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228A - 종이 시트 판별 장치, 종이 시트 처리 장치, 및 종이 시트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종이 시트 판별 장치, 종이 시트 처리 장치, 및 종이 시트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228A
KR20070065228A KR1020060129273A KR20060129273A KR20070065228A KR 20070065228 A KR20070065228 A KR 20070065228A KR 1020060129273 A KR1020060129273 A KR 1020060129273A KR 20060129273 A KR20060129273 A KR 20060129273A KR 20070065228 A KR20070065228 A KR 20070065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unit
correction
paper
discrimi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히꼬 우노
마사미찌 사또오
신야 와따나베
히데까쯔 우찌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70065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8View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종이 시트 처리 장치는 종이 시트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검출 유닛을 구비한다. 검출 유닛은 복수의 이미지 감지 유닛(21 내지 23)와 신호 처리 유닛(30)을 구비한다. 신호 처리 유닛(30)의 감지 CPU(20)는 이미지 감지 유닛(21 내지 23)을 통해 종이 시트의 이미지 데이터를 검출하고, 메모리(200) 내에 종이 시트의 각각의 형태를 위하여 미리 저장된 정정 계수를 판독하고, 정정 계수를 이용하여 검출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종이 시트를 판별한다.
종이 시트, 검출 유닛, 이미지 감지 유닛, 신호 처리 유닛, 메모리, 정정 계수, 이미지 데이터

Description

종이 시트 판별 장치, 종이 시트 처리 장치, 및 종이 시트 판별 방법{PAPER SHEET DISCRIMINATION APPARATUS,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PAPER SHEET DISCRIMINATION METHO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시트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2는 도1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3은 도1의 처리 장치의 내에 설치된 검사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4는 도3의 검사 유닛 내의 화상 감지 유닛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도3의 검사 유닛 내에 설치된 신호 처리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6은 도4의 화상 감지 유닛의 각각의 구성요소의 스펙트럼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7은 각각의 컬러 신호의 출력의 강도 분포를 도시하는 막대그래프.
도8은 빨간색 신호의 출력이 다른 장치들에 의해 비교되는 그래프.
도9는 도8의 각각의 데이터의 피크가 서로 겹쳐지는 상태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10은 종이 시트의 형태에서의 차이로 인한 장치들 사이의 신호 레벨에서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11은 서로 비교하여 보면 다른 컷오프(cut-off) 특성을 갖는 필터의 2개의 형태의 스펙트럼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12는 종이 시트의 형태 및 컷오프 파장에 대응하는 데이터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13은 파라미터로서 광학 시스템의 스펙트럼 특성 및 종이 시트의 형태를 이용함으로써 정정 계수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이 시트 처리 장치(처리 장치)
2: 스로인 유닛
3: 캐리어 통로
4: 펫칭 유닛
5: 방향 정정 유닛
6: 배출 및 수집 유닛
7: 방향 변환 유닛
8a 내지 8f: 분류 및 수집 유닛
9: 제어 CPU
10: 검사 유닛
11: 펫칭 모터
12: 캐리어 롤러
13: 캐리어 모터
14: 방향 정정 모터
15, 17: 솔레노이드
16: 스위치백 모터
P: 종이 시트
본 발명은 종이 시트를 검사함으로써 오염 피해의 레벨을 판별하는 종이 시트 판별 장치, 종이 시트 판별 장치를 갖는 종이 시트 처리 장치, 및 종이 시트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 시트 판별 장치는 다음과 같이 종이 시트의 오염 피해의 레벨을 위한 표준을 결정한다. 즉, 장치들 사이의 개별적인 차이에 따른 판별 레벨 사이의 차이는 장치 내로 조정을 위한 매질(media) 또는 조정을 위하여 자체적으로 준비된 종이 시트를 공급함으로써 정정된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3-99837호에 언급됨).
예를 들어, 종이 시트의 5개의 형태가 판별 대상이 될 때, 다음의 3가지 방법이 판별 레벨을 정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제1 방법에서, 종이 시트의 5개의 형태는 4개의 다른 방향(표면 전방, 표면 후방, 이면 전방, 및 이면 후방)에서 각 형태의 1000개의 시트의 단위로 공급되고, 오염 피해량의 전체 12개의 형태의 빈도(frequency) 분포 데이터(막대그래프)가 수집되고, 빈도 분포에 따른 오염 피해의 레벨을 판별하기 위한 표준이 결정된다.
제2 방법에서, 판별 대상이 되는 미사용된 종이 시트에 광학적으로 근접한 특성을 갖는 조정을 위한 5가지 형태의 매질이 제조되고, 이 매질은 빈도 분포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 내로 제공된다. 이후에, 오염 피해의 판별 레벨을 위한 표준은 매질이 조정을 위한 매질의 분포 데이터에 기초하여 열화되고 오염되는 경우를 가정함으로써 결정된다.
