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7218A -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및 반사판 - Google Patents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및 반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7218A
KR20070067218A KR1020077011058A KR20077011058A KR20070067218A KR 20070067218 A KR20070067218 A KR 20070067218A KR 1020077011058 A KR1020077011058 A KR 1020077011058A KR 20077011058 A KR20077011058 A KR 20077011058A KR 20070067218 A KR20070067218 A KR 20070067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film
aliphatic polyester
film
polyester resi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5389B1 (ko
Inventor
미키 니시다
다카유키 와타나베
다카시 히루마
가즈나리 가쓰하라
쥰 다카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31449A external-priority patent/JP50548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31448A external-priority patent/JP4750405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7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3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08Mirrors having a single reflecting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광반사성이 우수하며 사용에 의해 경시적으로 광반사성이 저하되지 않는 반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반사 필름이며, 반사 필름의 황색도(YI 값)가 3.6 미만이다. 이러한 미분상 충전제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반사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미분상 충전제, 황색도(YI 값),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Description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및 반사판{Aliphatic polyester resin reflective film and reflector plate}
본 발명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및 이러한 반사 필름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반사판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액정 표시장치, 조명기구, 조명 간판 등의 반사판 등에 사용되는 반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표시장치용 반사판, 투영용 스크린이나 면상 광원 부재(planar light source), 조명기구용 반사판 및 조명 간판용 반사판 등의 분야에서 반사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의 반사판에서는 장치의 대화면화 및 표시 성능의 고도화의 요구로부터, 조금이라도 많은 빛을 액정에 공급하여 백 라이트 유닛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높은 반사 성능의 반사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노트북형 컴퓨터 등의 표시장치로서는 박형화를 할 수 있으며, 또한 화상이 보기 쉬운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소자를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백 라이트 유닛에는 투광성을 갖는 도광판의 한쪽 말단부에 형광관과 같은 선상 광원을 병설하는 에지 라이트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에지 라이트 방식에서는 도광판의 한쪽 면을 광확산 물질로 부분적으로 피복하며 이의 면의 전체면을 다시 반사재로 피복하여 면광원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반사재에는 높은 반사 성능이 요구된다.
반사 필름으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13815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산화티타늄을 첨가하여 형성된 백색 시트가 공지되어 있지만, 요구되는 바와 같은 높은 광반사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4-23954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충전제를 첨가하여 형성된 시트를 연신함으로써 시트내에 미세한 공극을 형성시켜 광산란 반사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지만, 요구되는 바와 같은 높은 광반사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을 형성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분자쇄 중에 함유되는 방향환이 자외선을 흡수하므로 액정 표시장치 등의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외선에 의하여 필름이 약화, 황화하여, 반사 필름의 광반사성이 저하된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174213호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무기 충전제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반사 필름이 개시되어 있지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플라스틱은 자연 환경하에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이므로 폐기할 때에 매립 처분에 부쳐지면 토양속에서 장기간 잔존하여, 매립 처리용지의 단명화를 촉진한다. 또한, 무기 충전제를 60질량% 이상 첨가한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필름은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으므로 연신할 때에 필름이 파단되기 쉬우며, 생산성 저하 로 이어지기 쉽다는 결점도 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광반사성을 가지며 사용에 의해 경시적으로 광반사성이 저하되지 않는 반사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반사 필름으로서, 당해 반사 필름의 황색도(YI 값)가 3.6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분상 충전제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산화티타늄은 바나듐 함유량이 5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티타늄의 표면은 실리카,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류 이상의 불활성 무기 산화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 중에서 10 내지 60질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굴절율은 1.52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락트산계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황색도(YI 값)는 2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은 필름 내부의 공극율이 50% 이하로 되도록 공극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용융 막 제조하여 이루어진 필름을 적어도 1축 방향으로 1.1배 이상 연신할 수 있다.
또한, 파장 550nm의 광에 대한 필름 표면 반사율이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수지 조성물이 추가로 지방족 카보디이미드 화합물로 이루어진 가수분해 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반사 필름은 이러한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수분해 방지제는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가수분해 방지제의 함유량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 3.0질량부 이하의 범위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은 파장 450nm의 광에 대한 필름 표면 반사율이 95%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판은 상기 어느 하나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반사판은 액정 표시장치, 조명기구 또는 조명 간판에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광반사성을 가지며 경시적으로 광반사성이 저하되지 않는 반사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금속판 또는 수지판에 피복함으로써 광반사성 등의 특성에 관하여 균형이 잡힌 우수한 액정 표시장치, 조명기구, 조명 간판 등에 사용되는 반사판을 수득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하기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시트란 JIS에서의 정의상, 얇으며 일반적으로 이의 두께가 길이와 폭에 비해 작고 평평한 제품을 말한다. 그런데, 필름이란 길이 및 폭에 비하여 두께가 극히 작으며 최대 두께가 임의로 한정되어 있는 얇고 평평한 제품으로, 통상적으로 롤의 형으로 공급됨을 말한다(일본 공업규격 JIS K6900). 따라 시트 중에서도 두께가 특히 얇은 것이 필름이다라고 할 수 있지만, 시트와 필름의 경계는 확정되지 않으며 명확하게는 구별하기 어려우므로 본원에서는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라도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며,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라도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다. 단, 이러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은 황색도(YI 값)가 3.6 미만이며, 3.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황색도가 3.6 미만이면, 이러한 반사 필름이 편입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은 이의 화면이 황색 맛을 띠지 않고 정밀 채색성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필름의 황색도(YI 값)가 3.6 미만이면 어떠한 방법에 따라서도 조정될 수 있지만, 필름의 황색도는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을 형성하는 염기성 수지의 종류, 필름에 함유되는 불순물, 금속 등의 종류나 양 등에 따라 변동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는 염기성 수지의 황색도(YI 값)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기성 수지를 사용하여 반사 필름을 형성하면, 반사 필름의 황색도를 3.6 미만으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황색도(Yl값)는 측정방법(계측방법)에 의존하므로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형식적으로 황색도(YI 값)를 낮출 수 있지만,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하면 일반적으로 반사율도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하지 않고, 동일한 두께의 필름이라도, 염기성 수지의 종류나 불순물 등을 제어하여 황색도(YI 값)를 낮춤으로써 정밀 채색성이 양호해지며 반사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염기성 수지는 굴절율(n)이 1.5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굴절율(n)이 1.52 미만인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내에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반사 필름은 염기성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에서 굴절 산란을 이용하여 광반사성을 발현한다. 이러한 굴절 산란효과는 염기성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굴절율의 차이가 커짐에 따라 커진다. 이러한 굴절율 차이는 0.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0.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 염기성 수지로서는 미분상 충전제와의 굴절율 차이가 커지도록 굴절율이 작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굴절율이 1.52 미만의 수지를 사용하면 굴절율 차이 0.15 이상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즉, 방향환을 함유하고 굴절율이 약 1.55 이상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보다 굴절율이 1.52 미만인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굴절율이 작은 락트산계 중합체(굴절율이 1.46 미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분자쇄 중에 방향환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자외선 흡수를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 자외선에 노출되거나 액정 표시장치 등의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외선에 의해서도, 반사 필름이 약화되거나, 황화하지 않으므로 필름의 반사율이 저하되지 않는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화학 합성된 것, 미생물에 의해 발효 합성된 것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 합성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락톤을 개환중합하여 수득되는 폴리ε-카프로락탐 등의 2염기산과 디올을 중합하여 수득되는 폴리에틸렌 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 아젤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석시네이트, 사이클로헥산디카복실산/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축합 중합체 등의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을 중합하여 수득되는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 등이나, 상기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에스테르 결합의 일부를, 예를 들면, 에스테르 결합의 50% 이하를 아미드 결합, 에테르 결합, 우레탄 결합 등으로 치환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미생물에 의해 발효 합성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와 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락트산계 중합체란 D-락트산 또는 L-락트산의 단독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구조 단위가 D-락트산인 폴리(D-락트산), 구조 단위가 L-락트산인 폴리(L-락트산), 또한 L-락트산과 D-락트산의 공중합체인 폴리(DL-락트산)이 있으며 또한 이들의 혼합체도 포함된다.
