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918A - 리필용기 - Google Patents

리필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918A
KR20070065918A KR1020077011956A KR20077011956A KR20070065918A KR 20070065918 A KR20070065918 A KR 20070065918A KR 1020077011956 A KR1020077011956 A KR 1020077011956A KR 20077011956 A KR20077011956 A KR 20077011956A KR 20070065918 A KR20070065918 A KR 20070065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fill container
mounting
state
f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1102B1 (ko
Inventor
카즈히로 고토
사치코 토요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7006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가 장전된 속접시를 수납해 보호하는 리필용기에 관한 것이고, 화장료가 장전된 속접시를 수납하는 리필용기를, 장착부와 결합부에 의해 구성한다. 장착부는 화장료가 노출된 노출면을 덮도록 속접시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고, 장착상태에 있어서 노출면과 대향하여 이것을 보호하는 뚜껑부와, 장착상태에 있어서 속접시의 속접시 저면이 노출된 상태로 속접시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는, 속접시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속접시와 결합하여, 장착부로부터 속접시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속접시의 장착성의 향상을 꾀한다.
리필용기, 속접시, 뚜껑부, 유지부

Description

리필용기{REFILL CONTAIN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는 것에 의해 한층 명료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인 리필용기의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례인 리필용기의 뚜껑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리필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리필용기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B1-B1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A1-A1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리필용기의 결합부 근방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리필용기의 평면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B2-B2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A2-A2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리필용기의 결합부 근방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리필용기의 결합부 근방을 확대해서 나타내 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인 리필용기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인 리필용기의 정면도,
도 15는, 도 13에 있어서의 B3-B3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인 리필용기의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인 리필용기의 정면도,
도 18은, 도 16에 있어서의 B4-B4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19a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인 리필용기의 평면도,
도 19b는, 도 19a에 있어서의 A3-A3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20은, 도 19a에 있어서의 C-C화살표로 본 도면,
도 21은, 도 19a에 있어서의 B5-B5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인 리필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인 리필용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4는, 도 22에 있어서의 B6-B6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25는, 도 22에 있어서의 A4-A4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26은, 손가락지지부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을 에멀션팩트 속접시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리필용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화장료가 장전된 속접시를 수납하여 보호하는 리필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운데이션 등의 분말화장료 혹은 고형화장료(이하, 단지 화장료라고 한다)용의 컴팩트 용기는, 화장료가 장전된 속접시를 내부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속접시 내의 화장료를 다 썼을 경우, 새롭게 화장료가 장전된 속접시를 구입하여 사용후의 속접시와 교환함으로써, 경제성·편리성을 도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화장료는 속접시에 장전된 상태로 판매된다. 그렇지만, 단지 속접시에 화장료가 장전된 상태인 채로 출하·판매되면, 그 과정에서 화장료가 속접시로부터 비산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화장료가 장전된 속접시는, 리필용기에 수납된 후에 출하·판매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일례인 리필용기(1)를 나타내고 있다. 이 리필용기(1)는 수지성형품이며, 종래에서는 대략하면 리필본체(2)와 뚜껑부(3)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다. 리필본체(2)와 뚜껑부(3)는 힌지부(4)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따라서 뚜껑부(3)는 힌지부(4)를 중심으로 해서 리필본체(2)에 대하여 뚜껑개폐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리필본체(2)는 수납부(5)를 형성하고 있고, 화장료(7)가 장전된 속접시(6)(수지제)는 이 수납부(5) 내에 수납된다. 이때 종래에서는, 속접시(6)는 그 저부측으로부터 리필본체(2)에 수납되는 구성이었기 때문에, 속접시(6)를 수납부(5)안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화장료(7)는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장료(7)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뚜껑부(3)을 닿고, 이 상태로 출하·판매가 행하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상기한 종래구성의 리필용기(1)에서는, 리필용기(1)가 리필본체(2)와 뚜껑부(3)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형상이 크고, 이것에 따라 리필용기(1)의 가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리필용기(1)는, 속접시(6)를 컴팩트 용기에 갈아 넣었을 경우에는 쓰레기가 되는 것이며, 쓰레기의 감량 및 가격저감의 관점에서, 될수 있는 한 작게 하고, 형성에 요하는 재료도 적게 할 필요가 있다.
또, 종래의 리필용기(1)에서는, 속접시(6)를 리필용기(1)안에 장착하는데, 우선 속접시(6)를 리필본체(2)의 수납부(5)안에 수납하고, 그 후에 뚜껑부(3)를 닫는다는 2가지의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속접시(6)를 리필용기(1)에 장착하는 작업이 번거로워서, 장착작업의 효율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리필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총괄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목적은,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속접시의 장착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리필용기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화장료가 장전된 속접시를 수납하는 리필용기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노출된 노출면을 덮도록 상기 속접시에 장착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장착상태에 있어서 상기 노출면과 대향하여 이것을 보호하는 뚜껑부와, 상기 장착상태에 있어서 상기 속접시의 저면이 노출된 상태로 그 속접시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 장착부와 상기 속접시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속접시와 결합하고, 상기 장착부로부터의 상기 속접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필용기를 장착부와 결합부를 갖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장착부는 뚜껑부와 유지부를 갖고, 장착상태에 있어서 유지부는 속접시의 저면이 노출된 상태로 속접시를 유지하고, 또 뚜껑부는 노출면과 대향하여 이것을 보호한다.
