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519A - 체인 스티치 미싱 - Google Patents

체인 스티치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519A
KR20070058519A KR1020077006718A KR20077006718A KR20070058519A KR 20070058519 A KR20070058519 A KR 20070058519A KR 1020077006718 A KR1020077006718 A KR 1020077006718A KR 20077006718 A KR20077006718 A KR 20077006718A KR 20070058519 A KR20070058519 A KR 20070058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er
support member
loopers
needle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8581B1 (ko
Inventor
이쿠오 다지마
사토루 스즈키
유이치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8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2Loop takers, e.g. loopers for chain-stitch sewing machines, e.g. oscillating
    • D05B57/04Loop takers, e.g. loopers for chain-stitch sewing machines, e.g. oscillating rotar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05B57/32Driving-gear for loop takers in chain-stitch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05B59/04Devices for changing the bobbin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16Arrangements for repeating thread patterns or for changing threa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3/00Selection of machines, accessories or parts of the same k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침판(針板)(8)의 아래에 배치된 루퍼(looper)부(5)는, 복수의 루퍼(18)를 만곡(彎曲)한 이동 경로에 따라서 배치하고 있고, 또한, 이 만곡한 이동 경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루퍼(18)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그 중 1개의 루퍼(18)를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이동 기구(13, 17, 19, 28)를 포함하며, 왕복 구동되는 구침(鉤針)(4)과 선택된 루퍼(18)의 협동에 의해 체인 스티치를 행한다. 루퍼부(5)는, 바늘 낙하 위치를 포함하는 일단부가 돌출하고, 이 일단부로부터 통 모양 피봉제물이 출입 가능하다. 예를 들면, 만곡한 이동 경로는 U자 모양이다.

Description

체인 스티치 미싱{CHAIN-STITCH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1개의 바느질 헤드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루퍼(looper)를 구비한 체인 스티치 미싱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재봉실의 색 전환을 실시하기 위해서 임의의 루퍼를 선택하는 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통 모양의 피봉제물에 대한 체인 스티치를 실시하는데 적합한 루퍼 선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체인 스티치 자수 미싱에 있어서는, 왕복 구동되는 구침(鉤針)과, 침판의 아래쪽에서 재봉실을 공급하도록 배치된 루퍼가 협력하고, 이 루퍼가 이 구침과 동기(同期)적으로 회전 제어되어 피봉제물에 대해서 체인 스티치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1개의 바느질 헤드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루퍼를 구비하고, 각 루퍼에 있어서 각각 다른 재봉실을 공급하도록 한 체인 스티치 미싱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체인 스티치 미싱에 있어서, 복수의 루퍼 중에서부터 소망한 재봉실에 대응하는 루퍼를, 침원(針元) 즉 바늘 낙하 위치에 위치되게 선택하도록 한 기술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에 나타나 있다. 하기(下記)한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횡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가능한 지지체와, 지지체에 그 슬라이드 방향에 따라서 소정 피치로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된 복수의 루퍼를 구비하고 있고, 지지체를 슬라이드시켜 임의의 루퍼를 선택함으로써 재봉실의 색 전환을 실시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특개소59-211670호
