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810A - 란셋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란셋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810A
KR20090018810A KR1020087030021A KR20087030021A KR20090018810A KR 20090018810 A KR20090018810 A KR 20090018810A KR 1020087030021 A KR1020087030021 A KR 1020087030021A KR 20087030021 A KR20087030021 A KR 20087030021A KR 20090018810 A KR20090018810 A KR 20090018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t
case
plunger
rear end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리타카 기타무라
데루유키 아베
가즈하루 세키
Original Assignee
이즈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즈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즈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8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175Adjustment of penetration depth
    • A61B5/150198Depth adjustment mechanism at the proximal end of the carrier of the pierc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59Improved gripping, e.g. with high friction pattern or projections on the housing surface or an ergonometric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12Pointed piercing elements, e.g. needles, lancets for pier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503Single-ended needles
    • A61B5/150519Details of construction of hub, i.e. element used to attach the single-ended needle to a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541Breakable protectors, e.g. caps, shields or sleeves, i.e. protectors separated destructively, e.g. by breaking a connecting area
    • A61B5/150549Protectors removed by rotational movement, e.g. torsion or 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58Joining techniques used for protective means
    • A61B5/150618Integrally moulded protectors, e.g. protectors simultaneously moulded together with a further component, e.g. a hub, of the pierc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94Procedure for removing protection means at the time of piercing
    • A61B5/150717Procedure for removing protection means at the time of piercing manually remov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03Piercing procedure
    • A61B5/15107Piercing being assisted by a triggering mechanism
    • A61B5/15113Manually triggered, i.e. the triggering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pressing a drive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15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 A61B5/15117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comprising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or a spring, e.g. a helical spring, leaf spring, or elastic str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86Devices loaded with a single lancet, i.e. a single lancet with or without a casing is loaded into a reusable drive device and then discarded after use; drive devices reloadable for multiple use
    • A61B5/15188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 A61B5/1519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propelling the pierc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86Devices loaded with a single lancet, i.e. a single lancet with or without a casing is loaded into a reusable drive device and then discarded after use; drive devices reloadable for multiple use
    • A61B5/15188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 A61B5/15192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retracting the lancet unit into the driving device housing
    • A61B5/15194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retracting the lancet unit into the driving device housing fully automatically retracted, i.e. the retraction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by terminating the contact with the patient's skin

Abstract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란셋 몸체로부터 돌출한 상태 그대로, 돌출한 선단부를 그 주위로부터 가급적 격리한 상태로 한 후에 주사기로부터 제거하는 천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란셋 몸체(204), 란셋 캡(206) 및 천자부재(210)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란셋(200) 및 그것을 수용하는 란셋 케이스(102)에 의해 구성되는 란셋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란셋 몸체는 돌출부(212) 및 그 후방에 위치하는 스톱퍼(213)를 가지고, 란셋 케이스는 맞닿음부(122)를 가지며, 비스듬히 후방으로 뻗은 날개부(116)를 가지고, 날개부의 후단부(120)가 케이스 몸체(114)의 옆쪽으로 끼워져 있는 경우, 날개부는 케이스 몸체의 옆쪽을 따라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Figure P1020087030021
란셋 어셈블리, 천자

Description

란셋 어셈블리{LANCET ASSEMBLY}
본 발명은, 란셋 및 그것을 수용하는 란셋 케이스로 구성되는 란셋 어셈블리, 그와 같은 란셋 어셈블리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배출기(ejector), 그리고 그와 같은 란셋 어셈블리 및 배출기로 구성되는 천자(穿刺)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는 체액 예를 들어, 혈액을 채취하기 위하여 신체 소정의 부위를 예리한 천자부재 예를 들어, 바늘로 천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당뇨병 환자의 혈당값을 측정하려고 아주 적은 양의 혈액을 채취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천자 디바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그와 같은 디바이스는, 신체 소정의 부위를 천자하는 천자부재(예를 들어, 금속제 바늘)를 가지는 란셋 및 주사기로 구성되고,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상태의 란셋을 소정 부위를 향하여 발사시키는 주사기에 그와 같은 란셋을 조합하여, 주사기 안에서 압축된 스프링이 신장(伸長)하는 작용을 이용하여 란셋을 소정 부위를 향하여 발사시킴으로써 이용한다.
이와 같은 천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채혈을 하는 경우, 사용후의 란셋 처리에 특별히 주의가 필요하다. 천자한 후의 란셋에는 통상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피채혈자의 혈액이 미량 묻어 있는 상태에서 란셋 몸체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 선단부에 피채혈자 본인 이외의 사람 예를 들어, 채혈작업을 실시한 간호사 의 신체 일부가 잘못하여 닿았을 경우, 선단부가 그 부분에 상처를 내어 그 상처로부터 혈액이 그 사람 안으로 들어가고, 그 결과 그 사람이 감염증에 옮아버릴 위험이 있다.
공지의 천자 디바이스에서는, 천자후의 란셋 처리에 대해서는 반드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예를 들어 천자후에 노출된 천자부재의 선단부에 캡을 씌우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후술하는 미국특허명세서 제5385571호 공보 참조). 이 디바이스에서는 캡을 씌우기 위하여 선단부가 노출된 상태의 란셋을 주의깊게 다루어야 하고, 그러한 의미에서는 상술한 위험성이 충분히 해소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천자 디바이스에서는 천자후의 란셋 취급이 매우 중요하고, 천자후 보다 안전한 상태가 된 후에 란셋을 다룰 수 있는 천자 디바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천자후,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란셋 몸체로부터 돌출한 상태 그대로 란셋이 주사기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돌출한 선단부를, 그 주위로부터 가급적 격리시킨 상태로 한 후에 란셋을 주사기로부터 제거하는 천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요지에서 본 발명은,
란셋 및 그 일부분을 수용하는 란셋 케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란셋 어셈블리로서,
란셋은 란셋 몸체, 란셋 캡 및 천자부재(통상은 금속제 천자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란셋 케이스는 전단개구부 및 후단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 몸체, 그리고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위치하는 쌍(雙)을 이루는 날개부를 가지며,
란셋에서는 천자부재가 란셋 몸체 및 란셋 캡에 걸쳐서 이것들의 안에 존재하고,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란셋 캡에 의해 둘러싸이며,
란셋 몸체는 돌출부 및 그 후방에 위치하는 스톱퍼(stopper)를 가지고,
란셋 케이스의 각 날개부는 전단부 및 후단부 그리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맞닿음부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전단부는 케이스 몸체에 일체로 접속되고 후단부는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질 수 있으며,
날개부의 후단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져 있지 않은 경우, 날개부의 후단부는 케이스 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그 결과 날개부는 케이스 몸체의 옆쪽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며,
날개부의 후단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져 있는 경우, 날개부는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따라 위치하는 상태가 되는(그 결과, 맞닿음부의 뒤쪽은 란셋 몸체의 돌출부의 앞쪽에 접촉가능하게 되어, 이에 의해 돌출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란셋 어셈블리에서 란셋은 수지성형품(수지를 예를 들어 사출성형하여 얻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있어서 하나의 형태에서는, 란셋 캡과 란셋 몸체가 약화(弱化)부분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있도록 구성되고,
약화부분의 전방에 위치하는 란셋 캡의 후방부분, 약화부분 및 약화부분의 후방에 위치하는 란셋 몸체의 전방부분은 란셋 케이스 안에 그 일부로서 위치한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있어서 다른 형태에서는, 란셋 캡과 란셋 몸체가 독립된 부재이어도 되고, 이러한 경우 란셋 캡의 후방부분 및 란셋 몸체의 전방부분은 란셋 케이스 안에 그 일부로서 위치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란셋 캡과 란셋 몸체가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이 부재들이 이간(離間)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다른 형태에서는 이 부재들이 이간되어 있고 천자부재가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져 있는 상태의 날개부의 후단부에 바깥쪽을 향하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후단부는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져 있지 않은 상태로 탄성적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즉, 날개부는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펼쳐진다.
제2 요지에서 본 발명은,
상술하는 또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를 장전하고,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 몸체를 발사시키는 주사기로서,
그 내부에 선단부가 노출된 천자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란셋 몸체를 발사시키는 플런저, 및 날개부를 바깥쪽으로 펼치는 부재(즉, 날개부 확장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주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를 본 발명의 주사기와 조합하여 본 발명의 천자 디바이스로서 이용하는 경우,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삽입하여 장전하고, 란셋 캡을 비틀어떼어 제거하는 것 만으로 천자준비가 완료된다. 또한, 천자후에는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란셋 몸체로부터 돌출한 상태 그대로인데, 란셋 케이스 안에 그 주위로부터 실질적으로 격리된 상태에서 주사기로부터 제거하는 천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한편, '그 주위로부터 실질적으로 격리된 상태'란, 천자후에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서 천자부재의 노출된 선단부가 란셋 케이스 안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고, 일상적인 천자조작에서는 채혈하는 사람이 그 선단부에 통상 닿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를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의 구조를 알 수 있도록, 란셋 케이스의 앞쪽 절반을 절제(切除)한 상태(날개부는 닫혀 있음)를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란셋을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란셋 케이스를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5는 란셋 어셈블리를 장전하는 주사기를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6은 란셋 어셈블리가 장전된 상태의 주사기를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란셋 케이스를 비스듬히 뒤쪽에서 본 경우(날개부는 열려 있음)를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란셋 케이스를 비스듬히 뒤쪽에서 본 경우(날개부는 닫혀 있음)를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의 구조를 알 수 있도록 란셋 케이스의 앞쪽 절반을 절제한 상태(날개부는 열려 있음)를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란셋의 다른 형태를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11은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장전하기 위하여 란셋 어셈블리를 삽입하여 란셋 몸체가 플런저의 전단부에 맞닿았을 때의 모습을, 주사기의 하우징 앞쪽의 하우징 절반을 절제한 상태에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12는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장전하기 위하여 란셋 어셈블리를 삽입하여 란셋 몸체가 플런저의 전단부에 맞닿았을 때의 모습(도 11과 같은 상태)을, 란셋 케이스, 배출기, 드럼 등의 앞쪽 절반을 절제한 상태에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13은 플런저를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14는 란셋 몸체의 후단부가 플런저에 파지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 11과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15는 란셋 몸체의 후단부가 플런저에 파지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 12와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16은 플런저가 가장 밀려들어가서 란셋 케이스의 날개부가 펼쳐진 모습을 도 11과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17은 플런저가 가장 밀려들어가서 란셋 케이스의 날개부가 펼쳐진 모습을 도 12와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18은 란셋의 장전이 완료된 상태(발사가능상태)의 모습을 도 11과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19는 란셋의 장전이 완료된 상태(발사가능상태)의 모습을 도 12와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0은 주사기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하우징 절반을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1은 란셋 캡을 비틀어 떼어낸 상태를 도 12와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2는 트리거 버튼을 눌렀을 때의 모습을 도 12와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3은 천자부재가 소정 부위를 천자할 때의 모습을 도 11과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4는 천자부재가 소정 부위를 천자할 때의 모습을 도 12와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5는 천자부재가 소정 부위를 천자한 후에 후퇴하였을 때의 모습을 도 11과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6은 천자부재가 소정 부위를 천자한 후에 후퇴하였을 때의 모습을 도 12와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7은 천자가 끝난 후에 란셋 어셈블리의 배출을 시작하였을 때의 모습을 도 11과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8은 천자가 끝난 후에 란셋 어셈블리의 배출을 시작하였을 때의 모습을 도 12와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9는 란셋 어셈블리의 배출 도중에 스톱퍼가 밖으로 나왔을 때의 모습을 도 11과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30은 란셋 어셈블리의 배출 도중에 스톱퍼가 밖으로 나왔을 때의 모습을 도 12와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31은 란셋 어셈블리의 배출 도중에 란셋 몸체가 플런저로부터 떨어졌을 때의 모습을 도 11과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32는 란셋 어셈블리의 배출 도중에 란셋 몸체가 플런저로부터 떨어졌을 때의 모습을 도 12와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33은 란셋 어셈블리의 배출이 완료되는 모습을 도 11과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34는 란셋 어셈블리의 배출이 완료되는 모습을 도 12와 마찬가지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35는 배출기를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36은 배출되는 란셋 어셈블리를 란셋 케이스의 앞쪽을 절제한 상태에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37은 링형상부재 및 충돌부재를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38은 회전제한부재를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부호의 설명**
100,100': 란셋 어셈블리 102: 란셋 케이스
104: 전단개구부 106: 전단개구부
107: 후단개구부 108: 후단부
110: 전단부 112: 볼록부
114: 케이스 몸체 116: 날개부
117: 후단개구부 규정벽 118: 전단부
119: 벽둘레 120: 후단부
121: 슬릿부 122: 맞닿음부
124: 경사면 126: 후부면
127: 날개부 수용공간 128: 측면
129: 돌출부 130: 후단면
131: 오목부 132: 후단벽
133: 박육부 135: 채널
140: 레일 200: 란셋
202: 후단부 204: 란셋 몸체
206: 란셋 캡 207: 꼭대기부
208: 약화부분 209: 돌기부
210: 천자부재 212: 돌출부
213: 스톱퍼 215: 돌출부재
216: 돌기부 217,217': 끼움부
218: 볼록부 219: 오므라짐부
221: 후방면 222: 돌출부
223: 슬로프면 231: 앞쪽면
300: 주사기 301: 플레이트형상부
302: 전단개구부 303: 돌기
304: 돌출부 306, 308: 주사기 하우징 절반
309: 하우징 310: 플런저
312: 배출기 314: 전단부
315: 시트면 316: 오목부
320, 322: 다리부 324: 돌기부
325: 앞쪽면 326: 회전축
327: 뒷경사면 328: 트리거 레버
330: 어깨부 340: 쐐기형상부재
341: 선단부 342: 슬로프
344: 전방칸막이 345: 개구부
346: 돌기 347: 뒤쪽면
348: 오목부 349: 앞쪽면
350: 푸쉬버튼 351: 바닥판
352: 푸셔 354: 조작버튼
355: 채널 356: 작용부
357: 리턴 스프링 358: 후방칸막이
360: 천자깊이조절용 드럼 361: 링부재
362: 플런저 후단부 363: 개구부
365: 충돌부재 366: 회전노브
367,367': 충돌부위
371, 371', 373, 373': 계단
380: 회전제한부재 384: 제1 통부
386: 제2 통부 388: 모따기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와 그것을 구성하는 란셋 및 란셋 케이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주사기, 그리고 본 발명의 천자 디바이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방향 또는 위치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전' 또는 '후'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 용어는 문맥상 이해할 수 있는 어느 포인트(또는 부재, 요소 등)를 기준으로 하여, 그 포인트로부터 천자부재가 소정 부위를 천자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방향 즉, 천자방향을 나타내는데 '전'을 사용하고, 그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나타내는데 '후'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방향 또는 위치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안' 및 '밖'이라는 용어도 사용한다. 이 용어는 문맥상 이해할 수 있는 어느 포인트(또는 부재, 요소 등)를 기준으로 하여, 그 포인트로부터 천자부재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데 '안'을 사용하고, 그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나타내는데 '밖'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100)를 도 1에서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란셋 어셈블리(100)는, 란셋 케이스(102) 및 그 안에 일부분이 수용되어 있는 란셋(200)으로 구성된다. 한편, 란셋 어셈블리의 구조를 알 수 있도록, 란셋 케이스(102)의 앞쪽 절반을 절제한 상태의 모식적 사시도를 도 2에 나타낸다. 이 도면들은 란셋 케이스(102)에 란셋(200)이 조립되어 어셈블리로서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상태의 어셈블리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사기에 삽입하여 장전할 수 있으며, 통상 도 1에 도시한 상태로 어셈블리(100)를 시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란셋(200) 및 란셋 케이스(102)를 도 3 및 도 4에 각각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4에서는 란셋 케이스의 날개부(116)가 바깥쪽을 향하여 펼쳐진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란셋 케이스와 다르다.
