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378A - 란셋 어셈블리 및 천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란셋 어셈블리 및 천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378A
KR20090021378A KR1020097000656A KR20097000656A KR20090021378A KR 20090021378 A KR20090021378 A KR 20090021378A KR 1020097000656 A KR1020097000656 A KR 1020097000656A KR 20097000656 A KR20097000656 A KR 20097000656A KR 20090021378 A KR20090021378 A KR 20090021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t
holder
syringe
punctur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리타카 기타무라
데루유키 아베
가즈하루 세키
Original Assignee
이즈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즈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즈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85Preventing re-use
    • A61B5/150893Preventing re-use by indicating if used, tampered with, unsterile or defec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175Adjustment of penetration depth
    • A61B5/150198Depth adjustment mechanism at the proximal end of the carrier of the pierc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59Improved gripping, e.g. with high friction pattern or projections on the housing surface or an ergonometric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12Pointed piercing elements, e.g. needles, lancets for pier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503Single-ended needles
    • A61B5/150519Details of construction of hub, i.e. element used to attach the single-ended needle to a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541Breakable protectors, e.g. caps, shields or sleeves, i.e. protectors separated destructively, e.g. by breaking a connecting area
    • A61B5/150564Protectors removed by pulling or pus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58Joining techniques used for protective means
    • A61B5/150618Integrally moulded protectors, e.g. protectors simultaneously moulded together with a further component, e.g. a hub, of the pierc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33Protective sleeves which are axially extensible, e.g. sleeve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piercing or driving device;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41Protective sleeves which are axially extensible, e.g. sleeve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piercing or driving device;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comprising 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covering to uncovering position
    • A61B5/150648Protective sleeves which are axially extensible, e.g. sleeve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piercing or driving device;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comprising 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covering to uncovering position fully automatically triggered, i.e. the triggering of the protectiv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terminating the contact with the patient's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94Procedure for removing protection means at the time of piercing
    • A61B5/150725Procedure for removing protection means at the time of piercing removal procedure linked to further actions, e.g. cocking of the piercing device, which indicate that the piercing device is used or temp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03Piercing procedure
    • A61B5/15107Piercing being assisted by a triggering mechanism
    • A61B5/15113Manually triggered, i.e. the triggering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pressing a drive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15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 A61B5/15117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comprising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or a spring, e.g. a helical spring, leaf spring, or elastic str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26Means for controlling the lancing movement, e.g. 2D- or 3D-shaped elements, tooth-shaped elements or sliding guides
    • A61B5/1513Means for controlling the lancing movement, e.g. 2D- or 3D-shaped elements, tooth-shaped elements or sliding guides comprising linear sliding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86Devices loaded with a single lancet, i.e. a single lancet with or without a casing is loaded into a reusable drive device and then discarded after use; drive devices reloadable for multiple use
    • A61B5/15188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 A61B5/1519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propelling the pierc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86Devices loaded with a single lancet, i.e. a single lancet with or without a casing is loaded into a reusable drive device and then discarded after use; drive devices reloadable for multiple use
    • A61B5/15188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 A61B5/15192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retracting the lancet unit into the driving device housing
    • A61B5/15194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retracting the lancet unit into the driving device housing fully automatically retracted, i.e. the retraction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by terminating the contact with the patient's skin

Abstract

사용하지 않은 란셋 어셈블리는 주사기에 장전할 수 있는 한편,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는 주사기에 장전할 수 없는 천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천자 디바이스는 란셋홀더의 개구단측 단부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에 판스프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판스프링 부재는 한쪽 단부가 고정단부로 되어 있는 한편, 다른쪽 단부가 자유단부로 되어, 그 자유단부의 선단영역에 후크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에서는 절결부가 후크형상부에 걸려서 장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란셋몸체의 돌기부가 란셋홀더의 절결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란셋홀더 안에 란셋몸체가 고정되어 있는 사용하지 않은 란셋 어셈블리에서는, 돌기부가 자유단부를 바깥쪽으로 밀어펼쳐서 절결부가 후크형상부에 걸리지 않고 장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란셋 어셈블리, 천자

Description

란셋 어셈블리 및 천자 디바이스{LANCET ASSEMBLY AND PRICKING DEVICE}
본 발명은, 란셋 어셈블리(lancet assembly)(란셋 및 그것을 수용하고 있는 란셋홀더로 이루어짐)와, 그와 같은 란셋 어셈블리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주사기(injector)로 구성되는 천자(穿刺)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천자 디바이스는 혈액 등의 체액을 채취하기 위하여 신체 소정의 부위를 예리한 천자부재(예를 들어, 바늘)로 천자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당뇨병 환자의 혈당값 측정을 위해서는 당뇨병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여야 한다. 아주 적은 양의 혈액을 채취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천자 디바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그와 같은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신체 소정의 부위를 천자할 천자부재가 설치된 란셋 및 주사기로 구성되어 있다. 주사기는 란셋을 소정 부위를 향하여 발사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용시에는 란셋을 주사기에 장전한 후에 주사기 안에서 압축된 스프링이 늘어나는 작용을 이용하여 란셋을 소정 부위를 향하여 발사시킴으로써 소정 부위를 천자한다.
이러한 천자 디바이스에서는, 란셋을 주사기에 장전하는 조작에서 시작하여, 천자조작, 그리고 사용후의 란셋을 주사기로부터 빼내는 조작을 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다음의 9가지 단계가 존재한다:
(1) 주사기로부터 주사기 캡을 떼어낸다;
(2) 란셋을 주사기에 끼워넣는다;
(3) 끼워넣은 란셋으로부터 란셋캡을 제거하여 천자부재의 선단부를 노출시킨다;
(4) 상기 (1)에서 떼어낸 주사기 캡을 주사기에 씌운다;
(5) 주사기를 코킹하여 란셋이 장전된 상태(즉, 천자준비가 완료한 상태)로 한다;
(6)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를 천자부위에 대고, 트리거 버튼(trigger button)을 눌러서 란셋을 발사시킨다;
(7) 주사기 캡을 떼어낸다;
(8) 노출된 상태의 천자부재의 선단부에 보호캡을 끼움으로써, 천자부재의 선단부를 주위 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킨다; 그리고
(9) 란셋을 주사기로부터 제거하고, 사용이 끝난 란셋으로서 처분한다.
이 9가지 단계를 차례로 실시하는 것은 실제로 번잡한 작업이며, 필요한 단계가 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천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채혈을 하는 경우, 사용한 후의 란셋 처리에는 특별히 주의가 필요하다. 천자한 후의 란셋에서는 통상 피채혈자의 혈액이 묻은 천자부재(특히,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란셋 본체의 전단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 천자부재의 선단부에 피채혈자 이외의 사람 예를 들어, 채혈작업을 실시하는 간호사 및 의사 등 의료종사자의 신체가 잘못하여 닿았을 경우, 선단부가 신체 에 상처를 낼 가능성이 있으며, 그 결과 상처로부터 피채혈자의 혈액이 의료종사자의 체내로 들어가서 감염증에 옮아버릴 위험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천자 디바이스는, 사용한 후의 란셋 처리라는 점에서 반드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졌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노출된 천자부재의 선단부에 보호캡을 씌우는 것이 제안되고 있는데(미국특허 명세서 제5385571호 공보 참조), 그와 같은 천자 디바이스에서는 보호캡을 씌우는 행위 자체가 위험하다. 즉, 보호캡을 씌울 때,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란셋을 다루어야 하기 때문에, 그러한 점에서 상술한 위험이 해소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천자후의 란셋 처리에는 주의가 필요하고, 천자후에 보다 안전한 상태에서 란셋을 처리할 수 있는 천자 디바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란셋으로 채혈할 때 보다 적은 단계로 천자할 수 있는 동시에, 천자하고 나서 사용이 끝난 란셋을 보다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천자 디바이스를 발명하고, 그 발명에 관한 출원을 하였다(일본특허출원 제2006-163499호, 2006년 6월 13일 출원, 발명의 명칭 '란셋 어셈블리 및 천자 디바이스'). 도면을 참조하면서, 그 발명에 따른 란셋 어셈블리 및 천자 디바이스를 간략히 설명한다. 란셋 어셈블리는 란셋(150')(도 43a 내지 도 43c 참조) 및 그것을 수용하는 란셋홀더(102')(도 44a 및 도 44b 참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43a 내지 도 4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150')은 란셋몸체(151'), 란셋캡(152') 및 천자부재(153')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금속제 천자부재(153')가 수지제 란셋몸체(151') 및 란셋캡(152')에 걸쳐서 그것들의 안에 존재하고, 란셋캡(152')에 의해 천자부재(153')의 선단부가 커버되어 있는 동시에, 란셋캡(152')과 란셋몸체(151')가 다리(bridge)부재(154')를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도 44a 및 도 4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홀더(102')는 개구단(103') 및 그것과 마주보는 면(104')에 천자개구부(105')를 가지고 있다. 사용하기 전의 란셋 어셈블리는 란셋몸체(151')가 란셋홀더(102')에 고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란셋홀더(102')에는 그 마주보는 내벽에 란셋몸체를 천자방향에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107')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도 44b 참조), 란셋몸체(151')에는 그 가이드(107') 안으로 끼워넣는 피가이드부(157')가 설치되어 있고(도 43a 참조), 피가이드부(157')에 설치된 볼록부(158')와 가이드 안에 설치된 볼록부(108')(도 44b 참조)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란셋몸체가 란셋홀더 안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특히, 도 45의 점선 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볼록부A(158a', 158b')가 1개의 볼록부B(108')를 사이에 끼우는 형태로 란셋몸체(151')가 란셋홀더(102') 안에 고정되어 있다. 그와 같이 란셋몸체(151')가 란셋홀더(102')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란셋캡(152')만이 개구단(103')으로부터 천자개구부(105')를 향하는 천자방향으로 눌리면, 다리부재(154')가 파괴되어 란셋캡(152')이 란셋몸체(151')로부터 분리되고, 천자부재(153')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몸체(151')가 얻어지게 된다. 분리된 란셋캡(152')은 계속해서 천자방향으로 눌리면, 란셋홀더(102') 안에서 천자부재(153')의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도 45 및 도 46 참조). 특히, 이러한 란셋 어셈블리는 그것을 주사기(200')에 장전함으로써(도 47a 및 도 47b 참조), 란셋캡(152')이 란셋몸체(151')로부터 분리되고, 분리된 란셋캡(152')이 천자궤도로부터 벗어나 위치하게 되어 있다.
주사기(200')는 란셋 어셈블리와 조합하여 사용하며, 천자부재의 선단이 노출된 상태의 란셋몸체를 발사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이다. 주사기(200')는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몸체의 후단부와 걸릴 수 있으며, 란셋몸체를 천자방향으로 발사시키는 플런저(204'), 및 란셋캡과 걸릴 수 있는 란셋캡 제거부재(206')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따라서, 주사기(200')의 전단개구부(202')로부터 란셋홀더(102')를 삽입하여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200')에 장전할 때는,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캡 제거부재(206')가 란셋캡과 걸리게 된다. 그리고, 란셋몸체(151')는 란셋홀더(102') 안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란셋캡(152')과 란셋캡 제거부재(260')의 걸림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란셋홀더(102')를 더욱 삽입하면, 란셋캡(152')과 란셋몸체(151')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힘이 작용하고, 그 결과 란셋캡(152')과 란셋몸체(151')를 잇고 있는 다리부재(154')가 파괴된다. 다리부재(154')가 파괴되면, 란셋캡(152')이 란셋몸체(151')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천자부재(153')의 선단부가 노출된 상태가 얻어진다. 계속해서 란셋홀더(102')를 삽입하면, 분리된 란셋캡(152')이 란셋캡 제거부재(206')에 계속해서 눌리는 형태로 란셋홀더(102') 안에서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한편, 란셋캡(152')이 란셋몸체(151')로부터 분리된 후에는 플런저(204')가 더욱 후퇴하는 것이 저지되도록 주사기(200')가 구성되어 있다. 그와 같이 플런저(204')가 더욱 후퇴하는 것이 저지되면, 플런저(204')와 걸려 있는 란셋몸체(151')가 더욱 삽입되는 것이 저지되고, 그 후 란셋홀더(102')를 더욱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란셋홀더(102')에는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이 작용하는 한편, 란셋몸체(151')에는 그와 반대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란셋홀더(102')와 란셋몸체(151')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힘이 작용하고, 란셋몸체(151')의 란셋홀더(102')로의 고정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란셋홀더(102')와 란셋몸체(151')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힘이 작용하면,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홀더(102')의 가이드 안의 볼록부B(108')가 란셋몸체(151')의 피가이드부의 볼록부A(구체적으로는 158b')를 타고 넘게 되어(바꾸어 말하면, 피가이드부의 볼록부(158b')가 란셋홀더의 가이드 안의 볼록부B(108')를 타고 넘게 되어), 란셋몸체의 볼록부와 란셋홀더의 볼록부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된다. 맞닿음 상태의 해제에 의해 란셋몸체(151')의 란셋홀더(102')로의 고정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란셋몸체(151')가 가이드에 따라 천자방향으로 발사될 수 있는 준비가 갖추어지게 된다.
란셋 어셈블리의 주사기로의 장전이 완료되면, 천자 디바이스의 천자준비가 완료된 상태가 된다. 천자시에는 천자할 소정 부위(예를 들어, 손가락 끝)에 천자개구부(105')를 댄 후, 트리거 레버(trigger lever; 230')의 선방부분(도 51a의 230b')을 주사기(200') 내부를 향하여 밀어넣는다. 이 트리거 레버(230')를 누름으로써 트리거 레버(230')의 후단부(230a')와 플런저(204')의 플랜지(204b')의 맞닿음 상태(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고(도 51b 참조), 그 결과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205a')이 순간적으로 한번에 늘어나게 되어, 란셋몸체(151')가 전방의 천자방향을 향하여 발사된다. 천자부재(153')는 전방으로 발사된 후에 빠르게 후퇴하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배출기(27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란셋홀더(102') 안에 사용한 후의 천자부재를 포함한 사용이 끝난 상태의 란셋 어셈블리(100')가 주사기(200')로부터 제거된다(도 52a 및 도 52b 참조). 구체적으로는, 배출기(270')를 손가락 등으로 슬라이드시키고, 배출기의 맨앞 부분에서 란셋홀더(102')의 개구단(103)의 가장자리를 누름으로써, 란셋홀더(102)를 주사기(200')로부터 제거한다. 제거된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는 폐기된다.
여기서, 사용후에 주사기로부터 배출된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는, 천자전의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와 외관상 거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잘못하여 주사기에 장전되어 재사용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삽입할 때는, 란셋 어셈블리에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힘이 우발적으로 작용하면(예를 들어, 조작하고 있는 손이 흔들려서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 잡아당겨버리면),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빠져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천자 가능상태까지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 안에 장전되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우발적으로 란셋 어셈블리에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소정의 천자 가능위치까지 삽입된 란셋 어셈블리가 움직여버려서 천자가 실패할 우려가 있다.
