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658A -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액정 배향막,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액정 배향막,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658A
KR20070057658A KR1020060113195A KR20060113195A KR20070057658A KR 20070057658 A KR20070057658 A KR 20070057658A KR 1020060113195 A KR1020060113195 A KR 1020060113195A KR 20060113195 A KR20060113195 A KR 20060113195A KR 20070057658 A KR20070057658 A KR 20070057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aligning
alignment
film
crystal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9189B1 (ko
Inventor
김경준
이병현
정혜원
이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113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189B1/ko
Publication of KR20070057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C09K19/56Align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4Polyamide-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6Polyester-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9D1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02F1/133723Polyimide, polyamide-im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light irradiation, e.g. linearly polarised light photo-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Alignment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액정 배향막,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액정 배향막은, 폴리아믹산 공중합체에 이미드화 공정을 거치지 않고 폴리아믹산 중합체의 유동성 있는 사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배향을 유도한 다음, 열처리하여 이미드화 함으로써,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잔상이 생기지 않으며 액정 배향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액정 배향막,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PROCESS FOR PREPARING OF LIQUID CRYSTAL ALIGNING LAYER, LIQUID CRYSTAL ALIGNING PREPARED BY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LIQUID CRYSTAL ALIGNING LA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배향막의 열 안정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액정 배향막의 열 안정성을 나타낸 도이다(검은 사각형 영역은 편광된 자외선이 조사되어 액정이 배향된 부분이고, 바깥의 회색부분은 액정 배향이 안된 부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액정 배향막과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액정 배향막의 액정 배향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액정 배향막,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5년 12월 1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05-0116611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달과 함께 낮은 구동전압, 고해상도의 실현, 모니터 부피의 감소, 평면형 모니터를 제공하므로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핵심적인 기술 중의 하나는 액정을 원하는 방향으로 잘 배향시키는 기술이다.
현재 LCD(Liquid Crystal Display) 산업에서 액정을 배향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리 등의 기판에 폴리이미드와 같은 고분자 막을 도포하고, 이 표면을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같은 섬유로 일정한 방향으로 문지르는 접촉식 러빙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접촉식 러빙 방법에 의한 액정 배향은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인 액정의 배향 성능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섬유질과 고분자막이 마찰될 때 미세한 먼지나 정전기(electrostatic discharge: ESD)가 발생하여 기판이 손상될 수 있고, 공정시간의 증가 및 유리의 대형화로 인해 대형화된 롤(roll)로 인한 러빙 강도(rubbing strength)의 불균일 등 공정상의 어려움으로 액정 패널 제조시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촉식 러빙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새로운 방법의 비접촉식 배향막의 제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비접촉식 배향막의 제조방법으로는 광 배향법, 에너지빔 배향법, 증기증착 배향법, 리쏘그래피를 이용한 식각법 등이 있다. 그러나, 접촉식 러빙 배향막에 비해 비접촉식 배향막은 낮은 열 안정성과 잔상문제로 인하여 그 산업화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광 배향막의 경우 열적 안전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잔상이 오래 남 아, 공정상 기술의 편이성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생산에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열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7841호에는 광 반응성 에텐기를 갖는 쿠마린 및 퀴놀리놀 유도체의 신규한 선형 및 환상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 및 이들의 액정 배향층으로서의 용도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주사슬에 달려있는 봉상의 메소겐에 의해 잔상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잔상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8847호에는 열경화성 수지와 혼합하거나 열경화가 가능한 작용기를 도입한 액정 배향막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배향성이 뛰어나지 못하며, 열 안정성도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 반응으로는 신나메이트, 쿠마린 등의 광 중합 반응, 시스-트랜스 이성질화의 광 이성화 반응, 및 분해의 분자사슬 절단 등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외선에 의한 분자 광 반응을 적절한 배향막 분자의 설계와 자외선 조사 조건의 최적화를 통해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액정 배향에 응용한 사례들이 있다. 대표적인 특허로는 1991년 Gibbons와 Schadt의 특허를 필두로 하여, LCD 산업과 관련이 있는 일본, 한국, 유럽, 미국 등에서 다수 발표되었다. 그러나, 초기 아이디어가 도출된 이후, 10 여년이 흐른 지금에도 이러한 기술이 실제 LCD에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상기 광 반응으로 단순한 액정 배향을 유도하는 것은 가능하나, 외부의 열, 빛, 물리적인 충격 및 화학적인 충격 등의 측면에서 안정적인 액정 배향 특성을 유지하거나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주요 원 인으로는 러빙 방법에 비해 낮은 배향 규제력(anchoring energy), 낮은 액정의 배향 안정성 및 잔상 등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연구와 특허는 감광성 관능기의 설계를 통해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다양한 분자 구조의 변형을 시도한 것이 주류였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효과적인 해결책이 아직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1차적인 광 반응 단독으로는 안정적인 액정 배향의 유지가 힘들다는 것에 대한 반증이 된다고 판단된다.
