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771A -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771A
KR20070066771A KR1020050128252A KR20050128252A KR20070066771A KR 20070066771 A KR20070066771 A KR 20070066771A KR 1020050128252 A KR1020050128252 A KR 1020050128252A KR 20050128252 A KR20050128252 A KR 20050128252A KR 20070066771 A KR20070066771 A KR 20070066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composition
fragrance
deodorant
weight
ar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4296B1 (ko
Inventor
김상경
이일휴
차경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128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296B1/ko
Publication of KR20070066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일상의 향료 및 비극성 용제를 함유하는 상층과 수용성 소취제,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하층을 포함하는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은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의 적용으로 향료를 함유하는 상층과 수용성 소취제를 함유하는 하층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안정성이 우수하고, 계면활성제 등의 잔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향료 및 소취 성분의 변성 없이 초기 소취력과 지속적인 효과가 우수하고, 향취가 사용기간 내내 변하지 않는다.
방향 소취제, 이중층, 전해질, 염

Description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DUAL-LAYER AROMAYIC AND DEODORA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의 적용으로 향료를 함유하는 상층과 수용성 소취제를 함유하는 하층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안정성이 우수하고, 계면활성제 등의 잔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향료 및 소취 성분의 변성 없이 초기 소취력과 지속적인 효과가 우수하고, 향취가 사용기간 내내 변하지 않는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 주거환경 및 실내·외의 쾌적성 및 청결함을 위하여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악취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방향성의 향이 주성분인 방향제 제품이나 공기 청향제품과 세균 및 곰팡이 냄새 제거제 등의 제품이 오래 전부터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최근 수 년간 향 오일, 소취제, 해충 기피제와 같이 휘산성이 큰 물질들을 위한 휘산 방법들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왔다.
이러한 방향성 물질들을 위한 휘산 방법들은 많이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과 같은 스프레이 타입은 액상의 내용물을 순간적으로 분사시키며, 다른 방법으 로는 액상의 내용물을 용기에 담아 심지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빨아 올려 향, 소취제 등의 내용물을 휘산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한, 내용물을 겔 또는 액상 상태로 용기에 담아 휘산시키는 방법이 있다. 상기 겔형 방법은 내용물을 흡수한 후 시간이 지나면서 향 등 활성 성분들을 자연휘산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카라기난, 젤라틴, 구아검 등 폴리사카라이드 성분들을 이용한 겔과 합성 폴리머 레진 등에 활성 성분들을 흡수시켜 사용하는 수성겔 제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수성 겔 이외에도 유성 용매내에서 겔화를 통한 유성겔 제형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며, 이같은 고체 겔 제형은 다루기 쉬우며 장식적인 기능도 훌륭하다.
또한, 액상형의 일반적인 기술로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오일상이 향료 및 소취제를 사용하는데, 사용 말기 게면활성제가 남고 반응성이 큰 수용성 소취제에 의하여 오일상의 향료가 변성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액상형으로는 유기용제를 사용하는데, 오일상의 향료와 소취제만을 사용하므로 수용성 소취제를 사용함에 따른 방향 소취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의 적용으로 향료를 함유하는 상층과 수용성 소취제를 함유하는 하층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안정성이 우수하고, 계면활성제 등의 잔류가 없는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료 및 소취 성분의 변성 없이 초기 소취력과 지속 적인 효과가 우수하고, 향취가 사용기간 내내 변하지 않는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있어서,
a) 오일상의 향료 및 비극성 용제를 함유하는 상층; 및
b) 수용성 소취제,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하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방향과 소취가 우수한 제품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오일상의 향료 및 비극성 용제를 함유하는 상층 및 수용성 소취제,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하층을 포함하는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을 제조한 결과, 상층은 향 성분을 최대한 함유하여 향료의 향취를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고, 하층은 수용성 소취제를 사용하여 소취 기능의 시너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은 오일상의 향료 및 비극성 용제를 함유하는 상층 및 수용성 소취제,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의 상층은 오일상의 향료 및 비극성 용제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상의 향료는 통상의 불수용성의 오일상의 액체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상의 향료는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4 내지 36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4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1 달 이상의 사용기간을 얻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36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화한 후 향료 성분이 충분히 휘산되지 않고 남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비극성 용제는 하이드로 카본계 또는 실리콘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미국 엑손사의 아이소파 계열을 사용하였다.