락트산계 중합체는 축합 중합법, 개환 중합법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합 중합법에서는 D-락트산, L-락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직접 탈수축합 중합하여 임의의 조성을 갖는 락트산계 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개환 중합법에서는 락트산의 환상 2량체인 락티드를 필요에 따라 중합조정제 등을 사용하면서, 소정의 촉매의 존재하에 개환중합함으로써 임의의 조성을 갖는 락트산계 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락티드에는 L-락트산의 2량체인 L-락티드, D-락트산의 2량체인 D-락티드, D-락트산과 L-락트산의 2량체인 DL-락티드가 있으며 이들을 필요에 따라 혼합하여 중합함으로써 임의의 조성, 결정성을 갖는 락트산계 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락트산계 중합체는 D-락트산과 L-락트산의 구성비가 D-락트산:L-락트산= 100:0 내지 85:15이거나 D-락트산:L-락트산= 0:100 내지 15:85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D-락트산:L-락트산= 99.5:0.5 내지 95:5 또는 D-락트산:L-락트산= 0.5:99.5 내지 5:95이다.
D-락트산과 L-락트산의 구성비가 100:0 또는 0:100인 락트산계 중합체는 비상하게 높은 결정성을 나타내며 융점이 높고, 내열성 및 기계 물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즉, 필름을 연신하거나 열처리하거나 할 때에 수지가 결정화하여 내열성 및 기계 물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D-락트산과 L-락트산으로 구성된 락트산계 중합체는 유연성이 부여되며, 필름의 성형 안정성 및 연신 안정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따라 수득되는 반사 필름의 내열성과, 성형 안정성 및 연신 안정성의 균형을 감안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락트산계 중합체는 D-락트산과 L-락트산의 구성비가 D-락트산:L-락트산 = 99.5:0.5 내지 95:5 또는 D-락트산:L-락트산 = 0.5:99.5 내지 5:9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락트산계 중합체는 L-락트산과 D-락트산을 혼합하여, LL-락티드, DL-락티드,
DD-락티드의 3종류의 2량체를 생성시킨다. 그래서, 260℃에서 옥틸산주석을 촉매로 하여 중합하면 LL-락티드와 DD-락티드는 중합체로 되지만, DL-락티드는 잔류 시료로서 잔류한다. 이러한 잔류된 DL-락티드는 다음 중합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폴리(L-락트산)을 목적물로 하는 경우에는 중합중의 조성 조정 등에 의한 지나친 열이력에 의해 D체가 변색된다. 따라 열이력이 많으면 D체의 변색 정도도 커지며 그 결과, 수득된 목적물의 중합체의 황색도는 커진다. 따라서 폴리(L-락트산) 주체의 락트산계 중합체의 황색도(YI 값)를 20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D체의 함유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D-락트산의 몰 비율을 2.2% 미만으로 하는 것으로, 황색도(YI 값) 20 이하를 달성할 수 있다. 폴리(D-락트산)의 경우의 L체의 함유량의 경우도 동일하며, L-락트산의 몰 비율을 2.2%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 락트산계의 황색도(YI)를 지배하는 인자로서, 잔류 촉매, 단량체 순도, 올리고머, 철, 아연 등의 금속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황색도(YI)가 높은 락트산계 중합체를 아세톤 등의 용매로 세정하면 황색도(YI)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이것은 잔류 촉매 등의 성분이 용출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D-락트산과 L-락트산의 공중합비가 상이한 락트산계 중합체를 배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락트산계 중합체의 D-락트산과 L-락트산의 공중합비를 평균한 값이 상기 범위내에 들어가도록 하면 양호하다. D-락트산과 L-락트산의 단독중합체와 공중합체를 배합함으로써 블리드의 생성 곤란성과 내열성의 발현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락트산계 중합체는 고분자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5만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만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만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락트산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30만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락트산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미만이면 수득된 필름은 기계적 성질이 떨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는 미분상 충전제가 함유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분상 충전제로서는 유기질 미분체, 무기질 미분체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질 미분체로서는 나무 분말, 펄프 분말 등의 셀룰로스계 분말이나, 중합체 비드, 중합체 중공 입자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질 미분체로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실리카, 운모, 활석, 고령토, 점토, 유리 분말, 석면 분말, 제올라이트, 규산백토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득되는 필름의 광반사성을 감안하면, 필름을 구성하는 염기성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즉, 굴절율이 큰 무기질 미분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굴절율이 1.6 이상인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타늄 또는 산화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굴절율이 2.5 이상인 산화티타늄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수득되는 필름의 장기 내구성을 감안하면 산이나 알칼리에 대하여 안정적인 황산바륨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티타늄은 굴절율이 높고, 염기성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산화티타늄 이외의 충전제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적은 배합량으로 필름에 높은 반사 성능과, 낮은 광투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산화티타늄을 사용하면, 필름의 두께가 얇아도 높은 반사 성능 및 낮은 광투과성을 갖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산화티타늄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나타제형 및 루타일형과 같은 결정 구조를 가지는 산화티타늄을 들 수 있다. 필름을 구성하는 염기성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를 크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굴절율 2.7 이상의 산화티타늄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루타일형 결정 구조를 가지는 산화티타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율 차이가 클수록 염기성 수지와 산화티타늄의 경계면에서 빛의 굴절 산란작용이 커지며 필름에 광반사성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필름에 높은 광반사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가시광선에 대한 광흡수능이 작은 산화티타늄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산화티타늄의 광흡수능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산화티타늄에 함유되어 있는 착색 원소의 양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바나듐 함유량이 5ppm 이하인 산화티타늄을 사용하면, 광반사성이 높은 반사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광흡수능을 작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산화티타늄에 함유되는 철, 니오븀, 구리, 망간 등의 착색 원소도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염소법 공정으로 제조되는 산화티타늄은 순도가 높으며,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바나듐 함유량이 5ppm 이하인 산화티타늄을 수득할 수 있다. 염소법 공정에서는 산화티타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루타일광을 1,000℃ 정도의 고온로에서 염소가스와 반응시켜 우선, 사염화티타늄을 생성시킨다. 이어서, 이러한 사염화티타늄을 산소로 연소시킴으로써 고순도 산화티타늄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산화티타늄의 공업적인 제조방법으로서는 황산법 공정도 있지만, 본 방법에 따라 수득되는 산화티타늄에는 바나듐, 철, 구리, 망간, 니오븀 등의 착색 원소가 많이 함유되므로 가시광선에 대한 광흡수능이 커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산화티타늄은 이의 표면이 불활성 무기 산화물로 피복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티타늄의 표면을 불활성 무기 산화물로 피복처리함으로써 산화티타늄의 광촉매 활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필름의 내광성을 높일 수 있다. 