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984A - 감열 기록체 - Google Patents

감열 기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984A
KR20070057984A KR1020077009434A KR20077009434A KR20070057984A KR 20070057984 A KR20070057984 A KR 20070057984A KR 1020077009434 A KR1020077009434 A KR 1020077009434A KR 20077009434 A KR20077009434 A KR 20077009434A KR 20070057984 A KR20070057984 A KR 20070057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rts
pigment
aspect ratio
sensitiv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5585B1 (ko
Inventor
세이키 요네시게
아키히토 오기노
미즈호 시모야마
겐지 히라이
준페이 나쯔이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7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26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inorganic compounds, e.g. metals, metal salts, metal comple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7Additives;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23Organic colour formers, e.g. leuco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7Additives; Binders
    • B41M5/3377Inorganic compounds, e.g. metal salts of organ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4Direct thermal recording [DT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8Intermediate layers; Layers between substrate and imag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40Cover layers; Layers separated from substrate by imaging layer; Protective layers; Layers applied before ima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Abstract

지지체 상에, 적어도 무색 내지 담색의 전자공여성 로이코염료 및 전자수용성 현색제를 함유하는 감열 기록층을 갖는 단일층 또는 복수층을 갖는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지지체 상의 1층 이상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인쇄부의 광택이 높은 감열 기록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했다.

Description

감열 기록체{Thermally sensitiv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알칼리성 무색 염료와 현색제의 발색 반응을 이용한 감열 기록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발색 감도, 화질이 뛰어난 감열 기록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색 내지 담색(淡色)의 전자공여성(電子供與性) 로이코염료(이하, 염료라 한다)와 염료와 가열했을 때에 반응해 발색시키는 전자수용성(電子受容性) 현색제(顯色劑)(이하, 현색제라 한다)를 주성분으로 하는 감열 기록층을 가지는 감열 기록체는, 널리 실용화되어 있다. 이 감열 기록체에 기록을 행하는데는 써멀 헤드를 내장한 써멀 프린터 등이 이용된다. 이 감열 기록 방식은 종래 실용화된 다른 기록 방식에 비해, 기록시에 소음이 없고, 현상정착(現像定着)의 필요가 없으며, 유지보수가 불필요하고, 기기가 비교적 염가이며, 컴팩트하고, 얻어진 발색이 매우 선명하다는 특징이 있어, 팩시밀리, 컴퓨터의 단말 프린터, 자동 매표기, 계측용 레코더, 옥외에서 사용되는 핸디 터미널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 감열 기록체의 용도로는 전술한 각종 기기의 출력 용지 외에, 높은 보존성이 요구되는 금권(金券) 용지 등의 분야에서도 사용되도록 되었다. 이러한 용도의 다용화에 수반하여, 기록 장치 자체도 다용화, 고성능화(고속화, 소형화 등) 되고 있기 때문에, 감열 기록체에는 보다 높은 발색 감도를 가지며, 저인자농도부터 고인자농 도에 이르는 모든 영역에 있어 고화질의 기록화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감열 기록체의 발색 감도, 기록화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감열 기록체의 표면이나 지지체와 감열 기록층의 사이에 설치된 하도층(下塗層)의 평활성을 슈퍼 캘린더 등에 의해 높이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도트 재현성(화질)이 뛰어난 감열 기록 재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지지체와 감열 발색층의 사이에 제1 중간층, 제2 중간층을 순서대로 적층하고, 또한 제1 중간층의 오켄식 평활도(Oken smoothness)가 700초 이상이며, 제2 중간층의 밀도를 0.1 이하로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지지체와 감열 기록층의 사이에 설치된 중간층에 인편상(鱗片狀) 실리카를 함유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감열 기록체의 평활성을 슈퍼 캘린더 등으로 높인 경우, 고화질의 기록화상은 얻을 수 있지만, 캘린더압에 의해 감열 기록체를 구성하고 있는 층의 다공성(단열성)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감열 기록층에서의 열효율이 저하되어 높은 발색 감도를 얻을 수 없다. 또한, 화질에 대한 요구 레벨은 최근에 점점 높아지고 있어, 감열 기록체 표면 또는 하도층의 평활성을 높이는 것 만으로는 만족할만한 품질을 얻을 수 없게 되었다.
또한, 감열 기록체의 용도의 다용화에 의해, 로고 마크나 괘선 등의 고정 정보를 사전에 오프셋인쇄 등 일반 인쇄를 행한 감열 기록체가 사용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어, 일반 인쇄적성, 특히 높은 인쇄부 광택적성을 갖는 고광택의 감열 기록체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 인쇄적성 및 감열 기록체의 광택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허 문헌 3에는 보호층에 수산화알루미늄을 감열층에 함유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 문헌 4에는 고광택인 감열 기록체를 얻기 위해서 보호층을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보호층을 설치한 경우, 감열 기록층으로의 열전도가 늦어지기 때문에, 감도의 저하, 인자 속도의 저하 또는 인자 에너지 증가 등의 단점이 생길 뿐만 아니라, 도공층(塗工層)이 1층 증가하는 것에 의해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높은 발색 감도를 얻기 위해서, 감열 기록층에 흡유성(吸油性)이 높은 실리카 등을 배합하고, 용해된 염료 및 현색제를 정착시키는 기술이 있지만, 실리카 등을 배합하면 감열 기록체의 광택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높은 인쇄 광택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상과 같이, 발색 감도가 높고, 오프셋인쇄 등의 일반 인쇄로 인쇄했을 때에 인쇄부의 광택이 높은 감열 기록체는 얻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감열 기록체에 포함되는 알칼리성 무색 염료 및 현색제는 각종 용제에 용이하게 용해되기 때문에, 이 감열 기록체는 수성 잉크펜이나 유성 잉크펜 등의 잉크, 접착제가 접촉하면 가소제 등의 약품이 화상에 부착된 경우에 발색 농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결점을 없앨 목적으로 특허 문헌 5 및 특허 문헌 6에는 안료 및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보호층을 감열 기록체 상에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 각종 티켓용, 영수증용, 라벨용, 은행의 ATM용, 가스나 전기 의 검침용, 승차권 등의 금권(金券)용 등에도 감열 기록체의 용도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감열 기록체에 대해서 종래에는 문제가 되지 않았던 어려운 특성이 요구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들 용도의 경우, 옥외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비 등의 수분이나 습기, 일광, 한 여름 차내의 고온 상태 등, 종래에 비해 가혹한 환경 하에서의 사용에 견디는 보호층의 품질 성능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층을 설치하면 안정성은 개량되지만, 전술한 감도의 저하, 인자 속도의 저하 또는 인자 에너지의 증가 등의 단점이 생기는데다, 보호층에 함유되어 있는 실리카 등의 안료와 헤드와의 사이에 큰 마찰이 발생하기 때문에, 장시간 연속해 사용했을 때 헤드 마모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108518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137542호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 제2786912호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09-156222호
[특허 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제(소)48-30437호
[특허 문헌 6] 일본국 특허공개 제(소)48-31958호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은 발색 감도, 화질이 뛰어난 감열 기록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검토한 결과, 적어도 지지체 상에 무색 내지 담색의 전자공여성 로이코염료 및 전자수용성 현색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감열 기록층을 설치한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되는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지지체 상에 설치된 1층 이상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에 카올린을 사용함으로써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찾아냈다.