또한,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속접시의 저면은 장착부로부터 노출된 상태가 되지만, 상기와 같이 화장료가 노출된 노출면은 뚜껑부에 의해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속접시의 저면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도 화장료에 열화가 생길 일은 없다.
또한, 속접시를 리필용기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단지 속접시를 장착부 내에 삽입하면 되고, 이것에 의해 속접시와 결합부의 결합도 행하여진다. 따라서, 속접시를 장착부 내에 삽입하는 하나의 동작으로 속접시를 리필용기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속접시를 리필용기에 장착하는 작업은 간단화되어, 작업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리필용기를 리필본체와 뚜껑부에 의해 구성하여 리필용기 내에 속접시를 완전히 수납하는 구성에 비하여, 본 청구항에 관한 리필용기는 보호를 가장 필요로 하는 화장료의 노출면을 커버하고, 속접시의 저면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리필용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재료비용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리필용기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외주가장자리에 반환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속접시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반환부의 반환끝부가 상기 속접시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부의 외주가장자리에 반환부를 형성함으로써, 장착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속접시의 보호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속접시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반환부의 반환끝부가 속접시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외부충격이 인가되었을 경우, 이 돌출된 부분이 완충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속접시의 보호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리필용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속접시의 저면과 결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부가 속접시의 저면과 결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속접시에 결합부와 결합하는 구성(예를 들면, 홈부 등)을 형성하지 않아도, 속접시를 리필용기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리필용기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상기 속접시를 상기 장착부로부터 떼어낼 때에 상기 속접시를 분리조작하기 위한 손가락지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속접시를 장착부로부터 떼어낼 때, 속접시를 분리조작하기 위한 손가락지지부를 장착부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는 손가락지지부를 통하여 속접시를 파지함으로써, 장착부에서 속접시를 꺼낼 수 있고, 따라서 분리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리필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를 구성하는 측벽의 적어도 상기 손가락지지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뚜껑부를 구성하는 측벽의 적어도 손가락지지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이 경사면이 틈을 제공하여 손가락지지부를 형성하는 커터로서 두터운 강재로 이루어지는 커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손가락지지부의 형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손가락지지부를 깊게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속접시를 장착부로부터 떼어낼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리필용기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상기 손가락지지부의 설치면과 다른 면에,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속접시를 상기 장착부로부터 떼어낼 때에 파지되는 손잡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부의 손가락지지부의 설치면과 다른 면에,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속접시를 장착부로부터 떼어낼 때에 파지되는 손잡이부를 형성함으로써, 속접시를 장착부로부터 떼어낼 때, 손잡이부를 파지해서 속접시로부터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장착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속접시를 장착부로부터 분 리하는 조작을 보다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리필용기(10A)를 나타내고 있다.
리필용기(10A)는, 화장료(12)가 내부에 장전된 속접시(11A)를 수납하여 유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료(12)로서 파운데이션 등의 분말화장료를 사용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이 리필용기(10A)는, 예를 들면 진공성형법 혹 인젝션(사출성형)법 등을 사용함으로써 수지를 일체성형한 것이며, 또 본 실시예에서는 그 재질로서 재생 A-PET(비정질-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있다. 재생 A-PET는 재생품이 아닌 신규한 수지에 비하여 저가격이기 때문에, 재생 A-PET를 사용함으로써 리필용기(10A)의 가격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용의 추진 및 쓰레기 감량 등의 환경면에도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재생 A-PET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대신해서 PS(폴리스티렌), PP(폴리프로필렌), PVC(염화비닐수지) 등의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A-PET는 투명하지만, 리필용기(10A)는 반드시 투명할 필요는 없고, 반투명 혹은 불투명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하, 리필용기(10A)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
리필용기(10A)는, 대략하면 장착부(20A), 결합부(21A) 및 반환부(22)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장착부(20A), 결합부(21A) 및 반환부(22) 는, 재생 A-PET를 사용해서 진공성형법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20A)는, 화장료(12)가 장전된 속접시(11A)를 장착하는 부위이며, 개략적으로 보아서 바닥이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장착부(20A)는, 유지부(23A), 뚜껑부(24), 단차부(25) 등을 갖은 구조로 되어 있다.
유지부(23A)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접시(11A)를 장착한 상태(이하, 장착상태라고 한다)에 있어서 속접시(11A)의 측면과 대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유지부(23A)에는, 안쪽을 향해(즉, 장착상태에 있는 속접시(11A)를 향해) 돌출된 결합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속접시(11A)의 측면에는 결합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속접시(11A)가 장착부(20A)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이 결합홈(14)은 결합부(21A)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결합홈(14)과 결합부(21A)가 결합한 상태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렇게 결합부(21A)가 결합홈(14)과 결합함으로써 발생하는 결합력에 의해, 속접시(11A)는 장착부(20A) 내에 유지된다.
뚜껑부(2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본 상태에 있어서 유지부(23A)에 대하여 약간 작은 면적을 갖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부(24)와 유지부(23A) 사이에는 단차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25)는, 장착상태에 있어서 속접시(11A)의 상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속접시(11A)의 결합홈(14)이 결합부(21A)와 결합하고, 또한 속접시(11A)의 상단부가 단차부(25)와 접촉함으로써 속접시(11A)는 장착부(20A) 내에 확실하게 수납되어 유지된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접시(11A)가 장착상태에 있을 때, 뚜껑부(24)는 화장료(12)의 외부에 노출된 노출면(15)과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장료(12)의 노출면(15)은 뚜껑부(24)에 의해 보호된다.