또한, 종래의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막은, 러빙 방법과 자외선을 이용한 방법 모두에서 폴리아믹산에 이미드화가 완전하게 일어나도록 열처리를 한 이후에 배향 처리하여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액정 배향막은 열 안전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잔상이 오래 남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잔상이 생기지 않는 액정 배향막에 대해 연구하던 중, 폴리아믹산 공중합체를 이미드화 시키지 않고 액정 배향액을 제조하여, 기판에 도포하고 배향 처리한 다음 이미드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액정 배향막이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잔상이 생기지 않으며 액정 배향성이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정 배향막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1) 폴리아믹산 공중합체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액정 배향액을 제조한 후, 상기 액정 배향액을 기판 표면 위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도막에 포함된 용매를 건조시키는 단계,
3) 상기 건조된 도막면에 편광 자외선을 조사하여 배향 처리하는 단계, 및
4) 상기 배향 처리된 도막을 열처리하여 이미드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1) 단계에서 폴리아믹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0608385086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4가의 유기기이고,
A는 -NH- 또는 -O- 이며,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구조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112006083850868-PAT00002
Figure 112006083850868-PAT00003
Figure 112006083850868-PAT00004
Figure 112006083850868-PAT00005
상기 1) 단계에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아믹산 공중합체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액정 배향액의 농도, 용매의 종류 및 도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1) 단계에서 유기 용매로는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N-메틸피롤리돈, DMF(dimethylformamide), THF(tetrahydrofuran), CCl4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며, 이들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코팅 처리 후 액정 배향막의 막 두께 균일성과 인쇄 결점을 없도록 하기 위하여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등의 용매를, 상기 예시한 유기 용매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1) 단계의 액정 배향액은 롤 코터법, 스피너법, 인쇄법, 잉크젯 분사법, 슬릿 노즐법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투명 도전막 또는 금속 전극이 패터닝되어 형성된 기판의 표면 위에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액정 배향액의 도포시에는 기판 표면 및 투명 도전막, 금속 전극과 도막의 접착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관능성 실란 함유 화합물, 관능성 플루오로 함유 화합물, 관능성 티타늄 함유 화합물을 미리 도포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1) 단계의 액정 배향액을 제조할 때의 온도는 0 ~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70℃이다.
상기 2) 단계에서, 용매는 도막을 가열하거나, 진공 증발법 등을 통해 건조될 수 있다.
상기 2) 단계의 용매를 건조할 때에는 35 ~ 80℃, 바람직하게는 50 ~ 75℃에서 3분 이내에 건조시킨다.
만일 용매의 건조시 80℃ 이상으로 기판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폴리아믹산 중합체의 이미드화 반응이 배향 처리 이전에 유발되게 되어, 배향 처리 이후의 액정 배향 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은 액정 배향액의 도포 후 도막 내에 포함되어 있는 용매만을 열처리 또는 진공 증발 시켜 폴리아믹산 공중합체가 폴리이미드화 되지 않고, 폴리아믹산 공중합체로 존재하게 된다.
상기 3) 단계에서는, 상기 2)단계에서 얻은 건조된 도막면에 파장 범위가 150 ~ 450㎚ 영역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배향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때 노광의 세기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아믹산 공중합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50 mJ/㎠ ~ 10 J/㎠ 의 에너지, 바람직하게는 500 mJ/㎠ ~ 5 J/㎠ 의 에너지를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으로는, ①석영유리, 소다라임 유리, 소다라임프리 유리 등의 투명 기판 표면에 유전이방성의 물질이 코팅된 기판을 이용한 편광 장치, ②미세하게 알루미늄 또는 금속 와이어가 증착된 편광판, 또는 ③석영유리의 반사에 의한 브루스터 편광장치 등을 통과 또는 반사하는 방법으로 편광 처리된 자외선 중에서 선택된 편광 자외선을 조사하여 배향 처리를 한다. 이때 편광된 자외선은 기판면에 수직으로 조사할 수도 있고, 특정한 각으로 입사각을 경사하여 조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액정 분자의 배향 능력이 도막에 부여되게 된다.
