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787A -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787A
KR20070055787A KR1020050114210A KR20050114210A KR20070055787A KR 20070055787 A KR20070055787 A KR 20070055787A KR 1020050114210 A KR1020050114210 A KR 1020050114210A KR 20050114210 A KR20050114210 A KR 20050114210A KR 20070055787 A KR20070055787 A KR 20070055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rmrest
memo
hous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735B1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4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735B1/ko
Publication of KR20070055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 내측면에 형성되는 암레스트(110); 상기 암레스트(110)의 상면 소정위치가 함몰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외측에 도어손잡이(111)가 형성되도록 한 도어트림(120); 상기 도어트림(120) 내측에 별도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하우징(130); 상기 하우징 내에 내장되거나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접이식 메모판(1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암레스트에 손을 거치시킨 상태로 메모판을 인출시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고, 종래의 도어트림을 이용하여 메모판이 수납되도록 함으로서, 메모판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라도 외관이 드러나지 않아 차량의 실내를 간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고급이미지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메모판이 사용자의 측면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차량의 급출발이나 급정거 시에 사용자의 신체와 충돌되는 위험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어 암레스트, 하우징, 도어손잡이

Description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armrest box of automobile}
도 1은 종래기술의 차량 내 메모판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접이식 메모판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메모판의 설치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도 5a 내지 5b는 도 4b의 하우징으로부터 접이식 메모판을 인출하는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a 내지 6b는 도 4d의 내부판과 외부판의 슬라이드 구조를 저면에서 본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도어 암레스트 111: 도어손잡이
120: 도어트림 130: 하우징
131: 멈춤돌기 140: 접이식 메모판
141: 고정틀 141a: 멈춤돌기
142: 내부판 142a: 멈춤돌기
143: 외부판 143a: 멈춤돌기
143b: 가이드날개
본 발명은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좌석에 착석한 자세에서 최소의 동선으로 메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차량 내 메모판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전방시트(10)에 수직하게 세워지거나 접혀지도록 하는 메모판(20)을 설치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 메모판(20)과 시트(10)는 접철 가능하고, 펼친 후에는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힌지장치(30)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메모판(20)이 사용자의 전방 쪽 시트(10) 배면에 설치되는 구조로서, 제 1열의 사용자는 메모판(20)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메모판 설치구조는 메모판(10)이 사용자의 전방에 펼쳐지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몸이 앞쪽으로 필요이상 구부려지거나, 시트의 끝단에 걸터 앉게 되는 자세가 되어 사용자의 동선이 커질 뿐 아니라, 착석상태가 매우 불안정하게 되어 차량의 급제동시 탑승자의 부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항시 메모판의 설치구조가 외부로 드러나는 구조로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뿐더러 이는, 차량의 품위를 떨어뜨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좌석에 착석한 자세에서 가장 작은 동작만으로 메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화하는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구성물을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도어트림을 이용하여 메모판이 수납되도록 하여 설치가 간단하고, 외관이 간결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모판이 사용자의 측면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차량의 급제동 시, 사용자와의 신체 충돌이 방지되도록 하는 메모판 내장형 암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는 차량의 도어 내측면에 형성되는 암레스트(110); 상기 암레스트(110)의 상면 소정위치가 함몰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외측에 도어손잡이(111)가 형성되도록 한 도어트림(120); 상기 도어트림(120) 내측에 별도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 록 한 하우징(130); 상기 하우징 내에 내장되거나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접이식 메모판(1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이식 메모판(140)은 하우징(130) 내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틀(141); 상기 고정틀(141)의 외측단과 힌지 결합되는 내부판(142); 상기 내부판(142) 전체가 수용되도록 감싸는 상태로 하우징(130) 외부로 인출되어 내부판(142)의 일측으로 슬라이드 연장되는 외부판(14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접이식 메모판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메모판의 설치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도 5a 내지 5b는 도 4b의 하우징으로부터 접이식 메모판을 인출하는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a 내지 6b는 도 4d의 내부판과 외부판의 슬라이드 구조를 저면에서 본 저면도.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는 크게 암레스트(110)와, 도어트림(120)과, 하우징(130)과, 접이식 메모판(140) 으로 구성된다.
상기 암레스트(110)는 승용차량의 도어 내벽에 돌출되는 형태로 제작되는데, 도어측 탑승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제작되어 팔걸이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레스트(110)의 상면 소정위치에 함몰부를 형성시켜 내측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도어트림(120)이 형성되는데, 상기 도어트림(120)은 탑승자가 하차 시, 도어의 손잡이로 이용하거나 작은 물건들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상기 도어트림(120)구조는 공간부의 외측에 도어손잡이(111)가 형성되고, 공간부의 내측에 별도의 수납공간을 갖는 하우징(130)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30)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사각의 얇은 함체형상으로 제작되고, 내부 수납공간에 접이식 메모판(140)이 내장된다.
상기 접이식 메모판(140)은 하우징(130) 내에 내장되거나 인출되어 펼쳐진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접이식 메모판(140)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하우징(130) 내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틀(141)과, 상기 고정틀(141)의 외측단과 힌지 결합되는 내부판(142)과, 상기 내부판(142) 전체가 수용되도록 감싸는 상태로 하우징(130) 외부로 인출되어 내부판(142)의 일측으로 슬라이드 연장되는 외부판(143)으로 구성된다.
도 5a 내지 5b는 도 4b의 하우징으로부터 접이식 메모판을 인출하는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이식 메모판(140)이 인출과정에서 하우징(130)으로부터 고정틀(141)이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우징(130) 끝단 내측과 고정틀(141) 끝단 외측에 각각이 상호 걸림 되는 이탈방지용 멈춤돌기(131)(141a)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6a 내지 6b는 도 4d의 내부판과 외부판의 슬라이드 구조를 저면에서 본 저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내부판(142)을 감싸도록 설치된 외부판(143)을 일측으로 슬라이드시켜 메모판 면적이 확장되도록 하는데, 이때, 외부판(143)이 내부판(14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돌기(143a)(142a)를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판(143)은 내부판(142)의 저면을 일부 감싸는 가이드날개(143b)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접이식 메모판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메모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일측에 형성된 도 4a 상태의 도어트림(120) 하우징(130)으로부터 접이식 메모판(140)을 도 4b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인출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인출되는 접이식 메모판(140)은 고정틀(141) 및 하우징(130)의 멈춤돌기(131)(141a) 작용에 의해 수직방향의 인출이 제한되어 지는데, 이때 사용자는 도 4c에서와 같이 내부판(142) 및 외부판(143)의 결합체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 자유단부측이 도어손잡이(111)에 거치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메모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해 도 4d에서와 같이 외부판(143)을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외부판(143)의 슬라이드 이동은 도 6a 내지 6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멈춤돌기(142a)(143a)작용에 의해 멈춤되고, 사용자는 편안한 안정적인 자세에서 메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암레스트에 손을 거치시킨 상태로 메모판을 인출시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고, 종래의 도어트림을 이용하여 메모판이 수납되도록 함으로서, 메모판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라도 외관이 드러나지 않아 차량의 실내를 간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고급이미지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메모판이 사용자의 측면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차량의 급출발이나 급정거 시에 사용자의 신체와 충돌되는 위험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의 도어 내측면에 형성되는 암레스트(110);
    상기 암레스트(110)의 상면 소정위치가 함몰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도어트림(120);
    상기 도어트림(120) 내측에 별도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하우징(130);
    상기 하우징 내에 내장되거나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접이식 메모판(14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메모판(140)은 하우징(130) 내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틀(141);
    상기 고정틀(141)의 외측단과 힌지 결합되는 내부판(142);
    상기 내부판(142) 전체가 수용되도록 감싸는 상태로 하우징(130) 외부로 인출되어 내부판(142)의 일측으로 슬라이드 연장되는 외부판(143);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어트림(120)의 공간부 외측에는 도어손잡이(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
KR1020050114210A 2005-11-28 2005-11-28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 KR100736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210A KR100736735B1 (ko) 2005-11-28 2005-11-28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210A KR100736735B1 (ko) 2005-11-28 2005-11-28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787A true KR20070055787A (ko) 2007-05-31
KR100736735B1 KR100736735B1 (ko) 2007-07-09