이 때, 뚜껑부(24)는 노출면(15)과 밀착되는 구성이 아니라, 도 5에 화살표 H1로 나타내는 치수만큼 이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뚜껑부(24)와 노출면(15) 사이에는 공간부(29)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령 뚜껑부(24)에 외력(진동이나 충격 등)이 인가되었다고 해도, 뚜껑부(24)가 변형함으로써 외력을 흡수할 수 있어, 화장료(12)에 손상(예를 들면, 노출면(15)에 요철이 발생하는 등)이나 비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환부(22)는, 유지부(23A)의 외주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유지부(23A)로부터 연속해서 반환되도록(뒤집어 접히도록) 형성된 부위이다. 따라서, 이 반환부(22) 내에는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환부(22)의 반환부분이 되는 도면중 아래쪽의 끝부(27)는, 장착상태에 있는 속접시(11A)의 속접시 저면(13)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소정량(도 5에 화살표 H2로 나타낸다)만큼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환부(22)의 소정위치에는, 구덩이 형상으로 된 손가락지지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상태에 있어서 속접시(11A)의 결합홈(14)은 결합부(21A)에 결합되어 있지만, 속접시(11A)를 리필용기(10A)로부터 꺼낼 때에는, 이 손가락지지부(28A)를 통하여 직접 속접시(11A)를 파지하고, 속접시(11A)를 리필용 기(10A)로부터 빼낸다. 따라서, 유지부(23A)의 외주에 반환부(22)가 형성되어 있어도, 손가락지지부(28A)를 설치함으로써, 속접시(11A)를 리필용기(10A) 로부터로 꺼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리필용기(10A)는, 유지부(23A)의 외주가장자리에 반환부(22)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유지부(23A)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속접시(11A)에 대하여 측면방향에서 외력이 인가되어도, 반환부(22)가 변형함으로써 이것을 흡수할 수 있어, 속접시(11A)의 보호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장착상태에 있어서 반환부(22)의 끝부(27)(반환끝부)는 속접시(11A)의 속접시 저면(13)으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외력이 아래쪽에서 인가되어도 이 끝부(27)의 속접시 저면(13)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완충기능을 발휘하고, 이것에 의해서도 속접시(11A)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속접시(11A)를 리필용기(10A)에 장착할 때,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A)는 단지 속접시(11A)를 유지부(23A)안에 삽입하면 되고, 이것에 의해 속접시(11A)와 결합부(21A)의 결합도 행하여진다. 따라서, 속접시(11A)를 장착부(20A)안에 삽입하는 하나의 동작으로, 속접시(11A)를 리필용기(10A)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속접시(11A)를 리필용기(10A)에 장착하는 작업은 간단화되어, 작업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A)는 보호를 가장 필요로 하는 화장료(12)의 노출면(15)을 뚜껑부(24)에 의해 보호하고, 속접시(11A)의 속접시 저 면(13)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리필본체(2)와 뚜껑부(3)에 의해 리필용기(1)을 구성하고, 리필용기(1)안에 속접시(6)를 완전히 수납하는 구성(도 1 및 도 2 참조)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A)에서는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리필용기(10A)의 재료비용의 저감을 꾀할 수 있고, 또 포장시에 있어서는 포장상자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어 포장비용도 저감된다. 또한, 속접시(11A)의 컴팩트용기에 대한 교체가 종료했을 때, 리필용기(10A)는 쓰레기로서 폐기되지만, 리필용기(10A)가 소형화됨으로써 쓰레기의 감량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A)에서는, 장착상태에 있어서 속접시(11A)의 속접시 저면(13)은 장착부(20A)로부터 노출된 상태가 되지만, 상기 와 같이 화장료(12)의 노출면(15)은 뚜껑부(24)에 의해 보호되어 있고, 또 속접시(11A)는 수지제의 접시체이기 때문에, 속접시 저면(13)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도 이것에 의해 화장료(12)에 열화가 생기는 것 같은 일은 없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제2실시예인 리필용기(10B)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에 있어서, 먼저 도 3 내지 도 7을 사용해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A)와 동일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뒤에 설명하는 제3 내지 제6실시예 및 그 설명에 사용하는 도 12 내지 도 27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A)는, 반환부(22)를 설치함으로써, 특히 측부로부터 속접시(11A)에 대하여 외력이 직접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렇지만, 장착부(20A)의 외측에 반환부(22)를 설치하는 구성에서는, 종래의 리필용기(1)(도 1 및 도 2 참조)에 대하여 소형화 및 재료비용의 저감을 꾀할 수 있지만, 속접시(11A)의 외형에 대하여, 역시 큰 형상으로 되어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B)는, 제1실시예에서 설치하고 있었던 반환부(22)를 제거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리필용기(10B)의 크기를 대략 속접시(11A)와 동등한 크기로 할 수 있어, 더욱 소형화 및 재료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B)의 속접시(11A)의 보호기능에 대해서 고찰하면, 뚜껑부(24)는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장료(12)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아래쪽 방향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하여는, 속접시(11A)가 유지부(23B)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유지부(23B)의 끝부(30)는 속접시(11A)의 속접시 저면(13)으로부터 소정량(도 9에 화살표 H2로 나타내는 치수)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돌출부분에 의해 상기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리필용기(10B)의 아래쪽에서 외력이 인가되었을 경우라도, 속접시(11A)를 보호할 수 있다.
더욱이, 측부에서 리필용기(10B)에 대하여 외력이 인가된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서는 반환부(22)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외력은 직접 속접시(11A)의 측면에 인가되게 된다. 그렇지만, 속접시(11A)는 보통 경질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 비 교적 강도를 갖은 것이다.
