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226B1 -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226B1
KR101172226B1 KR1020090098677A KR20090098677A KR101172226B1 KR 101172226 B1 KR101172226 B1 KR 101172226B1 KR 1020090098677 A KR1020090098677 A KR 1020090098677A KR 20090098677 A KR20090098677 A KR 20090098677A KR 101172226 B1 KR101172226 B1 KR 101172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cosmetic composition
oil
lip
lip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718A (ko
Inventor
정하진
이찬우
김은정
고승용
최지영
권미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98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2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1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9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 및 오일로 구성된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함으로써 미사용 상태에서는 발산하는 향기를 억제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향기를 발산시켜 초기의 향기를 유지시킬 수 있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향료 포집 복합체 * 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 * 오일 * 발향성 * 입술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Lip make-up composition for fragrance delivery containing fragrance holding complex}
본 발명은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 및 오일로 구성된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함으로써 미사용 상태에서는 발산하는 향기를 억제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향기를 발산시켜 초기의 향기를 유지시킬 수 있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입술에 사용 가능한 모든 화장료인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특히, 입술; 이하 같다)에 색상을 부여하여 아름답고 건강하게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동?식물성 왁스, 에스테르계 오일 등의 유성 물질에 피부에 유용한 각종 영양성분, 유기 및 무기 안료를 분산시켜 균일한 혼합물로 만든 것이다. 즉,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고형 성분이나 액상 유상 성분, 색소 및 기타 영양 성분 등을 포함한다.
상기 고형 성분으로는 칸데릴라납, 세레신, 카르나우바납, 파라핀, 목납, 경납, 밀납, 마이크로 크리스탈린납 및 폴리에틸렌 등이 있으며, 이는 경도를 상승시 켜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 형태를 유지시키고 사용감을 매끄럽게 개선한다.
상기 액상 유상 성분으로는 피마자유, 호호바유, 스쿠알란, 라놀린 오일, 라놀린 유도체, 동?식물에서 추출된 오일과 합성 에스테르 오일 및 기타 오일 등이 있다.
그 밖에,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기 및 무기 색소로 이루어지는 색소성분이 포함되고, 또한, 산화방지제, 방부제, 향료 성분 및 영양 성분 등 기타 성분이 첨가된다.
일반적인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불쾌한 향기나 맛이 좋지 않은 것을 완화시키는 마스킹(Masking) 효과를 주기 위해 소량의 향료가 일반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0.5중량%의 양으로 배합된다. 입술에 도포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성질상, 불쾌한 향기나 맛이 없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해 향료 성분을 소량 배합하는 것에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근래 들어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요구가 다양화되고 보다 새로운 기능이나 사용감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입술 화장료 제품에서도 마찬가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단순한 마스킹 기능의 향료가 아닌 입술에 도포시에 발향되는 성질에 중점을 두어 새로운 형태의 입술을 위한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고안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 및 오일로 구성된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면 미사용 상태에서는 발산하는 향기를 억제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향기를 발산시켜 초기의 향기를 유지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사용 상태에서는 발산하는 향기를 억제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향기를 발산시켜 초기의 향기를 유지시킬 수 있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 및 오일로 구성된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향료 포집 복합체를 향기의 담지체로 함유하여 미사용 상태에서는 발산하는 향기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향기를 발산시킴으로써 초기의 향기를 장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 및 오일로 구성된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향료 포집 복합체는 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 및 오일로 구성된 복합체로서, 스프링 구조의 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가 담지체로 이용되어 향을 그 안에 담지하였다가 피부에 도포시에 그 구조가 풀리면서 향을 지속적으로 서서히 발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에 사용 가능한 오일로는 리퀴드 파라핀과 같은 광물성 오일; 스쿠알렌 