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358A - U자형 클램핑 부재 - Google Patents

U자형 클램핑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358A
KR20070051358A KR1020077007493A KR20077007493A KR20070051358A KR 20070051358 A KR20070051358 A KR 20070051358A KR 1020077007493 A KR1020077007493 A KR 1020077007493A KR 20077007493 A KR20077007493 A KR 20077007493A KR 20070051358 A KR20070051358 A KR 20070051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member
panel
shaped clamping
le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베 라우쉬
마르코 괴링
에버하르트 크리스트
Original Assignee
에요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410042564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4042564A1/de
Priority claimed from DE200410058938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4058938B4/de
Application filed by 에요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에요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51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specially designed to compensate for misalignement or to eliminate unwanted 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1/00Expanded, threaded, driven, headed, tool-deformed, or locked-threaded fastener
    • Y10S411/955Locked bolthead or nut
    • Y10S411/965Locked bolthead or nut with retainer
    • Y10S411/97Resilient re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Insulator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20, 54)를 구비한 판에 부착하기 위한 U자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클램프는 브래킷(3, 37)에 의하여 연결되는 두 개의 편평한 다리부(1, 2, 35, 36)와, 두 개의 다리부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개구와 하나의 다리부를 관통하는 볼트를 수용하게 되어 있는 너트 부분(4, 38)을 포함한다. 상기 너트 부분(4, 38)은 측방 암(14, 15, 33, 44)에 의하여 회전이 안 되게 고정되도록 클램프 상에 유지된다. 너트 부분은 그 단부에서, 너트 부분의 단부로부터 다리부로 연장된 수 개의 버클(5, 6, 41)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탄성적인 방식으로 판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다리부에 고정된다.
U자형 클램핑 부재, 클램프, 패널, 너트 부분, 스트랩, 다리부

Description

U자형 클램핑 부재{U-SHAPED CLAMP}
본 발명은, 이음쇠(yoke)에 의하여 연결된 두 개의 편평한 다리부와, 볼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두 다리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너트 부분을 구비한, 개구가 형성된 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U자형 클램핑 부재로서, 상기 볼트는 상기 개구와 하나의 다리부를 관통하며, 상기 너트 부분은 측방 암에 의하여 클램핑 부재에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U자형 클램핑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클램핑 부재의 목적은 볼트에 의하여 부품을 패널에 고착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패널 자체는 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나삿니를 수용하기에 부적당하기 때문에, 패널은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너트 부분을 구비해야 한다. 클램핑 부재는 너트 부분이 패널의 개구의 구역으로 갈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볼트와 너트 부분에 의하여 부품은 패널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 점에서 유럽 특허 공보 제0 353 468B1호를 참조할 수 있는데, 이 문헌은 서두에 언급한 형태의 클램핑 부재로서, 너트 부분이 다리부 중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너트 부분은 다른 다리부와 패널의 개구를 관통하는 볼트를 수용하게 되어 있는 클램핑 부재를 개시한다. 클램핑 부재는 패널의 가장자리에서 패널로 미끄러지거나, 패널은 패널에 있는 볼트를 위한 구멍의 부근에서 장착 홈(recess)을 가진다. 클램핑 부재는 상기 장착 홈 내로 삽입되어, 클램핑 부재의 너트 부분이 패널의 개구와 정렬하도록 장착 홈의 일 가장자리 위에서 패널로 미끄러진다. 너트 부분이 다리부 중의 하나에 일체로 형성된 유사한 디자인이 US-PS 제4,333,211호, 프랑스 특허 출원 제2 492 015, 유럽 특허 출원 제0 199 614A1호, 유럽 특허 출원 제1 336 763A2호, 및 독일 공개 특허 공보 제26 52 138호에 개시된다.