불활성 무기 산화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불활성 무기 산화물을 사용하면, 산화티타늄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휘되는 높은 광반사성을 손상하지 않고 필름의 내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2종류 이상의 불활성 무기 산화물을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도 실리카를 필수로 하는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티타늄의 수지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화티타늄의 표면을 실록산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류 이상의 무기 화합물이나, 폴리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민계 화합물,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류 이상의 유기 화합물로 표면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산화티타늄은 입자 직경이 O.1μm 이상 1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2μm 이상 0.5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화티타늄의 입자 직경이 O.1μm 이상이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양호하고, 균질한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산화티타늄의 입자 직경이 1μm 이하이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산화티타늄의 계면이 치밀하게 형성되므로 반사 필름에 높은 광반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산화티타늄 이외의 미분상 충전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미분상 충전제에 관해서도, 수지에 대한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콘계 화합물, 다가 알콜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표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의 표면이 불활성 무기 산화물로 피복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분상 충전제는 평균 입자 직경이 0.05μm 이상 15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 직경이 O.1μm 이상 10μm 이하이다.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자 직경이 0.05μm 이상이면, 필름의 조표면화에 따라 광산란 반사가 생기므로 수득되는 필름의 반사 지향성이 작아진다. 또한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자 직경이 15μm 이하이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이 치밀하게 형성되므로 반사 필름에 높은 광반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미분상 충전제로서, 무기질 미분체와 유기질 미분체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분상 충전제끼리 병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산화티타늄과 다른 미분상 충전제, 바나듐 함유량이 5ppm 이하인 산화티타늄과 다른 미분상 충전제를 병용할 수 있다.
산화티타늄 등의 미분상 충전제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분산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은 필름의 광반사성의 발현, 기계적 성질, 생산성 등을 고려하면 반사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 중에서 10 내지 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5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내지 5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수지 조성물 중에서 10질량% 이상이면,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경계면의 면적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반사 필름에 높은 광반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60질량% 이하이면, 필름에 필요한 기계적 성질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은 반사율의 점을 고려하면 필름 내부에 공극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공극율(공극이 필름중에 차지하는 비율)은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50%의 범위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반사율 향상의 점에서는 공극율은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공극율이 50%를 초과하면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필름 제조중에 필름이 파단되거나, 사용할 때에 내열성 등의 내구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미분상 충전제 등을 첨가하여 연신함으로써 필름 내부에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산화티타늄을 사용하면 필름 내부에 존재하는 공극율이 낮아도 높은 광반사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산화티타늄의 굴절율이 높으며, 은폐력이 높은 것에 기인한다고 추정된다. 또한, 충전제의 사용량을 적게 할 수 있으면, 연신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의 수도 적어진다. 따라 산화티타늄을 사용하면, 필름 내부에 존재하는 공극의 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높은 반사 성능을 유지하면서 필름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충전제의 사용량이 많은 경우에도, 연신량을 작게 하여 공극의 수를 적게 하면, 충전제의 사용량을 적게 한 경우와 동일하게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름 내부에 존재하는 공극의 수를 적게 하는 것은 필름의 치수 안정성의 향상의 점에서도 유리하다. 박육에서도 높은 반사 성능이 확보되면, 예를 들면,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 등의 소형, 박형의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반사 필름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산화티타늄 이외의 미분상 충전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극율이 20% 이상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산화티타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극율이 15% 이하에서도 충분하게 높은 광반사율을 달성할 수 있다. 바나듐 함유량이 5ppm 이하인 산화티타늄을 사용하면, 필름 내부에 존재하는 공극율이 낮아도 높은 광반사성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필름 내부에 공극이 존재하지 않아도 높은 광반사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나듐 함유량이 5ppm 이하인 산화티타늄이 사용되며, 또한 공극이 존재하는 반사 필름은 특히 높은 반사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은 파장이 420 내지 700nm의 광 파장역에서 표면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9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이면, 반사 필름은 양호한 반사 특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반사 필름을 편입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은 이의 화면이 충분한 밝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은 파장이 550nm의 광에 대한 표면 반사율이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97%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사율이 95% 이상이면, 반사 필름은 양호한 반사 특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반사 필름을 편입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은 이의 화면이 황색 맛을 띠지 않고 정밀 채색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은 파장이 450nm의 광에 대한 표면 반사율이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98%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사율이 95% 이상이면, 반사 필름은 양호한 반사 특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반사 필름을 편입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은 충분한 밝기의 화면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에 노출된 후 또는 70℃ 이상의 분위기하에 방치된 후에도, 파장이 450nm의 광에 대한 표면 반사율이 9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97%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름이 황색 맛을 띠고 있으면 450nm의 빛을 흡수하므로 파장 450nm의 광에 대한 반사율의 저하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가수분해 방지제로서 지방족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을 사용하면 자외선에 노출된 후 또는 70℃ 이상의 분위기 하에 방치된 후에도 필름이 약화되지 않고 황색도의 변화의 정도가 작으므로 파장 450nm의 반사율의 저하가 작아진다.
