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2894A -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인형성칩 - Google Patents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인형성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894A
KR20070062894A KR1020060035414A KR20060035414A KR20070062894A KR 20070062894 A KR20070062894 A KR 20070062894A KR 1020060035414 A KR1020060035414 A KR 1020060035414A KR 20060035414 A KR20060035414 A KR 20060035414A KR 20070062894 A KR20070062894 A KR 20070062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ir
electrode regions
transparent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9950B1 (ko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김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규 filed Critical 김성규
Priority to KR1020060035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950B1/ko
Publication of KR20070062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moving optical part of parts, e.g. mirr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인형성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전광판은 제1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에 대향하게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2 투명판과; 각각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영역 및 복수의 제2 전극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4개의 상기 제2 전극영역과 인접하도록 형성된 투명전극과; 인접한 한 쌍의 제1 전극영역에 각각 접속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이 접속된 상기 한 쌍의 제1 전극영역에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2 전극영역에 각각 접속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제2 전극을 가지되,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영역이 제1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신호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영역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신호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투명전극에 부착되는 복수의 라인형성칩과; 상기 제1 신호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전극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애노드전극과, 상기 제2 신호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전극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캐소드전극을 갖는 복수의 칩 LED와; 상기 복수의 칩 LED가 선택적으로 점멸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신호라인과 상기 복수의 제2 신호라인에 선택적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저전력으로 구동되고 수명이 길며, 투명하면서도 그 두께가 얇으며 동영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투명전광판, 발광다이오드

Description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인형성칩{TRANSPARENT ELECTRIC SIGN AND LINE FORMING CHIP APPLI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전광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투명전광판의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칩 LED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투명전광판의 전극영역 및 칩 LED에 의해 형성된 회로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회로 패턴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투명전광판의 전극영역 및 칩 LED에 의해 형성된 회로 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전광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명발광장치 10 : 제1 투명판
20 : 제2 투명판 30 : 칩 LED
31a,31b : 제1 전극 32a,32b : 제2 전극
33 : PCB 기판 34 : 제1 전극층
34a,35b : 제2 전극층 36 : LED 칩
37 : 점퍼라인 40 : 투명전극
50 : 비전도성 접착제 60 : 신호패드
70 : 충진제 80 : 전도성 접착제
A,A' : 제1 전극영역 B,B' : 제2 전극영역
본 발명은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칩 LED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의 구현이 가능한 투명한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칩 LED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외에서 사용되는 전광판은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함)를 사용하는 전광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를 사용하는 전광판은 LED가 저전력으로 구동되고 그 수명이 길다는 점에서 옥외의 대형 전광판이나 실내의 소형 전광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광판은 후면의 전선의 처리와 동영상의 구현을 위해 그 두께가 두꺼운 단점이 있다. 특히, LED의 구동을 위한 회로기판이 다층으로 이루어져 전광판의 전체 두께를 두껍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종래의 전광판은 후면의 전선이나 흑막 처리 등을 위해 뒷면을 커버로 가려두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이를 위한 구조물에 의해 그 두께가 증가하고, 미관상 적절치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전력으로 구동되고 수명이 긴 LED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구현하면서도, 투명하고 그 두께가 얇은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칩 LED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에 대향하게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2 투명판과; 각각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영역 및 복수의 제2 전극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4개의 상기 제2 전극영역과 인접하도록 형성된 