또한, 배출기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서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로부터 배출시킬 때는 란셋홀더만이 눌리기 때문에, 주사기로부터 란셋홀더만 배출되고 란셋(특히, 란셋몸체)은 주사기에 남아버릴 우려가 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란셋홀더의 가이드 안의 볼록부B가 란셋몸체의 피가이드부의 볼록부A를 타고 넘음으로써 천자상태를 얻기 때문에, 볼록부B 및/또는 볼록부A가 눌려 찌그러져서 그들의 형상이 변형되어 버릴 가능성도 우려된다. 이 경우, 천자시에 란셋몸체의 볼록부A가 란셋홀더의 가이드 안을 이동할 때, 형상이 변형된 볼록부A가 가이드와 마찰접촉하여 버릴 수 있으며, 슬라이딩 이동 저항(접촉저항) 등에 기인하여 천자부재의 천자안정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천자후의 란셋 어셈블리에서 란셋몸체가 란셋홀더 안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즉, 홀더 개구측으로 이동하면), 볼록부A가 눌려 찌그러지는 것에 기인하여 란셋몸체(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란셋몸체)가 란셋홀더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과제 중 하나는, 천자후에 주사기로부터 배출된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재장전·재삽입할 수 없는 천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주사기로의 삽입시에 란셋 어셈블리가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아도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빠지지 않고 소정의 위치에 보유될 수 있는 천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천자후에 란셋 어셈블리를 배출할 때, 란셋(특히, 란셋몸체)을 남기고 란셋홀더만 주사기로부터 배출되는 경우가 없는 천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천자시에 란셋몸체의 고정에 기여한 볼록부에 기인하여 천자부재의 천자이동이 방해되거나, 혹은 사용후의 란셋이 란셋홀더로부터 빠져 떨어지는 경우가 없는 란셋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란셋 어셈블리 및 주사기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천자 디바이스로서,
란셋 어셈블리는 란셋 및 그것을 수용하는 란셋홀더로 이루어지는 디바이스이고, 란셋이 란셋몸체, 란셋캡 및 천자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금속제 천자부재가 수지제 란셋몸체 및 란셋캡에 걸쳐서 그것들의 안에 존재하고, 란셋캡에 의해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커버되고 있는 동시에, 란셋캡과 란셋몸체가 다리부재를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주사기는 란셋 어셈블리와 조합하여 사용됨으로써 천자부재를 발사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이며, 란셋몸체의 후단부와 걸릴 수 있고, 천자부재를 가지는 란셋몸체를 천자방향으로 발사시키는 플런저, 란셋캡과 맞닿을 수 있는 란셋캡 제거부재, 및 천자부재의 발사시에 눌리면 천자부재의 발사를 일으키는 트리거 레버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란셋홀더가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주사기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장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천자 디바이스로서,
란셋홀더의 개구단측 단부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주사기 전방측의 하우징 내벽에 금속제 판스프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판스프링 부재의 한쪽 단부는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에 고정되며, 판스프링 부재의 다른쪽 단부는 자유단부로 되어, 자유단부의 선단영역에 후크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란셋몸체를 천자방향으로 발사사킨 후의 사용이 끝난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삽입하면, 란셋홀더의 절결부가 판스프링 부재의 후크형상부에 걸리고, 란셋홀더를 더 이상 주사기 내부로 삽입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천자 용도로 일단 사용된 사용이 끝난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삽입할 수 없도록 란셋홀더 및 주사기가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삽입할 수 없는데 대하여, 천자 용도로 사용되지 않은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삽입할 수 있도록 천자 디바이스가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본 발명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란셋몸체가 그 후방부에서 횡단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란셋몸체의 돌기부가 란셋홀더의 절결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란셋몸체가 란셋홀더 안에 고정되어 있는 미사용 상태의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삽입하면, 란셋몸체의 돌기부가 판스프링 부재의 자유단부를 바깥쪽(즉, 주사기의 내부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밀어펼치게 되어, 절결부가 판스프링 부재의 후크형상부에 걸리지 않고, 그 결과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란셋몸체의 돌기부의 후방부분이 모따기되어 있고, 그 모따기에 의해 얻어진 면이 판스프링 부재의 자유단부의 최선단 부분에 맞닿음으로써 판스프링 부재의 자유단부가 바깥쪽으로 밀어 펼쳐진다. 바람직하게는, 판스프링 부재의 본체부분이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고, 판스프링 부재의 후크형상부가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뻗어 있다(즉, 판스프링 부재의 전체적인 형상은 L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사기의 대향하는 하우징 내벽에 판스프링 부재가 쌍을 이루도록 2개 설치되어 있고, 그것에 대응하여 란셋홀더의 대향하는 개구단측 단부에 절결부가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판스프링 부재의 자유단부의 선단영역의 마주보는 둘레부에 2개의 후크형상부가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고, 그 2개의 후크형상부에 대응하도록 란셋홀더의 개구단측 단부에 2개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장전할 때 주사기로부터 란셋 어셈블리가 빠지지 않는 천자 디바이스도 제공된다. 이러한 천자 디바이스는 란셋 어셈블리 및 주사기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란셋 어셈블리는 란셋 및 그것을 수용하는 란셋홀더로 이루어지는 디바이스로서, 란셋홀더가 그 개구단에 인접하는 외벽면에 잠금용 돌기부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란셋이 란셋몸체, 란셋캡 및 천자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금속제 천자부재가 수지제 란셋몸체 및 란셋캡에 걸쳐서 그것들의 안에 존재하고, 란셋캡에 의해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커버되고 있는 동시에, 란셋캡과 란셋몸체가 다리부재를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주사기는 란셋 어셈블리와 조합하여 사용됨으로써 천자부재를 발사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이며, 란셋몸체의 후단부와 걸릴 수 있고, 천자부재를 가지는 란셋몸체를 천자방향으로 발사시키는 플런저, 란셋캡과 맞닿을 수 있는 란셋캡 제거부재, 및 천자부재의 발사시에 눌리면 천자부재의 발사를 일으키는 트리거 레버, 주사기의 전방측 하우징 내벽에 설치된 홀더잠금부재로서, 그 표면S에 주사기 내부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톱퍼부A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잠금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란셋홀더가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주사기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장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천자 디바이스로서,
홀더잠금부재의 전방단부는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홀더잠금부재의 후방단부가 자유단부로 되어 있으며, 홀더잠금부재와 주사기의 하우징측벽면의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그에 의해 홀더잠금부재에 주사기 내부방향을 향하여 힘이 작용하고 있으며,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삽입할 때,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가 홀더잠금부재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여 잠금용 돌기부가 스톱퍼부A를 타고 넘으면, 삽입된 란셋홀더가 주사기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잠금용 돌기부와 스톱퍼부A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자 디바이스에서는,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와 홀더잠금부재의 스톱퍼부A가 서로 맞닿을 수 있는 상태를 얻음으로써, 주사기로부터 란셋 어셈블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주사기 안의 란셋 어셈블리를 소정의 천자 가능위치에 보유할 수 있는 천자 디바이스도 제공된다. 이러한 천자 디바이스에서는, 홀더잠금부재의 표면S에서의 스톱퍼부A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주사기의 내부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톱퍼부B가 형성되어 있고,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가 스톱퍼부A를 타고 넘은 후에 계속해서 란셋홀더(즉,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 내부로 삽입되어 란셋몸체를 천자방향으로 발사할 수 있는 위치(이하, '천자 가능위치'라고도 함)까지 란셋홀더가 이동하면(삽입되면), 잠금용 돌기부가 홀더잠금부재의 스톱퍼부B를 타고 넘어 잠금용 돌기부와 스톱퍼부B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얻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주사기 안의 란셋 어셈블리가 소정의 천자 가능위치에 보유되었을 경우에는, 주사기의 플런저가 소정의 위치까지 후퇴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란셋몸체의 후단부가 주사기에 설치된 플런저와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삽입할 때, 란셋몸체의 후단부와 플런저의 전단부가 걸리고, 그에 의해 란셋홀더의 삽입에 따라 플런저가 후퇴하게 되어 천자부재의 발사에 필요한 힘이 플런저에 축적되며,
천자부재의 발사에 필요한 힘이 플런저에 축적될 때까지 란셋 어셈블리가 삽입되면,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가 홀더잠금부재의 스톱퍼부B를 타고 넘어 잠금용 돌기부와 스톱퍼부B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얻어진다.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 그리고 홀더잠금부재의 스톱퍼부A 및/또는 스톱퍼부B는, 잠금용 돌기부가 스톱퍼부A 및/또는 스톱퍼부B 위를 슬라이딩 이동할 때 각각 서로 상보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평면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천자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주사기 안의 란셋 어셈블리가 소정의 천자 가능위치에 보유된 것을 나타내는 지시(indicator)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사기가 지시부재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고, 이러한 지시부재의 전방단부가 트리거 레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시부재의 후방단부의 측면에 지시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란셋몸체를 천자방향으로 발사할 수 있는 위치까지 란셋 어셈블리가 삽입되면, 란셋홀더의 개구단측 단부(가장자리)가 지시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홀더 맞닿음부를 누르고, 그에 의해 지시부재가 그 전방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며, 그 결과 주사기의 하우징에 설치된 창부(窓部)(이하 '지시창부'라고도 함)의 위치까지 지시표시부가 이동한다. 이에 의해, 지시창부로부터 지시표시부가 보이는지 여부에 따라 란셋 어셈블리가 바르게 장전·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천자후 란셋 어셈블리를 배출할 때 란셋홀더만 주사기로부터 배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천자 디바이스도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배출기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배출기가 란셋홀더와 란셋몸체를 모두 전방으로 눌러서 주사기로부터 란셋 어셈블리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배출기가 전방을 향하여 뻗은 한쌍의 압착날개부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각각의 압착날개부의 선단부분이 란셋홀더의 개구단측 단부(가장자리) 및 란셋몸체의 후단부와 맞닿음으로써, 란셋홀더 및 란셋몸체가 동시에 전방으로 눌린다.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압착날개부의 선단부분은 안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압착날개부의 선단부분이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는 경우, 주사기의 플런저 측면에 홈부분을 설치하고, 배출기가 전방으로 슬라이드할 때, 압착날개부의 각각의 선단부분이 홈부분에 따라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자 디바이스가 홀더잠금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경우, 천자 디바이스는 홀더해제(release)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홀더잠금부재가 그 측부에 해제부A 및/또는 해제부B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며, 배출기가 해제부A 및/또는 해제부B와 맞닿을 수 있는 피(被)해제부를 더 가지고 이루어진다. 이 경우, 배출기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피해제부가 해제부A 및/또는 해제부B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그에 의해 홀더잠금부재가 그 전방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그 결과,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와 홀더잠금부재의 스톱퍼부A 및/또는 스톱퍼부B의 맞닿음 가능상태가 해제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홀더잠금부재에서 해제부A가 스톱퍼부A에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및/또는 해제부B가 스톱퍼부B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자 디바이스의 배출기가 홀더해제기구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배출기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란셋홀더와 란셋몸체가 동시에 눌릴 뿐만 아니라,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와 홀더잠금부재의 스톱퍼부A 및/또는 스톱퍼부B의 맞닿음 가능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부드럽게 배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란셋몸체의 란셋홀더로의 고정에 기여한 볼록부에 기인하여, 천자부재의 천자이동(즉,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몸체의 발사에 의한 천자조작)이 방해되지 않는 란셋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러한 란셋 어셈블리는 란셋 및 그것을 수용하는 란셋홀더로 이루어지는 란셋 어셈블리로서,
란셋은 란셋몸체, 란셋캡 및 천자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금속제 천자부재가 수지제 란셋몸체 및 란셋캡에 걸쳐서 그것들의 안에 존재하며, 란셋캡에 의해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커버되고 있는 동시에, 란셋캡과 란셋몸체가 다리부재를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란셋몸체가 란셋홀더에 고정된 상태에서 란셋캡이 천자방향으로 눌리면, 다리부재가 파괴되어 란셋캡이 란셋몸체로부터 분리되고,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몸체가 얻어지며,
분리된 란셋캡은 계속해서 천자방향으로 눌리면, 천자부재의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란셋 어셈블리로서,
란셋홀더는 그 내벽에 형성된 고정홈에 2개의 고정볼록부를 가지는 동시에, 란셋몸체가 고정홈 안으로 끼워지는 피고정돌기부를 가지고,
2개의 고정볼록부가 피고정돌기부를 사이에 끼우도록 고정볼록부와 피고정돌기부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란셋몸체가 란셋홀더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란셋홀더는 그 내벽에 가이드(바람직하게는 가이드채널)를 가지는 동시에, 란셋몸체가 가이드 안으로 끼워져 들어가는 피가이드돌기부를 가지고, 란셋몸체가 눌리어 고정볼록부와 피고정돌기부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되었을 경우, 피가이드돌기부가 가이드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란셋몸체가 천자방향에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란셋몸체를 란셋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와, 란셋몸체를 란셋홀더 안에서 가이드하기 위한 돌기부가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피고정돌기부가 란셋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평면A 위를 따라 란셋몸체의 횡단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피가이드돌기부가 그 평면A와 평행한 평면B(평면A를 제외)를 따라 란셋몸체의 횡단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피가이드돌기부는 란셋몸체의 천자방향으로의 발사시에 란셋홀더의 가이드에 따라 이동하는 것인데, 이러한 피가이드돌기부가 란셋 어셈블리의 장전시에 판스프링 부재를 바깥쪽으로 밀어펼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여기서 말하는 '피가이드돌기부'가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삽입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란셋몸체의 후방부에서 횡단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와 동일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한 후의 란셋이 란셋홀더 안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란셋 어셈블리도 제공된다. 이러한 란셋 어셈블리는 란셋홀더의 2개의 고정볼록부 중 전방측에 설치된 볼록부A의 전방측면이 평면을 이루어 전방을 향하고 있다(다른 표현으로 하면, 천자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똑바로 안쪽으로 튀어나오도록 볼록부A의 전방측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단 란셋몸체가 가이드에 따라 천자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얻어지면, 란셋몸체의 피고정돌기부가 란셋홀더의 고정볼록부A의 전방측면과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되어, 란셋몸체가 란셋홀더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란셋몸체가 가이드에 따라 천자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장전할 때, 란셋캡이 란셋몸체로부터 분리된 후에 플런저가 더욱 후퇴하는 것이 저지되게 된 결과, 플런저와 걸려 있는 란셋몸체가 더욱 삽입되는 것이 저지되고, 그 후 란셋홀더를 계속해서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란셋홀더의 고정볼록부와 란셋몸체의 피고정돌기부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되어, 란셋몸체가 가이드에 따라 천자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가 얻어지면, 란셋몸체의 피고정돌기부가 란셋홀더의 고정볼록부A의 전방측면과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되어, 란셋홀더로부터 란셋몸체가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란셋캡이 천자부재를 발사시키는 주사기에 설치되어 있는 란셋캡 제거부재와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란셋몸체가 고정된 란셋홀더를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삽입함으로써(즉, 란셋홀더 안에서 란셋몸체가 고정된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장전함으로써), 란셋캡 제거부재가 란셋캡과 맞닿게 된다. 그 맞닿음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란셋홀더가 더욱 삽입되면, 천자방향으로 란셋캡이 눌리는 힘이 작용한다. 그 결과, 다리부재가 파괴되어 란셋몸체로부터 란셋캡이 분리되어,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몸체가 얻어지게 된다. 분리된 란셋캡은 계속해서 란셋홀더가 삽입됨으로써 란셋홀더 안에서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란셋홀더의 2개의 고정볼록부 중 전방측에 설치된 볼록부의 전방측면이 평면을 이루어 전방을 향하고 있다. 그 때문에, 천자후에 란셋몸체의 피고정돌기부가 란셋홀더의 고정볼록부의 전방측면과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란셋홀더로부터 란셋몸체가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란셋캡이 그 횡단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시부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란셋홀더의 벽부에는 란셋홀더의 길이방향에 따라 뻗은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분리된 란셋캡이 란셋홀더 안에서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지시부가 슬릿부에 따르도록 이동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지시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형태에서는, 분리된 란셋캡이 란셋홀더 안에서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란셋몸체의 피고정돌기부가 란셋홀더의 슬릿부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피고정돌기부가 란셋홀더 내벽에 마찰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란셋몸체가 안정적으로 천자방향으로 발사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서는 란셋몸체에 설치된 한쌍의 날개부가 란셋홀더 안에 설치된 스톱퍼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천자후에 천자개구부로부터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한쌍의 날개부는 천자시에 란셋몸체의 천자이동을 크게 방해하지 않도록 후방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지도록 뻗어 있고(그 선단부에는 스톱퍼면에 맞닿을 수 있게 하는 '맞닿음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와 같이 후방으로 뻗어 있다는 점에서도 란셋몸체가 안정적으로 천자방향으로 발사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자 디바이스에서는, 보다 안전하게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장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 레버를 신경쓰지 않고 밀어넣은 상태 그대로 장전조작을 실시하면, 장전이 완료된 순간에 의도하지 않게 천자부재가 천자방향으로 발사되어 버릴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천자 디바이스에서는 그와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트리거 레버 잠금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사기가 트리거 레버의 전방단부에 설치된 트리거 잠금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트리거 잠금부재의 일부는 주사기의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동시에, 트리거 잠금부재가 트리거 레버 위를 슬라이딩 운동하여 주사기의 하우징의 개구부 안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트리거 잠금부재에 대해서는 전방을 향하여 움직이는 힘이 작용하도록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트리거 잠금부재는 주사기의 하우징의 개구부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보유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트리거 잠금부재의 바닥부에 설치된 잠금부(또는 맞물림부)가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에 설치된 피잠금부(또는 피맞물림부)와 맞닿을 수 있는 상태(또는 맞물릴 수 있는 상태)가 되어, 트리거 잠금부재를 주사기 내부로 밀 수 없고, 그 결과 트리거 레버가 주사기 내부로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방을 향하여 움직이는 힘에 반하여 외부로부터 힘을 작용시켜서 트리거 잠금부재를 주사기의 하우징의 개구부에서 후방으로 이동시켰을 경우에는, 트리거 잠금부재의 잠금부(또는 맞물림부)와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에 설치된 피잠금부(또는 피맞물림부)의 맞닿음 가능상태(또는 맞물림 가능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트리거 잠금부재를 주사기 내부로 밀 수 있고, 그 결과 트리거 레버를 주사기 내부에 밀어넣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자 디바이스에서는, 천자후에 주사기로부터 일단 꺼내어진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 안으로 재장전할 수 없기 때문에, 혈액채취 등의 용도로 일단 사용된 비위생적인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잘못하여 재사용할 위험이 없다. 또한, 주사기에는 홀더잠금기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장전할 때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빠지지 않고, 보다 안정적인 란셋 어셈블리의 장전이 보장되는 동시에, 보다 안정적인 천자가 보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자 디바이스에서는, 천자후에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로부터 꺼낼 때, 란셋홀더와 란셋몸체가 모두 눌려서 주사기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란셋몸체만 주사기에 남지 않고, 란셋 어셈블리의 보다 안정적인 추출조작이 보장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배출기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 만으로 '란셋홀더와 란셋몸체의 압착조작'과 '란셋홀더와 홀더잠금부재의 잠금해제조작'을 모두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고 보다 부드러운 추출조작이 보장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란셋 어셈블리에서는, 란셋몸체를 란셋홀더 안에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와, 란셋몸체를 란셋홀더 안에서 가이드하기 위한 돌기부가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용 돌기부가 천자부재가 노출된 란셋몸체를 천자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와 마찰접촉하는' 현상을 피하고, 그러한 점에서 천자부재의 보다 안정적인 천자이동이 보장된다. 또한,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에서는, 란셋홀더의 고정볼록부A(평면을 이루고 전면을 향해 있는 고정볼록부A의 전방측면)에 대하여 란셋몸체의 피고정돌기부가 확실하게 맞닿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한 후의 란셋이 란셋홀더 안으로부터 빠지지 않아서 사용후의 안전성이 보다 향상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사기에 지시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란셋 어셈블리에도 지시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조작단계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란셋 어셈블리의 사용/미사용'의 판별도 용이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천자 디바이스가 천자 가능상태가 되면 주사기의 지시창부의 상황이 변하기 때문에, 천자 가능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란셋캡에 설치된 주사기를 란셋홀더의 슬릿부로부터 볼 수 있기 때문에, 주사기의 위치로부터 란셋캡의 분리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는, 대상이 되는 란셋 어셈블리가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인지 혹은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인지를 '지시부의 위치'로부터 판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잘못하여 사용할 위험성도 줄어든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효과를 총괄적으로 보아 판단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자 디바이스 및 란셋 어셈블리에서는, 보다 간단한 조작으로 보다 안전하고 보다 위생적으로 천자조작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a는 란셋홀더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b는 란셋홀더를 그 길이방향에 따라 절반 절제한 형태로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c는 란셋홀더의 길이방향 단면(Z1-Z1선으로 잘라낸 단면 및 Z2-Z2선으로 잘라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d는 란셋홀더의 측면도 및 단면도로서, 도 1d의 (a) 내지 (d)는 란셋홀더의 측면도이고, 도 1d의 (e)는 란셋홀더의 전방단면도이며, 도 1d의 (f)는 란셋홀더의 후방단면도이다.
도 2a는 란셋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b는 란셋의 측면도 및 단면도로서, 도 2b의 (a) 내지 (d)는 란셋의 측면도이고, 도 2b의 (e)는 란셋의 전방단면도이며, 도 2b의 (f)는 란셋의 후방단면도 이고, 도 2b의 (g)는 평면A 및 평면B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c는 란셋을 그 길이방향에 따라 절반 절제하여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란셋 어셈블리의 모식적 사시도이고, 란셋홀더를 그 길이방향에 따라 절반 절제한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란셋을 란셋홀더에 삽입하기 직전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5a는 란셋 어셈블리의 모식적 사시도로서, 란셋캡이 분리되기 전 형태(즉,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는 란셋 어셈블리의 모식적 사시도로서, 란셋캡이 분리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c는 란셋 어셈블리의 모식적 사시도로서, 분리한 란셋캡이 천자부재의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d는 란셋 어셈블리의 모식적 사시도로서,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몸체가 발사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e는 란셋 어셈블리의 모식적 사시도로서, 천자후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는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에 장전되기 직전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6b는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에 완전히 장전된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 시도이다.
