과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포크구멍(13a)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레일(5)은 레일홈(10a)으로 삽입되어 하부바닥면(11a)을 관통한 고정볼트(43)에 의해 로워레일(10)이 직접 플로어패널상에 장착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에 비해 별도의 브라켓(3) 사용을 배제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부품수의 감축과 원가의 절감을 이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레일(5)은 주변에 인접한 로워패널(10)과의 이격거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장점을 통해 협소한 플로어패널의 공간에서 다수개의 시트레일(5)을 장착하는 레저용 차량에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트레일(5)은 로워레일(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조물 이 없고, 아울러 로워레일(10)의 상부가 레일커버(81)에 의해 덮여지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외관미가 향상되는 잇점도 갖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볼트(43)를 이용하여 플로어패널상에 로워레일(10)을 장착할 때 와셔브라켓(42)이 패치브라켓(41)의 와셔홈(41b)내에서 일정한 움직임을 갖게 됨으로써, 협소한 공간상에서 조립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장점도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로워레일(10)의 하부바닥면(11a)상에 패치브라켓(41)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시트레일(5)의 강도를 전체적으로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어퍼레일(20)이 레일홈(10a)을 따라 이동할 때 사이드롤러(63)가 로워레일(10)의 측면(12)과 맞닿은 상태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로워레일(10)에 대한 어퍼레일(20)의 좌우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어퍼레일(20)은 로워레일(10)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트레일은, 로워레일이 외측으로 돌출된 별도의 구조물 없이 직접 플로어패널상에 장착됨으로써, 협소한 플로어패널상에 다수개의 시트레일을 장착함에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외관미의 향상과 부품수의 감축을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9)

  1. 내부에 레일홈(10a)을 갖추고서 플로어패널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로워레일(10)과, 상측은 시트쿠션프레임과 고정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레일홈(10a)에 끼워져서 레일홈(10a)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퍼레일(20)과, 상기 어퍼레일(20)에 고정 설치되어 로워레일(10)과의 선택적인 구속에 의해 어퍼레일(20)의 자유로운 이동을 방지하는 로크기구(30)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워레일(10)의 바닥면(11)을 플로어패널에 고정 결합시키는 로워레일결합수단(40)과;
    상기 어퍼레일(20)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홈(10a)으로 삽입되어 상기 어퍼레일(20)의 이동을 도와주는 구름수단(50)과;
    상기 어퍼레일(20)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홈(10a)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워레일(10)에 대한 어퍼레일(20)의 좌우 측방향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수단(60)과;
    상기 로워레일(10)의 양끝단에 결합되어 로워레일(10)로부터 상기 어퍼레일(20)의 이탈을 예방하는 스토퍼수단(7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레일(10)의 윗면에 덮여져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레일커버(81)와;
    상기 레일커버(81)의 고정 및 상기 로워레일(10)의 측방향 벌어짐을 구속하기 위해 로워레일(10)의 밑면과 양쪽의 측면을 외측에서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결합되는 다수개의 레일클립(83);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레일(10)은,
    상기 로워레일결합수단(40)이 설치되도록 로워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편평한 모양으로 형성된 중앙의 하부바닥면(11a)과;
    상기 하부바닥면(11a)의 양측에서 상측방으로 굴곡 연장되어 편평한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구름수단(50)과 접촉을 이루는 상부바닥면(11b)과;
    상기 상부바닥면(11b)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간격유지수단(60)과 접촉을 이루는 양쪽의 측면(12)과;
    상기 측면(12)의 상단에서 서로를 향해 기역(ㄱ)자 모양으로 굴곡 형성된 상부면(13)을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바닥면(11a)과 상부바닥면(11b)이 상기 로워레일(10)의 바닥면(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레일결합수단(40)은,
    수직 하방으로 절곡된 양측의 날개부(41a)를 구비하고 이 날개부(41a)에 디 귿(ㄷ)자 모양의 와셔홈(41b)이 서로 마주 대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날개부(41a)의 밑면을 통해 상기 하부바닥면(11a)상에 부분적으로 덧대여져 고정 결합되는 패치브라켓(41)과;
    상기 와셔홈(41b)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와셔브라켓(42)과;
    상기 패치브라켓(41)과 상기 와셔브라켓(42) 및 상기 하부바닥면(1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그 선단이 플로어패널에 체결되는 고정볼트(4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브라켓(42)이 상기 와셔홈(41b)내에서 상기 패치브라켓(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와셔홈(41b)의 길이방향 크기(L1)가 상기 와셔브라켓(42)의 측면 길이(L2)보다 더 큰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브라켓(41)과 상기 와셔브라켓(42)에는 상기 고정볼트(43)가 관통하는 볼트구멍(41d,42a)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패치브라켓(41)에 형성된 볼트구멍(41d)은 상기 고정볼트(43)의 머리(43a)보다 큰 직경(D1)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셔브라켓(42)에 형성된 볼트구멍(42a)은 상기 고정볼트(43)의 머리(43a)보다 작은 직경(D2)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수단(50)은,
    상기 어퍼레일(2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베어링핀(51)과;
    상기 베어링핀(51)에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레일홈(10a)의 상부바닥면(11b)과 상부면(13)사이에 개재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베어링(5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수단(60)은,
    상기 구름수단(50)으로부터 인접한 어퍼레일(20)의 양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롤러가이드(61)와;
    상기 롤러가이드(61)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롤러핀(62)을 매개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바깥면이 상기 로워레일(10)의 측면(12)과 접촉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사이드롤러(6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70)은,
    상기 로워레일(10)의 양끝단에 끼워져서 측면(13)을 관통하는 스토퍼볼트(71a) 및 너트(71b)에 의해 상기 로워레일(10)과 함께 결합되는 스토퍼브라켓(71)과;
    상기 레일커버(81)의 양단을 일부 포함하면서 스토퍼브라켓(71)의 상단에 덧대여져 스크류(72a)를 매개로 스토퍼브라켓(71)과 결합되는 스토퍼캡(7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KR1020050130922A 2005-12-27 2005-12-27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KR100767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922A KR100767590B1 (ko) 2005-12-27 2005-12-27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922A KR100767590B1 (ko) 2005-12-27 2005-12-27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861A true KR20070068861A (ko) 2007-07-02
KR100767590B1 KR100767590B1 (ko) 2007-10-17