상기 4)단계에서는, 상기 편광된 자외선의 조사로 도막에 액정 배향성이 부여된 막을 80 ~ 300℃, 바람직하게는 115 ~ 300℃에서 15분 이상 가열하여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폴리아믹산 공중합체는 탈수 폐환을 진행시켜 폴리이미드 공중합체로 변환된다.
상기 폴리이미드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06083850868-PAT00006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4가의 유기기이고,
A는 -NH- 또는 -O- 이며,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구조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112006083850868-PAT00007
Figure 112006083850868-PAT00008
Figure 112006083850868-PAT00009
Figure 112006083850868-PAT00010
상기 4) 단계 후 제조되는 액정 배향막에서 폴리이미드 공중합체의 고형분의 농도는 폴리아믹산 공중합체의 분자량, 점성, 휘발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0.5 ~ 2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선정된다. 이러한 경우 폴리아믹산 공중합체의 분자량에 따라 적절한 폴리이미드 공중합체의 고형분의 농도 값이 달라지겠으나, 제조된 폴리아믹산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충분히 높은 경우에도, 폴리이미드 공중합체의 고형분의 농도가 0.5 중량% 이하가 되면 액정 배향막의 두께가 과소하게 되어 양호한 액정 배향 효과를 얻기 어렵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는 액정 배향액의 점도가 과도하게 증가되어 도포 특성의 열화 가 쉽고, 또한 액정 배향막의 두께가 과대하게 됨으로 인해 양호한 액정 배향을 얻기 어렵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으로 형성되는 최종 도막의 막 두께는 0.002 ~ 2㎛이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0.004 ~ 0.6㎛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련의 과정을 거친 이후에, 외부의 열, 물리적, 화학적인 충격에 안정한 액정 배향능을 가지는 광 배향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정 배향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배향막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공중합체 이외에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용매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액정 배향막은 폴리아믹산 공중합체가 이미드화 되기 전의 유동성 있는 사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배향을 유도한 다음 열처리하여 이미드화 함으로써, 종래의 폴리아믹산이 이미드화가 진행된 이 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배향 처리하는 방법보다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잔상이 생기지 않으며 액정 배향성이 우수하다(도 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는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잔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1. 폴리아믹산 공중합체의 제조
Figure 112006083850868-PAT00011
1-1. (4'- 니트로페닐 )-4- 니트로신나메이트의 제조
19.32g(0.1mole)의 4-니트로신남산을 반응용기에 넣고, 소량의 DMF와 60g의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질소 기류하에 가하였다. 용액이 맑아질 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70℃로 가열하였다. 미반응된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20g의 4-니트로신나모일 클로라이드를 얻었다. 6.6g(0.047mole)의 4-니트로페놀, 7mL의 트리에틸아민 및 500mL의 테트라히드로퓨란을 질소 기류하에 교반하면서 반응용기에 넣었다. 상기 용액에 테르라히드로퓨란 40mL 내 10g(0.047mole)의 4-니트로신나모일 클로라이드 용액을 천천히 가하고, 반응온도를 0℃로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결과 용액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물로 추출하였다. 메틸렌클로라이드층을 농축하여 12g의 (4'-니트로 페닐)-4-니트로신나메이트를 얻었다.
1-2. (4'- 아미노페닐 )-4- 아미노신나메이트의 제조
상기 1-1에서 제조한 3.14g(0.01mole)의 (4'-니트로페닐)-4-니트로신나메이트, 20mL의 물 및 100mL의 이소프로판올을 반응용기에 넣었다. 혼합물을 70℃로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3mL의 진한 HCl 및 20g의 철 분말을 용기에 가하였다. 12시간 후, 용액을 여과하여 미반응된 철을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물로 희석하였다. 결과 용액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키고,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였다. 메틸렌클로라이드층을 농축하고 재결정하여 2.1g의 (4'-아미노페닐)-4-아미노신나메이트를 얻었다.