도 7a는 주사기의 외관을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7b는 주사기의 측면도 및 단면도로서, 도 7b의 (a) 내지 (d)는 주사기의 측면도이고, 도 7b의 (e)는 주사기의 전방단면도이며, 도 7b의 (f)는 주사기의 후방단면도이다.
도 7c는 주사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7d는 주사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 도 7c를 일부 투시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8a는 플런저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8b는 란셋캡 제거부재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8c는 트리거 레버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8d는 배출기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8e는 홀더잠금부재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8f는 트리거 잠금부재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9a는 주사기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반분할부재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9b는 주사기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반분할부재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0은 배출기가 란셋홀더 및 란셋몸체를 모두 누르는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1은 판스프링 부재가 주사기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2a는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삽입하기 직전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b는 사용후의 어셈블리의 삽입이 저지되고 있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a는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삽입하기 직전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b는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100)의 삽입 도중의 형태(판스프링 부재가 바깥쪽으로 펼쳐져 있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c는 도 13b로부터 더욱 삽입된 형태(바깥쪽으로 펼쳐진 판스프링 부재가 란셋홀더의 외벽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a는 배출기의 압착날개부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4b는 배출기 본체부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5a는 지시부재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5b는 지시부재에 사용되는 스프링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6은 트리거 잠금부재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 도 16의 (a)는 트리거 잠금부재가 트리거 레버의 전방끝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6의 (b)는 도 16의 (a)의 형태를 길이방향에 따라 절반 절제한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17a는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 안으로 삽입되기 전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 적 사시도이다.
도 17b는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 안으로 삽입되기 전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8a는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 안으로 삽입되기 시작할 무렵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8b는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 안으로 삽입되기 시작할 무렵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 란셋캡 제거부재가 란셋홀더 안으로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a는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 안으로 삽입되고 있는 도중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9b는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 안으로 삽입되고 있는 도중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 란셋캡과 란셋캡 제거부재가 맞닿아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a는 주사기로의 란셋 어셈블리의 장전이 완료된 시점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0b는 주사기로의 란셋 어셈블리의 장전이 완료된 시점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1a는 천자시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 천자시에 트리거 레버가 눌린 순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b는 천자시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 천자시에 트리거 레버 가 눌린 순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a는 천자시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천자개구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2b는 천자시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천자개구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a는 천자후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3b는 천자후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4a는 천자후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 배출기에 의해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배출되기 시작한 초기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4b는 천자후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 배출기에 의해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배출되기 시작한 초기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5a는 천자후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 배출기에 의해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배출되기 시작한 중기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5b는 천자후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 배출기에 의해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배출되기 시작한 중기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6a는 천자후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 배출기에 의해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배출되기 시작한 후기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6b는 천자후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 배출기에 의해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배출되기 시작한 후기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7a는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완전히 배출된 형태를 나타낸 모식 적 사시도이다.
도 27b는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완전히 배출된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8은 사용되지 않은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에 장전되기 전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9는 사용되지 않은 란셋 어셈블리의 장전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초기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가 홀더잠금부재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0은 잠금용 돌기부가 스톱퍼부A를 타고 넘기 직전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1은 란셋몸체의 피가이드돌기부가 판스프링 부재의 자유단부의 최선단부분에 맞닿은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2는 란셋몸체의 피가이드돌기부에 의해 판스프링 부재의 자유단부가 바깥쪽으로 휘어져 있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3은 판스프링 부재의 최선단부분이 란셋홀더의 외벽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기 시작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4는 잠금용 돌기부가 스톱퍼부B를 타고 넘기 직전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5는 란셋홀더의 개구단이 지시부재의 홀더 맞닿음부에 맞닿아 누르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6은 천자후의 천자 디바이스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7은 배출기를 전방으로 슬라이드하기 시작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배출기의 피해제부가 해제부B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기 시작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8은 도 37의 형태보다 배출기를 더욱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9는 도 38의 형태보다 배출기를 더욱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배출기의 피해제부가 홀더잠금부재의 해제부A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기 시작하고 있다.
도 40은 도 39의 형태보다 배출기를 더욱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바깥쪽으로 휘어진 판스프링 부재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 있다.
도 41은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완전히 배출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2는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 내부로 삽입할 수 없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3a는 란셋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43b는 란셋의 모식적 사시도로서, 도 43a와는 다른쪽 옆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3c는 란셋을 그 길이방향에 따라 절반 절제하여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44a는 란셋홀더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44b는 란셋홀더를 그 길이방향에 따라 절반 절제한 형태로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45는 란셋 어셈블리의 모식적 사시도로서, 란셋캡이 분리되기 전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점선으로 둘러싼 영역에는, 볼록부A(158a', 158b')와 볼록부B(108')의 맞닿음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P방향에서 본 도면)를 나타낸다.
도 46은 란셋 어셈블리의 모식적 사시도로서, 분리한 란셋캡이 천자부재의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7a는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에 장전되기 직전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47b는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에 완전히 장전된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48은 주사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49는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 안으로 삽입되고 있는 도중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 란셋캡과 란셋캡 제거부재가 걸려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0은 란셋홀더 안의 란셋의 형태를 도 45 또는 도 46에 나타내는 P방향(위쪽)에서 보고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로서(도 45 또는 도 46의 란셋홀더의 위쪽 절반을 절제하여 도시하고 있음), 도 50의 (a)는 란셋몸체가 란셋홀더에 고정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50의 (b)는 란셋몸체와 란셋홀더의 고정상태가 해제된 형 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1a는 주사기로의 란셋 어셈블리의 장전이 완료된 시점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51b는 주사기로의 란셋 어셈블리의 장전이 완료된 시점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52a는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완전히 배출된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52b는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완전히 배출된 형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란셋 어셈블리 102: 란셋홀더
102a: 란셋홀더의 외벽 103: 란셋홀더의 개구단
104: 개구단과 마주보는 면 105: 천자개구부
106: 란셋홀더의 내벽 107: 가이드 또는 가이드채널
109: 란셋홀더의 바깥면에 설치된 연속돌기
113: 절결부 113a: 2개의 절결부 사이의 영역
116: 란셋홀더의 바깥면에 설치된 잠금용 돌기부
118: 슬릿부 120: 고정홈
121a: 전방측 고정볼록부(고정볼록부A)
121a1: 전방측 고정볼록부의 전방측면
121a2: 전방측 고정볼록부의 후방측면
121b: 후방측 고정볼록부 150: 란셋
151: 란셋몸체 152: 란셋캡
152a: 란셋캡의 지시부 153: 천자부재
153a: 천자부재의 선단부 154: 다리부재
155: 제1 날개부 155a: 란셋캡의 플레이트 형상 부분
156: 란셋캡의 후방돌출부분 156a: 란셋캡의 후방돌출부분의 선단
157a: 상측 피가이드돌기부
157a1: 상측 피가이드돌기부의 후방부분
157b: 하측 피가이드돌기부 158: 피고정돌기부
159: 제2 날개부(사용후의 란셋 탈락방지용 날개)
159a: 제2 날개부 선단의 맞닿음부
165: 란셋몸체의 후단부의 걸림부 165a: 란셋몸체의 후단부
170: 란셋홀더 안에 설치된 슬로프 부재
171: 란셋캡의 피슬로프부 180: 란셋홀더 안의 스톱퍼면
200: 주사기
201(201a, 201b): 주사기의 하우징
202: 주사기의 전단개구부 204: 플런저
204a: 플런저의 선단부 204b: 플런저에 설치된 플랜지부
204d: 플런저의 후단(최후단) 204f: 플런저의 홈부분
205a: 플런저에 설치된 사출용 스프링
205b: 플런저에 설치된 리턴용 스프링
205c: 배출기 스프링 206: 란셋캡 제거부재
206a, 206b: 란셋캡 제거부재의 한쌍의 장척부
206a1, 206b1: 란셋캡 제거부재의 선단부
206c: 란셋캡 제거부재의 베이스 부분
206d: 란셋캡 제거부재의 활형상 홈부
206d1: 지면깊은쪽에 위치하는 활형상 홈부
209: 주사기 하우징 안의 칸막이
210: 하우징 내벽
211a, 211b: 하우징 내벽에 설치된 피잠금부
212: 하우징측벽면 214: 하우징 개구부
216: 하우징 창부 220: 판스프링 부재
220a: 판스프링 부재의 본체부 222: 판스프링 부재의 고정단부
224: 판스프링 부재의 자유단부 225: 판스프링 부재의 후크형상부
226: 판스프링 부재의 자유단부의 선단영역의 마주보는 테두리부
227: 판스프링 부재의 자유단부의 최선단부분
230: 트리거 레버 230a: 트리거 레버의 후방단차부
230c: 트리거 레버의 맞물림부(전방단차부)
230d: 트리거 레버의 판스프링 형상 부분
270: 배출기
270a: 배출기의 슬라이드부 또는 본체부
270a1: 슬라이드부의 일부 272: 배출기의 피해제부
274: 배출기의 압착날개부 275: 압착날개부의 선단부분
275a: 압착날개부의 선단부분의 내측
275b: 압착날개부의 선단부분의 외측
280: 홀더잠금부재
280a: 홀더잠금부재에 사용되는 스프링
280b: 홀더잠금부재의 전방단부
282: 스톱퍼부A 284: 스톱퍼부B
286: 해제부A 288: 해제부B
290: 트리거 잠금부재 290a, 290b: 지시부재의 잠금부
290d: 트리거 잠금부재에 사용되는 스프링
300: 천자깊이 조절기구 350: 외측드럼
400: 천자 디바이스 500: 지시부재
500a: 지시부재에 설치된 홀더 맞닿음부
500b: 지시부재의 전방측단부 500c: 지시부재의 후방측단부
500d: 지시표시부 510: 지시부재에 사용되는 스프링
100': 란셋 어셈블리 102': 란셋홀더
103': 란셋홀더의 개구단 104': 개구단과 마주보는 면
105': 천자개구부 106': 란셋홀더의 내벽
107': 가이드 또는 가이드채널 108': 가이드채널 안의 볼록부B
108a': 볼록부B의 전방면
109': 란셋홀더의 바깥면에 설치된 연속돌기
111': 란셋홀더의 바깥쪽에 설치된 반구형 돌기
150': 란셋 151': 란셋몸체
152': 란셋캡 153': 천자부재
153a': 천자부재의 선단부 154': 다리부재
155': 제1 날개부 156': 제1 날개부에 설치된 걸림부
157': 피가이드부
158'(158a', 158b'): 피가이드부에 설치된 볼록부A
159'(159a'): 제2 날개부 165': 란셋몸체의 후단부의 걸림부
170': 란셋홀더 안에 설치된 슬로프 부재
170a': 슬로프면
171': 제1 날개부에 설치된 피슬로프부
180': 란셋홀더 안의 스톱퍼면 200': 주사기
201': 주사기의 하우징 202': 주사기의 전단개구부
204': 플런저 204a': 플런저의 선단부
204b': 플런저에 설치된 플랜지부 204c': 플런저의 후방부분
204d': 플런저의 후단(최후단)
205a': 플런저에 설치된 사출용 스프링
205b': 플런저에 설치된 리턴용 스프링
205c': 배출기 스프링
206': 란셋캡 제거부재
206a', 206b': 란셋캡 제거부재의 한쌍의 장척부
206a1', 206b1': 란셋캡 제거부재의 선단부
230': 트리거 레버 230a': 트리거 레버의 후방단차부
230b': 트리거 레버의 전방부분
230c': 트리거 레버의 맞물림부(전방단차부)
270': 배출기
300': 천자깊이 조절기구 350': 외측드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천자 디바이스, 그리고 그것을 구성하는 란셋 어셈블리 및 주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란셋 어셈블리, 주사기 및 천자 디바이스의 기본구성 및 기본적 기능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고, 그 후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이란, 천자시에 천자부재(또는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몸체)가 발사되는 방향의 천자방향을 실질적으로 의미하고, '후방'이란, 그러한 전방과 반대되는 방향을 실질적으로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천자시에 란셋이 이동하는 '천자방향'(즉, 천자부위로의 천자시에 천자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을 '전'방향이라고 하고, 그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향이라고 한다. 이러한 '천공(穿孔)방향'은, 란셋홀더의 개구단으로부터 천자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 및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횡단방향'에 대해서는 도면에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또는 벗어나는)'이란, 란셋몸체(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몸체')가 전방(즉, '천자방향')으로 발사되어 천자부재가 소정의 부위를 천자할 때, 란셋캡이 그와 같은 발사 및 천자를 저해하지 않는 것을 실질적으로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란셋몸체가 분리된 란셋캡에 전혀 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란셋 어셈블리는, 도 1a에 나타내는 란셋홀더(102) 안에 도 2a에서 나타내는 란셋(150)이 고정된 상태로 사용된다. 도 3에 란셋 어셈블리(100)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한편, 도 3에서는 란셋 어셈블리(100)의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란셋홀더(102)를 그 길이방향에 따라 절반 절제한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란셋홀더(102)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각통 형태이다. 이러한 란셋홀더(102)는 크기가 작으며, 예를 들어 도 1a에 나타내는 길이(L, H1, H2, W1, W2)는 L=23.4~31.4mm, H1=6.9~10.4mm, H2=8.6~12.4mm, W1=4.2~7.9mm, W2=4.7~8.5mm로 할 수 있다. 단, 란셋홀더(102)의 형상은 반드시 각통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원통 형태이어도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란셋홀더(102)의 바깥면에 연속돌기(109)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주로 란셋 어셈블리(100)를 주사기(200)에 삽입할 때 생길 수 있는 덜컥거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단, 이와 같은 연속돌기(109)는 덜컥거림 방지의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란셋홀더(102)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기능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같은 면에 대략 평행하게 2개의 연속돌기(109)를 설치한 경우 등에는, 그 연속돌기(109)를 아래로 하여 배치하면, 이러한 연속돌기(109)가 다리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란셋홀더(102)는 일반적인 란셋에 사용되는 수지재료이면 어느 종류의 수지재료로 형성하여도 된다. 란셋홀더(102)는 개구단(103)을 가지는 동시에, 그것과 마주보는 면(104)에 천자개구부(105)를 가지고 있다. 천자개구부(105)는 천자할 소정의 부위(예를 들어, 손가락 끝)에 대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란셋 어셈블리(100)는 란셋(150)을 개구단(103)으로부터 란셋홀더(102) 안으로 삽입하고, 란셋(150)을 란셋홀더(102) 안에서 고정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란셋 어셈블리의 란셋홀더(102)의 개구단(103)측의 단부(즉, 개구단의 홀더벽부)에는, 홀더의 길이방향으로 슬릿형상으로 설치된 절결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절결부(113)가 평행하게 형성되는 동시 에, 그 2개의 절결부(113) 사이의 홀더벽부(113a)가 또한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란셋홀더(102)의 개구단(103)에 인접하는 외벽면에는 잠금용 돌기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란셋홀더 측면의 중앙부근에는 홀더의 길이방향에 따라 뻗은 슬릿부(118)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는 란셋 어셈블리(100)를 구성할 때의 형태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란셋캡(152) 부분을 선단으로 하여 개구단(103)으로부터 란셋홀더(102) 안으로 란셋(150)이 삽입된다.
이어서, 란셋 어셈블리(100)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란셋 어셈블리(100)의 사용시에는 란셋홀더(102)의 개구단(103)을 통하여 란셋캡 제거부재(천자부재를 발사시키는 주사기(200)에 설치되어 있는 부재로서, 도 7c 또는 도 8b에서 부호 206으로 나타내는 부재)가 란셋홀더(102) 안으로 삽입된다. 한편, 란셋 어셈블리(100)를 주사기에 장전할 때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자개구부(105)가 전방을 향하고, 개구단(103)이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란셋홀더(102)를 주사기(200)의 전단개구부(202)로부터 삽입하기 때문에, 란셋홀더(102)의 개구단(103)으로부터 란셋캡 제거부재(206)가 란셋홀더(102)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8b 참조). 또한, 예를 들어, 란셋 어셈블리(100)의 경시(經時) 변화를 나타낸 도 5a 내지 도 5e 등으로부터 알 수 있는데, 천자시에 천자부재(153)(또는 란셋몸체(151))가 이동하는 천자방향은, 개구단(103)으로부터 천자개구부(105)를 향하는 방향에 상당할 수 있다. 한편, 도 5a는 천자전의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100)의 형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란셋캡(152)이 란셋몸체(151)로부터 분리된 형태를 나타내며, 도 5c는 분리된 란셋캡(152)이 천자부재(153)의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형태를 나타내고, 도 5d는 천자부재(153)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몸체(151)가 발사된 형태를 나타내고, 도 5e는 천자후의 란셋 어셈블리(100)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란셋홀더(102)에 설치되어 있는 천자개구부(105)는 천자시에 천자부위(예를 들어, 손가락 끝)에 대는 부분이다. 여기서, 천자시에 란셋홀더(102)를 천자부위(예를 들어, 손가락 끝)에 대하여 누르는 힘이 어떠한 크기의 힘이더라도, 천자부위의 천자깊이가 대략 일정해지도록,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100)에 따른 천자개구부(105)는 작게 설치되어 있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결국, 천자개구부(105)가 작으면, 천자개구부(105)가 닿은 손가락 부분이 가령 강하게 눌리더라도 란셋홀더(102) 내부의 방향으로 융기하기 어려워지고, 결과적으로 압착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서 천자깊이를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자개구부(105)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5~2.0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mm이다. 본 명세서에서 '직경'이란, 천자개구부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를 가리키고 있다. 하지만, 천자개구부(105)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형 이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천자개구부(105)의 형상이 원형 이외인 경우, 천자개구부(105)는 상기 '직경'에 상당하는 상당직경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당직경'이란, 천자개구부의 면적(보다 바람직하게는 '천자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천자개구부의 단면적')을 바꾸지 않고 천자개구부의 형상을 원형으로 하였을 경우에 상정되는 직경을 의미한다.