또한, 제3 방법에서, 매질이 오염되고 손상되는 재생성된 상태에서 조정을 위한 10가지 형태의 매질이 종이 시트의 하나의 형태당 제조되고, 조정을 위한 총 15가지 형태의 매질이 그의 빈도 분포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장치 내로 제공된다. 이후에, 오염 피해의 판별 레벨을 위한 표준은 오염 피해의 다른 레벨을 갖는 복수의 매질의 분포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제1 방법에 따르면, 종이 시트 자체적으로 광학 변형이 존재한다. 또한, 매질은 사용하면서 열화되고, 오염 상태 피해가 초기 오염 상태 피해로부터 변동되고, 결과적으로, 연속적으로 정정 표준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제2 방법에 따르면, 주기적인 교체에 의해 조정을 위한 매질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광학적 특성이 판별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의 것과 완전하게 동등한 조정을 위한 매질을 제조하는 것이 어렵고, 다른 특성을 갖는 복수의 장치를 아주 정확하게 정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제3 방법에 따르면, 제2 방법에서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조정을 위한 매체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2 방법 이상의 조정을 위한 매질을 제조하는 것이 어렵고, 장치를 아주 정확하게 정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들 사이의 판별 성능의 변동을 쉽고 정확하게 정정하는 종이 시트 판별 장치뿐만 아니라, 종이 시트 처리 장치 및 종이 시트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시트 판별 장치는, 종이 시트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검출 유닛과, 검출 유닛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종이 시트의 오염 상태를 판별하는 판별 유닛과, 다른 장치들 간의 판별 성능의 변동을 정정하기 위한 정정 계수가 종이 시트의 각각의 형태를 위해 미리 저장되는 저장 유닛을 포함하며, 정정 계수는 정정을 위한 표준으로써 작용하는 장치의 검출 유닛에 의해 특정한 형태의 기준 종이 시트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진 검출 결과와, 정정 대상이 되는 장치의 검출 유닛에 의해 기준 종이 시트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진 검출 결과 사이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종이 시트의 각각의 형태를 위해 준비되고, 판별 유닛은 저장 유닛으로부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종이 시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정정 계수를 판독하고, 정정 계수를 이용하여 종이 시트의 오염 상태를 판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시트 처리 장치는, 복수의 종이 시트가 사출되는 스로인(thrown-in) 유닛과, 캐리어 통로 상에 사출된 종이 시트를 하나씩 꺼내오는 펫칭(fetching) 유닛과, 꺼내온 종이 시트를 운반하는 캐리어 유닛, 운반된 종이 시트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검출 유닛과, 검출 유닛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종이 시트의 오염 상태를 판별하는 판별 유닛과, 다른 장치들 간의 판별 성능의 변동을 정정하기 위한 정정 계수가 시트의 각각의 형태를 위하여 미리 저장되는 저장 유닛과, 판별 유닛에 의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종이 시트를 분류하고 수집하는 분류 및 수집 유닛을 포함하며, 정정 계수는 정정을 위한 표준으로써 작용하는 장치의 검출 유닛에 의해 특정한 형태의 기준 종이 유닛을 검출함으로써 얻어진 검출 결과와, 정정 대상이 되는 장치의 검출 유닛에 의해 기준 종이 시트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진 검출 결과 사이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종이 시트의 각각의 형태를 위해 준비되고, 판별 유닛은 저장 유닛으로부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종이 시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정정 계수를 판독하고, 정정 계수를 이용함으로써 종이 시트의 오염 상태를 판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시트 판별 방법은, 정정을 위한 표준으로써 작용하는 장치에서 정정 계수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와, 이 정정계수는 장치의 검출 유닛에 의해 특정한 형태의 기준 종이 시트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진 검출 결과와, 정정 대상이 되는 장치의 검출 유닛에 의해 기준 종이 시트를 광학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얻어진 검출 결과 사이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종이 시트의 각각의 형태를 위하여 미리 계산되고, 장치의 검출 유닛에 의해 종이 시트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종이 시트의 형태에 대응하기 위해서 저장 단계에서 미리 저장된 정정 계수를 판독하고, 정정 계수를 이용하여 검출 단계에서의 검출 결과를 정정함으로써 종이 시트의 오염 상태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기술에서 개시될 것이고, 부분적으로 기술로부터 명백해지거나, 혹은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이후에 특히 지적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되고 얻어질 수도 있다.
이후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시트 처리 장치(1)[이후에 단순히 처리 장치(1)라 칭함]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처리 장치(1)는 스로인 유닛(2), 펫칭 유닛(4), 방향 정정 유닛(5), 검사 유닛(10)(종이 시트 판별 장치), 배출 및 수집 유닛(6), 방향 변환 유닛(7), 복수의 분류 및 수집 유닛(8a 내지 8f), 및 제어 CPU(9)를 갖는다. 검사 대상이 되는 복수의 종이 시트(P)는 스로인 유닛(2) 내로 사출된다. 펫칭 유닛(4)은 캐리어 통로(3) 상으로 사출된 종이 시트(P)를 하나씩 꺼낸다. 방향 정정 유닛(5)은 캐리어 통로(3)에 꺼내어진 종이 시트(P)의 운반 방향을 정정한다. 검사 유닛(10)은 방향 정정 유닛(5)를 통과하는 종이 시트(P)를 검사한다. 배출 및 수집 유닛(6)은 검사 유닛(10)에서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회수할 수 없는 것으로 판별되는 종이 시트(P')를 수집한다. 방향 변환 유닛(7)은 표면 및 표면 아래에서, 그리고 검사 유닛(10)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별되는 종이 시트(P)의 상부 및 저부의 양태 를 균일하게 한다. 복수의 분류 및 수집 유닛(8a 내지 8f)은 그 각각의 형태를 위하여 방향 변환 유닛(7)을 관통하는 종이 시트(P)를 분류하고 수집한다. 제어 CPU(9)는 전체 처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2는 처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펫칭 모터(11), 캐리어 모터(13), 방향 정정 모터(14), 솔레노이드(15), 스위치백 모터(16) 및 복수의 솔레노이드(17)는 처리 장치(1)의 제어 CPU(9)에 연결된다. 펫칭 모터(11)는 펫칭 유닛(4)의 픽어 롤러(4a)를 회전시킨다. 캐리어 모터(13)는 캐리어 통로(3) 상에 꺼내진 종이 시트(P)를 운반하기 위하여 복수의 캐리어 롤러(12)를 회전시킨다. 방향 정정 모터(14)는 방향 정정 유닛(5)을 작동시킨다. 솔레노이드(15)는 방향 변환 유닛(7)의 게이트(도시 생략)를 작동시킨다. 스위치백 모터(16)는 전방 및 후방 방향 양쪽에서 스위치백 롤러(도시 생략)를 회전시킨다. 복수의 솔레노이드(17)는 캐리어 통로(3) 상에 제공된 복수의 게이트(G1 내지 G6)를 각각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 CPU(9)는 위에 기술된 검사 유닛(10)의 감지 CPU(10)에 연결된다.
도3은 확대된 검사 유닛(1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검사 유닛(10)은 종이 시트(P)가 운반되는 캐리어 통로(3)에 복수의 캐리어 롤러(12)를 구비한다. 복수의 무한 캐리어 벨트(도시 생략)가 둘레에 감겨져 있는, 복수의 캐리어 롤러(12)는, 본 발명의 캐리어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캐리어 모터(13)에 의해 회전된다.
캐리어 통로(3)에서, 투과 이미지 감지 유닛(21), 상부면 반사 이미지 감지 유닛(22), 하부면 반사 이미지 감지 유닛(23), 자기(magnetic) 감지 유닛, 형광 감지 유닛(25), 및 두께 감지 유닛(25)은 도면에서 오른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제공된다. 투과 이미지 감지 유닛(21)은 종이 시트(P)를 관통한 광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감지한다. 상부면 반사 이미지 감지 유닛(22)은 도면에서 종이 시트(P)의 상부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감지한다. 하부면 반사 이미지 감지 유닛(23)은 도면에서 종이 시트(P)의 하부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감지한다. 자기 감지 유닛(24)은 종이 시트(P)에 인쇄된 잉크에 포함된 자기 특성을 감지한다. 형광 감지 유닛(25)은 종이 시트(P) 상에 인쇄된 잉크에 포함된 형광 물질의 특징적인 양을 감지한다. 두께 감지 유닛(26)은 종이 시트(P)의 두께를 감지한다. 또한, 각각의 감지 유닛(21 내지 26)을 통해 검출된 검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유닛(30)은 도면에서 검사 유닛(10)의 케이싱 내의 상부에 설치된다.