또한, 감열 기록체의 최표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고광택, 또한 일반 인쇄적성, 특히 높은 인쇄부 광택적성을 발현한다. 특히, 보호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기록화상부 및 백지부의 보존 안정성, 헤드 마모성이 더욱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애스펙트비의 설명도이며, 애스펙트비는 직경을 두께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는 지지체 상에 설치된 1층 이상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안료의 애스펙트비란, 분체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하여 임의로 추출한 입자 100개에 대해 도 1에 나타낸 직경과 두께로부터 식 1을 이용해 산출하여 평균을 구한 값으로, 애스펙트비의 값이 클 수록 안료의 편평도가 커진다.
애스펙트비=직경/두께 (식 1)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는 일반적으로 제지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안료에 비해 매우 편평하며, 이 안료를 함유하는 도공층은 뛰어난 피복성, 표면 평활성, 광택성을 가진다. 이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측된다. 동일 면적을 피복하는데 필요한 안료의 중량은 애스펙트비가 큰 안료가 소량이다. 예를 들면, 애스펙트비가 20인 안료 A와 애스펙트비가 40인 안료 B를 비교하면, 이론적으로는 안료 B의 최저 필요량은 안료 A의 최저 필요량의 반이 된다. 이 때문에 적은 도공량으로 피복성이 높은 도공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애스펙트비가 큰 안료의 두께는 얇기 때문에 도공층 표면에서의 요철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뛰어난 표면 평활성 및 광택성이 발현된다. 또한, 애스펙트비가 큰 안료를 함유하는 도료는 도공시에 편평한 면을 위로 배향하는 경향이 있어, 피복성, 표면 평활성, 광택성이 발현하기 쉽다. 이 경향은 블레이드 코터 등 전단(shear)이 걸리는 도공 방식인 경우, 보다 현저하다. 또한, 안료가 편평한 면을 위로 배향하면 지지체 또는 도공층 내부로의 침투도 억제되기 때문에, 피복성, 표면 평활성, 광택성이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애스펙트비가 큰 안료를 감열 기록체에 함유시키는 것으로 양호한 표면 평활성이 발현되기 때문에, 목표의 평활성을 부여하는 슈퍼 캘린더 처리 등의 처리압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로 다공성(porous)이며, 표면 평활성이 뛰어난 감열 기록체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한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에 관해서, 상기 안료를 보호층, 감열 기록층, 하도층에 함유시킨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보호층에 함유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열 기록체의 최표층인 보호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킨 경우, 종래의 보호층 보다도 적은 도공량으로 감열 기록층을 피복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최표층인 보호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킨 감열 기록체의 구성은 지지체 상에, 감열 기록층/보호층, 하도층/감열 기록층/보호층의 조합이 있고, 보호층 이외의 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한 보호층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화상부 및 백지부의 보존 안정성이 향상되며, 또한 감열 기록층으로의 열전도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발색 감도 및 기록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도공층 표면의 평활성, 광택성이 향상한다. 이 때문에, 저압의 슈퍼 캘린더 등의 처리로, 목표로 하는 평활성을 얻을 수 있으며, 그 결과 양호한 발색 감도 및 기록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보호층에 함유되는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의 평균 직경이 4 ㎛ 보다 크면 도공층 표면에 안료가 노출되기 때문에, 표면 평활성의 저하, 기록화질의 저하, 광택성의 저하, 인쇄부 광택의 저하, 써멀 헤드와의 마찰의 증대(헤드 마모)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의 입경이 4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의 흡유량이 30~100 ㎖/100 g이면 일반 인쇄에 있어서의 잉크 정착성(ink fixing ability) 및 인쇄부 광택이 양호해진다. 흡유량이 30 ㎖/ 이하이면 일반 인쇄용 잉크가 흡수되기 어렵기 때문에 잉크 정착성에 문제가 발생하고, 흡유량이 100 ㎖/100 g 이상이면 일반 인쇄용 잉크가 과도하게 흡수되어 버리기 때문에, 높은 인쇄부 광택을 갖는 감열 기록체를 얻을 수 없다.
보호층에 함유되는 안료의 애스펙트비가 100 이상이 되면, 보호층이 조밀해지기 되기 때문에, 일반 인쇄에 있어서의 잉크 정착성이나 잉크 건조성의 저하, 발색 감도의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감열 기록층에 함유되는 안료의 보다 바람직한 애스펙트비는 30~1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5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 안료의 종류로는 예를 들면 카올린, (소성)카올린,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탄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규조토, 탈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고, 이러한 무기 안료 중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것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무기 안료는 형상에 큰 특징이 있어, 통상 이용되는 안료에 비해 얇은 판상의 안료가 많은 배합으로서, 이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선택해 사용하든가, 또는 분급(分級)에 의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의 것으로 하여 사용한다.