란셋홀더(102)의 내부구조를 알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반 절제한 형태의 란셋홀더(102)를 도 1b에 나타내는 동시에, 란셋홀더(102)의 길이방향 단면적을 도 1c에 나타낸다. 란셋홀더(102)는 그 마주보는 내벽(106)(보다 구체적으로는 개구단(103)과 천자개구부(105)가 마주보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주보는 내벽)에 있어서, 고정홈(120)에 2개의 볼록부(121a, 121b)를 가지고 있다. 한편, 란셋(150)의 란셋몸체(151)에는 고정홈(120) 안으로 끼워넣는 피고정돌기부(158)를 가지고 있다('피고정돌기부(158)'에 대해서는 도 2a를 참조). 란셋홀더(102)의 2개의 고정볼록부(121a, 121b)가 란셋몸체(151)의 피고정돌기부(158)를 사이에 끼워넣도록 고정볼록부(121a, 121b)와 피고정돌기부(158)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란셋몸체(151)가 란셋홀더(102)에 고정된다. 도 1c의 점선 안의 모식도를 참조한다(한편, 점선 안의 모식도는 도 3의 U방향에서 본 도면(도시하는 란셋 어셈블리의 위쪽에서 본 도면)으로, 고정볼록부(121a, 121b)와 피고정돌기부(158)의 맞닿음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란셋홀더(102)는, 그 마주보는 내벽(106)에 란셋(150)의 란셋몸체(151)를 천자방향에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107), 바람직하게는 2개의 가이드채널(107)을 가지고 있다. 한편, 란셋몸체(151)에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채널(107) 안으로 끼울 수 있는 한쌍의 피가이드돌기부(157a) 및 한쌍의 피가이드돌기부(157b)(도 2a에서는 쌍을 이루는 피가이드돌기부의 한쪽만이 주로 도시되어 있음)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란셋몸체(151)의 한쌍의 피가이드돌기부(157a) 및 한쌍의 피가이드돌기부(157b)가 란셋홀더(102) 각각의 가이드채널(107)에 끼워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천자시에 란셋몸체(151)가 천자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란셋 어셈블리(100)는, 란셋몸체(151)를 란셋홀더(102)에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즉, 돌기부(158))와, 란셋몸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돌기부(즉, 돌기부(157a, 157b))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란셋(150)은 도 2a에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2b는 란셋(150)을 각각 다른쪽 옆에서 본 도면이다. 이러한 란셋(150)의 크기도 란셋홀더(102)와 마찬가지로 작으며, 란셋홀더(102) 안에 수용되는 크기를 가진다. 란셋(150)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란셋몸체(151), 란셋캡(152) 및 천자부재(153)를 가지고 이루어진다(천자부재(153)에 관해서는 도 2c를 참조). 천자부재(153)는 예를 들어 금속제 바늘이다. 천자부재(153)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제 란셋몸체(151) 및 란셋캡(152)에 걸쳐서 이것들의 안에 존재하고 있으며, 천자부재(153)의 선단부(153a)가 란셋캡(152)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2a에서는 천자부재(153)가 나타나 있지 않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캡(152)과 란셋몸체(151)는 다리부재(154)를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 란셋(150)은, 천자부분(153)을 금형에 인서트하여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를 성형하는 이른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다리부재(154)는 이 인서트 성형시에 함께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다리부재(154)는 란셋캡(152) 및 란셋몸체(151)와 같은 수지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리부재(154)는 파괴되기 쉬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그 때문에, 다리부재를 '약화부분' 또는 '파괴용이부분'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부재(154)는 직경이 작은 막대형상 부재이어도 되고, 이 막대형상 부재가 란셋캡(152)과 란셋몸체(151)를 중개하 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150)의 중심축선(또는 천자부재(153))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다리부재(154)가 2개 설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다리부재(154)가 보다 쉽게 파괴되도록, 다리부재(154)에 노치(예를 들어, V자형 새김눈)를 형성하여도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리부재(154)가 미리 절단되어 있는 형태, 더욱이 다리부재(154)가 존재하지 않는 형태이어도 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란셋캡(152)의 압착조작에 의해 란셋캡(152)과 란셋몸체(151)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그 결과 란셋캡(152)이 천자부재(153)로부터 분리되어 천자부재(153)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몸체(151)가 얻어지는 것이면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란셋캡(152)은 한쌍의 제1 날개부(155)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제1 날개부(155)에서는 란셋(150)의 중심축선(즉, 란셋(150)의 길이방향의 중앙축 또는 천자부재(153))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이 되도록 플레이트 형상 부분(155a)이 뻗는 동시에, 플레이트 형상 부분(155a)의 측부가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부분(156)은 란셋의 중심축선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란셋캡(152)은 란셋캡 제거부재(206)가 맞닿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란셋 어셈블리(100)를 주사기(200)에 장전할 때 란셋캡 제거부재(206)가 란셋홀더(102) 안으로 들어가면(도 18b 참조), 란셋캡 제거부재(206)와 란셋캡(152)이 서로 맞닿게 된다(란셋캡(152)의 돌출부분(156)과 란셋캡 제거부재(206)의 맞닿음 상태는 도 19b를 참조).
란셋몸체(15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란셋홀더(102)의 가이드채널(107) 안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한쌍의 피가이드돌기부(157a) 및 한쌍의 피가이드돌기부(157b)를 가지고 있다. 도 2b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피가이드돌기부(157a, 157b)는 란셋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있다. 또한, 한쌍의 피가이드돌기부(157a, 157b)는 예를 들어,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날개부(155)의 한쌍의 돌출부분(156)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그리고 도 2b의 (c) 및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피가이드돌기부(157a)와 한쌍의 피가이드돌기부(157b)는 란셋의 중심축선을 사이에 끼우고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볼록부(121a, 121b)가 란셋몸체(151)의 피고정돌기부(158)를 사이에 끼우도록 고정볼록부(121a, 121b)와 피고정돌기부(158)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란셋몸체(151)가 란셋홀더(102)에 고정되는데, 란셋홀더(102)와 란셋몸체(151)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의 임계치를 넘으면, 란셋홀더(102)의 전방측 고정볼록부(즉, 고정볼록부A)(121a)가 란셋몸체(151)의 피고정돌기부(158)를 타고 넘게 되어(즉, 보는 방향을 바꾸면, 피고정돌기부(158)가 고정볼록부(121a)를 타고 넘게 되어), 피고정돌기부(158)와 고정볼록부(121a, 121b)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란셋몸체(151)가 천자방향 및 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얻어진다(이 경우, 한쌍의 피가이드돌기부(157a) 및 한쌍의 피가이드돌기부(157b)가 각각 가이드채널(107) 안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란셋 어셈블리(100)를 주사기(200)에 장전할 때, 란셋몸체(151)를 더욱 삽입하는 것이 저지된 상태에서 란셋홀더(102)를 더욱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란셋홀더(102)와 란셋몸체(151)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힘이 발생하고, 란셋홀더(102)의 전방측 고정볼록부(121a)가 란셋몸체(151)의 피고정돌기부(158)를 타고 넘게 된다(즉, 보는 방향을 바꾸면, 피고정돌기부(158)가 고정볼록부(121a)를 타고 넘게 된다). 한편, 피고정돌기부(158)가 고정볼록부(121a)를 타고 넘는다고 보았을 경우,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고 넘기 쉽게 고정볼록부(121a)의 후방측면(121a2)이 매끄럽게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일단 타고 넘으면 란셋(150)이 란셋홀더(10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이러한 고정볼록부(121a)의 전방측면(121a1)은 홀더 횡단방향으로 똑바로 뻗은 평면(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자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홀더 내측으로 뻗은 평면(121a1))을 이루고 있다(바꾸어 말하면, 고정볼록부(121a)의 후방측면은 곡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고정볼록부(121a)의 전방측면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볼록부(121a)의 전방측면(121a1)이 평면을 이루는 경우, 사용한 후의 란셋몸체(151)가 란셋홀더(102) 안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도, 피고정돌기부(158)가 이러한 평면(121a1)에서 확실하게 맞물리게 되어, 사용한 후의 란셋몸체(151)가 란셋홀더(102) 안으로부터 탈락하지 않게 된다.
도 2a 그리고 도 2b의 (c) 및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몸체(151)에는 란셋(150)의 중심축선(즉, 란셋(150)의 길이방향의 중앙축 또는 천자부재(153))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후방을 향하여 서서히 바깥쪽으로 펼쳐지는 한쌍의 제2 날개부(159)가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제2 날개부(159)는 천자후에 천자개구부(105)로부터 천자부재(153)의 선단부(153a)가 노출하지 않도록 기능한다(즉, 란셋홀더(102)의 천자개구부(105)로부터 천자부재(153)의 선단부(153a)에 쉽게 접촉하는 것이 강하게 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천자후에 주사기(200)로부터 제거된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100)에서는, 천자개구부(105)로부터 천자부재(153)의 선단부(153a)가 노출하지 않도록, 한쌍의 제2 날개부(159)가 란셋홀더(102) 내부에 설치된 스톱퍼면(도 1b에서 부호 180으로 나타냄)에 맞닿거나 충돌할 수 있으며, 천자부재(153)의 천자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있다(특히, 도 5e의 형태를 참조). 여기서, 한쌍의 제2 날개부(159)는 제2 날개부(159)와 스톱퍼면(180)이 확실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선단에 맞닿음부(159a)를 가지고 있다.
한편, 란셋캡 제거부재(206)에는 제2 날개부(159)를 수용할 수 있는 활형상 홈부(도 8b에서 부호 206d로 나타내는 활형상으로 연속적으로 움푹 패인 부분 또는 연속적으로 절결된 부분)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란셋 어셈블리(100)의 주사기(200)로의 장전조작으로 란셋캡 제거부재(206)가 란셋홀더(102) 안으로 들어갔을 때, 한쌍의 제2 날개부(159)가 거의 변형되지 않고 활형상 홈부(206d)에 배치된다. 결국, 천자부재(153)의 발사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제2 날개부(159)는 란셋캡 제거부재(206)의 활형상 홈부(206d)에 기인하여 거의 변형되지 않고 유지되며, 바람직하게는 전혀 변형하지 않고 유지된다(즉, 크리프(creep) 현상에 기인하여 변형상태가 보유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2 날개부(159)가 변형하지 않고 유지되기 때 문에, 천자후에 란셋캡 제거부재(206)가 란셋홀더(102)로부터 빠졌을 때, 한쌍의 제2 날개부(159)가 당초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란셋홀더(102) 내부에 설치된 스톱퍼면(180)에 대하여 확실하게 맞닿거나 충돌할 수 있다. 한편, 도 8b에 나타낸 활형상 홈부(206d)에 대해서는 실제로는 지면 깊은 쪽에 위치하는 활형상 홈부(도 8b에서 206d1으로 나타내는 활형상 홈부)가 제2 날개부(159)를 수용하도록 기능한다. 제2 날개부(159)를 실제로 수용하는 활형상 홈부(206d)가 지면 깊은 쪽에 위치하는 활형상 홈부인 것은, 예를 들어, 도 17b 또는 도 18b 등을 참조하면, 제2 날개부(159)가 란셋홀더(102) 안에서 지면 깊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는 란셋홀더(102) 안에 란셋(150)이 고정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란셋홀더(102)를 그 길이방향에 따라 절반 절제한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란셋캡(152)이 란셋홀더(102)의 천자개구부(105) 측에 위치하는 한편, 란셋몸체(151)가 란셋홀더(102)의 개구단(103) 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란셋홀더(102)의 2개의 고정볼록부(121a, 121b)가 란셋몸체(151)의 피고정돌기부(158)를 사이에 끼우도록 고정볼록부(121a, 121b)와 피고정돌기부(158)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란셋(150)이 란셋홀더(102) 안에 고정되어 있다(도 1c의 점선 안을 참조). 결국, 란셋몸체(151)는 란셋홀더(102)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란셋캡(152) 자체는 란셋홀더(102)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천자방향으로 란셋캡(152) 만을 밀면, 란셋캡(152)과 란셋몸 체(151)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다리부재(154)가 파괴되고, 결과적으로 란셋캡(152)과 란셋몸체(151)가 분리되어 천자부재(153)의 선단부가 노출된 상태가 얻어지게 된다(도 5b 참조).
분리된 란셋캡(152)은 계속해서 천자방향으로 눌리면 전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란셋홀더(102) 안의 천자개구부(105) 부근에는 분리된 란셋캡(152)을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안내하는 슬로프(slope) 부재(170)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란셋캡(152)에는 슬로프 부재(170)에 대응하는 형상의 피슬로프부(171)가 설치되어 있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로프 부재(170) 및 피슬로프부(171)는 각각 서로 상보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평면을 가지고 있다). 슬로프 부재(170)는 도 3 뿐만 아니라 도 5a 내지 도 5c 등에도 명확하게 나타나 있으며, 피슬로프부(171)는 도 2a 및 도 5a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로프 부재(170) 및 피슬로프부(17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된 란셋캡(152)이 전방으로 계속해서 이동할 때, 란셋캡(152)의 피슬로프부(171)가 란셋홀더(102) 안의 슬로프 부재(170)에 맞닿은 상태에서 슬라이드하게 되어(다른 표현으로 하면, 피슬로프부(171)가 슬로프 부재(170)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란셋캡(152)이 이동할 수 있다. 도 5d 및 도 5e는 분리된 란셋캡(152)이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란셋캡(152)의 이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란셋홀더(102) 안의 슬로프 부재(170)는 천자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는 슬로프면(170a)(도 3에 도시)을 가지고 있으며, 한편 란셋캡(152)의 피슬로프부(171)는 슬로프면(170a)과 상보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란셋캡(152)이 천자방향으로 눌리면, 그것들의 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란셋캡(152)이 전방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비스듬히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c는 란셋캡(152)이 이동하는 전후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5a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도 5c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란셋캡(152)이 이동한 것을 고려하면, 란셋캡(152)이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도 5a의 위쪽에는 U방향(위쪽)에서 본 란셋캡(152)의 이동궤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이동궤도로부터도 란셋캡(152)이 최종적으로는 천자부재(153)의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슬로프면(170a)이 천자방향과 이루는 각도(즉, 도 5a에 나타낸 이동궤도의 각도(α))는 바람직하게는 30°~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0°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란셋캡(152)이 비스듬히 전방으로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결과, 천자부재(153)(구체적으로는 천자부재(153)가 노출된 란셋몸체(151))가 천자시에 란셋캡(152)에 방해받지 않고 전방으로 발사된다. 한편, 도 5d에는 천자시(즉, 천자부재가 발사되었을 때)의 란셋 어셈블리(100)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천자부재의 선단(153a)이 란셋캡(152)에 방해받지 않고 천자개구부(105)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시에 란셋 어셈블리(100)를 주사기(200)에 장전할 때는, 어셈블리(100)를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기(200)의 전단개구부(202)로부터 후방으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삽입한다. 이러한 장전은, 란셋홀더(102)를 한쪽 손의 손가락 끝으로 잡고 주사기(200)를 다른쪽 손으로 보유한 상태에서, 란셋홀더(102)를 주사기(200)의 전단개구부(202)로 삽입한다. 그리고, 통상의 사람이 가할 수 있는 힘으로 더 삽입할 수 없는 상태가 된 시점에서 장전이 완료된다. 장전이 완료된 형태를 도 6b에 나타낸다. 한편, 이와 같은 장전조작시에는 주사기(200) 안의 플런저가 후퇴하여 천자부재(153)의 발사에 필요한 힘이 서서히 플런저에 축적되는데, 그러한 플런저의 후퇴와 병행하여,
(1) 다리부재(154)가 파괴되어 란셋캡(152)이 란셋몸체(151)로부터 분리되고,
(2) 분리된 란셋캡(152)이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d에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200)를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주사기(200)의 외관도이고, 도 7c 및 도 7d는 주사기(200)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 및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기(200)는 플런저(204) 및 란셋캡 제거부재(206)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그 밖에 트리거 레버(230), 배출기(270), 홀더잠금부재(280), 홀더잠금부재용 스프링(280a), 트리거 잠금부재(290), 트리거 잠금부재용 스프링(290d), 사출용 스프링(205a), 리턴용 스프링(205b), 천자깊이 조절기구(300) 등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플런저(204), 란셋캡 제거부재(206), 트리거 레버(230), 배출기(270), 홀더잠금부재(280) 및 트리거 잠금부재(290)에 대해서는 각각 도 8a 내지 도 8f에 모식적인 사시도로 나타낸다.
주사기(200)의 하우징(201)은 2분할한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도 9a에 나타내는 부재(201a)와 도 9b에 나타내는 부재(201b)를 일체로 조 합하여 구성된다.
플런저(204)는 주사기(200)의 길이방향 축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란셋몸체(151)를 천자방향으로 발사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7d 또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204)의 선단부(204a)는 란셋몸체(151)의 후단부와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란셋몸체 후단부의 걸림부는 도 2a에서 부호 165로 나타낸다). 주사기(200)로의 란셋 어셈블리(100)의 장전시에, 란셋몸체(151)가 주사기(200) 안으로 삽입됨으로써 플런저(204)의 선단부(204a)와 란셋몸체(151)의 후단부(165)가 걸리고, 그 후 후방으로 더욱 란셋몸체(151)가 삽입됨으로써 플런저(204)가 후방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그 결과, 플런저(204)에 설치된 스프링(205a)이 압축되고, 천자부재(153)의 발사에 필요한 힘이 플런저(204)에 축적되게 된다.