반사 필름은 자외선에 노출된 후에도 우수한 반사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은 염기성 수지로서 분자쇄 중에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하므로 자외선에 의해 반사 필름이 약화되지 않으며 우수한 반사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는 퍼스널 컴퓨터용 디스플레이 이외에 자동차용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이나 차 적재용 소형 텔레비젼 등에도 사용되게 되었으며, 고온도, 고습도에 견디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있다. 따라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에는 내구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가수분해 방지제를 다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가수분해 방지제로서는 카보디이미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카보디이미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카보디이미드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하기 화학식의 기본 구조를 갖는 것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N=C=N-R-)n-
상기식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R은 유기계 결합 단위이다. 예를 들면, R은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n은 통상적으로 1 내지 50에서 적당한 정수가 선택된다. n이 2 이상인 경우, 2 이상의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비스(디프로필페닐)카보디이미드, 폴리(4,4'-디페닐메탄카보디이미드), 폴리(p-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m-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톨릴카보디이미드), 폴리(디이소프로필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메틸-디이소프로필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트리이소프로필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헥사메틸렌카보디이미드) 등 및 이들의 단량체를 카보디이미드 화합물로서 들 수 있다. 이들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지방족 카보디이미드 화합물로서, 닛신보세키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카보디라이트 HMV-8CA」 등을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은 중합반응을 냉각 등에 의해 도중에 정지시켜 적당한 중합도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말단은 이소시아네이트로 된다. 중합도를 제어함으로써 염기성 수지 등에 대한 상용성을 향상시키거나, 보존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은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이하, 「카보디이미드 변성 이소시아네이트」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일 수 있다. 이러한 카보디이미드 변성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닛신보세키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카보디라이트 LA-1」 등을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필름을 구성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10O질량부에 대하여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을 0.1 내지 3.0질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첨가량이 O.1질량부 이상이면, 수득되는 필름에 내가수분해성의 개량 효과가 충분하게 발현된다. 또한,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첨가량이 3.0질량부 이하이면, 수득되는 필름의 착색 정도가 적으며 높은 광반사성이 얻어지며 또한, 경시적인 황색 변화가 생기는 경우가 적으며 높은 광반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여름철의 염천하에 주차중의 차내에서는 자동차용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차 적재용 소형 텔레비젼 등은 고온에 노출되는 것으로 되며, 액정 표시장치가 장시간 동안 사용되면 광원 램프 주변은 고온에 노출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액정 표시장치 등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반사 필름에는 110℃ 정도의 내열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반사 필름이 120℃의 온도 조건하에 5분 동안 방치될 때에 필름의 열수축률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름의 열수축률이 10%보다 크면, 고온에서 사용할 때에 경시적으로 필름에 수축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반사 필름이 강판 등에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필름만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큰 수축이 생긴 필름은 반사를 재촉하는 표면이 작아지거나, 필름 내부의 공극이 작아지므로 반사율이 저하된다.
열수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결정화를 완전하게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축 연신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의 결정화를 완전하게 진행시키는 것은 곤란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필름을 연신한 다음, 열고정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결정화를 촉진시킴으로써 필름에 내열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내가수분해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대형화의 요구에 응하기 위해 반사 시트에도 대형화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대화면의 액정 텔레비젼 등의 반사 시트로서 편입되는 경우에는 광원에 노출된 상태로 장시간 동안 사용하는 것으로 되므로 장시간 동안 사용해도 치수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반사 필름이 요구된다. 또한, 중형 또는 소형의 에지 라이트 타입의 디스플레이에 편입되는 경우에도 말단부의 규제가 있는 경우에는 치수 변화가 작은 반사 필름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80℃에서 180분 동안 유지된 후의 열수축률이 세로 방향으로 0%보다 크고, 0.7% 미만이며, 가로 방향으로 -0.1% 이상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 방향의 수축률은 0.001% 내지 0.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세로 방향이란 필름의 유동 방향(필름의 인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말하며 가로 방향이란 필름의 유동 방향과 직각인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의 열수축률이 상기 범위내이면, 대형의 액정 텔레비젼 등의 안에 사용되어도, 경시적으로 변형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으며 필름의 평면성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 필름의 제조에서 필름을 연신한 다음, 계속해서 텐터 출구에서 이완처리를 실시하며, 소정량의 이완을 부여함으로써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에 80℃에서 180분 동안 유지한 후의 열수축률이 상기 범위내로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열안정제, 활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백색 안료, 형광 증백제 및 기타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은 매립 처분된 경우에는 미생물 등에 의한 분해를 할 수 있으며 폐기에 따르는 각종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토양속에서, 에스테르 결합부가 가수분해되어 분자량이 1,000 정도로 저하되며 계속해서 토양중의 미생물 등에 의해 생분해된다.
한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분자내의 결합 안정성이 높고, 에스테르 결합부의 가수분해가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토양중에 매몰되어도 분자량의 저하는 일어나지 않으며 미생물 등에 의한 생분해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 결과, 장기간에 걸쳐 토양중에 잔존하여, 폐기물 매립 처리용지의 단명화를 촉진하거나 자연의 경관이나 야생 동식물의 생활환경을 손상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하기에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해 한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하기 제조법으로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우선,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미분상 충전제를 배합한 다음, 가수분해 방지제, 기타 첨가제 등을 필요에 따라 배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미분상 충전제를 가한 다음, 가수분해 방지제 등을 필요에 따라 가하여, 리본 배합기, 텀블러, 헨셀 믹서 등으로 혼합한 다음, 밴버리 믹서, 1축 또는 2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예: 폴리락트산의 경우에는 170 내지 230℃)로 혼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미분상 충전제, 가수분해 방지제 등을 각각의 공급기 등에 의해 소정량 첨가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는 미리, 미분상 충전제, 가수분해 방지제 등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고농도로 배합한 소위 마스터 배취를 만들고 이러한 마스터 배취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혼합하여 원하는 농도의 수지 조성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수득된 수지 조성물을 용융하여, 필름상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수지 조성물을 건조한 후, 압출기에 공급하며,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한다. 또는 수지 조성물을 건조시키지 않고 압출기에 공급할 수 있지만, 건조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용융압출할 때에 진공 벤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온도 등의 조건은 분해에 의해 분자량이 저하되는 것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지만, 예를 들면, 압출 온도는 폴리락트산의 경우이면 170 내지 23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다음에 용융된 수지 조성물을 T 다이의 슬릿상의 토출구로부터 압출하며, 냉각롤에 밀착 고화시켜 캐스트 시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 등을 배합하여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용융 막 제조한 후, 적어도 1축 방향으로 1.1배 이상 연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함으로써 필름 내부에 미분상 충전제를 핵으로 하는 공극이 형성되므로 필름의 광반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수지와 공극의 계면 및 공극과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이 새롭게 형성되어, 계면에서 생기는 굴절 산란의 효과가 증대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면적 배율로서 5배 이상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7배 이상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면적 배율이 5배 이상으로 되도록 캐스트 시트를 연신하면, 필름 내부에 5% 이상의 공극율을 실현할 수 있으며 7배 이상으로 연신함으로써 20% 이상의 공극율을 실현할 수 있으며 7.5배 이상으로 연신함으로써 30% 이상의 공극율도 실현할 수 있다.
