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588A - 란셋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란셋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588A
KR20070058588A KR1020077007688A KR20077007688A KR20070058588A KR 20070058588 A KR20070058588 A KR 20070058588A KR 1020077007688 A KR1020077007688 A KR 1020077007688A KR 20077007688 A KR20077007688 A KR 20077007688A KR 20070058588 A KR20070058588 A KR 20070058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t
cover
connector
hold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유키 아베
가즈하루 세키
Original Assignee
이즈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즈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즈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8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26Means for controlling the lancing movement, e.g. 2D- or 3D-shaped elements, tooth-shaped elements or sliding guides
    • A61B5/1513Means for controlling the lancing movement, e.g. 2D- or 3D-shaped elements, tooth-shaped elements or sliding guides comprising linear sliding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12Pointed piercing elements, e.g. needles, lancets for pier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503Single-ended needles
    • A61B5/150519Details of construction of hub, i.e. element used to attach the single-ended needle to a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541Breakable protectors, e.g. caps, shields or sleeves, i.e. protectors separated destructively, e.g. by breaking a connecting area
    • A61B5/150564Protectors removed by pulling or pus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58Joining techniques used for protective means
    • A61B5/150618Integrally moulded protectors, e.g. protectors simultaneously moulded together with a further component, e.g. a hub, of the pierc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94Procedure for removing protection means at the time of piercing
    • A61B5/150725Procedure for removing protection means at the time of piercing removal procedure linked to further actions, e.g. cocking of the piercing device, which indicate that the piercing device is used or temp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85Preventing re-use
    • A61B5/150916Preventing re-use by blocking components, e.g. piston, driving device or fluid passagew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03Piercing procedure
    • A61B5/15107Piercing being assisted by a triggering mechanism
    • A61B5/15111Semi-automatically triggered, e.g. at the end of the cocking procedure, for instance by biasing the main drive spring or when reaching sufficient contact pressure, the piercing device is automatically triggered without any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15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 A61B5/15117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comprising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or a spring, e.g. a helical spring, leaf spring, or elastic str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2Devices intended for single use, i.e.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94Procedure for removing protection means at the time of piercing
    • A61B5/150702Procedure for removing protection means at the time of piercing fully automatically removed, i.e. the removing does not require any action by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요소를 덮는 수지 커버를 제거할 필요가 없는 란셋 어셈블리에서는, 란셋 홀더(100)에 란셋 구조체(200)를 삽입할 때, 관통 요소(220)의 선단부(232)를 포위하는 란셋 커버(214)와 란셋 바디(216)를 서로 떨어뜨리려는 힘을 이들에게 작용시킴으로써, 란셋 커버에 의해 포위되어 있던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란셋 홀더 안에서 노출되고, 관통 요소 선단부의 앞쪽에는 란셋 홀더의 개구부가 위치한다. 또한, 란셋 구조체는 트리거(300)를 가지며, 란셋 구조체를 란셋 홀더에 계속해서 밀어 넣음으로써, 이 트리거는 선단부가 노출된 관통 요소를 발사한다.
란셋, 트리거

Description

란셋 어셈블리{LANCET ASSEMBL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피부에 상처를 내어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핑거 프릭킹 디바이스와 같은 프릭킹 디바이스(pricking device, 관통 디바이스) 또는 란셋 어셈블리(lancet assembly), 구체적으로는 사용이 간편한 일회용 란셋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핑거 프릭킹 디바이스 또는 란셋 어셈블리가, 개인 사용자 뿐만 아니라 병원, 진료소, 개업의용으로 시판되어,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는 환자의 피부를 신속하게 뚫거나, 또는 피부에 찔러 넣어 상처를 만들어내어 소량의 혈액을 유출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날카롭고 뾰족한 부분을 가지는 요소, 즉 관통 요소(예를 들어, 바늘형상 요소 등)를 가지는 란셋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란셋 어셈블리는 관통 요소가 상처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그 선단부분은 제조시에 미리 멸균되어 있다. 어셈블리를 사용할 때까지는 그 멸균 상태가 주위의 환경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사용하기 위하여 다루고 있는 동안 관통 요소가 사람이나 그 밖의 주위 부재 등에 접촉하여 상처를 내지 않도록, 관통 요소가 불필요하게 노출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관통 요소의 선단부분이 수지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란셋 구조체, 및 그것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란셋 홀더로 이루어지는 란셋 어셈블리가 제안되고 있다(후술하는 국제공개특허 WO 96/16599호 공보 참조).
이와 같은 란셋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경우, 란셋 홀더에 삽입된 상태의 란셋 구조체로부터 관통 요소의 선단부분을 밀봉하는 수지 커버를 제거하고, 그 후 란셋 홀더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개구부에 예를 들어, 손가락 끝을 대고 란셋 홀더를 보유하며, 그 후 손가락 끝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란셋 구조체를 란셋 홀더에 대해 밀어 넣어 란셋 구조체의 란셋을 발사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란셋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시에 한쪽 손의 손가락으로 란셋 어셈블리를 보유하면서, 다른 쪽 손의 손가락으로 관통 요소의 선단 부분을 밀봉하고 있는 수지 커버를 제거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이와 같은 커버 제거 조작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란셋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란셋을 발사하는 경우, 바늘과 같은 관통 요소가 피부를 찌를 때 아픔을 느낀다는 선입관 때문에, 란셋의 발사준비가 완료된 후 란셋을 발사하기까지, 사용자에 따라서는 상당한 긴장감을 가질, 이른바 "마음의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긴장감을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란셋 어셈블리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란셋 어셈블리, 즉 수지 커버를 제거하는 조작이 필요없고, 바람직하게는 발사시에 발생하는 긴장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란셋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자가 세밀한 검토를 한 결과, 란셋 홀더에 란셋 구조체를 삽입할 때, 관통 요소의 선단부를 포위하는 란셋 커버와 란셋 바디를 서로 떨어뜨리려는 힘 또는 란셋 커버를 란셋 바디로부터 멀어지게 하려는 힘을 이것들에게 작용시킴으로써, 란셋 커버를 관통 요소로부터 자동적으로 제거하여 관통 요소의 선단부를 노출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란셋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과제가 해결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란셋 홀더에 란셋 구조체를 삽입하고, 그 후 란셋 구조체를 란셋 홀더에 밀어 넣어 관통 요소의 선단부를 노출시킨 후, 또다시 밀어 넣는 동작을 계속함으로써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이 자동적으로 발사되는 구성에 의해, 앞서 설명한 긴장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도 발견하였다.
제1 요지에 있어서, 본 발명은,
란셋 구조체 및 그것을 보유하는 란셋 홀더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란셋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란셋 구조체는 이젝터(ejector) 및 란셋으로 구성되고,
이젝터는 트리거(trigger), 암, 스프링, 그리고 트리거, 암 및 스프링이 설치된 베이스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스프링은 그 전단에 커넥터를 가지고 또한 그 후단은 베이스에 접속되고,
란셋은 란셋 바디, 란셋 커버 및 관통 요소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관통 요소는 란셋 바디 및 란셋 커버에 걸쳐 이들의 안에 존재하며, 관통 요소의 선단부는 란셋 커버에 의해 포위되고,
란셋 바디는 커넥터에 접속되며,
란셋 홀더는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그 전단부에 가지고,
란셋 구조체를 란셋 홀더에 삽입하여 베이스를 커넥터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커넥터를 란셋 홀더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스프링을 압축하는 동시에, 암에 의해 란셋 커버와 란셋 바디를 서로 떨어뜨리려는 힘이 이들에게 작용함으로써, 란셋 커버가 관통 요소로부터 분리되어 포위되어 있던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노출되고, 그 후 베이스의 이동을 더 계속하면, 트리거가 커넥터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스프링의 후단은 베이스 대신, 혹은 그에 더하여 암에, 바람직하게는 암의 후단부 또는 그 부근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암이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암의 밑부분 또는 그 부근에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트리거에 대해서도 그 후단부가 베이스 대신, 혹은 그에 더하여 암에, 바람직하게는 암의 후단부 또는 그 부근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암이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암의 밑부분 또는 그 부근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채혈을 위하여 이와 같은 어셈블리를 사용할 때, 란셋 홀더 안에 삽입되어 있는 란셋 구조체의 베이스를 압착하여 란셋 바디를 이동시키면, 그 후 커넥터가, 따라서 란셋 바디가 란셋 홀더에 의해 걸어맞추어져, 일단 더 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란셋 커버에 의해 포위되어 있던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란셋 홀더 안에서 노출되며, 관통 요소의 선단부의 앞쪽에는 란셋 홀더의 개구부가 직접 위치하게 된다(즉, 관통시에 형성되는 노출된 관통 요소를 가지는 란셋 바디가 지나간 자국 위에 란셋 커버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이러한 의미에서 '직접'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그 결과 란셋 바디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고 관통을 실시할 수 있다). 즉, 란셋 커버에 의해 포위되어 있던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자동적으로 노출된다. 그 후, 베이스를 계속해서 누르면 이젝터의 트리거가 란셋 바디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하기 때문에, 선단부가 노출된 관통 요소를 가지는 란셋이 발사된다.