투과 이미지 감지 유닛(21), 상부면 반사 이미지 감지 유닛(22), 및 하부면 반사 이미지 감지 유닛(23)은 본 발명의 검출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검출 유닛은, 예를 들어, 광 방출 유닛으로써 작용하는 할로겐 광원을 갖는 일차원 이미지 스캐너 센서이며, 광 수신 유닛으로써 작용하는 광 다이오드 어레이 또는 전하 결합 소자(CCD)이다. 자기 감지 유닛(24)은, 예를 들어, 바이어스 직류(direct bias current)가 코어 재료의 1차 측면에 인가된, 자기 헤드와 같은 센서이고, 자기 물질이 헤드 부분을 관통할 때의 플럭스의 변동이 2차 측면 코일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형광 감지 유닛(25)은, 예를 들어, 자외선 광 방출 램프와 같은 광 방 출 유닛을 갖는 센서이며, 이 센서는 광 다이오드에 의해 매질로부터 방출된 여기 광을 검출한다. 두께 감지 유닛(26)은, 예를 들어, 종이 시트(P)가 캐리어 롤러(12) 및 핀치 롤러(26a) 사이에 끼어 있도록 구성되고, 핀치 롤러(26a) 또는 핀치 롤러를 지지하는 축(26b)에서의 변동은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교체 센서(도시 생략) 등에 의해 감지된다.
도4는 종이 시트(P)로부터 반사된 광 또는 종이 시트(P)를 관통하는 광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감지하는 이미지 감지 유닛의 일례로서 하부면 반사 이미지 감지 유닛(23)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다. 그에 더하여, 주목할 점은 검사 유닛(10) 내에 설치된 이미지 감지 유닛으로서 투과 이미지 감지 유닛(21) 및 상부면 반사 감지 유닛(22)이 존재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통로(3)를 통해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T)으로 운반된 종이 시트(P)는 할로겐 램프와 같은 광원(41)에 의해 조명되고, 종이 시트(P)로부터 반사된 광은 파장 범위 제한 필터(42)[이후에 단순히 광학 필터(42)로 칭함] 및 광학 렌즈(43)를 경유하여 광 다이오드 어레이 또는 전하 결합 소자(CCD)에 의해 구성된 광 수신 유닛(44) 상에 비추어진다. 광학 정보로부터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광 수신 유닛(44)에서 수신된 이미지 정보는 전치(前置) 증폭기 유닛(45)에서 신호 증폭된다.
도5는, 예를 들어, 전치 증폭기(5)에서 증폭된 신호를 처리하는 위에 기술된 신호 처리 유닛(30)의 회로 구성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5에서, 신호 처리 유닛(30)에 연결되는 투과 이미지 감지 유닛(21), 상부 면 반사 이미지 감지 유닛(22), 하부면 반사 이미지 감지 유닛(23), 자기 감지 유닛(24), 형광 감지 유닛(25), 및 두께 감지 유닛(26)은 각각 도3에 도시된 감지 유닛(21 내지 26)을 지칭한다. 신호 처리 유닛(30)에서, 감지 유닛(21 내지 26)으로부터 출력된 신호(감지된 데이터)는 조작상의 증폭기와 같은 아날로그 처리 회로(301 내지 306)를 통해 지나가고, 신호 구성요소 상의 증폭/처리가 실행된다. 이들 6-시스템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 멀티플렉서(31)에 단일 시스템 아날로그 신호로 시분할되고, 이후에 신호는 예를 들어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 회로(32)에서 10-비트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본 실시예에서,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 회로(32)가 단일 시스템이 되게 하기 위해서 아날로그 멀티플렉서(31)에 의해 단일 시스테이 되도록 시분할된다. 그러나, 모든 감지된 신호는 시스템의 어셈블링의 방식 또는 하드웨어의 조건 하에 일치하여 독립적으로 각각 디지털화될 수도 있다.
이후에, 감지된 내용에 따라 선처리(preprocessing)(예를 들어, 공간 미분, 균등화 등등)는 선처리 회로(33)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감지된 데이터 상에 인가되고,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 유닛(34) 내에 저장된다.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대표되는 바와 같이 산술적 처리 유닛으로써 작용하는 감지 CPU(20)는 데이터 저장 유닛(34)으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종이 시트(P)의 유형, 양태, 올바름/잘못됨, 오염 피해의 레벨을 결정한다. 특히, 감지 CPU(20)는 메모리(200)(저장 유닛) 내에 미리 저장된 종이 시트(P)의 형태에 대응하는 정정 계수(후에 기술됨)를 판독하고, 정정 계수를 이용하여 이미지 감지 유 닛(21, 22 및 23)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정정한다. 감지 CPU(20)는 본 발명의 판별 유닛으로써 작용하는 것을 주목한다.
또한, 감지 CPU(20)는 고레벨 장치, 즉 감지된 결과의 처리 장치(1)의 제어 CPU(9)를 지시한다(도2). 이러한 방식으로 검사 유닛(10)으로부터 출력되는 형태, 양태, 올바름/잘못됨, 오염 피해의 레벨 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CPU(9)는 종이 시트가 수집되는 분류 및 수집 유닛(8a 내지 8f)[및 배출 및 수집 유닛(6)]으로 종이 시트(P)를 각각 운반하기 위해 게이트(G1 내지 G6)를 스위치 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감지 CPU(20)에 의해 회수할 수 없을 정도의 범위인 오염 피해의 레벨을 갖는 것으로 결정된 종이 시트(P)는 제어 CPU(9)의 제어 하에 배출 및 수집 유닛(6)으로 배출된다.
한편, 감지 CPU(20)는 이하의 방식으로 종이 시트(P)의 오염 피해의 레벨을 결정한다. 즉, 감지 CPU(20)는 이미지 데이터에 의한 종이 시트(P)의 오염 상태, 및 인쇄된 부분의 얇은 얼룩뿐만 아니라, 주름, 굽은 코너, 구멍 등의 판별, 및 두께 센서에 의한 테이프 및 외래 물질의 감지를 전체적으로 결정하고, 최종 결정된 결과를 출력한다. 특히, 종이 시트(P)의 오염 상태가 결정될 때, 위에 기술된 광학 시스템을 이용하는 반사 이미지 및 투과 이미지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에, 감지 CPU(20)는 투과 이미지 감지 유닛(21), 상부면 반사 이미지 감지 유닛(22), 및 하부면 반사 이미지 감지 유닛(23)에 의해 감지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종이 시트(P)의 오염 상태를 판별한다.