캐스트 시트를 연신할 때의 연신온도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정도에서 (Tg+50℃)의 범위내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폴리락트산의 경우에는 5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온도가 이 범위이면, 연신할 때에 필름이 파단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연신 배향이 높아지며, 그 결과, 공극율이 커지므로 높은 반사율을 갖는 필름이 수득되기 쉽다.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은 예를 들면, 연신 배율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연신함으로써 필름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지만, 이것은 연신할 때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산화티타늄 등의 미분상 충전제와의 연신 거동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요컨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적합한 연신온도로 연신을 실시하면, 매트릭스로 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연신되지만, 미분상 충전제는 그대로의 상태에 머물고자 하므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이 박리하여, 공극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또한, 2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축 연신함으로써 공극율은 보다 높아지며, 필름의 광반사성을 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필름을 1축 연신한 것만에서는 형성되는 공극은 1방향으로 신장한 섬유상 형태로밖에 안되지만, 2축 연신함으로써 이의 공극은 종횡 양방향으로 신장된 원반상 형태가 된다. 즉, 2축 연신함으로써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의 박리 면적이 증대해 필름의 백화가 진행되며, 그 결과 필름의 광반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2축 연신하면 필름의 수축 방향으로 이방성이 없어지므로 반사 필름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2축 연신의 연신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동시 2축 연신 또는 축차 연신이라도 상관없다. 연신설비를 사용하여, 용융 막 제조한 후, 롤 연신에 의해 MD(필름의 인수 방향)로 연신한 다음, 텐터 연신에 의해 TD(MD로 직각인 방향)로 연신할 수 있으며 튜블러 연신 등에 의해 2축 연신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에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연신 후에 열고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을 열고정하기 위한 처리온도는 90 내지 160℃인 것이 바람직하며 110 내지 1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고정에 요하는 처리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초 내지 5분이다. 또한, 연신설비 등에 관해서는 특별한 한정은 없지만, 연신 후에 열고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텐터 연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는 30 내지 500μm이며, 실용면에서 취급성을 고려하면 50 내지 500μm 정도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소형, 박형의 반사판 용도의 반사 필름으로서는 두께가 30 내지 10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의 반사 필름을 사용하면, 예를 들면,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 등의 소형, 박형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단층 구성일 수 있지만, 2층 이상 적층한 다층 구성으로 해도 양호하다.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을 사용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반사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을 금속판 또는 수지판에 피복하여 반사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판은 액정 표시장치, 조명기구, 조명 간판 등에 사용되는 반사판으로서 유용하다. 하기에 이러한 반사판의 제조방법에 관해서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반사 필름을 금속판 또는 수지판에 피복하는 방법으로서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융착하는 방법, 접착성 시트를 개재시켜 접착하는 방법, 압출 코팅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금속판 또는 수지판의 반사 필름을 붙인 측의 면에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에폭시계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반사 필름을 붙일 수 있다. 본 방법에서는 리버스 롤 피복기, 키스 롤 피복기 등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팅설비를 사용하여, 반사 필름을 붙인 금속판 등의 표면에 건조후의 접착제 막 두께가 2 내지 4μm 정도로 되도록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어서, 적외선 히터 및 열풍 가열로에 의해 도포면의 건조 및 가열을 실시하여, 판의 표면을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즉시 롤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반사 필름을 피복, 냉각함으로써 반사판을 수득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속판 등의 표면을 210℃ 이하로 유지하면 반사판의 광반사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판 등의 표면온도는 1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에는 절곡 가공 등을 실시한 반사 필름을 액정 표시장치 내에 편입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절곡할 때의 형상을 보류할 수 있는 성질을 나타내는 형상유지성이 양호한 것이 반사 필름에 요구된다. 종래의 반사 필름에서는 형상유지성이 결핍된다는 결점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형상유지성이 우수한 반사 필름을 실현할 수 있다.
하기에 실시예를 기재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각종 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치 및 평가는 하기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한다. 여기서, 필름의 인수(유동) 방향을 MD, 이의 직교 방향을 TD로 표시한다.
(측정 및 평가방법)
(1) 굴절율
수지의 굴절율은 JIS K-7142의 A법에 기초하여 측정한다.
(2) 산화티타늄 중의 바나듐 함유량(ppm)
산화티타늄을 마이크로웨이브 시료 분해장치 내에서 플루오르화수소산에 의해 분해하여, 수득된 용액에 관해 ICP 발광 분광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정량 분석을 실시한다.
(3) 평균 입자 직경
(주)시마쓰세이사쿠쇼제의 형식 「SS-100」의 분체 비표면 측정기(투과법)를 사용하며, 단면적 2cm2, 높이 1cm의 시료통에 시료 3g을 충전하여, 500mm 물기둥으로 20cc의 공기 투과의 시간에서 산출한다.
(4) 공극율(%)
연신 전의 필름의 밀도(「미연신 필름 밀도」라고 표기한다)와 연신 후의 필름의 밀도(「연신 필름 밀도」라고 표기한다)를 측정하며 하기 일반식에 대입하여 필름의 공극율을 구한다.
공극율(%)={(미연신 필름 밀도-연신 필름 밀도)/미연신 필름 밀도}×100
(5) 황색도(YI 값)
황색도는 JIS K-7103에 기초하여 측정한다. 또한, 측정은 분광 측색계(「 SC-T」, 스가시켄키(주)제)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또한, 황색도는 반사 필름에 관해서 뿐만 아니라 염기성 수지의 황색도도 측정한다.
(6) 반사율(%)
(i)분광 광도계(「U-4000」, (주)히타치세이사쿠쇼제)에 적분구를 설치하여, 파장 550nm의 광에 대한 반사율을 측정한다. 또한, 측정 전에 알루미나 백색판의 반사율이 10O%가 되도록 광도계를 설정한다.
(ii)분광 광도계(「U-4000」, (주)히타치세이사쿠쇼제)에 적분구를 설치하여, 파장 450nm의 광에 대한 반사율을 측정한다. 또한, 측정 전에 알루미나 백색판의 반사율이 10O%로 되도록 광도계를 설정한다.
또한, 선샤인 웨더 미터 시험기(물의 간헐 분무없음) 내에서 필름에 자외선을 1,000시간 동안 조사한 후의 반사 필름(자외선 조사후의 반사 필름)에 관해서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율을 측정한다. 자외선 조사후의 반사율의 저하분(△R)을 하기 일반식에 기초하여 구한다.
△R= 자외선 조사전의 반사율-자외선 조사후의 반사율
(7) 평균 반사율(%)
평균 반사율(파장 420 내지 700nm):
분광 광도계(「U-4000」, (주)히타치세이사쿠쇼제)에 적분구를 설치하여, 파장 420 내지 700nm에 걸쳐 20nm 간격으로 측정한다. 수득된 측정치의 평균치를 계산하여, 이러한 값을 파장 420 내지 700nm의 평균 반사율로 한다. 또한, 측정 전에 알루미나 백색판의 반사율이 100%로 되도록 광도계를 설정한다.
(8) 내가수분해성
온도 60℃, 상대습도 95% RH로 유지한 항온항습조 내에서, 필름을 300시간 또는 10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필름을 구성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다. 측정치를 하기 일반식에 대입하여, 분자량 유지율(%)을 구하여, 하기 평가기준에 기초하여 내가수분해성의 평가를 실시한다. 단, 기호 「O」 및 「△」는 실용 레벨 이상이다.
분자량 유지율(%) = (방치후 중량 평균 분자량/방치전 중량 평균 분자량) ×100
평가기준:
O 분자량 유지율이 90% 이상의 경우
△ 분자량 유지율이 60 내지 90%의 경우
× 분자량 유지율이 60% 미만의 경우
(9)황변 방지성
선샤인 웨더 미터 시험기(물의 간헐 분무없음) 내에서, 필름에 자외선을 1,000시간 동안 조사한다. 다음에 필름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시각 판단에 의해 필름 표면의 색상이 백색인 것을 「백」, 황색 맛이 있는 것을 「황」이라고 표시한다.
또한, 상기(6)의 (i)의 측정방법에 따라 자외선 조사후의 필름의 반사율(%)도 측정한다.