도 5에 란셋 어셈블리를 장전하는 주사기(300)를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6에 란셋 어셈블리(100)가 장전된 상태의 주사기(300)를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낸다. 주사기(300)는, 주사기 하우징의 절반(306, 308)에 의해 규정되는 하우징(309)의 내부 공간에,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란셋 어셈블리를 장전하여 란셋 몸체의 발사 준비를 하는 기구,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 몸체를 발사시키는 기구, 또한 발사후에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 몸체를 가지는 란셋 어셈블리를 안전한 상태로 배출시키는 기구의 대부분을 수용한다. 한편, 후술하는 트리거 버튼(trigger button)(350), 배출버튼(354) 및 깊이조절 손잡이(366)는 하우징(309)의 바깥쪽에 존재한다.
란셋 어셈블리(100)의 주사기(300)로의 장전은, 주사기의 전단개구부(302)로 부터 그 내부(즉, 뒤쪽)를 향하여 맨처음에 란셋 케이스(102)의 후단부(108)를, 그 후 란셋 케이스(102)의 많은 부분을 삽입함으로써 실시한다. 란셋 케이스(102)는 그 전단부(100)의 후방 바깥쪽에 설치한 볼록부(또는 돌기)(112)를 가지며, 그 볼록부(112)가 주사기의 전단개구부(302)를 규정하는 벽에 설치된 돌출부(304)를 타고 넘었을 때, 란셋 어셈블리의 주사기로의 장전이 완료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전이 완료된 상태를 도 6에 나타내며, 이 때, 란셋 케이스(102)의 날개부(116)의 후단부(120)는 날개확장부재(342)(도 20 참조)에 접촉하여 이에 의해 펼쳐진 상태(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출기(312)의 작용부(356)(도 35 참조)가 란셋 케이스의 후단부에 맞닿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사시도로 나타내는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란셋(200)은, 란셋 몸체(204) 및 란셋 캡(206)을 가지고 이루어지며, 이것들은 약화부분(208)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란셋(200)에 있어서, 천자부재(210)(도 3에서는 보이지 않고, 도 36에서는 그 선단부만 도시함)가 란셋 몸체(204) 및 란셋 캡(206)에 걸쳐서 이것들의 안에서 뻗어 있으며, 천자부재(210)의 선단부가 란셋 캡(20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와 같은 란셋(200)은 천자부재(210)를 인서트한 수지성형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란셋 몸체(204)는 그 바깥쪽에 돌출부(212)를 가진다. 돌출부(212)는 천자부재를 통하여 마주보도록 쌍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란셋이 란셋 몸체(204) 및 란셋 캡(206)을 가지고 이루어지고, 이것들이 약화부분(208)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는 란셋의 기본적인 형태는 이미 알 려져 있다.
이 란셋 몸체의 돌출부(212)는 란셋 몸체 주위의 일부분에 존재하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천자부재 주위에서 그것에 대하여 대칭으로(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자부재의 위쪽 및 아래쪽에) 존재한다. 단, 이 돌출부(212)는, 날개부(116)가 케이스 몸체(114)의 위쪽 및 아래쪽 측면에 끼워진 상태(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날개부(116)의 맞닿음부(122)와 맞닿음으로써 란셋 케이스 안에서의 란셋 몸체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12)는 란셋이 란셋 케이스 내에서 후퇴하였을 경우, 그 후단개구부(107)를 규정하는 벽의 안쪽에 맞닿아서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한다.
다른 형태에서 란셋 몸체(204)의 돌출부(21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 몸체의 실질적으로 전체 둘레에 따라 복수개의 이간된 돌출부재로서 존재하여도 되고, 그러한 경우, 모든 돌출부재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가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란셋 몸체의 위쪽 및 아래쪽의 돌출부재가 이동을 제한하고, 오른쪽 및 왼쪽의 돌출부재(215)는 다른 기능을 가져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날개부의 맞닿음부와의 맞닿음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돌출부재, 특히 날개부가 존재하지 않는 케이스 몸체 측면의 안쪽과 마주보는 돌출부재(215)에 대해서는, 케이스 몸체의 안쪽에 설치한 천자방향에 따라 뻗어 있는 채널(135)(도 4 참조)에 끼워져 가이드되도록 구성하여도 되고, 그에 의해 란셋 발사시의 란셋 몸체의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이 안정화된다.
이와 같은 란셋 몸체에 설치하는 돌출부는, 란셋 몸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부재에 대해서는 필수이지만, 란셋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안정화에 기여하는 돌출부재에 대해서는,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반드시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돌출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돌출부를 구성하는 모든 돌출부재가 천자방향에 관하여 란셋 몸체의 같은 부분의 주위에 반드시 존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란셋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가지는 돌출부재는, 스톱퍼(213)보다 전방에 존재하면 란셋 몸체의 어느 적당한 부분에 존재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위치보다 전방(예를 들어, 도 10에 설치한 돌출부재(230)의 위치)에 설치하여도 된다. 그러한 경우, 란셋 어셈블리의 상태에서는, 란셋 케이스의 후단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할 수 있는 란셋 몸체의 최소길이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란셋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지는 다른 돌출부재(215)는 다른 위치(예를 들어, 도 3의 돌출부재(215) 위치 또는 그보다 후방의 위치)에 배치하여도 된다.
이후, 본 명세서에서 '란셋 몸체의 돌출부'라고 간단히 언급하는 경우, 이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돌출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란셋 몸체의) 돌출부'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란셋 몸체의 돌출부(212)는 란셋 케이스 안에서의 란셋 몸체의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데, 란셋 몸체의 돌출부는 천자방향에 대하여 떨어진(즉, 앞뒤로 떨어진) 란셋 몸체의 서로 다른 2군데에 존재하는 돌출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이 돌출부재들은 스톱퍼(213)보다 전방에 존 재하여야 한다.
도 10에 그와 같은 형태의 란셋을 도 3과 마찬가지로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란셋 몸체에 설치한 돌출부(212)가 천자방향을 따라 떨어진 2군데에서 앞쪽 돌출부재의 상하의 쌍(230) 및 뒤쪽 돌출부재의 상하의 쌍(2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란셋과 다르다. 한편, 도 10에서는 가이드 기능을 가지는 돌출부재(215)를 단일 형태로 하고 있다(도 3에서는 상하로 분할한 2개의 돌출부재(215)의 형태임). 도시한 형태에서는, 앞쪽의 쌍(230)은 날개부(116)의 맞닿음부(122)와 맞닿아서 란셋 몸체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뒤쪽의 쌍(232)은 케이스 몸체의 후단개구부를 규정하는 벽의 안쪽과 맞닿아서 란셋 몸체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술한 란셋 몸체의 돌출부(212)의 형태에 대해서는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러가지 형태(예를 들어, 핀, 막대, 이랑모양의 단일 형태) 또는 이 여러가지 형태의 조합이어도 된다. 한편,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날개부(116)는 케이스 몸체의 측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끼워지는 경우에 날개부가 돌출부를 누르는 것이 어떠한 이유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돌출부의 높이가 제조상 불규칙적인 치수 등에 의해 약간 커서, 끼우는 날개부가 맞닿음부의 꼭대기부와 맞닿는 경우 등). 돌출부는 날개부의 그와 같은 압착에 의해 돌출부의 돌출높이(즉, 란셋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부 꼭대기부까지의 거리)가 줄어드는 형태(즉, 플렉시블한 형태)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스톱퍼(213)와 마찬가지의 손톱 또는 버(burr) 등의 형태이어도 된다. 단, 이러한 경우에는, 손톱 등의 돌출방향 즉, 돌출부의 선단은 란셋 몸체로부터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형태에서는 돌출부(212), 특히 앞쪽에 위치하는 돌출부재는, 도 10의 돌출부재(230)와 같이 란셋 몸체로부터 도시하는 바와 같이 L자형상으로 뻗은 형태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도시하는 바와 같이, L자의 선단이 전방을 향한다. 뒤쪽의 돌출부재(232)의 형태도 앞쪽과 마찬가지 형태이어도 되는데,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톱, L자, 버의 형태와 비교하여 탄력성(flexibility)이 없는 막대 또는 이랑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란셋 몸체(204)의 후단부(20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란셋을 발사하는 주사기의 플런저(310)의 전단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그 바깥쪽에 볼록부, 바람직하게는 둘레형상 플랜지 형태의 볼록부(218)를 가지며, 이 볼록부는, 주사기의 플런저(310)의 전단부(314)(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다리부)의 안쪽에 설치된 상보적인 오목부(316)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볼록부 및 오목부 대신에, 란셋 몸체의 후단부에 오목부를, 플런저의 전단부에 볼록부를 사용할 수 도 있다.
란셋 몸체(204)는 볼록부(218)의 앞쪽면과 마주보는 면(221)을 더 가지고 이루어진다. 이 후방면(221)은 란셋 몸체의 후단부(202)가 플런저(310)에 파지된 상태에서는, 그 선단에 설치한 시트면(또는 좌면(座面)(315)에 맞닿아 밀접한 상태가 된다.
란셋 몸체(204)는 상술한 돌출부(212)의 후방에 쌍을 이루는 스톱퍼(213)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이 스톱퍼는 케이스 몸체(114)의 후단개구부(107)로부터 밖으로 나온 뒤에는, 스톱퍼(213)가 케이스 몸체(114)의 후단개구부(107)로부터 란셋 케이스(102)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케이스 몸체(114)의 후단개구부(107)를 통과하는 란셋 몸체(204)의 이동에 관하여 한방향만의 이동(즉, 후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여, 스톱퍼(213)는 후단개구부를 통과하여 란셋 케이스의 바깥쪽으로 나오는 것은 가능하지만, 란셋 케이스의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란셋 몸체의 다른 방향의 이동(즉,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와 같은 스톱퍼(213)는 란셋 몸체(204)로부터 비스듬하게 앞쪽·바깥쪽을 향하여 뻗어 있는 돌출부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손톱 형태 또는 버 형태이고, 천자부재를 사이에 두고 그 양쪽에 쌍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형태에서는, 상술한 돌출부재(230)와 같이 L자형태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스톱퍼는 다음과 같이 기능하도록 설계한다:
란셋 몸체의 스톱퍼를 가지는 부분이, 란셋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후단개구부(107)로 뒤쪽을 향하여 통과하여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일단 통과하여 밖으로 나온 후에는 란셋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후단개구부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여도, 스톱퍼(213)의 선단부가 케이스 몸체의 후단개구부(107)를 규정하는 벽의 바깥쪽에 맞닿아서, 그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앞쪽을 향한 힘을 란셋 몸체에 가하면, 스톱퍼가 바깥쪽을 향하여 펼쳐지려고 하기 때문에, 스톱퍼는 란셋 케이스의 내부로 들어갈 수 없게 한다. 따라서, 스톱퍼는 한방향에 대해서만 정지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와 같은 스톱퍼는 란셋을 수지로 형성하고, 이에 의해 그 탄성을 이용함으로써 한층 유효하게 기능한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란셋 어셈블리의 사용후에 그것을 주사기로부터 배출할 때, 란셋 케이스를 란셋 몸체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톱퍼를 케이스 몸체의 후단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빼낸 후에는, 란셋 몸체의 스톱퍼는 란셋 케이스의 내부로 들어갈 수 없고, 따라서 란셋 몸체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란셋 몸체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일단 사용한 란셋 어셈블리를 천자에 다시 사용할 수 없다.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란셋 캡(206)은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216), 바람직하게는 란셋 캡의 천자방향에 관한 소정 부위에서의 실질적으로 주위 전체에 걸쳐서 뻗어 있는 돌기부(216)를 가진다. 다른 형태에서는 천자부재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2군데(예를 들어, 란셋 캡의 위쪽과 아래쪽) 또는 그 이상의 부위에 돌기부를 가져도 된다. 이 돌기부의 바깥쪽 윤곽은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의 안쪽 윤곽보다 크고, 그 결과 돌기부(216)는 전단개구부(106)로부터 란셋 케이스(102) 안의 공간 안으로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란셋을 란셋 케이스에 삽입하여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할 때, 돌기부가 란셋 케이스의 전단에 맞닿아서 란셋 케이스에 대하여 란셋이 더욱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란셋의 란셋 캡(206)의 전방부(214)는, 약화부분(208)(존재하는 경우)을 파괴할 때 잡도록 손잡이부(grip)를 구성하고, 그 후방에는 돌기부(216)를 가진다. 돌기부(216)는 란셋 캡 주위에서의 차양형상, 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옆쪽에서의 막대 또는 이랑 형태의 연장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케이스 바디(114)의 전단개구부(106)를 규정하는 벽면에 맞닿아서 란셋(200)이 란셋 케이스(102)에 대하여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한편, 손잡이부(214)는 그것을 손가락 끝으로 잡아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300)에 장전하기 위하여, 주사기의 전단개구부에 넣어 후퇴시키는 경우에 힘을 가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방부(214)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평한 형태이어도 된다.
