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957A -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 런 사이의 중량 차를보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승강기 설비, 및 그러한보정을 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 런 사이의 중량 차를보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승강기 설비, 및 그러한보정을 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957A
KR20070055957A KR1020060116798A KR20060116798A KR20070055957A KR 20070055957 A KR20070055957 A KR 20070055957A KR 1020060116798 A KR1020060116798 A KR 1020060116798A KR 20060116798 A KR20060116798 A KR 20060116798A KR 20070055957 A KR20070055957 A KR 20070055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uspension cable
elevator
counterweigh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베르트 스탈더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55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8Cable weight compensating device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승강실, 평형추, 및 에너지 및/또는 제어 신호의 전달을 위한 일체형 컨덕터를 갖는 1 이상의 현수 케이블 (309) 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에 있어서, 승강기 설비의 고정 지점과 승강실 또는 평형추 사이에 매달려 있는 현수 케이블 (309) 에 의해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 런 사이의 중량 차를 위해 보정이 제공되고, 상기 현수 케이블은 현수 케이블의 미터당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중량 차, 보정, 승강기

Description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 런 사이의 중량 차를 보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승강기 설비, 및 그러한 보정을 행하는 방법{LIFT INSTALLATION WITH EQUIPMENT FOR COMPENSATION FOR THE W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AGE RUNS AND THE COUNTERWEIGHT RUNS OF THE SUPPORT MEANS AND METHOD OF REALISING SUCH COMPENSATION}
도 1a 는 최저 위치에 있는 승강실, 평형추, 지지 수단, 및 승강실과 평형추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 (cage run) 과 평형추 런 (counterweight run) 사이의 중량 차를 보정하는 현수 케이블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b 는 승강실이 최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도 1a 에 따른 승강기 설비를 보여준다.
도 2a 는 평형추와 승강로 벽 사이에 부가적인 현수 케이블이 배치되어 있고 승강실이 최저 위치에 있는 제 2 승강기 설비를 보여준다.
도 2b 는 승강실이 최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도 2a 에 따른 승강기 설비를 보여준다.
도 3 은 중량 부재 (weight element) 가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현수 케이블의 일 측면에 중량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현수 케이블의 양 측면에 2 개의 중량 부재가 각각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현수 케이블의 양 측면에 2 개의 중량 부재가 클램핑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케이싱에 일체로 되어 있고 중량증가용 충전재로 채워진 공동 (cavity) 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중량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2 개의 현수 케이블을 보여준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201 승강기 설비 103, 203 승강실
104, 204 평형추 107, 207 지지 수단
107,1, 207.1 승강실 런
107.2, 207.2 평형추 런
109, 209.1, 209.2, 309, 409, 509, 609, 809 현수 케이블
311, 411, 511, 611, 811 중량 부재
313 고정용 구멍
718 일체형 공동
817 표시
본 발명은, 승강실의 위치에 따라 승강실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의 평형추 런 사이의 중량 차를 보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승강기 설비, 및 그러한 보정을 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강실과 평형추를 포함하고, 구동 풀리를 갖는 구동 유닛 및 구동 풀리 위를 지나는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승강기 설비로서, 가요성 중량 보정 스트랜드가 승강실과 승강로 벽 사이에 에너지 또는 제어 신호의 전달을 위한 라인 (line) 을 갖는 현수 케이블 (hanging cable) 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승강기 설비가 EP 1445229 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이 중량 보정 스트랜드는 예컨대 링크 체인으로서 또는 와이어 케이블 또는 벨트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승강기 설비의 전체 높이의 절반 정도에 있는 고정 지점으로부터 승강실의 밑면까지 현수 루프 (hanging loop) 의 형태로 연장된다. 보정 장치 없이, 승강실 쪽이 길고 평형추 쪽이 짧은 지지 수단의 구획의 조합 (예컨대 승강실이 최저 위치에 있는 경우) 은 구동 풀리에 실질적인 토크를 가한다. 승강실이 최상 위치에 있는 경우, 승강실 쪽이 짧고 평형추 쪽이 긴 지지 수단의 구획의 조합은 구동 풀리에 회전의 반대 방향으로 토크를 가한다. 보정 장치 없이, 구동 유닛은, 각각의 하중 상황에 따라, 승강실과 평형추 사이의 중량 차로 인한 토크 외에 이러한 토크를 가해야 한다. EP 1445229 에 따른 승강기 설비에서는, 중량 보정 스트랜드 또는 몇몇 의 중량 보정 스트랜드들에 의해 지지 수단의 상기한 바람직하지 않은 중량 영향에 대해 보정이 제공되고, 미터당 중량은 평행하게 배열된 모든 지지 수단의 미터당 중량의 2 배에 거의 상응한다.