또한,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무기 안료는, 그 특이적인 형상에 의해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안료의 총배합 부수 100 중량부에 대해서 애스펙트비 30 이상의 무기 안료가 50 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부 이상이면, 애스펙트비가 30 미만인 각종 안료와 병용할 수 있다.
애스펙트비 30 이상의 무기 안료로는 내헤드 마모성의 측면에서,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카올린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화질, 감도 및 일반 인쇄적성, 경제성의 이유로 카올린이 적합하다. 이러한 카올린은 특수 분쇄하는 것에 의해 디라미네이션(delamination)한 카올린을 분급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의 보호층에는, 바인더로서 중합도가 200~1900인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아세트아세틸화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아마이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설폰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부티랄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올레핀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니트릴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피롤리돈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실리콘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그 외의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에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카제인, 아라비아고무, 산화 전분, 에테르화 전분, 디알데히드 전분, 에스테르화 전분, 폴리염화비닐, 폴리초산비닐,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스티롤 및 그들의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수지, 실리콘 수지, 석유 수지, 테르펜 수지, 케톤 수지, 쿠마론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고분자 물질은 물, 알코올, 케톤류, 에스테르류, 탄화수소 등의 용제에 녹여 사용하는 것 외에, 물 또는 다른 매체 중에 유화 또는 페이스트상으로 분산된 상태로 사용하여, 요구 품질에 따라서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애스펙트비 30 이상의 무기 안료 및 바인더의 함유량은, 통상 무기 안료 100 중량부에 대해 바인더는 고형분으로 30~300 중량부 정도이다.
이 보호층의 형성은 도포량은 1~5 g/㎡ 정도로, 통상의 도공기를 이용해 감열 기록층 상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행해진다. 감열 기록층과 보호층의 사이에 중간층을 설치하고, 이 중간층 위에 보호층을 형성해도 된다. 도공 방법으로서는 에어 나이프법, 블레이드법, 그라비아법, 롤코터법, 커튼법 등의 기지의 도포 방법을 어떤 것이든 이용해도 된다.
이어서,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감열 기록층에 함유시킨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열 기록체의 감열 기록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킨 경우, 감열 기록체의 구성은 지지체 상에 하도층/감열 기록층/보호층, 하도층/감열 기록층, 감열 기록층/보호층, 감열 기록층 만의 조합이 있으며, 감열 기록층 이외의 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열 기록체의 감열 기록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킨 경우, 전술한 보호층에 함유시켰을 때와 같은 이유로, 종래 사용되고 있던 안료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 피복성, 평활성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감열 기록체의 구성이, 지지체 상에 하도층/감열 기록층, 감열 기록층 만일 때, 즉 감열 기록체의 최표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킨 감열 기록층인 경우, 감열 프린터의 써멀 헤드로부터의 열이 균일하게 전해져 뛰어난 발색 감도가 발현하고, 오프셋인쇄 등의 일반 인쇄로 인쇄했을 때에 인쇄부의 광택이 높은 감열 기록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감열 기록체의 구성이, 지지체 상에 하도층/감열 기록층/보호층, 감열 기록층/보호층일 때, 즉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킨 감열 기록층상에 보호층이 설치된 경우, 감열 기록층의 뛰어난 평활성이, 그 위에 설치되는 보호층의 평활성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양호한 발색 감도 및 기록화상의 화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감열 기록층에 함유되는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 및 병용할 수 있는 안료는, 상기한 보호층에 사용되는 안료와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무기 안료는, 그 특이적인 형상에 의해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안료의 총배합 부수 100 중량부에 대해서 애스펙트비 30 이상인 무기 안료가 50 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부 이상이면, 애스펙트비가 30 미만인 각종 안료와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열 기록층에 함유되는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의 배합량은 감열 기록층에 대한 중량 비율로 10%~7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이다. 배합량이 적으면 평활성, 광택도가 낮아지고, 배합량이 많으면 염료 및 현색제의 배합 비율이 적어지기 때문에 양호한 발색 감도, 기록화상을 얻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감열 기록층이 최표층인 경우에는 내헤드 마모성이 저하한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의 감열 기록층에서 사용하는 바인더로는, 상기한 보호층에 사용되는 바인더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에 대한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록화상의 내유성 효과 등을 나타내는 화상 안정제로서 4,4'-부틸리덴(6-t-부틸-3-메틸페놀), 2,2'-디-t-부틸-5,5'-디메틸-4,4'-설포닐디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시클로헥실페닐)부탄,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등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밖에 벤조페논계나 트리아졸계의 자외선 흡수제, 분산제, 소포제, 산화 방지제, 형광 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자공여성 로이코염료로는, 종래의 감압 또는 감열 기록지 분야에서 공지의 것은 모두 사용 가능하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트리페닐메탄계 화합물, 플루오란계 화합물, 플루오렌계, 디비닐계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대표적인 무색 내지 담색의 염료(염료 전구체)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 염료 전구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 사용해도 된다.
