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993B1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993B1
KR102078993B1 KR1020130065368A KR20130065368A KR102078993B1 KR 102078993 B1 KR102078993 B1 KR 102078993B1 KR 1020130065368 A KR1020130065368 A KR 1020130065368A KR 20130065368 A KR20130065368 A KR 20130065368A KR 102078993 B1 KR102078993 B1 KR 102078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nnection
wiring
organic ligh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605A (ko
Inventor
정진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5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993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2Stacked devices having two or more layers, each emitting at different wavelength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며, 내면 상에 연결배선이 형성된 제2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다수의 구동회로 중 상기 제1 구동회로와 연결된 연결패턴과; 상기 제1 기판 내면 상에 상기 연결패턴 및 상기 연결배선을 연결하는 제1 연결전극과; 상기 연결배선과 연결되는 제2 연결전극과; 상기 제1 기판의 타측에서, 상기 제2 연결전극과 연결되는 금속배선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향기판에 구동 드라이버와 연결되는 배선을 형성하고, 이를 어레이기판과 부착하는 구조로, 좁은 베젤을 갖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 장치(PDP : plasma display panel device),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 가지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가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 중,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발광소자를 이용함으로써, 비발광소자를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조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직류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온도범위도 넓으며, 특히 제조비용 측면에서도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의 특성을 갖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는 크게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passive matrix type)과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active matrix type)으로 나눠지는데,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은 신호선을 교차하면서 매트릭스 형태로 소자를 구성하는 반면,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은 화소를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전류를 흘려보내주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에 한 프레임 동안 전압을 유지해 주는 캐패시터가 화소 별로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 화소별로 위치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배선에 연결되고, 데이터 전극은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어있다.
이때, 게이트 배선은 다수의 구동회로로 이루어진 게이트 구동부와 연결되어있고, 데이터 배선은 데이터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부는 여러 가지 제어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생성하는 부품들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과, 패널 및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고 패널의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와 데이터 구동회로를 각각 포함하는데, 구동회로를 패널에 실장(packaging)하는 방법에 따라, 칩 온 글래스(COG : chip on glass),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 tape carrier package), 칩 온 필름(COF : chip on film) 등으로 나누어진다.
칩 온 글래스는 패널의 어레이 기판 상에 구동회로를 실장하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반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나 칩 온 필름은 별도의 필름을 이용하여 구동회로를 실장하기 때문에, 구동회로가 내장된 필름을 패널의 배면으로 구부릴 수 있어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칩 온 필름이 주로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칩 온 필름 방식은 구동회로가 연성회로필름에 실장된다.
이와 같은 칩 온 필름 방식을 이용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10)은 어레이 기판(11)과 대향 기판(19)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어레이 및 대향 기판(11, 19) 사이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어레이 기판(11)은 대향 기판(19)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므로,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는데, 이 부분에는 패널(10)의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패드가 위치한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11)의 패드는 다수의 연성회로필름(21, 31)과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의 연성회로필름(21, 31)은 패널(10)을 구동시키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23) 또는 데이터 구동회로(33)를 포함한다.
이때, 게이트 구동회로(23)를 포함하는 다수의 연성회로필름(21)을 게이트 구동부(20)라 하고, 데이터 구동회로(33)를 포함하는 다수의 연성회로필름(31)을 데이터 구동부(30)라 한다.
그리고, 게이트 구동부(20)는 패널(10)의 일측에 형성되고, 데이터 구동부(30)는 게이트 구동부(20)와 다른 측에 형성된다.
한편, 다수의 연성회로필름(21, 31)은 회로기판(40)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게이트구동부(20)의 다수의 연성회로필름(21)은 데이터구동부(30)의 다수의 연성회로필름(31)과 연결되어 회로기판(40)과 연결된다.