이와 같은 란셋 바디의 걸어맞춤, 관통 요소 선단부의 노출, 및 그 후의 트리거에 의한 걸어맞춤 상태의 해제는, 란셋 홀더 안에 베이스를 연속적으로 밀어 넣음으로써(즉, 계속해서 밀어 넣음으로써) (이 순서로)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 베이스를 밀어 넣으면 란셋이 자동으로 발사되는, 즉 란셋이 발사된 상황을 달성할 수 있다. 물론, 의도적으로 동작 하나하나를 단속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란셋 어셈블리의 하나의 태양에서는,
란셋 커버는 암의 앞쪽에 위치하고,
란셋 커버와 란셋 바디는 약화(弱化) 부분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커넥터는 란셋 바디에 결합(또는 접속)하고,
암의 전단부가 란셋 커버의 뒷쪽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베이스를 커넥터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즉, 이들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스프링을 압축하면, 란셋 커버와 란셋 바디가 약화 부분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분리된 후, 란셋 커버를 란셋 바디로부터 떨어뜨림으로써, 란셋 커버에 의해 포위되어 있던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란셋 어셈블리의 다른 태양에서는,
란셋 커버는 암의 앞쪽에 위치하고,
란셋 커버와 란셋 바디는 각각 독립된 부재로서 존재하며, 관통 요소를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고,
커넥터는 란셋 바디에 결합하며,
암의 전단부가 란셋 커버의 뒷쪽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베이스를 커넥터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즉, 이들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스프링을 압축하면, 란셋 커버가 란셋 바디로부터 멀어진다. 그 후, 란셋 커버를 란셋 바디로부터, 따라서 관통 요소로부터 더욱 멀어지게 하여 최종적으로 관통 요소로부터 분리하고, 이에 의해 란셋 커버에 의해 포위되어 있던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노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암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면, 란셋 바디로부터 분리되고 암의 전단에 맞닿아 있는 란셋 커버는 앞쪽 대각선 방향(예를 들어, 앞쪽 대각선 윗방향, 앞쪽 대각선 아랫방향 등)으로 이동하여, 그 결과 노출된 관통 요소의 앞쪽에는 란셋 홀더의 전단부의 개구부가 직접 위치하게 되어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있어서, 암의 전단부는 란셋 커버에 맞물린다. 그 결과, 란셋 커버에 관해서는 관통 요소로부터 분리된 뒤에는, 암과의 맞닿음 상태가 이러한 암에 의해 유지된다. 예를 들어, 암의 전단부는 안쪽으로 굴곡한 갈고리형상부(또는 L자형부)를 가지며, 란셋 커버는 그 갈고리형상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부분을 옆쪽에 가진다. 이와 같이 하면, 관통 요소로부터 멀어진 란셋 커버를 암에 의해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의 하나의 태양에서, 란셋 홀더는 그 전단부의 옆쪽 내벽에 가이드 수단을 가지며,
란셋 커버는 가이드 수단에 가이드되는 피가이드 수단을 가지고,
가이드 수단 및 피가이드 수단이 협동함으로써, 분리된 란셋 커버가 앞쪽으로 이동하는 암에 의해 앞쪽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란셋 커버가 앞쪽 대각선(예를 들어, 대각선 윗쪽 또는 대각선 아랫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란셋 홀더는 그 전단부의 옆쪽 내벽에, 앞쪽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부를 가이드 수단으로서 가지고,
란셋 커버는 슬라이드부 위를 슬라이딩 운동하는 부분(예를 들어, 돌출부)을 피가이드 수단으로서 가진다.
예를 들어, 란셋 커버는 그 전단부의 옆쪽에서 앞쪽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앞이 좁은 테이퍼부를 피슬라이드부로서 가지고, 또한 란셋 홀더는 상기 테이퍼부가 슬라이딩 운동하는 상하방향으로 앞이 넓은 테이퍼부(즉, 역테이퍼부)를 전단부의 내벽 옆쪽에 슬라이드부로서 가져, 그 결과 이 테이퍼부들이 서로 슬라이딩 운동함으로써, 분리된 란셋 커버가 앞쪽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는, 슬라이드부는 란셋 홀더의 전단부의 옆쪽 내벽에 설치되며, 앞쪽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면을 가지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이고, 피슬라이드부는 란셋 커버의 옆쪽에 설치한 볼록부이어도 되며, 그 볼록부가 란셋 홀더 전단부의 옆쪽 내벽에 설치한 볼록부 위에 놓이거나, 혹은 오목부에 끼워져 들어가 슬라이드 면에 놓인다.
이젝터의 베이스, 암, 스프링 및 커넥터는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 바람직하게는 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거도 이젝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이젝터의 트리거 이외의 요소를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일체로 형성한 부재를 얻어 놓고, 한편 트리거도 별도의 요소로서 미리 형성해 두어, 일체로 형성한 부재에 트리거 요소를 조합함으로써 이젝터를 얻는다. 그 조합은 일체로 형성한 부재에 트리거 요소의 일부를 끼워넣음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그 끼워넣음은 예를 들어, 오목부 및 그 오목부에 끼워넣는, 바람직하게는 끼워맞출 수 있는 볼록부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만들어진 독립된 부재(이른바 용수철)이어도 되고, 그 경우, 용수철의 끝부분을 베이스와 커넥터에 접속하여도 된다.
또한, 란셋 바디 및 란셋 커버는 관통 요소(또는 천자(centesis) 요소, 통상은 스테인레스 스틸 바늘)를 인서트하여 수지를 일체로 성형,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함으로써 란셋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란셋 바디와 란셋 커버는 노치(notch)부(예를 들어, 수지의 노치부)에 의해 일체로 접속되며, 이 노치부가 약화 부분으로서 기능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란셋 바디와 란셋 커버가 떨어져 있어 이들 사이에서 관통 요소의 중간 부분이 노출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이와 같은 관통 요소의 중간 부분은 쉽게 파괴되며(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치부를 파괴할 때 가하는 정도의 힘으로 파괴되며), 란셋 바디 및 란셋 커버를 구성하는 수지의 얇은 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통상, 노치부에서 일체로 접속된 란셋 바디 및 란셋 커버를 사출성형할 때, 이와 같은 얇은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태양에서는 란셋 바디와 란셋 커버가 각각의 부재로서 형성되며, 관통 요소가 이들 내부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란셋 바디와 란셋 커버가 떨어져 있어, 바람직하게는 가급적 짧은 거리로 떨어져 있어, 이들 사이에 관통 요소의 중간 부분이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이젝터와 란셋은 각각의 부재로서, 이젝터에 설치된 커넥터에 의해 이들이 일체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태양에서는 이젝터와 란셋이 원래 일체로 형성되도록, 전체를 하나의 부재로서 형성, 예를 들어, 사출성형하여도 된다.
이젝터 및 란셋 그리고 란셋 홀더를 구성하는 수지는, 사출성형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머 재료, 예를 들어 POM(폴리아세탈 수지),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틸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있어서, 란셋 구조체를 란셋 홀더에 삽입하여 베이스를 커넥터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 커넥터를 란셋 홀더 안에서 그것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다. 즉, 커넥터는 란셋 홀더에 의해 일단 걸어맞추어져 더 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그 후, 베이스를 커넥터를 향하여 더욱 이동시키면, 베이스와 커넥터의 거리가 좁혀져 스프링이 압축된다. 란셋 홀더에 의한 커넥터의 걸어맞춤은, 란셋 홀더의 일부분이 커넥터의 일부분과 맞닿음 상태가 됨으로써 확보할 수 있다. 하나의 태양에서, 란셋 홀더는 그 안쪽에 스톱퍼, 예를 들어 돌출부를 가지고, 커넥터는 그 돌출부에 맞닿을 수 있는 부분, 예를 들어 돌출부를 가진다.