[특허문헌 2] 특개평08-155161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복수의 루퍼를 횡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평면 모양의 피봉제물 밖에 적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한편, 피봉제물에는, T셔츠나 모자 등 통 모양의 피봉제물도 존재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통 모양의 피봉제물에 통상의 바느질 또는 자수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통 모양의 피봉제물의 안쪽에, 가마를 내장한 통형의 가마 베드를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통 모양의 피봉제물에 체인 스티치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통 모양의 피봉제물의 안쪽에 루퍼를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복수의 루퍼를 임의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재봉실의 색 전환을 실시하도록 한 체인 스티치 미싱에서는, 복수의 루퍼를 횡 방향에 직선 모양으로 배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루퍼 지지체는 루퍼의 수에 대응할 만한 가로 폭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장치에 의해서 통 모양의 피봉제물에 체인 스티치를 실시함에는 , 이와 같은 루퍼 전체 수만큼의 가로 폭을 가지는 루퍼 지지체 전체를 통 모양의 피봉제물의 안쪽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고, 또한, 이 루퍼 지지체가 슬라이드 할 수 있을 만큼의 여유도 필요하다. 이 때문에, 체인 스티치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통 모양 피봉제물로서, 꽤 큰 사이즈의 것으로 한정되어 버릴 뿐만이 아니라, 만일 체인 스티치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큰 사이즈의 통 모양 피봉제물에 있어서도 그 봉제 범위가 극히 한정된 것이 되어, 실용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사실상, 통 모양의 피봉제물에 적절한 루퍼 선택 기구를 구비한 체인 스티치 미싱은 종래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1개의 바느질 헤드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루퍼를 구비한 미싱에 있어서, 임의의 루퍼를 선택하는 기구를 개량한 미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통 모양의 피봉제물에 대한 다색 실에 의한 체인 스티치를 실시하는데 적합한 루퍼 선택 구조를 가지는 미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미싱은, 왕복 구동되는 구침과, 침판의 아래쪽에 배치된 루퍼부를 구비한 미싱으로서, 상기 루퍼부가, 복수의 루퍼를 만곡한 이동 경로에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한, 이 만곡한 이동 경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루퍼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그 중의 1개의 루퍼를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시키는 이동 기구를 포함하며, 이 바늘 낙하 위치에 선택된 1개의 루퍼와 상기 구침과의 협동에 의해 체인 스티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루퍼를 만곡한 이동 경로에 따라서 배치한 구성에 의해, 적어도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침원(針元))에 있어서 만곡 개소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루퍼부 전체의 구조로서, 이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를 포함한 일단부가 돌출하도록(만곡 개소를 이루는 것) 구성할 수 있게 되며, 이 일단부로부터 통 모양 피봉제물이 출입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통 모양의 피봉제물에 대한 체인 스티치를 실시하는데 적합한 루퍼 선택 구조로 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루퍼를 만곡한 이동 경로에 따라서 배치한 본 발명에 관한 신규한 구성은, 미싱의 전면(前面) 가까이에 위치하는 루퍼부의 구조를 간략화하여, 이동 기구가 작은 부피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으므로, 통 모양의 피봉제물에 한정하지 않고, 평면 모양의 피봉제물에 대한 체인 스티치를 실시하는 미싱에 있어서도,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루퍼부의 이동 기구는, 루퍼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각 루퍼 마다의 지지 부재와, 이 각 루퍼 마다의 지지 부재를 플렉서블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이 연결 부재를 통하여 연결된 지지 부재를 상기 만곡한 이동 경로에 따라서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하여 연결된 지지 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이것에 의해, 플렉서블한 연결과 이동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한 연결과 이동의 구조는, 복수의 루퍼를 만곡한 이동 경로에 따라서 배치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도 1은 복수의 체인 스티치용 미싱 헤드를 구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다두식 체인 스티치 미싱의 외관도.
도 2는 동일한 실시예에 관한 루퍼 토대의 상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동일한 실시예에 관한 루퍼 토대의 정면도.
도 4는 이 루퍼 토대의 전방(前方) 부분에 대한 측면도.
도 5는 도 2의v-v선에 따른 측단면도.
도 6은 도 5와 동일한 측단면을, 그것과는 다른 동작 상태에 관하여, 선단 부분에 대해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동일한 실시예에 관한 루퍼 토대를 침판 및 루퍼 커버를 떼어낸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과 동일한 평면을 그것과는 다른 루퍼 선택 상태에 대해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에 위치하는 1개의 루퍼의 종단면도.
도 10은 동일한 실시예에 관한 루퍼 토대 내에 있어서 U자 모양으로 반곡하여 배치된 복수의 루퍼로 이루어지는 배열을, 만곡 개소에 대해 추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루퍼 배열의 만곡 개소에 대한 평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합니다.