투명전극과;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1 전극영역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애노드 전극과 상기 애노드 전극이 접속된 상기 한 쌍의 제1 전극영역에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2 전극영역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캐소드 전극을 가지되,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영역이 제1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신호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영역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신호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투명전극에 부착되는 복수의 칩 LED와; 상기 복수의 칩 LED가 선택적으로 점멸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신호라인과 상기 복수의 제2 신호라인에 선택적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신호라인 및 상기 제2 신호라인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 기 제1 전극영역 및 상기 제2 전극영역에는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신호패드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에 대향하게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2 투명판과; 각각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영역 및 복수의 제2 전극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4개의 상기 제2 전극영역과 인접하도록 형성된 투명전극과; 인접한 한 쌍의 제1 전극영역에 각각 접속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이 접속된 상기 한 쌍의 제1 전극영역에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2 전극영역에 각각 접속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제2 전극을 가지되,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영역이 제1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신호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영역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신호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투명전극에 부착되는 복수의 라인형성칩과; 상기 제1 신호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전극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애노드전극과, 상기 제2 신호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전극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캐소드전극을 갖는 복수의 칩 LED와; 상기 복수의 칩 LED가 선택적으로 점멸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신호라인과 상기 복수의 제2 신호라인에 선택적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칩 LED는 단색 2 전극 칩 LE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투명판의 판면은 사각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전극영역 및 상기 제2 전극영역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경계는 상기 제1 투명판의 대각 방향 또는 종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신호라인과 상기 복수의 제2 신호라인 중 어느 일측을 순차적으로 온시키며 상기 복수의 제1 신호라인과 상기 복수의 제2 신호라인 중 타측을 선택적으로 온시켜 상기 칩 LED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투명판과 상기 제2 투명판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단색을 발광하는 LED칩과; 상기 LED 칩의 애노드와 캐소드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제1 전극과; 상기 LED 칩의 상기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전극과 대각 방향으로 상호 교차하도록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LED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이 실장되는 LED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LED 칩은 상기 LED 기판에 실장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LED 기판의 상기 LED 칩이 접속된 면으로부터 반대측 면으로 절곡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1 전극은 상기 LED 칩이 접속된 면에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전극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상호 인접한 4개의 전극영역을 연결하되, 상기 4개의 전극영역 중 상호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영역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영역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전극과; 상기 4개의 전극영역 중 나머지 한 쌍의 전극영역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나머지 한 쌍의 전극영역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형성칩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1 전극은 상기 LED 칩이 접속된 면에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전극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투명'의 개념은 빛을 100% 투과시키는 것으로 한정 해석되지 않으며, '투명'한 것으로 인식 가능한 정도, 즉 소정 수준 이상의 투과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전광판(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칩 LED(Light Emitting Diode)(30), 제1 투명판(10), 제2 투명판(10), 투명전극(4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칩 LED(30)는, 도 3a 내지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LED, 이하, 'LED'라 함) 칩(36), 한 쌍의 제1 전극(31a,31b), 및 한 쌍의 제2 전극(32a,3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칩 LED(30)은 하나의 단일 칩 형태로 마련되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전극(40)에 부착된다. 여기 서, 본 발명에 따른 LED 칩(36)은 SMD(Surface Mount Device) 타입의 칩을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에 따라, 투명전광판(1)의 투명도가 향상될 수 있다.
LED 칩(36)은 단색을 발광하는 광원으로 사용되며, LED 칩(36)의 점멸에 따라 투명전광판(1)에 이미지가 표시된다.