<트리페닐메탄계 로이코염료>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6-디메틸아미노프탈라이드
[별명(別名) 크리스탈 바이올렛 락톤(crystal violet lactone)]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프탈라이드
[별명 말라카이트 그린 락톤(malachite green lactone)]
<플루오란계 로이코염료>
3-디에틸아미노-6-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o,p-디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클로로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m-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n-옥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n-옥틸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벤질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디벤질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클로로-7-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클로로-7-p-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에톡시에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클로로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벤조[a]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벤조[c]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o,p-디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클로로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에톡시에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p-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피롤리디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피페리디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메틸-N-프로필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메틸-N-시클로헥실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크실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p-톨루이디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아밀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아밀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에톡시프로필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시클로헥실아미노-6-클로로플루오란
2-(4-옥사헥실)-3-디메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2-(4-옥사헥실)-3-디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2-(4-옥사헥실)-3-디프로필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2-메틸-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메톡시-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클로로-3-메틸-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클로로-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니트로-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아미노-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디에틸아미노-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페닐-6-메틸-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벤질-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히드록시-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3-메틸-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p-(p-디부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4-디메틸-6-[(4-디메틸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플루오렌계 로이코염료>
3,6,6'-트리스(디메틸아미노)스피로[플루오렌-9,3'-프탈라이드]
3,6,6'-트리스(디에틸아미노)스피로[플루오렌-9,3'-프탈라이드]
<디비닐계 로이코염료>
3,3-비스-[2-(p-디메틸아미노페닐)-2-(p-메톡시페닐)에테닐]-4,5,6,7-테트라브로모프탈라이드
3,3-비스-[2-(p-디메틸아미노페닐)-2-(p-메톡시페닐)에테닐]-4,5,6,7-테트라클로로프탈라이드
3,3-비스-[1,1-비스(4-피롤리디노페닐)에틸렌-2-일]-4,5,6,7-테트라브로모프탈라이드
3,3-비스-[1-(4-메톡시페닐)-1-(4-피롤리디노페닐)에틸렌-2-일]-4,5,6,7-테트라클로로프탈라이드
<기타>
3-(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3-(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3-(1-옥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3-(4-시클로헥실에틸아미노-2-메톡시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3,3-비스(1-에틸-2-메틸인돌-3-일)프탈라이드
3,6-비스(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γ-(3'-니트로)아닐리노락탐
3,6-비스(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γ-(4'-니트로)아닐리노락탐
1,1-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2,2-디니트릴에탄
1,1-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2-β-나프토일에탄
1,1-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2,2-디아세틸에탄
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메틸말론산디메틸에스테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자수용성 현색제로는, 종래의 감압 또는 감열 기록지의 분야에서 공지의 것은 모두 사용 가능하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활성백토, 애타펄자이트(attapulgite), 콜로이달 실리카, 규산알루미늄 등의 무기 산성물질,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4-히드록시페닐)-4-메틸펜탄, 4,4'-디히드록시디페닐설피드, 히드로퀴논모노벤질에테르, 4-히드록시안식향산벤질, 4,4'-디히드록시디페닐설폰, 2,4'-디히드록시디페닐설폰, 4-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디페닐설폰, 4-히드록시-4'-n-프로폭시디페닐설폰, 비스(3-알릴-4-히드록시페닐)설폰, 4-히드록시-4'-메틸디페닐설폰, 4-히드록시페닐-4'-벤질옥시페닐설폰, 3,4-디히드록시페닐-4'-메틸페닐설폰,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8-59603호 공보에 기재된 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 유도체, 비스(4-히드록시페닐티오에톡시)메탄, 1,5-디(4-히드록시페닐티오)-3-옥사펜탄, 비스(p-히드록시페닐)초산부틸, 비스(p-히드록시페닐)초산메틸,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1,4-비스[α-메틸-α-(4'-히드록시페닐)에틸]벤젠, 1,3-비스[α-메틸-α-(4'-히드록시페닐)에틸]벤젠, 디(4-히드록시-3-메틸페닐)설피드, 2,2'-티오비스(3-tert-옥틸페놀), 2,2'-티오비스(4-tert-옥틸페놀), 국제 공개 WO97/16420호에 기재된 디페닐설폰 가교형 화합물 등의 페놀성 화합물, 국제 공개 WO02/081229호 또는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301873호 공보에 기재된 화합물, 또한 N, N'-디-m-클로로페닐티오우레아 등의 티오요소 화합물, p-클로로안식향산, 몰식자산 스테아릴(gallic acid stearyl), 비스[4-(n-옥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살리실산아연] 2수화물, 4-[2-(p-메톡시페녹시)에틸옥시]살리실산, 4-[3-(p-톨릴설포닐)프로필옥시]살리실산, 5-[p-(2-p-메톡시페녹시에톡시)쿠밀]살리실산의 방향족 카르복실산, 및 이들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아연,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 티탄, 망간, 주석, 니켈 등의 다가 금속염과의 염, 더 나아가서는 티오시안산아연의 안티피린 착체, 테레프탈알데히드산과 다른 방향족 카르복실산과의 복합아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현색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국제 공개 WO97/16420호에 기재된 디페닐설폰 가교형 화합물은, 닛폰소다(주)제 상품명 D-90으로 입수가 가능하다. 또한, 국제 공개 WO02/081229호 등에 기재된 화합물은, 닛폰소다(주)제 상품명 D-100으로 입수가 가능하다. 이 외에,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0-258577호 공보에 기재된 고급 지방산 금속 복염(metal double salt)이나 다가 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 등의 금속 킬레이트형 발색 성분을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에 사용하는 증감제로는, 종래 공지의 증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감제로는 스테아린산 아미드, 팔미틴산 아미드 등의 지방산 아마이드, 에틸렌비스아미드, 몬탄산왁스, 폴리에틸렌왁스, 1,2-디-(3-메틸페녹시)에탄, p-벤질비페닐, β-벤질옥시나프탈렌, 4-비페닐-p-톨릴에테르, m-터페닐, 1,2-디페녹시에탄, 옥살산 디벤질, 옥살산 디(p-클로로벤질), 옥살산 디(p-메틸벤질), 테레프탈산 디벤질, p-벤질옥시안식향산 벤질, 디-p-톨릴카보네이트, 페닐-α-나프틸카보네이트, 1,4-디에톡시나프탈렌, 1-히드록시-2-나프토에산 페닐에스테르, o-크실렌-비스-(페닐에테르), 4-(m-메틸페녹시메틸)비페닐, 4,4'-에틸렌디옥시-비스-안식향산 디벤질에스테르, 디벤조일옥시메탄, 1,2-디(3-메틸페녹시)에틸렌, 비스[2-(4-메톡시-페녹시)에틸]에테르, p-니트로안식향산 메틸, p-톨루엔설폰산 페닐을 예시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증감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에 사용하는 전자공여성 로이코염료, 전자수용성 현색제, 그 외의 각종 성분의 종류 및 양은 요구되는 성능 및 기록적성에 따라 결정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 전자공여성 로이코염료 1부에 대해서 전자수용성 현색제 0.5~10부, 증감제 0.5~10부 정도가 사용된다.