이때, 패널(10)과 다수의 연성회로필름(21, 31)을 연결하고, 다수의 연성회로필름(21, 31)와 인쇄회로기판(40)을 연결할 때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 :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연결을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는 도1의 Ⅰ-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10)은 어레이 기판(11) 상부에 금속배선(12)과, 박막트랜지스터(T)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E)와, 보호층(14)과, 대향 기판(19)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어레이 기판(11)이 돌출된 부분에는 금속배선(12) 상부에 이방성 도전 필름(22)와, 연성회로필름(21)이 형성된다.
이방성 도전 필름(22)은 일종의 열경화성 수지 필름에 작은 도전성 입자가 들어 있는 것으로, 도전성 접착을 하려는 패널(10)의 패드(PAD) 위에 이방성 도전 필름(22)을 붙이고, 연성회로필름(21)을 패널(10)의 패드(PAD)와 맞추어 부착한 후 열압착하면 수직 방향으로 전기적 접촉이 된다. 이때, 연성회로필름(21) 및 이방성 도전 필름(22)의 재질을 고려하여 적절한 열과 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성회로필름(21)과 인쇄회로기판(40)도 같은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연성회로필름 구조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10)의 4개의 외측변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측변에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연성회로필름(21, 31)을 실장하여, 연성회로필름(21, 31)이 실장된 패널의 두 개 이상의 측변이 패널(10)에서 넓은 폭을 차지하여 패널(10)의 외면을 감싸는 베젤(Bezel)의 폭이 넓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베젤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며, 내면 상에 연결배선이 형성된 제2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다수의 구동회로 중 상기 제1 구동회로와 연결된 연결패턴과; 상기 제1 기판 내면 상에 상기 연결패턴 및 상기 연결배선을 연결하는 제1 연결전극과; 상기 연결배선과 연결되는 제2 연결전극과; 상기 제1 기판의 타측에서, 상기 제2 연결전극과 연결되는 금속배선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 기판은 내부에 컬러필터 및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배선은 상기 제2 기판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컬러필터의 적, 녹, 청, 각각의 필터 사이의 상기 블랙 매트릭스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상기 연결배선은 수직 절곡하는 단일 배선으로 상기 제1 연결전극과, 상기 제 2 연결전극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상기 연결배선은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며 콘택홀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배선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이때, 상기 제1 연결배선은 상기 제1 연결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콘택홀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배선은 상기 제2 연결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콘택홀까지 형성되며, 상기 콘택홀부터 상기 제2 연결전극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배선은 상기 제1 연결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콘택홀까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배선은 상기 제2 연결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콘택홀까지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배선이 'ㄱ'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구동회로는 하나의 연성회로필름에 함께 실장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 2 구동회로는 제1 기판에 직접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구동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회로가 실장되는 패널의 일측면에 일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이방성 도전 필름 또는 은, 주석, 금,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 중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상기 연결배선은, 금속 페이스트(paste), 은 나노선 또는 금속 나노입자 중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의 대향 기판에 배선을 형성해 구동회로와 게이트 배선을 연결하여 패널 외면 중 하나의 면에 구동회로를 실장 하여 패널의 감싸 배젤부의 넓이가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3의 Ⅳ-Ⅳ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의 제2 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배선의 다른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의 가장자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패널(100)은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90)으로 이루어 진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90)사이에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각 화소영역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기판(110)은 제 2 기판(190)보다 더 넒은 면적을 가지므로, 제 2 기판(190)의 외부로 돌출되는 외곽 부분이 존재한다.
이 외곽부분에는 패널(100)의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패드가 위치한다.
그리고, 제 1 기판(110)의 패드는 다수의 연성회로필름(210, 310)과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의 연성회로필름(210, 310) 중 일부에는 게이트 구동회로(230)가 실장되고, 나머지 연성회로필름에는 데이터 구동회로(330)가 실장된다.
이때, 게이트 구동회로(230)를 포함하는 다수의 연성회로필름(210)을 게이트구동부라 하고, 데이터 구동회로(330)를 포함하는 다수의 연성회로필름(310)을 데이터구동부라 한다.