EP 1445229 에 기재된 승강기 설비는 어떠한 단점을 갖는다. 단점 중 하나는, 에너지 또는 제어 신호의 전달을 위한 일체형 컨덕터 (integrated conductor) 를 갖는 현수 케이블과는 별도로, 현수 케이블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1 이상의 개별 가요성 중량 보정 스트랜드가 설치되어야 하고, 따라서 중량 보정 스트랜드 자체, 그리고 이의 생산, 저장 및 설치에 부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다른 단점은, 그러한 가용성 중량 보정 스트랜드는 미터당 중량에 대해 한정된 수의 변형에서만 이용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승강실 구성에 따라 미터당 다른 중량을 갖는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 런 사이의 중량 차에 대한 최적의 보정은 종종 실현불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그러한 중량 보정 스트랜드의 스토킹 (stocking, 몇몇의 미터당 중량 변형에서 요구됨) 은,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보급 비용처럼, 실질적으로 비용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투명한 승강로를 갖는 승강기 설비에서는, 추가적인 중량 보정 스트랜드로 인해 전체 설비의 외관이 더 손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승강기 설비의 상기 단점을 갖지 않는 승강기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특히 지지 수단의 승강실 측에 있는 런 (승강실 런) 과 평형추 측에 있는 런 (평형추 런) 사이의 중량 차를 보정하 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승강기 설비로서, 부가적인 중량 보정 스트랜드가 필요 없고 그에 따라 제조, 보급 및 설치에 드는 비용이 절감되며, 승강기 설비의 모든 조건에서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 런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중량 차에 대해 최적의 보정을 제공하도록 될 수 있으며, 투명한 승강로를 갖는 승강기 설비의 외관을 가능한 한 손상시키지 않는 승강기 설비가 제조되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설비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설비의 경우, 에너지 및/또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일체형 컨덕터를 갖는 현수 케이블이 존재하고, 이는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 런 사이의 중량 차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정을 제공하고, 현수 케이블은 현수 케이블의 미터당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용어 "미터당 중량" 은 길이 1 미터의 현수 케이블 또는 지지 수단의 중량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현수 케이블의 미터당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에너지 및/또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일체형 컨덕터를 갖는 현수 케이블이,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 런 사이의 중량 차를 보정하기 위해 승강기 설비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강실의 각각의 순간적인 위치에 따라 상이한 길이를 갖는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 런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중량 차에 대해 보정을 제공하는 적절한 조치에 의해, 어떠한 경우에 존재하고 에너지 및/또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일체형 컨덕터를 포함하는 현수 케이블의 미터당 중량을 증가시킨다는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장점은, 실질적으로 상기한 모든 단점과 함께 부가적인 중량 보정 수단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보강과 개발은 종속항에 명확히 나타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현수 케이블을 따라 중량 부재가 현수 케이블에 고정된다. 이처럼 간단한 형태의 실시형태로, 지지 수단의 바람직하지 않은 중량의 영향에 대해 최적의 방식으로 보정이 제공되도록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현수 케이블이 장착될 수 있다.
중량 부재는 현수 케이블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일체형 컨덕터를 갖는 현수 케이블이 편평한 케이블이고 또한 중량 부재가 그 현수 케이블의 편평한 측면들 중 일 측에만 또는 양측에 고정된다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중량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용 구멍이 현수 케이블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존재한다면, 중량 부재를 현수 케이블에 간단히 그리고 단시간에 설치할 수 있다.
현수 케이블을 따라 중량 부재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형) 가 단지 클램핑 고정에 의해서만 현수 케이블에 고정된다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그리고 저렴한 현수 케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일정한 간격으로의 중량 부재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는 표시 ( 예컨대, 현수 케이블의 케이싱에 있는 유색 표시 또는 압입부 (impression) ) 가 현수 케이블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모든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 런 사이의 중량 차를 보정하기 위해, 평행하게 배열된 2 이상의 현수 케이블이 요구된다면, 상응하는 폭을 가진 플레이트형 중량 부재로 평행하게 배열된 현수 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조치로 현수 케이블의 그룹은 모든 수평 방향 진동에 대해 안정될 수 있다.