및 하이드로 스쿠알렌 등의 동물성 오일; 올리브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콩오일, 팜오일,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오일 및 세사미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을 들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올리브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 및 오일을 100~250℃에서 느린 또는 중간의 교반 속도로 혼합하여 고르고 맑은 용액 상태로 만들고 난 후, 상온까지 냉각시키면 투명한 겔 상태의 향료 포집 복합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는 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 오일의 중량비가 1~50:99~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를 벗어나면 향료 포집 복합체의 구조가 제대로 유지되지 않아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시키기 어렵고,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 시 제형의 안정도와 사용감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향의 포집 효과가 미미하고, 10.0중량%를 초과하면 제형의 안정도와 사용감이 나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인 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 및 오일로 구성된 복합체를 향기의 담지체로 함유하였을 경우, 미사용 상태에서는 발산하는 향기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향기를 발산시킴으로써 초기의 향기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이를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보다 향의 지속성 면에서 차이가 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그 외의 화장료 조성물, 특히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으로서 왁스, 오일, 안료, 영양성분, 휘발성 용해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향 등과 같은 기타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 특히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왁스로는 오조케라이트, 밀납, 칸델릴라납, 세레신, 카르나우바납, 파라핀왁스, 몬탄왁스, 제펜왁스, 라이스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합성왁스, 폴라에칠렌 왁스, 다종의 실리콘 왁스 등 화장품에 적절한 모든 왁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오일로는 식물성 오일, 에스터계 오일, 에테르계 오일, 미네랄 오일, 동물성 오일 또는 젤 성분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밀착력있는 발림성을 위하여 고점도 오일, 폴리부텐 또는 송진 등의 폴리머 성분들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향료는 단품 향료로서 식품 향료(Flavor), 화장품 향료(Fragrance), 향수용 향료(Perfume), 천연 향료(Natural Essentail oil) 및 이들의 조합 향료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안료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안료로 구체적인 예를 들어 백운모, 합성운모, 견운도, 카올린, 이산화티탄, 산화티탄 피복 운모, 알루미늄 파우더, 황산화철, 흑산화철, 황산바륨 등의 파우더, 또는 황색 203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1호, 황색 204호, 적색 103호 등의 착색용 안료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항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더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가열, 혼합, 교반 등의 처리를 거침으로써 립스틱, 립글로즈, 립밤 또는 립펜슬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 물을 제조하였다. 올리브오일*스티렌/부타디엔 혼합폴리머로 네이처 브이겔 올리브 100 (Nature Vgel Olive 100, 제조사: applechme)을 사용하였다. 향료는 피치향이 나는 물질로서, 레몬유(Lemon oil), 에틸 미리스테이트(Ethyl myristate), 에틸 부티레이트(Ethyl butyrate), 리나룰(linalool), 감마-데카락톤(gamma-decalactone), 감마-운데카락톤(gamma-undecalactone), 바닐린(vanillin) 및 에틸 부티레이트(ethyl butyrate)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No. 성분명(단위: 중량%)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1 올리브 오일*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 0.0 11.0 0.05 1.0 3.0 5.0
2 향료 5.0 5.0 5.0 5.0 5.0 5.0
3 오조케라이트 1.5 1.5 1.5 1.5 1.5 1.5
4 세레신 3.5 3.5 3.5 3.5 3.5 3.5
5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3.0 3.0 3.0 3.0 3.0 3.0
6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다이머디놀리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7 폴리부텐 15.0 15.0 15.0 15.0 15.0 15.0
8 비스-디글리세릴 폴리아실아디페이트-2 20.0 20.0 20.0 20.0 20.0 20.0
9 미네랄오일*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하이드로제네이트드스티렌/이소프렌코폴리머 20.0 20.0 20.0 20.0 20.0 20.0
10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1 마이카*메치콘 1.5 1.5 1.5 1.5 1.5 1.5
12 색소 0.5 0.5 0.5 0.5 0.5 0.5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제조 방법>
1) 상기 원료 1~11를 평량하여 85℃ 이상으로 가열 용해한 후 호모게나이저로 교반시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2) 상기 1)의 혼합물에 상기 원료 12를 넣고 고루 혼합한 후, 탈기 및 냉각의 과정을 거쳐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얻었다.