이러한 문헌들에서 나타나는 사상에 따르면, 두 개의 다리부 사이에 갭을 가진 U자형 클램핑 부재의 디자인은 상기 갭과 대체로 비슷한 두께를 갖는 패널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클램핑 부재를 서로 다른 패널 두께에 단순히 적용하는 것은 공지된 클램핑 부재에 있어서는 아예 불가능하거나, 곤란성을 수반한 채로만 가능하였다. 후자의 예로는 유럽 공개특허 공보 제1 336 763A2호를 들 수 있는데, 여기서는 서로 다른 패널 두께에 적용하기 위하여, 클램핑 부재의 하나의 다리부가 패널을 향하는 구부러진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구부러진 부분은 결합되는 패널의 두께에 따라서 다소간 신장되었다. 그 결과, 특히 더 얇은 패널의 경우, 구부러진 다리부는 신장된 영역에 걸쳐서가 아니라 단지 몇 개 지점의 구역에서만 접촉하게 되는 불이익이 발생하였고, 이는 고정 요소를 지지하는 패널과 패널에 부착되는 부품 사이의 연결의 안정성을 심각하게 제한하였다.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너트 부분을 가진 U자형 클램핑 부재는 US-PS 제3,145,753호와 US-PS 제3,118,480호에서도 개시되는데, 여기서는 너트 부분은 측방 암에 의하여 클램핑 부재에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되고, 축방향 가동성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두께의 패널을 수용할 수 있으며, 볼트가 삽입되고 조여졌을 때에 너트 부분은 패널로 끌어당겨져서 패널에 꼭 맞게 물릴 수 있다. 여기서, 너트 부분은 너트 부분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이음쇠까지 연장되는 클립에 의하여 제 위치에 유지되고, US-PS 제3,145,753호에서는 상기 클립은 분기부(fork)의 형태로 이음쇠를 둘러싸고, US-PS 제3,118,480호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후크에 의하여 이음쇠를 헐겁게 관통한다. 그러한 너트 부분의 느슨한 장착은 클립과 이음쇠 사이의 느슨한 분기부(fork)형 또는 후크형 연결이 기울어져서 볼트의 삽입과 나사 결합을 위한 너트 부분의 필요한 정렬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얇거나 특히 두꺼운 패널에 부착한 결과로 상당한 축방향 변위가 있는 경우에도 클램핑 부재가 항상 너트 부분을 확실하게 안내하여 너트 부분을 유지하는 다리부의 기울어짐을 안전하게 방지하도록, 서두에 설명한 형태의 U자형 클램핑 부재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너트 부분이 축방향으로 탄성적인 방식으로 그 단부에서, 너트 부분의 단부로부터 다리부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랩에 의하여 패널에서 먼 쪽을 향하는 다리부에 고정됨에 의하여 달성된다.
적어도 두 개의 탄성 스트랩에 의한 너트 부분과 관련된 다리부 사이의 상기 연결의 결과로, 두꺼운 패널의 삽입 시에 또는 너트 부분이 얇은 패널로 끌어당겨질 때에 상기 너트 부분이 확실하게 안내되고, 상기 확실한 안내에 의하여 U자형 클램핑 부재의 조작이 상당히 용이해지고 개선된다.
두 개의 탄성 스트랩을 가진 디자인의 변형 형태에서는, 너트 부분이, 패널을 향하는 너트 부분의 단부에서, 가요성 스트랩에 의하여 패널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다리부에 고정되고, 추가의 가요성 스트랩에 의하여 이음쇠에 고정되며, 그 측방 암은 패널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다리부의 홈에 회전 불가능하게 맞물린다.
너트 부분과 요크 사이의 연결부로서의 스트랩 중의 하나의 디자인에 의하여, 너트 부분의 필요한 가요성의 손실 없이 너트 부분의 관련되는 측면을 위한 특히 확실한 안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부재는 서로 상당히 다른 두께의 패널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볼트를 삽입하고 나사 결합할 때에 너트 부분은 패널 쪽으로 당겨져서 패널에 꼭 맞게 맞물리고, 패널에 면하는 편평한 다리부도 마찬가지로 패널의 관련된 면과 꼭 맞게 접촉하여, 상기 패널은 이러한 식으로 하나의 편평한 다리부와 너트 부분 사이에 탄성적인 부분이 없이 하나의 편평한 다리부와 너트 부분에 의하여 유지된다. 이에 의하여, 너트 부분을 패널에 특히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볼트에 의하여 다른 부품도 패널에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부재를 구비한 패널은 볼트가 결합된 부품에 작용하는 상당한 힘을 견딜 수 있고, 측방 암을 구비한 너트 부분의 디자인이 너트 부분을 관통하는 볼트가 단단히 조여질 수 있게 해주는데, 이는 상기 암이, 클램핑 부재를 통하여, 너트 부분이 암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되게 하기 때문이다.
너트 부분의 회전 불가능한 디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음쇠는 암과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분기형 가이드(fork guide)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음쇠는 상기 암의 단부에서 두 개의 돌출부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길이방향 리브(ri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음쇠에 상기 암의 하나의 돌출부에 의하여 맞물리는 길이방향 슬릿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길이방향 슬릿은 이음쇠 상의 두 개의 평행한 길이방향 리브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너트 부분의 암을 향한 측방향 변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확대된 부분으로 이음쇠 뒤에 맞물리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이는 너트 부분이 이음쇠로부터 떨어지게 이동하는 것을 막아준다. 대안적으로, 상기 암은 어깨부를 매개하여 돌출부로 전이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여기서 암의 길이방향 변위와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는 이음쇠에 대한 정지부를 형성한다. 이로써, 너트 부분은 이음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다리부들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랩들은 유리하게는 호형(弧形)으로 설계된다. 대안적으로, 스트랩들은 헬리컬 스프링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널을 클램핑 부재로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유리하게는, 패널을 향하는 너트 부분의 측면에는 패널을 위한 삽입 경사면(insertion bevel)을 형성하는 탭이 구비될 수 있다.