그 후, 베이스의 이동을 계속하면, 스프링이 더욱 압축되는 동시에, 란셋 바디가 걸어맞추어져 있는 상태에서 암이 앞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란셋 커버가 관통 요소로부터 분리되어 포위되어 있던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노출되고, 그 후, 란셋 커버가 앞쪽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관통 요소 선단부의 앞쪽에는 란셋 홀더의 개구부가 직접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의 이동을 더 계속하면, 이젝터의 트리거가 상술한 커넥터, 따라서 란셋 바디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한다. 상술한 걸어맞춤 상태는, 란셋 홀더의 일부분이 커넥터의 일부분과 맞닿음 상태에 있는, 즉 서로 반대 방향의 힘으로 밀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같은 축 상에서 대향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는, 서로 밀고 있는 상태), 힘이 작용하는 축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쉽게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의 일부분이 밀고 있는 축을 란셋 홀더의 일부분이 밀고 있는 축으로부터 어긋나게 하도록 트리거가 작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가 대각선 위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상기 일부분으로서 가지고, 그 돌출부가 란셋 홀더의 일부분으로서의 돌출부에 맞닿도록 커넥터 및 란셋 홀더를 구성하여, 트리거가 란셋 홀더의 돌출부를 향하여 앞쪽으로 이동하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커넥터의 돌출부에 접촉하고, 그 후 이동을 더 계속하면, 앞쪽으로 이동하는 트리거가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커넥터의 돌출부를 아래쪽으로 누름으로써,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돌출부가 아래쪽으로 서서히 위치를 바꾸어, 최종적으로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된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있어서, 트리거는 관통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동할 수 있는 긴 부재로서, 관통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관통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서로 밀어 맞닿음 상태에 있는 란셋 홀더의 돌출부에 대하여 커넥터의 돌출부를 밀어 내리는 기능, 즉 예를 들어, 관통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트리거가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하면, 스프링이 압축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순간적으로 늘어나고, 그 결과 란셋 바디가 순식간에 앞쪽으로 이동, 즉 선단부가 노출된 상태인 관통 요소를 가지는 란셋 바디가 발사된다. 이때, 란셋 홀더 전단의 개구부에 예를 들어, 손가락 끝을 미리 대고 있으면,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손가락 끝을 찌른다. 한편, 커넥터가 걸어맞추어지는 것은 그것에 접속된 란셋 바디가 걸어맞추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커넥터 대신 란셋 바디가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해도 되고, 예를 들어 란셋 바디가, 특히 그 후단부 부근이 돌출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다른 태양에서는, 맞닿는 부분으로서 돌출부를 커넥터에 설치하는 대신, 스프링 특히, 그 전단부 부근에 돌출부를 설치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앞(또는 뒤)'이라는 용어는, 관통 요소가 관통을 위하여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된다. 또한, '위(또는 아래)'라는 용어는, 도시하는 두 개의 암에 의해 규정되는 면(즉, 이들이 그 연장 방향으로 뻗는 실질적으로 직선이라고 가정한 경우에, 그와 같은 직선을 포함하는 면)으로서, 관통 요소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관통 요소의 선단부를 노출시킬 때 란셋 커버가 비스듬하게 이동하는 방향을 편의적으로 '위', 그와 반대 방향을 '아래'라는 용어로 나타낸다(도 1 참조). 한편, 이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의 쌍방에 수직한 방향으로서, 이들과 함께 직교좌표계를 구성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도 부른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는, 상술 또는 후술하는 란셋 구조체와 란셋 홀더가 어느 적당한 형태로 조합된 상태에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란셋 홀더 안에 란셋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이다. 보다 바람직한 하나의 태양에서는, 란셋 홀더 안에 란셋 구조체의 란셋이 전부 삽입되어, 커넥터가 란셋 홀더에 의해 걸어맞추어져 있는 상태, 예를 들어 커넥터의 돌출부가 란셋 홀더 안쪽의 돌출부에 맞닿은 상태(후술하는 도 3에 나타내는 상태. 단, 스프링은 압축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혹은 약간 압축되어 있어도 되며, 도 3은 후자의 상태이다)가 되도록 조합한다. 이 경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란셋 홀더로부터 란셋 구조체를 쉽게 빼낼 수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태양에서는 란셋 구조체와 란셋 홀더가 조합되어 있지 않으며, 이 경우에는 란셋 어셈블리라고 하기보다, 오히려 란셋 구조체와 란셋 홀더로 구성되는 란셋 어셈블리의 키트(kit)라고 할 수 있다.
제2 요지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술 또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란셋 홀더 및 란셋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란셋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란셋 및 이젝터도 더욱 제공한다. 이 란셋 홀더 및 란셋 구조체, 그리고 란셋 및 이젝터에 관해서는, 상술 또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관한 설명이 마찬가지로 해당한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서는, 란셋 구조체를 란셋 홀더 안에 삽입하여 관통준비 완료상태로 하는 경우, 란셋 바디로부터 란셋 커버가 분리되어 포위되어 있던 관통 요소의 선단부분이 홀더 안에서 자동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종래의 란셋 어셈블리에서는 필요하였던 수지 커버에 대응하는 란셋 커버의 제거 조작이 생략된다. 또한, 베이스를 커넥터에 접근하도록 미는 동작을 계속하면,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란셋이 자동적으로 발사되기 때문에, '마음의 준비'는 불필요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있어서, 란셋 구조체를 란셋 홀더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란셋 구조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있어서, 란셋 구조체를 란셋 홀더에 삽입하여 란셋 바디의 앞쪽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되어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있어서, 도 3의 상태로부터 란셋 구조체를 더욱 삽입함으로써, 란셋 커버가 란셋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있어서, 도 4의 상태로부터 란셋 구조체 를 더욱 삽입함으로써, 란셋 커버가 란셋 바디로부터 멀어진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있어서, 도 5의 상태로부터 란셋 구조체를 더욱 삽입함으로써, 란셋 커버가 앞쪽 대각선 윗방향으로 이동하여 란셋 홀더의 전단부에 보유되어 있는 상태(단, 돌출부끼리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된 직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있어서, 도 6의 상태로부터 란셋 바디의 구속이 해제되어,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란셋 홀더 전단부의 개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있어서, 도 7의 상태로부터 스프링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란셋 홀더 전단부의 개구부로부터 내부로 끌려들어와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란셋 구조체를 구성하는 란셋과 이젝터를 분리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상태의 X-X선을 따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와 마찬가지로, 도 4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와 마찬가지로, 도 5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와 마찬가지로, 도 6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 다.
도 14는 도 9와 마찬가지로, 도 7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9와 마찬가지로, 도 8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3과 마찬가지의 모식적 사시도로, 란셋 커버를 앞쪽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다른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3과 마찬가지의 모식적 사시도로, 란셋 커버를 앞쪽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또 다른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이젝터의 베이스에 끼워넣어서 이젝터를 구성할 수 있는 트리거 요소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란셋 어셈블리 100: 란셋 홀더
102: 후단부 104: 개구부
106: 전단부 108: 개구부
110: 트리거 대향부 112: 후단부
114: 전단부 200: 란셋 구조체
202: 이젝터 204: 란셋
206: 베이스 208: 암
210: 스프링 212: 커넥터
214: 란셋 커버 216: 란셋 바디
217: 돌출부 218: 노치부
219: 돌출부 220: 관통 요소
222: 전단부 224: 뒷쪽
226: 돌출부 228,230,231: 돌출부
232: 선단부 234: 앞벽
236: 테이퍼부 238: 역테이퍼부
240: 돌출부 250: 스텝부
252: 베이스끝부 254: 경사면
256: 란셋 바디 앞부분 260,262: 돌출부
270: 볼록부 272: 오목부
274: 볼록부 280: 돌출부
300: 트리거 302: 볼록부
304: 트리거 요소 306: 오목부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10)를 도 1에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란셋 어셈블리(10)는 란셋 홀더(100) 및 란셋 구조체(200)에 의해 구성된다. 도시한 태양에서는, 란셋 홀더(100)의 내부 공간 안에 란셋 구조체(200)를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1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앞', '뒤', '위' 그리고 '아래'의 방향(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한 다)을 모두 나타내고 있다.
란셋 홀더(100)는 후단부(102)에 개구부(104)(도 1에서는 보이지 않음)를 가지고, 전단부(106)에도 개구부(108)를 가진다. 개구부(108)에 찔러 뚫어야 할 부분(예를 들어, 손가락 끝)을 대고 있으면, 노출한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개구부(108)로부터 튀어나올 때, 그 부분이 찔려 뚫린다. 란셋 구조체(200)는 트리거(300)를 그 위쪽에 가진다. 트리거(300)는 그 후단부(112)가 이젝터(202)의 베이스(206)에 접속되어 있고, 후단부(112)와 전단부(114) 사이의 본체부(115)는 란셋 홀더의 내벽을 따라(도 1에서는 앞쪽으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부(114)와 본체부(115) 사이의 접속부는 계단(step)형상이고, 란셋 홀더의 내벽과의 사이에서 공간(117)(도 11 또는 도 12 참조)이 존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란셋 홀더(100)는 그 위쪽벽에 트리거(300)에 대향하는 부분인 트리거 대향부(110)를 가지며, 그 일부가 란셋 홀더의 내부로 돌출하는 돌출부(116)를 형성하고 있다. 그 돌출부(116)에는 후술하는 커넥터(212), 엄밀하게는 그것으로부터 대각선 앞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26)가 맞닿고, 그에 의해 커넥터(212), 따라서 그것에 접속된 란셋 바디(216)의 앞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걸어맞춤 상태가 달성된다. 이러한 저지된 상태는 트리거(300)의 전단부(114)를 맞닿음 부분을 향하여 밀어 넣음으로써 해제할 수 있다.
도 2에 도 1에 나타낸 란셋 구조체(200)의 이표면을 반전시킨 상태(즉, 상하를 역전시킨 상태)를 사시도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란셋 구조체(200)는 이젝 터(202) 및 란셋(20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젝터(202)는 베이스(206)를 가지고, 그 양쪽에 암(208)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암의 사이에 스프링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암의 갯수는 1개이어도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이 암들의 사이에 물결형상의 스프링(210)이 배치되며, 그 한쪽 끝이 베이스(206)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시한 태양에서 스프링(210)은, 베이스에 접속된 암(208)의 밑부분에서 암(208)에도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210)의 끝부분은 암 및/또는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스프링(210)의 다른 쪽 끝부분에는 커넥터(212)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206), 암(208), 스프링(210) 및 커넥터(21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지를 사출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트리거(300)는 다른 요소로서 형성한 트리거 요소를, 이젝터를 구성하는 일체로 형성된 다른 요소에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302)를 가지는 트리거 요소(304)를 미리 형성해 둔다. 또한, 이젝터의 베이스(206)에 그 볼록부와 상보적인 오목부(306)를 설치해 둔다. 그리고, 오목부(306)에 볼록부(302)를 끼워 넣음으로써, 바람직하게는 밀어서 끼워 넣음으로써, 본 발명의 이젝터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프링은 독립된 부재로서 공급하여도 되고, 예를 들어 금속성 용수철의 형태이어도 된다.