도 1은, 복수의 체인 스티치용 미싱 헤드(3)를 구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다두식 체인 스티치 미싱의 외관도이다. 1은 미싱 프레임, 2는 테이블로, 테이블(2)은 승강 가능한 전방 테이블(2a)을 가지고 있다. 미싱 프레임(1)의 전면(前面)에는, 그 자체는 주지(周知)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체인 스티치용 미싱 헤드(3)가 복수(도시예에서는 4개) 배치되어 있고, 각 미싱 헤드(3)는 상하로 왕복 구동되는 구침(鉤針)(4)(도 3등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각 미싱 헤드(3)의 아래쪽에는 통형의 루퍼 토대(土臺)(루퍼부)(5)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테이블(2) 위에는, X/Y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시하지 않는 기본 섀시(chassis) 틀이 배치되어 있고, 기본 섀시 틀에는 각 미싱 헤드(3)에 대응하여 좌우 한 쌍의 지지 암(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지지 암(6)에서, T셔츠의 몸통과 같은 통 모양의 피봉제물(H)을 세팅한 봉제 틀(7)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루퍼 토대(5)는, 자수 틀(7)에 세팅된 통 모양의 피봉제물(H)의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갈 수 있도록, 앞쪽의 선단이 공간으로 돌출한 형상, 말하자면, 통형(실린더 형상 또는 봉(棒)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기초부(안쪽의 일단)가 미싱 프레임(1)에 고정된, 편지(片持 : 외팔보) 지지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동일한 실시예에 관한 루퍼 토대(5)의 평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퍼 토대(5)의 상면에 있어서의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구침(4)의 관통을 허용하는 바늘 구멍(8a)을 가지는 침판(8)이 고정되어 있고, 그 외의 상면 부분은 루퍼 커버(9) 및 토대 커버(10)로 덮여 있다.
다음에, 루퍼 토대(5)에 배치된 루퍼 선택을 위한 이동 기구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동일한 실시예에 관한 루퍼 토대(5)의 정면도, 도 4는 이 루퍼 토대(5)의 전방 부분에 대한 측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2의 v-v선에 따른 측단면도, 도 6은 동작 설명을 위해서 도 5와 동일한 측단면도를 선단 부분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상면의 침판(8), 루퍼 커버(9)를 떼어낸 상태의 루퍼 토대(5)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과 동일한 평면도를 도 7과는 다른 루퍼 선택 상태에 대해 나타낸다.
도 4 또는 도 5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루퍼 토대(5)의 기본체(11)에는, 그 전단(前端)부에 지지 베이스(12)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 베이스(12)에는 도시하 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구동 기어(13)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기어(13)는, 지지 베이스(12)에 축지지된 샤프트(14)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샤프트(14)의 하단부에는 풀리(15)가 고정되어 있다. 풀리(15)는 타이밍 벨트(16)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과 연결되어 있고,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서 구동 기어(13)가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7 또는 도 8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지지 베이스(12)에는 U자 모양의 가이드 홈(17)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홈(17)에는 복수(예를 들면 6개)의 루퍼(18)가 배치되어 있다. 각 루퍼(18)는, 각각, 가이드 홈(17)에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삽입된 지지 부재(19)에 회전이 자유롭고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루퍼(18)의 외주부에는, 구동 기어(13)와 치합(齒合) 가능한 종동 기어(20)가 고정되어 있다. 루퍼(18)의 아래쪽 부분에는 스프링 받이(21)가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 받이(21)와 지지 부재(19)와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22)의 가압에 의해서, 루퍼(18)는 평상시에는 종동 기어(20)의 하면이 지지 부재(19)의 상면과 맞닿는 아래쪽 위치에 위치된다.
도 9는,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에 위치하는 1개의 루퍼(18)의 종단면도이다. 이 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루퍼(18)는 구침(4)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도피 구멍(23)과, 재봉실(T)이 통과하도록 상하에 관통한 실 통과 구멍(24)을 가지고 있다. 실 통과 구멍(24)은 위쪽 부분이 굴곡하고 있고, 그 상단 개구부의 실 도출(導出)구(24a)가 루퍼(18)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구침(4)이 하강하여 그 갈고리부(4a)가 도피 구멍(23)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루퍼(18)를 회전시켜 재봉실(T)을 구침(4)에 감아 돌리고, 그 후에 구침(4)이 상승하여 감겨진 재봉실(T)을 갈고리부(4a)가 당겨 걸어 피봉제물의 표면으로 인출하는 것에 의해서 체인 스티치가 행해진다. 공지한 바와 같이, 재봉실(T)은, 도시하지 않는 실 세움 장치에 배치된 실패로부터 계속 내보내져, 실 통과 구멍(24)의 아래쪽에서부터 공급된다.