클램핑 부재에 패널과 패널의 개구에 관련된 어느 정도의 위치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패널을 향하는 다리부는 개구 내에 삽입하도록 설계된 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서, 패널을 향하는 너트 부분의 측면에는 개구 내로 돌출하는 링이 구비될 수 있다. 클램핑 부재 내로의 패널의 삽입이 어떤 식으로든 상기 노즐 또는 링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 또는 링은 패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사 부분을 구비한다. 패널이 상기 경사 부분에 맞닿게 될 때에, 상기 경사 부분은 상기 노즐 또는 링을 패널의 개구 내로 향하게 한다.
너트 부분과 다리부들 사이에 비회전성을 확립하기 위한 홈은 패널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다리부에 슬릿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클램핑 부재가 예비-장착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패널을 향하는 다리부와 너트 부분은, 패널이 수용되었을 때에 너트 부분과 다리부가 패널을 고정하도록, 정렬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정렬에 의하여, 클램핑 부재는 먼저 패널의 가장자리 위로 미끄러질 수 있고, 그런 다음, 볼트가 너트 부분에 삽입되고 조여져서 최종적인 고정이 있을 때까지, 고유의 장력에 의하여 클램핑 부재는 먼저 패널에 고정된다.
패널이 클램핑 부재 내에 삽입될 때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유리하게는 정지 부재가 이음쇠 상에 형성될 수 있고, 패널은 클램핑 부재 내에 삽입되면서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정지 부재에 대향하게 된다.
클램핑 부재는 플라스틱으로 된 일체 구조에 매우 적합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도 1은 호형 스트랩에 의하여 너트 부분이 고정되는 클램핑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일한 클램핑 부재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3은 동일한 클램핑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동일한 클램핑 부재의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암의 길이방향 변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암에 돌출부를 구비한 도 2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패널에 부착된 동일한 클램핑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패널에 볼트로 결합된 부품을 구비한 클램핑 부재의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라 나타낸 경사 노즐과 링을 구비한 클램핑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너트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헬리컬 스프링 형태의 스트랩을 구비한 클램핑 부재의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클램핑 부재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클램핑 부재의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클램핑 부재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따른 클램핑 부재의 하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 선에 따른 클램핑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ⅩⅦ-ⅩⅦ 선에 따른 클램핑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클램핑 부재를 수용하는 비교적 얇은 패널을 가지는 도 16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비교적 두꺼운 패널과 함께 동일한 클램핑 부재를 도시한다.
도 20은 볼트가 삽입된 도 19의 클램핑 부재를 도시한다.
도 21은 하나의 다리부가 너트 부분을 향하여 구부러진 도 16에 따른 클램핑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정지 부재를 구비한 클램핑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따른 디자인과 비교하여 길게 연장된 정지 부재를 구비한 클램핑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사시도에 도시된 클램핑 부재는 상부 다리부(1), 하부 다리부(2), 그리고 두 개의 다리부(1, 2)를 연결하는 이음쇠(3)를 포함한다. 클램핑 부재는, 도 7 및 8과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패널이 클램핑 부재 내로 삽입될 때에 두 개의 다리부(1, 2)가 이음쇠(3)에 대하여 구부러져서 다시 돌아올 수 있게 하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두 개의 다리부(1, 2) 사이에는 너트 부분(4)이 배치되는데, 너트 부분(4)은 호형 스트랩(5, 6)에 의하여 다리부(2)에 일체로 결합된다. 스트랩(5, 6)은 마찬가지로 탄성재료로 만들어지고, 너트 부분(4)에 축방향의 가동성을 제공한다. 너트 부분(4)은 구멍(7)을 가지며, 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멍(7) 내로 볼트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너트 부분(4) 내로 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다리부(1)는 구멍(8)을 구비한다. 다리부(2)도 유사한 구멍(9)을 가지며, 그에 따라서 전체 클램핑 부재는 볼트에 의하여 관통될 수 있다(도 8 참조). 볼트가 너트 부 분(4)의 구멍(7) 내로 나사 결합될 때에, 너트 부분(4)에 토크가 작용하기 때문에, 너트 부분(4)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회전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 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계된다: 이음쇠(3)는 두 개의 길이방향 리브(rib)(10, 11)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10, 11)들은 그것들 사이에 길이방향 슬릿(12)을 형성하며, 길이방향 슬릿(12)은 암(14, 15)에 의하여 지지되는 돌출부(13)와 맞물리고, 상기 암(14, 15)은 너트 부분(4)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는 너트 부분(4)과 돌출부(13) 사이에 토크-방지 연결부를 제공하고, 돌출부(13)는 길이방향 슬릿(12)에 맞물리고, 또한 돌출부(13)는 길이방향 리브(10, 11)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너트 부분(4)에 토크가 작용할 때에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방지 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분기형 가이드가 된다.
너트 부분(4)은 또한 탭(16)을 구비하는데, 탭(16)은 다리부(1)와 너트 부분(4) 사이에 삽입되는 패널을 위한 삽입 경사부를 형성한다(도 7 참조).