보급 및 설치에 적은 비용을 요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있어서, 미터당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에너지 및/또는 신호 라인에 부가적으로, 미터당 중량증가용 충전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 공동이 현수 케이블의 케이싱 내에 존재한다. 모래, 횡방향 노치 등에 의해 가요성으로 된 금속 스트림, 강 스크랩 (scrap) 또는 납 스크랩이 그러한 충전재로서 논의될 수 있다.
상기 공동은 현수 케이블에서 연속적인 길이방향 채널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고, 현수 케이블의 제조시에, 예컨대 압출 공정에서 공동을 상기한 중량증가용 충전재로 채우는 것이 편리하다.
현수 케이블의 미터당 중량이 각각의 중량 부재들 사이의 간격, 또는 개별 중량 부재의 중량, 또는 간격뿐만 아니라 중량 부재의 중량이 상응하게 선택된 주어진 상황에 따라 결정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높은 정도의 가요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 런 사이의 중량 차에 대한 보정이 현수 케이블의 미터당 중량을 증가시 키기 위한 수단을 갖는 1 이상의 현수 케이블에 의해 완전히 그리고 배타적으로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들을 설명하는데, 첨부 도면에 있는 도면 부호의 첫째 자리 숫자는 도면 부호가 표시된 부분이 도시된 도면의 번호에 상응한다.
도 1a 는 승강로 (102), 승강실 (103) 및 평형추 (104) 를 갖는 승강기 설비 (101) 로서, 구동 유닛 (105) 이 구동 풀리 (106) 및 가요성 지지 수단 (107) 을 통해 승강실 및 평형추를 지지 및 구동하는 승강기 설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승강실은 최저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체형 컨덕터와 미터당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 (여기서는 도시 안 됨) 을 갖는 현수 케이블 (109) 이 승강실 (103) 과 승강로 (102) 의 승강로 벽 (10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현수 케이블 (109) 은, 한편으로, 승강실 (103) 로 에너지 및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다른 한편으로, 구동 풀리 (106) 에 작용하는 2 개의 런 (107.1, 107.2) 의 중력에 의한 힘 (weight force) 의 영향을 보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여기서 상기 힘의 비는 승강실의 위치에 따라 변한다.
도 1b 는 승강실 (103) 이 최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도 1a 에 따른 승강기 설비를 보여준다. 도 1a 및 1b 로부터, 승강실이 저부에 있을 때, 승강실에 연결된 지지 수단 (107) 의 런 (107.1) 이 평형추 (104) 에 연결된 런 (107.2) 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중량을 갖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승강실이 상부에 있는 경우 (도 1b), 승강실에 연결된 지지 수단 (107) 의 런 (107.1) 은 평형추 (104) 에 연결된 런 (107.2) 보다 매우 더 적은 중량을 갖는다. 부가적인 중량 보정 수단 없이, 구동 유닛 (105) 은, 최대 하중을 받는 또는 비어 있는 승강실 (103) 의 중량과 평형추 (104) 의 중량 사이의 최대 차로 인한 토크와 함께, 구동 풀리 (106) 에서의 다른 길이를 갖는 지지 수단 (107) 의 런 (107.1, 107.2) 으로 인한 토크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미터당 중량을 증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현수 케이블 (109) 은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승강기 설비에 있어서 승강실 (103) 의 모든 위치에서 지지 수단 (107) 의 2 개의 런 (107.1, 107.2) 사이의 중량 불균형에 대해 보정을 제공하므로, 구동 유닛 (105) 의 구동력은 단지 승강실의 중량과 평형추의 중량 사이의 최대 가능 중량 불균형에 따라서만 설계되어야 한다. 여기서 현수 케이블 (109) 의 미터당 중량은 평행하게 있는 지지 수단 스트랜드 (107) 의 미터당 중량의 합의 두 배에 상응하고, 현수 케이블 (109) 의 요구되는 미터당 중량을 얻기 위해서, 2 이상의 현수 케이블 스트랜드가 또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 는 승강실 (203) 및 평형추 (204) 를 구비한 제 2 승강기 설비 (201) 로서 승강실이 2 개의 맨 끝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데, 승강실은 지지 수단 (207) 의 승강실 런 (207.1) 에 매달려 있고, 평형추는 지지 수단의 평형추 런 (207.2) 에 매달려 있다. 이 설비에서의 구동 유닛 (205) 은 평형추 (204) 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 풀리 (206) 를 구동시키고, 구동 풀리는 고정된 가요성 구동 스트랜드 (220) 와의 협동작업을 통해 승강실 런 (207.1) 에 매달 려 있는 승강실 (203) 과 평형추 런 (207.2) 에 매달려 있는 평형추 (204) 를 구동시킨다. 미터당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제 1 현수 케이블 (209.1) 이 승강로 (202) 의 제 1 승강로 벽 (208.1) 으로부터 승강실 (203) 로 연결되어 있고, 이와 유사하게 제 2 현수 케이블 (209.2) 이 승강로 (202) 의 제 2 승강로 벽 (208.2) 로부터 평형추 (204) 로 연결되어 있다. 적어도 에너지 전달을 위한 각각의 현수 케이블이 승강실 (203) 과 평형추 (204) 각각에서 요구되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의 실시형태는 실행가능하다. 2 개의 현수 케이블 (209.1, 209.2) 각각의 미터당 중량은 평행하게 있는 지지 수단 스트랜드의 미터당 중량의 합에 상응한다.