상기 비극성 용제는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3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8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3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오일상의 향료와 금속염 소취성분이 충분히 휘산되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방향 및 소취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상층은 오일상의 향료와 비극성 용제를 1 : 9 내지 9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은 상층과 하층이 동시에 휘산되어야 하는데 혼합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상층의 오일상의 향료가 하층보다 먼저 또는 나중에 휘산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오일상의 향료 및 비극성 용제를 포함하는 상층은 상기 성분 이외에 방부제, 염료(안료), 소포제, 버퍼(buffer), 산화방지제, 가용화제, 또는 자 외선 차단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당업계에서 통상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모든 방부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염료(안료)는 유기용매에 녹는 통상의 염료(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의 하층은 수용성 소취제,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물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성 소취제는 소취력에 시너지 효과를 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수용성 소취제는 수용성 소취제로 안정성과 성능이 검증된 것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글리옥살(glyoxal), 녹차추출물, 감잎추출물 등의 천연 추출물, 시트르산(citric acid), 또는 이산화염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소취제는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소취력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누수 현상 등의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은 상층과 하층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의 이중층을 명확하게 하고, 안정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일반적으로, 수성과 유성의 성질이 다른 두 층에 같이 존재하는 경우 두 층간에 거품이 생기거나 층간 부유물이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또한, 향을 적용함에 따라 향 속의 다양한 성분으로 인해 층간이 더욱 불안해질 수 있다. 이는 향의 극성의 성분(polariy ingredient) 때문으로 -OH기와 -CHO기 등은 물상으로 향하려고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분리를 지연시키고 층간이 불안토록 한다. 그러나 향은 대게 이러한 기(group)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완전히 없애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상인 하층에 염(salt)을 사용함으로써 수상의 밀도(density)를 높이고, 분리(separation)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염석 효과(salting-out)로도 설명할 수 있다.
상기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 중 사용가능한 염으로는 NaCl, KH2PO4, NaHCO3, NH4CO3, (NH4)2SO4, MgSO4, Na2SO4, Na2HPO4, MgCl2, 또는 CaCl2 등이 있다. 상기 염들은 본 발명의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3 중량% 이내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심지에 결정이 심하게 발생하며, 이 결과 심지로부터 휘산을 막는 결과를 초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은 당업계에서 방향 소취제에 사용하는 통상의 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층에 존재하는 향과 소취제와의 반응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실험을 통해 최적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은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0.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염의 효과, 즉 분리의 명확성과 표면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 있으며, 3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심지에 염의 결정이 생겨 휘산을 막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수용성 소취제 및 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중 하층은 상기 성분 이외에 잔량의 물을 포함하며, 이외에 방부제, 염 료(안료), 소포제, 버퍼(buffer), 산화방지제, 가용화제, 또는 자외선 차단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당업계에서 통상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모든 방부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염료(안료)는 통상의 수성 염료(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층과 하층의 용적 비율은 본 발명이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1 : 9 내지 9 : 1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7, 5 : 5, 또는 4 : 6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상층과 하층의 두 상이 동시에 휘산되고, 이로써 외관상의 효과까지도 커지기 때문에 더욱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층과 하층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은 심지로 인해 휘발되게 된다. 즉, 상기 심지는 상부의 오일층과 하부의 수성층을 동시에 빨아올리는 것으로, 펄프 성분이 주원료인 구체적으로, 펄프계 또는 펄프계열과 합성수지 계열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심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은 실온에서 오일상의 향료 및 비극성 용제를 혼합하여 용기에 충진한 후, 물, 수용성 소취제, 및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별도로 교반하여 용기에 충진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은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의 적용으로 향료를 함유하는 상층과 수용성 소취제를 함유하는 하층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안정성이 우수하고, 계면활성제 등의 잔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향료 및 소취 성분의 변성 없이 초기 소취력과 지속적인 효과가 우수하고, 향취가 사용기간 내내 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액상 아포마테라피 기능의 일랑일랑 오일 20 중량%(프랑스 샤라보에서 구입) 및 비극성 용제로 아이소파 25 중량%(엑손사)를 함께 혼합하여 실온에서 약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또 다른 혼합기에 수용성 소취제인 녹차 추출물 1 중량%, 전해질로 염인 KH2PO4(potassium phosphate)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하층용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그 다음, 용기에 상층용 혼합물을 충진하고, 하층용 혼합물을 충진하여 ??향 소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및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성분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하기 표 1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일랑일랑 오일 20 20 20 20
아이소파 20 20 20 20
자외선 차단제 - - 05 -
녹차 추출물 1 1 1 1
KH2PO4 1 - - -
NaHCO3 - 1 - -
방부제 0.05 0.05 0.05 0.05
57.95 57.95 58.45 58.95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방향 소취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두 층간의 선명도, 방향성, 소취력, 및 안정성 및 잔유물 평가를 하였다.