한편, 게이트구동부와 데이터구동부는 패널의 일측변에 연결되고, 다수의 연성회로필름(210, 310)은 인쇄회로기판(400)과 연결된다.
이때, 패널(100)과 다수의 연성회로필름(210, 310)을 연결하고, 다수의 연성회로필름(210, 310)과 인쇄회로기판(400)을 연결할 때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 :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연결을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는 도3의 Ⅳ-Ⅳ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100)은 제 1 기판(110) 상부에 연결패턴(120)과, 박막트랜지스터(T)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E)와, 보호층(140)과, 제 2 기판(19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2 기판(190)에는 예를들어 금속 페이스트(paste), 은 나노선 또는 금속 나노입자로 형성되는 제1 연결배선(180)이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이나,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등의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기판(190)은 제1 기판(110)의 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제1 기판(110)은 제2기판(190)의 외부로 돌출된 외곽부분이 존재한다.
이때, 외곽으로 돌출된 제1기판(110)의 외곽부분에는 연결패턴(120)과 연결패턴(120)의 일끝단에 구성되는 패드(PAD)가 위치한다.
그리고, 연결패턴(120) 상부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220)과, 연성회로필름(210)이 형성된다.
이방성 도전 필름(220)은 일종의 열경화성 수지 필름에 작은 도전성 입자가 들어 있는 것으로, 도전성 접착을 하려는 패널(100)의 패드(PAD) 위에 이방성 도전 필름(220)을 붙이고, 연성회로필름(210)을 패널(100)의 패드(PAD)와 맞추어 부착한 후 열압착하면 수직 방향으로 전기적 접촉이 된다. 이때, 연성회로필름(210) 및 이방성 도전 필름(220)의 재질을 고려하여 적절한 열과 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성회로필름(210)과 인쇄회로기판(400)도 같은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구동부의 연성회로필름(310)은, 이방성 도전 필름(220)을 통해 데이터 배선의 일끝단에 위치하는 패드(PAD)와 연결된다.
그리고, 게이트구동부의 연성회로필름(210)은 이방성 도전 필름(220)과, 이방성 도전 필름(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패턴(120)의 타측에 형성된 제1 연결전극(160)을 통해 제2 기판(190)의 제1 연결배선(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 연결전극(160)은 이방성 도전필름 이나 은, 주석, 금 및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 중 하나로 형성된다.
이하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판의 연결배선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의 제2 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의 제 2 기판(190)은 내부에 금속 페이스트(paste), 은 나노선 또는 금속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제1 연결배선(180)이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이나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등의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2 기판(190)은 내부에 컬러필터와 블랙 매트릭스가 형성된 컬러필터기판일 수 있는데, 이때 제1 연결배선(180)은 제2 기판(190) 상부에 형성되는 컬러필터의 적, 녹, 청, 각각의 필터의 사이에 형성되는 블랙 매트릭스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기판(190)의 내부의 블랙매트릭스를 도전성 물질로 형성하여 제1 연결배선(18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기판(190)은 제1 기판(110)과 합착될 때 뒤집혀서 합착된다.
한편, 제1 연결배선(180)은 게이트 구동회로(도 3의 230)에서 전달되는 게이트 신호를 제2 기판(190)의 양 측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제2 연결전극(도 8의 165)을 통해 패널(도 4의 100)의 게이트 배선에 전달한다.
이와 같은 제1 연결배선(18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연결배선의 다른예를 설명한다.