도 3 은 미터당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중량 부재 (311) 가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케이블 (309) 의 단면도이다. 현수 케이블 (309) 은 가요성의 압출가능한 재료 (예컨대 고무 또는 탄성 플라스틱 재료) 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편평한 케이싱 (310) 을 포함하고, 이 케이싱 내에는 전기전도성의 금속 스트랜드 (312) 가 매설되어 있다. 케이싱에는, 중량 부재 (311) 를 현수 케이블 (309) 에 고정할 수 있도록, 그 길이를 따라 복수의 고정용 구멍 (313) 이 제공되고, 인접한 고정용 구멍 사이의 간격은 항상 동일하다. 현수 케이블 (309) 의 각각 요구되는 미터당 중량에 따라, 중량 부재가 단일 간격 또는 다수의 간격으로 현수 케이블에 고정된다. 도 4 및 도 5 에서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현수 케이블의 고정용 구멍 (313) 에 삽입되는 나사 (314) 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 대신에, 다른 고정용 또는 연결용 부재 (예컨대, 리 벳, 블라인드 리벳 (blind rivet), 스냅 커넥터 (snap connector) 등) 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요구되는 미터당 중량에 따라, 중량 부재 (311) 가 현수 케이블 (309) 의 편평한 측면 중 어느 일 측면에만 또는 양 측면에 설치되고, 달성되어야 하는 미터당 중량에 따라 상이한 중량을 갖는 일련의 이용가능한 중량 부재로부터 선택된 중량 부재의 사용과 조합되어, 현수 케이블의 미터당 중량은 높은 정밀도로 승강기 설비의 특성에 적합할 수 있다.
도 4 는 플레이트형 중량 부재 (411) 가 현수 케이블의 편평한 측면 중 일 측면에만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케이블 (409) 의 단면도이다. 중량 부재는 나사 연결에 의해 고정되고, 나사 (414) 의 섕크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있는 현수 케이블의 고정용 구멍 중 하나에 삽입되어 있다. 나사 연결에 자가고정 (self-locking) 나사 너트 (415) 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4 에 따른 실시형태의 형태는 미터당 중량이 단지 비교적 조금만 증가되어야 하는 현수 케이블에 특히 적합하다.
도 5 는 플레이트형 중량 부재 (511) 가 현수 케이블의 편평한 양 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케이블 (509) 의 단면도인데, 여기서의 중량 부재는 현수 케이블 (509) 에 대해 중량 부재 (511) 를 중심맞춤 및 정렬시키는 큰 측면 에지 (511.1) 를 갖는다. 중량 부재 (511) 는 자가고정 나사 연결에 의해 유사하게 고정되고, 나사 (514) 의 섕크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있는 현수 케이블의 고정용 구멍 중 하나에 삽입되어 있다. 도 5 에 따른 실시형태의 형태는 미터당 중량이 비교적 실질적으로 증가되어야 하는 현수 케이블에 특히 적합하다.