루퍼(18)는, 작동 레버(30)에 의해서 제어되어, 지지 부재(19) 안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다. 도 5 ~ 도 9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부재(19)의 칼라(collar)부(19a)에는 핀(25)이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핀(25)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퍼(18)가 아래쪽 위치에 있을 때 루퍼(18)의 종동 기어(20)에 맞물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와 같이 핀(25)이 기어(20)에 맞물린 상태로 루퍼(18)가 회전 불능으로 고정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퍼(18)가 가장 위쪽 위치에 있을 때 루퍼(18)의 종동 기어(20)에 대한 핀(25)의 맞물림이 풀려, 루퍼(18)는 회전 가능하게 된다. 지지 부재(19)의 대략 중간부에는 규제 부재(26)가 고정되어 있고, 이 규제 부재(26)와 지지 부재(19)의 칼라부(19a)에 의해서 지지 베이스(12)를 사이에 끼워 넣어 지지 부재(19)의 상하 위치를 규제하고, 지지 부재(19)가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10은, U자 모양 만곡 하여 배치된 복수의 루퍼(18)로 이루어지는 배열의 만곡 개소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이 만곡 개소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 혹은 도 10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9)에 설치된 규제 부재(26)의 외주에는 오목부(26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26a)는 인접하는 지지 부재(19)의 규제 부재(26)의 볼록부에 맞물리고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26a)가 인접하는 다른 규제 부재(26)의 볼록부와 맞물림으로써, 지지 부재(19)의 회전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지지 부재(19)의 아래쪽 부분에는 재봉실(T)을 안내하기 위한 실 가이드체(27)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만곡하여 배치된 복수의 루퍼(18)의 배열에 있어서, 지지 부재(19)는 각 루퍼(18) 마다 설치될 뿐만 아니라, 루퍼(18)의 수보다 1개 여분의 더미(dummy)의 지지 부재(19)가 배열의 말단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떤 규제 부재(26)의 오목부(26a)가 거기에 인접하는 규제 부재(26)의 볼록부와 맞물림으로써 이 어떤 규제 부재(26)의 회전 위치를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도 7에 있어서 가장 오른쪽 단의 루퍼(18)에 관한 규제 부재(26)의 회전 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더욱 그 오른쪽에 인접한 루퍼(18)를 지지하고 있지 않는 더미의 지지 부재(19)를 그 규제 부재(26)과 함께 설치되어 있다.
도 10, 도 11 등에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9)의 상단부에는, 인접하는 각 지지 부재(19)들을 연결하는 연결판(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판(28)을 통하여 인접하는 지지 부재(19)들을 차례차례로 연결함으로써, 모든 루퍼(18)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플렉서블하게 연결되어, U자 모양 만곡한 가이드 홈(17)에 따라서 플렉서블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루퍼 배열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19)에서는 연결판(28)이 1개이기 때문에, 연결판(28)의 높이를 맞추기 위한 스페이서(29)(도 4)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는 침판(8)의 바늘 구멍(8a)이 상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바늘 구 멍(8a)의 아래쪽(즉 바늘 낙하 위치)에 임의의 루퍼(18)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서, 구침(4)과 이 선택적으로 위치시킨 루퍼(18)에 의한 체인 스티치가 행해진다. 1개의 루퍼(18)가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에 대응하여 올바르게 선택 위치된 상태에서는, 구동 기어(13)는 이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에 선택 위치된 1개의 루퍼(18)의 종동 기어(20)만 서로 맞물리고 있고, 이 선택된 루퍼(18)가 도 6에 나타내는 아래쪽 위치에 있어도,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위쪽 위치에 있어도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모든 루퍼(18)가 아래쪽 위치에 있어서 핀(25)에 의해서 회전 불능으로 고정된 상태로, 구동 기어(13)를 소정의 이송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에 선택된 루퍼(18)의 종동 기어(20)에 회전하려고 하는 구동력이 생기지만, 이 선택된 루퍼(18)의 지지 부재(19)에 고정되어, 이 지지 부재(19)는 인접하는 지지 부재(19)와의 오목부(26a)를 통한 맞물림에 의해서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규제되고 있으므로, 이 선택된 루퍼(18)가 그 지지 부재(19)와 함께, 이 선택 위치를 어긋나는 방향으로, 가이드 홈(17)에 따라서 이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연결된 모든 루퍼(18)가 일체적으로 가이드 홈(17)에 따라서 이동된다. 도 1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만곡한 이동 경로에 따른 루퍼(18)의 이동에 수반하여, 구동 기어(13)에 맞물리도록 선택되어 있던 루퍼(18)의 종동 기어(20)와의 치합이 결국 빗나가게 되지만, 그 전에 인접하는 다음의 루퍼(18)의 종동 기어(20)가 구동 기어(13)와 치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인접하는 다음의 루퍼(18)의 종동 기어(20)가 차례차례로 구동 기어(13)에 치합하여, 루퍼(18)의 배열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유지된다. 