가. 두 층간의 선명도 -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방향 소취제 조성물이 담아 있는 병을 위, 아래로 흔든 후 시간별로 이중층간의 선명함과 거품 등의 부유물 유무를 시각적으로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75463048-PAT00001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층간상태 10 분 후 4 5 4 4
30 분 후 5 5 4 3
1 시간 후 5 5 3 3
24 시간 후 4 4 2 2.5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방향 소취제 조성물의 이중층간 선명도를 관찰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이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층간 선명도가 우수하였으며, 특히 KH2PO4를 사용한 실시예 1의 층간 선명도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 방향성 -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방향 소취제 조성물을 각각 25∼30 ℃의 상온에서 채광 및 통풍이 잘되는 실내에 장치하고, 5∼35 일 동안 후각이 잘 발달된 패널 요원 10 명을 임의로 선출하여 5 점 척도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75463048-PAT00002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방향성 7 일 후 5 5 5 5
14 일 후 4.5 4 4 4
21 일 후 4 4 4 4
28 일 후 3 3.5 3 4
35 일 후 2 2 2 2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방향 소취제 조성물의 방향성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은 보통이 후각으로 느끼기에 충분한 향기가 30 일 이상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다. 소취력 - 대표적 악취물질 중에서 검지관법으로 실험이 가능한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메틸머캅탄을 악취 대상 물질로 선정하여 소취효과를 측정하였다. 검지관법은 작업 환경 중 인체에 해로운 가스를 간이 측정하는 기구로 정밀도와 정확도에선 GC 분석에 미칠 수 없으며, ppm 미만의 미량 농도 측정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규제되는 악취의 농도가 ppm 수준의 고농도이며, 실제 냉장고와 같은 작은 공간에서 악취의 제거를 실험하므로 인지 농도보다 수십∼수백배 농축된 ppm 범위의 실험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대한 소취력을 암모니아(NH3)는 가스텍(GASTEC) 검지관 no.3La, 트리메틸아민(N(CH3)3)은 가스텍 검지관 no.180을 사용하였고, 메틸머캅탄(CH3SH)은 no.71을 사용하여 각각의 결과를 얻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소취력 (%) 암모니아 93.4 96.5 95.5 94.5
트리메틸아민 97.4 97.0 96.8 97.2
메틸머캅탄 97.3 97.0 98.0 97.3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3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여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및 메틸머캅탄의 3대 악취제에 대하여 우수한 소취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라. 안정성 및 잔유물 -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대하여 사용 후 잔존량, 고온(50 ℃) 및 저온(-10 ℃)에서 7 일간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잔존량 초기 (g) 100 100 100 100
말기 (g) 0.4 0.4 0.3 0.3
안정성 고온 (5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저온 (-1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3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은 사용하면서 내용물이 안정하고, 잔존량 또한 거의 나타나지 않아 효율적이고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은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의 적용으로 향료를 함유하는 상층과 수용성 소취제를 함유하는 하층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안정성이 우수하고, 계면활성제 등의 잔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향료 및 소취 성분의 변성 없이 초기 소취력과 지속적인 효과가 우수하고, 향취가 사용기간 내내 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있어서,
    a) 오일상의 향료 및 비극성 용제를 함유하는 상층; 및
    b) 수용성 소취제,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는 하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상의 향료가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4 내지 36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용제가 하이드로 카본계 또는 실리콘유이며,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3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이 오일상의 향료와 비극성 용제를 1 : 9 내지 9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소취제가 글리옥살(glyoxal), 녹차추출물, 감잎추출물 등의 천연 추출물, 시트르산(citric acid), 및 이산화염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며,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 중 염이 NaCl, KH2PO4, NaHCO3, NH4CO3, (NH4)2SO4, MgSO4, Na2SO4, Na2HPO4, MgCl2, 및 CaCl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며,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3 중량% 이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이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0.