즉, 종이 시트(P)의 오염 상태가 결정될 때, 인간의 눈에 근접한 광학 시스 템이 사용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인간의 눈에 의해 보여진 오염 상태와 광학 시스템을 통해 얻어진 이미지 정보 사이의 상호 관계가 명확하게 이루어진다면, 인간 감성에 상당하는 오염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이미지 감지 유닛(21, 22 및 23)의 광학 시스템은 종이 시트(P)의 올바름/잘못됨을 판별하기 위해서 인간의 눈에 의해 보여질 수 없는 자외선 영역 또는 적외선 영역에서의 이미지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반면에, 본 실시예는 절대적으로 가시적 이미지의 영역(일반적으로 빨간색, 청색 및 녹색의 3개의 주요 색의 영역)에서의 이미지를 감지하도록 설정됨을 주목한다. 그러나, 이후에 기술되는 바와 동일한 효과가,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분의 특성에 따라 자외선 영역 또는 적외선 영역에서도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파장 영역은 가시 영역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6은, 위에 기술된 이미지 감지 유닛의 일례로서, 도4에 기술된 하부면 반사 이미지 감지 유닛(23)의 각각의 구성요소[종이 시트(P)를 포함]의 스펙트럼 특성을 도시한다. 특히, 도6은 광 수신 유닛(44)의 일례로서 색 CCD, 광학 필터(42)의 일례로서 적외선 컷오프 필터, 광원(41)의 일례로서 할로겐 광 방출기, 및 종이 시트(P)의 각각의 스펙트럼 특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에서, 가로좌표는 가시 영역에서의 파장을 지시하고, 세로좌표는 색 CCD 센서의 스펙트럼 ㄱE도 특성, 적외선 컷오프 필터의 스펙트럼 투과율 특성, 할로겐 광 방출기의 스펙트럼 방출량 특성, 및 종이 시트(P)의 스펙트럼 반사 특성을 지시한다.
색 CCD 센서 및 할로겐 광 방출기가 빨간색 센서의 최대 값 및 적외선 영역 (도시 생략) 내의 최대 값에서 각각 정상화되기 때문에, 각각의 특성 값은 절대값이 되지 않는다. 그에 더하여, 광학 렌즈(43)는 가시 영역 내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특성인 스펙트럼 투과율 특성을 또한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 고려되지 않는다. 그러나, 광학 렌즈(43)는 실제 제품 개발에서의 설계에서 고려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후에, 하부면 반사 이미지 감지 유닛(23) 내의 종이 시트(P)의 색 이미지 데이터를 얻는 처리가 도6의 스펙트럼 특성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시트(P)는 운반되어 광원(41)으로부터의 광으로 조명되고, 그로부터 반사된 광은 광학 필터(42) 및 광학 렌즈(43)를 통해 CCD 광 수신 유닛(44)(빨간색, 녹색, 청색)에서 수신된다. 반사된 광이 광 수신 유닛(44)에서 광전기적으로 변환될 때, 전기 신호로서 얻어진 빨간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신호의 전압 레벨은 도6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의 스펙트럼 특성의 통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구성요소의 파장에서의 스펙트럼 특성이 이하와 같이 도시될 때:
CCD 센서(청색)의 스펙트럼 감도 특성
RBi (i: 400 내지 700 nm)
CCD 센서(녹색)의 스펙트럼 감도 특성
RGi (i: 400 내지 700 nm)
CCD 센서(빨간색)의 스펙트럼 감도 특성
RRi (i: 400 내지 700 nm)
광학 필터의 스펙트럼 투과도 특성
Fi (i: 400 내지 700 nm)
할로겐 광 방출기의 스펙트럼 방출량 특성
Li (i: 400 내지 700 nm)
종이 시트(P)의 스펙트럼 반사도 특성
Oi (i: 400 내지 700 nm),
RGB 센서의 출력은,
(1) CCD 센서(청색)의 출력
Db = ∑i = 400 내지 700 RBi × Fi × Li × Oi
(2) CCD 센서(녹색)의 출력
Dg = ∑i = 400 내지 700 RGi × Fi × Li × Oi
(3) CCD 센서(빨간색)의 출력
Dr = ∑i = 400 내지 700 RRi × Fi × Li × Oi
위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위에 기술된 Db, Dg, 및 Dr은 3개의 색 신호의 레벨의 단순 비율이다. 실제로, 출력 전압은 아날로그 램프, 각각의 구성요소의 절대 감도, 및 절대 방출량의 얻어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측정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의 형태가 변동될 때, 종이 시트(P)의 스펙트럼 반사 특성, 즉 위의 공식에서 Oi가 변동되는 경우에 종이 시트(P)의 RGB 센서 출력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광학 렌즈(43)의 스펙트럼 투과도 특성(Ti)이 고려될 때 위의 공식에 "xTi"를 추가할 수 있다.
도7은 100개의 종이 시트(P)의 인쇄되지 않은 부분이 실제로 판독되는 경우에 RGB 신호의 레벨의 빈도 분포(막대그래프)의 일례를 도시한다. 그래프의 가로좌표는, 센서로부터 얻어진 신호 전압이 100 레벨로 표현되고, 이것은 값이 100에 근접할수록 센서로부터 출력이 더 커지는 것을 지시하는, 수치 값이다. 세로좌표는 각각의 레벨에서 발생의 빈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빨간색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초점 맞추면, 신호 레벨 86에서, 18회; 신호 레벨 87에서, 20회; 신호 레벨 88에서, 17회; 신호 레벨 89에서, 13회가 되도록 분포되며, 종이 시트(P)로부터의 빨간색 신호의 평균 신호 레벨(신호 레벨 사이의 피크)이 약 87임을 알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청색 신호 사이의 평균 신호 레벨(피크)이 약 44이고, 녹색 신호 사이의 평균 신호 레벨(피크)이 약 71이 되도록 분포 내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도7에 예시된 막대그래프는 100개이 종이 시트(P)가 처리 장치(1)의 특정한 형태의 검사 유닛(10) 내에 설치된 이미지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되는 방식으로 얻어진 수치 값을 도시한다. 그러나, 이들이 복수의 처리 장치(1)에 의해 측정될 때, 일부의 경우에 신호 레벨의 빈도 분포에서 변동이 발생된다. 즉, 색 출력의 빈도 분포가 이미지 감지 유닛에서의 광학 시스템의 특성에서의 차이와 일치하여 변동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의 일례가 도8에 도시된다.
