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436A - 재급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급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436A
KR20070068436A KR1020077009685A KR20077009685A KR20070068436A KR 20070068436 A KR20070068436 A KR 20070068436A KR 1020077009685 A KR1020077009685 A KR 1020077009685A KR 20077009685 A KR20077009685 A KR 20077009685A KR 20070068436 A KR20070068436 A KR 20070068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ueling
fuel
canister
cut valve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힐
사우린 메타
Original Assignee
이너지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리서치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너지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리서치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이너지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리서치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70068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54Details of the absorption canis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72Details of the fuel vapour pipes o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9Layout of the fuel vapour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9Fuel tanks with electronic systems, e.g. for controlling fuelling 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42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 B60K2015/03557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comprising elements of the venting device integrated in the fuel tank, e.g. vapor recover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61Venting means working at specific ti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61Venting means working at specific times
    • B60K2015/03576Venting during filling the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025/0863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with means dealing with condensed fuel or water, e.g. having a liquid tr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297With second divers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연소 엔진을 갖는 차량용 재급유 시스템이며,
- 연료 탱크 (1);
- 연료 탱크 (1) 내부에서 생성된 연료 증기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는 캐니스터 (2);
- 캐니스터 (2) 에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 (3);
- 연소 엔진의 점화가 되었는지 또는 꺼졌는지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점화 센서 (4); 및
- 점화 센서 (4) 가 연소 엔진의 점화가 꺼졌음을 검출하는 때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 (3) 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는 재급유 제어기 (5) 를 포함하는 재급유 시스템.
상기 재급유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을 재급유하는 방법.
재급유

Description

재급유 시스템 및 방법{REFUELL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 탱크의 재급유를 위한 재급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안전하고 정확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또한 재급유가 용이한 재급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 탱크에 담긴 연료는 주변 온도에서 증발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액체 연료 표면 위의 연료 탱크의 상부 공간 (headspace) 을 채우는 연료 증기/공기 혼합물을 형성한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연료의 대부분이 엔진에서의 연소로 인해 소비된 때에는, 탱크 내의 액체 연료 표면 위의 상부공간이 비교적 넓고,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연료 증기/공기 혼합물의 체적이 연료 탱크의 상부 공간에 채워지게 된다. 그러나, 재급유하는 동안, 연료 증기/공기 혼합물의 거의 전체 체적이 액체 연료에 의해 대체되고, 연료 탱크 내 압력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연료 증기/공기 혼합물은 어떻게 해서든지 연료 탱크로부터 빠져나와야 한다. 일반적으로, 연료 증기/공기 혼합물은 벤트 밸브를 통해 연료 시스템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점차 엄격해지는 환경 기준으로 인해, 재급유 동안 차량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연료 증기의 큰 감소를 요구하는 규제가 생겼다. 이러한 규제는 일반적으로 재 급유 동안 대기로 빠져나오는 연료 증기의 본질적인 제거를 요구한다. 그러므로, 통용되는 종래 자동차 재급유 시스템에서, 재급유 동안 연료 탱크에 출구를 내기 위해 부유식 (float style) 밸브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 밸브는 연료에 잠기면 떠올라서, 결국 출구를 낼 수 없도록 연료 탱크를 밀봉하여, 결과적으로 연료를 충전 파이프까지 올리고, 흡입기 (aspirator) 를 충전 노즐 내에 트립핑 (tripping) 한다. 이러한 유형의 벤팅 (venting) 밸브는 제어 밸브 (CV) 또는 연료 레벨 벤트 밸브 (Fuel Level Vent Valve, FLVV) 와 같은 다양한 명칭을 갖고 있다. 제어 밸브는 밸브에 사용되는 부유물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다수의 복합 재료로 인해 일반적으로 비싸다. 그리고, 그 밸브는 재급유 기능을 제어하도록 제조되기 때문에, 연료 탱크가 거의 가득 찰 때마다 연료에 잠기게 된다. 밸브의 크기로 인해, 이 밸브는 카본 캐니스터로의 증기 통로에 액체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응답성의 특정 결여를 가지며, 이로 인해 결국 캐니스터가 오염되게 된다. 과거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몇의 다른 방법이 조사되었다.
