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8157B1 - 개량된 방향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량된 방향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157B1
KR100208157B1 KR1019920014713A KR920014713A KR100208157B1 KR 100208157 B1 KR100208157 B1 KR 100208157B1 KR 1019920014713 A KR1019920014713 A KR 1019920014713A KR 920014713 A KR920014713 A KR 920014713A KR 100208157 B1 KR100208157 B1 KR 100208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fragrance
composition
ascorbic acid
stab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570A (ko
Inventor
김영설
Original Assignee
김진수
한국존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한국존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19920014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157B1/ko
Publication of KR940003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몬향, 사과향 및 아카시아향 중에서 선택된 방향성분과 안정화제로서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를 함유하는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정화제로서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를 사용함으로써 방향성분의 경시변화를 방지하여 쾌적한 향을 제품이 다 사용될 때까지 유지시켜 줄 뿐 아니라, 비타민 C 성분 자체에 의한 추가의 피부미용 효과 등 까지 기대되는 개선된 조성물이다.

Description

개량된 방향제 조성물
본 발명은 개량된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를 함유하는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고도의 문화생활을 영위하게 된 현대인들은 좀더 안락하고 쾌적한 생활을 영위하고자하는 강력한 욕구를 가지게 되었다. 더구나, 근대 과학과 산업의 발달에 따라 특히 도시인들은 대기오염, 악취 등의 공해로 인해 심한 불쾌감, 불안감, 긴장감, 우울증 등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특히 주거 환경이나 근무 환경등에서 쾌적하고 안락한 분위기를 얻고자 하는 욕구에 따라 인공적으로 자연과 같은 환경을 제공하는 방향제 조성물들이 개발되어 이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방향제 조성물은 너무 지나치게 강력한 향을 내지 않고 자연에서와 거의 동일한 향을 발하는 것일수록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주로 식물 정유성분들이 방향제 조성물의 방향성분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성분들은 대부분 반응성이 상당히 크므로 경시변화를 일으켜 사용 종료시까지 향을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고 오히려 악취가 나게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방향성분들을 안정화시켜 사용 종료시까지 품질에 변화없이 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수단을 찾고자 광범한 연구를 한 결과, 그 자체가 피로회복, 피부미용, 면역증강 효과 등의 약리학적 효과를 가지면서 또한 산화방지제로써도 작용할 수 있는 비타민 C 및 그의 유도체들을 방향제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레몬향, 사과향 및 아카시아향 중에서 선택된 방향성분과 안정화제, 즉 산화방지제인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를 함유하는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비타민 C 성분은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 나트륨(비타민 C 나트륨),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비타민 C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브산 디팔미테이트(비타민 C 디팔미테이트) 및 아스코르브산 스테아레이트(비타민 C 스테아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성분이다.
본 발명의 방향제 조성물에서 방향성분의 양은 전체 조성물 100당 0.3g 내지 1.0g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성분의 양이 0.3g 보다 적으면 충분한 향을 낼 수 없으며, 1.0g 보다 많은 경우에는 향이 너무 강하여 오히려 사용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을뿐 아니라, 제품의 안정성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비타민 C 유도체는 전체 조성물 100당, 0.05g 내지 2.0g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비타민 C 성분이 0.05g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안정화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고, 2.0g 보다 다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경제적일 뿐 아니라 안정화 효과에도 특별한 추가의 잇점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방향제 조성물 100당, 방향성분 0.3g 내지 1.0g 및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 0.05g 내지 2.0g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제 조성물은 상기 언급한 방향성분 및 비타민 C 성분이외에 방향제 제조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통상의 첨가제 및 분사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들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레몬향 방향제 조성물
레몬향 0.7g을 95에탄올 24g에 가하여 용해시킨다(레몬향 에탄올 용액). HCO-50 0.5g을 정제수 15g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0.3g을 가하여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킨다. 생성된 용액을 상기에서 수득된 레몬향 에탄올 용액과 충분히 혼합시킨 후, 여과하고 분사제로서 LPG 60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방향제 용기에 충전시킨다.
[실시예 2]
사과향 방향제 조성물
사과향 0.7g을 95에탄올 24g에 가하여 혼합,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에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 0.5을 가하여 용해시킨다(사과향 등용액). 별도로 정제수 15g에 HCO-50 0.5g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상기에서 수득된 사과향 등용액에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하여 완전히 혼합시킨다.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한 후, 여액을 분사제로서 LPG 60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방향제 용기에 충전시킨다.
[실시예 3]
아카시아향 방향제 조성물
아카시아향 0.3g 및 아스코르브산 디팔미테이트 0.9g을 95에탄올 24g에 용해시킨다(아카시아향 등용액). 별도로 HCO-50 0.5g을 정제수 15g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상기에서 수득한 아카시아향 등용액에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하여 완전히 혼합시킨다.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한 후, 여액을 분사제로 LPG 60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방향제 용기에 충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방향제 조성물은 산화방지제인 비타민 C 유도체의 안정화 효과로 방향성분의 경시변화를 방지하므로 사용이 끝날때까지 상쾌한 향을 유지시켜 줄 뿐 아니라 비타민 C 자체에 의한 추가의 효과, 예를 들면 피부미용 효과 까지도 예상할 수 있어 방향제 조성물 분야에서의 명백한 진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4)

