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626B1 -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626B1
KR101871626B1 KR1020170011707A KR20170011707A KR101871626B1 KR 101871626 B1 KR101871626 B1 KR 101871626B1 KR 1020170011707 A KR1020170011707 A KR 1020170011707A KR 20170011707 A KR20170011707 A KR 20170011707A KR 101871626 B1 KR101871626 B1 KR 10187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raw material
perfume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신호
Original Assignee
박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신호 filed Critical 박신호
Priority to KR1020170011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85~95% 에탄올 40~45중량%에 수용성 향료 2~8중량% 혼합하여 수상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ESTASN 3580 중량40~45%에 유용성 향료 2~8중량%를 혼합하여 유상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 원료와 유상 원료를 혼합하여 용기에 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 및 그 제조방법{Multi-perfume having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수는 화장품의 일종으로서 향을 내는 물질들을 적당한 비율로 배합한 후 알코올 등에 용해시켜 제조하고, 신체의 일부분이나 옷에 뿌려 사용하며, 피부로부터 발산되는 체온 또는 체취와 함께 섞여서 향기를 발산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향수를 신체 또는 의복에 사용하면, 신체로부터 발산되는 나쁜 냄새가 저감 또는 차단되고, 향수로부터 발산되는 좋은 향기에 의하여 타인으로 하여금 호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남녀를 불문하고 현대인들에게 매우 선호되는 화장품의 일종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향수는 오일성분의 향료를 혼합하기 위하여 HCO40, 폴리소르베이트20 등의 가용화제를 사용하므로 피부를 자극하는 유해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용기에 한 분류의 향만 담아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여러 향수를 사용할 시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부 자극의 유해성을 줄이고 하나의 용기에 다양한 분류의 향을 담아 사용하는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85~95% 에탄올 40~45중량%에 수용성 향료 2~8중량%를 혼합하여 수상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ESTASN 3580 중량40~45%에 유용성 향료 2~8중량%를 혼합하여 유상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 원료와 유상 원료를 혼합하여 용기에 담는 단계;를 포함하는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수상 원료에 수용성 색소 0.01~2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 원료에 유용성 색소 0.01~2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에 담은 수상 원료와 유상 원료는 일정 시간 지나면 수상층과 유상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상층과 유상층은 상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상층과 유상층의 향수를 각각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용기에 다양한 향수를 담아 사용할 수 있어 휴대성이 편리하고, 가용화제를 사용하지 않아 피부 자극의 유해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용기에 향수의 층이 분리되어 시각적으로 테라피를 주는 칼라테라피와 향으로 테라피하는 아로마테라피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의 분리된 상태와 혼합한 상태를 각각 보여준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 제조방법은 먼저, 에탄올에 정제수를 가용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에탄올 가용화를 진행한 후 수용성 향료를 후첨하여 가용화를 진행하고, 다음으로 수용성 색소를 원하는 색으로 혼합하여 수상 원료를 준비한다(S100).
이때, 상기 수상 원료은 85~95% 에탄올 40~45중량%에 수용성 향료 2~8중량%와 수용성 색소 0.01~2중량%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향료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틸 알코올에 에센스(Essence) 정유 및 정유 성분을 용해한 향료로 과일즙, 젤리, 과일 젬, 아이스크림, 연초와 알콜 종류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향수, 스킨, 오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색소는 일반적인 flavonoid계, anthocyan계, tannin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점도와 끈적임이 있고 인체에 무해하며 자극이 없는 ESTASN 3580 원료에 유(지)용성 향료를 혼합한 후 색이 필요한 경우 지용성 색소를 혼합하여 유상 원료를 준비한다(S200).
이때, 상기 유상 원료는 ESTASN 3580 중량40~45%에 유용성 향료 2~8중량%와 유용성 색소 0.01~2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STASN 3580(INCI명: Caprylic/CapricTriglycerides)은 동식물에서 얻어지는 천연 지방의 일종이며 지방산으로부터 합성된 트리글리세라이드로, 카프릴릭애씨드(Caprylic acids)와 카프릭애씨드(Capric acids) 그리고 글리세린(Glycerin)의 트리에스더(Triester)의 혼합 지방산이다. 이는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지 않아 산화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고 주로 코코넛오일과 그리세린의 복합물로 이루어지고, 무색, 무취이다.
또한, 상기 ESTASN 3580은 에탄올 함유량이 많은 향수를 사용시 에탄올로 인한 피부 수분 감소를 복구하여 수분을 공급해주며 보호막을 형성하고 번들거림과 끈적임이 없어 분사주입구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며 지용성 용매/용제 역할을 합니다. 독성이 없고 피부 자극이 거의 없고 축적되지 않는다.
상기 유(지)용성 향료는 일반적인 지용성 에센스로 천연 에센스와 합성 향료를 지용성 용해중 배합 제조된 향료로, 유용성 용제는 천연오일로 일반적인 땅콩기름, 참기름, 올리브유로 사용되며, 유기용제로 식료품공업에 사용된다.
상기 유용성 색소는 chlorophyll계, carotenoid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준비된 수상 원료와 유상 원료를 혼합하여 하나의 용기에 담는다(S300).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의 분리된 상태와 혼합한 상태를 각각 보여준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85~95% 에탄올 40~45중량%에 수용성 향료 2~8중량%와 수용성 색소 0.01~2중량%를 혼합한 수상 원료와 ESTASN 3580 중량40~45%에 유용성 향료 2~8중량%를 혼합한 유상 원료를 혼합하여 용기(10)에 담아 일정 시간(2~5분) 지나면 수성층(20)과 유상층(30)으로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성 향료는 apple, crushedpecan, garden sage, sweet persimmon, eucalyptus leaves, fresh vasil, clove, vanilla, musk, 및 sanderwood를 혼합한 것이고, 수용성 색소는 D&C Red #4이며, 유용성 향료는 Valencia orange,raspberries, lime, jasmine, cedar, musk, 및 amber를 혼합한 것이다.
상기 유상층(30)은 유상 원료에 유용성 색소가 혼합되지 않아 투명하게 나타난 것이며, 수성층(20)은 수상 원료에 수용성 색소인 D&C Red #4가 첨가되어 레드(Red) 색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수용성 색소와 유용성 색소에 따라 층을 다양한 색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수상층(20)의 향수는 흡입관(11)을 통해 분무하여 사용하고, 유상층(30)의 향수는 흡입관(11)에서 흡입할 수 있도록 용기(10)를 좌측으로 기울여 분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향수가 층으로 분리되어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하며 2 분류의 향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와 같이 수성층(20)과 유상층(30)으로 분리된 향수를 흔들어 혼합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수상층(20)과 유상층(30)이 혼합된 향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용기 11: 흡입관
20: 수상층 30: 유상층