도 7에서는 가장 오른쪽 단의 루퍼(18)가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선택 위치)에 선택되어 사용 가능하게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8에서는 왼쪽에서 2번째의 루퍼(18)가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선택 위치)에 선택된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러한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퍼(18)는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선택 위치)에 위치 결정된 당초에 있어서, 그 실 도출구(24a)가 가장 후방(구동 기어(13) 측)에 지향하는 원점 위치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루퍼(18) 및 지지 부재(19)의 회전 위치를 규제하는 것에 의해서, 선택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루퍼(18)의 초기 위치가 항상 원점 위치로 설정되도록 하고 있다.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베이스(12)의 아래쪽에는,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선택 위치)에 위치 결정된, 즉 선택된 1개의 루퍼(18)를 위쪽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레버(30)가 설치되어 있다. 작동 레버(30)는 L자 모양으로, 그 굴곡부를 지지 베이스(12)의 하면에 고정된 브래킷(31)에 축지지되어 있다. 작동 레버(30)는, 전방(前方)(도 5의 우측)으로 연장한 레버부의 선단이 선택된 루퍼(18)의 스프링 받이(21)의 하면과 맞닿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위쪽으로 연장한 레버부의 선단에는 연결판(32)이 연결되어 있다. 연결판(32)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과 연결되어 있고, 이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서 작동 레버(30)가 왕복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작동 레버(30)는 평상시에는 도 6에 나타내는 아래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선택된 루퍼(18)는 코일 스프링(22)의 가압에 의해서 아래쪽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상술의 루퍼 열의 이동시에 있어서도, 작동 레버(30)는 도 6에 나타내는 아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선택된 루퍼(18)의 종동 기어(20) 가 핀(25)에 의해서 고정된다. 한편, 체인 스티치 동작을 실시할 때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서 작동 레버(30)를 위쪽으로 회동시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선택된 루퍼(18)를 코일 스프링(22)의 가압에 저항하여 위쪽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루퍼(18)의 종동 기어(20)와 핀(25)과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이 상태로 구동 기어(13)를 회전 구동시키면 이 선택된 루퍼(18)가 회전되게 되어, 구침(4)의 상하 이동으로 체인 스티치가 행해지게 된다.
도 5 또는 도 6, 도 7등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지지 베이스(12)의 상면에는 메스(mes) 베이스(33)가 고정되어 있다. 메스 베이스(33)에는, 선택된 루퍼(18)가 아래쪽 위치에 있을 때, 선택된 루퍼(18)의 상면과 침판(8)의 하면과의 사이에 진퇴 동작 가능한 가동 메스(34)가 설치되어 있다. 메스 베이스(33)에는 왕복 운동시의 가동 메스(34)와 협동하여 재봉실(T)을 절단하는 고정 메스(35)가 고정되어 있다. 이 가동 메스(34)의 진퇴 동작과 고정 메스(35)에 의해서, 침판(8)의 바늘 구멍(8a)과 루퍼(18)의 실 도출구(24a)의 사이에서 당겨진 재봉실(T)이 포착되어 절단되도록 되어 있다. 메스 베이스(33)에는, 가동 메스(34)와 고정 메스(35)에 의해서 절단된 재봉실(T)의 루퍼(18) 측의 실단을 유지하는 실 유지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체인 스티치를 실시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각 루퍼(18)에는, 도시외의 실 세움 장치에 배치된 복수의 실패로부터 계속 내보내진 색이나 성질 상태가 다른 재봉실(T)이 각각 세트 되어 있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봉실(T)은 실 가이드체(27)의 실 통과 구멍, 루퍼(18)의 실 통과 구멍(24)을 통해 실 도출구(24a)에서부터 도출한 실단을 실 유지 장치로 유지한 상태로 하고 있다. 체인 스티치를 개시할 때는, 최초로, 소망한 재봉실(T)이 세팅된 루퍼(18)를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선택 위치)에 위치시킨다. 소망한 루퍼(18)의 선택은, 상술한 대로, 모든 루퍼(18)가 아래쪽 위치에 있는 상태로 구동 기어(13)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루퍼 열을 가이드 홈(17)에 따라서 이동시키고, 소망한 루퍼(18)를 바늘 낙하 위치(선택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 루퍼(18)의 이동에 수반하여, 각 루퍼(18)에 통해진 재봉실(T)이 인장되거나, 느슨해지거나 한다. 이 때문에, 루퍼 토대(5)의 기본체(11)의 아래쪽에는, 각 루퍼(18)의 이동에 대응하여 재봉실(T)을 이완하여 늘리 도시외의 실 이장(弛張)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소망한 루퍼(18)를 바늘 낙하 위치(선택 위치)에 위치 결정하면, 작동 레버(30)를 위쪽으로 회동시켜 선택된 루퍼(18)를 위쪽 위치로 이동시킨다(도 5). 이 상태로 구동 기어(13)를 회전 구동시켜서, 루퍼(18)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미싱 헤드(3)의 구침(4)을 상하 이동시킨다. 이것과 동기하여 통 모양의 피봉제물(H)이 세팅된 봉제 틀(7)을 소망한 바느질 패턴 데이터에 따라 X/Y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피봉제물(H)에 소망한 무늬의 체인 스티치 행해지게 된다.