도8은 겹쳐지게 하기 위해서 3개의 처리 장치(1)의 검사 유닛(10) 내에 설치된 이미지 감지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빨간색 신호의 막대그래프를 도시하고, 신호 레벨의 피크는 각각 장치 1에서, 신호 레벨 90; 장치 2에서 신호 레벨 87; 장치 3 에서 신호 레벨 84이다. 3개의 장치 사이에서 최대 6레벨이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통상, 모든 광학부의 특성을 포함하는 각각의 RGB를 위한 감도 정정(명암 정정)은 기준 매질, 예를 들어, 하얀색 세라믹 보드 등을 이용하여 처리 장치(1)의 검사 유닛(10)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광학 시스템상에 실행된다. 이러한 이유로, 장치들 사이의 이러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광학부의 스펙트럼 특성 사이의 약간의 차이는 일부 경우에 하얀 기준 보드를 사용함에도 완벽히 정정될 수 없다. 그러므로,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P)의 데이터가 각각의 장치에서 수집되고, 정정이 각각의 종이 시트(P)의 분포의 중심을 발견하여 실행되는 방법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장치 1이 기준 장치라고 가정한다. 장치들 사이의 변동이 다음의 조작의 인가에 의해 정정된다.
정정 후의 신호 레벨 = 정정 이전의 신호 레벨 × 장치 2로부터의 빨간색 신호에 대한 90/87, 및
동일한 방식으로, 다음의 조작의 인가에 의해 정정된다.
정정 후의 신호 레벨 = 정정 이전의 신호 레벨 × 장치 3으로부터의 빨간색 신호에 대한 90/84.
정정 이후의 각각의 장치에서의 빨간색 신호 레벨의 빈도 분포가 도9에 도시된다. 결과적으로, 3개의 장치에서의 신호 레벨의 피크가 서로 실질적으로 중첩되게 하기 위해서 정정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P)의 형태가 변동될 때마다 위에 기술된 정정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각각의 종이 시트(P)의 스펙트럼 반사 특성에서의 차이에 의해 야기된다.
도10은 2개의 일정한 처리 장치(장치 1 및 장치 2)에서 종이 시트 1 및 종이 시트 2의 빈도 분포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각각의 신호 레벨의 빈도 분포의 피크는 다음과 같다.
장치 1에서, 종이 시트 1, 신호 레벨 90
장치 2에서, 종이 시트 2, 신호 레벨 87
장치 1에서, 종이 시트 1, 신호 레벨 75
장치 2에서, 종이 시트 2, 신호 레벨 65
장치 1이 기준 장치라고 가정하면, 각각의 종이 시트의 정정 계수는 다음과 같다.
종이 시트 1 : 90/87 = 1.034
종이 시트 2 : 75/65 = 1.154
따라서, 보정 계수는 종이 시트(P)의 유형에 따라 서로 완전히 다르다는 것이 명백하다.
종이 시트(P)의 유형에 따른 보정 계수 사이에 편차가 없을 때, 예로서, 종이 시트 1 만이 장치내로 공급되고, 보정 계수(1.034)가 장치에 저장되며, 종이 시트(P)의 다른 유형에 이 보정 계수를 적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실제로, 종이 시트(P)의 유형에 따른 편차는 도10의 예에서와 같은 다수의 경우에 발생한다. 즉, 고정밀 개별 보정을 실행하기 위해, 처리 장치(1)의 각 장치에 검사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P)의 모든 유형을 공급하고, 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종이 시트(P)의 각 유형을 위한 보정 계수를 산출하여 각 장치 본체를 위한 보정 계수를 저장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다수의 경우에 장치 본체의 관리의 견지에서 복잡하다. 또한, 전체 광학 시스템 또는 이미지 감지 유닛내의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분 중 일부가 장치 등의 고장으로 인해 교체될 때,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매번 종이 시트를 사용하여 보정을 실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많은 비용이 들고, 방대한 양의 정비 시간을 소요한다.
또한, 장치 본체 사이의 신호 레벨의, 편차 유발 요인이 고려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 사이의 컬러 비율은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는 광학 부분(부품)의 스펙트럼 특성의 적분값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광학적 부분 사이에서 그 스펙트럼 특성이 불안정한 하나의 부품이 존재할 때에도, 동일한 유형의 종이 시트(P)가 다른 장치 본체에 의해 검사되는 경우의 검사 결과가 서로 달라지게 한다.
도11은 다른 스펙트럼 투과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광학 필터의 특성을 예시한다. 광학 필터(42)의 특성의 편차로 인한 적색 신호의 출력의 변동이 도10에 도시된 그래프에 나타나있다. 즉, 장치 1에 광학 필터 1이 사용되고, 장치 2에 광학 필터 2가 사용된다.
광학 필터 2를 사용하는 장치 2에서, 종이 시트의 두 유형 사이의 신호 레벨의 피크의 편차는 광학 필터 1을 사용하는 장치 1에서의 것보다 크다. 이는 광학 필터의 컷오프 파장(650nm)의 부근에서 종이 시트 1과 종이 시트 2의 파장 특성의 편차에 의해 유발된다. 종이 시트 1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반사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종이 시트 2에서, 파장이 보다 길면 길수록, 반사율이 보다 높아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두 장치에서, 광학 필터(42)의 컷오프 파장의 편차가 보다 크면 클수록, 두 장치 사이의 출력 편차가 증가한다.
도2는 광학 필터(42)의 컷오프 파장(640nm 내지 660nm)의 부근에서 종이 시트의 5개 유형의 스펙트럼 반사율 특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 기준 매체, 예로서, 백색 세라믹 보드 등을 사용하여 광학 시스템에 감도 보정이 실행된다. 기준 보드의 파장 특성이 가시적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도12의 종이 시트 1은 기준 보드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탄도를 갖는다.
즉, 종이 시트 1은 광학 필터의 컷오프 파장의 변동을 덜 받는다. 종이 시트 2, 3 및 4가 진행될 때, 파장 특성은 우측으로 상향 경사지고, 따라서, 종이 시트는 컷오프 파장의 변동을 받기가 보다 쉬워진다.