1-3. 폴리아믹산 공중합체의 제조
상기 1-2에서 제조한 3.50g(0.0138mole)의 (4'-아미노페닐)-4-니트로신나메이트, 60mL의 NMP(N-methylpyrrolidone)를 교반기가 장착된 반응용기에 넣었다. 실온에서 6.12g(0.0138mole)의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릭 디안하이드라이드(6-FDA)를 가하고, 20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여 점성의 폴리아믹산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IR : 1784, 1725, 1630, 1369, 729 cm-1.
2. 액정 배향액의 제조
상기 1에서 제조한 폴리아믹산 공중합체를 N-메틸피롤리돈과 부틸셀로솔브의 혼합용액에 녹여서 폴리아믹산 공중합체의 불휘발분 농도를 2% 농도로 하고, 이것 을 0.2㎛의 필터에 여과하여 액정 배향액을 제조하였다.
3. 액정 배향막의 제조
상기 2에서 제조한 액정 배향액을 인듐틴옥사이드(ITO) 전극이 도포된 유리기판 위에 80㎚의 두께로 코팅한 후, 유리기판을 80℃에서 3분 이내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액정 배향액이 도포된 면을 자외선에 대하여 유리기판 표면에서 0 ~ 30도의 경사각으로 5초, 10초, 30초, 1분, 5분, 10분 간격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 반응을 유도하였다. 광 반응이 유도된 두 개의 유리 기판 중 하나에는 볼스페이서가 함유된 광 반응성 접착제를 유리기판 끝부분에 도포한 후, 이것에 나머지 하나의 유리기판을 합착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만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막을 접합시켰다. 완성된 도막에 액정을 주입하고 200℃ 이상에서 15분 이상 열처리한 후 액정 배향막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2 :
1. 폴리아믹산 공중합체의 제조
Figure 112006083850868-PAT00012
1-1. (4'- 니트로페닐 )-4- 니트로신나마이드의 제조
19.32g(0.1mole)의 4-니트로신남산을 반응용기에 넣고, 소량의 DMF와 60g의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질소 기류하에 가하였다. 용액이 맑아질 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70℃로 가열하였다. 미반응된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20g의 4-니트로신나모일 클로라이드를 얻었다. 6.5g(0.047mole)의 4-니트로아닐린, 60mL의 톨루엔을 질소 기류하에 교반하면서 반응용기에 넣었다. 상기 용액에 디옥산 10mL 내 10g(0.047mole)의 4-니트로신나모일 클로라이드 용액을 질소 기류하에 빨리 가하였다. 혼합물을 6시간 동안 110℃에서 교반하였다. 결과 용액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15g의 (4'-니트로페닐)-4-니트로신나마이드를 얻었다.
1-2. (4'- 아미노페닐 )-4- 아미노신나마이드의 제조
상기 1-1에서 제조한 5.20g(0.01mole)의 (4'-니트로페닐)-4-니트로신나마이드, 30mL의 물 및 120mL의 이소프로판올을 반응용기에 넣었다. 혼합물을 70℃로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5mL의 진한 HCl 및 30g의 철 분말을 용기에 가하였다. 12시간 후, 용액을 여과하여 미반응된 철을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물로 희석하였다. 결과 용액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키고,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였다. 메틸렌클로라이드층을 농축하고 재결정하여 3.8g의 (4'-아미노페닐)-4-아미노신나마이드를 얻었다.
1-3. 폴리아믹산 공중합체의 제조
상기 1-2에서 제조한 3.50g (0.0138mole)의 (4'-아미노페닐)-4-아미노신나마이드, 60mL의 NMP를 교반기가 장착된 반응용기에 넣었다. 실온에서 5.79g(0.0138mole)의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릭 디안하이드라이드(6-FDA)를 가하고, 20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여 점성의 폴리아믹산 공중합체 용액 을 얻었다.
IR : 1782, 1722, 1650, 1633, 1372, 727 cm-1.
2. 액정 배향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폴리아믹산 공중합체 대신 상기 1에서 제조한 폴리아믹산 공중합체(100m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액정 배향액을 제조하였다.