또한, 리필용기(10B)를 판지상자(출하시에 리필용기(10B)를 포장하는 용기)에 넣었을 경우, 외력이 측면에서 인가되어도, 리필용기(10B)의 끝부(30)(평평하게 된 외주부분)과 단차부(25)의 어깨부분을 연결한 라인에서, 리필용기(10B)는 판지상자 안쪽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속접시(11A)에 대한 충격은 경감된다. 더욱이, 판지상자는 내용물에 대하여 미소(3㎜정도)한 간극밖에 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하의 규제가 있고, 끝부(30)의 외주와 저부(24)가 판지상자와 접촉한다. 따라서, 판지상자 수납시에 있어서, 단차부(25)는 판지상자와 부딪힐 일은 없고, 따라서, 속접시(11A)에 인가되는 충격은 작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 11에 확대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접시(11A)와 유지부(23B) 사이에는,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이 미소간극 사이에서 유지부(23B)는 가요변형 가능하다. 또한, 결합부(21A)도 약간의 가요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각 가요변형에 의해서도, 리필용기(10B)의 측부에서 인가되는 외력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B)에 있어서도, 리필용기(10B)의 측부에서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속접시(11A) 및 이것에 장전된 화장료(12)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제3실시예인 리필용기(10C)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A)는, 결합부(21A)가 속접시(11A)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4)에 결합함으로써, 속접시(11A)를 장착부(20A)안에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C)는, 결합부(31)가 속접시(11B)의 속접시 저면(13)에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결합부(31)는 리브형상으로 되어 있고, 속접시(11B)가 유지부(23C)안에 삽입 장착될 때에 가요변형하여, 속접시(11B)의 삽입을 허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속접시(11B)가 소정 장착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탄성복원해서 속접시(11B)의 속접시 저면(13)과 결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속접시(11B)의 측면에 결합홈(14)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서, 속접시(11A)의 구성의 간단화 및 성형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31)와 속접시(11B)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속접시(11B)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본 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C)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측부에 결합홈(14)을 갖는 속접시(11A)에 대해서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6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제l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A)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가락지지부(28A)가 반환부(22)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손가락지지부(28A)의 상부에는 플랜지형상으로 뻗어나온 플랜지형상부(34)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지지부(28A)의 끝부(27)로부터의 높이(도면중, 화살표 H3으로 나타낸다)가 얕아, 속접시(11A)의 노 출면(15)보다 낮기 때문에, 손가락지지부(28A)에 노출되는 속접시(11A)의 면적이 작아진다. 더욱이, 이 속접시(11A)가 노출된 위치의 상부에는, 플랜지형상의 플랜지형상부(34)가 연장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속접시(11A)를 리필용기(10A)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손가락지지부(28A)에 손가락을 대었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속접시(11A)의 측면에 닿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겼다. 특히 손톱이 긴 사용자에 있어서는, 손톱이 플랜지형상부(34)에 걸려버려, 속접시(11A)의 측면을 파지할 수 없게 되고, 속접시(11A)의 분리가 매우 귀찮은 일이 되어버린다. 이하 설명하는 제4 내지 제6실시예는, 이 점을 개량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제4실시예인 리필용기(10D)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리필용기(10D)의 평면도이며, 도 14는 리필용기(10D)의 정면도이며, 또 도 15는 도 13에 있어서의 B3-B3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가락지지부(28B)의 상부가장자리의 높이를 속접시(11A)의 노출면(15)보다 높아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다시 말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20D)의 끝부(27)에서 속접시(11A)의 노출면(15)까지 높이를 H5라고 하고, 끝부(27)로부터 손가락지지부(28B)의 상부가장자리의 높이를 H4라고 하면, H4>H5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속접시(11A)의 측면은 손가락지지부(28B)에 모두 노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손가락지지부(28B)는 유지부(23A)를 향해 크게 깊이들어간 구성으로 되어 있고, 평면으로 본 상태에 있어 서 손가락지지부(28B)의 플랜지형상부(33)의 폭(W2)(도 13에 화살표로 나타낸다)은, 제1실시예에 관한 플랜지형상부(34)의 폭(W1)(도 4참조)에 비하여 작게 되어 있다(W2<W1).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D)는, 손가락지지부(28B)에 있어서 속접시(11A)의 측면은 모두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고, 또 손가락지지부(28B)의 상부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플랜지형상부(33)의 폭은 좁아져 있다.
따라서, 손톱이 긴 사용자가 속접시(11A)를 리필용기(10D)로부터 분리하려고 했을 경우라도, 손톱이 플랜지형상부(33)에 부딪혀버리는 일은 없고, 사용자의 손가락을 확실하게 속접시(11A)의 측면에 닿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속접시(11A)를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고, 리필용기(10D)로부터 속접시(11A)를 분리하는 처리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장착부(20D)에 손가락지지부(28B)를 크게 잘라들어가게 형성함으로써, 리필용기(10D)의 강도가 저하되어, 외력 인가에 의한 리필용기(10D)의 변형에 의해 속접시(11A)가 리필용기(10D)로부터 이탈해버리는 것이 염려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속접시(11A)의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속접시(11A)와 결합하는 결합부(21A)를 형성함과 아울러, 장착부(20D)의 네귀퉁이 위치에도 결합부(21B)를 설치하고, 이 네귀퉁이 위치에 있어서도 장착부(20D)가 속접시(11A)와 결합하도록 구성했다.