도 6 은 플레이트형 중량 부재 (611) 가 단지 클램핑에 의해 현수 케이블 (609) 의 편평한 양 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케이블 (609) 의 단면도이다. 중량 부재 (611) 는 현수 케이블 (609) 로부터 측면으로 돌출하는 치수를 갖는다. 현수 케이블 (609) 에 인접하게 측면으로 배열되고 또한 현수 케이블로부터 돌출해 있는 중량 부재의 단부 영역에서 2 개의 중량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클램핑 나사 (616) 에 의해, 요구되는 클램핑력이 생성된다. 여기서 자가고정 나사 연결을 사용하는 것도 또한 유리하다. 도 6 의 실시형태의 형태는 고정용 구멍이 없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현수 케이블에 특히 적합하다.
도 7 은 케이싱 (710) 의 내부에 중량증가용 충전재 (719) 로 채워진 일체형 공동 (integrated cavity, 718) 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케이블 (709) 의 단면도이다. 공동 (718) 은 현수 케이블의 제조시에 제조되고 채워지는데, 이는 압출에 의해 이루어지며, 예컨대, 횡방향 노치에 의해 가요성으로 된 납 스크랩, 강 스크랩, 모래 또는 금속 층이 충전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 은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2 개의 현수 케이블 (809) 이 복수의 플레이트형 중량 부재 (811)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형태를 보여준다. 이로써, 전체 현수 케이블 장치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진동하려는 경향이 매우 저하된다.
또한, 도 8 에는 표시 (817) 가 있는데, 이는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중량 부재 (811) 를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현수 케이블 (809) 에 일정한 간격으로 존재한다. 상기 표시 (817) 는 예컨대 현수 케이블의 케이싱에 유색 표 시, 레이저 표시 또는 압입된 (impressed) 횡방향 홈의 형태로 제조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현수 케이블의 표시는, 현수 케이블에 구멍을 고정함으로써 일정한 간격이 미리 결정되지 않은 본 발명의 모든 형태의 실시형태에서 실현가능하다.
미터당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인해 비교적 높은 추가 하중에 노출되되어 있는 현수 케이블에는, 현수 케이블의 케이싱의 전기 컨덕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매설되어 있으며 또한 현수 케이블의 고정용 부위의 영역에 개별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강 또는 플라스틱제 케이블의 형태로 장력 강화물 (tensile reinforcement) 이 제공될 수 있다.
중량 부재는 승강기의 부품을 제조하는 공급기 (supplier) 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명히, 중량 부재는 승강기의 설치시 처음 현수 케이블(들)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몇몇의 현수 케이블의 중량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 현수 케이블 설비의 경우에 특히 합리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 수단의 승강실 측에 있는 런 (승강실 런) 과 평형추 측에 있는 런 (평형추 런) 사이의 중량 차를 보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승강기 설비로서, 부가적인 중량 보정 스트랜드가 필요 없고 따라서 제조, 보급 및 설치에 드는 비용이 절감되며, 승강기 설비의 모든 조건에서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 런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중량 차에 대해 최적의 보정을 제공하도록 될 수 있으며, 투명한 승강로를 갖는 승강기 설비의 외관을 가능한 한 손상시키지 않는 승강기 설비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6)

  1. 승강실 (103; 203) 을 지지하는 1 이상의 승강실 런 (107.1; 207.1) 및 평형추 (104; 204) 를 지지하는 1 이상의 평형추 런 (107.2, 207.2) 을 포함하는 1 이상의 지지 수단 (107; 207) 을 갖고,
    에너지 및/또는 제어 신호의 전달을 위한 일체형 컨덕터를 구비한 1 이상의 현수 케이블 (109; 209.1; 209.2) 이 존재하며 고정 지점과 승강실 (103; 203) 또는 평형추 (104; 204) 사이에 현수 루프 (hanging loop) 의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승강기 설비 (101; 201) 로서,
    상기 현수 케이블 (109; 209.1; 209.2) 은 미터당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 (311; 611; 71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01; 20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케이블 (109; 209.1; 209.2) 은 지지 수단 (107; 207) 의 1 이상의 승강실 런 (107.1; 207.1) 과 1 이상의 평형추 런 (107.2; 207.2) 사이의 중량 차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01; 201).