(10)형상유지성
하기에 기재된 데드 폴드성 시험에 의해 형상유지성을 평가한다.
필름의 긴 쪽 방향을 폭 방향, 이의 직교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서, 폭 20mm, 길이 150mm의 샘플 필름을 절단 인출한다. 이러한 샘플 필름의 한쪽의 단변측을 유지하여, 유지하지 않고 있는 또 한쪽의 단변(다른쪽 말단)측을 다른쪽 말단에서 30mm의 위치에서, 이 위치의 직선이 바깥쪽의 금(또는 안쪽의 금)으로 되도록 180도 절곡하여, 0.15MPa의 하중을 건다. 0.15MPa의 하중을 0.5초 동안 건 다음, 즉석에서 하중을 제거하여, 접은 부분을 열어 다른쪽 말단을 손으로 원래의 위치까지 복귀시킨 다음, 손을 떼어, 보류된 절곡 각도를 측정한다. 즉, 손을 뗄 때에 다른쪽 말단이 원래의 위치로부터 이탈된 각도를 분도기로 측정한다. 이 수치는 최대로 180도, 최소로 0도이며, 이 수치가 클수록 데드 폴드성이 우수하고, 즉 형상유지성이 우수하다.
(11)반사판 가공성
직각 굴곡(R= 0mm), 스크류 밀착 굴곡, 우물 정자형 에릭센(5mm)의 3항목의 각각에 관해 하기 평가기준에 근거하여 평가를 실시한다.
평가기준:
O 필름 박리가 없다
× 필름 박리가 있다.
(12)반사판 반사율
상기(6)의 (i)의 측정방법에 따라 반사판의 반사율(%)을 측정한다.
(13)내열성 시험
필름을 온도 80℃의 열풍 순환 오븐 속에 투입하여, 500시간 동안 유지한 후, 상기(6)의 (ii)의 방법에 따라서 반사율(%)을 구한다. 반사율의 측정치를 하기 일반식에 대입하여, 반사율 유지율(%)을 구하며 하기 평가기준에 기초하여 내열성의 평가를 한다.
반사율 유지율(%)= (방치후 반사율/방치전 반사율)×100
평가기준:
O 반사율 유지율이 99% 이상인 경우
× 반사율 유지율이 99% 미만인 경우
실시예-I
[실시예 1]
(수지 조성물의 제조)
중량 평균 분자량 20만의 락트산계 중합체(NW4032D: 카길다우폴리머사제, D체 함유량 1.5%)의 펠렛과 평균 입자 직경이 0.25μm의 산화티타늄(타이펙 PF-711; 이시하라산교(주)제)를 50질량%/50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혼합물 100질량부에 대해 가수분해 방지제(비스(디프로필페닐)카보디이미드)를 3질량부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화하여 소위 마스터 배취를 제조한다. 이러한 마스터 배취와 락트산계 중합체를 40질량%/60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다음에 수지 조성물을 220℃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한다.
(필름의 제작)
압출기로부터, 용융상태의 수지 조성물을 T 다이를 사용하여 시트상에 압출하며, 냉각 고화하여 필름을 형성한다. 수득된 필름을 온도 65℃에서, MD로 2.5배, TD로 2.8배의 2축으로 연신한 다음, 140℃에서 열처리하여, 두께 250μm의 반사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반사 필름에 관해 황색도(YI), 공극율, 자외선 조사전의 반사율(i), 색상과 자외선 조사후의 반사율, 내가수분해성, 형상유지성의 측정 및 평가를 한다. 그 결과는 표 2에 기재한다. 또한, 염기성 수지의 황색도(YI 값) 및 반사 필름의 황색도(YI 값)는 표 1에 기재된 값이다.
[실시예 2]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평균 입자 직경이 0.25μm의 산화티타늄(타이펙 PF-711; 이시하라산교(주)제) 대신에 평균 입자 직경이 0.24μm의 산화티타늄(타이펙 R-630; 이시하라산교(주)제)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0μm의 반사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반사 필름에 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한다. 그 결과는 표 2에 기재한다. 또한, 염기성 수지의 황색도(YI 값) 및 반사 필름의 황색도(YI 값)는 표 1에 기재된 값이다.
[실시예 3]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평균 입자 직경이 0.25μm의 산화티타늄(타이펙 PF-711; 이시하라산교(주)제) 대신에 평균 입자 직경이 0.7μm의 황산바륨(B-55; 사카이가가쿠고교(주)제)를 사용하며, 마스터 배취와 락트산계 중합체의 배합량을 60질량%:40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작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0μm의 반사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반사 필름에 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한다. 그 결과는 표 2에 기재한다. 또한, 염기성 수지의 황색도(YI 값) 및 반사 필름의 황색도(YI 값)는 표 1에 기재된 값이다.
[실시예 4]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평균 입자 직경이 0.25μm의 산화티타늄(타이펙 PF-711; 이시하라산교(주)제) 대신에 평균 입자 직경이 0.15μm의 탄산칼슘(StaVigot-15A; 하쿠세키칼슘(주)제)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0μm의 반사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반사 필름에 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한다. 그 결과는 표 2에 기재한다. 또한, 염기성 수지의 황색도(YI 값) 및 반사 필름의 황색도(YI 값)는 표 1에 기재된 값이다.
[실시예 5]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트 두께를 250μm에서 188μm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88μm의 반사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반사 필름에 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한다. 그 결과는 표 2에 기재한다. 또한, 염기성 수지의 황색도(YI 값) 및 반사 필름의 황색도(Y I값)는 표 1에 기재된 값이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MD로 2.5배, TD로 2.8배 연신하는 대신에 MD로 3배, TD로 3.2배의 2축 연신을 실시하고, 시트 두께를 100μm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 일하게 하여, 두께 100μm의 반사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반사 필름에 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한다. 그 결과는 표 2에 기재한다. 또한, 염기성 수지의 황색도(YI 값) 및 반사 필름의 황색도(YI 값)는 표 1에 기재된 값이다.
[실시예 7]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만의 폴리락트산계 중합체(NW4032D)의 펠렛 대신에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만의 락트산계 중합체(NW5040D; 카길다우폴리머사제, D체 함유량 2.2%)의 펠렛을 아세톤으로 세정한 것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0μm의 반사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반사 필름에 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한다. 그 결과는 표 2에 기재한다. 또한, 염기성 수지의 황색도(YI 값) 및 반사 필름의 황색도(YI 값)는 표 1에 기재된 값이다.
[비교예 1]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락트산계 중합체(NW4032D; 카길다우폴리머사제) 대신에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만의 락트산계 중합체(NW5040D; 카길다우폴리머사제, D체 함유량 2.2%)의 펠렛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0μm의 반사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반사 필름에 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한다. 그 결과는 표 2에 기재한다.
또한, 염기성 수지의 황색도(YI 값) 및 반사 필름의 황색도(YI 값)는 표 1에 기재된 값이다.
[비교예 2]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락트산계 중합체(NW4032D: 카길다우폴리머사제) 대신에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만의 락트산계 중합체(NW5040D; 카길다우폴리머사제, D체 함유량 2.2%)의 펠렛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250μm의 반사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반사 필름에 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한다. 그 결과는 표 2에 기재한다.