다리부(1)와 너트 부분(4) 사이에 패널을 삽입할 때에, 너트 부분(4)은 다리부(2)를 향하여 가압되고, 스트랩(5, 6)은 그에 따라서 함께 눌러져서 패널을 위한 충분한 간격을 제공한다. 이는 도 7 및 8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클램핑 부재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2로부터 (파선으로 그려진)돌출부(13)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 패널들의 삽입을 위하여 다리부(1)와 너트 부분(4)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길이방향 리브(10) 뒤의 길이방향 슬릿에서 상하로 활주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또한 노즐(17)과 링(18)을 도시하는데, 이것들은 삽입된 패널의 상응 하는 개구로의 관통을 위하여 제공되며, 그에 따라서 클램핑 부재는 어느 정도의 패널의 안착 안전성을 가지게 된다(도 7 및 8 참조).
도 3은 클램핑 부재의 상면도이고, 다리부(1), 돌출부(13), 길이방향 슬릿(12), 구멍(8) 및 노즐(17)만이 도시된다. 너트 부분(4)의 위치는 파선에 의하여 표시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클램핑 부재를,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로 나타낸다. 볼트가 구멍(8, 9)과 너트 부분(4)의 구멍(7)을 통하여 클램핑 부재 내로 삽입될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클램핑 부재를,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로 나타내며, 이로부터 돌출부(13)가 두 개의 길이방향 리브(10, 11)들 사이의 길이방향 슬릿(12)에서 어떻게 회전 방지 장치로서 유지되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따른 클램핑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돌출부(13)는 확대부(26)로 전이된다. 또한, 암(15)은 어깨부(27)를 구비하고, 어깨부(27)는 길이방향 리브(10, 11)에 대한 정지부를 형성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단면과 유사한 클램핑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며, 다만 다리부(1)와 너트 부분(4) 사이에 삽입된 패널(19)을 구비하고 있다. 패널(19)은 개구(20)를 구비하고, 개구(20)를 통하여 볼트가 삽입되며, 노즐(17)과 너트 부분의 링(16)은 패널(19)이 삽입될 때에 개구(20)를 구비한 패널(19)이 볼트에 의한 추가적인 고정을 요하지 않고도 처음에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해준다.
도 7은 도 4와 관련하여, 패널(19)의 삽입을 통하여, 너트 부분(4)이 다리 부(2)에 대하여 가압되고 그에 따라서 두 개의 스트랩(5, 6)이 함께 패널이 삽입되지 않은 도 4의 경우보다 훨씬 더 압축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스트랩(5, 6)의 가요성과 다리부(2)까지의 간격으로 인하여, 너트 부분(4)은 삽입되는 패널(19)의 두께에 관하여 넓은 변화 폭을 가지게 되고, 그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U자형 클램핑 부재는 두께가 상당히 다른 패널들에 부착하는 데에 특히 적합하게 된다. 특히, 이 점에 있어서, 수 밀리미터의 변화 폭이 고려된다.
도 8은 삽입된 패널(19)과 나사 결합된 볼트(21)를 구비한 도 7에 따른 클램핑 부재를 도시한다. 여기서, 볼트(21)는 셀프-태핑 볼트의 형태이고 너트 부분(4)에 그 자신의 나삿니를 깎는다. 그러나, 물론 미리 형성된 나삿니를 이미 구비한 너트 부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볼트(21)는 너트 부분(4)에 의하여 수용되고, 볼트 헤드(22)는 다리부(1)를 향하여 부재(23)를 가압하여 그에 따라 패널(19)을 간접적으로 가압하며, 따라서 볼트(21)와 너트 부분(4)에 의하여 부재(23)를 패널(19)에 고정시킨다.
도 9는 도 4의 클램핑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도 9에서 경사진 노즐(24)고 경사진 링(25)이 도시된다. 상기 경사에 의하여, 패널(19)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되고(도 7 참조), 그 결과 특히 두꺼운 패널이 이음쇠(3)에 의하여 함께 연결되어 있는 다리부(1, 2)들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 및 도 2의 U자형 클램핑 부재의 사시도이고, 너트 부분(4)과 다리부(2) 사이의 연결부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헬리컬 스프링 형태의 스트랩(28, 29)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트랩(28, 29)은 너트 부분(4) 의 축방향 이동성을 위한 특히 유리한 탄성을 제공한다. 나아가서, 너트 부분(4)을 위한 회전 방지 장치로서 작용하는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분기형 가이드도 앞서 언급한 도면과는 다른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분기형 가이드는 하나의 길이방향 리브(30)로 구성되어 있고, 길이방향 리브(30)는 암(33)의 두 개의 돌출부(31, 32)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도 12 참조).
도 11은 도 10의 사시도의 디자인을 측면 입면도로서 나타낸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클램핑 부재를 도 11의 ?-? 선에 따른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2는 하나의 길이방향 리브(30)와 두 개의 돌출부(31, 32)에 의하여 구성되는 상기 분기형 가이드를 명확하게 도시한다.