Family

ID=3827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210A KR100736735B1 (ko) 2005-11-28 2005-11-28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464A (ko) * 2019-12-19 2021-06-30 덕양산업 주식회사 도어트림의 승강작동형 암레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006B1 (ko) * 1995-05-31 1997-10-22 김태구 도어 암레스트의 가이드식 간이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464A (ko) * 2019-12-19 2021-06-30 덕양산업 주식회사 도어트림의 승강작동형 암레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735B1 (ko) 2007-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3268B2 (en) Luggage space arrangement for stowing away a retractable tonneau cover assembly
JP5672629B2 (ja) ドアトリム
US9937867B2 (en) Deployable, expandable storag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9862296B2 (en) Cup hold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2008184096A (ja) 車両用シートの格納構造
JP2008279891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EP3944990B1 (en) Shake prevention structure of glove box
JP4694977B2 (ja) デッキボード
KR100736735B1 (ko) 메모판 내장형 도어 암레스트
US20080110909A1 (en) Housing type cup holder for a vehicle
KR100285863B1 (ko) 자동차용 시트장치의 커버구조물
JP2013006500A (ja) ヘッドレストの支持構造
JP2001260733A (ja) 収納式テーブル機構
KR101181184B1 (ko)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
JP2006142948A (ja) 自動車のトノボード装置
JP2011084189A (ja) 車両用収納ポケット
KR100831477B1 (ko) 장착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KR100521588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폴딩구조
KR10091671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2006143037A (ja) 車両後部荷室構造
JP2002211321A (ja) 自動車における荷物保持装置
JPH1120473A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2016013769A (ja) 車両
KR0185347B1 (ko) 자동차의 컵 홀더
JP2001047942A (ja) 収納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