또한, 반환부(22)의 손가락지지부(28B) 근방위치에는 리브(32)을 형성했다. 이 리브(32)는, 리필용기(10D)를 자동제조할 때에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다. 구체적 으로는, 마무리용 자동라인에서 속접시(11A)를 장착한 리필용기(10D)를 다음공정에 로보트로 반송할 경우, 리브(32)가 없으면 로보트로 쥐는 장소가 없어져서, 반송이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리필용기(10D)에 리브(32)를 형성했다.
그리고, 리필용기(10D)를 제조라인에 공급할 경우, 보통 수십개가 적층된 상태의 리필용기(10D)를, 1개씩 기계로 계속 내보내어 라인에 공급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때, 리필용기(10D)끼리가 깊게 겹치면, 기계적으로 1개씩 계속 내보내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복수가 겹친 상태에서 내보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적층되었을 때에 각각의 리필용기(10D)끼리가 깊게 겹치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서도 리브(32)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도 16 내지 도 18은, 제5실시예인 리필용기(10E)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리필용기(10E)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리필용기(10E)의 정면도이며, 또 도 18은 도 16에 있어서의 B4-B4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한편, 각 도면에 있어서 제4실시예와 동일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한 제4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끝부(27)로부터 손가락지지부(28B)의 상부가장자리의 높이(H4)를, 장착부(20D)의 끝부(27)로부터 속접시(11A)의 노출면(15)까지 높이(H5)에 대하여 크게 설정(H4>H5)했기 때문에, 손가락지지부(28B)에 있어서 장착부(20D)와 속접시(11A)의 노출면(15) 사이에 필연적으로 공간부(35)가 형성된다. 이 공간부(35)의 존재는, 속접시(11A)에 장전된 화장료(12)에 조금도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지만, 고객측에서 보면 화장료(12)의 버진(virgin)성에 영향을 끼치는 감을 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E)는, 손가락지지부(28C) 상부가장자리의 위치가 리필용기(10E)에 유지된 상태의 속접시(11A)의 노출면(15)과 일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4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D)에서는, 손가락지지부(28B) 상부가장자리에 폭(W2)의 플랜지형상부(33)가 존재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E)에서는 손가락지지부(28C)의 상부가장자리에 플랜지부가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지지부(28C)를 조작할 때에 손가락이 접촉하는 접촉부(36)가 유지부(23A)와 거의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E)에 따르면, 제4실시예에서는 형성되어 있었던 공간부(35)가 형성되는 일은 없고, 고객에 대하여 화장료(12)의 버진성에 대한 쓸데없는 의문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지지부(28C)는 플랜지부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구성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가락지지부(28C)에 손가락을 대는 것 만으로 즉시 속접시(11A)의 측면을 파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E)에 따르면, 제4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D)에 비해서 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은, 제6실시예인 리필용기(10F)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a는 리필용기(10F)의 평면도, 도 19b는 도 19a에 있어서의 A3-A3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20은 도 19a에 있어서의 C-C화살표로 본 도면, 또한 도 21은 도 19a에 있어서의 B5-B5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한편, 각 도면에 있어서 제4 및 제5실시예와 동일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치되어 있는 손가락지지부(28D)는, 기본적으로는 제5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E)에 설치된 손가락지지부(28C)와 동일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제5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E)에서는 손가락지지부(28C)가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손가락지지부(28D)만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손가락지지부(28D)가 리필용기(10F)에 1개만 설치한 구성이기 때문에, 리필용기(10F)의 기계적 강도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 비해서 높아지고, 따라서 속접시(11A)의 리필용기(10F)로부터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지지부(28D)가 1개이기 때문에, 손가락 1개로 속접시(11A)를 리필용기(10F)로부터 꺼내는 것이 가능하여, 분리시에 있어서의 조작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5는, 제7실시예인 리필용기(10G)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리필용기(10G)의 평면도이고, 도 23은 리필용기(10G)의 정면도이며, 또 도 24는 도 22에 있어서의 B6-B6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25는 도 22에 있어서의 A4-A4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한편, 각 도면에 있어서 제5실시예와 동일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설명한 도 12 내지 도 15를 사용해서 설명한 제4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D), 및 도 16 내지 도 18을 사용해서 설명한 제5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E)는, 장착부(20D, 20E)의 긴변측의 양측면에 손가락지지부(28B, 28C)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손가락지지부(28B, 28C)를 형성함으로써, 이 손가락지지부(28B, 28C)를 통해서 속접시(11A)를 손가락으로 파지하면서, 리필용기(10D, 10E)를 속접시(11A)로부터 뗄 수 있기 때문에, 속접시(11A)의 리필용기(10D, l0E)로부터의 분리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가 리필용기(10D, 10E)에 대한 사용성 테스트를 행한 바, 처음으로 리필용기(10D, 10E)를 사용하는 사람에 있어서는, 제4 및 제5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D, 10E)에서는, 속접시(11A)를 리필용기(10D, 10E)로부터 꺼내는 방법을 알기 어렵다고 하는 결과가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20G)의 손가락지지부(28E)의 설치면과 다른 면에 손잡이부(42)을 설치한 구성으로 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는 손가락지지부(28E)가 장착부(20G)의 긴변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부(20G)의 짧은변측에 손잡이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42)는, 장착부(20G)의 반환부(22)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부(42)에는 줄무늬상의 엠보스가공이 실시되어 있어, 사용자에 대하여 손잡이부(42)의 존재를 명확히 인지시킴과 아울러 미끄럼방지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속접시(11A)를 장착부(20G)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제4 및 제5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D, 1OE)와 마찬가지로 손가락지지부(28E)를 통해서 속접시(11A)를 손가락으로 집도록 해서 들고, 그런다음 손잡이부(42)를 파지해서 속접시(11A)로부터 윗쪽(도 23에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올린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42)는 반환부(22)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하기 쉽고, 또한 엠보스가공에 의해 미끄러지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손잡이부(42) 근방의 오목부(26)가 한층 움푹패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리필용기(10G)로부터 속접시(11A)를 꺼내는 조작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처음으로 리필용기(10G)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도, 장착부(20G)에 설편형상의 손잡이부(42)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이 손잡이부(42)를 잡아당겨 올리는 것은 용이하게 생각되는 부분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42)의 하부위치에 홈을 파는 엠보스가공에 의해 측부 파지부(45)(도 24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이 측부 파지부(45)에 손가락을 두고 속접시(11A)를 꺼내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G)에서는, 손잡이부(42)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속접시(11A)를 꺼내도, 또 측부 파지부(45)에 손가락을 두고 속접시(11A)를 꺼내도 좋고, 처음으로 리필용기(10C)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리필용기(10G)로부터 속접시(11A)를 꺼낼 수 있다.