체인 스티치를 실시하는 재봉실(T)을 바꿀 때는, 루퍼(18)의 회전 및 구침(4)의 상하 이동을 정지시킨 후, 작동 레버(30)를 아래쪽으로 회동시켜서, 현재 선택되어 있는 루퍼(18)를 아래쪽 위치로 이동시킨다(도 6). 이 상태로 가동 메스(34)를 진퇴 동작시켜 재봉실(T)을 절단한다. 다음에, 구동 기어(13)를 구동시키고, 다음에 사용해야 할 재봉실(T)을 세팅하고 있는 소망한 루퍼(18)를 바늘 낙하 위치(선택 위치)까지 위치시키며, 그리고, 작동 레버(30)를 위쪽으로 회동시켜 루퍼(18)를 위쪽 위치로 이동시킨다(도 5).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루퍼(18)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구침(4)을 상하 이동시켜 체인 스티치를 실시한다. 또한, 공지한 바와 같이, 체인 스티치 형식에는 체인 바느질, 루프 바느질 등이 있어, 이것들은 바느질 동작의 설정에 따라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루퍼(18)를 지지하는 각 지지 부재(19)를 연결판(28)으로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루퍼(18)를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U자 모양의 가이드 홈(17)에 따라서 플렉서블하게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 U자형 모양에 한정하지 않고, 그 이동 궤적을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루퍼(18)를 폭 좁게 배열하여 루퍼 토대(5)를 좁은 폭의 구조, 예를 들면 통형 구조로 할 수 있고, 다종 다양한 통 모양의 피봉제물(H)의 안쪽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지지 부재(19)의 회전 위치를 규제 부재(26)에 의해서 규제하고, 이 지지 부재(19)에 핀(25)으로 루퍼(18)를 회전 불능으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바늘 낙하 위치(선택 위치)에 위치 결정되었을 때의 루퍼(18)의 초기 회전 위치를 항상 같게 하고 있기 때문에, 체인 스티치를 실시할 때의 루퍼(18)의 초기 회전 위치를 항상 소정의 원점 위치에 대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각 지지 부재(19)를 연결하는 연결판(28)은 지지 부재(19)의 상단부에만 설치하였으나, 지지 베이스(12)의 아래쪽에 있어서도 연결판(28)에 의해서 각 지지 부재(19)를 연결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각 지 지 부재(19)를 연결판(28)에 의해서 지지 베이스(12)의 위쪽과 아래쪽의 2개소에서 연결하면, 지지 부재(19)가 이동될 때 기우는 힘이 가해지는 것이 없기 때문에 보다 부드럽게 이동되게 된다. 또, 복수의 루퍼(18) 중 1개를 바늘 낙하 위치에 선택하기 위한 이동 구동과, 선택된 1개의 루퍼(18)를 바느질 동작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을, 공통의 구동 기어(13)를 통한 구동원으로 실시하도록 하였으나, 각각 개별의 구동원으로 실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구동 기어(13)를 펄스 모터로 구동할 때에는, 부하가 다른 2개의 구동(이동과 회전)에 따라 그 루프 게인(loop gain)(추종성(追從性))을 변환 제어할 필요가 있지만, 구동원을 개별적으로 하면 그러한 변환 제어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루퍼(18)의 이동 경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U자형 모양으로 한정하지 않고, 그 외 적당의 만곡한 이동 경로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원형이어도 좋고, 그 경우에서도, 통 모양의 피봉제물(H)의 안쪽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인접하는 루퍼(18)들을 연결판(28)으로 연결하여 플렉서블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에 한정하지 않고, 플렉서블 하지 않은 이동 구조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원형의 이동 경로로 하는 경우는, 턴테이블을 돌리는 이동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하지 않은 이동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 복수의 루퍼(18)를 만곡한 이동 경로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의 구체적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 기어(13)와 가이드 홈(17)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에 한정하지 않고, 어떠한 구조라도 좋다. 예를 들면,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에 걸쳐진 타이밍 벨트에 의해서 소망한 만곡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루 퍼(18)를 탑재한 지지 부재(19)를,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지지 부재(19)의 규제 부재(26)의 오목부(26a)가 인접하는 지지 부재(19)의 규제 부재(26)의 볼록부에 맞물리도록 배치하여, 이 타이밍 벨트에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이 경우, 구동 전달 수단으로서, 타이밍 벨트 대신에, 체인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루퍼(18)를 탑재한 지지 부재(19)를 타이밍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이 플렉서블한 구동 전달 수단에 접속한 경우는, 상술한 실시예의 같은 인접하는 루퍼(18)들을 연결하는 연결판(28)은 불필요하고, 이러한 타이밍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이 플렉서블한 구동 전달 수단 그 자체가 각 루퍼(18)를 플렉서블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 혹은 연결 수단에 상당하는 것이 된다.