이때, 도 5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배선의 다른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판(190)의 금속배선은 제 2 기판(190)에 형성된 다수의 제2 연결배선(182)과, 제2 연결배선(182)과 수직하며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3 연결배선(18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제2 연결배선(182)과 다수의 제3 연결배선(184)의 사이에는 절연층이 위치한다. 그리고 절연층에는 서로 대응되는 다수의 제2 금속 배선(182)과 다수의 제3 금속 배선(184)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콘택홀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연결배선(182)에는 게이트 구동부(210)에서 전달되는 게이트신호가 제1 연결전극(도 4의 160)을 통해 인가되고, 절연층의 콘택홀을 통해 제3 연결배선(184)에 인가되어, 제3 연결배선(184)의 적어도 일끝단에 위치한 제 2 연결전극(165)을 통해 패널(도 4의 100)의 게이트 배선에 인가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연결배선(182, 184)의 형태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가능하다.
이하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또다른 예를 설명한다.
이때,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판(190)의 연결배선은 제 2 기판(190)에 형성된 다수의 제2 연결배선(182)과, 제2 연결배선(182)과 수직된 다수의 제3 금속 배선(18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제2 연결배선(182)은 다수의 제3 연결배선(184)에 수직하도록 형성되며, 서로 대응하며 수직되는 부분에서 'ㄱ'자 형태로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제2 연결배선(182)과 다수의 제3 연결배선(184)의 사이에는 절연층이 위치한다. 그리고 절연층에는 다수의 제2 연결배선(182)과 다수의 제3 연결배선(184)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콘택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연결배선(182)에는 게이트 구동회로(230)에서 전달되는 게이트신호가 제1 연결전극(도 4의 160)을 통해 인가되고, 절연층의 콘택홀을 통해 제3 연결배선(184)에 인가되어, 제3 금속 배선(184)의 한쪽 끝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 2 연결배선(165)을 통해 패널(도 4의 100)의 게이트 배선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게이트 구동회로(도 3의 230)에서 인가되는 게이트신호는 이방성 도전 필름(220)과, 연결패턴(120)과, 제1 연결배선(160)과, 제 2기판의 제1 연결배선(180) 또는 제2 연결배선(182) 및 제3 연결배선(184)과, 제2 연결전극(165)를 통해 게이트 배선으로 인가된다.
이하 도8을 통해 제2 연결전극과, 게이트 배선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의 가장자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100)은 제 1 기판(110) 상부에 게이트 배선(130)과, 박막트랜지스터(T)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E)와, 보호층(140)과, 제2 연결전극(165)과, 제1 연결배선(180)과, 제 2 기판(19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연결배선(180)은 이방성 도전 필름 또는 은, 주석, 금,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 중 하나로 형성되는 제2 연결전극(165)을 통해 게이트 배선(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2 기판(190)에 연결배선(180)을 형성하여 게이트 구동부의 게이트신호를 게이트 배선(130)으로 인가하면, 패널(100)의 4개의 외측변 중 한 측변의 연성회로필름에 게이트 구동회로(도3의 230) 및 데이터 구동회로(도 3의 330)를 형성해 패널(100) 외곽의 넓이가 줄어들어 배젤부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제2 기판(190)에 형성되는 연결배선으로 전달되는 신호는 게이트 구동부의 게이트신호 외에도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 소스신호 등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은 연성회로필름(210, 310)에 게이트 구동회로(230)와 데이터 구동회로(330)가 각각 실장되어 있지만 연성회로필름(210, 310)에 게이트 구동회로(230)와, 데이터 구동회로(330)가 같이 실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게이트 구동회로와 데이터 구동회로가 같이 실장된 구성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패널(100)은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90)으로 이루어 진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90)사이에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각 화소영역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기판(110)은 제 2 기판(190)보다 더 넒은 면적을 가지므로, 제 2 기판(190)의 외부로 돌출되는 외곽 부분이 존재한다.
이 외곽부분에는 패널(100)의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패드가 위치한다.
그리고, 제 1 기판(110)의 패드는 다수의 연성회로필름(315)과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의 연성회로필름(315) 각각에는 게이트 구동회로(230)와 데이터 구동회로(330)가 실장된다.
그리고, 다수의 연성회로필름(315)은 인쇄회로기판(400)과 연결된다.