란셋(204)은 란셋 바디(216) 및 란셋 커버(214)로 구성되며, 이들은 노치부(예를 들어, V자형 오목부)로서의 약화 부분(21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란셋(204)은 관통 요소(220)를 더욱 가지고 이루어지고, 관통 요소(220)의 선단부는 란셋 커버(214)에 의해 포위되어, 그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관통 요소(220)의 뒷부분은 란셋 바디(216) 안에 존재한다. 도시한 상태에서는 관통 요소(220)의 일부분이 란셋 바디(216)와 란셋 커버(214)의 사이에서 노출되어 있어도 되지만, 도시한 태양에서는 이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도 수지로 덮여 있으며, 그 적어도 일부분이 얇은 층 형태이며, 란셋 바디 및 란셋 커버가 서로 떨어지도록 손가락으로 힘을 가하면 쉽게 파괴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다른 태양에서는 약화 부분이 존재하지 않고, 란셋 바디와 란셋 커버가 독립된 부재로서 떨어져 있어도 된다. 그 떨어져 있는 거리는 가급적 짧은 것이 바람직하며, 실질적으로 0에 가까운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면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암(208)의 앞쪽에 란셋 커버(214)가 위치하고, 도시한 태양에서는 암(208)의 전단부(222)가 란셋 커버(214)의 뒷쪽(224)에 근접해 있다. 다른 태양에서는 근접해 있지 않으며(즉,떨어져 있지 않으며) 맞닿아 있는 상태(즉,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어도 된다. 근접하고 있는 태양에서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란셋 바디(216)의 앞쪽으로의 이동이 정지된 후에, 암(208)을 더욱 앞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암(208)의 전단부(222)는 란셋 커버(214)의 뒷쪽(224)에 맞닿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란셋 구조체(200)를 란셋 홀더(100) 안에 삽입한 상태를 도 3에 사시도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한편, 란셋 홀더(100) 내부의 란셋 구조체의 모습을 이해할 수 있도록, 란셋 홀더의 아래쪽 부분(란셋 홀더의 약 절반) 및 위쪽 부분의 맞은 편쪽 절반의 후반부만을 남기고 다른 부분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 내고 있다. 도 1의 상태로부터 란셋 구조체(200)를 삽입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212)의 앞쪽 대각선 윗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26)가 란셋 홀더(100)의 트리거 대향부(110)의 아래쪽 또는 아래쪽 뒤로 연장되는 돌출부(116)와 맞닿는다.
도시한 태양에서는 란셋 홀더의 내벽 옆쪽에 좌우방향(도 1에 나타내는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에 대하여 서로 수직인 방향)의 폭이 앞이 넓은 테이퍼 형상의 돌출부(228)가 설치되며, 란셋 구조체(20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각 암(208)의 도중에 설치되어, 암으로부터 대각선 뒷방향으로 연장되는 윙(wing) 또는 플랩(flap)(바람직하게는 얇은 층 형상의 것)(230)이 돌출부(228)를 타고 넘어 전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228)는 윙(230)이 그것을 타고 넘었을 때 돌출부(226)가 돌출부(116)에 정확히 맞닿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태양에서는 맞닿기 전 또는 후에 윙이 타고 넘어도 된다. 윙(230) 대신 테이퍼 형상의(즉, 앞이 좁은) 돌출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윙 형태로 함으로써 윙 재료(예를 들어, 수지 재료)의 탄성을 이용할 수 있어, 윙(230)이 돌출부(228)를 쉽게 타고 넘을 수 있으며, 또한 타고 넘은 후에 반대방향으로 돌출부(228)를 타고 넘어 되돌아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테이퍼 형상의 돌출부를 사용하면, 타고 넘을 때 윙의 경우보다 강한 스냅감이 느껴지기 때문에, 어셈블리의 조립자 또는 사용자가 그와 같은 맞닿음 상태에 도달한 것을 알 수 있어, 이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타고 넘는 것도, 란셋 구조체 및 란셋 홀더를, 특히 이들의 돌출부를 수지로 형성 하여 그 탄성을 이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또한, 마찬가지로 테이퍼 형상의 돌출부로 함으로써, 돌출부(230)가 돌출부(228)를 일단 타고 넘으면, 돌출부(230)가 돌출부(228)를 타고 넘어 뒤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일단 도 3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면,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란셋 홀더로부터 란셋 구조체를 뽑아내는 것이 어려워진다. 어떠한 경우든, 란셋 어셈블리를 조립 또는 사용한 후에 어셈블리를 분해하는(즉, 란셋 구조체를 란셋 홀더로부터 뽑아내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해져, 어셈블리의 재사용 및 오조작이 방지되고 안전이 확보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암(208)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바깥쪽에 돌출부(219)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돌출부(219)는 란셋 홀더의 내벽에 대하여 슬라이딩 운동하고, 그 결과 암(208)의 대부분이 란셋 홀더의 내벽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란셋 구조체의 란셋 홀더 안으로의 삽입이 쉬워진다. 한편, 돌출부(219)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의 연장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점 형상(또는 낮은 기둥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암(208)은 또 다른 돌출부(217)(도 16 및 도 17 참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돌출부(217)는 란셋 구조체(200)가 란셋 홀더(100) 안에 삽입되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30)가 돌출부(228)를 타고 넘었을 때, 란셋 홀더(100)의 개구부(104)에 인접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부(217)가 위치하는 것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돌출부(217)가 위치하면, 란셋 어셈블리가 사용전의 상태임을 사용자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17)가 란셋 홀더 안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돌출부(217)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란셋 어셈블리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란셋 구조체(100)를 밀어 넣으면, 돌출부(217)가 가려져 란셋이 발사, 즉 란셋 어셈블리가 사용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물론, 발사되기 직전에 밀어 넣기를 멈추면, 돌출부(217)가 보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란셋 어셈블리가 사용되기 전의 상태이지만, 이는 예외이다.
그 후, 란셋 구조체(200)를 더욱 삽입하려고 하여, 란셋 구조체(200)를 앞쪽으로 밀도록 베이스(206)에 힘을 가한 상태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3과 비교하면 명확하듯이, 도 4에서 스프링(210)은 압축가능하기 때문에, 베이스(206)가 앞쪽으로 이동하고 있고 암(208)도 앞쪽으로 이동하고 있지만, 커넥터(212)는 돌출부(116)와 맞닿음 상태에 있기 때문에 앞쪽으로 이동할 수 없어, 커넥터(212)의 위치는 도 3의 경우와 같다.
도시한 상태에서 돌출부(116)와 돌출부(226)에는 같은 축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서로 미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그 상태로부터 베이스를 더욱 밀어 넣음으로써 트리거(300)를 란셋 홀더의 내부에서 더욱 앞쪽으로 이동시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리거(300)의 전단부(114)는 대각선 윗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26)에 접촉하고, 그 후 트리거를 더욱 전진시키면, 전단부(114)가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커넥터의 돌출부(226)를 아래쪽으로 누르게 되어(도 12의 화살표 참조), 즉 서로 밀고 있는 축이 어긋나서, 그에 의해 커넥터(212)로부터 대각선 윗방 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26)가 아래쪽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도 3의 상태로부터 란셋 구조체(200)를 더욱 밀어 넣으면, 암(208)의 전단부(222)는 란셋 커버(214)의 뒤쪽(224)과 맞닿고, 그 후 암(208)은 란셋 커버(214)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을 란셋 커버(214)에 가한다. 한편, 커넥터(212)는 돌출부(116)와 돌출부(226)가 맞닿음 상태에 있기 때문에 앞쪽으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란셋 커버(214)와 커넥터(212)에 접속된 란셋 바디(216) 사이에 이들을 떼어놓으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란셋 커버(214)와 란셋 바디(216) 사이의 얇은 수지층이 파괴되어, 이들이 떨어져서 도 4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그 후, 도 4의 상태로부터 란셋 구조체(200)를 더욱 밀어 넣으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요소(220)의 선단부(232)가 노출된다. 한편, 란셋 바디 및 란셋 커버가 독립된 부재인 태양에서는, 란셋 바디로부터 란셋 커버가 멀어져, 최종적으로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노출된다.