그러한 일 방법이 US 특허 제 6,516,835 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에는 레벨 (level) 센서와 같은 탱크에 장착된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탱크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기재되어 있다. 레벨 센서가 탱크가 가득 차있음을 나타내는 때, 상기 밸브가 차단되어, 탱크 내 압력의 급격한 상승을 야기하고, 따라서 재급유 공정을 차단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이점은, 상기 밸브는,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동압 (dynamic pressure) 생성을 처리하기 위한 벤트 밸브에 단지 작은 오리피스만을 남겨둔 채로, 항상 정상적으로 닫힌 위치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증기 회수 캐니스터에 유동할 수 있는 증기의 양이 제한되어, 캐니스터가 더 작아질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제어 밸브를 제거함으로써, 액체가 증기 회수 캐니스터로 유입되는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단점은 부가적인 센서와 재급유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밸브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들 항목은 시스템에 부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킨다.
US 특허 제 6,488,015 에는, 재급유 공정을 제어하기 위해 캐니스터 벤트 솔레노이드 또는 드레인 컷 밸브 (Drain Cut Valve) 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차량의 정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차량 속도 센서를 사용한다. 일단 정지한 경우, 탱크 내 연료 레벨이 소정의 높이 이상이라면, 드레인 컷 밸브가 닫힌다. 상기 밸브는, 유체를 충전 파이프로 밀어올려 결국 충전 노즐을 차단하는 탱크 내 압력이 생성될 수 있도록, 소정의 시간 동안 폐쇄된 채로 유지된다. 5 초 후에, 탱크 내 연료 레벨이 소정의 레벨보다 낮다면, 밸브는 다시 개방되어 더 많은 재급유가 가능해진다. 일단 연료 레벨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면, 컷 밸브가 폐쇄되고 재급유 공정을 중단시킨다. 이러한 시스템은 효과적이지만, 몇몇의 걱정거리가 존재한다. 먼저, 차량 속도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엔진의 작동 중에 재급유가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시스템은 등록 카드식 연료 레벨 게이지에 기초하고 있다. 이 게이지의 정확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일정한 충전 체적을 얻기 곤란할 수 있다.
상기한 점에서,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개선된 재급유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특히, 재급유 시스템은 구성이 단순하고 정확하며 안전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기술적 문제가 첨부된 청구항의 구성, 즉 연소 엔진을 갖는 차량용 재급유 시스템에 의해 해결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상기 재급유 시스템은,
- 연료 탱크;
- 연료 탱크 내부에서 생성된 연료 증기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는 캐니스터;
- 캐니스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
- 연소 엔진의 점화가 되었는지 또는 꺼졌는지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점화 센서; 및
- 점화 센서가 연소 엔진의 점화가 꺼졌음을 검출하는 때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를 개방하고 또한 재급유 공정이 끝나거나 재급유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상기 밸브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는 재급유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한 US 특허 제 6,488,015 의 시스템에 대하여 이 시스템이 갖는 주된 기능적 차이는, 차량 속도 센서에 기초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재급유시에 차량의 시동을 끄도록 요구함으로써, 전하 집중 (charge concentrations) 을 잠재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이동 부분의 부족으로 인해, 많은 위험이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연료 탱크는 연료에 대해 내화학성을 갖는 재료 (금속, 고분자 재료 등) 로 이루어진 중공체이다. 본 발명에서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진 연료 탱크를 사용하는 경우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고분자 재료는,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옥시메틸렌,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및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재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중공 요소는 EVOH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에틸렌 -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와 같은 배리어 재료로 이루어진 층을 또한 포함한다. 또는, HDPE 는 연료에 대한 투과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표면처리 (플루오르화, 술폰화 (sulphonation) 등에 의해) 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제어기에 연결된 점화 센서의 존재에 관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단지 드레인 컷 밸브를 개방하고 (따라서, 재급유를 위한 효과적인 출구 내기가 가능함), 재급유 공정이 끝났을 때 또는 재급유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드레인 컷 밸브를 다시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제어기는 엔진 제어 유닛 (ECU) 이거나, 또는 단지 연료 시스템에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개별 ECU 일 수 있다. 