전자공여성 로이코염료, 전자수용성 현색제 및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재료는, 볼밀, 아트라이터, 샌드 그라인더 등의 분쇄기 또는 적당한 유화(乳化) 장치에 의해 수 미크론 이하의 입경이 될 때까지 미립화시키고, 바인더 및 목적에 따라 각종의 첨가재료를 추가해 도액(塗液)으로 한다. 도포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지 관용 기술에 따라 도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어 나이프 코터(air knife coater), 로드 블레이드 코터(rod blade coater), 벤트 블레이드 코터(bent blade coater), 베벨 블레이드 코터(bevel blade coater), 롤코터 등 각종 코터를 구비한 오프머신 도공기나 온머신 도공기가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된다. 감열 기록층의 도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건조 중량으로 2~12 g/㎡의 범위이다.
이어서 마지막으로,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하도층에 함유시킨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열 기록체의 하도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킨 경우, 감열 기록체의 구성은 지지체 상에 하도층/감열 기록층/보호층, 하도층/감열 기록층 조합이 있으며, 감열 기록층 이외의 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열 기록체의 하도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킨 경우, 전술한 보호층에 함유시켰을 때와 같은 이유로, 종래 사용되고 있던 안료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피복성, 평활성이 향상한다.
이 때문에, 감열 기록체의 구성이, 지지체 상에 하도층/감열 기록층/보호층, 하도층/감열 기록층일 때, 즉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킨 하도층 위에 감열 기록층 및/또는 보호층이 설치된 경우, 표면 평활성이 양호한 하도층이, 그 위에 설치하는 감열 기록층 및/또는 보호층의 평활성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양호한 발색 감도 및 기록화상의 화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하도층에 함유되는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 및 병용할 수 있는 안료는, 상기한 보호층에 사용되는 안료와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는, 그 특이적인 형상에 의해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안료의 총배합 부수 100 중량부에 대해서 애스펙트비 30 이상의 무기 안료가 50 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부 이상이면, 애스펙트비가 30 미만인 각종 안료와 병용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로는 상기한 보호층에 사용되는 바인더로부터 적절히 선택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도층에 함유되는 안료 100부에 대해서 10~4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층, 감열 기록층, 하도층에는, 글리옥살, 메틸올멜라민,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소다, 염화제2철, 염화마그네슘, 붕사, 붕산, 명반, 염화암모늄 등의 가교제, 스테아린산아연, 스테아린산칼슘 등의 지방산 금속염, 왁스류, 실리콘 수지류 등의 윤활제, 염료, 형광 염료,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스틱 방지제, 블로킹 방지제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의 지지체로는 종이, 재생지, 합성지, 필름, 플라스틱필름, 발포 플라스틱필름, 부직포 등, 이들을 조합한 복합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는 또한, 발색 감도를 높이는 등의 목적으로, 각층의 도공 후에 슈퍼 캘린더 처리 등의 평활화 처리를 행하는 등, 감열 기록체 분야에 있어서의 각종 공지의 기술을 적절히 부가할 수 있으며, 지지체의 감열 기록층과는 반대면에 백코트층을 설치하여 컬의 교정을 도모하는 일도 가능하다. 또한, 감열 기록층과 보호층의 사이에 중간층을 적절히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는 지지체 상에 설치된 어느 한 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키는 것으로 양호한 발색 감도 및 기록화상을 얻을 수 있으나, 그 중에서 최표층에 함유시키는 것으로 더욱 양호한 발색 감도 및 기록화상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인쇄 광택 등의 효과가 발현한다. 특히, 보호층에서는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의 배합 비율을 감열 기록층의 배합 비율보다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호층에 함유시키는 것으로 가장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를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지지체의 한 면에, 언더층, 감열 발색층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보호층을 형성했다. 한쪽 면에 백층을 형성했다.
또한, 설명 중에서, 부 및 %는 각각 중량부 및 중량%를 나타낸다. 감열 기록체의 각 도공층에 사용한 도료를 이하와 같이 조제했다.
[언더층 도료 조제]
언더층 도액 1
소성카올린(엔게르하드사 제조 안시렉스 90) 90.0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고형분 50%) 10.0부
물 50.0부
상기 조성으로 되는 혼합물을 혼합 교반하여 언더층 도액①을 조제했다.
언더층 도액 2
고 애스펙트비 카올린(이메리스사 제조 콘투어 1500) 90.0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고형분 50%) 10.0부
물 50.0부
상기 조성으로 되는 혼합물을 혼합 교반하여 언더층 도액②을 조제했다.
[감열 발색층 도료 조제]
아래와 같은 배합의 현색제 분산액(A액), 및 알칼리성 무색염료 분산액(B액)을, 각각 따로 따로 샌드 그라인더로 평균 입경 1 미크론이 될 때까지 습식 마쇄를 했하였다.
A액(현색제 분산액)
4-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디페닐설폰 6.0부
폴리비닐알코올 10%수용액 18.8부
물 11.2부
B액(알칼리성 무색염료 분산액)
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ODB-2) 2.0부
폴리비닐알코올 10%수용액 4.6부
물 2.6부
C액(증감제 분산액)
1,2 비스페녹시벤젠 6.0부
10% 폴리비닐알코올 용액 20부
물 11부
이어서 아래와 같은 비율로 분산액을 혼합하여 기록층의 도액으로 했다.