제1 전극(31a,31b)은 LED 칩(36)의 애노드와 캐소드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전극(32a,32b)은 LED 칩(36)의 애노드와 캐소드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제1 전극(31a,31b)이 LED 칩(36)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제2 전극(32a,32b)이 LED 칩(36)의 캐소드와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며, 제1 전극(31a,31b)을 애노드 전극(31a,31b)이라 하고 제2 전극(32a,32b)을 캐소드 전극(32a,32b)이라 임의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한 쌍의 애노드 전극(31a,31b)과 한 쌍의 캐소드 전극(32a,32b)은 칩 LED(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칩 LED(30)의 외부로 노출된 애노드 전극(31a,31b) 및 캐소드 전극(32a,32b)이 투명전극(40)의 후술할 제1 전극영역(A) 및 제2 전극영역(B)에 부착되어 제1 전극영역(A) 및 제2 전극영역(B)을 통한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점멸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애노드 전극(31a,31b) 및 한 쌍의 캐소드 전극(32a,32b)은 LED 기판(33)에 실장된다. 도 3a는 칩 LED(30)의 제1 전극영역(A) 및 제2 전극영역(B)에 부착되는 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칩 LED(30)의 LED 칩(36)이 부착되는 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한 쌍의 애노드 전극(31a,31b) 및 한 쌍의 캐소드 전극(32a,32b)은 LED 기판(33)의 LED 칩(36)이 접속된 면으로부터 반대측 면으로 절곡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애노드 전극(31a,31b)은 LED 기판(33)의 LED 칩(36)이 부착되는 면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캐소드 전극(32a,32b)은 LED 기판(33)의 LED 칩(36)이 접속되는 면에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된다. 그리고, 한 쌍의 캐소드 전극(32a,32b)은 점퍼라인(37)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칩 LED(3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 구성을 갖게 된다. 여기서, 한 쌍의 애노드 전극(31a,31b)과, 한 쌍의 캐소드 전극(32a,32b)은 각각 상호 대각 방향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쌍의 캐소드 전극(32a,32b)은 한 쌍의 애노드 전극(31a,31b)과 대각 방향으로 상호 교차하도록 칩 LED(30)의 하부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제1 투명판(10)은 투명한 재질, 예컨대, 투명한 유리, PC(Poly Carbonate), 또는 아크릴 재질의 판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투명판(10)은 대략 사각 형태의 판 형상을 가지며 유리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2 투명판(10)은 제1 투명판(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투명한 재질, 예컨대, 제1 투명판(10)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유리, PC(Poly Carbonate), 또는 아크릴 재질로 마련된다. 여기서, 제2 투명판(10)은 제2 투명판(10)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판 형상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제1 투명판(10) 및/또는 제2 투명판(10)을 투명한 유리재질로 마련하는 경우, 반강화 유리재질로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투명판(10) 및/또는 제2 투명판(10)이 스크래치 등에 의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완전 강화유리로의 제작시 발생할 수 있는 휨 현상이나 저항성 증가를 줄일 수 있다.
한편, 투명전극(4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액상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제1 투명판(10)에 도포(Coating)하여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투명전극(40)은 각각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영역(A) 및 복수의 제2 전극영역(B)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 전극영역(A)과 제2 전극영역(B)은 제1 투명판(10) 상에 교대로 배치된다. 즉, 하나의 제1 전극영역(A)은 4개의 제2 전극영역(B)과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동일하게 하나의 제2 전극영역(B)은 4개의 제1 전극영역(A)과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전극영역(A)들 상호 간 및 제2 전극영역(B)들 상호간, 그리고, 제1 전극영역(A)과 제2 전극영역(B) 간은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제1 투명판(10)에 도포된다. 도 4는 제1 전극영역(A) 및 제2 전극영역(B)들 간을 분리하는 경계가 사각 형태의 제1 투명판(10)의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4에서는, 제1 전극영역(A) 및 제2 전극영역(B)이 각각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인접한 제1 전극영역(A) 간에는 그 꼭지점이 인접하게 된다. 그리고, 인접한 제1 전극영역(A) 및 제2 전극영역(B)은 상호 그 변이 마주하게 된다.
한편, 칩 LED(30)의 한 쌍의 애노드 전극(31a,31b)은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제1 전극영역(A)에 각각 접속된다. 그리고, 애노드 전극(31a,31b)이 접속된 제1 전극영역(A)에 인접한 한 쌍의 제2 전극영역(B)에 한 쌍의 캐소드 전극(32a,32b)이 각각 접속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영역(A) 및 제2 전극영역(B)이 각각 사각 형태를 갖는 경우 칩 LED(30)는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제1 전극영역(A) 및 한 쌍의 제2 전극영역(B)이 인접하는 모서리 영역에 부착된다.
여기서, 다른 칩 LED(30)는 횡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 함) 및 종방향(이하, "제2 방향"이라 함)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접속된다. 이 때, 칩 LED(30)는 제1 전극영역(A)이 제1 방향으로 제1 신호라인(1~8)을 형성하고, 제2 전극영역(B)이 제2 방향으로 제2 신호라인(a~h)을 형성하도록 투명기판 상에 부착된다. 즉, 칩 LED(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영역(A) 및 제2 전극영역(B)에 걸쳐 부착되어, 제1 전극영역(A) 및 제2 전극영역(B)과 함께 제1 전극영역(A)이 제1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신호라인(1~8)(도 4에서는 8개, 1~8)을 형성하고, 제2 전극영역(B)이 제2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신호라인(a~h)(도 4에서는 8개, a~h)을 형성하게 된다.