여기에서, 장착부(20G)의 뚜껑부(40)에 주목한다. 본 실시예 뚜껑부(40)에서는, 뚜껑부(40)의 외주에 위치하는 측벽부(41)의 각도(도 23 내지 도 25에 화살표θ2로 나타낸다)가, 제5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E)의 뚜껑부(24)의 외주에 위치하는 측벽부(24A)의 각도(도 16에 화살표 θ1로 나타낸다)에 대하여 작게 설정되어 있다(θ1>θ2). 구체적으로는, 제5실시예에 관한 리필용기(10E)의 측벽부(24A)는 거의 수직(θ1≒90°)인 것에 대해, 본 실시예의 측벽부(41)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 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손가락지지부(28E)의 깊이(W4)(도 20 및 도 25에 화살표로 나타낸다)를, 제5실시예의 손가락지지부(28C)의 깊이(W3)(도 16에 화살표로 나타낸다)에 비하여 깊게 할 수 있다(W4>W3). 이하, 이 이유에 대해서, 도 26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6의 (A)부분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손가락지지부(28E)의 형성방법을 내타내고 있고, 또 도 26의 (B)부분은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손가락지지부(28C)의 형성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26의 (A),(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20G, 20E)에 손가락지지부(28E, 28C)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이절삭가공을 행하는 것에 의해 형성한다.
이 다이절삭가공을 행하는 커터로서는, 비교적 얇은 톰슨칼을 사용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 얇은 톰슨칼은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낮기 때문 양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 때문에, 리필용기(10E, 10G)의 양산화를 꾀하기 위해서는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풍부한 강재 커터(43)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강재 커터(43)는 두껍기 때문에, 도 26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부(24)의 측벽부(24A)가 거의 수직(θ1≒90°)인 경우에는, 강재 커터(43)가 측벽부(24A)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이절삭가공을 행하는 위치를 측벽부(24A)로부터 외측으로 이간한 위치에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렇게하여 형성된 손가락지지부(28C)에서는, 필연적으로 손가락지지부(28C)의 상부가장자리에 플랜지형상의 부분이 많이 잔존해버린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26의 (A)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부(40)의 측벽부(41)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측벽부(41)(경사면)가 틈을 제공하여, 두꺼운 강재 커터(43)를 사용해도 측벽부(41)의 근원 근방위치에서 다이절삭가공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손가락지지부(28E) 상부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플랜지형상의 부분을 적게, 혹은 완전히 없애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는 손가락지지부(28E)에 손가락을 대는 것 만으로 즉시 속접시(11A)의 측면을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손가락지지부(28E)의 형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손가락지지부(28E)를 깊게 형성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속접시(11A)를 장착부(20G)로부터 떼어낼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화장료(12)로서 분말화장료를 사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유화 파운데이션 등의 기밀성을 필요로 하는 화장료(12)에 대하여도 본원발명에 관한 리필용기(10A, 10B, 10C)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장착상태에 있어서의 속접시(11A, 1lB)와 리필용기(10A, 10B, 1OC)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단차부(25)의 안쪽에 패킹, 라벨 등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속접시의 재질로서 수지를 사용한 예를 진술했지만, 속접시의 재질은 수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금속 등의 다른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속접시의 형상은 실시예에 나타낸 직사각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원형, 타원형 및 그 밖의 모든 형상에 있어서도 본원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에멀션팩트타입의 속접시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속접시를 기밀밀봉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속접시가 장착된 리필용기를, 예를 들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필름, 실리카 증착필름, 에발(EVAL)(상품명: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 중합체)필름 등의 가스배리어제가 있는 포장재로 포장함으로써, 에멀션팩트타입의 속접시를 적용했을 경우라도 용이하게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7에 나타내는 리필용기(10H)와 같이, 일반적으로 에멀션팩트타입의 속접시(11C)는 개구부의 외주가장자리에 플랜지부(16)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16)를 갖는 속접시(11C)라도, 결합부(21C)를 상부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확실하게 장착부(20H)에 장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속접시를 장착부 내에 삽입하는 하나의 동작으로 속접시를 리필용기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속접시를 리필용기에 장착하는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속접시를 완전히 덮지 않는 구성이기 때문에, 리필용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재료비용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의 외주가장자리에 반환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장착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따라서 속접시의 보호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속접시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반환부의 반환끝부가 속접시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외부충격이 인가되었을 경우라도, 이 돌출된 부분이 완충기능을 발휘하므로, 속접시의 보호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속접시에 결합부와 결합하는 구성(예를 들면, 홈부 등)을 형성하지 않아 도, 속접시를 리필용기에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속접시를 분리조작하기 위한 손가락지지부를 장착부에 설치함으로써, 장착부로부터 속접시를 꺼내는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지지부의 형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손가락지지부를 깊게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속접시를 장착부로부터 떼어낼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속접시를 장착부로부터 떼어낼 때, 손잡이부를 파지해서 속접시로부터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장착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속접시를 장착부로부터 분리하는 조작을 보다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클레임된 본 발명의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게, 여러 가지 변형예나 실시예를 생각할 수 있다.