기록층 도액 1
A액(22% 현색제 분산액) 25.7부
B액(30% 알칼리성 무색염료 분산액) 18.8부
C액(16% 증감제 분산액) 25.7부
엔지니어드 카올린: 이메리스사 제조 CONTOUR1500 (30% 분산액)
흡유량 45 ㎖/100 g, 평균 직경 2.5 ㎛ 1.7부
폴리비닐알코올(10% 용액) 30.7부
기록층 도액 2
A액(22% 현색제 분산액) 18.9부
B액(30% 알칼리성 무색염료 분산액) 13.9부
C액(16% 증감제 분산액) 18.9부
엔지니어드 카올린: CONTOUR1500(30% 분산액) 10.0부
폴리비닐알코올(10% 용액) 22.6부
기록층 도액 3
A액(22% 현색제 분산액) 13.5부
B액(30% 알칼리성 무색염료 분산액) 9.9부
C액(16% 증감제 분산액) 13.5부
엔지니어드 카올린: CONTOUR1500(30% 분산액) 16.7부
폴리비닐알코올(10% 용액) 16.2부
기록층 도액 4
A액(22% 현색제 분산액) 26.9부
B액(30% 알칼리성 무색염료 분산액) 19.7부
C액(16% 증감제 분산액) 26.9부
엔지니어드 카올린: CONTOUR1500(30% 분산액) 0.2부
폴리비닐알코올(10% 용액) 32.2부
기록층 도액 5
A액(22% 현색제 분산액) 10.8부
B액(30% 알칼리성 무색염료 분산액) 7.9부
C액(16% 증감제 분산액) 10.8부
엔지니어드 카올린: CONTOUR1500(30% 분산액) 20.0부
폴리비닐알코올(10% 용액) 13.0부
기록층 도액 6
A액(22% 현색제 분산액) 18.9부
B액(30% 알칼리성 무색염료 분산액) 13.9부
C액(16% 증감제 분산액) 18.9부
카올린: 리오카핌사 제조 Capim DG(30% 분산액) 10.0부
흡유량 45 ㎖/100 g
폴리비닐알코올(10% 용액) 22.7부
기록층 도액 7
A액(22% 현색제 분산액) 18.9부
B액(30% 알칼리성 무색염료 분산액) 13.9부
C액(16% 증감제 분산액) 18.9부
카올린: 리오카핌사 제조 Capim NP(30% 분산액) 10.0부
흡유량 45 ㎖/100 g
폴리비닐알코올(10% 용액) 22.7부
기록층 도액 8
A액(22% 현색제 분산액) 18.9부
B액(30% 알칼리성 무색염료 분산액) 13.9부
C액(16% 증감제 분산액) 18.9부
실리카: 일본실리카사 제조 닙실 E-743(30% 분산액) 10.0부
흡유량 110 ㎖/100 g
폴리비닐알코올(10% 용액) 22.7부
기록층 도액 10
A액(22% 현색제 분산액) 18.9부
B액(30% 알칼리성 무색염료 분산액) 13.9부
C액(16% 증감제 분산액) 18.9부
마이카: 코프케미컬사 제조 MK100(30% 분산액) 10.0부
흡유량 25 ㎖/100 g
폴리비닐알코올(10% 용액) 22.7부
기록층 도액 11
A액(22% 현색제 분산액) 18.9부
B액(30% 알칼리성 무색염료 분산액) 13.9부
C액(16% 증감제 분산액) 18.9부
카올린: 리오카핌사 제조 Capim CC(30% 분산액) 10.0부
흡유량 45 ㎖/100 g
폴리비닐알코올(10% 용액) 22.7부
기록층 도액 12
A액(22% 현색제 분산액) 18.9부
B액(30% 알칼리성 무색염료 분산액) 13.9부
C액(16% 증감제 분산액) 18.9부
카올린: 이메리스사 제조 ASTLA plate(30% 분산액) 10.0부
흡유량 45 ㎖/100 g
폴리비닐알코올(10% 용액) 22.7부
감열층 도액 13
A액(현색제 분산액) 18.9부
B액(로이코염료 분산액) 13.9부
C액(증감제 분산액) 18.9부
폴리비닐알코올(10% 용액) 32.7부
[보호층 도료 조제]
보호층 도액 1
카올린(이메리스사 제조: 알티매트) 30부
흡유량 35 ㎖/100 g
카르복시 변성 PVA(쿠라레사 제조: PVA-KL118) 70부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세이코우PMC사 제조: WS4020) 5부
스테아린산아연(츄쿄유지사 제조: 하이드린L-536) 5부
보호층 도액 2
카올린(IMERYS사 제조 상품명: Contour1500) 9.0부
카르복시 변성 PVA(쿠라레사 제조 상품명: PVA-KL118) 30부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세이코우PMC사 제조: WS4020) 2.0부
스테아린산아연(츄쿄유지사 제조: 하이드린L-536) 2.0부
보호층 도액 3
카올린(DBK사 제조: DB-PLATE) 30부
흡유량 :45 ㎖/l00 g
카르복시 변성 PVA(쿠라레사 제조: PVA-KL118) 70부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WS4020) 5부
스테아린산아연(츄쿄유지사 제조: 하이드린L-536) 5부
보호층 도액 4
카올린(IMERYS사 제조 상품명: Contour1500) 25부
카올린(DBK사 제조: DB-PLATE) 5부
카르복시 변성 PVA(쿠라레사 제조: PVA-KL118) 70부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WS4020) 5부
스테아린산아연(츄쿄유지사 제조: 하이드린L-536) 5부
[백층 도료 조제]
수산화 알루미늄 50부
폴리비닐알코올(쿠라레사 제조: PVA117) 10%수용액 500부
물 70부
[보호층 없음, 감열층에 고 애스펙트비 안료 배합(배합 비율 증감)]
[실시예 1]
상질지(上質紙)(평량: 47 g/㎡)의 상질지에 언더층 도액 1을 메이어 바(Meier bar)로 도공하고, 송풍 건조기(120℃, 1분간)로 건조했다. 이 언더지 상에 기록층 도액 1을 메이어 바로 도공하고, 송풍 건조기(60℃, 2분간)로 건조했다. 또한, 이면(裏面)에 백층 도료를 메이어 바로 도공하고, 송풍 건조기(60℃, 2분간)로 건조한 후, 평활도가 500~700초가 되도록 슈퍼 캘린더 처리를 행하여 감열 기록체를 얻었다. 또한 언더층 도료, 기록층 도료, 백층 도료의 중량 차이로부터 구한 도공량은, 8 g/㎡, 5.1 g/㎡, 0.3 g/㎡이었다.