3. 액정 배향막의 제조
상기 2에서 제조한 액정 배향액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1. 폴리이미드의 제조
Figure 112006083850868-PAT00013
1-1. (E)-3,5- 디니트로벤질 신나메이트의 제조
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아세톤 35mL를 넣은 후, 디니트로벤질알콜 9.90g(50mmol)을 녹였다. 상기 용액에 피리딘 3.87mL(50mmol)을 넣고 교반시켰다. 아세톤 35mL에 신나모일 클로라이드 8.33g(50mmol)을 녹인 후, 적하 깔대기(Dropping funnel)를 이용하여 천천히 상기 혼합물에 적하시켰다. 온도를 60℃로 올려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아세톤을 완전히 제거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다시 녹여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염화나트륨(NaCl) 수용액으로 Work-up을 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MgSO4)로 수분을 제거하여, 12.36g의 (E)-3,5-디디니트로벤질 신나메이트를 얻었다(수율 75%).
1-2. (E)-3,5- 디아미노벤질 신나메이트의 제조
60℃에서, 150mL의 아세톤에 상기 1-1에서 제조한 (E)-3,5-디디니트로벤질 신나메이트를 녹인 후 H2O 10mL를 넣어주었다. 이때 흰색 결정이 생기는데, 아세톤 60mL를 더 첨가시켜 결정을 녹였다. 결정이 완전히 녹은 후 Fe 21g을 넣고 잘 분산되도록 5분 정도 교반한 후, 미반응된 철을 제거하고, HCl 1mL를 천천히 넣어주었다. 30분 정도 반응을 진행시킨 후, 동량의 철과 HCl을 한번 더 넣어준 후 18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키고 여과기를 통하여 철을 여과하고,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다음,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다시 녹였다. 이 용액을 수산화나트륨과 염화나트륨으로 work-up 한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물을 제거한 다음, 용매를 제거하고 7g의 (E)-3,5-디아미노벤질 신나메이트를 얻었다(수율 60%).
1-3. 폴리아믹산의 제조
상기 1-2에서 제조한 (E)-3,5-디아미노벤질 신나메이트 3.5g(13mmol)을 N-메 틸-2-피롤리돈 24.24g(20 중량%)에 완전히 녹을 때까지 교반한 후, 1,2,3,4-시클로부탄-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CBDA) 2.56g(13mmol)을 넣어 준 후 얼음 중탕 하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모든 반응은 N2 분위기 하에서 진행하였다. 반응을 종결시키고, H2O에 침전시켜 폴리아믹산을 얻었다.
1-4. 폴리이미드의 제조
상기 1-3에서 제조한 폴리아믹산 용액 2g(PAA: 0.4g, NMP: 1.6g)에 아세트산 무수물 0.435g(PAA 반복단위 : 아세트산 무수물 = 1 : 5)을 넣어주고, 피리딘 0.201mL(Ac2O/피리딘 = 2/1 부피비)를 첨가 후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메탄올에 침천시켜 폴리이미드를 얻었다.
2. 액정 배향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폴리아믹산 공중합체 대신 상기 1에서 제조한 폴리이미드(100m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액정 배향액을 제조하였다.
3. 액정 배향막의 제조
상기 2에서 제조한 액정 배향액을 인듐틴옥사이드(ITO) 전극이 도포된 유리기판 위에 80㎚의 두께로 코팅한 후, 유리기판을 80℃에서 3분 이내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상기 건조된 도막을 다시 200℃ 이상에서 15분 이상 열처리하였다. 상기 열처리한 도막면에 파장 범위가 150 ~ 450㎚ 영역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배향 처리를 하였다. 배향 처리된 유리기판 2매를 배향 처리된 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하 여 접합하였다. 이때 접합된 두 유리기판 사이의 거리, 즉 갭이 60 ~ 90㎛가 되는 것과, 4 ~ 5㎛가 되는 것, 2종을 제조하였다. 갭이 60㎛ 이상 되는 셀은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5㎛ 이하가 되는 셀은 볼 스페이서 또는 컬럼 스페이서를 유리기판 면에 형성한 후, UV 실란트를 사용해 고정하는 방법으로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 시험셀을 제조하였다. 상기 셀에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액정을 주입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배향막의 초기 배향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배향막의 초기 배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액정 배향막을 편광판이 붙어 있는 라이트 박스(light box) 위에 올려놓고 다른 편광판을 그 위에 올려 두 개의 편광판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하여 배향막의 액정 배향성을 관찰하였다. 액정 배향성은 액정의 흘러간 자국과 빛샘의 정도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83850868-PAT00014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배향막의 경우(실시예 1 ~ 2), 육안 관측시 결함이 전혀 없는 우수한 배향 상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1의 경우도 초기 배양 상태는 양호하게 나타났다.