도 5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1 전극영역(A) 및 제2 전극영역(B)과 복수의 칩 LED(30)에 의해 형성된 회로 패턴과 등가의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칩 LED(30)의 점멸은 제1 신호라인(1~8) 및 제2 신호라인(a~h)을 통한 제어신호의 공급 여부, 즉, 제1 신호라인(1~8) 및 제2 신호라인(a~h)의 온/오프에 따라 그 점멸이 결정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칩 LED(30)의 점멸을 제어함으로써, 동영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전광판에서는 2층 또는 2 개 이상의 PCB 기판을 사용하여야 도 5에 도시된 등가의 회로를 형성할 수 있었던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전광판(1)은 제1 투명판(10)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영역(A) 및 제2 전극영역(B)을 형성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칩 LED(30) 부착함으로써, 한 층의 투명전극(40) 만으로 도 5에 도시된 등가의 회로를 형성하고 있는 바, 투명전광판(1)의 두께를 현저히 감소시키면서도 그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0)는 제1 신호라인(1~8)과 제2 신호라인(a~h)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칩 LED(30)를 선택적으로 점멸시킴으로써, 동영상을 구현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제1 신호라인(1~8)과 제2 신호라인(a~h) 중 어느 일측, 예컨대, 제1 신호라인(1~8)을 순차적으로 온시키며, 제1 신호라인(1~8)이 순차적으로 온될 때 점등하고자 하는 칩 LED(30)이 속하는 제2 신호라인(a~h)을 온시켜 칩 LED(30)의 점멸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신호라인(1~8)이 순차적으로 온되는 타이밍을 짧게 하게 되면, 제1 신호라인(1~8)들이 한번씩 온되고 제2 신호라인(a~h)이 이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온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각 제1 신호라인(1~8) 및 각 제2 신호라인(a~h)을 어드레스로 인식하고, 칩 LED(30)의 점멸을 통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구현하는데 있어, 각 신호라인의 어드레스의 온/오프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제1 신호라인(1~8) 및 제2 신호라인(a~h)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1 전극영역(A) 및 제2 전극영역(B)에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신호패드(60)가 도포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부 및 우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전극영역(A) 및 제2 전극영역(B) 상에 신호패드(60)가 도포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그 위치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신호패드(60)는 단면 또는 양면의 전도성 테이프, 예컨대, 동 테이프, 알루미늄 테이프, 또는 실버페이스트 테이프 중 어느 하나를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실버페이스트의 스크린 인쇄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제1 전극영역(A'), 제2 전극영역(B') 및 칩 LED(30)에 의해 형성되는 회로 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영역(A') 및 제2 전극영역(B')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경계가 사각 형태의 제1 투명판(10)의 종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 그리고, 칩 LED(30)의 부착에 의해 제1 신호라인(1~9)과 제2 신호라인(a~i)은 각각 상호 교차되게 대각 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패턴에서는 도 4에 도시된 회로패턴과 달리, 그 신호패드(60)의 위치가 변경됨을 알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동일한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회로패턴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다른 제어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애노드 전극(31a,31b) 및 한 쌍의 캐소드 전극(32a,32b)을 갖는 칩 LED(30)를 사용하고,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회로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칩 LED(30)의 간격을 촘촘히(예컨대 1cm 이내) 할 수 있어 고 해상도의 투명전광판(1)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투명전광판(1)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한 층의 투명전극(40)으로 상기 회로 패턴을 형성하여 그 두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투명한 재질의 투명판 및 투명전극(40) 등을 이용하여, 투명성을 갖는 미관이 향상된 투명전광판(1)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전광판(1)은 제1 투명판(10)과 제2 투명판(10)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진제(70)는 제1 투명판(10)과 제2 투명판(10) 사이에 충진되어 칩 LED(30) 등의 손상을 보호하고, 제1 투명판(10)과 제2 투명판(10)을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부착시킴으로서 완전 유리로 제작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충진제(70)는 PVB 필름, EVA 필름, 및 레진(Resin)류의 액체 충진제(7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명전광판(1)의 칩 LED(30)는 전도성 접착제(80)에 의해 투명전극(40)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접착제(80)로는 스크린 인쇄에 적합한 실버 컨덕터(Silver conductor) 또는 실버페이스트(Silver paste)를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여기서, 실버 컨덕터 또는 실버페이스트는 적당한 점도(100~150kcps)와 유리에 접착력이 우수하며 면저항성이 낮은 것(예컨대, 50mΩ/sq)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버페이스트는 점도가 100~150kcps인 것을 일 예로 하며, 전도성 에폭시(Conductive Epoxy) 본드 계열을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에 따라, 라미네이팅 공정 등을 통한 충진제(70)의 충진시 접착력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투명전광판(1)은 칩 LED(30)를 고정하기 위한 비전도성 접착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전도성 접착제(50)는 칩 LED(30)의 본체를 제1 전극영역(A) 및/또는 제2 전극영역(B) 