이때, 패널(100)과 다수의 연성회로필름(315)을 연결하고, 다수의 연성회로필름(315)과, 인쇄회로기판(400)을 연결할 때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 :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사용한다.
따라서, 게이트 구동회로(230)가 이방성 도전 필름과, 연결패턴 및 제1 연결전극을 통해 제2 기판(190)에 제1 연결배선과 연결되고, 제1 연결배선은 제2 연결전극과, 제1 기판(110)의 게이트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2 기판(190)에 연결배선(180)을 형성하여 게이트 구동부의 게이트신호를 게이트 배선(130)으로 인가하도록 연성회로필름(315)를 구성하면, 패널(100)의 4개의 외측변 중 한 측변의 연성회로필름에 게이트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230, 330)를 형성해 패널(100) 외곽의 넓이가 줄어들어 배젤부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은 칩 온 필름 방식의 연성회로필름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칩 온 글래스 방식의 연성회로필름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패널(100)은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90)으로 이루어 진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90)사이에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각 화소영역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기판(110)은 제 2 기판(190)보다 더 넒은 면적을 가지므로, 제 2 기판(190)의 외부로 돌출되는 외곽 부분이 존재한다.
이 외곽부분에는 패널(100)의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회로가 칩 온 글래스 방식으로 형성된다.
즉, 제 1 기판(110)의 외곽부분에는 게이트 구동회로(230)와 데이터 구동회로(330)가 실장된다.
이때, 게이트 구동회로(230)와 데이터 구동회로(330)는 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기판(110)의 외곽부분에는 인쇄회로기판(400)이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연결된다.
한편, 게이트 구동회로(230)와 데이터 구동회로(330)는 연결패턴으로 패널과 연결되는데, 게이트 구동회로(230)와 데이터 구동회로(330)는 각각 연결되는 연결패턴이 다르다.
이때, 게이트 구동회로(230)와 연결되는 연결패턴은 제1 연결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연결전극은 제2 기판(190)에 형성된 제1 연결배선과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배선은 제2 연결전극을 통해 제1 기판(110)의 게이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2 기판(190)에 제1 연결배선을 형성하여 게이트 구동부의 게이트신호를 게이트 배선(130)으로 인가하면, 패널(100)의 4개의 외측변 중 한측변에만 게이트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를 형성해 패널(100) 외곽의 넓이가 줄어들어 배젤부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은 제1기판(110)에 게이트 구동회로(230)와 데이터 구동회로(330)가 일방향으로 각각 실장되어 있지만 제1 기판(110)에 게이트 구동회로(230)와, 데이터 구동회로(330)가 일방향으로 두 개씩 실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게이트 구동회로와 데이터 구동회로가 일방향으로 두 개씩 실장된 구성을 설명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패널(100)은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90)으로 이루어 진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90)사이에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각 화소영역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기판(110)은 제 2 기판(190)보다 더 넒은 면적을 가지므로, 제 2 기판(190)의 외부로 돌출되는 외곽 부분이 존재한다.
이 외곽부분에는 패널(100)의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구동회로가 칩 온 글래스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기판(110)에는 게이트 구동회로(230)와 데이터 구동회로(330)가 일방향으로 두 개씩 실장된다.
그리고, 제1 기판(110)의 외곽부분에 형성되는 필름(318)에는 인쇄회로기판(400)이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연결된다.
한편, 게이트 구동회로(230)와 데이터 구동회로(330)는 연결패턴으로 패널과 연결되는데, 게이트 구동회로(230)와 데이터 구동회로(330)는 각각 연결되는 연결패턴이 다르다.