실험예 2 :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배향막의 열 안정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배향막의 열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 ~ 2의 액정 배향막의 제조과정에서 스핀 코팅 후, 용매를 건조시키고, 노광처리와 열처리가 끝난 후 단판을 280℃에서 30분간 열처리를 한 후,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여 액정의 배향 상태로 단판의 열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액정 배향막은 140℃, 160℃, 180℃에서 1시간 열처리를 한 후,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여 액정의 배향 상태로 단판의 열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배향막의 열 안정성은 도 1에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액정 배향막의 열 안정성은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배향막의 경우 280℃에서 30분간 열처리를 한 후에도 초기 배향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반면,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액정 배향막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기 배향 상태는 비교적 우수하였으나, 열처리 온도가 높아질수록 흰점으로 보이는 경사결함(disclination)의 수가 증가하여 열에 의해 액정 배향성이 저하되어 열 안정성이 개선되지 않았다. 이는 측쇄형 액정 배향막의 고분자 주쇄에 열 안정성이 높은 물질을 적용하여도 열 안정성을 개선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배향막은 광 조사 중에 부반응으로 발생하는 분자사슬의 절단물을 휘발시키거나, 배향막 분자 사슬에 고정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의 잔상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액정 배향막은, 폴리아믹산 중합체가 이미드화 되기 전의 유동성 있는 사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배향을 유도한 다음 열처리하여 이미드화 함으로써,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잔상이 생기지 않으며 액정 배향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폴리아믹산 공중합체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액정 배향액을 제조한 후, 상기 액정 배향액을 기판 표면 위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도막에 포함된 용매를 건조시키는 단계,
3) 상기 건조된 도막면에 편광 자외선을 조사하여 배향 처리하는 단계, 및
4) 상기 배향 처리된 도막을 열처리하여 이미드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폴리아믹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6083850868-PAT00015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4가의 유기기이고,
A는 -NH- 또는 -O- 이며,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이다.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R은 하기 구조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Figure 112006083850868-PAT00016
Figure 112006083850868-PAT00017
Figure 112006083850868-PAT00018
Figure 112006083850868-PAT000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용매를 35 ~ 80℃에서 3분 이내에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에서 배향 처리된 도막을 80 ~ 300℃에서 15분 이상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에서 이미드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폴리이미드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화학식 2]
Figure 112006083850868-PAT00020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4가의 유기기이고,
A는 -NH- 또는 -O- 이며,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이다.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R은 하기 구조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Figure 112006083850868-PAT00021
Figure 112006083850868-PAT00022
Figure 112006083850868-PAT00023
Figure 112006083850868-PAT0002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액정 배향막.