또한, 염기성 수지의 황색도(YI 값) 및 반사 필름의 황색도(YI 값)는 표 1에 기재된 값이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반사 필름에 아연 도금 강판(두께 0.45mm)를 피복하여 반사판을 제작한다. 즉, 우선 반사 필름을 붙인 아연 도금 강판 표면에 시판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를 건조후의 접착제 막 두께가 2 내지 4μm 정도가 되도록 도포한다. 이어서, 적외선 히터 및 열풍 가열로에 의해 도포면의 건조 및 가열을 실시하여, 강판의 표면온도를 180℃로 유지하면서, 즉시 롤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반사 필름을 피복, 냉각하여 반사판을 수득한다. 수득된 반사판에 관해 가공성, 반사율의 측정 및 평가를 한다. 그 결과는 표 3에 기재한다.
[실시예 9]
실시예 8에서 강판의 표면온도를 180℃로 유지하는 대신에 220℃로 유지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판을 수득한다. 수득된 반사판에 관해 실시예 8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한다. 그 결과는 표 3에 기재한다.
[표 1]
수지 미분상 충전제 황색도 (YI 값) 시트 두께 (㎛)
황색도 (YI 값)) 종류 평균 입자 직경(㎛) 불활성 무기 산화물 바나듐 함유량(ppm)
실시예 I 1 7.35 a 0.25 A, B 1 3.0 250
2 7.35 b 0.24 A 6 3.1 250
3 7.35 c 0.7 - - 3.3 250
4 7.35 d 0.15 - - 3.1 250
5 7.35 a 0.25 A, B 1 2.6 188
6 7.35 a 0.25 A, B 1 2 100
7 11.5 a 0.25 A, B 1 3.4 250
비교예 I 1 21.5 a 0.25 A, B 1 3.7 250
2 21.5 b 0.24 A 6 3.8 250
미분상 충전제 종류
a: 타이펙 PF-711; 이시하라산교(주)제 루타일형 결정형 산화티타늄
b: 타이펙 R-630; 이시하라산교(주)제 루타일형 결정형 산화티타늄
c: B-55; 사카이가가쿠고교(주)제 황산바륨
d: StaVigot-15A; 하쿠세키칼슘(주)제 탄산칼슘
불활성 무기 산화물 종류
A: 알루미나
B: 실리카
C: 지르코니아
[표 2]
공극율(%) 반사율(%) 내가수분해성 황변방지성 형상유지성
색상 반사율(%)
실시예 I 1 14 99.0 백색 97.3 95
2 15 96.0 백색 93.0 95
3 30 97.5 백색 96.2 95
4 32 97.5 백색 96.6 95
5 14 98.6 백색 97.5 95
6 17 98.4 백색 96.6 95
7 14 98.0 백색 96.8 95
비교예 I 1 15 94.0 백색 92.0 95
2 14 93.5 백색 92.0 95
[표 3]
반사판 가공성 반사판 반사율(%)
직각 굴곡 스크린 굴곡 에릭센
실시예 I-8 98.0
실시예 I-9 94.0
표 1 및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황색도(YI 값)가 3.6 미만이며, 반사율이 95% 이상이라는 높은 광반사성을 가지며, 또한 높은 정밀 채색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반사 필름은 자외선 조사 시험후에도 반사율이 93% 이상이며 또한, 색상은 백색의 평가이며, 황변 방지성도 우수한 것을 알았다. 이 중에서도 실시예 1 및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7은 자외선 조사전의 반사율(초기 반사율)이 97% 이상, 자외선 조사 후의 반사율도 95%이며, 함께 우수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필름은 내가수분해성에 관해서도 실용 레벨 이상의 평가이다. 즉,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모든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반사 필름은 황색도(YI 값)가 3.7 이상이며, 반사율이 95% 미만으로 되며, 광반사성에 관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반사 필름보다 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또한, 표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8의 반사판은 가공에 필요한 밀착력과 높은 광반사성이 유지되고 있으며 대단히 우수한 것을 알았다. 또한, 실시예 8의 반사판은 광반사성의 유디라는 점에서는 실시예 9의 반사판보다 우수함을 알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광반사성을 가지며 사용에 의해 경시적으로 황변하거나, 광반사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또한, 형상유지성이 우수한 반사 필름이 수득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염기성 수지로 하고 있으므로 생분해성을 갖는다.
실시예-II
[실시예 1]
(수지 조성물의 제조)
중량 평균 분자량 20만의 락트산계 중합체(NW4032D; 카길다우폴리머사제, D체 함유량 1.5%)의 펠렛과 평균 입자 직경이 0.25μm의 산화티타늄(타이펙 PF-711; 바나듐 함유량 5ppm 이하, 이시하라산교사제)를 50질량%/50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혼합물 100질량부에 대해 가수분해 방지제로서 카보디이미드 변성 이소시아네이트(카보디라이트 LA-1, 닛신보세키(주)제)를 3질량부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화하여 소위 마스터 배취를 제 조한다. 이러한 마스터 배취와 락트산계 중합체를 40질량%/60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수지 조성물을 220℃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한다.
(필름의 제작)
압출기로부터, 용융상태의 수지 조성물을 T 다이를 사용하여 시트상으로 압출하며, 냉각 고화하여 필름을 형성한다. 수득된 필름을 온도 65℃에서, MD로 2.5배, TD로 2.8배의 2축으로 연신한 다음, 140℃에서 열처리하여, 두께 250μm의 반사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반사 필름에 관해 공극율, 평균 반사율, 자외선 조사전과 후의 반사율(ii), 황색도(YI 값), 황변 방지성(색상), 내가수분해성, 내열성의 측정 및 평가를 한다. 그 결과는 표 4에 기재한다. 또한, 반사 필름의 공극율은 14%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가수분해 방지제의 종류와 배합량을 카보디라이트 LA-1의 3질량부에서, 지방족 카보디라이트(카보디라이트 HMV-8CA)의 1.5질량부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마스터 배취를 제조한 다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두께 250μm의 반사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반사 필름에 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한다. 그 결과는 표 4에 기재한다. 또한, 반사 필름의 공극율은 14%이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반사 필름에 아연 도금 강판(두께 0.45mm)를 피복하여 반사판을 제작한다. 즉, 우선 반사 필름을 붙인 아연 도금 강판 표면에 시판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를 건조후의 접착제 막 두께가 2 내지 4μm 정도가 되도록 도포한다. 이어서, 적외선 히터 및 열풍 가열로에 의해 도포면의 건조 및 가열을 하여, 강판의 표면온도를 180℃로 유지하면서, 즉시 롤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반사 필름을 피복, 냉각하여, 반사판을 수득한다. 수득된 반사판은 가공성이 우수하며 높은 반사율을 갖는 것이다.