도 13의 사시도에 도시된 클램핑 부재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디자인의 변형예이다. 도 13의 클램핑 부재는 상부 다리부(35), 하부 다리부(36), 그리고 두 개의 다리부(35, 36)를 연결하는 이음쇠(37)를 포함한다. 클램핑 부재의 재료에 관해서는, 도 1에 관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두 개의 다리부(35, 36) 사이에는 너트 부분(38)이 배치되고, 너트 부분(38)은 하부 다리부(36)의 홈(39)을 통과한다. 너트 부분(38)은 스트랩(40)과 스트랩(41)에 의하여 각각 하부 다리부(36)와 이음쇠(37)에 연결되고, 스트랩(40, 41)들은 탄성재료로 되어 있고 (도 1 내지 도 4에 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너트 부분(38)에 필요한 축방향 가동성을 제공한다. 이 경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와는 달리, 스트랩(40)은 상부 다리부(35)를 향하는 너트 부분의 단부에 위치하며, 이는 두 개의 다리부(35, 36)와 관련하여 너트 부분(38)의 가동성을 증가시킨다. 너트 부분(38) 은 볼트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구멍(42)을 가진다(도 20 참조). 볼트를 나사 부분(38)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 다리부(35)는 구멍(43)을 가진다. 클램핑 부재에 삽입되면서, 볼트는 구멍(43)으로부터 시작하여 너트 부분(38)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너트 부분(38)을 관통할 수 있다. 볼트가 나사 결합될 때에 너트 부분(38)에 작용하는 어떠한 토크도 차단하기 위해서, 회전 방지 장치로서 측방 암(44)이 구비되며, 측방 암(44)은 하부 다리부(36)의 홈(45)에 맞물린다. 이러한 설계에 의하여 토크가 인가될 때에 너트 부분(38)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다리부(35)와 너트 부분(38) 사이의 공간으로 패널을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도 18 및 19 참조), 상부 다리부(35)는 경사면(46)을 구비한다. 상부 다리부(35)를 향하는 너트 부분(38)의 면에는 플랜지(47)가 구비된다. 경사면(46)을 향하는 플랜지(47)의 면에는 경사면(49)을 가진 정지부(58)가 구비된다. 경사면(46, 49)을 가진 적절한 설계에 의하여, 삽입 시에 패널을 향하는 두 부분, 즉 상부 다리부(35)와 너트 부분(38)은 패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패널의 삽입은 너트 부분(38)을 향하는 스트랩(40)의 단부에 있는 두꺼운 부분(50)에 의해서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스트랩(40)은 하나의 삽입 경사부로서 작용한다.
도 13에 따른 클램핑 부재는 도 14에서 측면 입면도로 도시되며, 두 개의 스트랩(40, 41)에 의한 너트 부분(38)의 이동 가능한 장착 구조를 명확히 나타낸다. 또한, 도 14로부터, 상부 다리부(35)의 구멍(43)이 너트 부분(38)을 향하는 측면에서 정지부(51)를 형성하고, 삽입되어야 할 패널을 향하는 상기 정지부(51)의 측면 에는 삽입 경사면(52)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따른 클램핑 부재의 하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회전 방지 장치가 너트 부분(38)의 측방 암(44)과 하부 다리부(36)의 홈(45)에 의해서 형성됨을 명확히 도시한다. 홈(45)으로부터의 작은 거리 때문에 측방 암(44)은 단지 약간만 회전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볼트가 나사 결합될 때에 너트 부분(38)은 매우 작은 각도로만 같이 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도 16은 도 15의 클램핑 부재를 ⅩⅥ-ⅩⅥ 선에 따른 단면도로 도시하며, 너트 부분(38)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장착 구조를 명확하게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의 클램핑 부재를 ⅩⅦ-ⅩⅦ 선에 따른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7은 너트 부분(38)이 하부 다리부의 홈(39)에서 하부 다리부에 대하여 충분한 간격을 가지고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도 18은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클램핑 부재를 나타내며, 이번에는 패널(53)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53)은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 또는 구멍(54)을 가진다. 상부 다리부(35) 쪽에서는 정지부(51)가 상기 구멍(54) 내로 돌출하고, 다른 쪽에서는 정지부(58)가 돌출하며, 이로써 클램핑 부재 내에 삽입된 패널(53)은 다시 제거되지 않게 된다.
유사한 설계가 도 19에 도시되며, 도 18과 비교할 때 유일한 차이점은, 도 19에서는 상당히 더 두꺼운 패널(55)이 클램핑 부재 내로 삽입되었다는 점이다.