또한, 인접하는 루퍼(18)들을 연결 수단(28)으로 연결하여 플렉서블하게 이동시키도록 한, 만곡한 이동 경로의 구조는, 반드시 통 모양의 피봉제물(H)의 안쪽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지 않아도 좋다. 즉, 평면 모양의 피봉제물을 체인 스티치하는 미싱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해 지장이 없다.
또한, 공지한 바와 같이, 봉제 틀(7)은, 바느질 패턴 데이터에 따라 X/Y방향으로 구동되지만, 평면적인 X/Y구동에 한정하지 않고, 모자의 자수 바느질 등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회전 구동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미싱 헤드(3)와 루퍼 토대(5)를 바느질 패턴 데이터에 따라 움직이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개의 바느질 헤드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루퍼를 구비한 체인 스티치 미싱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재봉실의 색 전환을 실시하기 위해서 임의의 루퍼를 선택하는 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통 모양의 피봉제물에 대한 체인 스티치를 실시하는데 적합한 루퍼 선택 구조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7)

  1. 왕복 구동되는 구침(鉤針)과, 침판(針板)의 아래쪽에 배치된 루퍼(looper)부를 구비한 미싱으로서,
    상기 루퍼부가, 복수의 루퍼를 만곡(彎曲)한 이동 경로를 따라서 배치하고 있고, 또한, 이 만곡한 이동 경로를 따라서 상기 복수의 루퍼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그 중 1개의 루퍼를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이동 기구를 포함하며,
    이 바늘 낙하 위치에 선택된 1개의 루퍼와 상기 구침과의 협동에 의해 체인 스티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루퍼부는, 상기 소정의 바늘 낙하 위치를 포함한 일단부가 돌출하고 있고, 이 돌출한 일단부로부터 통 모양 피봉제물의 출입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루퍼의 배치가 이 돌출한 일단부에서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루퍼부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루퍼의 상기 만곡한 이동 경로는 U자 모양인 미싱.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퍼부의 상기 이동 기구는, 루퍼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각 루퍼 마다의 지지 부재와, 이 각 루퍼 마다의 지지 부재를 플렉서블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과, 이 연결 수단을 통하여 연결된 지지 부재를 상기 만곡한 이동 경로에 따라서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연결 수단을 통하여 연결된 지지 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포함한 미싱.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퍼부에 있어서의 각 루퍼는, 각각 지지 부재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각 지지 부재에는 그 회전을 규제하는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을 규제하는 부재는, 인접하는 지지 부재에 맞물리는 오목부를 가지고, 이 오목부를 통하여 인접하는 지지 부재에 맞물리는 것에 의해 그 회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서 상기 루퍼가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부재가 이 지지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KR1020077006718A 2004-11-29 2005-11-29 체인 스티치 미싱 KR100798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44107A JP4310264B2 (ja) 2004-11-29 2004-11-29 環縫いミシン
JPJP-P-2004-00344107 2004-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519A true KR20070058519A (ko) 2007-06-08
KR100798581B1 KR100798581B1 (ko) 2008-01-28

Family

ID=3649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718A KR100798581B1 (ko) 2004-11-29 2005-11-29 체인 스티치 미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00438B2 (ko)
EP (1) EP1818438A1 (ko)
JP (1) JP4310264B2 (ko)
KR (1) KR100798581B1 (ko)
CN (1) CN101035943B (ko)
WO (1) WO2006057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0289B2 (ja) * 2005-04-18 2009-08-05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環縫いミシン
CN103710914B (zh) * 2014-01-15 2015-02-25 佛山市启创科技发展有限公司 电脑绣花机用的多色底线待用梭芯存放器
MX2019000533A (es) 2016-07-12 2019-09-05 Walmart Apollo Llc Sistemas y metodos para valoracion automatizada de objetos fisicos.