재급유가 끝나거나 또는 재급유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는, 레벨 센서와, 그 레벨 센서가 소정의 시간 동안 정지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타이머 (timer) 를 사용함으로써 판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증기 라인을 통해 연료 탱크의 연료 증기/공기 혼합물이 캐니스터로 들어가 차콜 (charcoal) 에 흡수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응축되도록 연료 탱크에 연결된 캐니스터를 포함한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증기 라인은 캐니스터의 상부에 있는 유입 포트에 연결된다. 또한, "퍼지(purge)" 포트로 알려진 캐니스터의 제 2 포트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차량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또는 휘발기까지 라인이 연장되어 있다. 엔진이 운전할 때, 미리 설정된 빈도로, 차콜에 저장된 응축 연료 및 증기가 방출되고 엔진에 흡입되어 연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는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를 통해 대기에 연결된 제 3 포트를 또한 포함한다. 재급유 공정의 끝에서 이 밸브가 닫히면, 증기가 대기로 빠져나갈 수 없도록 탱크는 유효하게 밀봉될 수 있고, 이로써 연료가 충전 (filler) 파이프에 다시 채워지고, 결국 재급유 공정이 종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 내부의 연료 증기 흡착제 재료는 임의의 흡착제일 수 있다. 적절한 지지체에서 순수한 과립의 펠릿화된 또는 지지된 차콜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허니콤 형태의 괴상 차콜일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캐니스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 재급유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벤팅 밸브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재급유 시스템은, 충전 도어 (filler door) 가 개방 또는 폐쇄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충전 도어 센서를 갖는 충전 도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그러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기는, 엔진이 멈추었을 때 먼저 벤팅 밸브를 개방하지만 충전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다시 벤팅 밸브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OBD (누출 검출 시험을 포함하는 On Board Diagnosis) 을 이용하는 연료 시스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엔진이 꺼졌을 때, CPU (엔진의 중앙 컴퓨터 프로그램 제어 유닛) 는 벤팅 밸브를 포함하여 모든 밸브를 폐쇄함으로써 누출 검출 시험을 시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재급유 시스템은, 엔진이 꺼졌을 때의 누출 시험이 재급유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항상 중단되기 때문에 (벤팅 밸즈가 개방되어 있음), 그러한 재급유 시스템과 양립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재급유 제어기는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점화 센서가 점화가 꺼졌는지 여부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며, 또한 충전 도어 센서가 충전 도어가 폐쇄되었는지를 연속적으로 검출한다 (재급유 없는 엔진 꺼짐의 대표적인 경우). 일단 드레인 컷 밸브가 폐쇄되고 엔진이 여전히 꺼져 있다면, CPU 는 정기적인 누출 검출 시험을 시작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시간 (t) 은 수 분, 일반적으로 1 ∼ 10 분, 바람직하게는 2 ∼ 8 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6 분이다.
한편, 캐니스터에 액체가 들어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 탱크가 (거의) 가득 찬 상태에 있는 경우, 벤팅 밸브를 폐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재급유 시스템은 연료 탱크 안의 연료 레벨을 검출하는 연료 레벨 검출 장치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장치는 비접촉식 레벨 센서를 사용하고, 이 센서는 종래의 등록 카드 레벨 센서보다 더 정확하다. 바람직한 비접촉식 레벨 센서는 칭량, 또는 유도 또는 홀 (Hall) 효과에 기초한 것이다. 후자에 의하면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재급유 제어기는, 연료 레벨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연료 레벨이 소정의 높이 (h) 에 도달하는 때,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이 높이는 일반적으로 탱크 내에서 허용되는 최대 연료 레벨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재급유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차에 재급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 점화 센서를 이용하여 연소 엔진의 점화가 되었는지 또는 꺼졌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 연소 엔진의 점화가 꺼져있을 때, 재급유 제어기를 통해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것처럼, 