Claims (7)

  1. 에탄올 40~45중량%에 수용성 향료 2~8중량%와 수용성 색소 0.01~2중량%를 혼합하여 수상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트리글리세라이드 중량40~45%에 유용성 향료 2~8중량%와 유용성 색소 0.01~2중량%를 혼합하여 유상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 원료와 유상 원료를 혼합하여 용기에 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담은 수상 원료와 유상 원료는 일정 시간 지나면 수상층과 유상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층과 유상층은 상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층과 유상층의 향수를 각각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의 제조방법.
  7.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
KR1020170011707A 2017-01-25 2017-01-25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871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707A KR101871626B1 (ko) 2017-01-25 2017-01-25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707A KR101871626B1 (ko) 2017-01-25 2017-01-25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626B1 true KR101871626B1 (ko) 2018-06-26

Family

ID=6278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707A KR101871626B1 (ko) 2017-01-25 2017-01-25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6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826A (ko) * 2004-11-01 2006-05-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이중층 방향 소취제 조성물
KR20070066771A (ko) * 2005-12-22 2007-06-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KR20140072549A (ko) * 2012-12-05 2014-06-13 코웨이 주식회사 3층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3691A (ko) * 2014-05-16 2017-01-09 레스토시, 엘엘씨 2상 화장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826A (ko) * 2004-11-01 2006-05-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이중층 방향 소취제 조성물
KR20070066771A (ko) * 2005-12-22 2007-06-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이중층의 방향 소취제 조성물
KR20140072549A (ko) * 2012-12-05 2014-06-13 코웨이 주식회사 3층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3691A (ko) * 2014-05-16 2017-01-09 레스토시, 엘엘씨 2상 화장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6632B2 (en) Topical deodor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and use
JP2003138290A (ja) 蚊忌避効果を有する香料組成物
JPH0456001B2 (ko)
ITPI20110101A1 (it) Estratto di helichrysum in olio di jojoba e composizioni a base di tale estratto, in particolare, per trattare condizioni della pelle
JP2000191525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KR20190050186A (ko) 피톤치드향을 함유하는 고형 타입의 스틱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71626B1 (ko) 층이 분리되는 다중 향수 및 그 제조방법
JP2001192328A (ja) 乳化化粧料
FR2896413A1 (fr) Composition huileuse coloree
US20160303037A1 (en) Composition for a perfume delivery system having a triple-action and a bi-modal release
CN103169629B (zh) 一种洗甲水及其制备方法
JPH08231980A (ja) 香料組成物
RU2234913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ванн "женьшень-2"
KR101936426B1 (ko) 향료를 이용한 천연탈취제
JPS61227517A (ja) 皮膚化粧料
RU2069557C1 (ru) Крем для кожи
CN109998983A (zh) 一种含蛹虫草提取物的滋润唇膏及其制备方法
JPH0525030A (ja) 皮膚化粧料
RU2058133C1 (ru) Крем для лица
JPH0145444B2 (ko)
JP2001299890A (ja) テルペン類を含有する透明ゲル状組成物
JP2714764B2 (ja) カプセル配合透明クレンジング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4123674A (ja) 皮膚外用剤
RU2105543C1 (ru) Секс-крем
CN106038685A (zh) 一种迷迭香提神醒脑外用软膏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