그 후,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노출된 도 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란셋 구조체(200)를 더욱 삽입하려고 하여, 란셋 구조체(200)를 앞쪽으로 밀도록 베이스(206)에 힘을 가한 상태를 도 6에 사시도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란셋 구조체(200)를 삽입함에 따라 전진한 트리거(300)의 전단부(114)가 커넥터의 돌출부(226)를 아래쪽으로 밀어 내림으로써, 돌출부(226)와 돌출부(116)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와 비교하면 명확하듯이, 암(208)은 앞쪽으로 더욱 이동하지만, 커넥터(212)는 그 돌출부(226)와 돌출부(116)가 맞닿음 상태에 있기 때문에, 맞닿음 상태가 해제되기 전에는 앞쪽으로 이동할 수 없다. 도 6은 맞닿음 상태가 해제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212)의 위치는 앞쪽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스프링(210)은 압축가능하기 때문에, 도 6에서는 도 5의 상태보다 더욱 압축된 상태가 되고, 베이스(206)가 더욱 앞쪽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어 있다. 한편, 도시한 태양에서 돌출부(226)는 커넥터(212)에 설치되어 있지만, 돌출부는 스프링(210)에(특히 그 전단부에) 설치하여도, 혹은 란셋 바디(216)에 설치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3, 도 4, 도 5 및 도 6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있어서, 암의 전단부는 란셋 커버에 걸어맞출 수 있도록 이들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암(208)의 전단부(222)는 안쪽으로 굴곡한 갈고리형상부(또는 L자형부)(223)를 가지고, 란셋 커버(214)는 그 갈고리형상부에 걸어맞출 수 있는 부분(225)을 옆쪽에 규정한다. 도시한 태양에서 그와 같은 부분은, 갈고리형상부(223)가 끼워져 들어가는 상보적인 형상(225)을 규정한다(도 9 참조). 이와 같이 암의 전단부가 란셋 커버에 걸어맞추어지는 경우, 란셋 커버(214)는 그것으로부터 관통 요소(220)가 분리된 후에라도, 걸어맞춤 관계에 의해 암(208)의 전단부(222)와 란셋 커버(214)의 맞닿음 상태가 확보된다. 그 결과, 관통 요소의 선단부(232)가 일단 노출된 도 5에 나타낸 상태에서, 예를 들어, 자칫하여 베이스(206)를 밀어넣는 것을 멈추고 스프링(210)의 작용에 의해 암(208)이 약간 후퇴하는 경우에라도, 란셋 커버(214)도 암(208)과 함께 후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 관계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암이 후퇴했을 때 란셋 커버가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그 후에 암을 전진시켰을 때 암(208) 의 전단부(222)와 란셋 커버(214)의 맞닿음 상태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암의 전단부가 란셋 커버에 걸어맞추어질 수 있다면, 갈고리형상부 이외의 형태이어도 상관없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있어서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란셋 홀더는 그 전단부의 옆쪽 내벽에 가이드 수단을 가지고, 란셋 커버는 가이드 수단에 가이드되는 피가이드 수단을 가지며, 가이드 수단 및 피가이드 수단이 협동함으로써 분리된 란셋 커버가 앞쪽으로 이동하는 암에 의해 앞쪽으로 밀릴 때, 란셋 커버가 앞쪽 대각선(대각선 위 또는 대각선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란셋 홀더는 그 전단부의 옆쪽 내벽에 앞쪽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부를 가이드 수단으로서 가지며, 란셋 커버는 슬라이드부 위를 슬라이딩 운동하는 부분 예를 들어, 돌출부를 피가이드 수단으로서 가진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상태를 거쳐 도 6에 나타내는 태양에서는, 분리된 란셋 커버(214)가 암(208)에 밀려 이동하고, 그 결과 란셋 홀더 앞벽(234)의 안쪽에 맞닿아 있다. 란셋 커버(214)의 옆쪽에는, 앞쪽을 향하여 상하방향의 폭이 앞이 좁아지는 테이퍼부(236)가 피가이드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란셋 홀더(100)의 전단부의 안쪽 측벽에는 앞쪽으로 앞이 넓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부(즉, 역테이퍼부)(238)가 가이드 수단으로서 설치되며, 이 가이드 수단으로서의 역테이퍼부(238)의 경사면(254)을 슬라이드부로서 가진다(예를 들어, 도 3 참조). 이 테이퍼부들은 경사면(254) 위를 테이퍼부(236)의 아랫면이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5는 이와 같은 슬라이딩 운동을 개시하기 직전의 상태이다. 그 결 과, 암(208)에 의해 앞쪽으로 밀리는 란셋 커버(214)의 테이퍼부(236)는, 역테이퍼부(238)의 경사면(254)을 오르게 된다. 즉, 도 6에서, 란셋 커버(214)는 암(208)에 의해 앞쪽 대각선 윗방향으로 이동하여 란셋 커버 앞벽(234)의 안쪽에 맞닿아 있다. 이 맞닿음 상태는 암(208)에 밀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확보된다.
이와 같은 란셋 커버의 대각선 방향 이동은, 하나의 태양에서는 예를 들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는 란셋 홀더 전단부의 옆쪽 내벽에 설치한, 앞쪽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면을 가지는 볼록부 또는 경사 플레이트(270)의 형태이며, 피슬라이드부는 란셋 커버(214)의 옆쪽부분 또는 그것에 설치한 볼록부(후술하는 도 15의 볼록부와 같은 것)인 태양에서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태양에서는 예를 들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는 란셋 홀더 전단부의 옆쪽 내벽에 설치한, 앞쪽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면을 가지는 오목부(272)의 형태이며, 피슬라이드부는 란셋 커버에 설치한 볼록부 또는 확장부(274)이고, 이 볼록부가 오목부에 끼워져 들어가 가이드되는 태양에서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6 및 도 17은 도 1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으로, 도 3에 대응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단, 란셋 홀더의 이 도면 관통 요소들의 일부분(220')이 란셋 커버와 란셋 바디의 사이에서 노출되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암(208)은 돌출부(217)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란셋 커버(214)의 대각선 방향 이동은, 어느 경우에도 노 출한 관통 요소의 선단부(232)가 란셋 홀더(100)의 전단 개구부(108)를 통과하여 손가락 끝 등을 찌르는 것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할 필요가 있다. 즉, 관통 요소의 선단부(232)가 노출된 란셋 바디(216)가 발사되는 경우, 선단부(232)의 이동방향을 따라 그 앞쪽에는 란셋 커버(214)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란셋 커버(214)는 선단부(232)와 접촉하지는 않아 선단부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선단부(232)의 궤도 위에는 란셋 커버(214)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의미에서 앞서 '직접'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란셋 커버(214)가 란셋 홀더(100)의 전단부 안쪽의 윗쪽에 보유됨으로써 관통 준비가 완료된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란셋 홀더의 옆쪽 내벽에 좌우방향의 폭이 앞이 넓은 테이퍼 형상의 돌출부(240)가 (상술한 돌출부(228)와 전단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란셋 구조체(20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암(208)의 도중에 설치한 윙 또는 돌출부(230)가 상기 돌출부(240)를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240)는 윙 또는 돌출부(230)가 그것을 타고 넘었을 때 란셋 커버(214)가 란셋 홀더 앞벽(234)의 안쪽에 정확히 맞닿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태양에서는, 타고 넘기 직전에 정확히 맞닿는 상태가 되고, 타고 넘는 동시에 란셋이 발사되는 것도 바람직하다(즉, 도 6에 나타내는 상태).
이와 같은 윙 또는 돌출부(230)와 돌출부(240)를 설치함으로써, 돌출부(228)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설명이 적용된다.
도 6에 나타낸 상태의 직전의 상태(즉, 도 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트리 거(300)의 전단부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보다 조금 뒤쪽에 위치하고, 돌출부(116)와 돌출부(226)가 간신히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관통 준비가 완료되어 있다. 분명히, 관통 준비 완료상태에서 란셋 바디(216)가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212)의 돌출부(226)는, 트리거(300)의 앞쪽에 위치하는 란셋 홀더의 돌출부(116)에 맞닿은 상태 그대로이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226)는 서서히 밀려 내려가기 때문에(도 12의 화살표 참조), 양쪽 돌출부가 맞닿아 있는 영역이 확실히 감소하여, 간신히 맞닿음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부터 트리거를 더욱 앞쪽으로 이동시키면, 돌출부(226)가 더욱 아래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맞닿음 영역이 없어지고, 즉, 돌출부(116)와 돌출부(226)를 서로 밀고 있는 축이 완전히 어긋나서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된다. 즉, 도 6 및 도 13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압축된 스프링(210)이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함으로써, 커넥터(212)가, 따라서 선단부가 노출된 관통 요소를 가지는 란셋 바디(216)가 앞쪽으로 발사되어, 란셋 커버(214)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선단부(232)가 개구부(108)로부터 돌출될 수 있어, 그 결과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단부분이 튀어나온 모습을 도 7에 사시도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스프링(210)은 압축되어 구속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그 구속이 순식간에 사라지기 때문에, 도 7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원래의 형상보다 연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관통 요소의 선단부(232)가 개구부(108)로부터 돌출할 때, 소정 부위를 관통하는 동시에, 란셋 바디(216)의 앞부분(256)은 란셋 홀더의 앞벽에 충돌하기 때문에, 연장된 스프링(210)은 반작용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여, 그 결과 최종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와 같은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이 모습을 도 8에 나타내고 있다. 