란셋캡 제거부재(206)는 란셋캡(152)과 맞닿을 수 있으며, 란셋 어셈블리(100)의 주사기(200)로의 장전시에 란셋캡(152)을 제거하도록 기능한다.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캡 제거부재(206)는 2개의 장척(長尺)부재(206a, 206b)가 전방으로 돌출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그 때문에, 란셋캡 제거부재(206)를 '돌출막대'라고도 부를 수 있다), 각각의 장척부재(206a, 206b)의 선단부(206a1, 206b1)가 란셋캡(152)의 한쌍의 제1 날개부(155)의 후방돌출부분(156)의 선단(156a)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란셋 어셈블리(100)의 장전시에 란셋캡(152)과 란셋캡 제거부재(206)가 맞닿도록 란셋캡 제거부재(206)의 선단부(206a1, 206b1)가 주사 기(200)의 전단개구부(202) 측에 위치하고, 란셋캡 제거부재(206)의 베이스 부분(206c)이 주사기(200)의 후단측에 위치하도록 란셋캡 제거부재(206)가 주사기(200) 안에 설치되어 있다(도 7c 및 도 8b 참조). 란셋캡 제거부재(206)의 선단부(206a1, 206b1)와 란셋캡(152)의 후방돌출부분(156)의 선단(156a)은, 보다 확실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주사기(200)는 천자후에 란셋홀더(102)를 주사기(200)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배출기(270)를 가지고 있다.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출기(270)는 그 슬라이드부(270a)의 일부(270a1)만이 주사기 하우징(201)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주사기(200) 안에 설치되어 있고, 란셋홀더(102)가 주사기(200)에 장전된 상태에서는 배출기(270)의 한쌍의 압착날개부(274)의 선단부분(275)이 란셋홀더(102)의 개구단(103)의 가장자리 및 란셋몸체(151)의 후단부 영역(165a)과 접촉하게 된다(도 10 참조). 따라서, 270a1 부분을 전방으로 눌러서 슬라이드시키면, 배출기(270)의 압착날개부(274)가 란셋홀더(102) 및 란셋몸체(151)를 누르도록 작용하여,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100)가 주사기(200)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한편, 천자후에 배출기(270)에 의해 주사기(200)로부터 제거된 란셋홀더(102) 안에는 분리된 란셋캡(152) 및 천자부재(153)의 선단이 노출된 란셋몸체(151)가 수납되어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란셋몸체(151)의 한쌍의 제2 날개부(159)가 란셋홀더(102) 내부에 설치된 스톱퍼면(180)에 대하여 맞닿거나 충돌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천자개구부(105)로부터 천자부재(153)가 노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100)를 완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천자 디바이스는 '재장전 방지기능'을 가지고 있다. 결국,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100)는 주사기(200) 안으로 삽입할 수 있는 한편, 천자용도로 사용되어 주사기(200)로부터 일단 배출된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100)는 주사기(200) 안으로 삽입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러한 재장전 방지기능에 기여하는 부재·부분은, 주로 주사기의 '판스프링 부재'와 란셋홀더에 형성된 '절결부'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 부재(220)는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210)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판스프링 부재(220)는 주사기(200)의 전단개구부(202)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판스프링 부재(220)의 한쪽 단부(222)는 주사기(200)의 하우징 내벽(210)에 고정되고, 판스프링 부재(220)의 다른쪽 단부(224)는 자유단부로 되어 있다. 이 때, 판스프링 부재(220)는 고정단부(222)가 주사기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자유단부(224)가 주사기(200)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유단부(224)의 선단영역에는 후크형상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 부재(220)는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스프링 부재(220)의 본체부분의 두께는 약 0.15~0.2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하우징 내벽(210)에 설치된 판스프링 부재(220)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힘이 가해지면(즉, 하우징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고정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판스프링 부재(220)가 바깥쪽으로 휘게 된다(즉, 하우징 내벽측 으로 펼쳐진다).
절결부(113)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홀더(102)의 개구단측(103)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특히 란셋홀더의 길이방향에 따르도록 슬릿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란셋홀더(102)가 주사기(200) 안에 전단개구부(202)로부터 삽입되었을 경우, 란셋홀더(102)의 절결부(113)가 주사기(200)의 판스프링 부재(220)의 후크형상부(225)에 걸리도록 각각 위치관계·배치관계가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100)를 주사기(200)에 삽입하면, 란셋홀더(102)의 절결부(113)가 주사기(200)의 판스프링 부재(220)의 후크형상부(225)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내부로 란셋홀더(102)를 삽입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형태를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다. 도 12a는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100)를 주사기(200)에 삽입하기 직전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2b는 이러한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100)를 주사기(200)에 삽입하려고 시도한 경우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b의 형태로부터 알 수 있듯이, 판스프링 부재(220)의 후크형상부(225)가 란셋홀더(102)의 절결부(113)에 걸려 있어서, 란셋홀더(102)를 더 이상 주사기 내부로 삽입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사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판스프링 부재(22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본체부분(220a)이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면(210)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고, 후크형상부(225)가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면(21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판스프링 부재(220)의 전체적이 형상은 L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주사기 안에서의 후 크형상부(225)는 란셋홀더(102)의 절결부(113) 삽입시의 궤도상에 존재한다. 따라서, 란셋홀더(102)가 삽입되면, 후크형상부(225)가 절결부(113)를 잡도록 후크형상부(225)와 절결부(113)가 걸리게 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주사기(200)의 대향하는 하우징 내벽(210)에 판스프링 부재(220)가 쌍을 이루도록 2개 설치되고, 란셋홀더의 대향하는 개구단측 단부에 절결부가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크형상부가 1개인 경우에는, 한곳에서만 란셋홀더의 삽입을 저지하기 때문에 저지시에 란셋홀더가 기울어져 버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후크형상부와 절결부의 걸림이 해제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는데, 대향하도록 후크형상부 및 절결부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그와 같은 상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 이유로(즉, 란셋홀더의 삽입을 보다 안정적으로 저지하기 위하여), 판스프링 부재(220)의 자유단부(224)의 선단영역의 마주보는 테두리부(226)에 2개의 후크형상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2개의 후크형상부에 대응하도록 란셋홀더의 개구단측 단부에 2개의 절결부(1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1 참조). 이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란셋홀더(102)의 삽입이 저지된다. 결국, 대향하도록 후크형상부 및 절결부를 각각 설치하는 동시에, 또한 그 한쪽 후크형상부 및 한쪽 절결부를 각각 1개가 아니라 2개 설치함으로써, 총 4군데에서 란셋홀더의 삽입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란셋홀더의 삽입을 저지할 때의 안정성이 보다 증가된다.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모두 4군데에서 란셋홀더의 삽입을 저지하고 있는 형태인 것에 주의해야 한다.
이와 같이 사용한 후의 란셋홀더(즉,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는 주사기 에 삽입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그에 대하여 사용전의 란셋홀더(즉,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는 주사기에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차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100)의 형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100)에서는 란셋몸체(151)가 란셋홀더(102)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란셋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피가이드돌기부(157a)는 란셋홀더의 절결부(113)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도 3 이외에도 도 13a 등을 참조).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 있는 란셋 어셈블리(100)를 주사기(200)에 삽입하면, 란셋몸체(151)의 피가이드돌기부(157a)의 후방부분(157a1)(도 2a 및 도 2c 참조)이 판스프링 부재(220)의 자유단부(224)의 최선단부분(227)에 맞닿음으로써, 피가이드돌기부(157a)(보다 구체적으로는 피가이드돌기부(157a)의 후방부분(157a1))가 판스프링 부재(220)의 자유단부(224)를 바깥쪽으로 밀어 펼친다. 계속해서, 란셋 어셈블리(100)의 삽입이 이루어지면, 그와 같이 판스프링 부재(220)가 바깥쪽으로 펼쳐진 상태 그대로 판스프링 부재(220)의 최선단부분(227)이 란셋홀더(102)의 외벽으로 타고 올라간다. 그 후, 판스프링 부재(220)의 최선단부분(227)이 외벽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란셋홀더(102)의 절결부(113)가 주사기(200)의 판스프링 부재(220)의 후크형상부(225)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100)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100)를 주사기(200)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은, 피가이드돌기부(157a)가 절결부(113)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란셋홀더 안에 란셋몸체(151)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피가이드돌기부(157a)가 절결부(113)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홀더의 길이방향에 슬릿형상으로 설치된 2개의 절결부(113) 사이의 홀더벽부(113a)가 더욱이 부분적으로 더 잘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a 참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란셋몸체의 돌기부가 란셋홀더의 절결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란,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 안에 삽입할 때, 판스프링 부재의 후크형상부가 란셋홀더의 절결부와 걸리지 않도록 후크형상부와 란셋몸체의 돌기부의 맞닿음이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를 실질적으로 의미한다.
한편, 도 2a 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가이드돌기부(157a)는 그 후방부분이 비스듬하게 모따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a, 도 2c 및 도 3을 참조한다(모따기에 의해 얻어진 면은 참조번호 157a1로 나타낸다). 이에 의해,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피가이드돌기부(157a)의 후방 모따기면(157a1)이 판스프링 부재(220)의 자유단부(224)의 최선단부분(227)을 바깥쪽으로 밀어펼치기 쉬워진다. 한편, 도 2b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모따기 각도(β)는, 바람직하게는 25°~6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55°이며, 예를 들어, 45°이다.
이어서,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여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100)가 주사기(200)에 삽입되지 않는 형태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각각 경시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a는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100)를 주사기(200)에 삽입하기 전의 형태를 나타내고, 도 13b는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100)의 삽입 도중 의 형태를 나타내며, 도 13c는 도 13b로부터 더욱 삽입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3b에서는 란셋몸체의 피가이드돌기부(157a)의 후방부분(157a1)이 판스프링 부재(220)의 자유단부(224)의 최선단부분(227)에 맞닿음으로써, 피가이드돌기부(157a)가 판스프링 부재(220)의 자유단부(224)를 바깥쪽으로 밀어펼치기 시작하고 있다. 그리고, 도 13c에서는 판스프링 부재(220)의 자유단부(224)가 완전히 바깥쪽으로 밀어 펼쳐져서 판스프링 부재(220)의 최선단부분(227)이 란셋홀더의 외벽(102a)으로 타고 올라가고 있다. 이러한 형태 변화로부터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100)에서는 란셋홀더(102)의 절결부(113)가 주사기(200)의 판스프링 부재(220)의 후크형상부(225)에 걸리지 않고, 란셋 어셈블리(100)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피가이드돌기부(157a)가 판스프링 부재(220)의 자유단부(224)를 바깥쪽으로 밀어펼치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반드시 그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피가이드돌기부(157a)와는 별개로 판스프링 부재(220)의 자유단부(224)를 바깥쪽으로 밀어펼치는 돌기부를 란셋몸체에 별도로 설치하여도 된다.
이어서, 다른 주된 본 발명의 특징인 '홀더잠금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기능은 란셋 어셈블리의 주사기로의 장전시에 란셋 어셈블리가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아도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빠지지 않고 보유되는 기능이다. 이러한 홀더잠금기능에 기여하는 부재·부분은, 주로 주사기의 '홀더잠금부재'와 란셋홀더에 설치된 '잠금용 돌기부'이다. 도 7c 및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 이, 홀더잠금부재(280)는 주사기(200)의 전단개구부(202)에 인접하여 하우징 내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용 돌기부(116)는 란셋홀더(102)의 개구단(103)에 인접하여 홀더 외벽에 설치되어 있다. 홀더잠금부재(280) 자체는 도 8e에 단독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도 8e로부터 알 수 있듯이, 홀더잠금부재(280)는 그 표면S에 스톱퍼부A(282) 및 스톱퍼부B(284)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도 7d 및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잠금부재(280)의 전방단부(280b)가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즉,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잠금부재(280)와 주사기의 하우징측벽면(212)의 사이에 스프링(280a)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잠금부재(280)에는 주사기 내부방향(도 8e에서 말하면 화살표 F가 나타내는 방향)을 향하여 힘이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홀더잠금부재(280)를 구비한 주사기(200)에 대하여 란셋 어셈블리(100)를 삽입하면, 란셋홀더(102)의 잠금용 돌기부(116)가 홀더잠금부재(280)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그대로 삽입이 계속되면, 잠금용 돌기부(116)가 스톱퍼부A(282)를 타고 넘게 된다. 한편, 홀더잠금부재(280)에는 스프링(280a)에 의해 안쪽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스톱퍼부A를 타고 넘을 때에는 잠금용 돌기부(116)가 홀더잠금부재(280)를 그 전방단부를 중심으로 원운동하도록 바깥쪽으로 가동시키지만, 일단 타고 넘어 버리면 홀더잠금부재(280)가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잠금용 돌기부(116)가 스톱퍼부A(282)를 타고 넘 으면, 잠금용 돌기부(116)와 스톱퍼부A(282)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얻어진다. 바꾸어 말하면, 란셋홀더가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당겨져도 잠금용 돌기부(116)의 P면(도 1a 참조)과 스톱퍼부A(282)의 Q면(도 8e 참조)이 맞닿을 수 있기 때문에, 스톱퍼부A(282)를 타고 넘은 상태까지 삽입된 란셋홀더는 이미 주사기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란셋몸체의 후단부와 플런저의 선단부가 걸려서 란셋과 플런저가 이미 일체화되어 있는 시점에서 란셋 어셈블리가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의 힘을 받으면, 플런저의 선단부에 란셋을 남기고 란셋홀더만이 주사기로부터 배출되어 버릴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란셋과 홀더의 조합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란셋 어셈블리로서의 기능이 손상되어 버린다. 또한, 란셋캡이 란셋몸체로부터 분리된 후에 란셋홀더만이 주사기로부터 빠져버리면, 벗겨진 천자부재(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몸체가 주사기의 플런저에 설치된 상태)가 얻어지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란셋과 플런저가 일체화되어 있는 시점에서 잠금용 돌기부(116)와 스톱퍼부A(282)가 맞닿음 가능상태로 되어 있다(예를 들어, 뒤에서 참조하는 도 3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란셋홀더만이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장전조작시에 란셋 어셈블리의 기능이 손상되지 않고 또한 벗겨진 천자부재가 얻어지게 될 위험성도 피할 수 있다.
홀더잠금부재(280)의 표면S에서는 스톱퍼부A(282)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마찬가지의 스톱퍼부B(284)가 설치되어 있다(도 8e 참조). 따라서, 스톱퍼부A(282)를 타고 넘은 후, 더욱 계속해서 삽입이 이루어짐으로써, 잠금용 돌기 부(116)가 스톱퍼부B(284)를 타고 넘게 된다. 스톱퍼부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홀더잠금부재(280)에는 스프링(280a)에 의해 안쪽을 향하여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스톱퍼부B를 타고 넘을 때 잠금용 돌기부(116)가 홀더잠금부재(280)를 그 전방단부를 중심으로 원운동하도록 바깥쪽으로 가동시키지만, 일단 타고 넘어버리면 홀더잠금부재(280)는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잠금용 돌기부(116)가 스톱퍼부B(284)를 타고 넘으면, 스톱퍼부A(282)와 마찬가지로 잠금용 돌기부(116)와 스톱퍼부B(284)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얻어진다. 여기서, 잠금용 돌기부(116)가 스톱퍼부B를 타고 넘은 시점이라는 것은, 란셋 어셈블리의 삽입위치가 란셋몸체를 천자방향으로 발사시킬 수 있는 위치까지 도달한 시점과 대략 같다. 따라서, 잠금용 돌기부(116)가 스톱퍼부B를 타고 넘음으로써, 란셋 어셈블리(100)의 주사기(200)로의 장전이 완료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천자부재의 발사에 필요한 힘이 플런저에 축적될 때까지 란셋 어셈블리가 삽입되면, 잠금용 돌기부(116)가 홀더잠금부재(280)의 스톱퍼부B(284)를 타고 넘고, 잠금용 돌기부(116)와 스톱퍼부B(284)의 맞닿음 가능상태가 얻어진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도 20a 또는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자부재의 발사에 필요한 힘이 플런저에 축적될 때까지 란셋 어셈블리가 삽입되면, 트리거 레버(230)의 후방단차부(230a)가 플런저(204)의 플랜지부(204b)의 전방부와 인접하고, 트리거 레버(230)가 코킹상태가 된다. 따라서, 홀더잠금부재(280)의 스톱퍼부B(284)를 타고 넘으면, 트리거 레버(230)의 코킹상태가 얻어지게 된다. 이상을 정리하여 설명하면, 천자부재의 발사에 필요한 힘이 플런저에 축적될 때까지 란셋 어셈블리가 삽입되면, 잠금용 돌기 부(116)가 스톱퍼부B(284)를 타고 넘어 잠금용 돌기부(116)와 스톱퍼부B(284)의 맞닿음 가능상태가 얻어지는 동시에, 트리거 레버(230)의 코킹상태가 얻어지게 된다. 즉, 란셋 어셈블리의 주사기로의 장전이 완료되면, 소정의 위치에 란셋홀더가 보유되게 된다.
한편, 란셋홀더(102)의 잠금용 돌기부(116)가 홀더잠금부재(280)의 스톱퍼부A(282)를 부드럽게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잠금용 돌기부(116)와 스톱퍼부A(282)가 각각 서로 상보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평면(116S, 282S)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a 및 도 8e 참조). 마찬가지로,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116)가 홀더잠금부재(280)의 스톱퍼부B(284)를 부드럽게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잠금용 돌기부(116)와 스톱퍼부B(284)가 각각 서로 상보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평면(116S, 284S)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a 및 도 8e 참조).
상술한 '홀더잠금기능'에 대응하는 형태로, 본 발명의 천자 디바이스는 '홀더잠금 해제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기능은 천자후 사용이 끝난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로부터 배출할 때, 홀더잠금기능을 해제하여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부드럽게 배출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홀더잠금 해제기능'에 기여하는 부재·부분은, 주로 홀더잠금부재(280)에 설치된 '해제부A 및/또는 릴릴스부B'와 배출기에 설치된 '피해제부'이다. 도 8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부A(286) 및/또는 해제B(288)는 홀더잠금부재(280)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잠금부재(280)에서는 해제부A(286)가 스톱퍼부A(282)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즉, 해제부A(286) 및 스톱퍼부A(282)는 홀더잠금부재(280)의 짧은쪽 방향/횡단방향에 따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제부B(288)가 스톱퍼부B(284)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해제부B(288) 및 스톱퍼부B(284)는 홀더잠금부재(280)의 짧은쪽 방향/횡단방향에 따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제부A(286)는 스톱퍼부A(282)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인접하는 홀더잠금부재 측면으로부터 홀더잠금부재의 횡단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제부B(288)는 스톱퍼부B(264)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인접하는 홀더잠금부재 측면으로부터 홀더잠금부재의 횡단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해제부A에 의해 스톱퍼부A가 관련되는 잠금을 바람직하게 해제할 수 있는 동시에, 해제부B에 의해 스톱퍼부B가 관련되는 잠금을 바람직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피해제부(272)는 도 8d 및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기(270)의 전방측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해제부' 및 '피해제부'는 천자후에 배출기를 슬라이드시켜서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배출시킬 때 기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배출기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피해제부(272)가 해제부A(286) 및/또는 해제부B(288)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홀더잠금부재(280)가 그 전방단부(280b)를 중심으로 하여 원운동하도록 바깥쪽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116)와 홀더잠금부재(280)의 스톱퍼부A(282) 및/또는 스톱퍼부B(284)의 맞닿음 가능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에 의해, 주사기(200)로부터 란셋홀더(102)를 부드럽게 배출시킬 수 있다. 홀더잠금부재(280)에 스톱퍼부A(282) 및 스톱퍼부B(284)가 모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먼저 배출기(270)의 피해제부(272)가 해제부B(288) 위를 슬라이딩 이동한 후, 계속해서 해제부A(286)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잠금용 돌기부(116)와 스톱퍼부B(284)의 맞닿음 가능상태가 해제된 후, 잠금용 돌기부(116)와 스톱퍼부A(286)의 맞닿음 가능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한편, 홀더잠금부재(280)의 해제부B(288) 위를 배출기(270)의 피해제부(272)가 부드럽게 맞닿아 이동하도록, 해제부B(288)의 형상과 피해제부(272)의 형상이 각각 서로 관련성을 가지고 설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홀더잠금부재(280)의 해제부A(286) 위를 배출기의 피해제부(272)가 부드럽게 맞닿아 이동하도록, 해제부A(286)의 형상과 피해제부(272)의 형상이 각각 서로 관련성을 가지고 설계되어 있다.