예로서, 두 장치 각각에서, 장치 1의 컷오프 파장이 660nm이고, 장치 2의 컷오프 파장이 640nm인 것으로 가정한다. 백색 기준 보드에 기초하여, 종이 시트에 관하여 양 장치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출력값이 얻어진다. 그러나, 종이 시트(5)에 관하여, 보다 긴 컷오프 파장을 갖는 장치 1은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낸다. 즉, 동일 종이 시트가 동일한 특성을 갖는 백색 기준 보드로 보정된 두 장치에 의해 각각 판독될 때, 데이터 값은 광학 필터의 스펙트럼 감도 특성의 편차로 인해 서로 달라지게 된다. 특히, 종이 시트(P)가 백색인지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손상되어 있는지 여부가 식별될 때, 장치 본체 사이의 편차로 인한 성능의 열화는 다수의 경우에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장치 본체 사이의 성능의 변동이 광학 시스템의 세부 특성의 측정 없이, 그리고, 종이 시트(P)의 각 유형을 위한 보정 계수를 준비하지 않고, 매우 정확하게 그리고, 쉽게 최종 보정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하, 절차를 설명한다. 그 설명은 장치 본체 사이의 성능의 변동이 광학 필터의 특성(컷오프 파장)의 변동으로 대체되어 제공된다.
먼저, 검사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P)의 스펙트럼 반사율 특성이 분광광도계 같은 측정 기구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유사하게, 장치 본체 사이의 특성의 편차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다른 특성을 갖는 광학 필터의 두 가지 유형이 준비되고, 각 광학 필터의 스펙트럼 투과 특성이 측정 기구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측정 대상 광학 필터의 두 가지 유형은 제조 변동의 상한 및 하한인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다음에, 광원(41)과 수광 유닛(44)의 센서의 스펙트럼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양자에 절대적인 표준이 없고, 측정 자체가 곤란하기 때문에, 기준 스펙트럼 특성 데이터는 장치 제조자 등으로부터 취득된다. 어떤 방식으로든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할 때,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로서, 종이 시트(P) 및 광학 필터(42)의 스펙트럼 특성을 취득할 수 있을 때, 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광학 필터(42)의 컷오프 파장이 광학 필터(42)의 특성의 변동 범위내에 할당될 때의 스펙트럼 특성이 보간 등에 의해 얻어진다. 여기서, 광원(41), 종이 시트(P), 광학 필터(42) 및 광 감지 센서(44)를 고려한 적분값(실제로, 각 파장을 위한 결과의 합)이 상술한 공식을 사용하여 얻어진다. 실시예의 파라미터는 종이 시트(P)의 유형 및 광학 필터(42)의 컷오프 파장이다. 즉, 여기서, 컷오프 파장의 편차에 따른 보정 계수는 종이 시트(P)의 각 유형에 대하여 얻어지고, 보정 계수표가 준비된다. 도13은 종이 시트(P)의 각 유형을 위한 보정 계수와 컷오프 파장 사이의 관계의 일예를 보여 준다. 도13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종이 시트(P)의 모든 유형에 관하여, 640nm에 기초하여, 컷오프 파장이 보다 길면 길수록, 보정 계수가 보다 커진다. 또한, 컷오프 파장의 부근의 스펙트럼 특성이 백색 기준 보드와 보다 많이 상이하면 상이할수록, 보정 계수가 보다 커진다.
다음에, 그 보정 계수가 최대 보정 계수를 갖는 종이 시트(본 실시예에서, 종이 시트 4임)의 것 보다 큰 시험 티켓이 준비되고, 그 보정 계수가 상술한 도13의 보정표에 추가되도록 동일한 방식으로 산출된다. 또한, 시험 티켓은 보정을 위한 표준인 장치 본체(장치 1)내로 공급되고, 기준 장치로부터의 출력값(Torg)이 기록된다. 이는 사전 준비의 마지막이다.
이후, 기준 장치 이외의 장치를 상술한 보정표를 사용하여 기준 장치의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특성을 갖도록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술된 시험 티켓은 그 특성이 보정되어야하는 장치 본체에 공급되며, 출력값(td1)이 기준 장치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된다. 그후, Td1/Torg가 얻어지고, 시험 티켓의 비율에 관한 각 종이 시트의 보정 계수가 보정표상에 명기되며, 이들은 장치 2의 내부 저장 장치내에 저장된다. 즉, 기준 장치에 관한 시험 티켓에 의한 출력 데이터의 비율이 산출되고, 장치 2를 위한 보정표가 종이 시트의 모든 유형상에 동작 결과를 반영함으로써 준비된다.
장치 2가 실제로 동작될 때, 미리 준비된 보정표내의 상술한 보정 계수는 처리 대상물이 되는 종이 시트(P)의 유형에 기초하여 판독되며, 실제 종이 시트(P)로부터 판독된 이미지 데이터는 판독된 보정 계수를 사용하여 보정되고, 이는 기준 장치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보정 기준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다라서, 종이 시트(P)의 모든 유형의 보정 계수는 시험 티켓을 기준 장치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준비되며, 시험 티켓은 그 출력 레벨을 기준 장치의 것과 비교하기 위해, 다른 장치내로 공급되고, 그래서, 상술한 보정 계수는 그 사이의 비율에 기초하여 조절되며, 이는 장치 본체를 위한 보정 기준이 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그 보정 기준이 기준 장치의 것과 일치하는 다른 장치 본체내의 이미지 감지 유닛의 광학 시스템의 세부 특성을 측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이 시트의 각 유형을 위한 보정 계수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다른 장치 본체의 보정 기준을 비교적 쉽게 준비할 수 있게 하고, 고정밀 보정 기준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기술의 숙련자들은 부가적인 장점 및 변형예를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그 보다 넓은 양태의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 및 예시된 대표적 실시예 및 특정 세부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바와 같은 포괄적 발명의 개념 및 그 등가체의 범주 및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서, 상술한 실시예는 광학 필터(42)의 컷오프 파장이 다를 때의 보정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광학 필터(42)의 특성이 변경되는 경우에 한 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감광 요소(44)의 컬러 필터(미도시)의 스펙트럼 감도 특성이 다른 경우, 컬러 온도 특성의 편차로 인해 광원(41)의 스펙트럼 방출량 특성이 다른 경우, 또는 광학 렌즈(43)의 스펙트럼 투과 특성이 다른 경우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보정 방법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종이 시트(P)의 오염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기초인 이미지 데이터는 반사 이미지를 사용하여 취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로서, 동일한 효과는 용지 시트(P)를 비추어본 이미지를 사용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시험 티켓의 한가지 유형이 시험을 위한 매체로서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로서, 검사 대상물이 되는 종이 시트(P)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시험 티켓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시험 티켓의 유형은 하나의 유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유형의 시험 티켓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종이 시트(P)의 각 유형을 위해 준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검사 대상물이 되는 종이 시트(P)의 복수의 유형의 것 보다 높은 감도를 가지는 시험 티켓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반드시 검사 대상물이 되는 종이 시트(P)의 것 보다 높은 감도를 가지는 시험 티켓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또한, 시험 티켓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되었다. 예로서, 대상물이 되는 종이 시트 사이의 파장 특성에 주로 종속하는 보정이 종이 시트(P) 자체를 사용하여 실행되며,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보정 기준으로서 기능하는 보정 계수가 보정표로서 준비되도록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제 작업시, 보정표는 준비되지 않고, 내부적 대수적 수학식이 종이 시트(P)의 유형이 결정되는 시기마다 변경되며, 보정 계수는 각 경우에 대수적 수학식을 사용하여 준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 시트의 각 유형을 위한 보정 계수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장치들 사이의 판별 성능의 변동을 쉽고 정확하게 정정할 수 있다.