상술한 돌기부(216)의 뒤쪽에 란셋 캡은 끼움부(217)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끼움부는 란셋 캡 주위에 위치하는 돌출부이며, 그 윤곽(그 천자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가장 바깥 부분은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106)에 끼워지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란셋 캡을 란셋 케이스에 삽입하면 끼움부가 란셋 케이스 안으로 끼워지고,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106)에 인접하여 그 앞쪽에 란셋 캡의 돌기부(216)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끼움부가 존재하는 경우, 란셋 캡을 란셋 케이스에 삽입하여 란셋 어셈블리를 조립할 때, 끼움부를 란셋 캡에 끼우면 란셋 케이스 안에서 란셋 캡이 불필요하게 움직이지 않고 일시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끼움부는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에 끼워져서 란셋을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 그 형태 및 개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끼움부는 후방을 향하여 오므라지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돌기부의 뒤쪽에 위치하는 끼움부는 후방을 향하여, 바람직하게는 천자부재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면(즉, 슬로프면)을 적어도 1개 가진다. 이 슬로프면을 천자부재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 이 면은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를 규정하는 벽의 변을 오르도록 이동한다. 따라서, 천자부재의 연장방향 둘레에서 란셋 케이스에 대 하여 란셋 캡을 회전시키면(즉, 비틀면), 란셋 케이스에 대하여 란셋 캡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약화부분에는 회전 및 떼어놓는 힘이 모두 작용하기 때문에, 약화부분의 파괴를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슬로프면은 천자방향 주위에서의 란셋 캡의 회전시에,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를 규정하는 벽의 변에 접촉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움부(217)는 후방을 향하여 오므라짐부(219)를 가지고, 그 결과 돌기부의 뒤쪽에 위치하는 끼움부는 후방을 향하여 천자부재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슬로프면(223)을 적어도 1개 가진다. 약화부분을 파괴하기 위하여, 란셋 캡(206)을 란셋 몸체(204)에 대하여, 따라서 란셋 케이스(102)에 대하여 회전시키면(따라서, 이 슬로프면을 천자부재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면), 슬로프면(223)은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를 규정하는 벽둘레(119)를 오르도록 이동한다. 따라서, 비틀면, 란셋 케이스에 대하여 란셋 캡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와 같은 돌기부(216)의 뒤쪽에 위치하는 끼움부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 후방의 연장부이어도(따라서, 돌기부와 일체이어도), 돌기부로부터 공간을 사이에 두고 떨어진 독립한 부분이어도 된다. 또한, 오므라지는 형태를 가지는 경우, 끼움부의 전체 또는 그 일부분이 상술한 바와 같은 오므라지는 형태이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란셋에서는, 돌기부(216)의 뒤쪽에 접하여 오므라짐부(219)를 가지는 끼움부(217)(도시한 형태에서는 란셋 캡의 돌기부 뒤쪽의 위쪽 및 아래쪽)가 2개 존재하고, 또한 통상의 돌출부 형태의 끼움부(217')가 그들 사이에 보조적으로 위치한다. 한편, 끼움부의 오므라짐부에서는 란셋 케이스의 내측면 과 마주보는 면이 슬로프면(22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서는 란셋 캡의 끼움부가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에 압입 끼워맞춤(press fit)에 의해 끼워지는 형태를 가지며, 란셋 어셈블리의 상태에서 란셋 캡의 돌기부가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에 맞닿은 상태로 보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끼움부가 부분적으로 오므라짐부를 가지면, 그것을 규정하는 슬로프면은 란셋 캡의 끼움부가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에 원활하게 압입 끼워맞춤할 수 있는 것을 조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워져 들어가는 끼움부가 존재함으로써, 란셋 어셈블리를 조립하였을 경우,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란셋은 란셋 케이스 안에서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이는, 이 상태에서는 란셋 캡을 비틀어 떼기 어려워(비틀어 떼는 것이 절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사용 및 천자시에 실수(miss)가 일어나지 않고, 안전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란셋(200)에서는, 란셋 몸체(204) 및 란셋 캡(206)이 천자부재(210)의 연장방향 둘레에서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함으로써, 혹은 이것들이 천자부재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대적으로 멀어지도록 작용하는 힘에 의해 약화부분(208)이 파괴되도록 이것들이 결합되어 있으며, 그 후 란셋 캡(206)을 란셋 몸체(204)로부터 멀어지게 하면, 천자부재(210)의 선단부가 란셋 몸체로부터 노출되게 되어 있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란셋 케이스(102)의 케이스 몸체(114)가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각통 형태이며,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106)로부터 내부로 란셋(200)의 후단부(202)를 후방을 향하여 삽입함으로써 란셋 어셈블리(100)가 조립된다. 란셋 케이스(102)는 그것을 구성하는 케이스 몸체(114)의 양단에 개구부(106, 107)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천자할 때에는 전단개구부(106)에 천자할 소정의 부위(예를 들어, 손가락 끝)를 댄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란셋 케이스(102)는, 케이스 몸체(114) 및 그 측면에 위치하는 날개부(116)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상술한 또한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날개부(116)는 케이스 몸체의 옆쪽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 뻗어 있는 장척(長尺)부재이고, 암(arm)형상부재라고 부를 수도 있으며, 란셋 케이스의 마주보는 측면에 쌍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날개부(116)는 그 전단부(118)와 후단부(120) 사이에서 안쪽으로 돌출하는 맞닿음부(122)를 가진다. 전단부(118)가 케이스 몸체(114)와 일체로 결합되며, 후단부(120)는 케이스 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떨어진 자유로운 상태 즉, 날개부(116)가 열린 상태이다. 한편, 란셋 케이스(102)의 성형에 의해 제조된 직후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116)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으로 약간 열린 상태이다. 즉, 란셋 케이스의 날개부(116)는 특별히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지 않는 한, 바깥쪽을 향하여 펼쳐진 상태에 있다.
란셋 케이스는 수지성형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여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의 후단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진 상태로 하는 경우, 날개부는 바깥쪽을 향해 펼쳐진 상태로부터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따라 위치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한 상태에 있다. 한편,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는 날개부 를 수용하는 공간(127)을 가진다. 이 공간의 크기는 날개부(116)를 실질적으로 전부 수용할 수 있으며, 날개부(116)의 외측면이 케이스 몸체와 일체로 란셋 케이스의 실질적으로 단일한 측면을 형성하도록(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가 그와 같은 측면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가 란셋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거의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는 날개부를 정확히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경우 끼워진 날개부와 케이스 몸체가 일체가 되어 란셋 케이스의 측면을 규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공간은 란셋 케이스 안의 공간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따라 위치하는 경우, 날개부가 바깥쪽을 향하여 펼쳐지려고 하는 힘(수지에서 유래하는 탄성력)에 대하여, 날개부의 예를 들어 후단부에는 힘이 작용하고, 그에 의해 날개부는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진 상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날개부의 후단부에 작용하는 힘은 예를 들어, 날개부의 후단부와 케이스 몸체의 사이에서 (예를 들어, 후단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압입 끼워맞춤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력, 혹은 날개부의 후단부가 케이스 몸체 옆쪽의 공간부가 가지는 오목부에 끼워짐으로써(예를 들어, 후단부가 케이스 몸체의 오목부에 스냅 끼워맞춤(snap fit) 됨으로써) 발생한다. 따라서, 그와 같은 힘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그와 같은 힘을 제거하면, 날개부는 바깥쪽을 향하여 펼쳐진 상태인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 즉, 탄성적으로 원래의 형상으로 변해간다. 도 7 및 도 8에 날개부(116)가 케이스 몸 체(114)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상태(즉, 날개부(116)가 열려 있는 상태) 및 케이스 몸체(114)의 옆쪽에 끼워져 있는 상태(즉, 날개부(116)가 닫혀 있는 상태)를 케이스 몸체의 비스듬한 후방으로부터 본 모습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날개부(116)를 수용공간(127)으로 끼우는 것은, 날개부 전체 또는 일부분(예를 들어, 후단부(120))의 압입 끼워맞춤 또는 스냅 끼워맞춤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부(116)는 그 옆쪽에 돌출부(129)를 가지고, 또한 수용공간(127)은 그와 같은 그 돌출부가 끼워지는 공간부로서의 오목부(131)를 옆쪽에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129)는 후방을 향하여 서서히 확장되는 형상, 특히 도시하는 바와 같은 삼각날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날개부의 케이스 몸체의 옆쪽으로의 끼움에 대한 확실성이 향상된다. 특히, 삼각날개부의 경우, 날개부 후단부의 케이스 몸체의 옆쪽으로의 끼움이 쉬워지고, 또한 끼운 상태로부터 날개부를 원래 형상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후단부에 가하는 바깥쪽을 향한 힘이 보다 작아도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한 란셋 케이스에서 날개부는 그 후단부의 폭이 크고, 후단부보다 전방의 폭은 조금 작다. 그 결과, 날개부의 양측에서는 케이스 몸체와의 사이에 작은 슬릿(121)이 형성된다(도 8 참조). 이 상태에서도 날개부(116)의 바깥쪽 표면과 케이스 몸체(114)의 측면(날개부를 가지는 측면)은 실질적으로 단일한 표면(약간 만곡(彎曲)되어 있는 표면)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날개부(116)가 열린 상태의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를 도 2와 마찬가지로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상태에서는 란셋 몸체의 돌출부(212)가 날개부(116)의 맞닿음부(122)에 닿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부(116)가 수용공간(127)에 끼워져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따라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날개부가 탄성적으로 변형한 상태이며, 엄밀하게는 날개부가 약간 만곡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와 같은 만곡을 가급적 줄이기 위하여, 날개부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케이스 몸체를 구성하는 벽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얇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함께 날개부의 두께보다 얇게 해두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케이스 몸체에 이와 같은 박육부(薄肉部)를 설치함으로써, 날개부의 후단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졌을 경우, 날개부가 실질적으로 만곡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그 전체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116)의 전단부(118) 전방을 구성하는 란셋 케이스의 벽부분을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육부(13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날개부(116)의 전단부(118)로부터 전단개구부(106)까지 박육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지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부의 후단부에 힘이 작용하는 대신, 혹은 그와 함께, 날개부의 다른 부분 예를 들어, 후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힘이 작용하도록 설계하여도 되고, 또 다른 형태에서는, 실질적으로 날개부 전체에 그와 같은 힘이 작용하도록 설계하여도 된다. 따라서, 바꾸어 말하면, 그와 같은 힘은 날개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작용한다.
한편, 란셋 케이스(102)는 케이스 몸체(114)의 안쪽 측면(날개부가 존재하지 않는 측면)에 채널부(135)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란셋 몸체의 돌출부재(215)가 이 채널부에 따라 가이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란셋 몸체(204)는 2종류의 돌출부재(212, 215)를 가지고 이루어져도 되고, 이 돌출부재들은 천자부재의 연장방향에 따라 같은 부분이어도 혹은 서로 다른 부분이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낸 형태는 전자의 형태이며, 이러한 경우 돌출부재는 란셋 몸체 주위의 실질적으로 전체 둘레에 존재하게 된다. 도 10에 나타낸 형태는 후자의 형태이며, 돌출부재(230)와 돌출부재(215)가 전후관계에 있고, 더구나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부(212)가 돌출부재(230)와 돌출부재(232)와 전후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란셋 케이스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수지재료(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스틸렌 수지, POM(폴리아세탈 수지), 나일론 수지,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염화비닐 수지, 엘라스토머 수지, 실리콘, 고무계 수지,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등)를 이용하여, 성형방법(특히, 사출성형법)에 의해 케이스 몸체 및 날개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란셋에 대해서는 천자부재가 통상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고, 예를 들어 스틸렌 스틸제이며, 그 이외의 부분은 란셋 케이스와 마찬가지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통상 천자부재를 인서트한 사출성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란셋 및 란셋 케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장전하여 소정의 부위를 천자한다.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즉, 날개부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조립된 란셋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란셋(200)은 란셋 몸체의 돌출부(212)와 날개부(116)의 맞닿음부(122)의 작용에 의해 란셋(200)에 앞쪽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여도 케이스 몸체(114)의 전단개구부(106)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고, 또한 후단개구부(107)를 규정하는 벽(117)과 돌출부(212)의 작용에 의해 란셋(200)에 뒤쪽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여도 후단개구부(107)로부터도 빠져나가지 않는다.
도 10에 나타내는 란셋의 경우, 전단개구부(106)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돌출부재(230)이고, 후단개구부(107)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돌출부재(232)이다. 이 돌출부재(230, 232)들은 돌출부(212)를 구성한다. 따라서, 날개부(116)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도 10의 란셋에서도 도 3에 나타내는 란셋과 마찬가지로, 돌출부가 란셋 케이스(102) 안에서의 란셋 몸체(204)의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에 있어서, 란셋 케이스 안에 란셋을 삽입하고, 란셋 케이스 안에 약화부분이 위치하며, 란셋 몸체의 돌출부가 란셋 케이스의 날개부의 맞닿음부와 케이스 몸체의 후단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는,
(a) 란셋 캡의 일부분(뒷부분) 및 란셋 몸체의 일부분(앞부분)이 란셋 케이스 안에 수용되고(즉, 란셋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있다);
(b) 란셋 케이스의 날개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란셋 몸체의 돌출부가 날개부의 맞닿음부와 케이스 몸체의 후단개구부의 사이에서 앞뒤 로 이동할 수 있는데, 맞닿음부와의 맞닿음에 의해 그보다 전방으로는 이동할 수 없고, 또한 케이스 몸체의 후단개구부를 규정하는 벽과의 맞닿음에 의해 그보다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c) 란셋 케이스의 날개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펼쳐진 상태에서는, 란셋 몸체의 돌출부가 날개부의 맞닿음부에 맞닿지 않게 되고, 따라서 맞닿음부보다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도 9 참조).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한 란셋 어셈블리(100)를 도 5에 나타내는 주사기(300)의 전단개구부(302)로부터 삽입하여, 란셋 케이스의 돌출부(112)가 주사기의 전단개구부의 바로 후방에 위치하는 돌출부(304)를 타고 넘으면, 도 6의 상태가 되어 란셋 케이스와 주사기가 서로 걸리거나 끼워져서 이 상태에서 란셋 어셈블리의 장전이 완료된다. 돌출부(304) 대신, 돌출부(112)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주사기의 전단개구부의 안쪽에 설치하여도 된다. 즉, 란셋 케이스 및 주사기에 이와 같이 서로 걸리거나 끼워지는 2개의 요소(예를 들어, 란셋 케이스의 돌출부와 주사기의 오목부)에 의해 장전상태가 확보된다.