특히,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기의 피해제부(272)는 역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8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잠금부재(280)의 해제부B(288)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홀더잠금부재(280)의 해제부A(286)는 연속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피해제부(272)가 해제부B(288) 위를 맞닿아 이동할 때, 홀더잠금부재(280)가 일단 바깥쪽으로 움직인 후에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는 한편, 피해제부(272)가 해제부A(286) 위를 맞닿아 이동할 때에는, 해제부 A(286)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잠금부재(280)는 바깥쪽으로 이동된 채로 보유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자 디바이스의 주사기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기(270)는 단 지 란셋홀더(102) 만을 밀어 란셋 어셈블리를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란셋홀더(102)와 란셋몸체(151)를 모두 동시에 밀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부드럽게 꺼낼 수 있다. 배출기(270)는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기 본체부(270a)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뻗은 한쌍의 압착날개부(274)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압착날개부(274)의 선단부분(275)이 란셋홀더(102)의 개구단측(103)의 단부 및 란셋몸체(151)의 최후단부(1656a)와 맞닿을 수 있기 때문에, 란셋홀더(102)와 란셋몸체(151)를 모두 밀 수 있다.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출기(270)는, 도 14a에 나타내는 핀셋형상의 날개부재(274)와 도 14b에 나타내는 배출기 본체부(270a)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 가능하면, 도 8d에 나타내는 배출기(270)를 일체 성형에 의해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압착날개부(274)의 각 날개는 배출기 본체부(270a)로부터 위쪽으로 뻗고 나서 전방으로 뻗도록 직각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날개의 선단부분이 란셋홀더(102)의 개구단(103)의 가장자리 및 란셋몸체(151)의 후단부(165a)를 밀 수 있도록 각 날개의 선단부분(275)이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날개의 선단부분의 보다 내측부분(275a)이 란셋몸체의 후단부(165a)에 맞닿고, 각 날개의 선단부분의 보다 외측부분(275b)이 란셋홀더의 개구단(103)의 가장자리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맞닿음이 확실해지도록, 각 날개의 맞닿음 부분에는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맞닿음이 일어나기 때문에, 배출기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한쌍의 압착날개부(274)가 란셋홀더(102)와 란셋몸체(151)를 모두 밀 수 있다.
배출기(270)의 전방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안정되도록, 또는 한쌍의 압착날개부(274)의 선단부분(275)이 확실하게 란셋몸체의 후단부(165a) 및 란셋홀더의 개구단 가장자리에 맞닿을 수 있도록, 주사기의 플런저는 그 측면에 홈부분(204f)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a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분(204f)은 플런저의 선단부분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와 같은 홈부분(204f)이 쌍을 이루어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홈부분(204f)이 플런저(204)에 설치되어 있으면, 슬라이드 이동시에 배출기(270)의 압착날개부(274)의 선단부분(275)이 홈부분(204f)에 따라 안내되게 되어, 그 결과 슬라이드 이동이 안정된다. 또한, 그와 같이 압착날개부(274)의 선단부분(275)이 홈부분(204f)에 따라 안내되면, 이러한 선단부분(275)의 이동이 소정의 궤도에 보유되기 쉬워져서 압착날개부(274)의 선단부분(275)이 란셋몸체(151)의 후단부(165a) 및 란셋홀더(102)의 개구단(103)의 가장자리에 확실하게 맞닿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출기(2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본체부분(270a)의 피해제부(272)가 홀더잠금부재(280)의 해제부A(286) 및/또는 해제부B(288)와 걸리는 것에 기인하여 홀더잠금 해제기능도 가지고 있다. 즉, 배출기(27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그 한쌍의 압착날개부(274)에 의해 란셋홀더(102)와 란셋몸체(151)가 동시에 눌릴 뿐만 아니라, 배출기 본체부(270a)의 피해제부(272)에 의해 란셋홀더(102)의 돌기부(116)와 홀더잠금부재(280)의 스톱퍼부A(282) 및/또는 스톱퍼부B(284)의 맞닿음 가능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는 어셈블리 압착기능과 홀더잠금 해제기능이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연동에 의해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부드럽게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자 디바이스 및 란셋 어셈블리는 여러가지 안전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사용한 후의 란셋이 란셋홀더 안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기능이다. 이 안전기능에 기여하는 부재·부분은, 주로 란셋홀더의 '고정볼록부(특히, 2개의 고정볼록부(121a, 121b) 중 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볼록부A(121a)'와, 란셋몸체의 '피고정돌기부(158)'이다.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홀더(102)의 2개의 고정볼록부 중 전방측에 설치된 볼록부A(121a)의 전방측면(121a1)은 평면을 이루어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A(121a)의 전방측면(121a1)은 천자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홀더 안쪽으로 뻗은 평면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한 후의 란셋몸체의 피고정돌기부(158)는 란셋홀더 안에서 전방측에 설치된 고정볼록부(121a)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가령 란셋몸체(151)가 란셋홀더(102) 안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고 하여도, 란셋몸체(151)의 피고정돌기부(158)가 고정볼록부(121a)의 전방측면(121a1)에 의해 확실하게 맞물리게 되어, 사용한 후의 란셋몸체(151)가 란셋홀더(102)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전방측에 설치된 볼록부(121a)의 전방측면이 가령 매끄럽게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란셋몸체(151)가 란셋홀더(102) 안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피고정돌기부(158)가 고정볼록부(121a)의 전방측면에 맞닿았다고 하여도, 란셋몸체(151)의 피고정돌기부(158)가 고정볼록부(121a)의 전방측면으로부터 받는 저항력은 크지 않아서 피고정돌기부(158)가 고정볼록부(121a)를 타고 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결국, 전방측에 설치된 고정볼록부(121a)의 전방측면이 가령 매끄럽게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용한 후의 란셋몸체(151)가 란셋홀더(102)로부터 빠져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란셋홀더의 전방측에 설치된 볼록부(121a)의 전방측면(121a1)이 평면을 이루어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란셋몸체(151)의 피고정돌기부(158)가 볼록부(121a)의 전방측면으로부터 받는 저항력이 보다 크고, 피고정돌기부(158)가 볼록부(121a)를 타고 넘어 버리는 일이 없다. 결국, 사용한 후의 란셋몸체(151)가 란셋홀더(102)로부터 빠져버릴 가능성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란셋 어셈블리에서는, 천자부재가 노출된 사용후의 란셋에 몸의 일부가 닿을 위험이 배제되어,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안전기능은 란셋 어셈블리 및 주사기 모두에 갖추어진 지시기능이다. 란셋 어셈블리의 지시기능에 기여하는 부재·부분은, 주로 란셋캡(152)에 설치된 '횡단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지시부'와 란셋홀더의 벽에 설치된 '슬릿 부'이다. 도 2a 및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캡(152)의 지시부(152a)는 란셋캡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시부(152a)는 란셋캡의 선단부에 인접하도록 란셋캡의 횡단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홀더의 슬릿부(118)는 란셋홀더(102)의 길이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란셋이 란셋홀더와 조합된 상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홀더(102)의 슬릿부(118)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지시부(152a)를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시부(152a)는 란셋캡(152)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지시부(152a)의 위치로부터 란셋캡(152)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그 결과, 란셋몸체(151)로부터 란셋캡(152)이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지시부(152a)가 슬릿부(118)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보이는 경우에는, 란셋캡(152)이 란셋몸체(151)로부터 분리되어 있지 않은 한편, 지시부(152a)가 슬릿부(118)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보이는 경우에는, 란셋캡(152)이 란셋몸체(151)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대상이 되는 란셋 어셈블리가 미사용 란셋 어셈블리인지 혹은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인지를 '지시부의 위치'로부터 판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잘못하여 사용할 위험이 줄어든다. 또한, 란셋캡(152)과 란셋몸체(151)의 분리를 외부로부터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 사용자가 확실하게 조작단계를 파악할 수 있고, 부드러운 사용에 도움이 된다.
이어서, 주사기에 부여된 지시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사기의 지시기능에 기여하는 부재·부분은, 주로 '트리거 레버(2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시부재(500)'와 '삽입되는 란셋홀더(102)의 개구단(103)의 가장자리'와 '주사기의 하우징에 설치된 창부'이다. 지시부재(500)는 도 15a에 나타낸다. '주사기의 하우징에 설치된 창부'는 도 7a 및 도 7b에서 참조번호 216으로 나타낸다.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시부재(500)는 전방측단부(500b)가 트리거 레버(2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후방측 단부(500c)의 측면에 지시표시부(500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시부재(500)는 도 15b의 스프링 부재(510)와 함께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기(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스프링 부재(510)의 스프링 작용에 기인하여 지시부재(500)에는 전방측 단부(500b)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원운동하는 방향으로(또는 안쪽을 향하여)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지시부재(500)의 후방측 단부(500c)의 측면에 설치된 지시표시부(500d)는 주사기의 창부(216)로부터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천자 가능위치까지 란셋 어셈블리(100)가 삽입되어 오면, 란셋홀더(102)의 개구단측(103)의 단부(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서 말하는 B부분의 둘레영역)가 지시부재(500)의 홀더 맞닿음부(도 15a의 참조번호 500a 부분)에 맞닿아 그것을 누르기 때문에, 지시부재(500)가 전방측 단부(500b)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또는 바깥쪽을 향하여) 원운동하고, 후방측 단부의 측면의 지시표시부(500d)가 주사기의 창부(216)로부터 보이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주사기의 창부(216)로부터 지시표시부(500d)가 보이는지 여부에 따라, 란셋 어셈블리(100)가 천자 가능상태가 되었는지 여부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천자 가능상태를 사용자가 확실하게 파악하여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부드러운 사용에 도움이 되는 동시에 오조작 등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안전기능은 '트리거 레버의 잠금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은 트리거 레버를 신경쓰지 않고 밀어넣은 채로 장전조작을 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다. 이 트리거 레버의 잠금기능에 기여하는 부재·부분은, 주로 '트리거 레버(230)의 전방단부에 설치된 트리거 잠금부재(290)'이다. 트리거 잠금부재(290) 자체는 도 8f에 도시하고 있다.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리거 잠금부재(290)는 트리거 레버(230)의 전방단부 위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트리거 잠금부재(290)의 내부에는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290d)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에 의해 전방을 향하여 움직이는 힘이 트리거 잠금부재(290)에 작용하고 있다. 트리거 잠금부재(290)의 상면측 일부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기(200)의 하우징의 개구부(214)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개구부(214) 안에서 트리거 잠금부재(29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트리거 잠금부재(290)는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주사기의 하우징의 개구부(214)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보유되어 있다(도 6a 및 도 6b 참조). 이 상태에서는 트리거 잠금부재(290)의 바닥부에 설치된 잠금부(도 16a에서 참조번호 290a 및 290b)가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210)에 설치된 피잠금부(도 9a 및 도 9b에서 211a 및 211b)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되며, 트리거 잠금부재(290)를 주사기 내부로 압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리거 잠금부재의 잠금부(290a)가 하우징 내벽(210)의 피잠금부(211a)와 맞닿을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는 동시에, 트리거 잠금부재의 잠금부(290b)가 하우징 내벽(210)의 피잠금부(211b)와 맞닿을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트리거 잠금부재(290)를 주사기 내부로 압착할 수 없게 된다(도 12b에는 잠금부(290a)와 피잠금부(211a)의 맞닿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 결과,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고 트리거 잠금부재(290)가 주사기(200)의 하우징의 개구부(214) 안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트리거 레버(230)를 주사기의 내부로 밀어넣을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여 움직이는 힘에 반하여 외부로부터 힘을 작용시켜서 트리거 잠금부재(290)를 주사기(200)의 하우징 개구부(214) 안의 후방으로 이동시켰을 경우에는, 트리거 잠금부재(290)의 바닥부에 설치된 잠금부(290a, 290b)와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210)에 설치된 피잠금부(211a, 211b)의 맞닿음 가능상태가 각각 해제되어, 트리거 잠금부재(290)를 주사기 내부로 압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리거 잠금부재(29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트리거 잠금부재(290)의 잠금부(290a)와 하우징 내벽(210)의 피잠금부(211a)의 맞닿음 가능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트리거 잠금부재(290)의 잠금부(290b)와 하우징 내벽(210)의 피잠금부(211b)의 맞닿음 가능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트리거 잠금부재(290)를 주사기의 내부로 밀어넣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트리거 잠금부재(29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한, 트리거 레버(230)를 기능시킬 수 없기 때문에, 트리거 레버(230)를 신경쓰지 않고 밀어넣은 채로 장전조작을 하여 천자부재가 부주의하게 발사되어 버릴 위험은 배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란셋 어셈블리에서는 천자부재의 천자이동의 안정성이 향상되어 있다. 이러한 천자부재의 천자이동의 안정성에 관련한 부재·부분은, '란셋홀더에 설치된 슬릿부(118)'와 란셋몸체의 '피고정돌기부(158)'의 조합이다. 또한, '란셋몸체의 후방을 향하여 뻗은 한쌍의 날개부(159)'도 천자부재(153)의 천자이동의 안정성에 관련되어 있다.
먼저, '란셋홀더에 설치된 슬릿부'와 란셋몸체의 '피고정돌기부'의 조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란셋홀더(102)의 전방측에 설치된 볼록부(121a)가 란셋몸체(151)의 피고정돌기부(158)를 타고 넘음으로써 천자상태를 얻고 있기 때문에(보는 방향을 바꾸면, 란셋몸체(151)의 피고정돌기부(158)가 란셋홀더(102)의 전방측에 설치된 볼록부(121a)를 타고 넘음으로써 천자상태를 얻고 있기 때문에), 타고 넘을 때 피고정돌기부(158)의 형상이 변형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전에 란셋(150)을 란셋홀더(102)에 삽입하여 란셋 어셈블리(100)를 얻을 때에도, 란셋몸체(151)의 피고정돌기부(158)가 란셋홀더(102)의 후방측에 설치된 볼록부(121b)를 타고 넘게 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피고정돌기부(158)의 형상이 변형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와 같이 피고정돌기부(158)가 가령 변형되어 버렸다고 하여도 천자이동시의 피고정돌기부(158)의 궤도가 란셋홀더(102)에 설치된 슬릿부(118)를 따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된 피고정돌기부(158)가 홀더 벽부에 마찰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딩 저항(접촉저항) 등에 기인하여 천자부재의 천자안정성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란셋 어셈블리에서는, 란셋몸체(151)를 란셋홀더(102) 에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158)와 란셋홀더(102) 안에서 란셋몸체(151)를 가이드하기 위한 돌기부(157a, 157b)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도 천자부재(153)의 천자이동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고정돌기부(158)가 가령 변형되어 버렸다고 하여도, 본 발명에서는 천자이동시에 천자부재를 가이드하는 부분(즉, 란셋몸체를 가이드하는 부분)이 어디까지나 도 2a에 나타내는 피가이드돌기부(157a) 및 피가이드돌기부(157b)이며, 피고정돌기부(158)가 아니다. 따라서, 가령 피고정돌기부(158)가 변형되어 버렸을 경우에도 천자부재의 가이드에는 영향이 없고, 안정된 천자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고정돌기부(158)가 란셋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평면A 위에 따라 란셋몸체의 횡단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편, 피가이드돌기부(157)가 평면A와 평행한 평면B(평면A를 제외)에 따라 란셋몸체의 횡단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평면A와 평면B의 개념도는 도 2b의 (g)에 나타낸다), 가령 피고정돌기부(158)가 변형되어 버렸을 경우에도 천자부재의 가이드에는 영향이 없고, 안정된 천자이동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피가이드돌기부(157)가 란셋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평면A 위에 따라 란셋몸체의 횡단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편, 피고정돌기부(158)가 평면A와 평행한 평면B(평면A를 제외)에 따라 란셋몸체의 횡단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어도 마찬가지이다(즉, 피고정돌기부(158)가 변형되어 버렸을 경우에도 천자부재의 가이드에는 영향이 없고, 안정된 천자이동이 가능해진다).
'란셋몸체의 후방을 향하여 뻗은 한쌍의 날개부(159)'도 천자부재(153)의 천 자이동의 안정성에 관련되어 있다. 뒤에서도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천자시에는 란셋제거부재(206)의 활형상 홈부(206d)에 수납되어 있는 날개부(159)가 활형상 홈부(206d)에 따라 전방으로 천자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날개부(159)는 후방을 향하여 서서히 펼쳐지도록 뻗어 있기 때문에, 이동하는 날개부(159)가 활형상 홈부(206d)의 벽부분으로부터 받는 접촉저항은 작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도 천자부재(153)의 천자안정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이하, 도 17a 및 도 17b 내지 도 27a 및 도 27b를 참조하면서, 란셋 어셈블리(100)의 장전조작에서 시작하여 장전완료, 천자, 그리고 천자후의 란셋 어셈블리(100)의 제거까지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설명한다. 도 17a 및 도 17b 내지 도 27a 및 도 27b는 그 번호순서대로 란셋 어셈블리(100) 및 주사기(200)의 경시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17a 내지 도 27a와 도 17b 내지 도 17b는 도면번호의 숫자가 같으면, 각각 서로 같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먼저,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 어셈블리(100) 및 주사기(200)를 준비한다. 여기서 준비되는 란셋 어셈블리(100)는 란셋몸체(151)가 란셋홀더(102) 안에 고정된 란셋 어셈블리(100)이다. 이어서, 주사기(200)의 전단개구부(202)로부터 란셋홀더(102)를 주사기(200) 안으로 삽입함으로써, 란셋 어셈블리(100)의 장전을 개시한다. 장전시에는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홀더(102)의 천자개구부(105)가 전방을 향하고, 란셋홀더(102)의 개구단(103)이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란셋홀더(102)를 삽입한다. 바꾸어 말하면, 란셋홀더(102)의 개구단(103) 쪽으로부터 앞으로 주사기(200) 안으로 삽입한다.