  3. 제 2 항에 있어서, 현수 케이블 (109; 309; 409; 509; 609) 을 따라 중량 부재 (311; 411; 511; 611) 가 현수 케이블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01; 20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부재 (311; 411; 511; 611) 는 현수 케이블 (309; 409; 509; 609) 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케이블 (309; 409; 509; 609) 은 편평한 케이블이고, 상기 중량 부재 (311; 411; 511; 611) 는 편평한 측면의 일 측에만 또는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중량 부재 (311; 411; 511) 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부재 (314; 414; 514) 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용 구멍 (313) 이 현수 케이블을 따라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7. 제 5 항에 있어서, 현수 케이블 (609; 809) 을 따라 중량 부재 (611; 811) 가 단지 클램핑 고정에 의해 현수 케이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8. 제 7 항에 있어서, 중량 부재 (811) 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표시 (817) 가 현수 케이블 (809) 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행하게 배치된 몇몇의 현수 케이블 (809) 이 플레이트형 중량 부재 (811) 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현수 케이블 (709) 의 미터당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에너지 및/또는 신호 라인 (712) 과는 별도로, 중량증가용 충전재 (719) 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져 있는 1 이상의 공동 (718) 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718) 은 현수 케이블 (709) 에 연속적인 길이방향 채널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2.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수단 (107; 207) 의 승강실 런 (107.1; 207.1) 과 평형추 런 (107.2; 207.2) 사이의 중량 차의 보정이 1 이상의 현수 케이블 (109; 209; 309; 609; 709) 에 의해 완전히 그리고 배타적으로 제공되며, 이 현수 케이블은 현수 케이블의 미터당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 (311; 611; 71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3. 에너지 및/또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일체형 컨덕터 (312; 712) 를 구 비한 1 이상의 현수 케이블 (109; 209; 309; 509; 709) 을 고정 지점과 승강실 (103; 203) 또는 평형추 (104; 204) 사이에 매달리도록 설치하고, 현수 케이블 (109; 209; 309; 509; 609; 709) 의 미터당 중량이 증가된 승강기 설비 (101; 201) 의 형성 또는 설치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현수 케이블 (109; 209; 309; 509; 609) 의 미터당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중량 부재 (311; 511; 611) 를 현수 케이블 (109; 209; 309; 509; 609) 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의 형성 또는 설치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현수 케이블 (109; 209; 309; 509; 609) 의 미터당 중량이 각각의 중량 부재 (311; 511; 611) 들 사이의 간격 (a), 또는 각각의 중량 부재 (311; 511; 611) 의 중량, 또는 간격과 중량 부재 (311; 511; 611) 의 중량 쌍방이 대응되게 선택된 소정의 설비 구성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의 형성 또는 설치 방법.
  16. 증가된 미터당 중량을 갖는 현수 케이블 (109; 209; 709) 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현수 케이블 (109; 209; 709) 에 에너지 및/또는 신호 라인에 평행하게 연장된 1 이상의 공동 (718) 을 형성하고, 이 공동을 중량증가용 충전재 (719) 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운 현수 케이블의 제조 방법.
KR1020060116798A 2005-11-28 2006-11-24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 런 사이의 중량 차를보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승강기 설비, 및 그러한보정을 행하는 방법 KR200700559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11383 2005-11-28
EP05111383.5 2005-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957A true KR20070055957A (ko) 2007-05-31

Family

ID=36204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798A KR20070055957A (ko) 2005-11-28 2006-11-24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 런 사이의 중량 차를보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승강기 설비, 및 그러한보정을 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070131489A1 (ko)
EP (1) EP1790608B1 (ko)
JP (1) JP2007145605A (ko)
KR (1) KR20070055957A (ko)
CN (1) CN1974360A (ko)
AR (1) AR057177A1 (ko)
AT (1) ATE480488T1 (ko)
AU (1) AU2006241392A1 (ko)
BR (1) BRPI0604960A (ko)
CA (1) CA2568872A1 (ko)
DE (1) DE502006007820D1 (ko)
MX (1) MXPA06013741A (ko)
NZ (1) NZ551444A (ko)
RU (1) RU2006141867A (ko)
SG (1) SG132613A1 (ko)
TW (1) TW200744936A (ko)
ZA (1) ZA2006098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1800723T1 (sl) * 2005-12-21 2010-08-31 Ronald Bussink Amusement Des Zabaviščna proga