스프링(210)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간 상태에서는, 관통 요소의 선단부(232)가 란셋 홀더의 개구부(108)로부터 충분한 거리 떨어져서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도 8에서는 란셋 커버(214)의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이지 않음), 개구부(108)로부터 노출된 관통 요소의 선단부(232)에 란셋 홀더(100)의 외부로부터 접촉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상태는 란셋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관통이 종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 7의 상태 그대로 처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윙 또는 테이퍼 형상의 돌출부(230) 및 돌출부(240)를 설치함으로써, 도 8의 상태에서 란셋 구조체(200)를 란셋 홀더(100)로부터 빼낼 수 없기 때문에, 도 8의 상태에서 폐기 등의 처분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노출되지 않아, 의도하지 않은 선단부에 대한 접촉을 회피할 수 있어 폐기시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208)은 윙 또는 돌출부(230)의 뒤쪽에 돌출부, 바람직하게는 테이퍼 형상(앞이 좁은)의 돌출부(231)를 더욱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란셋의 발사 후에는 도 8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어 윙(230)이 돌출부(240)에 걸어맞추어지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란셋 구조체가 란셋 바디(100) 안에서 도 8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후퇴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렇지만, 윙(230)은 변형될 가능성이 있으며, 그 경우 윙(230)은 돌출부(240)를 넘어서 후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윙(230)의 뒤쪽에 다른 돌출부(231)가 존재하면, 그 돌출부는 그 뒤쪽에 위치하는 돌출부(238)를 타고 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미 사용한 란셋 어셈블리에 관해서는, 관통 요소(220)가 노출된 상태의 란셋 구조체를 란셋 홀더(100)로부터 뽑아낼 수 없다.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암(208)은 가이드핀으로서의 돌출부(260)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이 가이드핀은 란셋 홀더의 내측 표면 안에 설치한, 관통 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과 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란셋 구조체를 란셋 홀더 안에 삽입할 때,가이드핀이 채널 안에서 슬라이딩 운동하여, 그 결과 암이 란셋 홀더 안에서 원활하게 앞쪽으로 이동하여 삽입이 원활해진다. 즉, 가이드핀은 란셋 홀더 안에서의 암의 앞쪽으로의 이동을 유도한다. 한편, 이와 같은 가이드핀은 암의 위쪽 및/또는 아래쪽에 설치하여도 된다.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212)는 가이드핀으로서의 돌출부(262)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이 가이드핀은 란셋 홀더의 내측 표면 안에 설치한, 관통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채널과 협동한다. 즉, 란셋 구조체를 란셋 홀더 안에 삽입할 때 가이드핀이 채널 안에서 슬라이딩 운동하여, 그 결과 란셋 바디가 란셋 홀더 안에서 원활하게 앞쪽으로 이동하여 삽입이 원활해진다. 또한, 이 채널은 커넥터(212), 따라서 란셋 바디(216)가 발사되어 관통하고, 그 후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들어가는 과정에서, 란셋 바디(216)가 란셋 홀더 안에서 관통 방향을 따라 앞뒤로 이동하는 것을 원활하게 한다. 즉, 가이드핀은 노출된 관통 요소를 가지는 란셋 바디의 발사를 유도한다. 한편, 이와 같은 가이드핀은 암의 위쪽 및/또는 아래쪽에 설치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란셋 구조체는 이젝터(202) 및 란셋(204)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커넥터(212)를 통하여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접속에는 어떠한 적당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서로 끼워넣을 수 있는 오목부(자부(雌部) 또는 열쇠구멍부) 및 볼록부(웅부(雄部) 또는 열쇠부)의 세트(바람직하게는 이들이 상보적 형상을 가진다) 중 한쪽을 커넥터(212)에 형성하고, 다른 쪽을 란셋 바디(216)에 형성함으로써 실시한다. 이 오목부 및 볼록부의 형상에 있어서 란셋 바디와 커넥터는 걸어맞추어져 앞뒤방향으로는 분리할 수 없지만, 상하방향으로 끼워넣을 수 있도록(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오목부를 커넥터에, 그리고 볼록부를 란셋 바디에 (혹은 그 반대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접속의 일례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에서 란셋 바디(216)는 전체적으로 볼록부(270)를 가지고, 커넥터(212)는 그 볼록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오목부(272)를 가진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볼록부(270)를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오목부(272)에 끼워넣으면, 앞뒤방향의 힘에 대해서는 커넥터(212)와 란셋 바디(216)가 분리되지 않아 이들은 일체로 거동한다. 하지만, 상하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커넥터(212)와 란셋 바디(216)는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방법을 채용하면, 란셋과 이젝터를 따로따로 성형하여 일체로 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테이퍼부의 '앞이 좁은' 또는 '앞이 넓은'이란, 앞쪽을 향하여(도 1의 '앞'을 향하는 방향) 보았을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테이퍼부의 폭(앞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치수)이 좁아지고 있는 경우를 '앞이 좁은'이라고 부르고, 넓어지고 있는 경우는 '앞이 넓은'이라고 부른다. 또한, 역테이퍼부란, 그 부 분이 이에 대응하는 테이퍼부와 반대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한쪽이 앞이 좁은 테이퍼 형상이고, 다른 쪽이 앞이 넓은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전자를 테이퍼 형상이라고 부르면, 후자를 역테이퍼 형상이라고 부르고, 반대로 후자를 테이퍼 형상이라고 부르면, 전자를 역테이퍼 형상이라고 부른다. 또한, '테이퍼 형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의한 관통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실시한다:
1) 맨 처음, 란셋 구조체(200)를 란셋 홀더(100) 후단의 개구부(104)로부터 그 안으로 삽입한다(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조작).
2) 란셋 구조체(200)를 란셋 홀더(100) 안에서 앞쪽으로 이동시켜, 커넥터(212) 또는 란셋 바디(216)에 설치한 돌출부(226)(도시한 태양에서는, 커넥터에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의 전단을, 란셋 홀더(100)의 트리거 대향부(110)에 설치한 스톱퍼로서의 돌출부(116)의 후단에 맞닿게 하여, 이에 의해 란셋(204)의 이동을 멈추고 더 이상 전진하지 않는 상태로 한다. 즉, 란셋을 그 앞쪽으로의 이동에 대하여 구속한다(도 3의 상태).
3) 란셋(204)을 걸어맞춘 상태에서 베이스(206)를 더욱 앞쪽으로 밀어넣어, 무부하시의 상태로부터 스프링(210)의 압축을 개시하여, 스프링(210)이 에너지를 축적하도록 한다(도 3과 도 4 사이의 상태).
4) 베이스(206)를 란셋 홀더(100) 안으로 더욱 밀어넣어 암(208)이 란셋 커버를 앞쪽으로 누름으로써, 란셋 커버(214)와 란셋 바디(216)의 접합부인 노치 부(218)(약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에서 파괴가 발생하고, 란셋 커버(214)와 란셋 바디(216)가 분리된다(도 4의 상태). 이 후, 암(208)을 더욱 앞쪽으로 전진시킴으로써, 관통 요소의 선단부(232)가 노출된다(도 5의 상태). 한편, 란셋 커버(214)를 분리할 때 란셋 바디(216)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란셋 바디에 돌출부(28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베이스(206)를 밀어 넣어 암(208)을 더욱 앞쪽으로 전진시키면, 란셋 커버(214)가 앞쪽 대각선 윗방향으로 이동하여, 란셋 홀더(100)의 전단부 벽(234)의 안쪽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된다(도 6의 상태).
6) 베이스(206)를 더욱 밀어 넣어 트리거(300)의 앞쪽 끝부분(114) 부근을 란셋 홀더(100)의 앞쪽을 향하도록 밀어 넣음으로써, 돌출부(116)와 돌출부(226)의 맞닿음 상태가 해방되어(도 6의 상태), 압축상태의 스프링(210)이 순식간에 늘어남으로써 란셋 바디(216)를 발사하고, 관통 요소의 선단부(232)가 개구부(108)로부터 튀어나와 관통이 이루어진다(도 7의 상태).
7) 그 후, 스프링(210)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 관통 요소의 선단부(232)가 개구부(108)로부터 충분한 거리 들어간 상태가 된다(도 8의 상태).
한편,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암(208)은 그 안쪽에 돌출부(273)를 가져도 된다. 이 돌출부는 커넥터(212)가 그 옆쪽을 통과할 때, 커넥터와 간신히 접촉할 수 있는 정도로 암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통후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들어간 란셋 바디가 스프링의 신축 진동에 의해 다시 앞쪽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개구부(108)로부터 다시 돌출하여 두 번째 관통할 가능성을 줄이는 기능을 한다. 첫 번째 관통시에도 그와 같은 접촉이 발생하지만, 스프링(210)이 늘어나려고 하는 힘이 크기 때문에, 그와 같은 접촉은 관통을 위한 커넥터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저해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관통 요소가 일단 들어간 후 진동에 의해 다시 앞쪽으로 이동하려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술한 간신히 이루어진 접촉은 앞쪽으로의 이동에 대한 큰 저항이 되어, 그 결과 두 번째 관통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해진다.
란셋 홀더의 앞쪽 개구부(108)에 채혈대상부위(예를 들어, 손가락 끝)를 바싹 대는 동작은, 란셋 바디(216)가 발사되기 전이면 어떠한 단계에서 실시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의 경우, 란셋 구조체를 란셋 홀더 안에 배치한 후 베이스를 한번에 밀어 넣음으로써, 순서 2)에서 6)까지를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순서 3)에서 6)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순서 1)과 2) 사이에서 바싹 대는 동작을 실시하면 된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 순서 2)의 상태에서 어셈블리로서 시판하는 경우, 순서 3)의 직전에 바싹 대는 동작을 실시하면 된다.
본 발명의 란셋 구조체와 란셋 홀더의 위치관계 또는 이들을 구성하는 각 요소 사이의 위치관계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8의 상태에서의 란셋 홀더의 중앙선(도 3에 나타내는 X-X선)에 따른 모식적 단면도를 각각 도 10 내지 도 15에 나타낸다.
도 10은 도 3의 상태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에서는 커넥터(212)의 돌출부(226)가 란셋 홀더(100)의 트리거 대향부(110)의 아래쪽 뒤에 위치하는 돌출 부(116)에 맞닿아 있는 상태를 알 수 있다. V자형상의 노치부(218)가 란셋 커버(214)와 란셋 바디(216)를 일체로 결합하고 있다.
도 11은 도 4의 상태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에서는 란셋 커버(214)가 란셋 바디(216)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또한, 도 10과 비교하여 스프링(210)이 압축되어 있는 모습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도 5의 상태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2에서는 란셋 커버(214)가 관통 요소(220)로부터 분리되어, 그 선단부가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2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트리거 대향부(110)의 아래쪽 뒤에 위치하는 돌출부(116)에 맞닿아 있는, 커넥터(212)로부터 앞쪽 대각선 윗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구체적으로는 그 경사면)(226)에, 트리거(300)의 전단부(114)가 정확히 접촉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이 상태로부터 베이스를 더욱 밀어 넣으면, 전단부(114)가 돌출부(226)를 서서히 밀어 내리는 동시에, 암이 앞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란셋 커버가 경사면을 올라가서 최종적으로 도 13의 상태가 된다.