재급유 후 또는 재급유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제어기를 통해 상기 밸브를 다시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방법은, 연료 탱크의 충전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부가적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이 단계는 실제로 제어기에 의한 드레인 컷 밸브의 폐쇄의 조건이 되며, 상기한 충전 도어 센서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 실시형태에서, 재급유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또는 재급유가 일어났지만 끝난 경우에, 이 센서에 의해 재급유는 검출되지 않는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재급유를 하고/하거나 재급유 없이 엔진이 꺼진 경우 누출 검출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벤팅 밸브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정의 시간 (t) 동안 충전 도어가 폐쇄되어 유지되는 때 (엔진이 꺼진 후 또는 재급유가 끝나고 충전 도어를 폐쇄한 후),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를 폐쇄하는 부가적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거의) 가득 찬 탱크 레벨에서 캐니스터에 액체가 포함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부가적인 단계로,
- 충전 도어가 개방된 경우, 연료 탱크 내 연료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및
- 그 연료 레벨이 소정의 높이 (h) 에 도달하는 때,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h) 는 가득 찬 탱크 레벨에 대응하는 높이이다. 이러한 점에서, 시스템 및 제어기가 US 특허 6,488,015 에 기재된 것처럼, 즉 2 개의 소정의 높이를 이용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은 가치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이 각각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도 1 및 도 2 에 나타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재급유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2 는 기본적인 공정 흐름을 보여준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재급유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본 재급유 시스템은, 단부에 충전 도어 (9) 를 갖는 충전 파이프 (10) 가 장착된 연료 탱크 (1) 를 포함한다. 충전 도어 (9) 는, 충전 도어 (9) 가 개방 또는 폐쇄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충전 도어 센서 (8) 를 포함한다. 상기 재급유 시스템은 연료 탱크 (1) 에 1 이상의 롤오버 (rollover) 밸브 (11) 를 포함한다. 캐니스터 (2) 는 증기 도관 (12) 을 통해 연료 탱크 (1) 와 증기 소통하고 있으며, 또한 연료 탱크 (1) 의 내부에서 생성된 연료 증기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캐니스터 (2) 는 퍼지 솔레노이드 (13) 를 통해 엔진 흡기 매니폴드와 소통하고 있으며, 캐니스터 (2) 에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는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 (3) (캐니스터 벤트 솔레노이드라고도 불림) 를 통해 대기와 선택적으로 소통하고 있다.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 (3) 를 사용함으로써, 연료 탱크 (1) 는 연료 증기가 대기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효과적으로 밀봉될 수 있으므로, 충전 파이프 (10) 까지 연료를 다시 올려, 결국 재급유 공정이 끝나게 된다. 부유식 아암 (float arm, 14) 을 갖는 비접촉식 연료 레벨 검출 장치 (6) 가 연료 탱크 (1) 내 연료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연소 엔진의 점화가 되었는지 또는 꺼졌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점화 센서 (4), 및 그 점화 센서 (4) 가 연소 엔진의 점화가 꺼져 있음을 검출한 때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 (3) 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는 재급유 제어기 (5) 를 포함한다. 재급유 제어기 (5) 는, 연료 레벨 검출 장치 (6) 에 의해 검출된 연료 레벨이 소정의 높이 (최대 연료 레벨, 도시 안 됨) 에 도달한 때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 (3) 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재급유 제어기 (5) 는, 소정의 시간 동안, 점화 센서 (4) 가 점화가 꺼져 있음을 연속적으로 검출한 때, 그리고 충전 도어 센서 (8) 가 충전 도어 (9) 가 폐쇄되어 있음을 연속적으로 검출한 때,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 (3) 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도 2 는 기본적인 공정 흐름을 보여준다. 엔진이 꺼진 경우, 벤트 (드레인 컷 밸브) 를 개방하여 압력을 빼내고 소정의 시간 동안 연료 도어 열림을 확인함으로써 재급유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연료 도어가 할당된 시간 (예컨대, 도 2 에 나타낸 것처럼 5 분) 이내에 개방된 경우, 재급유 과정은 계속되고, 충전 도어가 폐쇄되거나 탱크가 소정의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컴퓨터가 레벨 센서 및 충전 도어와 소통하며, 탱크가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면 캐니스터 벤트 솔레노이드가 차단되고, 재급유 공정이 끝난다. 연료 도어가 할당된 시간 이내에 개방되지 않은 경우, 제어기는 벤트 밸브를 폐쇄하고 정상 엔진 오프 (off) 사이클 (누출 검출 시험) 을 행하기 시작한다.