Claims (21)

  1. 종이 시트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검출 유닛과,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종이 시트의 오염 상태를 판별하는 판별 유닛과,
    다른 장치들 간의 판별 성능의 변동을 정정하기 위한 정정 계수가 종이 시트의 각각의 형태를 위해 미리 저장되는 저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정 계수는 정정을 위한 표준으로써 작용하는 장치의 검출 유닛에 의해 특정한 형태의 기준 종이 시트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진 검출 결과와, 정정 대상이 되는 장치의 검출 유닛에 의해 기준 종이 시트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진 검출 결과 사이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종이 시트의 각각의 형태를 위해 준비되고, 상기 판별 유닛은 상기 저장 유닛으로부터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종이 시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정정 계수를 판독하고, 상기 정정 계수를 이용하여 종이 시트의 오염 상태를 판별하는 종이 시트 판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종이 시트의 투과 이미지 또는 반사 이미지를 검출하는 종이 시트 판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종이 시트는 판별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에 부가하여 정정을 위해 준비된 시험 티켓인 종이 시트 판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티켓은 판별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의 형태에 따른 복수의 형태로 준비되는 종이 시트 판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종이 시트는 판별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의 하나의 형태인 종이 시트 판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종이 시트는 판별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들 사이의 복수의 형태의 종이 시트인 종이 시트 판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의 광학 시스템이 복수의 광학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별 성능의 변동은 광학부의 스펙트럼 특성에서의 차이에 의해 야기되는 종이 시트 판별 장치.
  8. 복수의 종이 시트가 사출되는 스로인 유닛과,
    캐리어 통로 상에 사출된 종이 시트를 하나씩 꺼내오는 펫칭 유닛과,
    꺼내온 종이 시트를 운반하는 캐리어 유닛과,
    운반된 종이 시트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검출 유닛과,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종이 시트의 오염 상태를 판별하는 판별 유닛과,
    다른 장치들 간의 판별 성능의 변동을 정정하기 위한 정정 계수가 시트의 각각의 형태를 위하여 미리 저장되는 저장 유닛과,
    상기 판별 유닛에 의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종이 시트를 분류하고 수집하는 분류 및 수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정 계수는 정정을 위한 표준으로써 작용하는 장치의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특정한 형태의 기준 종이 유닛을 검출함으로써 얻어진 검출 결과와, 정정 대상이 되는 장치의 검출 유닛에 의해 기준 종이 시트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진 검출 결과 사이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종이 시트의 각각의 형태를 위해 준비되고, 상기 판별 유닛은 상기 저장 유닛으로부터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종이 시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정정 계수를 판독하고, 상기 정정 계수를 이용함으로써 종이 시트의 오염 상태를 판별하는 종이 시트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종이 시트의 투과 이미지 또는 반사 이미지를 검출하는 종이 시트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종이 시트는 판별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에 부가하여 정정을 위해 준비된 시험 티켓인 종이 시트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티켓은 판별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의 형태에 따른 복수의 형태로 준비되는 종이 시트 처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종이 시트는 판별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의 하나의 형태인 종이 시트 처리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종이 시트는 판별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들 사이의 복수의 형태의 종이 시트인 종이 시트 처리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의 광학 시스템이 복수의 광학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별 성능의 변동은 광학부의 스펙트럼 특성에서의 차이에 의해 야기되는 종이 시트 처리 장치.
  15. 정정을 위한 표준으로써 작용하는 장치에서 정정 계수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와,
    상기 장치의 검출 유닛에 의해 종이 시트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종이 시트의 형태에 대응하기 위해서 상기 저장 단계에서 미리 저장된 정정 계수를 판독하고, 상기 정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 단계에서의 검출 결과를 정정함으로써 종이 시트의 오염 상태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정 계수는 장치의 검출 유닛에 의해 특정한 형태의 기준 종이 시트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진 검출 결과와, 정정 대상이 되는 장치의 검출 유닛에 의해 기준 종이 시트를 광학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얻어진 검출 결과 사이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종이 시트의 형태를 위하여 미리 계산되는 종이 시트 판별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종이 시트의 투과 이미지 또는 반사 이미지를 검출하는 종이 시트 판별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종이 시트는 판별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에 부가하여 정정을 위해 준비된 시험 티켓인 종이 시트 판별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티켓은 판별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의 형태에 따른 복수의 형태로 준비되는 종이 시트 판별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종이 시트는 판별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의 하나의 형태인 종이 시트 판별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종이 시트는 판별 대상이 되는 종이 시트들 사이의 복수의 형태의 종이 시트인 종이 시트 판별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의 광학 시스템이 복수의 광학부를 구비하 고, 상기 판별 성능의 변동은 광학부의 스펙트럼 특성에서의 차이에 의해 야기되는 종이 시트 판별 방법.