날개부의 후단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져서 날개부 전체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따라 위치하는 상태에 있는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그 전단개구부로부터 삽입하여 장전하는 경우, 주사기 내부에 설치한 날개부를 바깥쪽으로 펼치는 부재(즉, 날개부 확장부재, 예를 들어 쐐기형상부재)에 의해 날개부의 후단부에 작용하는 힘이 해제되어, 날개부는 원래대로 바깥쪽을 향하여 펼쳐진 형상을 향하여 변형한다. 이와 같은 확장부재는 날개부의 후단부와 함께 그보다 전방 부분에 작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는 그것과 조합하는 주사기에 장전함으로써 란셋이 주사기의 플런저에 의해 파지되고, 그 후 플런저와 트리거 레버(trigger lever)의 관계가 '트리거 레버가 플러저를 보유할 수 있는 상태'로 옮겨가며, 그 후 날개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진 상태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바깥쪽을 향하여 펼쳐져 있는 상태가 되어, 이 상태가 발사가능상태(란셋을 발사(즉, 트리거)할 수 있는 상태, 이른바 코킹 상태)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발사가능상태로 옮겨가는 과정을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이와 같이 란셋 어셈블리(100)를 장전하기 위하여, 주사기(300)의 전단개구부로부터 란셋 어셈블리를 삽입하고 있는 도중의 모습을 도 11 및 도 12에 사시도로 나타낸다. 한편, 도시한 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란셋을 이용한 란셋 어셈블리를 예로 나타내고 있다. 란셋 어셈블리(100)와 주사기(300)의 관계 및 주사기 내부의 모습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도 11에서는 주사기의 하우징 앞쪽의 하우징 절반(308)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란셋 케이스(102) 안의 란셋(200)의 모습을 알 수 있도록, 그리고 란셋을 발사하는 플런저(310)(도 13에 확대도로 나타내고 있음)의 모습을 알 수 있도록, 도 12에서는 란셋 케이스(102)의 앞쪽 절반을 절제한 상태를 나타내고, 또한 후술하는 배출기(312)의 앞쪽 절반을 절제한 상태로 나타내며, 또한 후술하는 천자깊이 조절기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천자깊이조절용 드럼(360), 드럼회전제한부재(380) 및 캡형상 손잡이(366)의 앞쪽 절반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날개부(116)가 닫힌 상태인 란셋 어셈블리(100)(도 1의 상태)가 주사기(300)의 전단개구부(302)로부터 삽입되고, 란셋 몸체의 후단부(202)가 주사기 안의 플런저(310)의 전단부(314)를 향하여 이동하여, 후단부(202)가 전단부(314)의 시트면(315)에 맞닿았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그 후 후단부(202)를 더 후퇴시키려고 하면, 플런저의 전단부(314)를 구성하는 다리부(320, 322)가 (도시한 형태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열리도록 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310)는 그 전단부가 2개로 나뉘어 있고, 이들 사이에 작은 간극(318)을 규정하도록 제1 다리부(320) 및 제2 다리부(322)를 구성하고 있다. 플런저(31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의 성형품이고, 그 결과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는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 다리부들에 대하여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깥쪽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면, 이 다리부들은 바깥쪽을 향하여 벌어지고, 간극(318)으로의 개구부가 넓어진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내는 란셋 어셈블리(100)를 주사기(300)에 삽입하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 몸체(204)의 후단부(202)가 플런저의 전단부(314)의 시트면(315)에 맞닿는다. 그 후, 란셋 어셈블리를 삽입하려고 하면, 란셋 몸체(204)의 후단부(202)가 시트면(315)을 후방을 향하여 누르는 힘을 가하게 된다. 시트면(315)은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이 힘은 도 13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의 힘도 작용하게 되어, 그 결과 다리부(320, 322)가 탄성적으로 바깥쪽을 향하여 벌어진다.
이와 같이 벌어지면, 란셋 몸체(204)의 후단부(202)는 후방으로 더 이동할 수 있고, 란셋 몸체(204)의 후단부(202)의 볼록부(218)가 오목부(316)에 끼워지는 동시에, 바깥쪽으로 벌어진 다리부가 약간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오려고 하여, 후단부(202)가 다리부(320, 322)에 의해 그 사이에 끼워져 간극(318) 안으로 긴밀하게 끼워져 들어가고 즉, 플런저에 의해 파지된다. 이 때, 란셋 몸체의 돌출부(218)의 앞쪽과 마주보는 면(221)이 플런저(310)의 선단에 설치한 시트면(또는 좌면)(315)에 맞닿아 밀접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란셋 몸체의 후단부(202)가 플런저에 파지된 모습을 도 14 및 도 15에 도 11 및 도 12와 마찬가지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5로부터 알 수 있듯이, 란셋 몸체(204)의 돌출부(218)의 앞쪽과 마주보는 경사면(221)이 플런저(310) 선단의 시트면(315)과 맞닿아 있다. 플런저(310)는 그 중간부분에 설치한 돌기부(324)와 후방칸막이(358)(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칸막이의 앞쪽 부위)의 사이에서 플런저(310) 주위에 배치된 발사 스프링(S1)(예를 들어, 도 21 참조)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상술한 플런저의 전단부에 의한 란셋 후단부의 파지는, 발사 스프링(S1)의 압축을 실질적으로 시작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작은 힘에 의해, 플런저 전단부에 란셋 후단부가 끼워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의 전단부가 복수개의 다리부로 구성되고, 란셋 몸체의 후단부를 그 다리부의 선단에 맞닿게 한 후에 힘을 더 가하면, 다리부가 쉽게 열려서 열린 다리부의 안쪽에 형성된 오목부 안으로 란셋 후단부의 볼록부가 끼워져 들어 가고, 그 후 다리부의 탄성에 의해 열린 다리가 닫히도록 설계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다리부의 탄성은 플런저를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쉽게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란셋 몸체의 후단부(202)가 파지된 후에 란셋 어셈블리(100)를 더 후퇴시킨다. 그러면, 플런저의 전단부(314)에 맞닿은 란셋의 후단부(202)가 플런저를 후퇴시켜서 발사 스프링(S1)을 압축한다. 이 때, 플런저의 돌기(324)는 서서히 후퇴하여 축(326)에 의해 지지되며, 축(326)보다 뒤쪽에서는 (도 15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을 향하는 힘을 가하는 트리거 레버(328)의 아래쪽 둘레에서, 그와 같은 아래쪽을 향하는 힘에 반하여 트리거 레버를 서서히 밀어올리도록 힘을 작용시킨다.
그리고, 서서히 후퇴하는 돌기부(324)가 트리거 레버의 후단에 위치하는 어깨부(각부분)(330)의 아래쪽을 통과한 직후에 트리거 레버의 어깨부(330)는 갑자기 아래쪽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와 같이 아래쪽을 향하여 이동한 시점에서 돌기부(324)의 앞쪽이 어깨부(330)의 뒤쪽과 접촉 또는 대략 접촉한 상태에 있고, 가령 이 시점에서 란셋 어셈블리의 삽입을 정지하면(즉, 플런저의 후퇴를 멈추면), 압축된 발사 스프링(S1)에 의해 앞쪽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플런저의 돌기(324)가 트리거 레버의 어깨부(330)에 의해 맞물리거나 맞닿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트리거 레버의 후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똑바로 이동한 상태가, '트리거 레버가 플런저를 맞물림할 수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의 장전시에는 그 상태에 도달한 후에 란셋 어셈블리의 삽입을 더 추가적으로 계속하여(즉, 플런저를 더 추가적으로 후퇴시켜서), 닫힌 상태에 있는 날개부(116)를 열도록 란셋 어셈블리 및 주사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날개부(116)를 개방시키는 것은 주사기 안에 설치한 쌍을 이루는 날개부 확장부재(340)이다. 이와 같이 날개부(116)가 개방된 상태를 도 16 및 도 17에 도 11 및 도 12와 마찬가지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한편, 날개부(116)가 열렸을 때, 플런저가 더 이상 후퇴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7로부터 알 수 있듯이, 플런저의 후단부에 설치한 충돌부재(365)가 플런저의 후단부를 둘러싸는 드럼(360)에 덮힌 천자깊이조절 손잡이(또는 노브(knob))(366)의 후방 내벽에 맞닿아 더 이상 후퇴할 수 없도록 설계하면 된다.
이 상태에서 란셋 어셈블리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즉, 추가 삽입에 필요한 힘을 해방시키면, 압축상태에 있는 발사 스프링(S1)이 약간 뻗어 플런저가 약간 전방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플런저의 돌기부(324)가 트리거 레버의 후단(330)에 맞닿아서, 따라서 맞물리게 되어서, 이 때 비로소 '발사가능상태'가 되고 란셋 어셈블리의 주사기에 대한 장전이 완료된다. 즉, 이 상태에서 그와 같은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키면, 발사 스프링(S1)의 작용에 의해 플런저는 한번에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는 란셋을 발사할 수 있는 상태이며, 이 상태를 도 18 및 도 19에 도 11 및 도 12와 마찬가지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9를 도 17과 비교하면, 플런저의 후단부에 설치한 충돌부재(365)가 도 17에서는 손잡이(366)의 후방 내벽에 맞닿아 있는데 대하여, 도 19에서는 약간 전 방으로 이동하여 있으며, 플런저의 돌기(324)도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이동하여 있다. 또한, '발사가능상태'에서는 도 18로부터 알 수 있듯이, 란셋 캡의 끼움부(217)가 케이스 몸체(114)의 전단개구부(106)로부터 튀어나가도록, 따라서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간하여 위치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움부(217)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므라짐부(219)를 가지는 경우에는 그 적어도 일부분이 튀어나오고, 그와 같은 오므라짐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끼움부(217) 전체가 튀어나오는 것이(즉, 끼워진 상태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란셋 케이스(102)는 그 돌기(112) 및 주사기(300)의 돌출부(304)에 의해 주사기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따라서, 란셋 케이스 및 주사기는 서로 고정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플런저가 약간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플런저에 의해 파지되어 있는 란셋을 약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움부가 튀어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형태에서나, 발사가능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란셋 캡의 끼움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그 결과 란셋 캡을 란셋 몸체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끼움부의 기능이 실질적으로 없어져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돌기부(324)가 트리거 레버의 후단에 위치하는 어깨부(330)에 의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는, 플런저(310)의 전단부(314)의 간극(318)이 넓어지지 않는 것, 즉 다리부(320, 322)가 바깥쪽으로 펼쳐지도록 변형하지 않는 것이 바람 직하다. 이와 같은 펼쳐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9와 같이 돌기부(324)가 트리거 레버의 후단(330)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는, 플런저의 전단부(314)가 하우징 안에 설치한 전방칸막이(344)의 개구부(345) 안에 위치하고, 그 개구부(345)를 규정하는 벽이 플런저(310)의 전단부(314) 주위를 정확히 둘러싸고, 전단부(314)가 상하방향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의 전단부(314)가 란셋 몸체(202)를 파지하기 전 상태에서는 전단부(314)는 전방칸막이(344)보다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쉽게 펼쳐질 수 있게(따라서, 파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도시한 형태에서는, 트리거 레버의 후단에 위치하는 어깨부(330) 단면의 위쪽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플레이트 형상부(301)가 가늘고 길게 뻗어나와 있다. 이 플레이트 형상부(301)는 그것을 지지하는 돌기(303)와 축(326) 사이에서는 안쪽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고, 또한 축(326)보다 전방에서는 바깥쪽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게 한다.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트리거 레버의 후단에서는 안쪽을 향하는 힘이 항상 작용하여, '트리거 레버가 플런저를 맞물림할 수 있는 상태' 및 '발사가능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란셋을 발사하기 위하여 버튼(350)을 안쪽을 향하여 밀어넣었을 경우, 플레이트 형상부(301)가 하우징 안의 돌기(303)를 눌러서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그 변형에 의해 버튼을 밀어 되돌리려는 힘이 작용하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술한 설명은 '트리거 레버가 플런저를 맞물림할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한 후에 날개부(116)가 열린 형태에 관한 것인데, 다른 형태에서는 '트리거 레버 가 플런저를 맞물림할 수 있는 상태'가 되기 이전부터 날개부(116)가 열리기 시작하고, '트리거 레버가 플런저를 맞물림할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한 후에 날개부의 개방이 끝나도록 설계하여도 된다.
이 다른 형태에서도 '트리거 레버가 플런저를 맞물림할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한 후, 플런저가 약간 더 후퇴한 상태에서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에 설치되고, 그 결과 '발사가능상태'에서는 란셋 캡의 끼움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또 다른 형태에서는, '트리거 레버가 플런저를 맞물림할 수 있는 상태'가 되기 이전부터 날개부(116)가 열리기 시작하여, '트리거 레버가 플런저를 맞물림할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하는 때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날개부의 개방이 끝나도록 설계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여러가지 형태는 예를 들어, 주사기 안에서의 날개부 확장부재(340)의 위치를 천자방향에 따라 앞 또는 뒤로 옮김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는 날개부의 길이를 바꿈으로써도 실시할 수 있다.
즉, 이 형태에서는,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에 장전할 때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삽입하면, 란셋의 후단부가 플런저의 전단부에 맞닿고, 그 후 삽입을 더욱 계속하면, 란셋의 후단부가 플런저 전단부에 의해 파지되며, 그 후 플런저가 후퇴함으로써 발사 스프링이 압축되고, 플런저의 돌기가 안쪽을 향하여(즉, 플런저 쪽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트리거 레버의 후단(혹은 트리거 레버 뒷부분의 어깨부)을 바깥쪽을 향하여 이동시키며, 그 후 그 후단(혹은 어깨부)을 넘어 더 후퇴하는 순간에 트리거 레버의 후단이 안쪽을 향하여 되돌아오 고(플런저는 더욱 후퇴하지 않고), 그 결과 스프링이 압축상태인 그대로 트리거 레버의 후단(혹은 어깨부)에 돌기부(예를 들어, 플랜지 형태)가 맞물리거나 또는 맞닿아서(플런저는 이 상태 이후에 더 후퇴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더 후퇴할 수 없다), 이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날개부의 확장이 종료된다.
이 경우, 트리거 레버의 후단이 안쪽을 향하여 되돌아왔을 때에 '트리거 레버가 플런저를 맞물림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와 동시에 날개부가 바깥쪽을 향하여 펼쳐지는 것이 끝나기 때문에, 란셋 후단이 더 후퇴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형태에서는, 트리거 레버의 후단이 안쪽을 향하여 되돌아왔을 때와 동시에 '발사가능상태'가 된다.