[시험예 1] 향 지속성의 평가를 위한 무게 변화율 측정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향 지속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각각의 시료를 직경 5cm의 패트리 디쉬에 약 7g씩 담고 상온에 방치하였다. 1일, 4일, 7일(1주), 14일(2주) 및 21일(3주) 동안 무게를 측정하여 지속적으로 무게 감소가 발생하는지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보다 세밀한 무게 감소율을 확인하기 위해 도 1에서 무게 변화율이 100.0~99.9%인 부분만 확대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3을 상온에서 방치하고 21일이 경과한 후에도 무게가 전혀 감소되지 않았지만,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은 상온에서 방치한 후에 급격하게 무게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라 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와 올리브오일로 구성된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한 실시예 1~3의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이를 함유하지 않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보다 향의 감소율 면에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3에서 알 수 있듯이, 향료 포집 복합체를 과량 함유할 경우에는 향의 휘산이 빨라 오히려 지속력이 떨어지고, 미량 함유할 경우에는 향기의 지속성 향상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어야만 우수한 향기의 지속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중량%로 함유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향료 포집 복합체가 향기의 발산을 억제함으로써 장기간 동안 향의 지속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인 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와 올리브오일로 구성된 복합체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경우에는 향의 지속성 면에서는 큰 차이가 나지는 않았으나, 1중량%일 경우에 시간이 지나도 향의 지속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향 지속성 평가를 위한 SPME 분석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향 지속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진행하고자 향의 일반적인 분석평가방법인 고체상 미량 추출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법을 이용하여 향기 성분의 시간에 따른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SPME 분석 방법은 시료 10g을 30㎖ 유리병(glass vial)에 넣고 실리콘 셉텀(silicon septum)으로 밀봉하고, 이어서 45℃ 오븐에서 20분간 평형시킨 후, 화이버(Carboxen/PDMS fiber)를 고정하고 20분간 향을 포집하였다. 향이 흡착된 화이버를 GC-MSD의 주입구에 옮겨 꽂은 다음 2분간 탈착시키고 하기 조건으로 GC-MSD 분석을 행하였다.
<GC-MSD 분석 조건>
분석기기: AGILENT 6890/5973 GC/MSD
컬럼: Innowax(60m*0.32㎜*0.5㎛)
운반기체: 헬륨(He)
주입온도: 260℃
오븐온도: 85℃~230℃ (2℃/min)
향료의 포집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료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과 실시예 1에 한해서만 비교하였다. 시료A와 B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각각 상온에서 바로 측정하고, 좀더 가혹한 조건에서 테스트하기 위하여 시료C와 D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각각 45℃에서 4일간 방치한 후 향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료명 세부내용
시료A 실시예 1을 상온에서 바로 측정(blank)
시료B 비교예 1을 상온에서 바로 측정(blank)
시료C 실시예 1을 45℃에서 4일간 방치 후 측정
시료D 비교예 1을 45℃에서 4일간 방치 후 측정
상기 표 2의 비교예 1과 실시예 1에 함유된 향료의 주요성분인 레몬유에 함유되어 있는 리모넨(Limonene) 피크의 면적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고, 각각 시료 A~D의 GC-MSD 분석된 전체 크로마토그램을 도 3~6에 나타내었다.
리모넨 피크의 면적
시료명 피크 면적
시료A 135128729
시료B 133081070
시료C 63125783
시료D 83858673
상기 표 3에 나타나듯이, 상온에서 바로 측정한 시료 A와 시료 B의 경우에는 리모넨 피크의 면적이 비슷한 것으로 보아 초기에 발산되는 향은 비슷하나, 45℃에서 4일간 방치한 후 측정한 시료 C와 시료 D의 경우 실시예 1이 비교예 1보다 리모넨 피크의 면적이 현저히 줄어듦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하는 향료 포집 복합체는 담지체로 이용되어 유효성분인 향을 그 안에 담지시켜 향이 날아가지 않도록 하고 도포시 구조가 풀리면서 향을 지속적으로 서서히 발산시킴으로써 미사용 상태에서는 발산하는 향기를 억제하고 실제 사용시 향기를 발산시켜 지속적으로 강한 향의 발산이 가능하다.