[실시예 2]
기록층 도액 2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3]
기록층 도액 3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4]
기록층 도액 4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5]
기록층 도액 5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 록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6]
기록층 도액 10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감열층 안료 변경]
[실시예 7]
기록층 도액 11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8]
기록층 도액 12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없음, 감열층에 일반 안료 배합]
[비교예 1]
기록층 도액 6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비교예 2]
기록층 도액 7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비교예 3]
기록층 도액 8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 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있음, 보호층에 고 애스펙트비 안료 배합]
[실시예 9]
기록층 도액 13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보호층 도액 2를 메이어 바로 도공하고, 송풍 건조기(60℃, 2분간)로 건조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백층 도료를 메이어 바로 도공, 건조한 후, 평활도가 1500~2000초가 되도록 슈퍼 캘린더 처리를 행하여 감열 기록체를 얻었다. 또한 중량 차이로부터 구한 보호층의 도공량은 2.6 g/㎡이었다.
[실시예 10]
보호층 도액 1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없음, 언더층과 감열층에 고 애스펙트비 안료 배합]
[실시예 11]
언더층 도액 2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있음, 언더, 감열, 보호에 고 애스펙트비 안료 배합]
[실시예 12]
실시예 11에서 제작한 감열 기록체 위에 보호 도액 2를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도공해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있음, 감열, 보호에 고 애스펙트비 안료 배합]
[실시예 13]
실시예 2에서 제작한 감열 기록체 위에 보호 도액 2를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도공해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있음, 언더, 보호에 고 애스펙트비 안료 배합]
[실시예 14]
언더층 도액 2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있음]
[비교예 4]
보호층 도액 3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있음, 감열층에 고 애스펙트비 안료 배합]
[실시예 15]
보호층 도액 3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있음, 언더, 감열에 고 애스펙트비 안료 배합]
[실시예 16]
보호층 도액 3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2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있음, 언더층 없음, 보호층에 고 애스펙트비 안료 사용]
[실시예 17]
상질지(평량 :47 g/㎡)의 상질지 상에 기록층 도액 13을 메이어 바로 도공하고, 송풍 건조기(60℃, 2분간)로 건조했다. 그 위에 보호층 도액 2를 메이어 바로 도공하고, 송풍 건조기(60℃, 2분간)로 건조했다. 또한, 이면에 백층 도료를 메이어 바로 도공하고, 송풍 건조기(60℃, 2분간)로 건조한 후, 평활도가 1500~2000초가 되도록 슈퍼 캘린더 처리를 행하여 감열 기록체를 얻었다. 또한 기록층 도료, 보호층 도료, 백층 도료의 중량 차이로부터 구한 도공량은, 5.1 g/㎡, 2.5 g/㎡, 0.3 g/㎡이었다.
[보호층 있음, 언더층 없음]
[비교예 5]
보호층 도액 3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7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있음, 언더층 없음, 감열층에 고 애스펙트비 안료 사용]
[실시예 18]
기록층 도액 2, 보호층 도액 3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7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없음, 언더층 없음, 감열층에 고 애스펙트비 안료 사용]
[실시예 19]
상질지(평량: 47 g/㎡)의 상질지 상에 기록층 도액 2를 메이어 바로 도공하고, 송풍 건조기(60℃, 2분간)로 건조했다. 또한, 이면에 백층 도료를 메이어 바로 도공하고, 송풍 건조기(60℃, 2분간)로 건조한 후, 평활도가 500~700초가 되도록 슈퍼 캘린더 처리를 행하여 감열 기록체를 얻었다. 또한 기록층 도료, 보호층 도료, 백층 도료의 중량 차이로부터 구한 도공량은, 5.1 g/㎡, 0.3 g/㎡이었다.
[보호층 있음, 언더층 없음, 감열층, 보호층에 고 애스펙트비 안료 사용]
[실시예 20]
기록층 도액 2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7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없음, 언더층 없음]
[비교예 6]
기록층 도액 13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9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있음, 언더층에 고 애스펙트비 안료 사용]
[실시예 21]
언더층 도액 2를 사용한 것 외에는 비교예 4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없음, 언더층에 고 애스펙트비 안료 사용]
[실시예 22]
언더층 도액 2를 사용한 것 외에는 비교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보호층 있음, 오버층 안료 병용]
[실시예 23]
보호층 도액 4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감열 기록체를 제작했다. 사용한 안료의 애스펙트비 및 흡유량을 표 1에 정리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성능에 대해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안료 및 감열 기록체의 성능에 대한 측정 및 평가방법은 아래와 같다.
[평균 직경]
안료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하여, 입자 100개에 대해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의 길이를 측정하고, 각 입자의 가장 긴 축과 2번째로 긴 축의 평균을 내서 각 입자의 직경을 산출하여 평균치를 구했다.
[애스펙트비]
입자 100개에 대해, 직경과 가장 짧은 축의 길이(두께)의 비(하기 식)를 산출하여 평균치를 구했다.
애스펙트비 = 직경/두께
[흡유량]
JISK-5101에 준해 측정했다.
[기록 농도]
오오쿠라사 제조 감열 프린터 TH-PMD(N0.8)로 인자하여, 계조(階調)#14 부분을 맥베스 농도계(Macbeth concentration meter)로 측정했다.
[인쇄 광택도]
JISZ-8741에 준해 무라카미 색채기술연구소사 제조 광택도계로 샘플의 60˚ 광택도를 측정했다.