도 20은 도 19에 따른 패널(55)을 가진 클램핑 부재를 도시하는데, 볼트(56)가 클램핑 부재 내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56)는 너트 부분(38)을 완전히 관통하여 너트 부분(38)을 하부 다리부(36) 측으로부터 패널(55)을 향하여 가압한다. 다른 측에서는 다리부(35)가 패널(55)을 가압하고, 상기 다리부 위에는 볼트(56)의 헤드(57)가 안착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56)가 끼워진 후에, 클램핑 부재는 패널(55)에 안전하게 연결된다. 다른 어떤 부재가 패널(55)에 나사 결합되어야 한다면, 그러한 부품은 여기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볼트(56)가 먼저 그러한 도시되지 않은 부품을 관통하고 다음으로 그것을 상부 다리부(35)를 향하여 가압하며, 그런 다음 볼트(56)는 너트 부분(38)에 의하여 그러한 부품을 패널(55)에 대항하여 안전하게 끌어당길 것이다.
도 21은 이전까지 제시된 도면에 도시된 클램핑 부재의 특색, 즉 상부 다리부(35)와 너트 부분(38) 사이의 부하 전 상태(preload)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다리부(35)는 하부 다리부(36) 쪽으로 구부러지고, 패널의 삽입 시에는(예를 들어 도 18 및 도 19에서 각각 도면부호 53 또는 55) 정지부(51)와 정지부(58)에 의하여, 삽입되는 패널의 구멍 내에 탄성적으로 들어가기 위하여 약간 위쪽으로 구부러진다. 이로 인하여 클램핑 부재는 예비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은 자동화된 생산의 경우 여러 가지 용도에서 중요한 것이다.
도 22는 도 13 내지 도 21에 따른 설계에 대응하는 클램핑 부재에 패널(53)이 삽입된 것을 도시하며, 삽입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패널(53)의 전방면은 정지부(59)의 바로 앞에 위치한다.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패널(53)은 정지부(59)와 접촉할 것이다. 도 22에서 정지부(59)와 패널(53)의 전방면 사이에 도시된 갭은 순전히 도시적인 이유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표시된 것이다.
도 23은 정지부(59)의 변형예를 도시하며, 도 22에 도시된 설계와 비교할 때에 상기 정지부(59)는 길이가 더 길고, 그에 따라서 그러한 정지부를 구비한 클램핑 부재는, 나사 결합 깊이가 제한되는 패널(23)의 개구부와 패널(23)의 전방면 사이의 구역이 짧은 패널을 수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개구(20)를 구비한 패널(19)에 부착하기 위한 U자형 클램핑 부재로서, 이음쇠(yoke)(3)에 의하여 연결되는 두 개의 편평한 다리부(1, 2)와, 개구(20)와 하나의 다리부(1)를 관통하는 볼트(21)를 수용하기 위하여 두 개의 다리부(1, 2)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너트 부분(4)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 부분(4)은 측방 암(14, 15, 33)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U자형 클램핑 부재 상에 유지되는 U자형 클램핑 부재에 있어서,
    상기 너트 부분(4)은, 그 단부에서, 너트 부분(4)의 단부로부터 다리부(2)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랩(5, 6)에 의하여 패널(19)로부터 먼쪽을 향하고 있는 다리부(2)에 축방향으로 탄성적인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2. 개구(54)를 구비한 패널(53, 55)에 부착하기 위한 U자형 클램핑 부재로서, 이음쇠(yoke)(37)에 의하여 연결되는 두 개의 편평한 다리부(35, 36)와, 개구(54)와 하나의 다리부(35)를 관통하는 볼트(56)를 수용하기 위하여 두 개의 다리부(35, 36)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너트 부분(38)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 부분(38)은 측방 암(44)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U자형 클램핑 부재 상에 유지되는 U자형 클램핑 부재에 있어서,
    상기 너트 부분(38)은, 패널(53, 55)을 향하는 그 단부에서, 가요성 스트 랩(40)에 의하여 패널(53, 55)로부터 먼쪽을 향하고 있는 다리부(36)에 고정되고, 추가적인 가요성 스트랩(41)에 의하여 이음쇠(37)에 연결되며, 너트 부분(38)의 측방 암(44)은 패널(53, 55)로부터 먼쪽을 향하고 있는 다리부(36)에 있는 홈(45)에 회전 불가능하게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이음쇠(3)는 암(14, 15, 33)과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분기형 가이드(fork guid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이음쇠(3)는 길이방향 리브(30)를 가지고, 상기 길이방향 리브(30)는 암(33)의 단부에 있는 두 개의 돌출부(31, 32)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5. 제3항에 있어서, 이음쇠(3)는 길이방향 슬릿(slit)(12)을 구비하고, 상기 길이방향 슬릿(12)은 암(14, 15)의 돌출부(13)에 의하여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슬릿(12)은 이음쇠(3)에 있는 두 개의 평행한 길이방향 리브(10, 11)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7. 제5항에 있어서, 돌출부(13)는 확대부(26)에 의하여 이음쇠(3) 뒤에 맞물리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15)은 어깨부(27)를 거쳐서 돌출부(13)로 전이하고, 암(15)의 길이방향 변위와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13)는 길이방향 리브(10, 11)에 대향하는 정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랩(28, 29)은 헬리컬 스프링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너트 부분(4)의 패널(19)을 향하는 면에는, 패널(19)을 위한 삽입 경사면을 형성하는 탭(1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널(19)에 면하는 다리부(1)에는 개구(20) 내에 침투하도록 형성된 노즐(1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널(19)에 면하는 너트 부분(4)의 면에는 개구(20) 내로 돌출하는 링(1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 자형 클램핑 부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노즐(17)과 링(18)은 패널(19)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 경사부(24, 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14. 제2항에 있어서, 홈(45)은 슬릿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널(53, 55)에 면하는 다리부(35)와 너트 부분(38)은, 패널(53, 55)이 수용되었을 때에 너트 부분(38)과 다리부(35)가 패널(53, 55)을 조이도록,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음쇠(37) 상에는 정지부(58)가 형성되고, 패널(53)이 U자형 클램핑 부재 내에 삽입됨에 따라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패널(53)이 상기 정지부(58)에 맞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체형 디자인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클램핑 부재.