Claims (10)

  1. 화장료가 장전된 속접시의 상기 화장료가 노출된 노출면을 덮도록 상기 속접시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노출면과 대향하여 이것을 보호하는 뚜껑부와,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속접시의 저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속접시를 유지하는 유지부로 이루어지는 장착부와,
    상기 속접시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속접시와 결합하여, 상기 장착부에서의 상기 속접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리필용기로서,
    상기 뚜껑부와 상기 유지부의 사이에, 상기 속접시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단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를 상기 속접시의 화장료의 노출면에 대하여 이간시킨 구성으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끝부가, 상기 속접시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속접시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끝부는, 평평하게 된 외주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상기 속접시를 상기 장착부에서 분리할 때에 상기 속접시를 분리조작하기 위한 손가락지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속접시의 측면이 손가락지지부에 노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재생 비정질-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및 염화비닐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필용기에 속접시를 수납한 화장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속접시의 측면에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KR1020077011956A 2000-06-23 2001-06-21 리필용기 KR100801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0164 2000-06-23
JPJP-P-2000-00190164 2000-06-23
JPJP-P-2000-00245262 2000-08-11
JP2000245262 2000-08-11
JP2000366022A JP3420208B2 (ja) 2000-06-23 2000-11-30 レフィル容器
JPJP-P-2000-00366022 2000-11-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378A Division KR100770254B1 (ko) 2000-06-23 2001-06-21 리필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918A true KR20070065918A (ko) 2007-06-25
KR100801102B1 KR100801102B1 (ko) 2008-02-04

Family

ID=273438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378A KR100770254B1 (ko) 2000-06-23 2001-06-21 리필용기
KR1020077011956A KR100801102B1 (ko) 2000-06-23 2001-06-21 리필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378A KR100770254B1 (ko) 2000-06-23 2001-06-21 리필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322478B2 (ko)
EP (2) EP1293145B1 (ko)
JP (1) JP3420208B2 (ko)
KR (2) KR100770254B1 (ko)
DE (1) DE60130212T2 (ko)
TW (1) TWI248349B (ko)
WO (1) WO2001097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821A (ja) * 2003-10-16 2005-06-02 Key Tranding Co Ltd 中皿装置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US8114127B2 (en) 2004-06-22 2012-02-14 Hs West Investments, Llc Bone anchors for use in attaching soft tissue to bone
BRPI0503738A (pt) * 2005-08-23 2007-04-27 Natura Cosmeticos Sa sistema de trava e frasco compreendendo sistema de trava
BRPI0504830B1 (pt) * 2005-10-21 2016-07-19 Natura Cosmeticos Sa sistema de trava para embalagens
US20080011320A1 (en) * 2006-07-13 2008-01-17 Bouix Herve F Shock absorber for cosmetic compact
US20100031971A1 (en) * 2007-04-30 2010-02-11 Minna Catherine Ha Cosmetic container
USD588916S1 (en) 2008-04-02 2009-03-24 Mary Kay Inc. Container
JP5432695B2 (ja) * 2009-12-17 2014-03-05 紀伊産業株式会社 陳列用中皿
JP5754085B2 (ja) * 2010-06-03 2015-07-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US8893890B2 (en) * 2013-02-21 2014-11-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illable container
US9095198B2 (en) * 2013-07-25 2015-08-04 HCT Group Holdings Limited Loose powder compact with compressible platform
US9629437B2 (en) * 2013-09-24 2017-04-25 Mu-Chuan Shen Cosmetic container
TWM475866U (en) * 2013-09-24 2014-04-11 Mei Shual Cosmetics Co Ltd Cosmetic box
JP6370549B2 (ja) * 2013-12-26 2018-08-08 株式会社ファンケル 交換用化粧料容器収納容器
WO2015133394A1 (ja) * 2014-03-03 2015-09-11 花王株式会社 受皿容器
KR101466854B1 (ko) * 2014-07-02 2014-11-28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캡슐 화장품 리필구조 및 에어 타이트 기능을 갖는 콤팩트 케이스
US10045600B2 (en) 2014-09-18 2018-08-14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ntainer with quick release base and lid assembly
KR200484157Y1 (ko) * 2015-01-21 2017-08-08 (주)아모레퍼시픽 배출판과 메쉬망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D786088S1 (en) 2015-07-10 2017-05-09 HCT Group Holdings Limited Angled pump with depression