도 13은 도 6의 상태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에서는 란셋 커버(214)가 란셋 홀더의 앞벽(234) 안쪽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란셋 커버(214)는 도 12의 상태와 비교하면, 앞쪽으로 이동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위쪽으로도 이동하고 있다. 즉, 앞쪽 대각선 윗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는, 란셋 홀더 앞벽의 안쪽에 설치한 테이퍼부(238)의 경사면(254)을 따라 란셋 커버의 옆쪽에 위치하는 테이퍼부(236)가 이동하기 때문이다. 이 상태는, 트리거의 전단부(114)가 앞쪽으로 이동하여 돌출부(226)가 더욱 밀려 내려가고(도 12의 화살 표 참조), 트리거 대향부(110)의 아래쪽 뒤에 위치하는 돌출부(116)와 커넥터(212)로부터 앞쪽 대각선 윗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26)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된 직후로, 그 후 도 7의 상태로 바뀐다.
도 14는 도 7의 상태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4에서는 관통 요소의 선단부(232)가 란셋 홀더(100)의 전단 개구부(108)로부터 튀어나온 상태로 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란셋 커버(214)는 앞쪽 대각선 윗방향으로 이동한 이후이기 때문에, 관통 요소의 이동을 전혀 방해하지 않는다.
도 15는 도 8의 상태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5에서는 관통 요소의 선단부(232)가 란셋 홀더(100)의 전단 개구부(108)로부터 충분한 거리 안쪽으로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개구부(108)로부터 관통 요소의 선단부(232)에 접촉하는 것은 절대 쉽지 않으며, 의도적으로 접촉하려고 하지 않는 한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는데, 란셋 어셈블리의 관통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소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일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긴 원형, 타원형, 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시하는 태양에 있어서, 스프링을 관통 방향 둘레에서 90℃ 회전시킨 상태로 하여 커넥터 및 베이스와 접속함으로써, 상술한 단면을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는 보다 간편한 채혈수단을 제공 한다.

Claims (34)

  1. 란셋 구조체 및 상기 란셋 구조체를 보유하는 란셋 홀더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란셋 어셈블리로서,
    란셋 구조체는 이젝터 및 란셋으로 구성되고,
    이젝터는 트리거, 암, 스프링, 그리고 트리거, 암 및 스프링이 설치된 베이스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스프링은 그 전단에 커넥터를 가지고 또한 그 후단은 베이스에 접속되고,
    란셋은 란셋 바디, 란셋 커버 및 관통 요소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관통 요소는 란셋 바디 및 란셋 커버에 걸쳐 상기 란셋 바디 및 란셋 커버의 안에 존재하며, 관통 요소의 선단부는 란셋 커버에 의해 포위되고,
    란셋 바디는 커넥터에 접속되며,
    란셋 홀더는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상기 란셋 홀더의 전단부에 가지고,
    란셋 구조체를 란셋 홀더에 삽입하고 베이스를 커넥터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커넥터를 란셋 홀더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스프링을 압축하면, 란셋 커버가 관통 요소로부터 분리되어 포위되어 있던 관통 요소의 선단부가 노출되고, 그 후 베이스의 이동을 더 계속하면 트리거가 란셋 바디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란셋 커버와 란셋 바디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약화 부분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 독립한 부재로서의 란셋 커버 및 란셋 바디의 중간에 관통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란셋 커버는 암의 앞쪽에 위치하고,
    암의 전단부가 란셋 커버의 뒷쪽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베이스를 커넥터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스프링을 압축하면, 약화 부분에서 란셋 커버가 란셋 바디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란셋 커버는 암의 앞쪽에 위치하고,
    앞의 전단부가 란셋 커버의 뒷쪽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베이스를 커넥터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스프링을 압축하면, 란셋 커버가 란셋 바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앞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의 전단부는 란셋 커버에 걸어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암의 전단부는 안쪽으로 굴곡한 갈고리형상부(또는 L자형부)를 가지며, 란셋 커버는 상기 갈고리형상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부분을 옆쪽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한 란셋 커버는 앞쪽으로 이동하는 암에 의해 앞쪽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노출된 관통 요소의 앞쪽에는 란셋 홀더 전단부의 개구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란셋 홀더는 그 전단부의 옆쪽 내벽에 가이드 수단을 가지며,
    란셋 커버는 가이드 수단에 가이드되는 피가이드 수단을 가지고,
    가이드 수단 및 피가이드 수단이 협동함으로써 분리한 란셋 커버가 앞쪽으로 이동하는 암에 의해 앞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란셋 커버가 앞쪽 대각선(대각선 윗쪽 또는 대각선 아랫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란셋 홀더는 그 전단부의 옆쪽 내벽에, 앞쪽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부를 가이드 수단으로서 가지고,
    란셋 커버는 슬라이드부 위를 슬라이딩 운동하는 부분(예를 들어, 돌출부)을 피가이드 수단으로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란셋 커버는 옆쪽에 피슬라이드부로서 앞쪽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부를 가지고,
    란셋 홀더는 그 전단부의 옆쪽 내벽에 슬라이드부로서 상기 테이퍼부가 슬라이딩 운동하는 역테이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12. 제10항에 있어서,
    슬라이드부는 란셋 홀더의 전단부의 옆쪽 내벽에 설치되며, 앞쪽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면을 가지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이고,
    피슬라이드부는 란셋 커버의 옆쪽에 설치한 볼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젝터의 베이스, 암, 스프링 및 커넥터는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란셋 어셈블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란셋 바디 및 란셋 커버는 관통 요소를 삽입하여 수지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란셋 어셈블리.
  15.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화 부분은 노치부에 의해 형성되며, 노치부의 파괴에 의해 란셋 커버가 란셋 바디로부터, 따라서 관통 요소로부터 분리되는 란셋 어셈블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란셋 바디의 커넥터로의 접속은, 관통 방향으로는 분리될 수 없도록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상보적 형상을 가지는 란셋 바디 및 커넥터에 의해 달성되는 란셋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오목부를 가지고, 란셋 바디는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는 볼록부를 가지는 란셋 어셈블리.
  18. 제16항에 있어서,
    란셋 바디는 오목부를 가지고, 커넥터는 상기 오목부에 맞물리는 볼록부를 가지는 란셋 어셈블리.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란셋 바디와 커넥터가 원래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돌출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스프링의 압축시에, 커넥터의 돌출부는 란셋 홀더의 돌출부에 맞닿아, 그에 의해 커넥터의 앞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트리거는 그와 같은 맞닿음 상태를 해제하는 란셋 어셈블리.
  2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은 돌출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스프링의 압축시에, 스프링의 돌출부는 란셋 홀더의 돌출부에 맞닿아, 이에 의해 커넥터의 앞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트리거는 그와 같은 맞닿음 상태를 해제하는 란셋 어셈블리.
  22.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란셋 바디는 돌출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스프링의 압축시에, 란셋 바디의 돌출부는 란셋 홀더의 돌출부에 맞닿아, 이에 의해 커넥터의 앞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트리거는 그와 같은 맞닿음 상태를 해제하는 란셋 어셈블리.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은 가이드핀을 가지고 이루어지며,
    란셋 홀더는 상기 가이드핀을 유도하는 채널부를 내벽에 가지고 이루어지는 란셋 어셈블리.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가이드핀을 가지고 이루어지며,
    란셋 홀더는 상기 가이드핀을 유도하는 채널부를 내벽에 가지고 이루어지는 란셋 어셈블리.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한 쌍의 암을 가지며, 이 암들의 사이에 스프링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 란셋 바디 또는 스프링은, 그들로부터 앞쪽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그 대각선 방향에 대하여 앞쪽으로 이동하는 트리거가 돌출부에 접촉하여 이를 앞쪽으로 밀음으로써, 커넥터, 란셋 바디 또는 스프링이 아래쪽으로 밀려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맞닿음 상태가 해제되는 란셋 어셈블리.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기 위한 란셋 구조체.
  28.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기 위한 란셋 홀더.
  29. 제1항 내지 제18항 및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란셋 구조체를 구성하기 위한 란셋.
  30. 제1항 내지 제18항 및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란셋 구조체를 구성하기 위한 이젝터.
  31. 제26항에 기재된 란셋 구조체 및 제28항에 기재된 란셋 홀더로 이루어지는 란셋 어셈블리의 키트.
  32. 제29항에 기재된 란셋 및 제30항에 기재된 이젝터로 이루어지는 란셋 구조체의 키트.
  33.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의 후단은, 베이스 대신 혹은 그에 더하여 암이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암의 밑부분 또는 그 부근에 접속되어 있는 란셋 어셈블리.
  34. 제1항 내지 제26항 및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는 그 후단부가, 베이스 대신 혹은 그에 더하여 암이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암의 밑부분 또는 그 부근에 접속되어 있는 란셋 어셈블리.