Family

ID=3850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922A KR100767590B1 (ko) 2005-12-27 2005-12-27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5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4751A2 (en) * 2008-03-13 2009-09-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ore-aft position adjuster utilizing active material actuation
CN102923020A (zh) * 2012-11-23 2013-02-13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座椅滑轨机构
KR20190057899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레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768B1 (ko) 2020-07-31 2021-12-08 대원정밀공업(주) 케이블이 삽입설치된 차량시트용 롱슬라이드 레일 시스템
KR102336774B1 (ko) 2020-07-31 2021-12-08 대원정밀공업(주) 케이블 노출방지용 보호커버를 구비하는 차량시트용 롱슬라이드 레일 시스템
KR102339501B1 (ko) 2021-07-22 2021-12-15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롱슬라이드용 더스트 커버장치
KR20230144772A (ko) 2022-04-08 2023-10-17 대원정밀공업(주) 더스트 커버의 교체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롱슬라이드 레일 시스템
KR20230144773A (ko) 2022-04-08 2023-10-17 대원정밀공업(주) 롱슬라이드 레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0008B2 (ja) * 1995-03-20 2005-06-15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249931B2 (ja) * 2002-02-28 2009-04-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4751A2 (en) * 2008-03-13 2009-09-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ore-aft position adjuster utilizing active material actuation
WO2009114751A3 (en) * 2008-03-13 2009-11-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ore-aft position adjuster utilizing active material actuation
US8052112B2 (en) 2008-03-13 2011-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ore-aft position adjuster utilizing active material actuation
CN102923020A (zh) * 2012-11-23 2013-02-13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座椅滑轨机构
CN102923020B (zh) * 2012-11-23 2015-06-17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座椅滑轨机构
KR20190057899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590B1 (ko)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590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KR100442746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의 로킹시스템
KR100610431B1 (ko)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
US11420543B2 (en) Seat track mechanism for vehicle
KR101230850B1 (ko) 자동차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US7475861B2 (en) Seat rail for vehicles
US20200189422A1 (en) Seat track mechanism for vehicle
US20200198501A1 (en) Seat track mechanism for vehicle
CN109715438A (zh) 导轨及车辆座椅
JP4209779B2 (ja) 乗物用座席
WO2008093918A1 (en) Apparatus for locking seat track for vehicle
USRE38845E1 (en) Seat attachment structure for motor vehicles
KR100968492B1 (ko) 자동차용 시트트랙 레버
JP2001158300A (ja) シャトルコンソール機構
KR101327468B1 (ko) 자동차 시트 레일 보강구조
JP4892585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575399B1 (ko) 차량의 시트트랙용 록킹기구
JP7470327B2 (ja) シートレール及びシートのシートレールへの取付方法
JPH0646752Y2 (ja) 車両用シート
JP4581388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CN215154087U (zh) 一种汽车座椅滑轨
KR19980022805U (ko) 이동가능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KR200200460Y1 (ko) 자동차의 시트 트랙
KR102271507B1 (ko) 승합차량의 2열 독립시트용 시트 이송장치
JPS621022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