청구항 8의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KR1020060113195A 2005-12-01 2006-11-16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액정 배향막,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KR100759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195A KR100759189B1 (ko) 2005-12-01 2006-11-16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액정 배향막,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6611 2005-12-01
KR1020050116611 2005-12-01
KR1020060113195A KR100759189B1 (ko) 2005-12-01 2006-11-16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액정 배향막,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658A true KR20070057658A (ko) 2007-06-07
KR100759189B1 KR100759189B1 (ko) 2007-09-14

Family

ID=38092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195A KR100759189B1 (ko) 2005-12-01 2006-11-16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액정 배향막,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28378A1 (ko)
JP (1) JP4932850B2 (ko)
KR (1) KR100759189B1 (ko)
CN (1) CN101321845B (ko)
TW (1) TWI345664B (ko)
WO (1) WO2007064160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595B1 (ko) * 2006-11-28 2007-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폴리이미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2499B1 (ko) * 2005-12-01 2008-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폴리이미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3605B1 (ko) * 2007-12-07 2009-08-26 제일모직주식회사 액정 광배향제, 이를 포함하는 액정 광배향막,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8425799B2 (en) 2007-10-10 2013-04-23 Cheil Industries Inc. Photoalignment agent of liquid crystal, photoalignment film of liquid crystal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8487069B2 (en) 2009-12-16 2013-07-16 Cheil Industries Inc. Liquid crystal photo-alignment agent, liquid crystal photo-alignment laye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quid crystal photo-alignment layer
US8623515B2 (en) 2010-12-29 2014-01-07 Cheil Industries Inc. Liquid crystal alignment agent,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US8722158B2 (en) 2008-12-12 2014-05-13 Cheil Industries Inc. Liquid crystal photo-alignment agent and liquid crystal photo-alignment fil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20150013609A (ko) * 2012-04-26 2015-02-05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디아민, 중합체,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US8969486B2 (en) 2011-12-19 2015-03-03 Cheil Industries Inc. Liquid crystal alignment agent,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1771B2 (ja) * 2006-03-16 2014-04-23 Jnc株式会社 光配向膜及び液晶表示素子
JP2008176304A (ja) * 2006-12-22 2008-07-31 Jsr Corp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液晶表示素子および光学部材
JP2010506031A (ja) * 2007-01-09 2010-02-2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新規なポリイミド共重合体、これを含む液晶配向膜、およびこれを含む液晶ディスプレイ
KR100837788B1 (ko) * 2007-06-13 2008-06-13 한국화학연구원 광반응형 방향족 고리 측쇄기를 갖는 폴리아믹산광배향막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셀
CN101918513B (zh) * 2008-01-18 2013-05-08 Lg化学株式会社 液晶取向层组合物、使用该组合物制备液晶取向层的方法、以及包含该液晶取向层的光学膜
CN103827740B (zh) * 2011-06-28 2017-08-25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液晶取向膜的制造方法、液晶取向膜及液晶显示元件
CN102629027B (zh) * 2011-07-27 2014-09-2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取向膜、其制备方法及液晶显示组件
TWI453500B (zh) * 2011-08-16 2014-09-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液晶測試盒及其製造方法
JP6146077B2 (ja) * 2012-06-29 2017-06-14 Jsr株式会社 液晶配向膜の製造方法
CN102819144B (zh) 2012-07-30 2014-11-12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取向膜制备方法、取向实现方法及液晶显示装置
JP6160218B2 (ja) * 2012-08-03 2017-07-12 Jsr株式会社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液晶表示素子及び液晶配向膜の製造方法
KR20140124995A (ko) * 2013-04-17 2014-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JP5894567B2 (ja) * 2013-08-21 2016-03-3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372200B2 (ja) * 2013-10-07 2018-08-15 Jsr株式会社 液晶配向膜の製造方法、光配向剤及び液晶表示素子
CN104730771B (zh) * 2015-03-30 2017-08-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的制造方法及显示面板、取向膜制造设备
KR101879834B1 (ko) * 2015-11-11 2018-07-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배향막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소자
KR101989587B1 (ko) 2016-03-28 2019-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배향제, 이를 포함하는 액정배향막 및 액정배향막의 제조 방법
TWI604527B (zh) * 2016-11-29 2017-11-01 明基材料股份有限公司 液晶裝置的製造方法與由此方法所製造出之液晶裝置
KR102253504B1 (ko) * 2016-11-29 2021-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KR102253502B1 (ko) * 2016-11-29 2021-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KR20200026376A (ko) * 2018-08-30 2020-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광배향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0731A (ja) * 1985-01-24 1986-08-01 Asahi Chem Ind Co Ltd 耐熱性フオトレジストフイルム
US4974941A (en) * 1989-03-08 1990-12-04 Hercules Incorporated Process of aligning and realigning liquid crystal media
SG50596A1 (en) * 1991-07-26 2001-01-16 Rolic Ag Photo-oriented polymer networks and method of their manufacture
JP3603292B2 (ja) * 1996-08-30 2004-12-22 Jsr株式会社 液晶配向膜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
US6303742B1 (en) * 1998-04-01 2001-10-16 Kanek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olyimide compositions