이 또 다른 형태에서도 '발사가능상태'인 '트리거 레버가 플런저를 맞물림할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란셋 캡의 끼움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형태에서나, 발사가능상태가 될 때, 란셋 어셈블리의 날개부는 펼쳐진 상태로 되어 있다. 그 결과, 날개부(116) 안쪽의 맞닿음부(122)는, 란셋 몸체가 돌출부(212)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해하지 않는다. 즉, 란셋 몸체는 전방으로의 이동에 대한 제한이 해제되어 자유로운 상태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사가능상태'에 도달한 후, 트리거 레버의 후단(혹은 어깨부)을 바깥쪽을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발사가능상태'인 맞물림 또는 맞닿음 상태를 해제하면, 압축상태에 있는 발사 스프링(S1)이 한번에 뻗는다. 이러한 뻗음을 이용하여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자유로운 상태에 있는 란셋 몸체를 발사하여 소정 부 위를 천자한다. 반대로, 발사가능상태가 되기까지는 란셋 어셈블리의 날개부의 확장이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날개부(116) 안쪽의 맞닿음부(122)가 란셋 몸체가 돌출부(212)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해한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란셋 어셈블리(100)의 주사기(300)로의 장전완료상태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란셋 케이스(102) 양쪽의 날개부(116)가 바깥쪽을 향하여 펼쳐진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날개부가 바깥쪽으로 펼쳐져 있는 것은, 주사기 내부에 날개부 확장부재(340)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날개부 확장부재는 날개부의 후단부가 란셋 케이스의 케이스 몸체에 끼워진 상태에서 날개부를 펼쳐서(또는 열어서) 끼워진 날개부를 원래 형상으로 되돌리고, 그 결과 날개부는 케이스 몸체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 바깥쪽을 향하여 뻗게 된다. 날개부 확장부재는 이와 같이 날개부를 펼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적당한 형태이어도 된다. 하나의 형태에서 날개부 확장부재는, 란셋 어셈블리의 장전시에 후퇴하는 날개부의 후단부에 대하여 비스듬히 뻗어 있는 선형상, 바람직하게는 면형상의 슬로프를 규정하는 부재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형태에서 날개부 확장부재는, 서로 이간하여 끝이 가는 형상(전방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주사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한쌍을 이루는 쐐기형상부재이고, 바람직하게는 란셋 케이스의 옆쪽에 끼워진 날개부 후단부의 안쪽에 선단으로서의 전단부가 들어갈 수 있으며 주사기의 전방을 향하여 안쪽으로 경사진 슬로프면을 규정하는 한쌍의 쐐기형상부재이다.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삽입하면, 란셋 케이스의 각 날개부 후단 부의 선단부가 쐐기형상부의 슬로프면의 전단부에 실리도록 위치하고, 그 후 삽입을 계속하면, 날개부의 후단부가 슬로프면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여, 그 결과 날개부가 케이스 몸체에 따라 끼워진 상태를 보유하는 힘이 해제되고, 날개부가 바깥쪽을 향하여 펼쳐져서 그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있다. 쐐기형상부재 대신, 마찬가지의 슬로프면을 규정하도록 플레이트가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시한 형태에서 날개부 확장부재(340)는, 날개부(116)의 적어도 후단부(바람직하게는 후단부에만)에 작용하여, 구체적으로는 날개부의 그와 같은 후단부에 바깥쪽을 향하는 힘을 가하여, 이에 의해 날개부를 펼치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날개부 확장부재는 1쌍의 쐐기형상부재(340)이어도 된다. 이 쐐기형상부재(340)는 서로 이간하여 끝이 가는 형상을 가지며(즉, 전방으로 뾰족하며), 그 결과 주사기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슬로프(342)를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쐐기형상의 날개부 확장부재를 설치하면, 란셋 어셈블리를 후방으로 삽입하는 것 만으로 자동으로 날개부를 펼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이 날개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란셋 어셈블리의 장전이 완료된다. 따라서, 날개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술한 '서로 걸리거나 끼워지는 2개의 요소'에 의해 란셋 어셈블리가 주사기에 정해진 바와 같이 끼워진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쐐기형상부재(340)는 도 20에 나타내는 주사기 하우징 절반(306)의 모식적 사시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하우징 절반(308)에 설치되어 있다. 란셋 어셈블리(100)의 주사기(300)로의 장전이 완료되기 직전에 쐐기형상부재(340)의 선단부(341)가 란셋 케이스(102)의 닫힌 날개부(116)의 후단부(120)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그 후, 란셋 어셈블리를 더 후퇴시키면 쐐기형상부재(340)의 슬로프면(342) 위를 날개부(116)의 후단부가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여 올라가며, 그 결과 날개부(116)가 바깥쪽을 향하여 펼쳐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쐐기형상의 부재를 설치하면, 란셋 어셈블리를 후방으로 삽입하여 장전하는 것 만으로 자동으로 날개부(116)를 펼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날개부(116)가 펼쳐졌을 때의 란셋 어셈블리(100)의 모습을 도 9에 모식적으로 사시도로 나타낸다. 한편, 도 9에서는 내부의 란셋 모습을 알 수 있도록, 란셋 케이스(102)의 앞쪽면을 절제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날개부(116)가 바깥쪽으로 펼쳐짐으로써, 펼쳐져 있지 않을 때(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와 비교하여 맞닿음부(122)의 위치가 바깥쪽으로 이동되어 있다. 그 결과, 맞닿음부(122)는 이미 맞닿음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란셋 캡을 제거한 도 21의 상태에서 란셋이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 란셋 몸체(204)의 돌출부(212)는 맞닿음부(122)에 닿지 않고, 란셋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는다.
통상, 그 후 란셋 캡을 비틀어 떼어(약화부분을 파괴하여) 천자부재의 선단부를 노출시키고, 그 후 트리거 레버를 트리거시켜 발사 스프링을 신장시키고 플런저를 한번에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선단부가 노출한 란셋 몸체를 전방으로 발사시킴으로써, 소정 부위의 천자 조작을 실시한다. 이 때, 란셋 몸체의 돌출부는 날개부의 맞닿음부(122)의 쌍 사이를 통과하여 더욱 전방으로 이동한다. 천자후에 란셋 몸체는 바로 후방으로 이동하고, 란셋 몸체의 돌출부는 날개부의 맞닿음부보다 후 방 부위에서 정지하여 천자조작이 종료한다. 이러한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란셋 어셈블리(100)의 주사기(300)로의 장전이 완료한 후, 란셋 캡(206)을 제거한다. '발사가능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전방으로 끼움부(217)가 적어도 일부분이 나와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9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 몸체(204)와 란셋 캡(206)이 천자부재의 연장방향 둘레에서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이에 더하여 혹은 그 대신에, 이것들이 천자부재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대적으로 멀어지도록 당김으로써 약화부분을 파괴하고, 그 후 란셋 캡(206)을 란셋 몸체(204)로부터 떨어뜨리면, 도 12와 마찬가지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 케이스 안에서 천자부재(210)의 선단부가 란셋 몸체(204)로부터 노출된다. 이와 같이, 란셋 캡은 천자부재의 선단부를 미리 덮고 있는 캡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한편, 란셋이 약화부분을 가지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란셋 캡을 주사기에 대하여 전방으로 당김으로써(혹은 비틀면서 당김으로써) 천자부재의 선단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란셋의 약화부분의 파괴는 란셋 캡과 란셋 몸체를 천자부재의 연장방향 둘레에서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이른바 트위스트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회전에 의해 파괴할 수 있는 정도로 약화부분(208)이 설계되어 있다. 예를 들어, 그 상술한 바와 같은 파괴가 가능해지도록 그것을 구성하는 재료수지의 종류 및/또는 약화부분의 두께가 적당하게 선택된다. 이와 같이 약화부분을 파괴한 후에 란셋 캡을 란셋 몸체로부터 떨어 뜨리면,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란셋 몸체로부터 노출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트위스트할 때, 천자부재의 연장방향 주위에서의 회전을 실질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란셋 몸체의 전단부의 단면 및 그것과 마주보는 란셋 캡의 후단부의 단면 중 한쪽 단면은 돌기부를 가지고, 이 돌기부의 정상부(頂上部)는 천자요소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은 가상평면을 규정하며, 다른쪽 단면은 천자요소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은 평면을 규정한다. 도시하는 형태(예를 들어, 도 3 참조)에서는, 란셋 캡의 후단면이 정상부(207)를 가지는 돌기부(209)를 가지고, 그것과 마주보는 란셋 몸체의 단면이 평면을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가상평면'이란, 실제로 존재하는 평면이 아니고, 돌기 정상부에 접하여 그 위에 올려져 있는(또는 그것을 포함하는) 단일한 가상적인 평면을 의미한다. 수학적으로는 동일 직선상에 없는 3개의 점을 특정함으로써 이것들을 포함하는 1개의 평면을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란셋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돌기부의 정상부에 의해 규정되는 가상평면이 천자요소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다.
한편, 란셋 케이스(102) 안에서 란셋 캡과 란셋 몸체에 연장방향의 둘레에서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란셋 캡(206)을 비틀어 떼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란셋 몸체(204)는 란셋 케이스 안에서 회전할 수 없는 단면형상으로 하고, 란셋 캡(206)의 란셋 케이스 안에 위치하는 후방부분은 란셋 케이스 안에서 회전할 수 있는 단면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란셋 몸체의 전방 부분 및 란셋 캡의 후방부분을 수용하는 란셋 케이스의 단면이 사각형 단면인 경우, 란셋 몸체의 전방단면은 그 단면에서 회전할 수 없는 사각형으로 하고, 란셋 캡의 후방부분을 원형단면으로 하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자부재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생각하여, 란셋 몸체를 천자부재의 연장방향 주위에서 회전시켰을 때 형성되는 란셋 몸체의 윤곽 궤적의 가장 외주의 안쪽에 란셋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벽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존재하는 형태를 란셋 몸체 및 란셋 케이스가 가지도록 한다.
이 경우, 란셋 케이스는 천자부재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하는 축대칭의 형태로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란셋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란셋 케이스 안에서 천자부재의 연장방향 둘레에서 회전할 수 없는 형상으로 한다. 예를 들어, 란셋 몸체의 일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란셋 캡에 가까운 부분 즉, 란셋 몸체 앞부분의 단면(천자부재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긴 원형(또는 사각형)으로 하고, 그 단면에 외접(外接) 또는 약간 간극을 두고 그 단면을 둘러싸는 형상(예를 들어, 이 긴 원형(또는 사각형)을 둘러싸는 다른 사각형, 이 긴 원형(또는 사각형)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다른 긴 원형)의 단면(천자부재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란셋 케이스의 일부분이 갖도록 설계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란셋 캡의 일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란셋 몸체에 가까운 부분 즉, 란셋 캡의 뒷부분은, 란셋 케이스 안에서 천자부재의 연장방향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이 되도록 이것들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란셋 캡을 천자부재의 연장방향 주위에서 회전시켰을 때 형성되는 란셋 캡의 상기 일부분의 윤곽 궤적의 가장 외주의 바깥쪽에 란셋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규정하는 내측벽면이 존재하는 형태를 란셋 케이스의 일부분이 가지도록 한다. 이 경우, 란셋 캡의 상기 일부분을 천자부재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하는 축대칭의 형태(예를 들어, 원기둥 형태) 또는 각기둥 형태로 하고, 란셋 케이스 안의 공간에서 란셋 캡의 상기 일부분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란셋 캡의 상기 일부분을 원기둥 형상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하고, 란셋 케이스의 상기 일부분이 그와 같은 원기둥 형상 또는 다각기둥 형상의 형태가 안쪽에서 회전할 수 있는 형태(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 또는 다각기둥 형상의 형태를 둘러싸는 원통 또는 다른 통형상 형태)로 한다.
케이스 몸체 안의 공간은 천자부재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단면형상이 크게 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란셋 케이스 안의 공간의 단면형상을 사각형 형상으로 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란셋 몸체의 단면을 그 사각형 형상의 안쪽에서 회전할 수 없는 다른 형상(예를 들어,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의 사각형상, 타원형상 등)으로 하며, 란셋 캡 뒷부분의 단면을 그 사각형상 안에서 회전할 수 있는 원형단면으로 한다.
이와 같은 란셋 몸체 및 란셋 캡, 그리고 그 사이의 약화부분을 가지는 란셋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천자부재를 인서트한 상태로 성형하는 방법(이른바,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란셋 몸체 및 란셋 캡이 약화부분에서 일체로 결합하고 천자부재가 이것들에 걸쳐서 뻗어 있는 란셋을 쉽고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약화부분은 천 자부재를 덮는 수지층 중 약화부분을 구성하는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노치(notch)를 형성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천자부재 전체를 실질적으로 덮은 수지층을 형성한 후에 천자부재까지는 도달하지 않는 새김눈을 (란셋 몸체와 란셋 캡 사이에서) 수지층에 형성함으로써 약화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약화부분을 가지지 않는 란셋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리거 레버의 어깨부(330)에 플런저의 돌기부(324)가 맞물려 있음으로써, 발사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보유되어 있다. 따라서, 도 21에 나타낸 상태에서 케이스 몸체(114)의 전단개구부(106)에 천자할 소정 부위 예를 들어, 손가락 끝을 대고, 그 후 트리거 레버(328) 구체적으로는, 그 어깨부(330)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압축된 발사 스프링(S1)이 순간적으로 늘어나고, 그 결과 플런저(31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그에 의해 천자부재(210)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 몸체(204)가 순식간에 전방으로 이동하고, 케이스 몸체(114)의 전단개구부(106)로부터 튀어나와서 그곳에 닿아 있는 소정 부위를 천자한다.
한편, 맞물림 상태의 해제는, 트리거 레버의 전단부에 설치한 푸쉬버튼(push button; 350)을 안쪽을 향하여 밀어넣음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 트리거 레버는 회전축(326)의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후단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뻗어 있는 플레이트 형상부(301)를 설치하고, 특히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플레이트 형상부에 의해 트리거 레버의 푸쉬버튼 및 축으로부터 전방부분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며, 반대로 트리거 레버의 축으로부터 후방부분으로 안쪽을 향 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푸쉬버튼(350)을 밀어넣은 상태를 도 12와 마찬가지로 도 22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2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트리거 레버의 후단(330)이 위쪽을 향하여 이동하고, 그 결과 플런저의 후단(330)과 플런저의 돌기(324) 사이의 맞물림 관계가 해제되어 있다. 따라서, 압축된 상태로 보유되어 있던 발사 스프링(S1)이 한번에 뻗을 수 있고, 플러저(310) 따라서 천자부재(210)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 몸체(204)가 빠르게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천자부재(210)의 선단부가 케이스 몸체(114)의 전단개구부(106)로부터 튀어나온 순간의 모습을 도 11 및 도 12와 마찬가지로 도 23 및 도 24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9 및 도 2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쐐기형상부재(340)에 의해 날개부(116)가 바깥쪽으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란셋 몸체(204)의 돌출부(212)는 맞닿음부(122)의 안쪽에서 그것에 저지되지 않고 그보다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플런저(310)의 돌기(324)와 하우징 안쪽에 설치한 전방칸막이(344) 사이에 리턴 스프링(S2)이 배치되어 있다. 도 22와 도 24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이 스프링(S2)은 란셋을 발사시키기 위하여 플런저(310)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압축되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천자부재(210)의 선단부가 케이스 몸체(114)의 전단개구부(106)로부터 돌출하여 천자가 종료되는 순간, 혹은 그 조금 전 또는 후에 충분히 압축된 상태가 되고, 그 후 원래 상태를 향하여 늘어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천자가 종료한 후에 란셋 몸체(204)가 후퇴하도록 되어 있다.