KR1020077007688A 2004-10-06 2005-05-17 란셋 어셈블리 KR200700585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93904 2004-10-06
JPJP-P-2004-00293904 2004-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588A true KR20070058588A (ko) 2007-06-08

Family

ID=3614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688A KR20070058588A (ko) 2004-10-06 2005-05-17 란셋 어셈블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79059B2 (ko)
EP (1) EP1806095A4 (ko)
JP (1) JP4651622B2 (ko)
KR (1) KR20070058588A (ko)
CN (1) CN100490744C (ko)
CA (1) CA2583317A1 (ko)
HK (1) HK1105854A1 (ko)
WO (1) WO2006038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1005B1 (en) 1998-03-30 2002-05-21 Agil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enetration with shaft having a sensor for sensing penetration depth
US8641644B2 (en) 2000-11-21 2014-02-0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Blood testing apparatus having a rotatable cartridge with multiple lancing elements and testing means
US9795747B2 (en) 2010-06-02 2017-10-2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s and apparatus for lancet actuation
US9427532B2 (en) 2001-06-12 2016-08-30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Tissue penetration device
US7316700B2 (en) 2001-06-12 2008-01-08 Pelikan Technologies, Inc. Self optimizing lancing device with adaptation means to temporal variations in cutaneous properties
US9226699B2 (en) 2002-04-19 2016-01-0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Body fluid sampling module with a continuous compression tissue interface surface
WO2002100254A2 (en) 2001-06-12 2002-12-19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ancet launching device integrated onto a blood-sampling cartridge
WO2002100460A2 (en) 2001-06-12 2002-12-19 Pelikan Technologies, Inc. Electric lancet actuator
US8337419B2 (en) 2002-04-19 2012-12-2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Tissue penetration device
US7981056B2 (en) 2002-04-19 2011-07-19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lancet actuation
US7041068B2 (en) 2001-06-12 2006-05-09 Pelikan Technologies, Inc. Sampling module device and method
US7344507B2 (en) 2002-04-19 2008-03-18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ancet actuation
US9314194B2 (en) 2002-04-19 2016-04-1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Tissue penetration device
US9248267B2 (en) 2002-04-19 2016-02-02 Sanofi-Aventis Deustchland Gmbh Tissue penetration device
US7892185B2 (en) 2002-04-19 2011-02-22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ody fluid sampling and analyte sensing
US7674232B2 (en) 2002-04-19 2010-03-09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8267870B2 (en) 2002-04-19 2012-09-1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body fluid sampling with hybrid actuation
US7229458B2 (en) 2002-04-19 2007-06-12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297122B2 (en) 2002-04-19 2007-11-20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8702624B2 (en) 2006-09-29 2014-04-2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nalyte measurement device with a single shot actuator
US9795334B2 (en) 2002-04-19 2017-10-2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892183B2 (en) 2002-04-19 2011-02-22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ody fluid sampling and analyte sensing
US8221334B2 (en) 2002-04-19 2012-07-17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226461B2 (en) 2002-04-19 2007-06-05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use body fluid sampling device with sterility barrier release
US7901362B2 (en) 2002-04-19 2011-03-08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232451B2 (en) 2002-04-19 2007-06-19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8360992B2 (en) 2002-04-19 2013-01-2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8579831B2 (en) 2002-04-19 2013-11-1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331931B2 (en) 2002-04-19 2008-02-19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976476B2 (en) 2002-04-19 2011-07-12 Pelikan Technologies, Inc. Device and method for variable speed lancet
US7909778B2 (en) 2002-04-19 2011-03-22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547287B2 (en) 2002-04-19 2009-06-16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7491178B2 (en) 2002-04-19 2009-02-17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tissue
US8784335B2 (en) 2002-04-19 2014-07-2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Body fluid sampling device with a capacitive sensor
US8574895B2 (en) 2002-12-30 2013-11-0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using optical techniques to measure analyte levels
ES2347248T3 (es) 2003-05-30 2010-10-27 Pelikan Technologies Inc.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inyeccion de fluido.
DK1633235T3 (da) 2003-06-06 2014-08-18 Sanofi Aventis Deutschland Apparat til udtagelse af legemsvæskeprøver og detektering af analyt
WO2006001797A1 (en) 2004-06-14 2006-01-05 Pelikan Technologies, Inc. Low pain penetrating
US8282576B2 (en) 2003-09-29 2012-10-0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sample capture device
WO2005037095A1 (en) 2003-10-14 2005-04-28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variable user interface
US7822454B1 (en) 2005-01-03 2010-10-26 Pelikan Technologies, Inc. Fluid sampling device with improved analyte detecting member configuration
EP1706026B1 (en) 2003-12-31 2017-03-01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fluidic flow and sample capture
EP1751546A2 (en) 2004-05-20 2007-02-14 Albatros Technologies GmbH & Co. KG Printable hydrogel for biosensors
WO2005120365A1 (en) 2004-06-03 2005-12-22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fluid sampling device
US9775553B2 (en) 2004-06-03 2017-10-03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a fluid sampling device
US8652831B2 (en) 2004-12-30 2014-02-1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te measurement test time
WO2006107914A2 (en) * 2005-04-04 2006-10-12 Facet Technologies, Llc Narrow-profile lancing device
BRPI0616793A2 (pt) 2005-09-29 2011-07-05 Izumi Cosmo Co Ltd conjunto de lanceta, injetor e dispositivo de picada
MX2008015516A (es) * 2006-06-13 2009-01-13 Izumi Cosmo Co Ltd Ensamble de lanceta y dispositivo de puncion.
JPWO2007145204A1 (ja) * 2006-06-13 2009-10-29 泉株式会社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
GB2440118A (en) * 2006-07-18 2008-01-23 Owen Mumford Ltd Skin pricking device
JP5176396B2 (ja) * 2007-05-29 2013-04-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ランセットアセンブリ
GB2451839A (en) 2007-08-14 2009-02-18 Owen Mumford Ltd Lancing device
JP4923109B2 (ja) * 2007-09-28 2012-04-25 泉株式会社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穿刺デバイス
WO2009126900A1 (en) 2008-04-11 2009-10-15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te detecting device
US8057501B2 (en) * 2008-08-25 2011-11-15 Abbott Diabetes Care Inc. Collapsible lancing device
US20100125294A1 (en) * 2008-11-17 2010-05-20 Shinichi Yasui Lancet assembly
GB2465391A (en) * 2008-11-17 2010-05-19 Owen Mumford Ltd Skin pricking device
JP2010148694A (ja) * 2008-12-25 2010-07-08 Nissei Plastics Ind Co 穿刺装置
US9375169B2 (en) 2009-01-30 2016-06-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Cam drive for managing disposable penetrating member actions with a single motor and motor and control system
US8262685B2 (en) * 2009-03-27 2012-09-11 Nipro Corporation Disposable lancing device
CN102481126B (zh) * 2009-09-10 2014-08-06 旭石墨尼龙株式会社 柳叶刀穿刺装置
US8965476B2 (en) 2010-04-16 2015-02-2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Tissue penetration device
JP5753071B2 (ja) * 2011-12-20 2015-07-22 泉株式会社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穿刺デバイス
JP2022505807A (ja) * 2018-11-20 2022-01-14 ザテ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誘電分光センシング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N112457970A (zh) * 2020-12-09 2021-03-09 杭州安誉科技有限公司 一种带自毁结构的核酸提取仪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1211A1 (de) * 1980-03-22 1981-10-01 Clinicon Mannheim GmbH, 6800 Mannheim Blutlanzettenvorrichtung zur entnahme von blut fuer diagnosezwecke
US4616649A (en) * 1984-09-20 1986-10-1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Lancet
GB8710470D0 (en) * 1987-05-01 1987-06-03 Mumford Ltd Owen Blood sampling devices
US5439473A (en) * 1993-12-13 1995-08-08 Modulohm A/S Safety lancet
US5628765A (en) * 1994-11-29 1997-05-13 Apls Co., Ltd. Lancet assembly
US6358265B1 (en) * 2000-07-18 2002-03-19 Specialized Health Products, Inc. Single-step disposable safety lancet apparatus and methods
DE10047419A1 (de) * 2000-09-26 2002-04-11 Roche Diagnostics Gmbh Lanzettensystem
DE10142232B4 (de) * 2001-08-29 2021-04-29 Roche Diabetes Car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nalytischen Hilfsmittels mit Lanzette und Testelement
DE10208575C1 (de) * 2002-02-21 2003-08-14 Hartmann Paul Ag Blutanalysegerät zur Bestimmung eines Analyten
EP1560530B1 (en) * 2002-10-29 2010-12-22 AMBI, Inc. Single-use lancet device
US7303573B2 (en) * 2003-05-29 2007-12-04 Abbott Laboratories Lancet device
JP4635002B2 (ja) * 2004-05-17 2011-02-16 泉株式会社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6095A1 (en) 2007-07-11
EP1806095A4 (en) 2008-04-16
CN101056580A (zh) 2007-10-17
US7879059B2 (en) 2011-02-01
JPWO2006038340A1 (ja) 2008-05-15
WO2006038340A1 (ja) 2006-04-13
JP4651622B2 (ja) 2011-03-16
CA2583317A1 (en) 2006-04-13
CN100490744C (zh) 2009-05-27
HK1105854A1 (en) 2008-02-29
US20080058847A1 (en)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8588A (ko) 란셋 어셈블리
JP4635002B2 (ja)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
KR20090018626A (ko) 란셋 어셈블리
JP5336601B2 (ja) ランセット穿刺デバイス
EP1913872A1 (en) Needle insertion device, and lancet assembly and injector assembly that form the same
JP5313923B2 (ja) 患者の皮膚穿刺装置
EP2008587A1 (en) Lancet assembly
JPS63281628A (ja) 廃棄式プリッカ
JPWO2007037207A1 (ja)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穿刺デバイス
JPWO2007145205A1 (ja)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
KR20090021378A (ko) 란셋 어셈블리 및 천자 디바이스
JPWO2007114101A1 (ja)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
JP2018089070A (ja) 針組立体
JP2004290390A (ja) 穿刺針、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21083695A (ja) 穿刺器具
JP4736041B2 (ja) 留置針
EP2317921B1 (en) Side loading lan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