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의 제1 투명판(10)에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칩 LED(30)를 제1 투명판(10)의 투명전극(40)에 부착하는 공정이나 충진제(70)를 제1 투명판(10)과 제2 투명판(10) 사이에 개재하는 공정에서 칩 LED(30)가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의해 그 부착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전도성 접착제(50)는 칩 LED(30)의 애노드 전극(31a,31b)과 캐소드 전극(32a,32b)을 전도성 접착제(80)를 통해 제1 전극영역(A) 및 제2 전극영역(B)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두 전극영역에 도포된 전도성 접착제(80)가 흘러 쇼트(Shor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전도성 접착제(50)는 제1 투명판(10)의 판면으로부터 제1 전극영역(A) 및/또는 제2 전극영역(B)보다 칩 LED(30)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광판의 회로패턴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투명전광판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투명전광판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미 도시된 투명전광판의 구성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투명전광판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광판에는 하나의 애노드전극(31a')과 하나의 캐소드전극(32a')을 갖는 단색 2전극 칩 LED(30')가 사용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등가 회로패턴이 형성되도록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제1 전극영역(A'') 및 한 쌍의 제2 전극영역(B'')에는 라인형성칩(30'') 또는 크로스 점퍼칩들이 부착된다. 여기서, 라인형성칩(30'')은 한 쌍의 제1 전극(31a'',31b'')과 한 쌍의 제2 전극(32a'',32b'')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전극(31a'',31b'')과 한 쌍의 제2 전극(32a'',32b'')은 상호 대각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라인형성칩(30'')의 한 쌍의 제1 전극(31a'',31b'')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접한 한 쌍의 제1 전극영역(A'')에 각각 접속되어 인접한 한 쌍의 제1 전극영역(A'')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 전극(32a'',32b'')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접한 한 쌍의 제2 전극영역(B'')에 각각 접속되어 인접한 한 쌍의 제2 전극영역(B'')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전극영역(A'')은 라인형성칩(30'')의 제1 전극(31a'',31b'')에 의해 제1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신호라인(1'~8')을 형성하게 되고, 복수의 제2 전극영역(B'')은 라인형성칩(30'')의 제2 전극(32a'',32b'')에 의해 제2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신호라인(a'~h')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2전극 칩 LED(30')의 애노드전극(31a')이 제1 신호라인(1'~8')과 연 결되도록 제1 전극영역(A'')에 접속시키고, 2전극 칩 LED(30')의 캐소드전극(32a')이 제2 신호라인(a'~h')과 연결되도록 제2 전극영역(B'')에 접속시킴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가 회로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전력으로 구동되고 수명이 긴 LED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구현하면서도, 투명하고 그 두께가 얇은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칩 LED가 제공된다.

Claims (8)

  1. 제1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에 대향하게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2 투명판과;
    각각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영역 및 복수의 제2 전극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4개의 상기 제2 전극영역과 인접하도록 형성된 투명전극과;
    인접한 한 쌍의 제1 전극영역에 각각 접속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이 접속된 상기 한 쌍의 제1 전극영역에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2 전극영역에 각각 접속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제2 전극을 가지되,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영역이 제1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신호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영역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신호라인을 형성하도록 상기 투명전극에 부착되는 복수의 라인형성칩과;
    상기 제1 신호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전극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애노드전극과, 상기 제2 신호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전극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캐소드전극을 갖는 복수의 칩 LED와;
    상기 복수의 칩 LED가 선택적으로 점멸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신호라인과 상기 복수의 제2 신호라인에 선택적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칩 LED는 단색 2 전극 칩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라인 및 상기 제2 신호라인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전극영역 및 상기 제2 전극영역에는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신호패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판의 판면은 사각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전극영역 및 상기 제2 전극영역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경계는 상기 제1 투명판의 대각 방향 또는 종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신호라인과 상기 복수의 제2 신호라인 중 어느 일측을 순차적으로 온시키며 상기 복수의 제1 신호라인과 상기 복수의 제2 신호라인 중 타측을 선택적으로 온시켜 상기 칩 LED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판과 상기 제2 투명판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전광판.