Claims (10)

  1. 연소 엔진을 갖는 차량용 재급유 시스템으로서,
    - 연료 탱크 (1);
    - 연료 탱크 (1) 내부에서 생성된 연료 증기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는 캐니스터 (2);
    - 캐니스터 (2) 에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 (3);
    - 연소 엔진의 점화가 되었는지 또는 꺼졌는지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점화 센서 (4); 및
    - 점화 센서 (4) 가 연소 엔진의 점화가 꺼졌음을 검출하는 때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 (3) 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는 재급유 제어기 (5) 를 포함하는 재급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 (1) 는 충전 도어 (9) 가 개방 또는 폐쇄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충전 도어 센서 (8) 를 갖는 충전 도어 (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급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급유 제어기 (5) 는 소정의 시간 (t) 이 경과한 후에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 (3) 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 점화 센서 (4) 는 점화가 꺼져 있는지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 충전 도어 센서 (8) 는 충전 도어 (9) 가 폐쇄되어 있는지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급유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 탱크 (1) 내의 연료 레벨을 검출하는 연료 레벨 검출 장치 (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급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레벨 검출 장치 (6) 는 비접촉식 레벨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급유 시스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급유 제어기 (5) 는, 연료 레벨 검출 장치 (6) 에 의해 검출된 연료 레벨이 소정의 높이 (h) 에 도달한 때,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 (3) 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급유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급유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을 재급유하는 방법으로서,
    - 점화 센서 (4) 를 이용하여 연소 엔진의 점화가 되었는지 또는 꺼졌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 연소 엔진의 점화가 꺼져있을 때, 재급유 제어기 (5) 를 통해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 (3) 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급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연료 탱크 (1) 의 충전 도어 (9) 가 개방 또는 폐쇄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부가적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급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충전 도어 (9) 가 적어도 소정의 시간 (t) 동안 폐쇄된 채로 유지되는 때, 상기 재급유 제어기 (5) 는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 (3) 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급유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단계로,
    - 충전 도어 (9) 가 개방된 경우, 연료 탱크 (1) 내 연료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및
    - 그 연료 레벨이 소정의 높이 (h) 에 도달하는 때, 캐니스터 드레인 컷 밸브 (3) 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급유 방법.
KR1020077009685A 2004-10-28 2005-10-27 재급유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684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2262104P 2004-10-28 2004-10-28
US60/622,621 2004-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436A true KR20070068436A (ko) 2007-06-29

Family

ID=3561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685A KR20070068436A (ko) 2004-10-28 2005-10-27 재급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34347B2 (ko)
EP (1) EP1807279B1 (ko)
JP (1) JP2008518151A (ko)
KR (1) KR20070068436A (ko)
CN (1) CN101052543A (ko)
AT (1) ATE440001T1 (ko)
DE (1) DE602005016137D1 (ko)
WO (1) WO20060458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589A (ko) * 2015-01-23 2017-09-19 플라스틱 옴니엄 어드벤스드 이노베이션 앤드 리서치 증기 회수 시스템 및 증기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29726A1 (en) 2006-03-03 2007-09-05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A) Method for recovering vapor during an onboard refueling operation
EP1816338A1 (en) * 2006-02-07 2007-08-08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A) Leak detection method and associated fuel system
FR2912350B1 (fr) * 2007-02-12 2009-07-17 Iveco France Sa Reservoir d'uree pour vehicule de transport, ensemble comprenant un reservoir de gasoil et un tel reservoir d'uree, vehicule de transport et organe de distribution correspondants
US8000856B2 (en) * 2008-02-22 2011-08-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uel door sensor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WO2011125851A1 (ja) * 2010-03-31 2011-10-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システム
DE102010049644A1 (de) * 2010-10-28 2012-05-03 Kautex Textron Gmbh & Co. Kg Kraftstoffbehälter für Kfz
KR101262511B1 (ko) * 2010-12-06 2013-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 증발가스 퍼지시스템
US9228541B2 (en) * 2013-02-07 2016-0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rtially sealed fuel vapor purge system
US9341147B2 (en) * 2013-03-07 2016-05-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gine-off refueling detection method
US9518540B2 (en) 2013-04-30 2016-1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intake system hydrocarbon trap purging
US9376969B2 (en) 2013-04-30 2016-06-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intake system hydrocarbon trap purging
CN103291523B (zh) * 2013-05-02 2015-09-23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点火控制系统及控制发动机在加油时不能点火的方法