EP1810733B1 (en) * 2006-01-19 2010-04-28 Ronald Bussink Amusement Design GmbH An amusement ride
EP2590884B1 (en) * 2010-07-05 2014-11-05 Kone Corporation Compensation device and elevator
WO2012034899A1 (de) 2010-09-17 2012-03-22 Inventio Ag Aufzug mit einer aufzugskabine und einem gegengewicht
PL2651808T3 (pl) * 2010-12-17 2016-09-30 Urządzenie dźwigowe z kabiną i przeciwwagą
JP5524873B2 (ja) * 2011-01-19 2014-06-18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昇降機ケーブル架設装置および昇降機ケーブル架設方法
DE102014113514A1 (de) * 2014-09-18 2016-03-24 Thyssenkrupp Ag Aufzuganlage
CN105173965B (zh) * 2015-09-18 2018-01-19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平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25083A (en) * 1924-08-30 1927-04-19 Otis Elevator Co Compensating rope for hoisting apparatus
US1822153A (en) * 1930-05-20 1931-09-08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Control cable hanger
US3344888A (en) * 1965-03-04 1967-10-03 Otis Elevator Co Elevator car, its machine room, and an elevator traveling cable including both electrical and fluid conductors connected therebetween
JPS5424571B2 (ko) * 1973-01-29 1979-08-22
US4058186A (en) * 1976-05-28 1977-11-1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with retainer device for plurality of traveling cables
US4716989A (en) * 1982-08-04 1988-01-05 Siecor Corporation Elevator compensating cable
US4445593A (en) * 1982-10-15 1984-05-01 Siecor Corporation Flat type feeder cable
US4664229A (en) * 1985-06-28 1987-05-12 Siecor Corporation Motion dampening compensating elevator cable
FI91850C (fi) * 1993-11-16 1994-08-25 Kone Oy Kompensaatiojärjestely
JPH1171070A (ja) * 1997-08-29 1999-03-16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テールコードケーブル
US6837340B2 (en) * 2000-10-20 2005-01-04 Datwyler Ag Compensation weights and elevator systems
EP1234796B1 (de) * 2001-02-27 2004-11-03 Brugg Drahtseil AG Anordnung für Gewichtsausgleichseleme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6013741A (es) 2008-10-16
RU2006141867A (ru) 2008-06-10
EP1790608B1 (de) 2010-09-08
TW200744936A (en) 2007-12-16
BRPI0604960A (pt) 2007-10-09
AR057177A1 (es) 2007-11-21
JP2007145605A (ja) 2007-06-14
SG132613A1 (en) 2007-06-28
NZ551444A (en) 2008-04-30
AU2006241392A1 (en) 2007-06-14
ZA200609872B (en) 2008-06-25
EP1790608A1 (de) 2007-05-30
DE502006007820D1 (de) 2010-10-21
US20070131489A1 (en) 2007-06-14
ATE480488T1 (de) 2010-09-15
CN1974360A (zh) 2007-06-06
CA2568872A1 (en) 200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5957A (ko) 지지 수단의 승강실 런과 평형추 런 사이의 중량 차를보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승강기 설비, 및 그러한보정을 행하는 방법
JP5572756B2 (ja) ロープ終端組立体およびエレベータ
US10081516B2 (en) Rope terminal assembly and an elevator
US8522927B2 (en) Drive motor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method of mounting a drive motor
US10280039B2 (en) Rope terminal assembly and an elevator
FI125130B (fi) Laitteisto hissin nostokoneiston kiinnittämiseksi ja kiinnitysjärjestely
EP3418234B1 (en) Elevator termination assembly that provides an indication of elevator car load
CN104066668A (zh) 用于固定升降机的补偿重量导轨的装置及用在该装置中的导轨支架
US11365095B2 (en)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installing elevator guide rails into an elevator shaft
CN102596785B (zh) 用于测试牵引元件绳索的多个牵引元件中的拉伸应力的方法和装置
CN101229891B (zh) 电梯的承载负重检测装置
US20120067674A1 (en) Elevator with an elevator cage and a counterweight
US11111104B2 (en) Elevator traveling cable hanger assembly
US9371211B2 (en) Drive frame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WO2011072725A1 (en) Identification of a car position of an elevator
EP1310780A1 (en) Improved probe for measuring mechanical stress in cables
KR100923174B1 (ko) 하중 측정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EP1447370B1 (en) Elevator
CN217084201U (zh) 一种白车身静刚性试验装置
CH703134A2 (it) Sistema per la rilevazione del carico nella cabina di un ascens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