◎: 광택도 80% 이상
○: 50% 이상, 80% 미만
△: 30% 이상, 50% 미만
×: 30% 미만
[화질]
민인자부를 육안으로 평가했다.
◎: 희게 빠진 부분이 전혀 관찰되지 않음.
○: 희게 빠진 부분이 거의 관찰되지 않음.
△: 희게 빠진 부분이 약간 관찰됨.
×: 희게 빠진 부분이 매우 많음.
[헤드 마모]
제작한 감열 기록체에 대해, 세이코전자공업 제조 써멀 프린터 DPU-411을 사용하여 헤드 마찰 평가용 패턴으로 100만 행 인자 후, 헤드의 마모성을 평가했다.
◎: 헤드 마모가 거의 보이지 않음
○: 헤드 마모가 조금 보임
△: 헤드 마모가 상당히 보임
×: 100만 행 미달에서 헤드 파괴
Figure 112007031438527-PCT00001
Figure 112007031438527-PCT00002
본 발명에 의하면, 발색 감도, 화질이 뛰어난 감열 기록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감열 기록체의 최표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키는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일반 인쇄적성, 특히 높은 인쇄부 광택적성을 가지는 고광택의 감열 기록체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보호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안료를 함유시키는 것으로, 더욱 기록화상부 및 백지부의 보존 안정성이 향상된 헤드 마모가 적은 감열 기록체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적어도 지지체 상에, 무색 내지 담색의 전자공여성 로이코염료 및 전자수용성 현색제를 레이저광을 함유하는 감열 기록층을 단일 또는 복수층으로 되는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지지체 상의 1층 이상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카올린을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체.
  2. 제1항에 있어서, 감열 기록체의 최표층에 애스펙트비가 30 이상인 카올린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 기록체.
KR1020077009434A 2004-09-29 2005-08-24 감열 기록체 KR100875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82904 2004-09-29
JP2004282904 2004-09-29
JP2005075036 2005-03-16
JPJP-P-2005-00075036 2005-03-16
PCT/JP2005/015824 WO2006035567A1 (ja) 2004-09-29 2005-08-24 感熱記録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984A true KR20070057984A (ko) 2007-06-07
KR100875585B1 KR100875585B1 (ko) 2008-12-23

Family

ID=3611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434A KR100875585B1 (ko) 2004-09-29 2005-08-24 감열 기록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87984B2 (ko)
EP (1) EP1800888B1 (ko)
JP (1) JP3971453B2 (ko)
KR (1) KR100875585B1 (ko)
DE (1) DE602005011165D1 (ko)
WO (1) WO20060355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3423B2 (en) * 2006-03-01 2011-12-27 Ncr Corporation Thermal indicators
KR20090128551A (ko) 2007-05-10 2009-12-15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감열 기록체
US8492308B2 (en) 2007-08-21 2013-07-23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CN101842246B (zh) 2007-08-29 2012-07-04 日本制纸株式会社 热敏记录介质
KR101239106B1 (ko) 2009-03-24 2013-03-06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감열 기록체
WO2010140662A1 (ja) 2009-06-05 2010-12-09 日本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JP5304512B2 (ja) * 2009-07-24 2013-10-0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多色感熱記録材料
BR112012008765B1 (pt) 2009-10-14 2019-08-27 Oji Holdings Corp material de registro sensível ao calor
CN102802961A (zh) 2010-03-15 2012-11-28 日本制纸株式会社 热敏记录体
JP5668580B2 (ja) * 2011-04-11 2015-02-1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感熱記録体
DE202015009476U1 (de) * 2015-06-24 2017-10-26 Mitsubishi Hitec Paper Europe Gmbh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DE102018102180A1 (de) * 2018-01-31 2019-08-01 Mitsubishi Hitec Paper Europe Gmbh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6938B2 (ja) * 1995-04-14 2004-12-0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多色記録材料
JP2000177244A (ja) * 1998-12-11 2000-06-27 Fuji Photo Film Co Ltd 感熱記録材料
JP2001199164A (ja) * 2000-01-18 2001-07-24 Fuji Photo Film Co Ltd 記録材料
JP2005254471A (ja) * 2004-03-09 2005-09-22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感熱記録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71453B2 (ja) 2007-09-05
JPWO2006035567A1 (ja) 2008-05-15
DE602005011165D1 (de) 2009-01-02
US20080076663A1 (en) 2008-03-27
EP1800888A4 (en) 2008-03-05
KR100875585B1 (ko) 2008-12-23
WO2006035567A1 (ja) 2006-04-06
EP1800888A1 (en) 2007-06-27
EP1800888B1 (en) 2008-11-19
US7387984B2 (en) 2008-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585B1 (ko) 감열 기록체
JP5561883B2 (ja) 感熱記録体
KR100920590B1 (ko) 감열기록체
WO2016204215A1 (ja) 感熱記録体
JP5823086B1 (ja) 感熱記録体
JP2006205561A (ja) 感熱記録体
JP4651106B2 (ja) 感熱記録体
JP4518030B2 (ja) 感熱記録体
KR102618091B1 (ko) 감열 기록 재료 및 적층체
JP7470753B2 (ja) 感熱記録体
JP2009255309A (ja) 感熱記録体ラベル
JP4999358B2 (ja) 感熱記録体
JP2009051049A (ja) 感熱記録体
JP2017056726A (ja) 感熱記録体
WO2014097881A1 (ja) 感熱記録体
JP4508106B2 (ja) 感熱記録体
JP2008006744A (ja) 感熱記録体
JP2007253579A (ja) 感熱記録体
JP2007253581A (ja) 感熱記録体
JP2007253578A (ja) 感熱記録体
JP2007253580A (ja) 感熱記録体
JP2010000675A (ja) 感熱記録体
JP2013193242A (ja) デキストリンを含有するアンダー層を有する感熱記録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15826A (ja) 感熱記録体
JP2007307857A (ja) 感熱記録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