도 23 및 도 24의 상태로부터 그와 같이 란셋 몸체(204)가 후퇴한 상태를, 도 25 및 도 26에 도 11 및 도 12와 마찬가지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5의 상태에서는, 리턴 스프링(S2)의 늘어남에 의해 플런저의 돌기부(324)가 후퇴하고, 트리거 레버의 안쪽 가장자리에 설치한 작은 돌기(346)를 타고 넘어, 그 뒤에 형성된 오목부(348)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기(346) 및 오목부(348)를 설치함으로써 후퇴하는 플런저의 기세를 완화시키는 동시에, 리턴 스프링(S2)이 늘어난 후에 축소하는 진동이 발생하여도 플런저의 돌기부(324)가 트리거 레버의 돌기(346)를 타고 넘어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그 결과 2번째 천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의 돌기부(324)가 트리거 레버의 안쪽 가장자리(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푸쉬버튼(350)이 존재하는 측과 반대쪽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오목부(348)에 끼워져 맞물린 상태에서 플런저(310)에 앞쪽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여도, 이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오목부(348)의 전방에 위치하는 돌기(346)가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346)를 규정하는 뒤쪽면(347)(도 22 참조)은 천자방향에 대하여 수직 또는 그와 가까운 방향으로 뻗고, 한편 돌기(346)를 규정하는 앞쪽면(349)(도 23 참조)은 천자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뻗은 슬로프면을 규정하고 있다. 한편,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란셋을 발사시키기 위하여 트리거 버튼(350)을 화살표와 같이 밀어넣으면, 트리거 레버는 축(326) 둘레에서 회전하고, 돌기(346)는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돌기(346)가 플런저의 돌기부(324)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궤도 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어, 플런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그 후, 트리거 버튼(350)에 가하는 힘을 해방시키면 트리거 레버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트리거 레버를 이용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로부터 배출할 때, 배출기에 의해 란셋 케이스(102)에 앞쪽을 향하는 힘을 가하고, 그 힘이 최종적으로 플런저에도 작용하는 경우라도, 플런저의 돌기부(324)와 트리거 레버의 돌기(346) 사이의 맞물림 관계, 혹은 플런저의 돌기부(324)가 트리거 레버의 오목부(348)에 끼워진 관계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관계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의 돌기부(324)를 규정하는 앞쪽면(325)은 플런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 또는 그와 가까운 각도로 뻗어 있고, 또한 뒤쪽면(327)은 비스듬하게 뻗어 슬로프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플런저의 돌기부(324)를 규정하는 수직한 앞쪽면 및 비스듬한 뒤쪽면과, 상술한 바와 같은 트리거 레버의 안쪽에 위치하는 돌기(346)를 규정하는 비스듬한 앞쪽면 및 수직한 뒤쪽면을 조합함으로써, 플런저의 돌기부(324)는 트리거 레버의 돌기(346)를 타고넘어 쉽게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일단 타고넘으면 플런저의 돌기(324)는 트리거 레버의 돌기(346)를 타고 넘어 쉽게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실제로 타고넘기 위해서는, 돌기부 및 돌기 중 적어도 한쪽이 실질적으로 변형 또는 파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의 하나의 형태에서 트리거 레버는, 그 안쪽에서 그 후단(혹은 어깨부)보다 전방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가지고, 플런저의 돌기는 란셋 어셈블리를 장전하기 전, 또한 란셋을 발사시킨 후에 트리거 레버의 볼록부의 뒤쪽에 맞닿거나, 또는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형태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리거 레버는 볼록부 및 오목부 모두를 인접하여 가져도 되고, 이 경우 플런저의 돌기는 볼록부에 맞닿으면서 오목부에 끼워진다. 한편, 이와 같이 플런저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플런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이 플런저에 작용하여도 그 힘에 반하여 플런저는 이동할 수 없지만, 플런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예를 들어, 란셋 어셈블리를 장전하는 경우)에는 그것을 저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 때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를 규정하는 앞쪽면 및 오목부를 규정하는 뒤쪽면은, 모두 트리거 레버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 뻗은 슬로프를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상태는 천자조작이 완료된 상태이며, 그 후에는 사용한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로부터 배출하고, 그 후 적절히 처분해야 한다. 사용한 란셋 어셈블리를 배출할 때는, 란셋 몸체의 돌출부(212)가 날개부(116)의 맞닿음부(122)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펼쳐진 날개부(116)에 안쪽을 향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날개부를 닫아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따라 위치시키고, 그에 의해 날개부의 맞닿음부(122)와 케이스 몸체의 후단개구부(107) 사이에 란셋 몸체의 돌출부(212)를 가둔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란셋 몸체의 돌출부(212)가 다시 맞닿음부(122)와 케이스 몸체의 후단개구부(107) 사이에서만 이동 할 수 있다. 란셋 몸체의 돌출부(212)가 날개부의 맞닿음부(122)에 맞닿은 상태에서,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106)로부터 충분히 후방 부분에 선단부가 노출된 천자부재(210)가 위치하도록 케이스 몸체 및 란셋 몸체를 설계하여 둠으로써, 날개부를 닫은 천자후의 란셋 어셈블리에서는,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천자부재의 선단부로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이 실질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따라서 천자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안전하게 처분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날개부의 맞닿음부는, 날개부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설치한 돌출부(예를 들어, 돌기) 형태이다. 이 형태에서는, 란셋을 란셋 케이스에 삽입하고 란셋 몸체를 란셋 케이스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란셋 몸체의 돌출부를 맞닿음부의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날개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따라 위치하는 상태로 하면, 날개부의 맞닿음부의 뒤쪽은 란셋 몸체의 돌출부의 앞쪽에 맞닿을 수 있고, 따라서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날개부의 맞닿음부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날개부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설치한 계단형상부(또는 어깨형상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날개부를 규정하는 내벽이 단차부(h)(도 4 참조)를 규정한다. 이 형태에서는, 란셋을 란셋 케이스에 삽입하고 란셋 몸체를 란셋 케이스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란셋 몸체의 돌출부를 맞닿음부의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에, 날개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따라 위치하는 상태로 하면, 날개부의 맞닿음부의 뒤쪽은 계단의 높이를 규정하는 면이며, 이 면은 란셋 몸체의 돌출부 앞 쪽에 맞닿을 수 있고, 따라서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로부터 배출하는 것은, 다음의 순서로 실시한다: 맨처음,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란셋 몸체(204)에 대하여 란셋 케이스(102)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스톱퍼(213)를 케이스 몸체의 후단개구부(107)로부터 밖으로 빼낸다. 이어서, 파지되어 있는 란셋 몸체의 후단부(202)를 플런저(310)로부터 해방시킨다. 그 후, 란셋 몸체 및 란셋 케이스로 구성되는 란셋 어셈블리를 날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배출시킨다.
한편, 스톱퍼(213)는 사용후의 란셋 어셈블리가 잘못하여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란셋 몸체에 설치되어 있다. 스톱퍼에 관한 앞선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천자조작이 종료하여 날개부를 닫을 때, 란셋 케이스를 란셋 몸체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란셋 몸체의 스톱퍼가 케이스 몸체의 후단개구부(107)로부터 밖으로 일단 나오면, 다시는 란셋 케이스 안으로 들어갈 수 없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부를 닫는 안쪽으로의 힘은, 천자종료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로부터 배출할 때 자동으로 가해지도록 이것들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배출된 란셋 어셈블리에서는 천자부재의 선단부에 관한 위험이 실질적으로 없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날개부가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를 통과할 때, 전단개구부를 규정하는 벽이 날개부를 닫도록 힘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단개구부의 윤곽, 특히 배출시에 날개부가 가장 근접하는, 그와 같은 윤곽의 일부 영역(마주보는 2부분) 사이의 거리가, 쌍을 이루는 날개부의 바깥쪽끼리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약간 크게 함으로써, 전단 개구부를 통과할 때, 개구부가 날개부에 안쪽으로의 힘을 가하고, 그 결과 날개부를 닫을 수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 주사기는, 삽입된 란셋 케이스에 앞쪽을 향한 힘을 가할 수 있는 배출기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출기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란셋 케이스의 전단부 바깥쪽의 후방에 위치하는 볼록부(112)가 주사기의 전단개구부의 후방 안쪽에 위치하는 볼록부(304)를 타고 넘어 끼워진 상태에 있는) 란셋 케이스(102)의 후단부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4에 천자후의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로부터 배출시키는 과정을 차례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7 및 도 28은 도 11 및 도 12와 마찬가지로, 배출기(312)가 란셋 케이스(102)를 밀어내기 시작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 배출기를 도 35에 모식적으로 사시도로 나타낸다. 배출기(312)는 바닥판(351) 및 푸셔(pusher; 352)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주사기 하우징(309)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바닥판(351) 아래쪽에 설치한 조작버튼(354)을 주사기의 외부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바닥판(351)이 주사기(300)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주사기 하우징의 안쪽에 가이드 채널(355)(도 20 참조)을 설치하고, 바닥판 바깥쪽에 채널 안을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을 설치하여도 된다. 다른 형태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351) 옆쪽의 가장자리부(353)가 레일로서 기능하고, 이것이 채널(355) 안으로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푸셔(352)는, 란셋 어셈블리(100)를 주사기(300)에 장전 완료한 시점에서 전 단부(356)가 란셋 케이스(102)의 후단부(108)에 맞닿거나, 혹은 대략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와 같은 전단부(356)가 작용부로서 란셋 케이스의 후단부에 앞쪽을 향하는 힘을 가하여 누르게 된다. 도 18에는 이와 같이 구성한 배출기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형태에서는, 란셋 어셈블리(100)의 주사기(300)로의 장전이 완료된 시점에서 전단부(356)가 란셋 케이스(102)의 후단부(108)로부터 이간하여도 된다. 한편, 푸셔(352)는 란셋 케이스(102)의 케이스 몸체(114)의 후단부(108)를, 바람직하게는 마주보는 측면을, 보다 바람직하게는 날개부가 존재하지 않는 측면의 후단면만을 전방으로 밀 수 있도록 구성한다.
천자후에 란셋 몸체가 플런저에 파지된 상태에 있을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란셋 케이스의 후단부에 힘이 작용하면, 주사기의 전단개구부의 볼록부(304)를 타고 넘어 끼워진 란셋 케이스 전단부의 바깥쪽의 후방에 위치하는 볼록부(112)가 주사기의 전단개구부의 볼록부(304)를 타고 넘으며, 이에 의해 란셋 케이스(102)가 플런저(310)에 대하여, 따라서 플런저에 파지되어 있는 란셋 몸체(204)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천자가 완료하여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 후에 배출기의 버튼(354)을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란셋 케이스(102)의 후단부(108)를 푸셔(356)에 의해 전방으로 민다. 전방으로 미는 힘이 란셋 케이스의 돌출부(112)가 주사기(300)의 전단개구부(302) 안쪽의 돌기(304)를 타고 넘을 수 있는 힘인 임계치를 넘으면, 란셋 케이스(102)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의 전방으로의 이동은, 트리거 레버의 돌기(346) 및 오목부(348)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배출기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맨처음에는 란셋 케이스(102)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이용된다. 이 때, 날개부(116)가 날개부 확장부재(340)로부터 멀어지고, 또한 란셋 케이스가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를 통과해가기 때문에, 날개부의 전단부(118) 및 그 후속부분이 출구개구부(106)를 통과함에 따라 날개부(116)가 차례로 란셋 케이스의 옆쪽으로 끼워져간다.
그 후, 배출기를 더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케이스 몸체의 후단개구부(107)를 규정하는 벽 안쪽에 란셋 몸체의 스톱퍼(213)(구체적으로는 그 뿌리부분)가 맞닿는다. 그리고, 힘을 더 가하면, 스톱퍼(213)의 형상 및 그 탄성 때문에, 케이스 몸체의 후단개구부(107)를 규정하는 벽이 스톱퍼(213)를 타고 넘는다. 즉, 스톱퍼(213)는 후단개구부(107)로부터 외부로 튀어나간다.
이와 같이 스톱퍼(213)가 밖으로 튀어나간 상태를 도 29 및 도 30에 도 11 및 도 12와 마찬가지로 나타낸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톱퍼(213)는 케이스 몸체(114)의 후단개구부(107)를 규정하는 벽(217)의 오른쪽에 인접하여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란셋 케이스(102)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각 날개부확장부재(342)가 날개부(116)의 후단부(120)에 작용하지 않는 상태가 되고, 그 후 란셋 몸체의 스톱퍼(213)는 케이스 몸체(114)의 후단개구부(107)로부터 밖으로 나가게 되며, 또한 란셋 케이스(102)가 주사기 전단개구부를 통과하여 서서히 나갈 때, 그 전단개구부(302)의 윤곽에 의해 날개부(116)가 그 전방부분으로부터 차례로 란셋 케이스의 옆쪽으로 자동으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끼우기 위해서는,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를 규정하는 벽 윤곽 중, 적어도 란셋 케이스의 날개부가 바로 안쪽을 통과하는 벽 부분의 윤곽은, 날개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진 상태의 란셋 케이스 측면의 윤곽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즉, 통과하는 각 날개부와 마주보는 주사기의 벽부분은, 나가는 란셋 케이스의 날개부에 접촉하여 안쪽을 향하는 힘을 작용할 수 있는 형상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벽부분은 날개부가 닫힌 상태의 란셋 케이스의 측면과 상보적이다. 물론, 마주보는 벽부분 사이의 거리는 날개가 닫힌 상태의 란셋 케이스가 마주보는 측면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다.
그 결과, 바깥쪽을 향하여 펼쳐진 날개부는 날개부 확장부재에 저해되지 않고, 주사기의 전단개구부에 의해 날개부에 안쪽을 향하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지고, 그 후 주사기에 삽입된 란셋 어셈블리는 배출기에 의해 날개부가 옆쪽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주사기로부터 배출된다.
그 후, 배출기를 더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케이스 몸체(114)의 후단개구부(107)를 규정하는 벽(117)이 스톱퍼(213) 전방에 위치하는 돌출부(212)에 맞닿는다. 이 돌출부는 스톱퍼(213)와 비교하여 딱딱하고, 스톱퍼(212)와 같은 유연성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후단개구부(107)를 규정하는 벽은 돌출부(212)를 타고 넘을 수 없으며, 즉 돌출부(212)는 스톱퍼(213)와는 달리 란셋 케이스의 외부로 나갈 수 없다. 이와 같이 란셋 몸체의 돌출부(212)가 후단개구부(107)를 규정하는 벽(217)에 맞닿아 있는 상태도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스톱퍼(213)와 돌출부(212) 사이의 거리가 작기 때문에, 스톱퍼(213)가 밖으로 나가는 것과, 돌출부(212)와 후단개구부를 규정하는 벽(217)이 맞닿는 것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일어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30에서 알 수 있듯이, 플런저의 돌출부(324)가 트리거 레버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오목부(346) 및/또는 오목부(348)에 걸린(또는 맞닿은) 및/또는 끼워진 상태에 있을 때, 전방칸막이(344)는 플런저의 다리부(320, 322)의 후단부 (도시한 형태) 또는 다리부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그 결과 전방칸막이(344)는 다리부의 선단부가 탄성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저지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볼록부 및 오목부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것들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출기를 더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하여 힘을 가하면, 플런저는 상술한 끼워넣음 때문에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는데, 플런저(310)의 다리부(320, 322)가 보유하고 있는 즉, 잡고 있는 란셋 몸체의 돌기(218)에 앞쪽을 향하는 힘이 전달되어, 그 결과 란셋 몸체의 돌기(218)의 앞을 향하여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는 앞쪽면(231)은, 그 형상 때문에 다리부를 밀어펼치려고 한다. 이와 같은 앞쪽을 향하는 힘이 어느 임계치를 넘으면, 다리부는 탄성적으로 바깥쪽을 향하여 벌어지고, 이에 의해 파지하고 있던 돌기(218) 및 란셋 몸체(204)의 후단부(202)를 놓아버린다. 이와 같이 플런저가 란셋 몸체의 후단부(202)에 위치하는 돌기(218)를 해방시킨 직후의 모습을 도 31 및 도 32에 도 11 및 도 12와 마찬가지로 나타낸다.