KR1020077007493A 2004-09-02 2005-09-01 U자형 클램핑 부재 KR200700513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2564.7 2004-09-02
DE200410042564 DE102004042564A1 (de) 2004-09-02 2004-09-02 U-förmiges Klemmstück
DE200410058938 DE102004058938B4 (de) 2004-12-07 2004-12-07 U-förmiges Klemmstück
DE102004058938.0 2004-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358A true KR20070051358A (ko) 2007-05-17

Family

ID=3516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493A KR20070051358A (ko) 2004-09-02 2005-09-01 U자형 클램핑 부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896596B2 (ko)
EP (1) EP1784578B1 (ko)
JP (1) JP5032991B2 (ko)
KR (1) KR20070051358A (ko)
AT (1) ATE389817T1 (ko)
AU (1) AU2005279288A1 (ko)
BR (1) BRPI0514846A (ko)
DE (1) DE502005003369D1 (ko)
ES (1) ES2302556T3 (ko)
MX (1) MX2007001291A (ko)
WO (1) WO20060245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697A (ko) * 2009-02-12 2011-11-02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제거가능한 오랜 수명의 재사용가능 u-형태의 하이브리드 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190A (ko) * 2009-05-14 2010-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DE102009035874A1 (de) * 2009-08-03 2011-02-10 Illinois Tool Works Inc., Glenview Vorrichtung zur Verbindung zweier Bauteile miteinander
WO2012013352A1 (de) 2010-07-27 2012-02-02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orformling für ein innenverkleidungsteil eines fahrzeuges und innenverkleidungsteil
DE102012207142A1 (de) 2012-04-27 2013-10-31 A. Raymond Et Cie Steckmutter
USD747167S1 (en) 2013-07-22 2016-01-12 Richard A. Harkin Tool stand
DE102013018113A1 (de) * 2013-09-25 2015-03-26 Sfs Intec Holding Ag Clipmutter
US10746220B2 (en) * 2014-03-31 2020-08-18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Connector, connecting method and a production method for same
US9490743B2 (en) 2014-05-28 2016-11-08 Sunedison, Inc. Grounding clips and tabs for mounting components to solar modules
CN107980083B (zh) * 2015-01-23 2020-12-01 巴科股份有限公司 用于改善的对准的连接装置
DE102015103491A1 (de) 2015-02-02 2016-08-04 Illinois Tool Works Inc. Distanzmutter
DE102016118138B4 (de) * 2016-09-26 2020-04-16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Toleranzausgleichselement zum Ausgleichen eines Abstandes zwischen einem Instrumententräger und einem Karosseriebauteil eines Fahrzeugs
CN117733309A (zh) 2018-05-09 2024-03-22 杨百翰大学 用于摩擦钻头接合的系统和方法
TWM569077U (zh) * 2018-08-16 2018-10-21 康揚企業股份有限公司 Plate holder
WO2020065722A1 (ja) * 2018-09-25 2020-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クリップナット
DE102018130391B4 (de) * 2018-11-29 2023-10-26 Witte Automotive Gmbh Toleranzausgleichsvorrichtung mit kopplungsmittel
US11148213B2 (en) * 2019-01-03 2021-10-19 Kennametal Inc. Hardware fastener with movable threaded element and one or more spring-like members
KR102141902B1 (ko) * 2019-05-15 2020-08-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푸시너트
DE202019103624U1 (de) * 2019-07-01 2020-10-05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U-förmiges Klemmstück zum Verbinden von zwei Bauteilen
US11199210B2 (en) * 2020-01-13 2021-12-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lf-retaining spacer and clip device
EP3851686B1 (de) * 2020-01-17 2023-03-29 SFS Group International AG Leichtbaubefestiger
CN112846611A (zh) * 2020-12-31 2021-05-28 武汉理工大学 一种带有活动螺母的u型卡扣及固定方法
DE102022212968A1 (de) 2021-12-01 2023-06-01 Witte Automotive Gmbh Vorrichtung zum Ausgleichen von Toleranzen zwischen zwei miteinander zu verbindenden Bauteilen
EP4265925B1 (en) 2022-04-22 2024-03-13 Bhavya Jumps GmbH Clipp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 panel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8258A (en) * 1944-01-06 1945-06-12 Tinnerman Products Inc Fastening device