란셋 어셈블리(100)가 삽입되면, 먼저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홀더(102)의 개구단으로부터 란셋캡 제거부재(206)가 란셋홀더(102) 안으로 들어간다(특히 도 18b 참조).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란셋몸체의 피가이드돌기부의 후방부분이 판스프링 부재의 자유단부를 바깥쪽으로 밀어펼치기 때문에, 란셋홀더의 절결부가 주사기의 판스프링 부재의 후크형상부에 걸리지 않고,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삽입이 이루어지면, 상술한 바와 같이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가 홀더잠금부재의 스톱퍼부A를 타고 넘게 된다. 더욱 삽입이 계속되면, 도 19a 및 도 19b(특히,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캡의 선단부(156a)와 란셋캡 제거부재(206)의 선단부(206a1, 206b1)가 서로 맞닿는다. 또한, 이와 같은 맞닿음이 일어나는 것과 대략 병행하여 란셋몸체의 후단부의 걸림부(165)가 주사기의 플런저(204)의 선단부(204a)와 맞닿고(도 19b 참조), 최종적으로는 양쪽이 서로 걸려서 일체화된다. 란셋몸체(151)와 플런저(204)가 맞닿은 후, 란셋홀더(102)가 더욱 삽입되면, 란셋홀더(102)에 고정되어 있는 란셋몸체(151)가 플런저(204)를 누르게 되기 때문에 플런저(204)가 후퇴하기 시작한다.
도 19a 및 도 19b(특히,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204)의 중간부분에는 플랜지부(204b)가 설치되어 있고, 플랜지부(204b)와 주사기 하우징(201) 안의 칸막이(209) 사이에 위치하는 플런저(204)의 주위에는 사출용 스프링(205a)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205a)은 플런저(204)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플런저(204)를 전방(즉, 천자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기능한다(한편,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초기상태에는,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204)의 플랜지부(204b)가 트리거 레버(230)의 맞물림부(230c)(또는 전방단차부(230c))에 맞물려 있어서 플런저(204)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플런저(204)가 후방으로 밀려들어가는 동안에는 란셋몸체(151)의 후단부(165)가 전방으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플런저(204)를 스프링(205a)의 힘에 반하도록 밀어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밀려내려간 결과, 최종적으로는 플런저(204)의 스프링(205a)이 압축되고, 천자부재(153)의 발사에 필요한 힘이 플런저(204)에 축적되게 된다.
여기서, 란셋몸체(151)는 란셋홀더(102)에 고정되어 있는데 대하여, 란셋캡(152) 자체는 란셋홀더(102)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도 19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계속해서 삽입을 실시하면, 란셋캡(152)은 란셋캡 제거부재(206)에 충돌하는 형태로 천자방향으로 눌리게 되어, 란셋캡(152)과 란셋몸체(151)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힘이 작용한다. 그 결과, 란셋캡(152)과 란셋몸체(151)를 잇고 있는 다리부재(154)가 파괴되고, 란셋캡(152)이 란셋몸체(151)로부터 분리된다. 란셋캡(152)은 천자부재(153)를 란셋몸체(151) 측에 남기고 분리되기 때문에, 다리부재(154)의 파괴에 의해 천자부재(153)의 선단이 노출된 란셋몸체(151)를 얻을 수 있다.
분리후, 란셋홀더(102)가 주사기(200) 안으로 더욱 삽입되면, 분리된 란셋캡(152)은 란셋캡 제거부재(206)에 계속해서 충돌하는 형태로 란셋홀더(102) 안에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분리된 란셋캡(152)은 란셋홀더(102) 안의 슬로프 부재(170)에 맞닿은 상태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드하고,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란셋홀더(102) 안의 슬로프 부재(170)는 예를 들어 도 19b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란셋캡(152)의 형태는 도 20b 외에 도 5c 등에도 도시된다.
주사기(20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천자부재의 발사시에 눌리면 천자부재의 발사를 일으키는 트리거 레버(230)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도 19a 참조). 트리거 레버(230)는 내측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판스프링 부재(도 19a에서 230d 부분)에 기인하여 주사기(200)의 내측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런저(204)의 후퇴에 의해 플런저(204)의 플랜지부(204b)가 트리거 레버(230)의 후방단차부(230a)를 외측방향으로 밀면서 통과하면, 도 20a 또는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리거 레버(230)의 후방단차부(230a)가 플런저(204)의 플랜지부(204b)의 전방부와 인접하고, 트리거 레버(230)가 코킹상태가 된다. 한편, 이러한 코킹상태가 얻어지는 것과 대략 병행하여, 란셋홀더(102)의 잠금용 돌기부(116)가 홀더잠금부재(280)의 스톱퍼부B(284)를 타고 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코킹상태가 얻어지는 것과 대략 병행하여, 란셋홀더의 개구단의 가장자리가 지시부재(500)에 설치되어 있는 홀더 맞닿음부(500a)를 누르고, 그에 의해 주사기(200)의 하우징에 설치된 지시창부로부터 지시표시부(500d)를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위치까지 지시부재(5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코킹상태에서는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204)의 최후단(204d)과 주사기(200)의 후단측 내벽면(203)(구체적으로는 천자깊이 조절기 구(300)의 외측드럼(350)의 내벽면)의 거리가 극히 짧아도 되고, 혹은 실질적으로 이것들이 맞닿은 상태이어도 된다.
최종적으로는, 플런저(204)의 최후단(204d)과 주사기(200)의 후단측 내벽면(203)이 완전히 맞닿게 되는데, 그 상태가 되면, 플런저(204)가 더욱 후퇴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 상태가 된 후, 란셋홀더(102)를 더욱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란셋홀더(102)에는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이 작용하는데 대하여, 란셋몸체(151)에는 그것과 반대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결국, 란셋홀더(102)가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여도, 란셋몸체(151)는 플런저(204)와 걸려 있기 때문에 삽입방향(즉, '후방')으로는 이동할 수 없고, 란셋홀더(102)와 란셋몸체(151)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힘이 작용한다. 그 결과, 이러한 힘이 소정의 임계치를 넘으면, 란셋몸체(151)와 란셋홀더(102)의 고정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 고정상태의 해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란셋홀더(102)를 더욱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란셋홀더(102)의 고정홈(120) 안의 고정볼록부(121a)가 란셋몸체(151)의 피고정돌기부(158)를 타고 넘게 되고(보는 방향을 바꾸면, 란셋몸체(151)의 피고정돌기부(158)가 란셋홀더(102)의 고정홈(120) 안의 고정볼록부(121a)를 타고 넘게 되고), 그에 의해 고정볼록부(121a, 121b)와 피고정돌기부(158)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된다. 맞닿음 상태가 해제되면 천자 가능상태가 얻어진다. 천자 가능상태가 얻어지면, 란셋몸체(151)의 한쌍의 피가이드돌기부(157a) 및 한쌍의 피가이드돌기부(157b)가 란셋홀더(102)의 각각의 가이드채널(107)에 따라 안내됨으로써, 천자부재(153)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몸체(151)가 가이드채 널(106)에 따라 천자방향 및 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란셋몸체(151)가 천자방향 및 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얻어질 때까지 란셋홀더(102)를 주사기(200) 안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란셋캡(152)이 란셋캡 제거부재(206)에 충돌하는 형태로 란셋몸체(151)로부터 분리되고, 최종적으로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도 20b는 분리된 란셋캡(152)이 천자궤도로부터 이탈되는 위치까지 이동한 후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장전시에는 란셋캡 제거부재(206)가 란셋홀더(102) 안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그 때 한쌍의 제2 날개부(159)는 최종적으로는 란셋캡 제거부재(206)의 활형상홈부(206d)에 배치된다. 한편, 활형상홈부(206d)에서는 제2 날개부(159)가 변형되지 않고 수용된다.
이상과 같이 란셋홀더(102)를 주사기(200) 안으로 삽입함으로써,
(i)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가 홀더잠금부재의 스톱퍼부A를 타고 넘는 것,
(ii) 란셋몸체의 피가이드돌기부의 후방부분이 판스프링 부재의 자유단부를 바깥쪽으로 펼치는 것,
(iii) 란셋캡이 란셋몸체로부터 분리되고,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몸체가 얻어지는 것,
(iv) 분리된 란셋몸체가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한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
(v) 플런저가 밀려들어가는 것,
(vi) 밀려들어간 플런저의 플랜지부와 트리거 레버가 코킹상태로 되는 것,
(vii)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가 홀더잠금부재의 스톱퍼부B를 타고 넘는 것,
(viii) 지시창부로부터 지시표시부를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위치까지 지시부재가 운동하는 것,
(ix) 란셋몸체와 란셋홀더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것
이 이루어져서 장전이 완료된다.
한편, (i) 및 (vii)과, (ii)와, (iii) 및 (iv)와, (v) 및 (vi)과, (viii)은 실질적으로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것, 그리고 (vi)과 (vii)과 (viii)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장전이 완료된 상태는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내는 형태이다. 이 장전이 완료된 상태란, 바꾸어 말하면, 란셋 어셈블리(100)와 주사기(200)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천자 디바이스(400)의 천자준비가 완료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 상태에서는 란셋몸체(구체적으로는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상태의 란셋몸체')의 발사가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이 상태에서는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와 홀더잠금부재의 스톱퍼부B가 맞닿을 수 있는 상태이며, 란셋홀더가 주사기 안에서 확실하게 보유되어 있다.
천자시에는 천자할 소정의 부위(예를 들어, 손가락 끝)에 천자개구부(105)를 댄 후, 트리거 잠금부재(29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그대로 트리거 잠금부재(290)를 주사기(200) 내부를 향하여 밀어넣으면, 트리거 레버(230)의 후방단차부(230a)와 플런저(204)의 플랜지부(204b)의 맞닿음 상태(맞물림 상태)가 해제되 어, 그 결과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205a)이 순간적으로 한번에 늘어나게 되고, 란셋몸체(151)가 전방의 천자방향을 향하여 발사된다. 도 21a 및 도 21b는 트리거 잠금부재(290)를 주사기(200)의 내부를 향하여 밀어넣은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란셋몸체(151)가 전방으로 발사될 때, 란셋캡 제거부재(206)의 활형상 홈부(206d)에 수납되어 있는 한쌍의 제2 날개부(159)는, 천자시에 활형상 홈부(206d)를 따라 전방으로 천자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한쌍의 제2 날개부(159)는 바깥쪽을 향하여 확장되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한쌍의 제2 날개부(159)가 스톱퍼면(180)에 맞닿거나 충돌하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방향에서 보면, 란셋홀더(102) 안에 삽입되어 있는 란셋캡 제거부재(206)가 스톱퍼면(180)을 막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란셋캡 제거부재(206)의 선단이 스톱퍼면(180)에 대략 맞닿아 있기 때문에), 란셋캡 제거부재(206)가 삽입되어 있는 천자시에는 한쌍의 제2 날개부(159)가 스톱퍼면(180)에 맞닿거나 충돌하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란셋몸체(151)는 제2 날개부(159)에 방해받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도 22a 및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자시에 천자부재의 선단부(153a)가 천자개구부(105)로부터 노출하여 소정 부위가 천자되게 된다.
천자시에는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출용 스프링(205a)이 최대한 늘어나는 동시에, 리턴용 스프링(205b)이 압축된다. 따라서, 소정 부위를 천자한 후에는 사출용 스프링(205a)이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고, 그와 함께 압축된 리턴용 스프링(205b)이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여 플런저(204)의 플랜지부(204b)를 후방으로 누르기 때문에, 란셋몸체(151) 즉, 천자부재(153)가 빠르게 후퇴하게 된다. 천자후의 천자 디바이스(400)의 형태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다.
천자후에 주사기(200)로부터 란셋홀더(102)(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10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또는 배출하기 위해서는), 주사기(200)에 설치된 배출기(270)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배출기(270)의 본체부(270a)의 일부(270a1)를 손가락 등으로 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서 배출기(270)의 압착날개부(274)로 란셋홀더(102)의 개구단측(103)의 단부 및 란셋몸체(151)의 후단부(165a)를 누름으로써,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100)를 주사기(200)로부터 제거한다. 이러한 제거의 경시적인 변화를 도 24a 및 도 24b 내지 도 27a 및 도 27b에 나타낸다. 도 24a 및 도 24b는 배출기(270)를 슬라이드하기 시작한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5a 및 도 25b는 배출기(270)의 슬라이드 조작의 중기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26a 및 도 26b는 배출기(270)의 슬라이드 조작의 후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7a 및 도 27b는 란셋 어셈블리(100)가 주사기(200)로부터 완전히 배출된 후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란셋 어셈블리의 배출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기의 전방으로의 슬라이드에 따라 배출기(270)의 한쌍의 압착날개부(274)에 의해 란셋홀더(102)와 란셋몸체(151)가 동시에 눌릴 뿐만 아니라, 배출기 본체부(272a)의 피해 제부(272)에 의해 란셋홀더(102)의 돌기부(116)와 홀더잠금부재(280)의 스톱퍼부A(282) 및/또는 스톱퍼부B(284)의 맞닿음 가능상태가 해제되어 있어, 어셈블리 압착기능과 홀더잠금 해제기능이 연동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예를 들어, 도 27b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배출기(270)에는 배출기 스프링(205c)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란셋 어셈블리(100)가 제거된 후에는 슬라이드한 손가락을 배출기(270)로부터 떼어냄으로써 배출기(270)를 원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출된 란셋홀더(102) 안에는 분리한 란셋캡(152) 및 천자부재(153)의 선단이 노출된 란셋몸체(151)가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주사기(200)로부터 란셋 어셈블리(100)가 배출되면, 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제2 날개부(159)가 란셋홀더(102)의 내부에 설치된 스톱퍼면(180)에 맞닿거나 충돌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천자부재(153)의 천자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천자개구부(105)로부터 천자부재(153)의 선단부가 노출되지 않는다. 한편, 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에서는, 란셋홀더(102)의 내부에 설치된 슬로프 부재(170)의 후방단면이 스톱퍼면(180)으로서 기능하고 있다(도 1b에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천자개구부(105)로부터 천자부재(153)의 선단부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100)를 완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8 내지 도 4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재장전 방지기능' 및 '홀더잠금기능' 등에 대하여 더욱 설명한다. 도 28 내지 도 42는 그 번호 순서대로 란셋 어셈블리(100) 및 주사기(200)(특히, 전방부분)의 경시변화를 나 타낸다. 한편,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앞쪽 주사기 하우징을 제거한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28은 미사용 상태의 란셋 어셈블리(100)가 주사기(200)에 장전되기 전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9는 란셋 어셈블리(100)의 장전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116)가 홀더잠금부재(280)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고 있으며, 특히 스톱퍼부A(282)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기 시작하고 있다. 도 30에서는 란셋홀더(102)의 잠금용 돌기부(116)가 홀더잠금부재(280)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기인하여, 홀더잠금부재(280)가 W점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약간 밀리고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30은 잠금용 돌기부(116)가 스톱퍼부A(282)를 타고 넘기 직전의 형태도 도시하고 있다. 도 31은 란셋몸체의 피가이드돌기부(157a)의 후방부분(157a1)이 판스프링 부재(220)의 자유단부(224)의 최선단부분(227)에 맞닿은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31은 잠금용 돌기부(116)가 스톱퍼부A(282)를 타고 넘은 형태도 도시하고 있다. 잠금용 돌기부(116)가 스톱퍼부A(282)를 타고 넘음으로써, 잠금용 돌기부(116)와 스톱퍼부A(282)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얻어지는 동시에, 바깥쪽으로 밀려나 있던 홀더잠금부재(280)가 원래 위치로 돌아오고 있다. 또한, 이 시점에는, 란셋몸체의 후단부(165a)와 플런저의 선단부(204a)가 걸려서 란셋과 플런저가 일체화되어 있다. 도 32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란셋몸체의 피가이드돌기부(157a)가 판스프링 부재(220)의 자유단부(224)를 바깥쪽으로(지면의 앞쪽으로) 휘어지게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판스프링 부재(220)가 휘어짐으로써, 란셋홀더(102)의 절결부(113)와 판스프링 부재(220)의 후크형상부(225)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도 33 참조), 란셋 어셈블리의 삽입이 가능해진다. 도 33에서는 란셋 어셈블리(즉, 란셋홀더(102))가 더욱 삽입됨으로써, 판스프링 부재(220)의 최선단부분(227)이 란셋홀더(102)의 외벽(102a)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기 시작하는 형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33에서는 잠금용 돌기부(116)가 스톱퍼부B(284)(스톱퍼부B는 일부분이 약간 보이고 있을 뿐, 예를 들어 도 38에는 스톱퍼부B(284)가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를 타고 넘기 시작하고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4는 잠금용 돌기부(116)가 스톱퍼부B(284)(스톱퍼부B는 일부분이 약간 보이고 있을 뿐임)를 타고 넘기 직전으로, 홀더잠금부재(280)가 W점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약간 밀리고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5는 잠금용 돌기부(116)가 스톱퍼부B를 타고 넘은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잠금용 돌기부(116)가 스톱퍼부B를 타고 넘음으로써, 잠금용 돌기부(116)와 스톱퍼부B(284)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얻어지는 동시에, 바깥쪽으로 밀려나 있던 홀더잠금부재(280)가 원래 위치로 돌아오고 있다. 이와 병행하여 도 35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란셋홀더(102)의 개구단(103)의 가장자리가 지시부재(500)의 홀더맞닿음부(500a)에 맞닿으면서 누르고, 이에 의해 지시부재(500)가 전방측 단부(500b)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후방측 단부 측면의 지시표시부(500d)가 지시창부(216)로부터 보이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5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란셋캡에 설치된 지시부(152a)가 란셋홀더의 슬릿부(118)이 전방측에 위치하여 보일 수 있으 며, 란셋캡과 란셋몸체의 분리를 파악할 수 있다. 도 36은 천자후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7은 배출기(27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하기 시작하고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7에서는 배출기(270)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란셋홀더(102)와 란셋몸체가 배출기(270)의 압착날개부재(274)의 선단부분(275)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기 시작하고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압착과 병행하여, 배출기(270)의 피해제부(272)가 해제부B(288)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기 시작하고 있으며, 그에 의해 홀더잠금부재(280)가 W점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약간 밀리고, 잠금용 돌기부(116)와 스톱퍼부B(284)의 맞닿음 상태가 방지되고 있다. 도 38은 배출기(270)를 더욱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배출기(270)의 피해제부(272)가 해제부B(288) 위를 타고 넘고 있으며, 바깥쪽으로 밀려나 있던 홀더잠금부재(280)가 원래 위치로 돌아오고 있다. 도 39는 배출기(270)를 더욱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배출기(270)의 피해제부(272)가 해제부A(286)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기 시작하고 있으며, 그에 의해 홀더잠금부재(280)가 W점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약간 밀려서 잠금용 돌기부(116)와 스톱퍼부A의 맞닿음 상태가 방지되고 있다. 도 40은 배출기(270)를 더욱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바깥쪽으로(지면앞쪽으로) 휘어진 판스프링 부재(220)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와 있다. 도 41은 사용한 후의 란셋 어셈블리(100)가 주사기(200)로부터 완전히 배출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홀더(102)의 슬릿부(118)에서 보이는 지시부(152a)가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배출된 란셋 어셈블리가 '사용이 끝난' 것 임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 다.