그 후, 배출기를 더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플런저로부터 분리된 란셋 몸 체를 포함하는 란셋 케이스가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될 때의 모습을 도 33 및 도 34에 도 11 및 도 12와 마찬가지로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란셋 케이스가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를 통과할 때, 날개부가 란셋 케이스의 옆쪽에 끼워지는데, 날개부의 후단부만이 실질적으로 란셋 케이스의 옆쪽에 끼워지고, 결과적으로 날개부 전체가 끼워지는 경우(예를 들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부가 삼각날개형상부를 가지는 경우), 란셋 케이스의 후단부가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를 통과할 때, 그와 같은 후단부가 옆쪽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배출기와 란셋 하우징의 사이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357)을 설치하고, 도 34의 상태 이후에 버튼(354)에서 손가락을 떼면, 배출기는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란셋 케이스(102)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날개부(116)의 후단부(120)가 쐐기형상부재(340)로부터 떨어지고, 날개부(116)는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란셋 케이스의 옆쪽에 위치하게 된다. 즉, 도 34의 란셋 어셈블리(100')를 나타내는 도 36에 나타내는 상태 또는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단, 천자부재(210)의 선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이 상태에서는 날개부(116)의 안쪽에 설치한 맞닿음부(122)가 다시 맞닿음부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즉, 도 36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란셋 몸체(204)의 돌출부재(230)가 란셋 케이스 안에서 맞닿음부(122)를 타고넘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또한 돌출부재(232)는 케이스 몸체(114)의 후단개구부(107)를 규정하는 벽(117)에 맞닿아, 그보다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도 2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란셋 몸체(204)의 돌출 부(212)가 란셋 케이스 안에서 맞닿음부(122)를 타고 넘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고, 또한 케이스 몸체(114)의 후단개구부(107)를 규정하는 벽에 닿아 그보다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천자부재(210)의 선단부가 노출된 상태의 란셋 몸체(204)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맞닿음부(122)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천자부재의 선단부는 케이스 몸체(114)의 전단개구부(106)로부터 충분히 안쪽 위치까지 밖에 앞으로 나갈 수 없다. 물론, 란셋 몸체(204)의 돌출부(212) 또는 돌출부재(232)는 케이스 몸체(114)의 후단개구부(107)로부터 후방으로 나갈 수도 없다. 이와 같이, 란셋 케이스(102)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날개부(116)가 란셋 케이스에 끼워지면, 천자부재의 돌출한 선단부가 전단개구부(106)로부터 충분히 후방 위치에 존재하는 상태로 란셋 몸체가 란셋 케이스(102) 안에 보유된다.
도 36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란셋 케이스 및 란셋 몸체의 크기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란셋 케이스(102)에 있어서 란셋 몸체(204)가 가장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도, 천자부재(210)의 최선단부가 케이스 몸체(114)의 전단개구부(106)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6에 나타내는 상태의 란셋 케이스(102)를 다룰 때, 노출된 천자부재의 선단부에 관련한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
한편, 천자시에 란셋 케이스(102) 내부에서의 란셋 몸체(204)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수단을 란셋 케이스 및 란셋 몸체가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단은 예를 들어, 상술한 란셋 몸체의 돌출부재(215)이어도 되고, 이 돌출부를 사이에 끼 우도록 란셋 케이스(102)의 측면 안쪽이 쌍을 이루는 레일(140)을 가지며, 이 레일이 채널(135)을 규정한다. 이와 같은 돌출부와 레일을 조합함으로써, 란셋 케이스(102) 내부에서의 란셋 몸체(204)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가이드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와 주사기는 천자부재와 스프링을 제외하고 수지로 형성, 특히 수지의 성형품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조의 용이성과 함께 수지의 탄성은, 날개부의 기능, 스톱퍼의 기능, 플런저의 다리부의 기능, 란셋 어셈블리의 주사기로의 장전시의 끼움(예를 들어, 란셋 케이스의 돌출부(112)와 주사기의 전단개구부(302)의 볼록부(304)와의 관계) 등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주사기는 천자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사기는, 주사기 하우징의 후방칸막이의 뒤쪽에 그것과 인접하여 천자깊이조절용 드럼을 가지고 이루어지고,
플런저는 드럼 내에서 뻗어 종단(終端)하며, 드럼은 플런저의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고,
드럼은 그 전단의 안쪽에 고정된 플런저 주위에서 회전가능한 링형상부재를 가지고, 링부재의 천자방향 길이는 그 둘레방향에 따라 변하며, 바람직하게는 연속적 또는 계단형상으로 변하고,
플런저의 후단은 링형상부재의 둘레방향의 일부분에서 그 후방단면에 충돌하는 충돌부재를 가지고,
천자시에 플런저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플런저 후단의 충돌부재는 드럼 안의 링형상부재의 후방단면의 일부분에 충돌하여, 따라서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드럼을 회전시켜 링형상부재를 플런저 주위에서 회전시킴으로써, 플런저 후단부의 충돌부재가 충돌하는 대상인 링형상부재의 후방단면의 상기 일부분을 다른 일부분으로 바꿀 수 있고, 이에 의해 링형상부재의 후방단면의 상기 일부분에 플런저의 후단이 충돌할 때의 천자방향에 관한 플런저의 가장 뒷끝의 위치가 바뀌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천자방향에 관한 플런저의 가장 뒤끝의 위치가 바뀌는 경우, 후방칸막이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플런저의 길이가 변하게 된다. 플런저 자체의 길이는 일정하기 때문에, 플런저의 가장 뒤끝의 위치가 변하는 것은 후방칸막이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플런저의 길이, 따라서 후방칸막이로부터 플런저가 파지되어 있는 란셋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천자부재 선단까지의 길이가 변하게 된다. 한편, 후방칸막이와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기 때문에,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로부터 튀어나온 천자부재 선단부의 길이, 따라서 천자깊이가 변하게 된다.
한편, 주사기의 외부로부터 쉽게 드럼을 회전할 수 있도록 드럼 주위에 끼워넣을 수 있는 캡형상 손잡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충돌부재가 충돌하는 링형상부재의 후방단면의 상기 일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주사기를 도시한 도면, 예를 들어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사 기의 하나의 형태는, 주사기 하우징의 후방칸막이(358)의 뒤쪽에 그것과 인접하여 천자깊이조절용 드럼(360)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이 드럼(360)의 전단 내부에는 개구부(363)를 가지는 천자깊이조절 링부재(361)가 배치되며(이것들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런저의 후단부(362)가 개구부(363)를 관통하여 뻗어 있고, 플런저의 후단에는 충돌부재(36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링형상부재(361)는 그와 같은 플런저(310)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드럼(360)의 후방으로 끼워진 회전 노브(366)로서의 캡형상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드럼(360) 및 링형상부재(361)가 플런저 주위에서 회전한다.
도 37에 플런저 주위에 위치하는 링형상부재(361) 및 플런저의 후단에 배치된 충돌부재(365)를 플런저를 생략하고(연장방향만 파선으로 나타냄) 모식적으로 사시도로 나타낸다. 링형상부재(361)의 천자방향의 길이(a)는 그 둘레방향에 따라 연속적 또는 계단형상으로 변한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천자방향의 길이가 계단형상으로 예를 들어, a1, a2, 및 a3으로 변한다. 충돌부재(365)는 충돌부위(367, 367')를 상하에 가지고, 란셋이 발사되어 플런저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충돌부재(365)는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자방향으로 이동하여 링형상부재(361)에 충돌한다.
예를 들어, 도 37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플런저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충돌부위(367)는 천자방향의 길이가 a1인 계단(371)에 충돌하고, 충돌부위(367')는 천자방향의 길이가 a1인 계단(371')에 충돌한다. 즉, 충돌부재의 충돌부위가 링형상부재의 후방단면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계단 중 하나에 충돌한다. 이 상태에서 도 시하는 화살표와 같이 노브(366)를 (도면의 왼쪽에서 보아) 오른쪽으로 조금 돌리면, 위쪽 충돌부위(367)가 앞쪽으로 이동하고, 아래쪽 충돌부위(367')가 반대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충돌부위(367)는 천자방향의 길이가 a2인 계단(373)에 충돌하고, 충돌부위(367')는 천자방향의 길이가 a2인 계단(373')에 충돌한다.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충돌부위가 충돌하는 링형상부재의 천자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름으로써, 예를 들어 계단(371)과 계단(373)에서는 천자방향의 길이가 다름으로써, 플런저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변하고, 즉 천자깊이가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천자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른 링형상부재의 후방단면의 다른 일부분에 충돌부위가 충돌하게 함으로써 천자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충돌부재(365) 및 링형상부재(361)의 적어도 한쪽이 탄성이 풍부한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우레탄 등으로 형성되어 충격완화특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이것들이 충돌할 때의 충격이 완화되고, 그 결과 천자시에 사용자가 느끼는 충격이 완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6에 나타낸 천자후의 주사기의 상태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드럼(360)과 링형상부재(361)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드럼을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링형상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충돌부재(365)에 맞닿고, 그 후 드럼을 더욱 후방으로 당기면 플런저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이에 의해 플런저(310)의 돌기부(324)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발사가능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천자한 후에 그 천자행위가 어떠한 이유에 의해 불충분하였을 경우(예를 들어, 손가락 끝을 란셋 케이스의 선단에 대기 전에 란셋을 발사하여 버렸을 경우에), 란셋 어셈블리가 장전되어 있는 상태이면, 즉 도 26과 같이 되돌아간 상태로 되어 있을 때, 드럼(360)(따라서, 손잡이(366))을 뒤로 끌어당김으로써 다시 발사가능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적절한 천자를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사기는, 주사기 하우징에 대하여 드럼을 후방으로 끌어당김으로써 플런저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발사가능상태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천자종료상태의 주사기에 있어서, 드럼을 후방으로 끌어당김으로써 플런저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그 돌기가 트리거 레버의 후단(33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후단을 통과한 순간에 트리거 레버가 안쪽으로 이동하고, 다시 란셋을 발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을 후퇴시키기 위하여 뒤쪽을 향하여 드럼을 잡아당길 때, 드럼을 약간 회전시키는 힘도 동시에 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드럼이 천자방향 둘레에서 의도하지 않게 회전하여 공교롭게도 서로 다른 천자깊이로 설정되어 버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도하지 않은 천자깊이의 변경을 방지하기 위하여, 드럼은 후방칸막이의 전방에 회전제한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제한부는 후방칸막이를 관통하여 드럼으로부터 전방으로 뻗고, 후방칸막이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통부(筒部) 및 그 전방에 위치하는 제2 통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플런저는 드럼회전제한부를 관통하여 드럼 안에서 뻗어 있고, 또한 드럼은 드럼회전제한부와 일체가 되어 플런저의 길이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고, 후방칸막이가 가지는 개구부 안에서 제1 통부는 회전가능하지만, 제2 통부는 회전할 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회전제한부는, 도 38에 모식적 사시도로 나타내는 회전제한부재(380)를 드럼으로부터 전방으로 뻗은 접속부(382)에 끼움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회전제한부재(380)는 후방칸막이가 규정하는 개구부 안쪽에서 회전할 수 있는 제1 통부(384) 및 그 전방에 위치하는 제2 통부(386)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하나의 형태에서 제1 통부 및 제2 통부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체이다. 플런저는 이 통부들을 관통하여 드럼 안에서 뻗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부는 정다각형의 윤곽형상을 가지고, 개구부는 그 정다각형에 외접하거나 혹은 약간의 간극을 두고 이 정다각형을 둘러싸는 정다각형이며, 제1 통부는 개구부로서의 정다각형의 안쪽에서 회전할 수 있는 단면형상(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또는 정다각형 단면)을 가진다.
도시한 형태에서 제2 통부(386)는 정십각형의 윤곽형상(단, 각부분은 모따기되어 있고, 모따기부(chamfer)를 부호 388로 나타낸다)을 가지고, 후방칸막이의 개구부는 그 정십각형에 외접하거나 혹은 약간의 간극을 두고 이 십각형을 둘러싸는 정십각형이며, 제1 통부(384)는 개구부로서의 정십각형의 안쪽에서 회전할 수 있는 원형단면을 가진다.