US9993059B2 (en) 2015-07-10 2018-06-12 HCT Group Holdings Limited Roller applicator
USD784162S1 (en) 2015-10-08 2017-04-18 HCT Group Holdings Limited Tottle
USD818641S1 (en) 2016-03-16 2018-05-22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smetics applicator with cap
USD861991S1 (en) * 2016-05-06 2019-10-01 Container Limited Compact
USD835350S1 (en) * 2017-02-16 2018-12-04 Elc Management Llc Cosmetic compact
USD845551S1 (en) * 2017-02-16 2019-04-09 Elc Management Llc Cosmetic compact
USD847436S1 (en) 2017-03-14 2019-04-30 HCT Group Holdings Limited Makeup palette
USD880775S1 (en) 2017-03-14 2020-04-07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smetic kit
USD857996S1 (en) 2017-07-07 2019-08-27 HCT Group Holdings Limited Ball joint compact
USD846197S1 (en) 2017-07-07 2019-04-16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mbined cosmetic stick and compac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35522A (en) * 1922-04-05 1925-04-28 Joseph M Price Tubular box
US1775516A (en) * 1929-01-16 1930-09-09 Farrington Mfg Co Jewelry box
US3311248A (en) * 1964-11-18 1967-03-28 Rexall Drug Chemical Insulated jar
FR2513498A1 (fr) * 1981-09-25 1983-04-01 Oreal Boite a poudre de maquillage
JPS6094105A (ja) * 1983-10-27 1985-05-27 Kurita Water Ind Ltd 膜分離装置
JPS6094105U (ja) * 1983-12-01 1985-06-27 高圧化工株式会社 カラ−コレクシヨンコンパクト用中皿
JPS60158510A (ja) * 1984-01-27 1985-08-19 株式会社東芝 交流用超電導撚線
JPS60158510U (ja) * 1984-03-30 1985-10-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化粧用コンパクト
US4807773A (en) * 1987-09-21 1989-02-28 Aaron Tsai Vertically assembled compact
JPH0212309A (ja) * 1988-06-29 1990-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Cad/cam装置
JPH0212309U (ko) * 1988-07-06 1990-01-25
US5148941A (en) * 1991-07-05 1992-09-22 Chezek Norman A Powder drum
JPH063208A (ja) 1992-06-19 1994-01-11 Fujitsu Ltd 摩擦力測定装置
US5377860A (en) * 1993-09-14 1995-01-03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Double seal food container
US5938016A (en) * 1994-09-02 1999-08-17 Erdtmann; Stefan L. Cosmetics receptacle
US5598929A (en) * 1994-11-17 1997-02-04 The Make-Up Group, Inc. Two-part container
JPH1075817A (ja) * 1996-09-05 1998-03-24 Shiseido Co Ltd 化粧料の交換用中皿の収納容器
FR2755837B1 (fr) * 1996-11-15 1999-01-08 Oreal Boitier de type boitier de maquillage
CA2275361C (fr) * 1997-10-24 2005-10-18 L'oreal Boitier de maquillage a joint d'etancheite
JPH11276240A (ja) * 1998-03-31 1999-10-12 Shiseido Co Ltd 指掛け部付きレフィル容器
US6047710A (en) * 1998-04-13 2000-04-11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Hermetic compact case
US6129089A (en) * 1998-11-05 2000-10-10 Yoshida Industry Co. Ltd. Cosmetic case with hinged refill container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254B1 (ko) 2007-10-25
EP1293145B1 (en) 2007-08-29
KR20030028761A (ko) 2003-04-10
US7775366B2 (en) 2010-08-17
US7322478B2 (en) 2008-01-29
EP1293145A1 (en) 2003-03-19
JP2002119326A (ja) 2002-04-23
EP1293145A4 (en) 2004-10-13
JP3420208B2 (ja) 2003-06-23
EP1767117A1 (en) 2007-03-28
DE60130212D1 (de) 2007-10-11
TWI248349B (en) 2006-02-01
WO2001097648A1 (fr) 2001-12-27
US20070187284A1 (en) 2007-08-16
EP1767117B1 (en) 2015-10-21
KR100801102B1 (ko) 2008-02-04
DE60130212T2 (de) 2008-05-15
US20030155358A1 (en) 200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102B1 (ko) 리필용기
US20200317392A1 (en) Reusable Packaging Assembly
JP3201500U (ja) 梱包材及び梱包体
JP3756881B2 (ja) レフィル容器及び化粧品
JP3544375B2 (ja) レフィル容器及び化粧品
JP6038487B2 (ja) リフィル皿保護容器
JP6177600B2 (ja) 密閉容器
JP3198697U (ja) 商品移送用及び箱詰め用のプリセットケース
JP3423258B2 (ja) ラベル付き容器収納箱
JP2006288806A (ja) 化粧料容器
WO2012019859A1 (en) Smoking article container
EP3115311B1 (en) Package for a smokeless tobacco product and use of a package
JP4625630B2 (ja) 容器
CN212767687U (zh) 环保型全纸托包装结构
JP4519552B2 (ja) シート状物収納容器
JP3186362U (ja) 弁当容器
JP2004051208A (ja) 自販機販売用アタッチメント容器
JP2006218032A (ja) レフィル容器及び化粧品
CN208021951U (zh) 可循环使用并具有良好保护性的包装箱
CN205470221U (zh) 一种具有可折叠金字塔形多层瓦楞衬垫纸盒
KR200311450Y1 (ko) 저장용기용 스텐뚜껑
JP2024027645A (ja) 筆記具用収容箱
KR200359356Y1 (ko) 파일링케이스를 위한 필기구 보관함
KR200356841Y1 (ko) 반복 사용이 가능한 식음료포장용기
JP4510356B2 (ja) リフィル皿用保護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