EP2962887A1 (en) 2014-07-02 2016-01-06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nonyme) Method for controlling a filling operation of a vehicular liquid storage system
US11698045B2 (en) 2014-09-24 2023-07-1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ctrically controlled fuel system module
KR102410358B1 (ko) * 2016-05-16 2022-06-16 이턴 인텔리전트 파워 리미티드 전자 증발 배출물 제어 시스템
WO2017214584A1 (en) 2016-06-09 2017-12-14 Eaton Corporation Electronic fuel tank system having cam actuated venting with canister line isolation
DE102017202151A1 (de) * 2017-02-10 2018-08-16 Kautex Textron Gmbh & Co. K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befüllvorganges eines betriebsflüssigkeitsbehälters und betriebsflüssigkeitsbehältersystems
CN107972480A (zh) * 2017-10-31 2018-05-01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油箱的加油控制方法、系统及装置
FR3074232B1 (fr) * 2017-11-27 2019-10-18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e detection d'un defaut d'ecoulement de gaz dans une ligne de ventilation d'un dispositif de purge
CN108035826A (zh) * 2017-11-30 2018-05-15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混合动力汽车碳氢排放控制系统
CN109209685A (zh) * 2018-08-24 2019-01-15 亚普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电控高压燃油系统
CN109630267B (zh) * 2018-11-16 2021-04-0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油发动机车辆加油状态检测方法
CN109553056B (zh) * 2018-12-28 2020-10-09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汽车高压油箱的加油控制方法
BR112021017075A2 (pt) * 2019-04-01 2021-11-23 Raval Acs Ltd Sistemas e métodos de ventilação
CN117538202B (zh) * 2024-01-10 2024-04-09 中汽研汽车检验中心(天津)有限公司 区分不同部分对加油排放贡献量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1287A (en) * 1982-08-16 1986-09-09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Fuel volume measur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JPS63138150A (ja) * 1986-11-29 1988-06-10 Isuzu Motors Ltd 蒸発燃料制御装置
US4862856A (en) * 1986-11-29 1989-09-05 Isuzu Motors Limited Control system of evaporated fuel
US4887578A (en) * 1987-09-25 1989-12-19 Colt Industries, Inc. On 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system
US5669361A (en) * 1996-02-15 1997-09-23 Borg-Warner Automotive, Inc. Vehicle refueling valve
US5931141A (en) 1997-10-06 1999-08-03 Tennex Corporation Vapor treatment system for volatile liquid
US6253802B1 (en) 1999-05-28 2001-07-03 Borgwarner Inc. Electromechanically controlled refueling valve
US6167920B1 (en) 1999-05-28 2001-01-02 Borgwarner Inc. Electromechanical refueling control system
DE19944330A1 (de) 1999-09-15 2001-03-22 Mannesmann Vdo Ag Füllstandssensor
JP3714189B2 (ja) * 2001-04-24 2005-1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給油システム
JP2003184660A (ja) * 2001-12-12 2003-07-03 Toyota Motor Corp 蒸発燃料排出抑制装置
JP3808797B2 (ja) * 2002-05-13 2006-08-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系のリークを判定する装置
JP3605097B2 (ja) * 2002-07-02 2004-12-22 矢崎総業株式会社 非接触式液面レベルセンサ
US7568494B2 (en) * 2005-03-29 2009-08-04 Stant Manufacturing Inc. Electronic fuel tank fill limit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589A (ko) * 2015-01-23 2017-09-19 플라스틱 옴니엄 어드벤스드 이노베이션 앤드 리서치 증기 회수 시스템 및 증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40001T1 (de) 2009-09-15
US7634347B2 (en) 2009-12-15
EP1807279A1 (en) 2007-07-18
JP2008518151A (ja) 2008-05-29
DE602005016137D1 (de) 2009-10-01
WO2006045839A1 (en) 2006-05-04
US20090150041A1 (en) 2009-06-11
EP1807279B1 (en) 2009-08-19
CN101052543A (zh)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8436A (ko) 재급유 시스템 및 방법
US7882824B2 (en) Method for recovering vapor during an onboard refueling operation
US6321727B1 (en) Leak detection for a vapor handling system
EP1984617B1 (en) Leak detection method and associated valve and fuel system
JP3714189B2 (ja) 給油システム
US200903140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cap off situation on the fuel tank of a vehicle
CN103963631B (zh) 利用发动机真空清洁无盖式燃料再加注系统
JP3147001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3277774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蒸散防止装置の故障診断装置及び燃料給油中検出装置
JP4021957B2 (ja) 容器における給油過程の検出方法
JP4325131B2 (ja) 燃料タンクのリッドオープナ制御装置
US20090211348A1 (en) Process and Device for Testing the Mobility of a Negative Pressure Relief Valve of the Fuel System of a Motor Vehicle
JP2002370553A (ja) 燃料タンクのリッド開放制御装置
JP3777863B2 (ja) 蒸発燃料制御装置
JP3518220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EP19469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cap off situation on the fuel tank of a vehicle
JPH09119351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BRPI0615242A2 (pt) processo para operar um conjunto de tanques, com um tanque, e conjunto de tanques
JPH04325760A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異常検出装置
JPH05126004A (ja) 燃料流出防止装置
JP2022160095A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2003065163A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2003184660A (ja) 蒸発燃料排出抑制装置
KR19990028507U (ko)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제어가 용이한 차콜캐니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