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과 하층이 방부제, 염료(안료), 소포제, 버퍼(buffer), 산화방지제, 가용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 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과 하층의 용적이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에 1 : 9 내지 9 : 1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KR1020050128252A 2005-12-22 2005-12-22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KR101224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252A KR101224296B1 (ko) 2005-12-22 2005-12-22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252A KR101224296B1 (ko) 2005-12-22 2005-12-22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771A true KR20070066771A (ko) 2007-06-27
KR101224296B1 KR101224296B1 (ko) 2013-01-21

Family

ID=38365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252A KR101224296B1 (ko) 2005-12-22 2005-12-22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626B1 (ko) * 2017-01-25 2018-06-26 박신호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971B1 (ko) * 2018-11-05 2020-10-07 주식회사 그린환경 분뇨 및 슬러지의 악취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363A (ja) * 1991-08-27 1993-03-02 Mitsubishi Materials Corp ペツト・トイレ用消臭性香料利用消臭剤
KR100729506B1 (ko) * 2000-12-20 2007-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다층으로 구분되는 액상의 방향, 소취 조성물 및 이의휘산을 위한 휘산기구
KR100588951B1 (ko) * 2002-11-19 2006-06-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방향·소취제 조성물
KR20050087889A (ko) * 2004-02-27 2005-09-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균 소취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626B1 (ko) * 2017-01-25 2018-06-26 박신호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296B1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01700A (ja) 潮解性物質を含むフレグランス含有組成物
JP2003138290A (ja) 蚊忌避効果を有する香料組成物
KR101224296B1 (ko)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JPS6366115A (ja) タバコヤニ消臭用口腔用組成物
ES2896500T3 (es) Utilización de una composición que comprende 1,8-para-mententiol y acetato de 3-mercaptohexilo como enmascarador de olores
JPS61206449A (ja) 消臭剤
KR100422306B1 (ko)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페이스트형 방향제 조성물
KR101759525B1 (ko) 치아 코팅제 및 조성물
KR20070074287A (ko) 겔상의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08501B1 (ko)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63448B1 (ko) 솔나리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US9422511B2 (en) Composition for a cleaner and/or freshener comprising vinegar, vanilla extract, and witch hazel
JP2006282549A (ja) 芳香液組成物
KR102410960B1 (ko) 방향 탈취용 조성물
JPH11192296A (ja) ゲル状芳香剤組成物
JP2003164515A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消臭剤
JPH03284618A (ja) 東洋ラン様香料組成物
KR100208157B1 (ko) 개량된 방향제 조성물
JPH06219932A (ja) 芳香組成物
KR101072040B1 (ko) 섬백리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060038826A (ko) 이중층 방향 소취제 조성물
KR20160097592A (ko) 포름알데히드와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친환경 소취제 조성물
KR101172226B1 (ko)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
RU2085216C1 (ru) Освежитель воздуха (варианты)
CA2847753C (en) A natural composition comprising vanilla extract for use as a cleaner and/or fresh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