[시험예 3] 사용감 평가
상기 비교예 1~3 및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기본적인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5명의 여성에게 각각 3회 이상 도포하게 한 후 일반적인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발림성, 밀착성 및 촉촉함) 선호도를 9점 척도로 평가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선호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발림성 7 3 7 7 7 6
밀착성 8 6 8 8 7 7
촉촉함 7 7 7 7 7 7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비교예 3 및 실시예 1~3은 발림성, 밀착성 및 촉촉함에 대하여 모두 유사한 정도의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의 함유 여부에 따라 사용감에는 큰 차이가 없으므로 일반적인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향료 포집 복합체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발림성 면에서 만족감이 떨어지므로 향료 포집 복합체를 적절한 함량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무게 변화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무게 변화율이 100.0~99.9%인 부분을 확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한 실시예 1을 상온에서 GC-MSD 분석한 시료 A의 전체 크로마토크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을 상온에서 GC-MSD 분석한 시료 B의 전체 크로마토크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한 실시예 1을 45℃에서 4일간 방치한 후 GC-MSD 분석한 시료 C의 전체 크로마토크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을 45℃에서 4일간 방치한 후 GC-MSD 분석한 시료 D의 전체 크로마토크램이다.

Claims (4)

  1. 향료, 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 및 오일로 구성된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포집 복합체는 스티렌-부타디엔 혼합 폴리머: 오일의 중량비가 1~50:99~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포집 복합체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립스틱, 립글로즈, 립밤 또는 립펜슬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98677A 2009-10-16 2009-10-16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1172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677A KR101172226B1 (ko) 2009-10-16 2009-10-16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677A KR101172226B1 (ko) 2009-10-16 2009-10-16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718A KR20110041718A (ko) 2011-04-22
KR101172226B1 true KR101172226B1 (ko) 2012-08-07

Family

ID=4404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677A KR101172226B1 (ko) 2009-10-16 2009-10-16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2202A (zh) * 2021-12-27 2022-04-26 广州市柏菲化妆品有限公司 一种唇甲两用护理精华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3209A1 (en) * 2001-12-20 2005-02-24 Peter Schmiedel Sustained release fragrance matrix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3209A1 (en) * 2001-12-20 2005-02-24 Peter Schmiedel Sustained release fragrance matrix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718A (ko) 201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894B1 (ko) 모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172226B1 (ko) 향료 포집 복합체를 함유하는 발향성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3992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0682B1 (ko) 감국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01569A (ko)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78147B1 (ko) 복분자딸기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5060712B2 (ja) 油性固形化粧料
KR102063448B1 (ko) 솔나리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60097767A (ko) 향료 조성물
KR102108501B1 (ko)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30053688A (ko) 한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24929B1 (ko) 단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20053095A (ko) 백선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23018B1 (ko) 입술 화장료 조성물
Tonapa et al. Formulation And Stability Test Of Lip Cream Preparation Of Kenop Flower Ethanol Extract (Gomphrena Globosa L.)
Lin et al. Floral scent composition in Luculia gratissima (Wallich) Sweet analyzed by HS-SPME-GC-MS
KR101608883B1 (ko)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737998B1 (ko) 산국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610346B1 (ko) 다래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28986B1 (ko) 백련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2006342142A (ja) 油性固形化粧料
Anggraini et al. Making Skin Lotion From Virgin Coconut Oil With Adding Several Natural Plants Extract as a Skin Protector
KR101072040B1 (ko) 섬백리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60455B1 (ko) 류코코리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81580B1 (ko) 자두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