이때, 게이트 구동회로(230)와 연결되는 연결패턴은 제1 연결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연결전극은 제2 기판(190)에 형성된 제1 연결배선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연결배선은 제2 연결전극을 통해 제1 기판(110)의 게이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2 기판(190)에 제1 연결배선을 형성하여 게이트 구동부의 게이트신호를 게이트 배선(130)으로 인가하면, 패널(100)의 4개의 외측변 중 한측변에만 게이트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를 형성해 패널(100) 외곽의 넓이가 줄어들어 배젤부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패널 110 : 제1 기판
120 : 연결패턴 140 : 보호층
160 : 연결전극 180 : 연결배선
190: 제2 기판 210 : 연성회로필름
220 : 이방성 도전 필름

Claims (13)

  1.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1구동회로 및 제2구동회로가 연결되고 복수의 게이트배선과 데이터배선이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 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구동회로와 연결된 연결패턴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연결패턴과 접속되는 제1 연결전극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배선과 접속되는 제2 연결전극과;
    상기 제1기판과 마주하는 상기 제2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일단이 제1연결전극과 접속되고 타단이 제2연결전극과 접속되는 연결배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연결전극은 상기 제2기판의 일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전극은 제2기판의 타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배선이 상기 제2기판의 상기 일변에서 상기 타변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구동회로에서 출력된 신호가 상기 연결패턴, 상기 제1연결전극, 상기 연결배선, 상기 제2연결전극을 통해 게이트배선으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복수의 블랙매트릭스; 및
    상기 블랙매트릭스와 블랙매트릭스 사이에 배치된 컬러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배선은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상기 블랙매트릭스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선은 수직 절곡하는 단일 배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선은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며 콘택홀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배선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배선은 상기 제1 연결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콘택홀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배선은 상기 제2 연결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콘택홀까지 형성되며, 상기 콘택홀부터 상기 제2 연결전극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배선은 상기 제1 연결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콘택홀까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배선은 상기 제2 연결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콘택홀까지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배선이 'ㄱ'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회로가 함께 실장되는 연성회로필름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구동회로는 상기 제1 기판에 직접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회로가 실장되는 패널의 일측면에 일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이방성 도전 필름 또는 은, 주석, 금,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 중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선은, 금속 페이스트(paste), 은 나노선 또는 금속 나노입자 중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회로는 게이트구동부이고 상기 제2 구동회로는 데이터구동부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65368A 2013-06-07 2013-06-07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78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368A KR102078993B1 (ko) 2013-06-07 2013-06-07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368A KR102078993B1 (ko) 2013-06-07 2013-06-07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605A KR20140143605A (ko) 2014-12-17
KR102078993B1 true KR102078993B1 (ko) 2020-02-19

Family

ID=5267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368A KR102078993B1 (ko) 2013-06-07 2013-06-07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9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6525B2 (ja) * 2018-02-06 2021-08-11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Led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798B1 (ko) * 2003-06-27 2006-06-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능동 구동형 유기 전계발광 소자 패널
KR100953655B1 (ko) * 2008-07-08 2010-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595455B1 (ko) * 2009-08-10 2016-0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605A (ko)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8491C1 (ru) Гибкая подложка и структур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хемы
US10163942B2 (en) Source driver, an image display assembly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US11742358B2 (en) Display panel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80070783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412315B (zh) 显示装置
US7876122B2 (en) Display device
US9305990B2 (en) Chip-on-film package and devic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7019808B2 (en) Image device
JP2006330731A (ja) 表示装置
TW201443516A (zh) 顯示面板及顯示裝置
JP4997593B2 (ja) 表示装置
JP2008033095A (ja) 表示装置
JP2006267605A (ja) 表示装置
JP2005203745A (ja) 駆動チップ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US11877483B2 (en) Display device with circuit film coupled to lateral surface of base substrate
KR102396021B1 (ko) 구동칩이 구비된 인쇄 회로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08033094A (ja) 表示装置
KR102078993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67965B1 (ko) 연성인쇄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070051619A (ko) 양방향 표시가 가능한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소자
JP2004118089A (ja) 液晶表示装置
KR101852998B1 (ko) 액정표시장치용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KR20060125326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160829Y1 (ko) 액정표시소자 모듈 구조
KR100615831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채용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