CN107780074B (zh) * 2016-08-25 2019-04-05 北京大豪科技股份有限公司 高速链式刺绣机的控制方法及装置
CN110965223A (zh) * 2020-01-19 2020-04-07 佛山市启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毛巾绣电脑绣花机的打环机构
CN113430732B (zh) * 2021-05-28 2022-07-08 浙江信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多色绳绣装置及绣花机
CN113430731B (zh) * 2021-05-28 2022-07-08 浙江信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体结构的打环头及绳绣绣花机
CN113430734B (zh) * 2021-05-28 2022-07-08 浙江信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色集线盒组合结构及绣花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033A (en) * 1905-01-05 1907-07-30 Edwin J Toof Interchangeable lock and chain stitch sewing-machine.
DE496288C (de) * 1927-06-17 1930-04-16 Roehrsdorfer Naehmaschinenfabr Vierfaden-Wechselstich-Naehmaschine mit huelsenfoermigem Fadenvorleger unterhalb derStichplatte
US3747547A (en) * 1971-02-23 1973-07-24 Bobbin Monitor Corp Bobbin changing mechanism method and product
US3981256A (en) * 1975-05-09 1976-09-21 J. P. Stevens & Co., Inc. Magnetic automatic bobbin changer for sewing machines
JPS59211670A (ja) * 1983-05-12 1984-11-30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ミシンにおける縫糸の切換え装置
JP3579801B2 (ja) * 1994-12-06 2004-10-20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環縫いミシン
JPH08243282A (ja) * 1995-03-14 1996-09-24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多頭式ミシンの駆動装置
EP0829565A1 (en) * 1996-09-16 1998-03-18 Kinoshita Precision Industrial Co., Ltd. A thread exchanger device for sew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57411A1 (ja) 2006-06-01
CN101035943B (zh) 2011-07-20
KR100798581B1 (ko) 2008-01-28
JP2006149623A (ja) 2006-06-15
US20080029005A1 (en) 2008-02-07
JP4310264B2 (ja) 2009-08-05
EP1818438A1 (en) 2007-08-15
US7500438B2 (en) 2009-03-10
CN101035943A (zh)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581B1 (ko) 체인 스티치 미싱
KR100860191B1 (ko) 다두 자수 미싱
KR101346938B1 (ko) 로터리식 다침 미싱
KR100804110B1 (ko) 자수 미싱
KR20080082361A (ko) 자수 미싱
KR102039777B1 (ko)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자수 미싱
US4848253A (en) Embroidery machine for sewing spangles on fabrics
JPH0372316B2 (ko)
JP3145469B2 (ja) 刺繍ミシンの刺繍材案内装置
JPH0451991A (ja) 刺繍ミシン
US8215248B2 (en) Double acting cylinder for tufting machine gate apparatus
JP5636252B2 (ja) シークインの縫付け方法及びシークインが縫い付けられている布製品
JPH1143858A (ja) ミシン
JPS6060895A (ja) ボビンに下糸を巻取る方法
JP2005058470A (ja) 刺繍ミシン
EP3886649A1 (en) Quilted panel
TWI766249B (zh) 壓布腳上下驅動裝置及具備該裝置的縫紉機
US6298798B1 (en) Buttonhole forming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JP2010172735A (ja) シークインの縫付け方法
KR200435872Y1 (ko) 자수 미싱
JP2004242972A (ja) 多針ミシン及びコンビネーションミシン
JPH025110B2 (ko)
JPH1193058A (ja) ミシン
JP2000024353A (ja) ミシン
JP2003126574A (ja) ミシンにおけるスプレッダー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