  7. 상호 인접한 4개의 전극영역을 연결하되,
    상기 4개의 전극영역 중 상호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영역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영역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전극과;
    상기 4개의 전극영역 중 나머지 한 쌍의 전극영역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나머지 한 쌍의 전극영역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형성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전극은 상기 LED 칩이 접속된 면에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실장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전극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형성칩.
KR1020060035414A 2006-04-19 2006-04-19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인형성칩 KR100779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414A KR100779950B1 (ko) 2006-04-19 2006-04-19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인형성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414A KR100779950B1 (ko) 2006-04-19 2006-04-19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인형성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471A Division KR100618943B1 (ko) 2005-12-13 2005-12-13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칩 엘이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894A true KR20070062894A (ko) 2007-06-18
KR100779950B1 KR100779950B1 (ko) 2007-11-28

Family

ID=3836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414A KR100779950B1 (ko) 2006-04-19 2006-04-19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인형성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9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488A1 (ko) * 2015-03-02 2016-09-09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 제조용 엘이디 칩 마운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862B1 (ko) 2007-11-07 2009-06-16 (주)탑나노시스 투명 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09089B1 (ko) 2013-12-05 2015-04-07 김영택 칩엘이디를 이용하는 플렉서블 투명보드형 엘이디 전광판 발광모듈
KR101478651B1 (ko) * 2013-12-06 2015-01-05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의 레진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광판의 제조방법
KR102090525B1 (ko) 2017-11-14 2020-03-20 주식회사 스마테크 플렉서블 투명 led 전광판 발광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929A (ko) * 1997-05-30 1998-12-05 엄길용 엘이디 판넬
KR20040106272A (ko) * 2004-09-22 2004-12-17 이덕재 투명전극과 투명패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488A1 (ko) * 2015-03-02 2016-09-09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 제조용 엘이디 칩 마운팅 장치
KR20160106830A (ko) * 2015-03-02 2016-09-13 지스마트 주식회사 투명전광판 제조용 엘이디 칩 마운팅 장치
CN107004679B (zh) * 2015-03-02 2018-09-04 G思玛特有限公司 透明显示屏制造用发光二极管芯片封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950B1 (ko)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943B1 (ko)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칩 엘이디
RU2680257C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модуль, светодиодная панель и светодиодный экран
KR101784406B1 (ko) 투명 전광 장치
RU2690769C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пиксельный элемент, светоизлучающий компонент, светоизлучающая панель и экран дисплея
CN1331219C (zh) 半导体芯片安装基板、电光装置、液晶装置、电致发光装置及电子机器
KR102027416B1 (ko) Led 투명 전광판용 필름기판을 이용한 led 투명 전광판 장치의 제조 방법
CN1495700A (zh) 集成电路和包括集成电路的显示器
CN101069291A (zh) 透明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CN207947017U (zh) 一种柔性透明显示屏
KR100779950B1 (ko) 투명전광판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인형성칩
KR101509089B1 (ko) 칩엘이디를 이용하는 플렉서블 투명보드형 엘이디 전광판 발광모듈
KR100893085B1 (ko) 투명 전광 장치
CN105116602A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1761479B1 (ko) 플렉서블 엘이디 전광판 발광모듈
KR20080060490A (ko) 투명전광판
KR101785528B1 (ko) 네트패턴을 갖는 led 투명전광판 배선구조
EP2913860B1 (en) Lighting panel
CN210925316U (zh) 一种透明显示屏
KR102090525B1 (ko) 플렉서블 투명 led 전광판 발광모듈
CN212967706U (zh) 一种led显示单元及显示装置
CN212966897U (zh) 一种双面显示屏
KR102078993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N210865444U (zh) 一种透明显示模组及透明显示屏
KR20240011519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8080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