  1. 레몬향, 사과향 및 아카시아향 중에서 선택된 방향성분 및 안정화제로서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방향성분을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3 내지 1.0w/v의 양으로 함유하는 방향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안정화제가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 나트륨,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브산 디팔미테이트 및 아스코르브산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방향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3항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정화제를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5 내지 2.0w/v의 양으로 함유하는 방향제 조성물.
KR1019920014713A 1992-08-14 1992-08-14 개량된 방향제 조성물 KR100208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713A KR100208157B1 (ko) 1992-08-14 1992-08-14 개량된 방향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713A KR100208157B1 (ko) 1992-08-14 1992-08-14 개량된 방향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570A KR940003570A (ko) 1994-03-12
KR100208157B1 true KR100208157B1 (ko) 1999-07-15

Family

ID=1933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713A KR100208157B1 (ko) 1992-08-14 1992-08-14 개량된 방향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1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166B1 (ko) 2019-10-16 2021-08-27 주식회사 센트프로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항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52076B1 (ko) 2019-10-16 2020-09-07 주식회사 센트프로 집중력 향상용 항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4167B1 (ko) 2019-10-16 2021-08-27 주식회사 센트프로 심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570A (ko) 199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7570A (en) Oral product
DE2608226A1 (de) Mittel mit physiologischer kuehlwirkung
US4601900A (en) Mouthwash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eparing it
JPH07145398A (ja) ミント系香料の香味改善方法及びミント系香料組成物
CA1120861A (en) Cationic germicide with masking flavourant in oral product
KR100208157B1 (ko) 개량된 방향제 조성물
US5968535A (en) Denaturant for ethanol
EP1565074A1 (en) Flavour compositions
EP0041122B1 (de) Di- und Tetrahydrobenzofuranonderivate enthaltende Riechstoffkompositionen
JPS61268259A (ja) 消臭剤
JPH072641A (ja) 着香剤組成物
JP2000198719A (ja) 発毛剤
ES434932A1 (es) Procedimiento para preparar composiciones perfumantes y a- romatizantes.
DE2737525A1 (de) Riechstoffe und aromamittel
JPH07330619A (ja) 香料を配合したヨウ素製剤
JP2569639B2 (ja) 消臭剤
KR20010020067A (ko) 아로마테라피용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의
KR101224296B1 (ko)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US5369092A (en) Odorant compositions
JP2551012B2 (ja) 口腔用組成物
JP2508061B2 (ja) 液状消臭性組成物
JP2927590B2 (ja) 香料組成物
JPS6267016A (ja) 香料組成物
JP2950674B2 (ja) 口腔用組成物
JPH0761353B2 (ja) 液状消臭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