이어서, 도 42에 사용이 끝난 란셋 어셈블리(100)를 주사기(200)에 삽입하려고 시도하였을 경우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이 끝난 란셋 어셈블리(100)를 삽입하려고 하여도, 란셋홀더(102)의 절결부(113)(절결부는 도 42에서는 판별하기 어렵지만, 예를 들어 도 41에서는 알기 쉽게 도시되어 있다)가, 주사기(200)의 판스프링 부재(220)의 후크형상부(225)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내부로 란셋 어셈블리(100)를 삽입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로 개선될 수 있는 것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특허출원 제2006-163499호(2006년 6월 13일, 발명의 명칭: 란셋 어셈블리 및 천자 디바이스)에 근거한 파리조약상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다. 해당 출원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란셋 어셈블리 및 주사기로 구성되는 천자 디바이스를 사용하면, 보다 간편한 조작으로 보다 안전하고 보다 위생적으로 채혈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천자 디바이스는 당뇨병 환자의 채혈에 한정되지 않고, 채혈을 필요로 하는 각종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7)

  1. 란셋 어셈블리 및 주사기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천자 디바이스로서,
    란셋 어셈블리는 란셋 및 그것을 수용하는 란셋홀더로 이루어지는 디바이스이고, 란셋이 란셋몸체, 란셋캡 및 천자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금속제 천자부재가 수지제 란셋몸체 및 란셋캡에 걸쳐서 그것들의 안에 존재하고, 란셋캡에 의해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커버되고 있는 동시에, 란셋캡과 란셋몸체가 다리부재를 사이에 두고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주사기는 란셋 어셈블리와 조합하여 사용됨으로써 천자부재를 발사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이며, 란셋몸체의 후단부에 걸릴 수 있고, 천자부재를 가지는 란셋몸체를 천자방향으로 발사시키는 플런저, 란셋캡과 맞닿을 수 있는 란셋캡 제거부재, 및 천자부재의 발사시에 눌리면 천자부재의 발사를 일으키는 트리거 레버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란셋홀더가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주사기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장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천자 디바이스로서,
    란셋홀더의 개구단측 단부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주사기 전방측의 하우징 내벽에 금속제 판스프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판스프링 부재의 한쪽 단부는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에 고정되며, 판스프링 부재의 다른쪽 단부는 자유단부로 되어, 자유단부의 선단영역에 후크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란셋몸체를 천자방향으로 발사사킨 후의 사용이 끝난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삽입하면, 란셋홀더의 절결부가 판스프링 부재의 후크형상부에 걸리고, 란셋홀더를 더 이상 주사기 내부로 삽입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란셋몸체가 그 후방부에서 횡단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란셋몸체의 상기 돌기부가 란셋홀더의 절결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란셋몸체가 란셋홀더에 고정되어 있는 미사용 상태의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삽입하면, 란셋몸체의 상기 돌기부가 판스프링 부재의 자유단부를 바깥쪽으로 밀어펼치게 되어, 란셋홀더의 절결부가 판스프링 부재의 후크형상부에 걸리지 않고, 미사용 상태의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후방부분이 모따기되어 있고, 그 모따기에 의해 얻어진 면이 판스프링 부재의 자유단부의 최선단 부분에 맞닿음으로써, 판스프링 부재의 자유단부가 바깥쪽으로 밀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스프링 부재의 본체부분이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고, 판스프링 부재의 후크형상부가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사기의 마주보는 하우징 내벽에 상기 판스프링 부재가 쌍을 이루도록 2개 설치되고, 란셋홀더의 마주보는 개구단측 단부에 상기 절결부가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부의 선단영역의 마주보는 테두리부에 2개의 후크형상부가 설치되어 있고, 그 2개의 후크형상부에 대응하도록 란셋홀더의 개구단측 단부에 2개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란셋홀더가 그 내벽에 란셋몸체를 천자방향에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를 가지고,
    란셋몸체의 천자방향으로의 발사시에 란셋몸체의 상기 돌기부가 란셋홀더의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8. 란셋 어셈블리 및 주사기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천자 디바이스로서,
    란셋 어셈블리는 란셋 및 그것을 수용하는 란셋홀더로 이루어지는 디바이스로서, 란셋홀더가 그 개구단에 인접하는 외벽면에 잠금용 돌기부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란셋이 란셋몸체, 란셋캡 및 천자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금속제 천자부재가 수지제 란셋몸체 및 란셋캡에 걸쳐서 그것들의 안에 존재하고, 란셋캡에 의해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커버되고 있는 동시에, 란셋캡과 란셋몸체가 다리부재를 사이에 두고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주사기는 란셋 어셈블리와 조합하여 사용됨으로써 천자부재를 발사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이며, 란셋몸체의 후단부에 걸릴 수 있고, 천자부재를 가지는 란셋몸체를 천자방향으로 발사시키는 플런저, 란셋캡과 맞닿을 수 있는 란셋캡 제거부재, 및 천자부재의 발사시에 눌리면 천자부재의 발사를 일으키는 트리거 레버, 주사기의 전방측 하우징 내벽에 설치된 홀더잠금부재로서, 그 표면S에 주사기 내부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톱퍼부A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잠금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란셋홀더가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주사기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장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천자 디바이스로서,
    홀더잠금부재의 전방단부는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홀더잠금부재의 후방단부가 자유단부로 되어 있으며, 홀더잠금부재와 주사기의 하우징측벽면의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그에 의해 홀더잠금부재에는 주사기 내부방향을 향하여 힘이 작용하고 있으며,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삽입할 때,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가 홀더잠금부재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여 잠금용 돌기부가 스톱퍼부A를 타고 넘으면, 삽입된 란셋홀더가 주사기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잠금용 돌기부와 상기 스톱퍼부A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홀더잠금부재의 표면S에서의 스톱퍼부A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주사기의 내부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톱퍼부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용 돌기부가 상기 스톱퍼부A를 타고 넘은 후에 계속해서 란셋홀더가 주사기 내부로 삽입되어 란셋몸체를 천자방향으로 발사할 수 있는 위치까지 란셋홀더가 이동하면, 상기 잠금용 돌기부가 홀더잠금부재의 스톱퍼부B를 타고 넘어 상기 잠금용 돌기부와 상기 스톱퍼부B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란셋몸체의 후단부가 주사기에 설치된 플런저와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고 있고,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삽입할 때, 란셋몸체의 후단부와 플런저의 전단부가 걸리고, 그에 의해 란셋홀더의 삽입에 따라 플런저가 후퇴하게 되어 천자부재의 발사에 필요한 힘이 플런저에 축적되며,
    천자부재의 발사에 필요한 힘이 플런저에 축적될 때까지 란셋 어셈블리가 삽입되면, 상기 잠금용 돌기부가 홀더잠금부재의 스톱퍼부B를 타고 넘어 상기 잠금용 돌기부와 상기 스톱퍼부B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 그리고 홀더잠금부재의 스톱퍼부A 및/또는 스톱퍼부B는, 잠금용 돌기부가 스톱퍼부A 및/또는 스톱퍼부B 위를 슬라이딩 이동할 때 각각 서로 상보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평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사기가 배출기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고,
    배출기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배출기가 란셋홀더와 란셋몸체를 전방으로 밀어서 주사기로부터 란셋 어셈블리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배출기가 전방을 향하여 뻗은 한쌍의 압착날개부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각각의 압착날개부의 선단부분이 란셋홀더의 개구단측 단부 및 란셋몸체의 후단부와 맞 닿음으로써 란셋홀더 및 란셋몸체가 동시에 전방으로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한쌍의 압착날개부의 선단부분은 안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주사기의 플런저 측면에 홈부분을 가지고 이루어지고,
    배출기가 전방으로 슬라이드할 때, 배출기의 압착날개부의 선단부분이 홈부분에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16. 제 9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더잠금부재가 그 측부에 해제부A 및/또는 해제부B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고,
    배출기가 해제부A 및/또는 해제부B와 맞닿을 수 있는 피해제부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며,
    배출기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킬 때, 피해제부가 해제부A 및/또는 해제부B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고, 그에 의해 홀더잠금부재가 그 전방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바깥쪽으로 이동되어,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와 홀더잠금부재의 스 톱퍼부A 및/또는 스톱퍼부B의 맞닿음 가능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홀더잠금부재에서 해제부A가 스톱퍼부A에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및/또는 해제부B가 스톱퍼부B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배출기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란셋홀더와 란셋몸체가 동시에 눌리는 동시에, 란셋홀더의 잠금용 돌기부와 홀더잠금부재의 스톱퍼부A 및/또는 스톱퍼부B의 맞닿음 가능상태가 해제되어, 이에 의해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19. 제 8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사기가 지시부재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고, 지시부재의 전방단부가 트리거 레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시부재의 후방단부에 지시표시부가 설치되어 있고,
    란셋몸체를 천자방향으로 발사할 수 있는 위치까지 란셋 어셈블리가 삽입되면, 란셋홀더의 개구단측 단부가 지시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홀더 맞닿음부를 누르 고, 그에 의해 지시부재가 그 전방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며, 그 결과 주사기의 하우징에 설치된 창부의 위치까지 지시표시부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20. 제 8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사기가 트리거 레버의 전방단부에 설치된 트리거 잠금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트리거 잠금부재의 일부는 주사기의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동시에, 트리거 잠금부재가 트리거 레버 위를 슬라이딩 운동하여 주사기의 하우징의 개구부 안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전방을 향하여 움직이는 힘이 트리거 잠금부재에 작용하도록 트리거 잠금부재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트리거 잠금부재는 주사기의 하우징의 개구부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보유되고, 이 상태에서는 트리거 잠금부재의 바닥부에 설치된 잠금부가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에 설치된 피잠금부와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되어, 트리거 잠금부재를 주사기 내부로 밀 수 없고, 그 결과 트리거 레버가 주사기 내부로 밀려 들어가지 않는 한편, 상기 전방을 향하여 움직이는 힘에 반하여 외부로부터 힘을 작용시켜서 트리거 잠금부재를 주사기의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트리거 잠금부재의 잠금부와 주사기의 하우징 내벽에 설치된 피잠금부의 맞닿음 가능상태가 해제되어, 트리거 잠금부재를 주사기 내부로 밀 수 있고, 그 결과 트리거 레 버를 주사기 내부로 밀어넣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디바이스.
  21. 란셋 및 그것을 수용하는 란셋홀더로 이루어지는 란셋 어셈블리로서,
    란셋은 란셋몸체, 란셋캡 및 천자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금속제 천자부재가 수지제 란셋몸체 및 란셋캡에 걸쳐서 그것들의 안에 존재하며, 란셋캡에 의해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커버되고 있는 동시에, 란셋캡과 란셋몸체가 다리부재를 사이에 두고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란셋몸체가 란셋홀더에 고정된 상태에서 란셋캡이 천자방향으로 눌리면, 다리부재가 파괴되어 란셋캡이 란셋몸체로부터 분리되고,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몸체가 얻어지며,
    분리된 란셋캡은 계속해서 천자방향으로 눌리면, 천자부재의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란셋 어셈블리로서,
    란셋홀더는 그 내벽에 형성된 고정홈에 2개의 고정볼록부를 가지는 동시에, 란셋몸체가 고정홈 안으로 끼워지는 피고정돌기부를 가지고,
    2개의 고정볼록부가 피고정돌기부를 사이에 끼우도록 고정볼록부와 피고정돌기부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란셋몸체가 란셋홀더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란셋홀더는 그 내벽에 가이드를 가지는 동시에, 란셋몸체가 가이드 안으로 끼워져 들어가는 피가이드돌기부를 가지고, 란셋몸체가 눌리어 고정볼록부와 피고정돌기부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되었을 경우, 피가이드돌기부가 가이드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란셋몸체가 천자방향에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 리.
  22. 제 21 항에 있어서,
    피고정돌기부가 란셋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평면A 위를 따라 란셋몸체의 횡단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피가이드돌기부가 상기 평면A와 평행한 평면B에 따라 란셋몸체의 횡단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란셋캡이 천자부재를 발사시키는 주사기에 설치되어 있는 란셋캡 제거부재와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란셋몸체가 고정된 란셋홀더를 주사기에 삽입할 때, 란셋캡 제거부재가 란셋캡과 맞닿게 되고, 그 맞닿음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란셋홀더가 더욱 삽입되면, 천자방향으로 란셋캡이 눌리는 힘이 작용하고, 그 결과 다리부재가 파괴되어 란셋몸체로부터 란셋캡이 분리되어,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몸체가 얻어지게 되며,
    분리된 란셋캡은 계속해서 란셋홀더가 삽입됨으로써 란셋홀더 안에서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24. 제 23 항에 있어서,
    란셋몸체가 후방을 향하여 뻗은 한쌍의 날개부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한쌍의 날개부의 선단에는 맞닿음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천자후에 주사기로부터 제거된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에서는, 천자개구부로부터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쌍의 날개부의 맞닿음부가 란셋홀더 안에 설치된 스톱퍼면에 맞닿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란셋홀더의 2개의 고정볼록부 중, 전방측에 설치된 볼록부A의 전방측면이 평면을 이루어 전방을 향하고 있고,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장전할 때, 란셋캡이 란셋몸체로부터 분리된 후에 플런저가 더욱 후퇴하는 것이 저지되게 된 결과, 플런저와 걸려 있는 란셋몸체가 더욱 삽입되는 것이 저지되고, 그 후 란셋홀더를 계속해서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란셋홀더의 고정볼록부와 란셋몸체의 피고정돌기부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되어 란셋몸체가 천자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일단 란셋몸체가 천자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얻어지면, 란셋몸체가 란셋홀더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란셋몸체의 피고정돌기부가 란셋홀더의 고정볼록부A의 전방측면과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26. 제 2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란셋캡에는 그 횡단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시부가 설치되고, 란셋홀더의 벽부 에는 란셋홀더의 길이방향에 따라 뻗은 슬릿부가 형성되며, 분리된 란셋캡이 란셋홀더 안에서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지시부가 슬릿부에 따르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27. 제 26 항에 있어서,
    분리된 란셋캡이 란셋홀더 안에서 천자궤도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란셋몸체의 피고정돌기부가 란셋홀더의 슬릿부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KR1020097000656A 2006-06-13 2007-06-05 란셋 어셈블리 및 천자 디바이스 KR200900213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63499 2006-06-13
JP2006163499 2006-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378A true KR20090021378A (ko) 2009-03-03

Family

ID=3883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656A KR20090021378A (ko) 2006-06-13 2007-06-05 란셋 어셈블리 및 천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90299398A1 (ko)
EP (1) EP2033576A1 (ko)
JP (1) JP5036711B2 (ko)
KR (1) KR20090021378A (ko)
CN (1) CN101466308B (ko)
BR (1) BRPI0712919A2 (ko)
CA (1) CA2654377A1 (ko)
MX (1) MX2008015516A (ko)
RU (1) RU2009100848A (ko)
WO (1) WO20071451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77646B (zh) * 2005-09-29 2010-10-13 泉株式会社 柳叶刀组件和穿刺装置
CN101410058A (zh) * 2006-04-03 2009-04-15 泉株式会社 柳叶刀组件
KR20080110859A (ko) * 2006-04-03 2008-12-19 이즈미 가부시키가이샤 란셋 어셈블리
JPWO2007145205A1 (ja) * 2006-06-13 2009-10-29 泉株式会社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
US7955348B2 (en) * 2006-06-15 2011-06-07 Abbott Diabetes Care Inc. Lancing devices and methods
US8932314B2 (en) * 2008-05-09 2015-01-13 Lifescan Scotland Limited Prime and fire lancing device with contacting bias drive and method
JP5615125B2 (ja) * 2010-10-15 2014-10-29 株式会社旭ポリスライダー ランセット穿刺デバイス
CN102028480B (zh) * 2010-12-21 2012-02-15 苏州施莱医疗器械有限公司 改进型安全便捷式一次性自动采血针
JP5753071B2 (ja) * 2011-12-20 2015-07-22 泉株式会社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穿刺デバイス
TWM482374U (zh) * 2014-03-27 2014-07-21 Medifun Corp 用於採血筆之按壓式退針機構
JP6553428B2 (ja) * 2015-06-30 2019-07-31 アークレイ株式会社 穿刺器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1697Y2 (ja) * 1992-08-28 1998-02-04 アプルス株式会社 ランセット
JP2004141389A (ja) * 2002-10-24 2004-05-20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採血補助器具
DE10312357B3 (de) * 2003-03-20 2004-07-08 Roche Diagnostics Gmbh Stechhilfe und Lanzettensystem mit Wiederverwendungsschutz sowie eine Stechhilfe dafür
US7883523B2 (en) * 2004-05-17 2011-02-08 Izumi-Cosmo Company, Limited Lancet assembly
CA2583317A1 (en) * 2004-10-06 2006-04-13 Izumi-Cosmo Company, Limited Lancet assembly
JP4432757B2 (ja) 2004-12-02 2010-03-1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そ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277646B (zh) * 2005-09-29 2010-10-13 泉株式会社 柳叶刀组件和穿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9100848A (ru) 2010-07-20
MX2008015516A (es) 2009-01-13
JP5036711B2 (ja) 2012-09-26
CN101466308A (zh) 2009-06-24
US20090299398A1 (en) 2009-12-03
EP2033576A1 (en) 2009-03-11
BRPI0712919A2 (pt) 2012-10-02
CA2654377A1 (en) 2007-12-21
WO2007145102A1 (ja) 2007-12-21
CN101466308B (zh) 2010-11-17
JPWO2007145102A1 (ja)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1378A (ko) 란셋 어셈블리 및 천자 디바이스
JP4642082B2 (ja)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穿刺デバイス
JP4635002B2 (ja)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
JP4651622B2 (ja)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
US9138185B2 (en) Lancet assembly and pricking device
JP5596823B2 (ja) ランセット穿刺デバイス
EP1913872A1 (en) Needle insertion device, and lancet assembly and injector assembly that form the same
JP5336567B2 (ja)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穿刺デバイス
KR20090018810A (ko) 란셋 어셈블리
KR20080110859A (ko) 란셋 어셈블리
JPWO2007145204A1 (ja)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
JP5469397B2 (ja) 穿刺デバイスならびにそれを構成する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インジェクターアッセンブリ
MX2008004081A (en) Lancet assembly and punctu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