[표 4]
평균 반사율(%) 반사율 (450mm) (%) 황색도 (YI 값) 황변방지성 ΔR 내열성 내가수분해성
실시예 II-1 98.2 99.2 2.7 백색 0.5
실시예 II-2 98.0 99.0 2.8 백색 0.6
표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평균 반사율이 98% 이상, 파장 450nm의 필름 표면 반사율이 95% 이상이라는 높은 광반사성을 가지며, 또한 자외선 조사시험 후에도 우수한 반사성을 가지며 반사율의 저하가 ΔR이 1.3 이하임을 알았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도 색상은 백색의 평가이며, 황변 방지성도 우수하며 양호한 내열성을 가지며 내가수분해성에서도 실용 레벨 이상임을 알았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가수분해 방지제로서, 방향환을 함유하지 않은 지방족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자외선에 노출된 후에도 필름이 약화되지 않고 반사율의 저하(△R)가 작은 것이다. 이 중에서도, 가수분해 방지제로서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인 변성 카보디 이미드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실시예 1은 내가수분해성이 대단히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 1 및 2의 반사 필름은 형상유지성도 우수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광반사성을 가지며 사용에 의해 경시적으로 황변하거나, 광반사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또한 내열성과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반사 필름이 수득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염기성 수지로 하고 있으므로 생분해성을 갖는다.
액정 표시장치, 조명기구, 조명 간판 등에 사용되는 반사 필름 및 반사판에 이용되지만, 이들과 유사한 분야의 반사 필름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높은 반사성이 요구되는 반사 필름이나 박형이 요구되는 반사 필름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반사 필름으로서, 당해 반사 필름의 황색도(YI 값)가 3.6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미분상 충전제가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산화티타늄의 바나듐 함유량이 5ppm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산화티타늄의 표면이 실리카,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류 이상의 불활성 무기 산화물로 피복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수지 조성물 중에서 10 내지 60질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굴절율이 1.52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락트산계 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황색도(YI 값)가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내부의 공극율이 50% 이하로 되도록 공극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장 550nm의 광에 대한 필름 표면 반사율이 95%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지방족 카보디이미드 화합물로 이루어진 가수분해 방지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반사 필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가수분해 방지제가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가수분해 방지제의 함유량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O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질량부의 범위내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장 450nm의 광에 대한 필름 표면 반사율이 95%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용융 제막하여 이루어진 필름을 적어도 1축 방향으로 1.1배 이상 연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
  17. 제16항에 있어서, 반사판이 액정 표시장치, 조명기구 또는 조명 간판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
KR1020077011058A 2004-11-16 2005-11-10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및 반사판 KR100885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31449A JP5054888B2 (ja) 2004-11-16 2004-11-16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JP-P-2004-00331449 2004-11-16
JPJP-P-2004-00331448 2004-11-16
JP2004331448A JP4750405B2 (ja) 2004-11-16 2004-11-16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218A true KR20070067218A (ko) 2007-06-27
KR100885389B1 KR100885389B1 (ko) 2009-02-24

Family

ID=3640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058A KR100885389B1 (ko) 2004-11-16 2005-11-10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및 반사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82499A1 (ko)
EP (1) EP1813969A1 (ko)
KR (1) KR100885389B1 (ko)
TW (1) TW200626642A (ko)
WO (1) WO2006054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0574A1 (en) * 2003-10-27 2007-02-08 Takayuki Watanabe Reflective film
TW200628296A (en) * 2004-11-19 2006-08-16 Mitsubishi Plastics Inc Light reflecting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reflecting body
JP5201799B2 (ja) * 2006-03-24 2013-06-05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全芳香族サーモトロピック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その射出成形体および該成形体を使用した光学装置
TWI396902B (zh) * 2007-03-14 2013-05-21 Toray Industries 反射板用聚酯薄膜
JP5583912B2 (ja) * 2008-04-28 2014-09-03 花王株式会社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の製造法
DE102009022902B4 (de) * 2009-03-30 2023-10-26 Pictiva Displays International Limited Organisches optoelektronisches Bau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rganischen optoelektronischen Bauteils
DE102010019010A1 (de) * 2010-05-03 2011-11-0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mit sphärischen Partikeln und Titandioxid-Partikeln
US20130314796A1 (en) * 2011-02-21 2013-11-28 Kazutoshi Hitomi Light reflection plate
US8829097B2 (en) 2012-02-17 2014-09-09 Andersen Corporation PLA-containing material
EP2749679B1 (en) * 2012-12-28 2017-03-22 Omya International AG CaCO3 in polyester for nonwoven and fibers
WO2014119577A1 (ja) * 2013-02-01 2014-08-07 三井化学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積層光学フィルム
KR101743379B1 (ko) * 2013-04-10 2017-06-02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적층체
CN105451994B (zh) * 2013-09-02 2018-05-11 三井化学株式会社 层合体
TR201810896T4 (tr) 2014-07-01 2018-08-27 Omya Int Ag Çok filamentli polyester elyaflar.
CN107076889A (zh) * 2014-11-07 2017-08-18 三菱树脂株式会社 反射膜
JP2016208849A (ja) * 2015-04-29 2016-12-15 アキレス株式会社 生分解性フィルム
EP3390515B1 (en) * 2015-12-17 2020-04-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lor-changing polymeric material
EP3581608A1 (en) * 2018-06-14 2019-12-18 Stichting Wageningen Research Polymeric products
US10781339B2 (en) * 2018-09-13 2020-09-22 Covestro Llc Reduced discoloration of polyaspartic resins blended with acrylate resin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99419B (en) * 2000-05-31 2008-08-01 Nitto Denko Corp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s
JP3824521B2 (ja) * 2000-12-28 2006-09-20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光半透過反射体
JP2003004913A (ja) 2001-06-22 2003-01-08 Toyobo Co Ltd 光学用フィルム及び積層体
WO2003029850A1 (fr) 2001-09-28 2003-04-10 Yupo Corporation Reflecteur a semi-transmission lumineuse
JP3882590B2 (ja) * 2001-11-15 2007-02-21 新日本理化株式会社 乳酸系ポリマー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2004050607A (ja) 2002-07-19 2004-02-19 Sumitomo Chem Co Ltd 光拡散性樹脂積層板
JP3988619B2 (ja) * 2002-10-31 2007-10-10 東レ株式会社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3969A1 (en) 2007-08-01
US20090082499A1 (en) 2009-03-26
TW200626642A (en) 2006-08-01
TWI310775B (ko) 2009-06-11
KR100885389B1 (ko) 2009-02-24
WO2006054475A1 (ja) 200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389B1 (ko)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및 반사판
JP3927585B2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KR100818907B1 (ko) 반사 필름 및 반사판
KR100851517B1 (ko)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반사 필름 및 반사판
KR100881269B1 (ko) 반사 필름
JP4443515B2 (ja) 反射フィルム
JP2007030284A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
JP4750405B2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2007021952A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4571549B2 (ja) 離型フィルム
JP5054888B2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4550787B2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4804741B2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2006145915A (ja) 反射フィルム
JP2007023185A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5148089B2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2006145916A (ja) 反射フィルム
JP2006142644A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76999A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該反射フィルムを備えた反射板
JP2008225326A (ja) 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2008225323A (ja) 反射フィルムおよび反射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