이와 같은 회전제한부를 설치하면, 주사기의 재충전을 위하여 드럼을 주사기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잡아당기는 경우, 후방칸막이의 개구부에 제2 통부가 위치함으로써 드럼이 의도하지 않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통부의 천자방향의 길이(L)는 후방칸막이의 두께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같으며, 실질적으로 같거나 혹은 그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통부의 길이는 특별 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을 후방으로 끌어당길 때 스프링이 압축하고, 끌어당기는 힘을 해제하였을 때 압축한 스프링이 늘어나는 것을 이용하여, 드럼이 자동으로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후방칸막이의 전방으로서 드럼회전제한부의 바깥쪽 주위에 그와 같은 스프링을 배치하여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2 통부의 앞끝에 플랜지부를 설치하고, 이것과 후방칸막이 사이에 리턴 스프링(S3)을 배치하여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란셋, 및 란셋 케이스, 상술한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기 위한 란셋과 란셋 케이스의 키트, 상술한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와 상술한 본 발명의 주사기에 의해 구성되는 천자 디바이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란셋 어셈블리와 상술한 본 발명의 주사기에 의해 구성되는 천자 디바이스의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란셋, 란셋 케이스 및 이것들로 구성되는 란셋 어셈블리, 그리고 주사기는 보다 안전하고 보다 간편한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7)

  1. 란셋 및 그 일부분을 수용하는 란셋 케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란셋 어셈블리로서,
    란셋은 란셋 몸체, 란셋 캡 및 금속의 천자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란셋 케이스는 전단개구부 및 후단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 몸체, 그리고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위치하는 쌍을 이루는 날개부를 가지며,
    란셋에서는 천자부재가 란셋 몸체 및 란셋 캡에 걸쳐서 이것들의 안에 존재하고,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란셋 캡에 의해 둘러싸이며,
    란셋 몸체는 돌출부 및 그 후방에 위치하는 스톱퍼를 가지고,
    란셋 케이스의 각 날개부는 전단부 및 후단부 그리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맞닿음부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전단부는 케이스 몸체에 일체로 접속되고 후단부는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질 수 있으며,
    날개부의 후단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져 있지 않은 경우, 후단부는 케이스 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그 결과 날개부는 케이스 몸체의 옆쪽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며,
    날개부의 후단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져 있는 경우, 날개부는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따라 위치하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란셋 캡과 란셋 몸체가 약화부분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있도록 구성되고, 약화부분의 전방에 위치하는 란셋 캡의 후방부분, 약화부분 및 약화부분의 후방에 위치하는 란셋 몸체의 전방부분은 란셋 케이스 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란셋 캡과 란셋 몸체가 독립된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되고, 란셋 캡의 후방부분 및 란셋 몸체의 전방부분은 란셋 케이스 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란셋 몸체의 돌출부는 앞뒤로 이격된 2종류의 돌출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란셋 캡은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216)를 가지고, 돌기부의 뒤쪽에는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끼움부(217)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6. 제 4 항에 있어서,
    끼움부의 뒤쪽은 후방을 향하여 오므라지는 형태의 부분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7. 제 1 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날개부의 맞닿음부는 계단형상부의 형태 또는 돌출부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란셋 몸체의 스톱퍼는 란셋 몸체로부터 비스듬히 전방·바깥쪽을 향하여 뻗은 손톱 형태 또는 버(burr)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란셋 케이스의 옆쪽은 날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날개부의 후단부는 란셋 케이스의 옆쪽에 설치된 공간부에 압입 끼워맞춤 또는 스냅 끼워맞춤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날개부 후단부의 형상은 후방을 향하여 서서히 바깥쪽으로 펼쳐지는 삼각날개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날개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케이스 몸체를 형성하는 벽부분은 케이스 몸체의 다른 벽부분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란셋 몸체 전단부의 단면, 및 그것과 마주보는 란셋 캡 후단부의 단면 중 한쪽 단면은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돌기부의 정상부는 천자요소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은 가상평면을 규정하며, 다른쪽 단면은 천자요소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은 평면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란셋 몸체를 란셋 케이스의 전단개구로부터 삽입하여 그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란셋 몸체의 돌출부가 케이스 몸체의 후단개구부를 규정하는 벽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란셋 케이스는 주사기의 전단개구부의 안쪽에 설치된 볼록부를 타고 넘어 끼워지는 볼록부, 또는 주사기의 전단개구부의 안쪽에 설치된 오목부에 끼워지는 볼록부를 그 바깥쪽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란셋 케이스는 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그 결과 스톱퍼부는 그 전단부가 케이스 몸체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란셋 몸체는 란셋을 발사하는 주사기의 플런저의 전단부에 끼울 수 있는 후단부를 가지고, 후단부는 그 바깥쪽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가지며, 이 볼록부 또는 오목부는 주사기의 플런저 전단부의 안쪽에 설치된 상보적인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어셈블리.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란셋 어셈블리를 장전하고,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 몸체를 발사시키는 주사기로서,
    주사기는, 그 내부에 선단부가 노출된 천자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란셋 몸체를 발사시키는 플런저, 및 날개부 확장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날개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진 상태에 있는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삽입하고 란셋 몸체의 후단부를 후퇴시켜서 플런저의 전단부와 맞닿게 하며, 그 후 란셋 몸체를 더욱 후퇴시키면, 란셋 몸체의 후단부는 플런저의 전단부에 끼워져 파지되고, 그 후 란셋 몸체를 더욱 후퇴시키면, 트리거 레버가 플런저를 보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그 후 란셋 몸체를 더욱 후퇴시키면, 날개부 확장부재에 의해 날개부가 바깥쪽으로 펼쳐져 있는 상태로 이동하고, 그 후 란셋 몸체를 후퇴시키는 힘을 해방하면, 발사가능상태가 되어 란셋 어셈블리의 장전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8.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란셋 어셈블리를 장전하고, 천자부재의 선단부가 노출된 란셋 몸체를 발사시키는 주사기로서,
    주사기는, 그 내부에 선단부가 노출된 천자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란셋 몸체를 발사시키는 플런저, 및 날개부 확장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날개부가 케이스 몸체의 옆쪽에 끼워진 상태에 있는 란셋 어셈블리를 주사기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삽입하고 란셋 몸체의 후단부를 후퇴시켜서 플런저의 전단부와 맞닿게 하며, 그 후 란셋 몸체를 더욱 후퇴시키면, 란셋 몸체의 후단부는 플런저의 전단부에 끼워져 파지되고, 그 후 란셋 몸체를 더욱 후퇴시키면, 트리거 레버가 플런저를 보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동시에, 날개부 확장부재에 의해 날개부가 바깥쪽으로 펼쳐져 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란셋 몸체를 후퇴시키는 힘을 해방하면, 발사가능상태가 되어 장전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날개부 확장부재는 슬로프를 형성하는 쌍을 이루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슬로프를 형성하는 쌍을 이루는 부재는 서로 이간되어 끝이 가는 형상을 가지는 쌍의 쐐기형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1.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전된 란셋 어셈블리의 란셋 케이스에 앞쪽을 향하는 힘을 가할 수 있는 배출기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배출기는 앞쪽을 향하는 힘을 가하는 작용부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이 작용부는 장전된 란셋 어셈블리의 란셋 케이스의 후단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배출기의 작용부는 날개부가 존재하는 측면에 인접하는, 란셋 케이스 측면의 후단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4.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런저는 그 중간부분의 주위에 설치된 돌기부와 주사기 하우징 안의 후방칸막이 사이에서 플런저의 주위에 배치된 발사 스프링을 가지고 이루어지고,
    란셋 몸체의 후단부가 플런저에 파지된 후, 플런저가 후퇴함으로써 발사 스 프링이 압축되고, 플런저측을 향하여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트리거 레버의 후단을 넘어 플런저의 돌기부가 후퇴하면, 트리거 레버의 후단이 플런저측으로 이동하여 트리거 레버가 플런저를 보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발사가능상태에서 란셋 캡의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는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간하여 위치하고, 이에 의해 란셋 캡의 후방에 위치하는 끼움부는 그 전체가 실질적으로 전부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6. 제 24 항에 있어서,
    발사가능상태에서 란셋 캡의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는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간하여 위치하고, 오므라지는 형태 부분의 일부분이 케이스 몸체의 전단개구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7. 제 17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 레버는 그 아래가장자리에서 후단의 전방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가지고, 플런저의 돌기부는 란셋을 발사하기 위하여 트리거 레버의 후단에 맞물리기 전, 또한 란셋을 발사한 후에 트리거 레버의 볼록부에 맞물리거나 또는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8. 제 17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 레버는 그 아래가장자리에서 후단의 전방에 볼록부 및 그 후방에 그것과 인접하여 오목부를 가지고, 플런저의 돌기부는 란셋을 발사하기 위하여 트리거 레버의 후단에 맞물리기 전, 또한 란셋을 발사한 후에 트리거 레버의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9. 제 17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사기 하우징의 후방칸막이의 뒤쪽에 그것과 인접하여 천자깊이조절용 드럼을 가지고 이루어지고,
    플런저는 드럼 내에서 뻗어 종단하고, 드럼은 플런저의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드럼은 그 전단의 내측에 고정된, 플런저 주위에서 회전가능한 링형상부재를 가지고, 링형상부재의 천자방향의 길이는 그 둘레방향에 따라 변하며,
    플런저의 후단은 링형상부재의 둘레방향의 일부분에서 그 후방 단면에 충돌하는 충돌부재를 가지고,
    천자시에 플런저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플런저 후단의 충돌부재는 드럼 안의 링형상부재의 후방 단면의 일부분과 충돌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링형상부재를 플런저 주위에서 회전시킴으로써 플런저 후단 부의 충돌부재가 충돌하는 대상인 링형상부재의 후방 단면의 상기 일부분을 다른 일부분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링형상부재는 충격완화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31.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드럼은 드럼회전제한부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고, 드럼회전제한부는 후방칸막이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뻗어 있으며, 후방칸막이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통부 및 그 전방에 위치하는 제2 통부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플런저는 드럼회전제한부를 관통하여 드럼 안에서 뻗어 있고, 드럼은 드럼회전제한부와 일체가 되어 플런저의 길이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며, 후방칸막이가 가지는 개구부 안에서 제1 통부는 회전가능하지만 제2 통부는 회전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제1 통부 및 제2 통부는 일체로 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33.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란셋.
  34.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란셋 케이스.
  35.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란셋 어셈블리를 구성하기 위한 란셋과 란셋 케이스의 키트.
  36.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란셋 어셈블리와 제 17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주사기에 의해 구성되는 천자 디바이스.
  3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란셋 어셈블리 및 제 17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주사기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천자 디바이스 키트.
KR1020087030021A 2006-06-13 2007-06-12 란셋 어셈블리 KR200900188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63498 2006-06-13
JP2006163498 2006-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810A true KR20090018810A (ko) 2009-02-23

Family

ID=3883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021A KR20090018810A (ko) 2006-06-13 2007-06-12 란셋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049234A1 (ko)
EP (1) EP2033578A4 (ko)
JP (1) JPWO2007145205A1 (ko)
KR (1) KR20090018810A (ko)
CN (1) CN101466310B (ko)
BR (1) BRPI0713650A2 (ko)
CA (1) CA2654603A1 (ko)
MX (1) MX2008015833A (ko)
RU (1) RU2009100850A (ko)
WO (1) WO20071452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29949B1 (en) * 2005-09-29 2012-07-25 Izumi-Cosmo Company, Limited Lancet assembly and puncture device
CN101410058A (zh) * 2006-04-03 2009-04-15 泉株式会社 柳叶刀组件
WO2007114101A1 (ja) * 2006-04-03 2007-10-11 Izumi-Cosmo Company, Limited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
US7909842B2 (en) 2006-06-15 2011-03-22 Abbott Diabetes Care Inc. Lancing devices having depth adjustment assembly
GB2451839A (en) * 2007-08-14 2009-02-18 Owen Mumford Ltd Lancing device
JP5469397B2 (ja) * 2009-07-28 2014-04-16 泉株式会社 穿刺デバイスならびにそれを構成する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インジェクターアッセンブリ
US20120172756A1 (en) * 2010-12-30 2012-07-05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Handheld Medical Diagnostic Devices
US8852123B2 (en) 2010-12-30 2014-10-07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Handheld medical diagnostic devices housing with sample transfer
US9717452B2 (en) 2010-12-30 2017-08-01 Roche Diabetes Care, Inc. Handheld medical diagnostic devices with lancing speed control
US8158428B1 (en) 2010-12-30 2012-04-1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aterial defects in combustors of combustion turbine engines
EP2676607B1 (en) * 2011-02-14 2016-04-20 Asahi Polyslider Co., Ltd. Lancet device
WO2014083783A1 (ja) 2012-11-30 2014-06-05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穿刺器具、穿刺器具に装着する穿刺針カートリッジ、及び穿刺器具及び穿刺針カートリッジの使用方法
JP6549915B2 (ja) * 2014-06-30 2019-07-24 Ph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穿刺針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が装着される穿刺器具
PL234203B1 (pl) * 2017-09-02 2020-01-31 Htl Strefa Spolka Akcyjna Urządzenie do nakłuwania skóry pacjenta
CN107854129B (zh) * 2017-10-23 2019-08-23 苏州施莱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穿刺深度后置调节的采血笔
GB2577869A (en) * 2018-09-28 2020-04-15 Owen Mumford Ltd A blood sampling device
CN116196075B (zh) * 2023-05-06 2023-06-27 山东百多安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无需扩皮防返血的穿刺、引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2315A1 (de) * 1992-04-13 1993-10-14 Boehringer Mannheim Gmbh Blutlanzettenvorrichtung zur Entnahme von Blut für Diagnosezwecke
JP2561697Y2 (ja) 1992-08-28 1998-02-04 アプルス株式会社 ランセット
JP3144718B2 (ja) * 1992-10-26 2001-03-12 アプルス株式会社 採血デバイス
US5628765A (en) * 1994-11-29 1997-05-13 Apls Co., Ltd. Lancet assembly
US6168606B1 (en) * 1999-11-10 2001-01-02 Palco Labs, Inc. Single-use lancet device
EP1285629B1 (en) * 2001-01-19 2013-05-22 Panasonic Corporation Lancet-integrated sensor and measurer for lancet-integrated sensor
GB0103977D0 (en) * 2001-02-17 2001-04-04 Owen Mumford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skin prickers
EP1405596B1 (en) * 2001-07-11 2010-10-06 ARKRAY, Inc. Lancet
JP2004113580A (ja) * 2002-09-27 2004-04-15 Ra Systems:Kk ランセット
KR200315777Y1 (ko) * 2003-03-24 2003-06-11 김용필 일회용 사혈침기구
US7905898B2 (en) * 2003-08-15 2011-03-15 Stat Medical Devices, Inc. Adjustable lancet device and method
JP4507600B2 (ja) * 2004-01-05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採血用穿刺器具、および穿刺針ユニット
US7763042B2 (en) * 2003-12-16 2010-07-27 Panasonic Corporation Lancet for blood collection and puncture needle unit
CN2705119Y (zh) * 2004-04-16 2005-06-22 施国平 壳体自锁型一次性安全自动采血针
US7452366B2 (en) * 2004-05-06 2008-11-18 Eumed Biotechnology Co., Ltd. Safety lancet device
US8257380B2 (en) * 2004-06-29 2012-09-04 Stat Medical Devices, Inc. Adjustabable disposable/single-use lancet device and method
US8251919B2 (en) * 2004-10-25 2012-08-28 Arkray, Inc. Lancet and lancet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314209B1 (en) * 2005-04-28 2017-03-15 Panasonic Healthcare Holdings Co., Ltd. Puncture needle cartridge
EP1929949B1 (en) * 2005-09-29 2012-07-25 Izumi-Cosmo Company, Limited Lancet assembly and puncture device
WO2007114101A1 (ja) * 2006-04-03 2007-10-11 Izumi-Cosmo Company, Limited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
CN101410058A (zh) * 2006-04-03 2009-04-15 泉株式会社 柳叶刀组件
JP5036711B2 (ja) * 2006-06-13 2012-09-26 泉株式会社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穿刺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66310B (zh) 2011-06-15
EP2033578A4 (en) 2010-10-06
RU2009100850A (ru) 2010-07-20
CN101466310A (zh) 2009-06-24
BRPI0713650A2 (pt) 2012-10-23
US20100049234A1 (en) 2010-02-25
CA2654603A1 (en) 2007-12-21
JPWO2007145205A1 (ja) 2009-10-29
EP2033578A1 (en) 2009-03-11
MX2008015833A (es) 2009-01-12
WO2007145205A1 (ja)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8810A (ko) 란셋 어셈블리
KR20080110859A (ko) 란셋 어셈블리
JP4642082B2 (ja)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穿刺デバイス
WO2007018215A1 (ja) 穿刺デバイスならびにそれを構成する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インジェクターアッセンブリ
KR20090009821A (ko) 란셋 어셈블리
JP5596823B2 (ja) ランセット穿刺デバイス
US8740923B2 (en) Puncture device and puncture needle cartridge
JP5036711B2 (ja)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穿刺デバイス
JP5878872B2 (ja) 穿刺デバイスならびにそれを構成する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インジェクターアッセンブリ
JP5469397B2 (ja) 穿刺デバイスならびにそれを構成する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インジェクターアッセンブリ
CN113164115A (zh) 血液取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