NL260934A (ko) * 1959-03-09
US3145753A (en) * 1961-01-24 1964-08-25 Frederick W Rohe Spring clip and nut assembly
US3358729A (en) * 1966-04-25 1967-12-19 Bishop & Babcock Corp C-type fastener
US3414035A (en) * 1966-11-14 1968-12-03 Vare Corp Fastener
US3999583A (en) * 1975-12-15 1976-12-28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ing device
JPS55161913U (ko) * 1979-05-11 1980-11-20
US4333211A (en) * 1980-03-13 1982-06-08 Dzus Fastener Co., Inc. Slip-on receptacle
FR2492015B1 (fr) 1980-10-14 1984-12-07 Materiel & Equipements Tec Perfectionnement aux attaches en matiere plastique pour assurer une fixation sur le bord d'une plaque
FR2579685B1 (fr) 1985-03-29 1988-01-29 Rapid Sa Dispositif de fixation formant pince
JPS6287204U (ko) * 1985-11-21 1987-06-03
FR2613439A1 (fr) * 1987-04-03 1988-10-07 Itw De France Ecrou a montage direct
FR2627554B1 (fr) * 1988-02-24 1990-08-10 Rapid Sa Dispositif de fixation perfectionnee formant pince et piece quelconque munie de ce dispositif
DE8809756U1 (ko) * 1988-07-30 1988-10-06 Ejot Eberhard Jaeger Gmbh & Co Kg, 5928 Bad Laasphe, De
DE19511802A1 (de) * 1995-03-30 1996-10-02 Raymond A & Cie Klammerförmige Blechmutter mit Zentrierstreifen
CA2171918C (en) * 1995-05-26 2000-06-06 Michael G. Gagnon U-nut
US6118480A (en) * 1997-05-05 2000-09-12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a digital camera user interface across multiple operating modes
JPH1199057A (ja) * 1997-09-26 1999-04-13 Toyota Auto Body Co Ltd リニアモータ式カーテン開閉装置
JP2001003934A (ja) * 1999-06-18 2001-01-09 Ndc Co Ltd 直動案内滑り軸受装置
US6474917B2 (en) * 2000-06-22 2002-11-05 Jacques Gauron Clip nuts
JP2003161319A (ja) * 2001-11-27 2003-06-06 Ndc Co Ltd 直線案内滑り軸受
FR2835891B1 (fr) 2002-02-13 2004-09-03 Gobin Daude Dispositif de fixation a pince
FR2841613B1 (fr) * 2002-06-28 2004-12-24 Itw De France Dispositif comportant un cavalier pour la fixation d'une piece sur un panneau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697A (ko) * 2009-02-12 2011-11-02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제거가능한 오랜 수명의 재사용가능 u-형태의 하이브리드 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24527A1 (de) 2006-03-09
DE502005003369D1 (de) 2008-04-30
MX2007001291A (es) 2007-04-23
EP1784578B1 (de) 2008-03-19
EP1784578A1 (de) 2007-05-16
AU2005279288A1 (en) 2006-03-09
US7896596B2 (en) 2011-03-01
ES2302556T3 (es) 2008-07-16
ATE389817T1 (de) 2008-04-15
JP2008511805A (ja) 2008-04-17
BRPI0514846A (pt) 2008-06-24
JP5032991B2 (ja) 2012-09-26
US20070243038A1 (en)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1358A (ko) U자형 클램핑 부재
CA2181408C (en) Aperture held clip type fastener
CN100510436C (zh) U形夹持件
EP3116065B1 (en) Push-in clamp retainer, push-in clamp assembly and electric connector element
US8231317B2 (en) Fastening clamp
EP0660018A1 (en) A tie
RU2741677C1 (ru) Верхний багажни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80069124A (ko) 케이블 고정 장치
US3490104A (en) Cable clamps
EP1696141A1 (en) Tethered retainer assembly
GB2162272A (en) Clip for mounting fasteners
WO2017043965A1 (en) Conduit clip
US4677714A (en) Quick-release fastener
GB2404420A (en) Fastener for elongated member such as wire harness
US5468096A (en) Means for securing a cover over a drainage channel
JPH0541792B2 (ko)
CN115111247A (zh) 公差补偿装置
KR100421112B1 (ko) 클린치형 패스너
US20040131442A1 (en) Clamping piece of springy sheet metal
EP3210906A1 (en) Cable tie
CN112664523B (zh) 快速释放固定装置的保持夹、快速释放固定装置以及带有该快速释放固定装置的组件连接
JP5296321B2 (ja) 格子固定素子
CN110645246B (zh) 紧固机构和家具组件
CN109844329B (zh) 用于将平面元件固定在结构元件上的系统和固定夹紧件
JP5908219B2 (ja) テンションメンバ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