KR1020060129273A 2005-12-19 2006-12-18 종이 시트 판별 장치, 종이 시트 처리 장치, 및 종이 시트판별 방법 KR200700652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65061A JP2007172059A (ja) 2005-12-19 2005-12-19 紙葉類判別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JPJP-P-2005-00365061 2005-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228A true KR20070065228A (ko) 2007-06-22

Family

ID=3777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273A KR20070065228A (ko) 2005-12-19 2006-12-18 종이 시트 판별 장치, 종이 시트 처리 장치, 및 종이 시트판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39720A1 (ko)
EP (1) EP1798693A1 (ko)
JP (1) JP2007172059A (ko)
KR (1) KR20070065228A (ko)
CN (1) CN19879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4513B2 (ja) * 2008-04-03 2013-04-0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の汚れ検出装置及び汚れ検出方法
JP2010277252A (ja) * 2009-05-27 2010-12-09 Toshiba Corp 紙葉類判別装置
DE102009058439A1 (de) * 2009-12-16 2011-06-22 Giesecke & Devrient GmbH, 81677 Verfahren zur Prüfung von Wertdokumenten
JP5762830B2 (ja) * 2011-06-07 2015-08-1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及び方法
DE102011077895A1 (de) * 2011-06-21 2012-12-27 Bundesdruckerei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stellen eines Dokumentenreferenzdatensatzes anhand eines Dokumentes
CN102262794A (zh) * 2011-08-10 2011-11-30 深圳市怡化电脑有限公司 用于钞票检测的智能型磁性传感器模组
JP2013214129A (ja) * 2012-03-30 2013-10-17 Toshiba Corp 券処理装置及び券処理方法
CN103679914B (zh) 2013-12-12 2016-06-1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厚度信号识别的钞票识别方法及装置
CN103617671B (zh) * 2013-12-12 2016-08-17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厚度异常钞票的识别方法及系统
CN103942881A (zh) * 2014-04-11 2014-07-23 立德高科(北京)数码科技有限责任公司 对带有点阵图形的印刷品进行批量防伪检测的设备及方法
CN105093353B (zh) * 2014-05-04 2018-02-02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介质处理设备中传感器的校正方法及介质处理设备
CN104438099A (zh) * 2014-09-22 2015-03-25 天津长荣印刷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大废品踢除装置及其工作方法
KR101539604B1 (ko) * 2014-12-10 2015-07-28 (주)비티비코리아 현금 자동 입출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위폐 검출 방법
CN107437295B (zh) * 2016-05-26 2020-08-21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纸币处理装置的扫描模块校正方法及装置
JP6811140B2 (ja) * 2017-04-12 2021-01-13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葉類鑑別装置、及び紙葉類鑑別システム
CN107175923A (zh) * 2017-05-08 2017-09-19 陕西赛富网络科技有限责任公司 检测打印纸张材质的方法、装置和打印机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5281A (en) * 1984-11-30 1989-01-03 Tohoku Ricoh Co., Ltd. Self-correcting printer-verifier
JP2660568B2 (ja) * 1989-01-12 1997-10-0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不適正露光画像の復元方法
US6199480B1 (en) * 1992-06-06 2001-03-13 Heideiberger Druckmaschinen Arrangement for determining register deviations of a multicolor rotary printing machine
KR100235476B1 (ko) * 1993-10-27 1999-12-15 구와하라아키라 피검사체의 표면검사방법 및 장치
US6092943A (en) * 1997-06-11 2000-07-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rinting paper quantity and warning printing part exchange time
JP3953144B2 (ja) * 1997-07-16 2007-08-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コードイメージ品質検査装置
JP2001041899A (ja) * 1999-07-27 2001-02-16 Toshiba Corp 紙葉類の汚れ具合識別装置
JP3839207B2 (ja) * 2000-01-14 2006-11-01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紙葉類識別装置
AU2001234955A1 (en) * 2000-02-08 2001-08-20 Cummins-Allis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oubled bills in a currency handling device
WO2003007237A1 (fr) * 2001-07-12 2003-01-23 Do Labs Procede et systeme pour produire des informations formatees liees aux distorsions geometriques
JP5193409B2 (ja) * 2001-09-21 2013-05-08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と紙葉類処理装置の点検方法とテスト媒体
DE10151854A1 (de) * 2001-10-24 2003-05-08 Giesecke & Devrient Gmbh Wertdokumentbearbeitungsvorrichtung, Verfahren zur Funktionsprüfung, Justierung und/oder Kalibrierung der Wertdokumentbearbeitungsvorrichtung und Testmedien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P1324278A1 (en) * 2001-12-28 2003-07-02 Mars Incorporated Calibration of currency validators
AU2002335337A1 (en) * 2002-08-30 2004-03-29 Fujitsu Frontech Limited Paper sheets characteristic detection device and paper sheets characteristic detection method
DE10243051A1 (de) * 2002-09-17 2004-03-25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und Pfüfeinrichtung zur Prüfung von Wertdokumenten
JP2004157701A (ja) * 2002-11-06 2004-06-03 Hitachi Ltd 光学式検出装置
JP2004326547A (ja) * 2003-04-25 2004-11-18 Nippon Conlux Co Ltd 紙葉類識別装置および方法
JP4634073B2 (ja) * 2004-06-29 2011-02-16 マミヤ・オーピー株式会社 紙葉類識別装置及び識別方法
JP4529828B2 (ja) * 2005-07-19 2010-08-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改ざん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87935B (zh) 2010-06-09
CN1987935A (zh) 2007-06-27
EP1798693A1 (en) 2007-06-20
JP2007172059A (ja) 2007-07-05
US20070139720A1 (en)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5228A (ko) 종이 시트 판별 장치, 종이 시트 처리 장치, 및 종이 시트판별 방법
KR101297702B1 (ko) 적분된 투과 및 반사 스펙트럼 응답을 이용한 개선된 위조 화폐 검출기
KR101333278B1 (ko) 시각적인 반사 스펙트럼 반응을 이용한 향상된 위조 화폐 검출기
JP3895772B2 (ja) 紙幣または有価証券などのシート材を検査する装置および方法
RU2481637C2 (ru) Чередование освещения
RU2488886C2 (ru) Определение пригодности документ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чередующегося освещения
EP106660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rticles
US55025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material used in construction of containers and color of same
JP4703403B2 (ja) 検査装置
JPH02297049A (ja) シート状部材の試験装置
KR20000016335A (ko) 은행권 감식기
US7519213B2 (en) Optical double feed detection
JP2010039897A (ja) 光検出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WO2004097752A1 (ja) 紙葉類識別装置および方法
CN105844780A (zh) 纸张判别装置、校正信息设定方法、以及纸张判别方法
JP2001074659A (ja) 紙葉類用の蛍光検出装置
JPH0944633A (ja) 紙葉類鑑別装置
WO2023210619A1 (ja) 撮像装置、検査装置、撮像条件決定方法及び撮像方法
JPH01219989A (ja) 紙葉の計数鑑別方式
JPH0997364A (ja) 紙幣識別装置
JPS59876B2 (ja) シジヨウブツタイノハンベツソウ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