US5936691A (en) 1998-07-17 1999-08-10 Kent State University Method of preparing alignment layer for use in liquid crystal devices using in-situ ultraviolet exposure
KR100565739B1 (ko) * 2000-10-28 2006-03-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광배향성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
CN1148606C (zh) * 2000-11-30 2004-05-05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小分子单体链状光聚合形成液晶取向膜的方法
CN1175082C (zh) * 2001-10-26 2004-11-10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由含有光敏封端剂的聚酰亚胺制备液晶取向膜的方法
JP2003167139A (ja) * 2001-11-30 2003-06-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光導波路、それに用いる桂皮酸構造を有するポリイミド前駆体およびポリイミド
JP3849138B2 (ja) * 2002-02-18 2006-11-22 Jsr株式会社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の形成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
JP2004264354A (ja) * 2003-02-12 2004-09-24 Nissan Chem Ind Ltd 液晶配向膜の形成方法
KR100548625B1 (ko) * 2003-03-24 2006-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내열성 투명 폴리이미드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한 감광성수지 조성물
JP4620438B2 (ja) * 2004-02-27 2011-01-26 チッソ株式会社 液晶配向膜、液晶配向剤、及び液晶表示素子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99B1 (ko) * 2005-12-01 2008-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폴리이미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89595B1 (ko) * 2006-11-28 2007-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폴리이미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8425799B2 (en) 2007-10-10 2013-04-23 Cheil Industries Inc. Photoalignment agent of liquid crystal, photoalignment film of liquid crystal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0913605B1 (ko) * 2007-12-07 2009-08-26 제일모직주식회사 액정 광배향제, 이를 포함하는 액정 광배향막,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8057700B2 (en) 2007-12-07 2011-11-15 Cheil Industries, Inc. Liquid crystal photo-alignment agent and liquid crystal photo-alignment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8722158B2 (en) 2008-12-12 2014-05-13 Cheil Industries Inc. Liquid crystal photo-alignment agent and liquid crystal photo-alignment fil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US8487069B2 (en) 2009-12-16 2013-07-16 Cheil Industries Inc. Liquid crystal photo-alignment agent, liquid crystal photo-alignment laye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quid crystal photo-alignment layer
US8623515B2 (en) 2010-12-29 2014-01-07 Cheil Industries Inc. Liquid crystal alignment agent,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US8969486B2 (en) 2011-12-19 2015-03-03 Cheil Industries Inc. Liquid crystal alignment agent,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KR20150013609A (ko) * 2012-04-26 2015-02-05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디아민, 중합체,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5664B (en) 2011-07-21
CN101321845A (zh) 2008-12-10
US20070128378A1 (en) 2007-06-07
JP2009517716A (ja) 2009-04-30
WO2007064160A1 (en) 2007-06-07
CN101321845B (zh) 2012-06-27
TW200722876A (en) 2007-06-16
JP4932850B2 (ja) 2012-05-16
KR100759189B1 (ko) 200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189B1 (ko)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액정 배향막,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KR100939628B1 (ko) 신규한 폴리이미드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막,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JP4404090B2 (ja) 光配向用液晶配向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
KR100882586B1 (ko) 액정 광배향제, 이를 포함하는 액정 광배향막,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TWI627262B (zh) 液晶配向層、其製備方法及包括其之液晶顯示裝置
KR100822499B1 (ko) 신규한 폴리이미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4013052B2 (ja) 液晶配向処理剤および液晶表示素子
TWI648579B (zh) 化合物、聚合物、液晶配向劑、液晶配向膜以及液晶顯示元件
JP2008176304A (ja)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液晶表示素子および光学部材
TW200922974A (en) Liquid crystal-aligning agent,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US7105211B2 (en) Liquid crystal aligning agent, liquid crystal aligning film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TWI416227B (zh) 液晶配向劑及橫電場方式液晶顯示元件
US11142697B2 (en) Liquid crystal aligning agent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using same, and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using same
US20200181495A1 (en) Liquid crystal aligning agent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using same, and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using same
KR100789595B1 (ko) 신규한 폴리이미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7139950B2 (ja)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液晶表示素子
KR20200046093A (ko)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그리고 액정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6017982A (ja) インクジェット塗布用液晶配向剤
US11345856B2 (en) Liquid crystal aligning agent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using same, and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using same
JP2002155138A (ja) 重合体、その製造方法、液晶配向剤および液晶配向膜
CN114058382A (zh) 液晶取向剂、液晶取向膜及液晶元件
KR20220056789A (ko)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액정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22162467A (ja)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液晶素子及び化合物
JP2002049040A (ja)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の形成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